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338A - 가압용 마스크 및 가압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가압용 마스크 및 가압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8338A KR20190018338A KR1020170103196A KR20170103196A KR20190018338A KR 20190018338 A KR20190018338 A KR 20190018338A KR 1020170103196 A KR1020170103196 A KR 1020170103196A KR 20170103196 A KR20170103196 A KR 20170103196A KR 20190018338 A KR20190018338 A KR 201900183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tab
- mask
- blocking member
- current blocking
- top cap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81 dep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M2/0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23K26/22—Spot w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 H01M2/26—
-
- H01M2/34—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9—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조립체의 결합을 보조하는 가압용 마스크로서, 전극 탭이 삽입되는 만입부가 형성된 가압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극 탭이 삽입되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압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에 전극조립체의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극 탭이 삽입되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압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에 전극조립체의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압용 마스크 및 가압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으로 인하여 최근 그 개발 및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차전지의 기본적인 구성은 양극, 음극 및 분리막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조립체와, 이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이다.
이차전지의 형상적 특징, 예를 들어 전극조립체가 원통형으로 권취된 형상이고, 금속의 원통형 캔에 수납된 경우에는 원통형 이차전지라 지칭될 수 있으며, 그 형태가 각형일 때, 각형 이차전지로 지칭될 수 있다. 예외적으로,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의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수납된 장방형의 이차전지를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지칭하기도 한다.
이중 원통형 이차전지는 앞서 설명한대로 원통형 캔과, 원통형 캔 내부에 수납되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되, 원통형 캔 상부에 결합되는 탑 캡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탑 캡 어셈블리는 원통형 캔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어 밀봉하는 부재일 뿐만 아니라, 전극조립체의 전극 탭과 연결되어 그 자체로 전극 단자의 기능을 가지는 부재이다.
이와 관련하여, 탭 캡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의 결합 과정을 형태적으로 표현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탑 캡 어셈블리(1)는 전류차단부재(Current Interrupt Device; 30)와, 전류차단부재(30)의 상부에 연결되고, 전류차단부재(30) 허용전압 이상 전압 발생 시 파단되기 위한 복수 개의 노치가 형성되어 전지 내부의 가스를 배출하는 안전벤트(20), 이 안전벤트(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외측으로 상향 돌출된 전극단자인 탑 캡(10), 및 전류차단부재(30)의 외주면과 안전벤트(10)와 탑 캡을 감싸며 밀봉하는 가스켓들(40)을 포함한다.
