KR20190029016A -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의 캡 록킹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9016A KR20190029016A KR1020170116032A KR20170116032A KR20190029016A KR 20190029016 A KR20190029016 A KR 20190029016A KR 1020170116032 A KR1020170116032 A KR 1020170116032A KR 20170116032 A KR20170116032 A KR 20170116032A KR 20190029016 A KR20190029016 A KR 201900290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fixing plate
- cap
- locking pin
- buffer cush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B62D33/0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characterised by the device for locking the cab in the tilted or in the driving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B62D33/0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characterised by the device for locking the cab in the tilted or in the driving position
- B62D33/071—Locking devices for cabins in driving position; Shock and vibration absorb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캡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럭의 차체 측 프레임에 장착되는 래치; 및 상기 프레임에 틸팅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캡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캡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캡의 틸팅 여부에 따라 상기 래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록킹핀; 및 상기 바디와 상기 래치 사이의 간격을 유지 가능하도록 상기 래치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쿠션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럭의 캡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은, 운전석과 조수석이 마련되는 캡을 트럭의 차체 전방으로 틸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캡에는 차체에 마련된 래치를 이용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스트라이커가 마련된다.
캡이 차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스트라이커도 래치에 잠금된 상태를 유지하고, 캡이 차체로부터 틸팅되면 스트라이커도 래치로부터 잠금이 해제되어 캡 틸팅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종래의 트럭은, 캡과 차체의 결합이 안전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스트라이커와 래치가 주로 메탈 재질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트럭은, 캡이 틸트 업(tilt up)되거나 틸트 다운(tilt down)될 때 스트라이커와 래치의 접촉에 의해 마찰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소음 발생에 의해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캡의 틸팅 시 스트라이커와 래치 사이에서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트럭의 캡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트럭의 차체 측 프레임에 장착되는 래치; 및 상기 프레임에 틸팅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캡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캡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캡의 틸팅 여부에 따라 상기 래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록킹핀; 및 상기 바디와 상기 래치 사이의 간격을 유지 가능하도록 상기 래치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쿠션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록킹핀은 상기 래치가 상기 록킹핀의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완충 쿠션은 상기 정위치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 쿠션은, 상기 정위치에서 상기 바디 측으로 갈수록 외주연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는 원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 쿠션은, 상기 록킹핀이 삽입되도록 천공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 쿠션은, 상기 삽입홀과 상기 외주연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와 상기 완충 쿠션 중 어느 하나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와 상기 완충 쿠션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는, 상기 캡에 장착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록킹핀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천공되는 제1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록킹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천공되는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핀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핀의 일단은 상기 제1 관통홀에 걸림되도록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제2 관통홀에 걸림되도록 상기 록킹핀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링의 직경은, 상기 록킹핀이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상기 제2 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 쿠션은 상기 바디에 비해 경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와 상기 록킹핀은 메탈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 쿠션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캡 록킹 장치는 래치가 스트라이커의 록킹핀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래치의 이동을 제한하여 스트라이커와 래치 사이의 마찰 소음 발생을 차단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럭의 캡 록킹 장치가 적용된 트럭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캡 록킹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트럭의 캡 록킹 장치 중 래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래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트럭의 캡 록킹 장치 중 스트라이커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트라이커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트럭의 캡 록킹 장치에서 래치에 스트라이커가 잠금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캡 록킹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트럭의 캡 록킹 장치 중 래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래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트럭의 캡 록킹 장치 중 스트라이커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트라이커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트럭의 캡 록킹 장치에서 래치에 스트라이커가 잠금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럭의 캡 록킹 장치가 적용된 트럭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캡 록킹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트럭의 캡 록킹 장치 중 래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래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트럭의 캡 록킹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의 차체에 장착되는 래치(10)와, 차체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된 캡(1)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캡(1)은 차체의 프레임(2)에 틸팅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부재로서, 엔진 등의 차량 정비 시 차체 전방으로 틸트 업하고, 정비 완료 후에는 틸트 다운하여 원 상태로 복원된다.
여기서, 캡(1)은 미도시된 틸팅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틸팅될 수 있다. 틸팅장치(미도시)는 프레임(2)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캡(1)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에 의해 직선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피스톤을 구비한다. 틸팅장치는, 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신축되면서 캡(1)을 틸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캡(1)은, 후술할 스트라이커(100)의 바디(110)와 캡(1)을 연결하는 브래킷 구조의 연결부재(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래치(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스트라이커(10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프레임(2)에 장착되는 부재이다.
래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에 구비된 유압기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신장하거나 신축하는 유압실린더(11)와, 후술할 스트라이커(100)의 록킹핀(120)을 회전운동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후크(12)와, 유압실린더(11)의 신장 또는 신축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크(12)를 회전시키는 폴(13)을 구비한다.
