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980A - Portable sound equipment - Google Patents
Portable sound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4980A KR20190014980A KR1020170099187A KR20170099187A KR20190014980A KR 20190014980 A KR20190014980 A KR 20190014980A KR 1020170099187 A KR1020170099187 A KR 1020170099187A KR 20170099187 A KR20170099187 A KR 20170099187A KR 20190014980 A KR20190014980 A KR 201900149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 shaft
- bobbin
- rotation
- c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a terminal vi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A sound device refers to a sound device that receives a sound signal from a terminal and transmits the soun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terminal. Conventionally, a wired method has been used in which a terminal is connected to an earphone jack of a terminal to receive an acoustic signal. However, in view of mobility and ease of use, the deman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type portable acoustic device is increasing.
휴대용 음향기기는 음향출력부를 구비하며 음악재생, 전화통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기지국과 연결하여 전화를 통화하거나, 직접 외부 서버와 접속하여 음향데이터를 구할 수 있으며, 다른 단말기와 연결하여 페어링을 통해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ortable sound device includes an audio output unit and can perform music playback, telephone conversation,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make a telephone call by connecting to the base station itself or directly to an external server to obtain sound data and to perform the function through connection with another terminal.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Portable audio equipment having a design considering portability such as a headphone type in which a user puts his / her head into a band shape so as to be portable to the user's body, an ear-type type and an ear-type type are being developed.
특히, 사용자의 몸에 휴대(또는 거치)하는 타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경우,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경량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of the type that is carried (or stowed) in the body of a user,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reduce the weight.
또한, 디자인적인 요소를 고려하면, 휴대용 음향기기의 구성요소들이 최대한 컴팩트한 형태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design factors, the components of the portable audio equipment need to be made as compact as possible.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로서, 회전모듈에서 회전부가 회전하더라도 구성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coustical instrument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a terminal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wherei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can be well maintained And to provide a portable sound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회전모듈에 구비되는 부품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which can minimize the number of components provided in a rotary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주요 구성 중 하나인 회전모듈을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capable of compactly manufacturing a rotary module, which is one of major components,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이어버드 홀더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버드;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된 음향케이블; 상기 본체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기판; 및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회전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의 고정부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부는,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이 감기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보빈; 상기 오목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측단부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외측단부는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스프링; 및 상기 음향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보빈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전극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연결전극과 접촉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A body including an ear bud holder; An ear bud detachably attached to the ear bud holder and outputting sound; An acoustic cable extending from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earbud; A main board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rotation module including a fixing part fixed to the main body and a rotation part rotating and winding or loosening the sound cable, wherein the fixing part of the rotation module comprises: a shaft; And a pair of connection electrodes formed on the shaf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wherein the rotary part of the rotation module includes: a bobbin including a concave part that rotates about the shaft and into which the acoustic cable is wound; A spring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cess and having an inner end connected to the shaft and an outer end connected to the bobbin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bobbin; And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connected to the acoustic cable and protruding inwardly of the bobbin and contacting the pair of connection electrodes, respectively, wherein the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Thereby providing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electrode.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연결전극 및 제2연결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제1연결전극에 접촉하는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2연결전극에 접촉하는 제2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connection electrode includes a first connection electrode and a second connection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ntacting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1연결전극과 상기 제2연결전극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절연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on ring fastened to the shaf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상기 샤프트는 제1 비금속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연결전극, 제2 비금속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연결전극; 및 제3 비금속부 순서로 적층된 원기둥형상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haft includes a first non-metallic portion, a first connecting electrode including a metal material, a second non-metallic portion, the second connecting electrode including a metal material, And a third nonmetal portion may be stacked in this order.
상기 제1 비금속부는 내부가 채워진 솔리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비금속부는 내부가 빈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연결전극과 상기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non-metal portion may include a solid portion filled with an inner portion, and the third non-metal portion may include a hollow portion having an inner hollow portion and a connection cable connecting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main board through the hollow portion.
상기 솔리드부는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케이블은 상기 회전모듈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메인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olid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hollow portion, and the connection cable may exten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module and be connected to the main board.
상기 샤프트는 비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비금속 재질의 샤프트 둘레에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하고,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기판과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haft may include a non-metallic material,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may include a connection cable formed by coating a conductive material around the shaft of the non-metallic material, and connecting the shaft to the main board through the shaft.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인입된 요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electrode may include a groove reces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상기 접속단자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terminal may include an elastic brush made of a metal having elasticity.
상기 탄성 브러쉬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가 상기 연결전극에 접할 수 있다. The elastic brush may include at least one bent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may contact the connection electrode.