위 구조에서, 전류차단부재(30)와 전극조립체(50)의 전극 탭(55)에 용접으로 접합되어 탑 캡 어셈블리(1)와 전극조립체(50)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 탭(55)과 전류차단부재(30)의 용접 간에, 도 2에서와 같은 가압용 마스크(70)를 이용하여, 전극 탭과 전류차단부재(30)를 함께 가압 및 고정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다만, 전류차단부재(30)의 중심부는 유사 시, 안전벤트(20)와 함께, 부재(30) 본체로부터 탈리되는 부위여서, 전극 탭이 전류차단부재(30)의 중심으로부터 편향된 위치에서 용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방법 하에서는 마스크(70)가 전류차단부재(30)의 중심에서 벗어난 편향된 위치에서 가압해야 하며, 결과적으로 탑 캡 어셈블리(1) 전반에는 비대칭적인 압력이 인가되고, 이 때문에 탑 캡 어셈블리(1)의 비대칭 변형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탑 캡 어셈블리(1)가 복수의 부품들이 결합된 형태인 바, 위와 같은 비대칭적인 압력의 인가는 상기 부품들이 어긋나거나 분리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스크(70)가 전류차단부재(30) 상에 위치한 전극 탭(55)을 가압하고, 그 압력이 전류차단부재(30)를 거쳐 탑 캡 어셈블리(1)에 간접적으로 인가되므로, 실제 접합이 수행되는 전류차단부재(30)는 공고히 고정되기 어렵고, 특히 전극 탭(55)에 밀착된 부위에 압력이 집중되면서, 국부적 변형이 수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류차단부재와 전극 탭을 함께 가압하되, 탑 캡 어셈블리의 전반에 걸쳐 균일한 압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신규한 구조의 가압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압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전류차단부재와 전극 탭을 안정적으로 용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용 마스크는,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조립체의 결합을 보조하는 가압용 마스크로서,
평면상으로 원형을 이루는 외주를 가지는 형태이고, 그것의 원심을 기준으로 편향된 위치에서 전극 탭의 노출을 위한 용접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접구 주변부에 전극 탭이 삽입되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가압용 마스크에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만입부에 삽입된 전극 탭에도 직접적인 압력이 인가되며, 만입부를 제외한 부위도 전류차단부재에 밀착되면서, 상기 전류차단부재에도 직접적인 압력이 인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마스크, 즉, 전극 탭에는 직접적인 압력을 인가하되 전류차단부재에는 전극 탭을 통한 간접적인 압력을 인가하는 그것 구조 대비, 전류차단부재의 공고한 고정과 변형 방지가 가능하여, 종래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만입부의 깊이는, 전극 탭의 두께 대비 99 % 내지 101%이고; 상기 만입부의 폭이 전극 탭의 폭 대비 99 % 내지 101%일 수 있다.
이러한 만입부 깊이와 폭의 범위는, 전극 탭의 가압 시 탭이 약간 연장되거나 압축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전극 탭의 소재에 따라 소망하는 크기로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만입부의 깊이가 위 범위의 최소 값 미만이라면, 전극 탭이 만입부 이상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므로 전류차단부재의 직접적 가압이 어려울 수 있고, 반대로 위 범위의 최대 값을 초과한다면, 전극 탭은 가압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상은 만입부의 폭의 경우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만입부는 상기 외주로부터 용접구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 1 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면의 타면인 제 2 면에서 전극 탭이 용접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가압용 마스크는, 만입부에 전극 탭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면이 탑 캡 어셈블리의 전류차단부재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면에서 제 1 면 방향으로 가압될 때, 전류차단부재와 전극 탭을 함께 가압시켜 전류차단부재와 전극 탭 간 용접을 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전극 탭의 표면을 통해 레이저 용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편향된 위치는, 원심과 외주 사이를 이루는 반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 부위이고;
상기 용접구는 평면상의 무게 중심이 상기 중간 부위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천공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가압용 마스크의 원심과 전류차단부재의 원심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전극 탭과 전류차단부재를 가압하더라도 용접구가 편향되게 위치하므로, 전극 탭은 전류차단부재의 원심에 대해 편향된 위치에서 접합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대로, 전류차단부재의 중심부가 유사 시 안전벤트와 함께 탈리되는 부위여서 전극 탭이 용접되기 부적절한 부위이고, 이에 따라 전극 탭이 전류차단부재의 중심으로부터 편향된 위치에서 용접되어야 함에 기인한다.
