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120A -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3120A KR20190023120A KR1020170108369A KR20170108369A KR20190023120A KR 20190023120 A KR20190023120 A KR 20190023120A KR 1020170108369 A KR1020170108369 A KR 1020170108369A KR 20170108369 A KR20170108369 A KR 20170108369A KR 20190023120 A KR20190023120 A KR 201900231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phone
- camera
- rods
- camera uni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04N5/225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는, 상이한 관경을 가지는 복수의 로드(rod)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로드가 관경의 크기 순서대로 끼움 결합되는 길이 조절부, 복수의 로드 중 최소 관경을 갖는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복수의 로드 중 최대 관경을 갖는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스마트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결합부 및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이미지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거나, 카메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마트폰으로부터 카메라부로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신호 전달부는 길이 조절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로드의 내부를 통해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의하면, 줌 아웃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리모콘 없이 셔터 버튼을 조작하는 동시에 분실 위험까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줌 아웃 효과를 구현하는 동시에 카메라 조작이 용이하고, 도난이나 분실까지 방지할 수 있는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사용해서 사진을 찍는 일이 일상화된 요즘 스마트폰 카메라의 기능이 더욱 다양해졌다. 스마트폰 카메라에 적용된 렌즈는 싱글(single)에서 듀얼(dual)로 진화했고, 고해상도를 위한 1000만 이상의 화소가 적용되는 한편 표준 렌즈, 광각 렌즈에서 어안 렌즈의 효과까지 이룰 수 있는 카메라가 스마트폰에 장착되었다. 나아가, 줌(zoom), 팬포커싱, 아웃포커싱, 화이트밸런스 조절 등 종래 DSLR 카메라에서만 구현할 수 있었던 다양한 효과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누구나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줌 기능의 경우, 줌인(zoom in)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은 적용되었지만 줌아웃(zoom out) 효과를 구현하는 기술은 적용되지 않았다. 화각이 다른 별도의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 렌즈의 스위칭으로 이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는 있겠지만, 하나의 렌즈로 줌아웃 효과를 구현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셀프 이미지(self image)를 촬영하는 경우 최대 팔 길이로 뻗어도 원하는 화각을 얻기가 쉽지 않다.
이를 위하여, 셀카봉과 같은 별도의 기구가 등장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6-0097175A(2016년08월17일 공개)는 회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셀카봉의 경우 스마트폰의 낙하 위험이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셀카봉의 말단에 고정된 스마트폰의 셔터 버튼을 누를 수 없기 때문에 카운트다운 기능을 이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6-0127339(2016년11월03일 공개)는 셀카봉 이용에 있어서 셔터 누름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셀카봉 리모콘에 관한 것이지만,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리모콘 장치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휴대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분실의 위험은 셀카봉 리모콘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자체가 갖고 있는 문제점이기도 하다. 최근 스마트폰이 고가화되면서 스마트폰의 도난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 통신사에서는 분실에 대비한 보험상품까지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폰의 사용이 일상화된 현 시점에서 상술한 카메라 사용의 문제나 도난의 위험은 조속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요구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줌 아웃 효과를 구현하고, 별도의 리모콘 없이 셔터 버튼을 조작하는 동시에 분실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는,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로서, 상이한 관경을 가지는 복수의 로드(rod)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로드가 관경의 크기 순서대로 끼움 결합되는 길이 조절부; 상기 복수의 로드 중 최소 관경을 갖는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복수의 로드 중 최대 관경을 갖는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스마트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이미지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거나,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카메라부로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길이 조절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로드의 내부를 통해 연장된다.
또한,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상기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는, 상이한 관경을 가지는 복수의 로드(rod)를 포함하고, 관경의 크기 순서대로 끼움 결합되는 길이 조절부; 상기 복수의 로드 중 최소 관경을 갖는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복수의 로드 중 최대 관경을 갖는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스마트폰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이미지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거나,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카메라부로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장신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장신구에 포함된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장신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 벗어나 상기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 알림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 방향 및 속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장신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장신구로부터 전달된 움직임 방향 및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방향으로 기설정된 속도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로 전달하여 셔터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의 상기 길이 조절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의하면, 줌 아웃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리모콘 없이 셔터 버튼을 조작하는 동시에 분실 위험까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와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와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그리고, 도난 방지용 장신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와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그리고, 도난 방지용 장신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와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1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와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100), 그리고, 도난 방지용 장신구(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는 스마트폰(100)에 장착 가능하며, 안테나와 같이 신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는 서로 다른 관경을 갖는 복수의 로드(rod)(211,212,213)로 구성된 길이 조절부(210)를 포함한다.