이러한 래치(10)는, 프레임(2)에 적어도 하나 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후크(12)를 통해 스트라이커(100)의 록킹핀(120)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함으로써 캡(1)을 차체의 프레임(2)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트럭의 캡 록킹 장치 중 스트라이커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트라이커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트럭의 캡 록킹 장치에서 래치에 스트라이커가 잠금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스트라이커(100)는 캡(1)이 틸트 업되는 경우에는 래치(10)로부터 잠금 해제되고, 틸트 다운되는 경우에는 래치(10)에 의해 잠금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캡(1)에 장착된다.
스트라이커(10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트라이커(100)는 바디(110)와, 바디(110)에 장착되는 록킹핀(120)과, 록킹핀(120)에 구비되는 완충 쿠션(1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바디(110)는 캡(1)에 장착되며, 스트라이커(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바디(110)는 캡(1)에 장착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111)와, 제1 고정 플레이트(111)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112)와, 제1 고정 플레이트(111)와 제2 고정 플레이트(112)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113)를 포함한다.
즉, 바디(110)는 제1 고정 플레이트(111)와 제2 고정 플레이트(112)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 플레이트(113)에 의해 제1 고정 플레이트(111)의 일단과 제2 고정 플레이트(112)의 일단이 연결됨으로써, 제1 고정 플레이트(111)의 타단과 제2 고정 플레이트(112)의 타단 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갖는다.
제1 고정 플레이트(111)는 후술할 록킹핀(12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천공된 제1 관통홀(111h)을 구비하고, 제2 고정 플레이트(112)는 록킹핀(120)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천공된 제2 관통홀(112h)을 구비한다.
제1 관통홀(111h)과 제2 관통홀(112h)의 내주면에는 제1 관통홀(111h)과 제2 관통홀(112h)에 삽입되는 록킹핀(12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록킹핀(120)의 외경 크기에 맞춰 이동 방지 부재(115)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 플레이트(111) 또는 제2 고정 플레이트(112) 중 어느 하나는 캡(1)에 체결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체결홀(110h)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때 제1 고정 플레이트(111) 또는 제2 고정 플레이트(112)는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캡(1)에 바디(110)의 일면(제1 고정 플레이트(111) 또는 제2 고정 플레이트(112))이 고정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플레이트(113)는 연결부재(3)에 체결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체결홀(113h)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때 연결 플레이트(113)는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연결부재(3)에 바디(110)의 타면(연결 플레이트(113))이 고정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체결홀(110h)과 제2 체결홀(113h) 내주면에는 결합부재(116)를 구비하여 캡(1) 또는 연결부재(3)와 바디(110) 체결 시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록킹핀(120)은 샤프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래치(10)가 록킹핀(120)의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바디(110)에 설치되고, 캡(1)의 틸팅 여부에 따라 래치(10)에 의해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된다.
록킹핀(120)은, 일단이 제1 고정 플레이트(111)에 의해 고정 지지되고, 타단이 제2 고정 플레이트(112)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록킹핀(120)의 일단에는 제1 관통홀(111h)에 걸림되도록 플랜지(121)가 형성된한다. 이러한 플랜지(121)는 제1 관통홀(111h)에 록킹핀(120)이 삽입된 후 록킹핀(120)이 제1 관통홀(111h)을 관통하여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록킹핀(120)의 타단에는 제2 관통홀(112h)에 오링 형상의 고정링(122)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제2 관통홀(112h)을 통과한 록킹핀(120) 타단의 외주면에 고정링(122)을 설치하여, 제2 관통홀(112h)을 관통한 록킹핀(120)의 타단을 고정링(122)을 통해 제2 고정 플레이트(112)에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링(122)은 제2 관통홀(112h)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고정링(122)이 제2 관통홀(112h)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이로 인해 록킹핀(120)의 타단이 제2 고정 플레이트(112)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완충 쿠션(130)은 래치(10)와 바디(110)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 쿠션(130)의 배치 지점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래치(10)가 결합되는 록킹핀(120)의 정위치(P, 도 6 참조)와 바디(11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완충 쿠션(130)에 의해 래치(10)와 바디(110) 사이의 간격을 유지 가능하게 한다.
즉, 완충 쿠션(130)은 래치(10)가 록킹핀(120)의 축방향(S)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록킹핀(120)에 마련됨으로써 래치(10)가 록킹핀(120)의 축방향(S)을 따라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마찰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쿠션(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정위치에서 바디(110) 측으로 갈수록 외주연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는 원추 형상을 갖는다.
완충 쿠션(130)은, 록킹핀(120)이 삽입되도록 천공되는 삽입홀(131)을 구비한다.