상기 용접구는 평면상으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곡선을 포함하는 비정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상의 예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압용 마스크의 소재는, 전기절연성이고 소정의 탄성이 있는 소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천연이나 합성 고무,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등의 고분자 플라스틱일 수 있으나, 이로서 가압용 마스크의 소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탑 캡 어셈블리에 전극조립체의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상기 탑 캡 어셈블리의 전류차단부재에 전극 탭을 밀착 시키는 과정;
상기 전극 탭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용접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압 마스크로 상기 전류 차단부재를 가압하는 과정; 및
상기 용접구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전극 탭에 용접을 수행하여 전극 탭과 전류차단부재를 접합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마스크가 전류차단부재의 70% 내지 90%의 면적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마스크는, 전극 탭이 삽입되는 만입부가 용접구 주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탭이 만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것의 일부가 용접구를 통해 노출되고 나머지 부위가 마스크의 만입부에 의해 전류차단부재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가압용 마스크에 의해 전극 탭과 전류차단부재가 함께 그리고 동시에 가압될 수 있으며, 특히, 마스크가 전류차단부재의 70% 내지 90%의 면적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바, 전류차단부재의 대부분으로 압력이 분산되어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으로 인한 전류차단부재의 국부적 변형이 예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탑 캡 어셈블리의 전반에 걸쳐서 균일하게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가 만입부에 의해 가압되는 전극 탭을 경유하여 전류차단부재를 추가로 가압하므로, 실질적으로 용접구를 포함하는 마스크 전체에 걸쳐서 가압이 수행되어 상술한 압력의 분산이 더욱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류차단부재와 마스크는 평면상으로 원형을 이루는 외주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전류차단부재와 마스크의 원심들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서 마스크가 전류차단부재를 가압할 수 있고, 상기 용접구는 마스크의 원심을 기준으로 편향된 위치에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평면상으로, 전류차단부재와 가압용 마스크의 원심을 지나는 어떠한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분할된 양 부위에서 형성되는 압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원심으로부터 외주를 향하는 모든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압력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 하에서는, 비대칭적인 압력의 인가로 인한 탑 캡 어셈블리의 비대칭 변형, 탑 캡 어셈블리의 부품들이 어긋나거나 분리되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용접은, 레이저 용접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압용 마스크는 전극 탭이 삽입될 수 있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 가압 시, 전극 탭에도 직접적인 압력이 인가되며, 만입부를 제외한 부위에서도 전류차단부재에 밀착되면서, 직접적인 압력이 인가될 수 있는 구조적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가압용 마스크에 의해 전극 탭과 전류차단부재가 함께 그리고 동시에 가압될 수 있으며, 특히, 마스크가 전류차단부재의 70% 내지 90%의 면적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바, 전류차단부재의 대부분으로 압력이 분산되어 가압될 수 있다.
또한, 평면상으로, 전류차단부재와 가압용 마스크의 원심을 지나는 어떠한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분할된 양 부위에서 형성되는 압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원심으로부터 외주를 향하는 모든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압력이 분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 하에서는, 비대칭적인 압력의 인가로 인한 탑 캡 어셈블리의 비대칭 변형, 탑 캡 어셈블리의 부품들이 어긋나거나 분리되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탑 캡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로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하는 과정의 형태적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용 마스크의 양면을 도시한 모식도들(a, b)이다;
도 4는 도 3에서 수직선 A-A'를 기준으로 하는 가압용 마스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하는 형태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로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하는 과정의 형태적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용 마스크의 양면을 도시한 모식도들(a, b)이다;
도 4는 도 3에서 수직선 A-A'를 기준으로 하는 가압용 마스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하는 형태에 대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기재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기재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기재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기재가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용 마스크의 양 면을 각각 도시한 평면 모식도들(a, b)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수직선(A-A')에 대한 가압용 마스크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가압용 마스크(100)는 평면상으로 원형을 이루는 외주를 가지는 형태이다.
가압용 마스크(100)는 또한, 원심(c)을 기준으로 편향된 위치에서 전극 탭(140)의 노출을 위한 용접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편향된 위치란 원심(c)과 외주 사이를 이루는 반경(t)의 중간 부위를 의미하며, 용접구(120)는 평면상의 무게 중심이 상기 중간 부위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천공되어 있다.