이때, 길이 조절부(210)를 구성하는 각 로드(rod)(211,212,213)은 관경의 크기 순서대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안테나 방식의 결합 구조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길이 조절부(210)는 가장 큰 관경을 갖는 제1 로드(211), 중간 크기의 관경을 갖는 제2 로드(212), 가장 작은 관경을 갖는 제3 로드(213)가 순서대로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제1 로드(211)에 제2 로드(212)가 끼워지고, 제2 로드(212)에 제3 로드(213)가 끼워져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한편, 각 로드가 서로 결합되는 부위에는 링형 고무 등의 마찰 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원하는 길이로 조절된 상태에서도 각 로드가 고정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해서 당업자는 종래의 다양한 안테나 구조를 적용 및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2에서는 3개의 로드(211,212,213)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더 적거나 많은 개수의 로드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3개의 로드(211,212,213)는 원통형의 길이 방향 부재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부 로드의 중간에 다양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는 힌지 혹은 틸팅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에는 하나의 로드가 두 개의 구성으로 구분되고, 두 개의 구성이 연결부(힌지부 혹은 틸팅부)에 의해서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가장 작은 관경을 갖는 제3 로드(213)의 일단, 더욱 구체적으로, 스마트폰(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말단부에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240)가 구비된다. 카메라부(240)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렌즈(lens)와 이미지 센서,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각 구성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배터리)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유선 연결을 통해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전원공급부(배터리)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카메라부(240)에는 획득된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지만, 획득된 이미지를 유선 연결을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바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메모리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카메라부(240)는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하기 위한 플래시를 구비할 수 있지만, 별도의 플래시(flash)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플래시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가장 큰 관경을 갖는 로드(211)의 일단, 더욱 구체적으로, 스마트폰(100)에 연결되는 말단부에는 카메라부(240)를 스마트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결합부(250)가 구비된다. 결합부(250)는 스마트폰(100)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마트폰(100)에 삽입되면 스마트폰(100)과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제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획득된 이미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적 연결 및 각종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유선 연결의 경우, 종래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핀케이블이나 MHL 케이블 등의 케이블 단자로 구성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100)에 별도의 연결홈이 구비되어 있어 해당 연결홈에 결합부(250)가 삽입되면서 신호 전달이 가능한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도 있다.
상술한 신호 전달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는 신호 전달부(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전달부(260)는 카메라부(240)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스마트폰(100)으로 전달하거나, 카메라부(2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예를 들어, 셔터 제어 신호, 플래시 제어 신호 등)을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카메라부(240)로 전달하기 위한 유선 연결 구조(연결선 등)로서, 길이 조절부(2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로드(211,212,213)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어, 스마트폰(100)과 카메라부(240)를 유선 연결시킨다.
스마트폰(100)은 터치스크린(110), 마이크부(120), 통신부(130), 스피커부(140), 저장부(150), 전원공급부(160) 및 컨트롤러(170)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110)은 디스플레이와 터치패널로 구성되며,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하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마이크부(120)는 소리나 음성을 인식하며, 스피커부(140)는 소리나 음성을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신부(130)는 통화를 위한 음성 통신 모듈,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넷, 와이파이(wifi) 등의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카메라부(240)에서 획득된 이미지, 동영상 등을 비롯하여 스마트폰(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의 저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160)는 상술한 각종 구성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터치스크린(110), 마이크부(120), 통신부(130), 스피커부(140) 및 저장부(150)의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가 연결되면 이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부(24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후술할 장신구(300)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100)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각 구성을 제어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100)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카메라가 멀어지는 것에 따른 줌 아웃 효과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스마트폰(100) 자체는 손에 쥔 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카운트다운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바로 셔터 버튼을 누를 수 있으며, 스마트폰(100)이 낙하해서 파손될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무선으로 연결된 장신구(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장신구(300)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될 수 있는 액세서리와 같은 구성으로, 반지, 귀고리, 목걸이, 팔찌 등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장신구(300)는 스마트폰(100)의 일부분(예: 후면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현되어, 미사용시에는 스마트폰(100)에 부착된 상태로 둘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100)의 일부분(예: 후면 케이스)에 장신구(300)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신구(300)가 반지 형태로 구현된다면 스마트폰(100)의 후면 케이스에 반지 형상의 장신구(300)가 끼워질 수 있는 링 형상의 홈과 반지 형상의 장신구(3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장신구(300)는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340) 및 스마트폰(100)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31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00)은 장신구(300)의 저장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고유 식별 정보가 스마트폰(100)의 사용자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장신구(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100) 및 장신구(300) 사이의 거리(L)는 한정된다. 아울러, 무선 통신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면 무선 통신이 가능한 거리(L)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장신구(300)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 벗어나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스마트폰(100)은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시각적 알림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스피커부(140)를 통해 청각적 알림 메세지를 표시한다.