또한, 완충 쿠션(130)은 삽입홀(131)과 외주연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132)를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챔버(131)는 완충 쿠션(130)의 무게를 저감시킬 수 있고, 래치(10)와 록킹핀(12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작동에 따른 소음 발생 시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한편, 완충 쿠션(130)이 바디(110)의 제1 고정 플레이트(111)와 제2 고정 플레이트(112) 내측면에 위치해야 하므로, 바디(110)에 록킹핀(120) 설치 시 완충 쿠션(130)을 먼저 바디(110)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바디(110)와 완충 쿠션(130) 중 어느 하나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110p)을 구비하고, 바디(110)와 완충 쿠션(130) 중 다른 하나는 걸림홈(110p)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130p)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가 걸림홈(110p)을 구비하고, 완충 쿠션(130)이 걸림돌기(130p)를 구비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완충 쿠션(130)은 완충 쿠션(130)의 걸림돌기(130p)를 바디(110)의 걸림홈(110p)에 삽입하여 록킹핀(120)이 걸림홈(110p)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 후에 걸림돌기(130p)가 걸림홈(110p)에 결합된 상태에서 록킹핀(120)을 바디(110)에 삽입함으로써 스트라이커(10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완충 쿠션(130)은 바디(110)에 비해 경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110)와 록킹핀(120)은 메탈 소재로 형성되고, 완충 쿠션(130)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메탈 소재인 래치(10)와 록킹핀(120)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작동하는 경우 메탈 소재들 간의 접촉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록킹핀(120)에 구비되는 완충 쿠션(130)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됨으로 인해 차량 운행 중 완충 쿠션(130)을 통해 래치(10)가 록킹핀(120)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래치(10)의 이동을 제한하고, 록킹핀(120)과 래치(10)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하여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트럭의 캡 록킹 장치 중 스트라이커(100)를 조립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바디(110)와 완충 쿠션(130) 결합 시 래치(10)에 결합되는 록킹핀(120)의 정위치에서 바디(110) 측으로 갈수록 완충 쿠션(130)의 외주연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방향으로 완충 쿠션(130)을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완충 쿠션(130)에 구비된 걸림돌기(130p)를 바디(110)에 마련된 걸림홈(110p)에 삽입하여 바디(110)와 쿠션(130)을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바디(110)의 제1 관통홀(111h)과 제2 관통홀(112h)에 록킹핀(120)을 삽입하고, 록킹핀(120)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121)가 제1 관통홀(111h)에 걸림되게 한다.
마지막으로, 록킹핀(120) 타단에 고정링(122)을 장착하여 록킹핀(120)이 바디(110)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스트라이커(100) 조립을 완료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캡
2 : 프레임
10 : 래치
100 : 스트라이커
110 : 바디
111 : 제1 고정 플레이트
112 : 제2 고정 플레이트
113 : 연결 플레이트
120 : 록킹핀
121 : 플랜지
122 : 고정링
130 : 완충 쿠션
131 : 삽입홀
132 : 챔버
2 : 프레임
10 : 래치
100 : 스트라이커
110 : 바디
111 : 제1 고정 플레이트
112 : 제2 고정 플레이트
113 : 연결 플레이트
120 : 록킹핀
121 : 플랜지
122 : 고정링
130 : 완충 쿠션
131 : 삽입홀
132 : 챔버
Claims (14)
- 트럭의 차체 측 프레임에 장착되는 래치; 및
상기 프레임에 틸팅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캡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캡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캡의 틸팅 여부에 따라 상기 래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록킹핀; 및
상기 바디와 상기 래치 사이의 간격을 유지 가능하도록 상기 래치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쿠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은 상기 래치가 상기 록킹핀의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완충 쿠션은 상기 정위치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 쿠션은, 상기 정위치에서 상기 바디 측으로 갈수록 외주연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는 원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완충 쿠션은, 상기 록킹핀이 삽입되도록 천공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완충 쿠션은, 상기 삽입홀과 상기 외주연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완충 쿠션 중 어느 하나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와 상기 완충 쿠션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캡에 장착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록킹핀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천공되는 제1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록킹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천공되는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의 일단은 상기 제1 관통홀에 걸림되도록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제2 관통홀에 걸림되도록 상기 록킹핀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직경은, 상기 록킹핀이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상기 제2 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 쿠션은 상기 바디에 비해 경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록킹핀은 메탈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 쿠션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캡 록킹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032A KR20190029016A (ko) | 2017-09-11 | 2017-09-11 |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US15/804,368 US20190077467A1 (en) | 2017-09-11 | 2017-11-06 | Cab locking device of truck |