상기 절곡부는 상기 탄성 브러쉬의 자유단부가 상기 연결전극을 향하도록 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연결전극에 접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nd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bending portion for allowing the free end of the elastic brush to face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contacting the connection electrode.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보빈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전극과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연결전극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를 구비한 포고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terminal may include a pogo pin having an elastic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bobbin and applying a force to the connection electrode to maintain a connected state with the connection electrode.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음향케이블에 연결되는 일 단부가 상기 보빈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보빈에 고정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the acoustic cable, may be fixed to the bobbin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bobbin.
사용자가 상기 음향케이블을 잡아당기면 상기 회전부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음향케이블을 놓으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고정하며, 사용자가 상기 음향케이블을 짧게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상기 회전부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을 상기 보빈에 감도록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user pulls the acoustic cable, the rotary unit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when the acoustic cable is laid, the rotation of the rotary unit is fixed. When the user pulls the acoustic cable briefly and releases the rotary unit, And a rotation guide unit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to wind the acoustic cable to the bobbin.
상기 회전가이드부는 상기 보빈의 상부 또는 상기 보빈의 하부에 위치하고, 연속적으로 이어진 요홈을 포함하는 볼트랙; 상기 볼트랙과 대면하며 형성되며 상기 회전모듈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볼슬롯; 및 상기 볼트랙과 상기 볼슬롯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볼트랙 및 상기 볼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랙 또는 상기 볼 슬롯 중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할 수 있다. The rotation guide portion includes a ball track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bbin or a lower portion of the bobbin and including a continuous groove; A ball slot formed to face the ball track and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module; And a ball interposed between the ball track and the ball slot and moving along the ball track and the ball slot, wherein one of the ball track or the ball slot is fixed and the other is rotatable.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을 커버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bracket covering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rotary portion, the shaft may be coupled to the bracket, and the bracket may be fixed to the body.
상기 본체는 상용자의 목에 착용하는 C자 형태의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본체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body includes a C-shaped elastic band to be worn on the neck of the user, and the rotation module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모듈에서 회전부가 회전하더라도 구성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tructures can be well maintained even if the rotating portion rotates in the rotating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모듈에 구비되는 부품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that can minimize the number of parts provided in the rotary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 구성 중 하나인 회전모듈을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which can compactly manufacture a rotary module, which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and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밴드와 하우징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회전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및 도 8은 회전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볼트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볼이 볼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direc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band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method of the elastic band and the housing of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tation module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nd 8 are sectional views of the rotary module.
9 is a view showing a ball track of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n aspect in which the ball of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along the ball trac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과 관련한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구성들의 설명 편의를 위해 도 2를 함께 참조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제어부(380), 무선통신부(385), 음향출력부(340), 센싱부(375), 마이크(360), 사용자 입력부(370) 및 전원공급부(390)를 포함한다. The portable
음향출력부(340)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버드(340)가 있다. 상기 이어버드(340)에는 도시되지 않은 음향출력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The
마이크(3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385)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된다. 마이크(3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센싱부(375)는 휴대용 음향기기(3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는 장치로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휴대용 음향기기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이어버드(ear bud)(340)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어버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통화 버튼(372),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373), 전원 버튼(371) 및 음향케이블(340)을 하우징(320)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버튼(375)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The