이를 통해, 장신구(300)를 신체에 착용하고 있으면 스마트폰(100)이 멀어지는 순간 스마트폰(100)에서 시각적 알림 메세지(예: 디스플레이의 깜빡임)나 청각적 알림 메세지(예: 비프음)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스마트폰(1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시스템에 의하면 분실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장신구(300)의 조작을 통해 스마트폰(100)의 셔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장신구(300)는 움직임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320) 및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320) 및 가속도 센서(330)를 통해 장신구(300)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 신호는 통신부(310)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전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더욱 정밀한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9축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9축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기 때문에, x,y,z축 방향의 더욱 정밀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100)은 장신구(300)로부터 수신된 움직임 방향 및 속도가 기설정된 방향 및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셔터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결합부(250) 및 신호 전달부(260)를 통해 카메라부(240)로 전달되어 셔터가 동작한다.
도 5의 실시예는 삼각대(T)를 이용해서 스마트폰(100)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00)을 삼각대(T)에 거치하여 세워둔 상태에서 로드(211,212,213)의 길이를 조절해서 화각을 조절한 뒤 사용자 손목에 팔찌 형상의 장신구(300)를 착용하고 손을 소정 속도로 흔들면 셔터가 동작하여 이미지 획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장신구(300)의 조작을 통해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장신구(300)는, 도 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움직임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320) 및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320) 및 가속도 센서(330)를 통해 장신구(300)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 신호는 통신부(310)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전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더욱 정밀한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9축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9축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기 때문에, x,y,z축 방향의 더욱 정밀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100)은 장신구(300)로부터 수신된 움직임 방향 및 속도가 기설정된 방향 및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의 길이 조절부(210)를 구성하는 각 로드(211,212,21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길이 조절부(210)는 각 로드(211,212,213)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270)는 별도로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또는 스마트폰(10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되며, 각 로드(211,212,213)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예를 들어, 레일이나 벨트 등)과 연결된다. 모터부(270)의 구동에 의한 회전력에 의하여 제1 로드(213) 안으로 제2 로드(212)가 삽입되고, 제2 로드(212) 안으로 제1 로드(213)가 삽입되어 길이가 축소되거나, 제1 로드(213)로부터 제2 로드(212)가 배출되고, 제2 로드(212)로부터 제3 로드(213)가 배출되어 길이가 확장될 수 있다. 다만, 위의 설명은 다단 안테나형 길이 조절부(210)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계적 장치의 일례일 뿐이고 공지된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의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여 길이 조절부(210)의 길이 조절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100)은 장신구(300)로부터 수신된 움직임 방향 및 속도가 기설정된 방향 및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셔터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결합부(250) 및 신호 전달부(260)를 통해 카메라부(240)로 전달되고, 이에 기초하여 모터부(270)가 동작함으로써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때, 사용자는 손목에 착용된 장신구(300)를 한번 흔드는 것으로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의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고, 다시 한번 흔드는 것으로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의 길이를 정지시키며, 다시 한번 흔드는 것으로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의 길이를 축소시키는 방식으로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의 길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100)의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된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고, 스마트폰(100)의 베젤(bezel) 부위에 형성된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동 방식은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조절될 수 있고, 어떤 특정 구동 방식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도 5 및 6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시스템에 의하면 별도의 리모콘 없이도 카메라 셔터를 조작하거나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폰
110: 터치스크린
120: 마이크부 130: 통신부
140: 스피커부 150: 저장부
160: 전원공급부 170: 컨트롤러
200: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210: 길이 조절부 211,212,213: 제1 내지 제3 로드
240: 카메라부 250: 결합부
260: 신호 전달부 270: 모터부
300: 장신구 310: 통신부
320: 자이로 센서 330: 가속도 센서
340: 저장부
120: 마이크부 130: 통신부
140: 스피커부 150: 저장부
160: 전원공급부 170: 컨트롤러
200: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210: 길이 조절부 211,212,213: 제1 내지 제3 로드
240: 카메라부 250: 결합부
260: 신호 전달부 270: 모터부
300: 장신구 310: 통신부
320: 자이로 센서 330: 가속도 센서
340: 저장부
Claims (4)
-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로서,
상이한 관경을 가지는 복수의 로드(rod)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로드가 관경의 크기 순서대로 끼움 결합되는 길이 조절부;