DE102017220610.1A DE102017220610A1 (de) | 2017-09-11 | 2017-11-17 |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Lkw-Fahrerhaus |
CN201711161965.9A CN109484496A (zh) | 2017-09-11 | 2017-11-20 | 货车的驾驶室锁定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032A KR20190029016A (ko) | 2017-09-11 | 2017-09-11 |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9016A true KR20190029016A (ko) | 2019-03-20 |
Family
ID=6544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6032A KR20190029016A (ko) | 2017-09-11 | 2017-09-11 |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90077467A1 (ko) |
KR (1) | KR20190029016A (ko) |
CN (1) | CN109484496A (ko) |
DE (1) | DE102017220610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051209B (en) * | 1979-06-14 | 1983-04-07 | Ford Motor Co | Latches for tilting vehicle cabs |
GB2055136B (en) * | 1979-06-14 | 1983-02-02 | Ford Motor Co | Latch mechanism |
GB2051210B (en) * | 1979-06-14 | 1983-02-09 | Ford Motor Co | Lock assembly |
JPH08198147A (ja) * | 1995-01-30 | 1996-08-06 | Hino Motors Ltd | キャブロック装置 |
IT1293661B1 (it) * | 1997-07-31 | 1999-03-08 | Roltra Morse Spa | Scontrino per una serratura di un veicolo |
CN2695325Y (zh) * | 2004-03-12 | 2005-04-27 | 胡志成 | 卡车驾驶室气动/手动卡板锁 |
US20060123619A1 (en) * | 2004-12-13 | 2006-06-15 | Lovas Nilsson Holdings Limited | Strike and method of forming same |
EP1835080B1 (en) * | 2006-03-13 | 2013-07-03 |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 Operator cab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
JP5051702B2 (ja) * | 2007-07-02 | 2012-10-17 | Udトラックス株式会社 | キャブマウント構造 |
CN201923231U (zh) * | 2010-12-29 | 2011-08-10 | 奉化市汇仁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 驾驶室翻转锁紧结构 |
ES2512245T3 (es) * | 2011-05-13 | 2014-10-23 | Iveco S.P.A. | Dispositivo de anclaje para anclar una cabina de un vehículo industrial al chasis del propio vehículo |
KR101459468B1 (ko) * | 2013-06-07 | 2014-11-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캡 리어 마운팅장치 |
EP2918758B1 (de) * | 2014-03-10 | 2017-07-19 | Rheinmetall MAN Military Vehicles Österreich GesmbH | Verriegelungsvorrichtung |
GB2525616A (en) * | 2014-04-29 | 2015-11-04 | Nissan Motor Mfg Uk Ltd | Vehicle, striker assembly and damper |
US10259559B2 (en) * | 2015-08-31 | 2019-04-16 | The Boeing Company | Remotely-activated self-centering cable latch |
CN204895621U (zh) * | 2015-09-08 | 2015-12-23 |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 一种液压锁锁销总成 |
CN206171589U (zh) * | 2016-11-10 | 2017-05-17 | 泉州创姿电子有限公司 | 一种货车驾驶室用的锁定机构 |
-
2017
- 2017-09-11 KR KR1020170116032A patent/KR2019002901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11-06 US US15/804,368 patent/US2019007746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11-17 DE DE102017220610.1A patent/DE102017220610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7-11-20 CN CN201711161965.9A patent/CN109484496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17220610A1 (de) | 2019-03-14 |
US20190077467A1 (en) | 2019-03-14 |
CN109484496A (zh) | 2019-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58225A (en) | Telescopic spring unit | |
US8491023B2 (en) | Door lock assembly | |
CN102442226B (zh) | 座椅锁闩结构 | |
JP5865521B2 (ja) | 車両シート用ロックユニット | |
EP0651957B1 (en) | Impact energy absorption mechanism for recline-locking apparatuses | |
JP2007136172A (ja) |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 |
EP0432767B1 (en) | A positioning device | |
US20030047897A1 (en) | Suspension strut with stop buffer | |
US8226168B2 (en) | Fitting | |
US6045188A (en) | Seat back lock | |
KR20190029016A (ko) | 트럭의 캡 록킹 장치 | |
CN110073070B (zh) | 具有模块化惯性锁定机构的无框门把手组件 | |
RU2633450C2 (ru) | Шаровой шарнир как узел зацепления для элемента привода системы блокировки | |
CN101057050A (zh) | 旋转式掣子闩锁 | |
JP5663738B2 (ja) | 自動車の開閉部のためのノブ | |
US10253532B2 (en) | Door handle moun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 |
US9151087B2 (en) | Vehicle door lock device | |
KR20080038892A (ko) | 차량의 후드 래치 조립체 | |
US20210140219A1 (en) | Spindle drive with integrated locking device | |
US9834971B2 (en) | Lift assist and damper arrangement | |
JP4099126B2 (ja) | 車両用ドアキーシリンダの取り付け構造 | |
CN113710548A (zh) | 具有一体式闩锁组件的主动行人发动机罩铰链 | |
JP7498652B2 (ja) | 車両用のウインドスクリーン装置 | |
KR100435863B1 (ko) | 자동차용 스트라이커 | |
KR20230054039A (ko) | 프런트 판넬 갭 자동조절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