사용자 입력부(370)의 개수는 통화 버튼(372), 한 쌍의 음량조절 버튼(373)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외에 play/stop 버튼, 곡순서 변경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직접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버튼의 개수가 많으면 각 버튼의 기능을 구분하기 힘들어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가능한 제어명령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The number of the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분실 위험이 적으나, 통상의 단말기는 분실하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 입력부(370)는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2개의 사용자 입력부(370)를 동시에 일정시간 누르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단말기의 알람을 울려 잃어버린 단말기를 찾을 수 있다. Since the
또한, 블루투스로 연결된 외부 단말기의 음성녹음 기능을 활성화하여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마이크(360)를 통해 수집된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ice recording func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connected via Bluetooth can be activated to store the voice collected through the
종래에는 단순히 통화와 관련된 기능 또는 사운드 미디어의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 휴대용 음향기기로 제어 가능했으나,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그 제어범위가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In the related art, only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call or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playback of the sound media can be controlled by the portable sound device. However, the portable soun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panded control range.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본체는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의 곡선을 형성한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사용자의 목 뒤에 거치되는 탄성밴드(310)의 양 단에는 전장부를 형성하는 하우징(320)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은 기능을 위주로 구분한 구성이므로, 경우에 따라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의 구분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겹치는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At both ends of the
탄성밴드(310)는 탄성을 가져 힘을 가하면 소정 범위내에서 변형되고 힘이 제거되면 원래 모양으로 복귀된다. 양 단의 각 하우징(320) 사이의 거리가 목을 통과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탄성밴드(310)의 탄성을 이용하여 각 하우징(320)을 벌려서 목에 거치하거나 거치를 해제할 수 있다.The
탄성밴드(310)의 형상 및 길이는 사용자의 목에 거치시 이물감을 최소화 하기 위한 형태로 결정된다. 일 예로, 탄성밴드(310)는 휘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면과 두께를 갖는 꼬여진 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꼬여진 테이프 형상의 탄성밴드(310)의 경우 탄성밴드(310)의 내측면이 목의 배면에 되고 외측면이 배면을 향한다.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이 이어지는 부분은 꼬여져 각 하우징(320)은 외측면이 사용자의 전면 또는 상면을 향하고 내측면이 사용자의 후면 또는 쇄골부분에 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hape and length of the
하우징(320)은 탄성밴드(310)의 양단에 결합하여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C자형 곡선의 양 단부에 위치한다. 내부와 외부에 메인기판(381), 무선통신부(385), 배터리(391) 회전모듈(350)과 같은 각종 부품이 삽입된다. The
C자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음향기기(300)에 구비된 센싱부(375)는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부(375)는 탄성밴드(310)에 구비되어 탄성밴드(310)의 곡률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변위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착용시 양 단의 하우징(320)을 벌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므로,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사용하려는 것을 판단하고,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The C-shaped portable
사용자가 착용한 것인지 휴대 중에 벌어진 것인지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변위센서에서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크게 변화한 이후의 곡률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제1 크기로 크게 변화하고 이후 곡률이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거치한 상태보다 완만한 제2 크기의 곡률로 고정된 경우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사용자가 목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urvature after the change of the curvature of the
상기 변위센서 이외에 사용자가 착용시 목과 닿는 착용면에 온도감지 센서, 광센서 또는 심박센서와 같은 센서를 구비하여 온도가 사람의 체온 범위이거나 밝기가 어두워지고, 심박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무선통신부(385)를 활성화 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displacement sensor, a sensor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light sensor, or a heart sensor is provided on a wear surface of the wearer when the wearer worn the wearer's body, so that the temperature is in a person's body temperature range or brightness is darkened. The power of the portable audio-
또는 물리적 방식으로 눌러지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하면 돌출된 스위치가 눌려서 ON신호를 생성하고 소정시간 이상 스위치 ON상태가 유지되면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Or a switch that is pressed in a physical manner so that the protruding switch is pressed to generate an ON signal when the user wears the switch. When the switch ON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상기 센싱부(375)와 스위치는 복수 개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값을 조합하여 착용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전술한 탄성밴드(310)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하우징(320)은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를 포함하며,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에 메인기판(381), 무선통신부(385), 배터리(391), 마이크(360) 및 회전모듈(350) 등이 실장된다. The
하우징(320)은 폴리머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며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과 같은 강도가 있는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금속이나, 유리, 가죽 등의 이형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하우징(320)은 강성이 있는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재질로 형성하여 내부 부품을 보호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우징(3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할 수 있다. 하우징(3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체감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이 모두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The