상기 복수의 로드 중 최소 관경을 갖는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복수의 로드 중 최대 관경을 갖는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스마트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이미지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거나,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카메라부로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길이 조절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로드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상기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는,
상이한 관경을 가지는 복수의 로드(rod)를 포함하고, 관경의 크기 순서대로 끼움 결합되는 길이 조절부;
상기 복수의 로드 중 최소 관경을 갖는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복수의 로드 중 최대 관경을 갖는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스마트폰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이미지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거나,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카메라부로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 제2항에 있어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장신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장신구에 포함된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장신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 벗어나 상기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 알림 메세지를 출력하는 스마트폰. - 제2항에 있어서,
움직임 방향 및 속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장신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장신구로부터 전달된 움직임 방향 및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방향으로 기설정된 속도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로 전달하여 셔터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의 상기 길이 조절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369A KR20190023120A (ko) | 2017-08-28 | 2017-08-28 |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369A KR20190023120A (ko) | 2017-08-28 | 2017-08-28 |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3120A true KR20190023120A (ko) | 2019-03-08 |
Family
ID=6580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8369A KR20190023120A (ko) | 2017-08-28 | 2017-08-28 |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23120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86908A (zh) * | 2019-04-25 | 2019-08-02 |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 终端设备 |
CN110581339A (zh) * | 2019-08-26 | 2019-12-17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 |
CN111629130A (zh) * | 2020-04-21 | 2020-09-04 |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 壳体及升降摄像模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7175A (ko) | 2016-08-02 | 2016-08-17 | (주)성박 | 회전 셀카봉 |
KR20160127339A (ko) | 2016-10-24 | 2016-11-03 | 그린파워전자(주) | 셀카봉 리모콘 |
-
2017
- 2017-08-28 KR KR1020170108369A patent/KR20190023120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7175A (ko) | 2016-08-02 | 2016-08-17 | (주)성박 | 회전 셀카봉 |
KR20160127339A (ko) | 2016-10-24 | 2016-11-03 | 그린파워전자(주) | 셀카봉 리모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86908A (zh) * | 2019-04-25 | 2019-08-02 |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 终端设备 |
CN110581339A (zh) * | 2019-08-26 | 2019-12-17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 |
CN110581339B (zh) * | 2019-08-26 | 2022-01-0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 |
CN111629130A (zh) * | 2020-04-21 | 2020-09-04 |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 壳体及升降摄像模组 |
CN111629130B (zh) * | 2020-04-21 | 2021-09-17 |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 壳体及升降摄像模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61243B2 (en) | Attachable smartphone camera | |
US9007431B1 (en) | Enabling the integration of a three hundred and sixty degree panoramic camera within a consumer device case | |
US20150248772A1 (en) | Imaging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ser surroundings | |
KR20190023120A (ko) | 다단 안테나형 스마트폰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 |
CN104243810A (zh) | 摄像装置、摄影条件设定方法 | |
US20100039493A1 (en) | Mobile video headset | |
US8941759B2 (en) | Interchangeable lens and digital camera including controller for stopping zoom lens at one of discrete predetermined stop positions | |
US10331083B1 (en) | Watch band with optical sensor | |
JP2015186020A (ja) | 表示機器、撮影機器及び表示方法 | |
KR20140048764A (ko) | 파노라마 카메라 | |
US20150304574A1 (en) | Imaging apparatus, camera unit, display unit, image-taking method, display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n | |
JP2018152787A (ja) | 撮像装置、外部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2412591B1 (ko) | 다른 노출값을 갖는 복수의 영상들을 이용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JP6642982B2 (ja) |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
KR20140129936A (ko)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 |
US20120086817A1 (en) | Digital camera | |
KR101855790B1 (ko) | 전방위 카메라용 제어 워치 | |
US20220311920A1 (en) | Image pickup apparatus | |
KR101633865B1 (ko) | 스마트폰용 셀프 카메라 촬영장치 | |
US1207514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 trail camera with modular Fresnel lenses | |
US20200135139A1 (en) | Display system, device, program, and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 |
JP2010177898A (ja) |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 |
KR101833767B1 (ko) | 손목 시계형 카메라 | |
US20060103740A1 (en) | Small CCD camera and parameter setting controller | |
KR20160106298A (ko) |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