가압용 마스크(100)는 또한, 용접구(120) 주변부에 전극 탭(140)이 삽입되는 만입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만입부(110)는 외주로부터 용접구(120)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 1 면(101)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면(101)의 타면인 제 2 면(102)에서 전극 탭(140)이 용접구(1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용 마스크(100)는, 만입부(110)에 전극 탭(140)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면(101)이 탑 캡 어셈블리(도 6의 300)의 전류차단부재(도 6의 310)에 접할 수 있으며, 제 2 면(102)에서 제 1 면(101) 방향으로 가압될 때, 전류차단부재(도 6의 310)와 전극 탭(140)을 함께 가압시켜 전류차단부재(도 6의 310)와 전극 탭(140) 간 용접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용접구(120)를 통해서 전극 탭(140)이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전극 탭(140)의 표면을 통해 레이저 용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가압용 마스크(100)는 전극 탭(140)이 삽입될 수 있는 만입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바, 가압 시, 전극 탭(140)에도 직접적인 압력이 인가되며, 만입부(110)를 제외한 부위에서도 전류차단부재(310)에 밀착되면서, 직접적인 압력이 인가될 수 있는 구조적 이점을 가진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가압용 마스크(100)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300)의 전류차단부재(310)와 전극 탭(140)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형태에 대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3 내지 도 4에 따른 가압용 마스크(100)의 구조 설명을 이하의 설명에 합체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6를 함께 참조하면, 과정(210)에서, 탑 캡 어셈블리(300)의 전류차단부재(310)에 전극 탭(140)을 밀착 시킨다. 그 후, 과정(220)에서 전류차단부재(310)의 원심(도시하지 않음)과 가압용 마스크(100)의 원심(c)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가압용 마스크(100)를 전류차단부재(310)에 밀착시키며, 이때, 가압용 마스크(1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만입부(110)에 전극 탭(140)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전극 탭(140)이 만입부(1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용 마스크(100)로 전류차단부재(310)를 가압하며, 이후 과정(230)에서 가압용 마스크(100)의 용접구(120)를 통해 노출되는 전극 탭(140)에 레이저 용접을 수행한다.
도 6에서와 같이, 마스크(100)가 전류차단부재(310) 면적의 대략 80%의 면적을 가지고, 전류차단부재(310)에 면대 면으로 밀착되므로, 전류차단부재(310)의 대부분을 가압할 수 있으며, 그에 수반되는 압력이 전류차단부재(310) 전반으로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전류차단부재(310)와 마스크(100)는 평면상으로 원형을 이루는 외주를 가지므로, 전류차단부재(310)와 마스크(100)의 원심들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서 마스크(100)가 전류차단부재(310)를 가압하는 본 발명에서는, 전류차단부재(310)와 가압용 마스크(100)의 원심(c)을 지나는 어떠한 가상의 축, 예를 들어, 도 3의 A-A' 또는 도 6의 B-B'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분할된 양 부위에서 형성되는 압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원심(c)으로부터 외주를 향하는 모든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압력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 하에서는, 비대칭적인 압력의 인가로 인한 탑 캡 어셈블리(300)의 비대칭 변형, 탑 캡 어셈블리(300)의 부품들이 어긋나거나 분리되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3)
-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조립체의 결합을 보조하는 가압용 마스크로서,
평면상으로 원형을 이루는 외주를 가지는 형태이고, 그것의 원심을 기준으로 편향된 위치에서 전극 탭의 노출을 위한 용접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접구 주변부에 전극 탭이 삽입되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압용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의 깊이는, 전극 탭의 두께 대비 99 % 내지 101%이고;
상기 만입부의 폭이 전극 탭의 폭 대비 99 % 내지 101%인 가압용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만입부가 상기 외주로부터 용접구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 1 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면의 타면인 제 2 면에서 전극 탭이 용접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가압용 마스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에 전극 탭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면이 탑 캡 어셈블리의 전류차단부재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면에서 제 1 면 방향으로 가압될 때, 전류차단부재와 전극 탭을 함께 가압시켜 전류차단부재와 전극 탭 간 용접을 보조하도록 구성된 가압용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된 위치는, 원심과 외주 사이를 이루는 반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 부위이고;
상기 용접구는 평면상의 무게 중심이 상기 중간 부위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천공되어 있는 가압용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구는 평면상으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곡선을 포함하는 비정형의 형상을 가지는 가압용 마스크.
- 탑 캡 어셈블리에 전극조립체의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탑 캡 어셈블리의 전류차단부재에 전극 탭을 밀착 시키는 과정;
상기 전극 탭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용접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압용 마스크로 상기 전류 차단부재를 가압하는 과정; 및
상기 용접구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전극 탭에 용접을 수행하여 전극 탭과 전류차단부재를 접합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마스크가 전류차단부재의 70% 내지 90%의 면적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전극 탭이 삽입되는 만입부가 용접구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이 만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것의 일부가 용접구를 통해 노출되고 나머지 부위가 마스크의 만입부에 의해 전류차단부재 방향으로 가압되는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가 만입부에 의해 가압되는 전극 탭을 경유하여 전류차단부재를 추가로 가압하는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차단부재와 마스크는 평면상으로 원형을 이루는 외주를 가지는 형태인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전류차단부재와 마스크의 원심들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서 마스크가 전류차단부재를 가압하는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구는 마스크의 원심을 기준으로 편향된 위치에서 형성되어 있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3196A KR102345403B1 (ko) | 2017-08-14 | 2017-08-14 | 가압용 마스크 및 가압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 |
US16/340,987 US11623303B2 (en) | 2017-08-14 | 2018-08-13 | Pressurizing mask and method for joining top cap assembly and electrode tab by using pressurizing mask |
EP18846535.5A EP3518309B1 (en) | 2017-08-14 | 2018-08-13 | Pressurizing mask and method for joining top cap assembly and electrode tab by using pressurizing mask |
CN201880004157.8A CN109906520B (zh) | 2017-08-14 | 2018-08-13 | 施压掩模以及使用施压掩模将顶盖组件与电极接片结合的方法 |
PCT/KR2018/009279 WO2019035620A1 (ko) | 2017-08-14 | 2018-08-13 | 가압용 마스크 및 가압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3196A KR102345403B1 (ko) | 2017-08-14 | 2017-08-14 | 가압용 마스크 및 가압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8338A true KR20190018338A (ko) | 2019-02-22 |
KR102345403B1 KR102345403B1 (ko) | 2021-12-29 |
Family
ID=6536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3196A KR102345403B1 (ko) | 2017-08-14 | 2017-08-14 | 가압용 마스크 및 가압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623303B2 (ko) |
EP (1) | EP3518309B1 (ko) |
KR (1) | KR102345403B1 (ko) |
CN (1) | CN109906520B (ko) |
WO (1) | WO2019035620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2900A (ko) * | 1998-12-28 | 2000-07-15 | 김순택 | 리튬 이차전지 |
KR20130040576A (ko) * | 2011-10-14 | 2013-04-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20150051518A (ko) * | 2013-11-04 | 2015-05-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류차단부재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
KR20160103848A (ko) * | 2015-02-25 | 2016-09-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20170081449A (ko) * | 2016-01-04 | 2017-07-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87118B2 (ja) | 1992-06-12 | 2003-03-17 | ソニー株式会社 | 密閉型電池 |
JP2595201Y2 (ja) * | 1993-04-09 | 1999-05-24 |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 スパイラル形電池 |
JP2001148240A (ja) | 1999-11-22 | 2001-05-29 | Nec Corp |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7659029B2 (en) * | 2004-10-26 | 2010-02-09 | Nissan Motor Co., Ltd. | Battery module with insulating plates nipping electrode tabs |
JP4997819B2 (ja) * | 2006-04-28 | 2012-08-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池モジュール |
CN2936531Y (zh) * | 2006-08-11 | 2007-08-22 | 深圳市比克电池有限公司 | 用于焊接锂离子电池极耳与盖组件的超声波焊接装置 |
CN101192656B (zh) * | 2006-11-25 | 2010-07-21 | 深圳市比克电池有限公司 | 一种电池制造方法 |
KR100882916B1 (ko) | 2007-08-27 | 2009-02-1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KR100947989B1 (ko) | 2007-11-06 | 2010-03-1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JP2009266714A (ja) | 2008-04-28 | 2009-11-12 | Komatsulite Mfg Co Ltd | 安全装置 |
KR100966549B1 (ko) | 2008-10-14 | 2010-06-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 |
US9017860B2 (en) * | 2009-02-26 | 2015-04-28 | Samsung Sdi Co., Ltd. | Cylinder type secondary battery |
CN201838638U (zh) * | 2010-05-20 | 2011-05-18 | 深圳市比克电池有限公司 | 一种电池盖帽组合及圆柱形二次电池 |
US8614017B2 (en) * | 2010-10-27 | 2013-12-24 | Medtronic, Inc. | Electrochemical cell with electrode elements that include alignment aperatures |
CN103650199B (zh) * | 2011-07-13 | 2016-03-02 | 株式会社Lg化学 | 圆筒形二次电池 |
JP5979147B2 (ja) * | 2011-07-20 | 2016-08-24 | 株式会社Gsユアサ | 円筒形電池 |
KR101446161B1 (ko) * | 2011-08-17 | 2014-10-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
KR20130034284A (ko) * | 2011-09-28 | 2013-04-05 | (주)아이비티 | 전류차단소자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
CN104885259B (zh) * | 2012-12-19 | 2017-09-15 | 三洋电机株式会社 | 圆筒形二次电池以及其制造方法 |
EP3514856B1 (en) * | 2014-08-14 | 2022-03-02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
CN205177894U (zh) * | 2015-11-25 | 2016-04-20 |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 锂离子电池盖帽超焊底模 |
WO2018030679A1 (en) * | 2016-08-11 | 2018-02-15 | Shin Heung Energy & Electronic Co.,Ltd. | Cap assembly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rting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2017
- 2017-08-14 KR KR1020170103196A patent/KR1023454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8-13 CN CN201880004157.8A patent/CN109906520B/zh active Active
- 2018-08-13 US US16/340,987 patent/US11623303B2/en active Active
- 2018-08-13 EP EP18846535.5A patent/EP3518309B1/en active Active
- 2018-08-13 WO PCT/KR2018/009279 patent/WO2019035620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2900A (ko) * | 1998-12-28 | 2000-07-15 | 김순택 | 리튬 이차전지 |
KR20130040576A (ko) * | 2011-10-14 | 2013-04-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20150051518A (ko) * | 2013-11-04 | 2015-05-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류차단부재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
KR20160103848A (ko) * | 2015-02-25 | 2016-09-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20170081449A (ko) * | 2016-01-04 | 2017-07-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623303B2 (en) | 2023-04-11 |
EP3518309B1 (en) | 2023-07-26 |
CN109906520B (zh) | 2021-05-28 |
KR102345403B1 (ko) | 2021-12-29 |
EP3518309A1 (en) | 2019-07-31 |
EP3518309A4 (en) | 2020-01-15 |
WO2019035620A1 (ko) | 2019-02-21 |
US20190291207A1 (en) | 2019-09-26 |
CN109906520A (zh) | 2019-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28598B2 (en) | Sealed-type cell | |
WO2014033906A1 (ja) | 角形二次電池 | |
KR102704695B1 (ko) | 이차 전지 | |
EP3264490B1 (en) |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 |
JP7293563B2 (ja) | 二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 |
US20220255183A1 (en) | Secondary battery | |
JP4984340B2 (ja) | 電池の製造方法 | |
US9761860B2 (en)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econdary battery | |
JP2001250517A (ja) | 電 池 | |
JPH11260334A (ja) | 密閉型電池用防爆封口板ならびに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密閉型電池 | |
KR102047542B1 (ko) | 캡조립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캡조립체 | |
CN107305936A (zh) | 二次电池 | |
KR20190018338A (ko) | 가압용 마스크 및 가압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 | |
US20230056045A1 (en) | Cap Assembly,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 |
JPH1131491A (ja) | 密閉型電池用防爆封口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230106936A (ko) | 이차 전지 | |
CN116368681A (zh) | 二次电池 | |
KR102314627B1 (ko) | 이차전지 | |
JP6690578B2 (ja) | 蓄電装置 | |
JP2015122192A (ja) | 仮封止用治具及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 |
JP5879373B2 (ja) | 角形二次電池 | |
KR100484114B1 (ko) | 안전장치를 구비한 이차전지 | |
KR102389468B1 (ko) | 절연 테이프 | |
JPH1131490A (ja) | 防爆型密閉電池 | |
JPH10162799A (ja) | 電池用防爆封口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