신체에 착용하는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땀과 같은 수분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방수기능을 부가하면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의 틈을 커버하는 리브를 형성하거나 방수부재를 개재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별도의 방수부재를 개재하지 않더라도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가 밀착될 수 있다. Since the
본 발명의 하우징(320)의 내부에 실장되는 메인기판(381)은 무선통신부(385), 마이크(360) 등이 실장되며, 배터리(391), 사용자 입력부(370), 음향출력부(340) 등과 연결된다. 하우징(320)에 실장되는 부품은 양측의 하우징(320)에 대칭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고, 비대칭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측의 하우징(320)에만 구비된 부품을 탄성밴드(310)에 실장된 신호선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부(385)가 일측의 하우징(320)에 구비된 경우 무선통신부(385)가 수신한 음향신호를 신호선을 이용하여 양측의 이어버드(340)에 전달할 수 있다.The
무선통신부(385)는 메인기판(381)에 실장되거나, 하우징(320)의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패턴(386)를 포함 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 및 음향신호를 수신하거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사용자 입력부(370)나 마이크(360)를 통해 입력받은 제어명령 및 음향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 The
하우징(320)에는 전원을 ON/OFF하는 전원버튼(371), 재생하거나 통화를 위한 버튼(372), 음향을 조절하는 방향키(373)등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방향키는 재생곡의 이전곡 또는 이후 곡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버튼은 물리적으로 가압되는 돔 키(dome key)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정전용량 변화로 감지하는 터치 키(touch key)를 이용할 수도 있다. The
터치키의 경우 위치가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320) 표면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터치키가 하우징(320)의 표면에 구현된 경우, 하우징(320)의 표면에 터치키가 구현된 부분에 LED를 이용하여 터치키 위치 및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touch key is not limited, and the surface of the
이어버드(340)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소리를 전달하며, 이어버드(340)는 음향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기판(381)과 연결된다. 음향출력 모듈(미도시)는 이어버드(340)에서 소리를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은 진동판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The
메인기판(381)은 이어버드(340)를 제어하여 음향신호에 따라 소리가 출력되게 제어한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탄성밴드(310)의 분해사시도로서, 탄성밴드(310)는 형상기억합금(311), 피복부(312, 313) 및 연결부(315)를 포함한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형상기억합금(311)은 변형되더라도 특정 형상으로 복원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힘을 가해 본체를 벌리는 경우 탄성밴드(310)가 변형되더라도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온다. 따라서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형상 변형 또는 손상을 막아준다.The
탄성밴드(310)는 형상기억합금(311)을 감싸는 피복부(312, 313) 를 더 포함하며, 피복부(312, 313) 는 형상이 가변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을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열로 녹여 제작 가능하고, 경화되면 내유성 내마모성이 있고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다. The
상기 탄성밴드(310)의 양단에 위치하는 하우징(320)과 결합하기 위해 체결 구조를 갖는 연결부(31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결부(315)는 하우징(320)과 중첩되도록 피복부(312, 313) 에서 좌우로 연장된 형태를 띠며 부분적으로 피복부(312, 313) 가 감싸는 형태로 결합한다. 즉, 형상기억합금(311)과 연결부(315)에 이중사출 방식으로 피복부를 형성한다. And a
형상기억합금(311)의 위치를 연결부(315)에 정확히 배치하고 양측의 하우징(320)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을 고정하기 위해 형상기억합금(311)과 신호선을 커버하는 제2 피복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피복부(312)의 양 단부를 상기 한 쌍의 연결부(315)와 결합한다. 그 이후 연결부(315)와 제2 피복부(312) 및 형상기억합금(311)을 커버하는 제1 피복부(313)를 이중사출 방식으로 형성하여 착용시 쉽게 변형되면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밴드(310)를 제공할 수 있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피복부(312)의 양단에 형상기억합금(311, 도 4참조)이 노출되며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형상기억합금(311, 도 4참조)의 양 단부를 갈고리 형상으로 꺾어서 연결부(315)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15)는 복수개의 홀이 있어, 하우징(320)과 체결된다. 5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method of the
연결부(315)의 적어도 일 영역은 하우징(320)에 의해 감싸져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1) 및 하부 케이스(322, 324)는 연결부(315)의 적어도 일 영역 중 일면 및 타면을 각각 커버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1)는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탄성밴드(310)의 연결부(315)와 결합하는 부분부터 본체의 양 단부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부재를 이용하고, 하부 케이스(322, 32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15)를 감싸는 제1 하부 케이스(322)와 부품이 실장되는 제2 하부 케이스(324)로 구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area of the
상부 케이스(321) 또는 하부 케이스(322, 324) 중 하나와 연결부(315)는 상기 연결부(315)에 형성된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부 케이스(321) 또는 하부 케이스(322, 324)에 체결되는 스크류(316)를 통해 결합하고, 스크류(316)의 헤드 부분이 노출된 부분은 반대편 케이스가 결합하여 커버하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One of the
연결부(315)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공간 확보 및 경량화를 위해서는 짧게 형성하여 최소한의 개수로 스크류(316)를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의 체결력이 약해 탄성밴드(310)에 반복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연결부(315)를 충분히 연장하여 최대한 많은 스크류(316)를 이용하여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회전모듈(350)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및 도 8은 회전모듈(350)의 단면도이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회전모듈(350)은 하우징(3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실장되며, 회전하면서 음향케이블을 둘레에 감아 하우징(320, 도 3참조) 내부로 음향케이블을 수납하고, 이어버드(340, 도 2참조)가 이어버드 홀더(도 2참조)에 체결된다. 회전모듈(350)은 하우징(320)에 고정된 고정부(350a)와 상기 고정부(350a)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부(350b)로 구성된다. 고정부(350a)는 회전모듈(350)의 외관에 위치하는 브라켓(3501, 35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고정부(350a)는 회전모듈(350)의 회전 중심 축이 되는 샤프트(351)를 포함하고, 회전부(350b)는 음향케이블이 감기는 원통형상의 보빈(353)을 포함한다. 보빈(353)은 음향케이블이 감기는 공간을 위해 중심방향으로 인입된 오목부(353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보빈(353)의 내부에 태엽스프링(355)을 구비하여 회전모듈(350)의 회전을 구동하는 힘을 제공하고, 태엽스프링(355)은 나선형으로 감긴 판스프링의 일종으로 가운데가 샤프트(351)에 고정되고 외측이 회전부(350b)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음향케이블을 당기면 보빈(353)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태엽스프링(355)의 감김수가 감소하여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갖게 되고, 음향케이블을 놓으면 태엽스프링(355)이 상기 복원력에 의해 보빈(353)이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보빈(353)에 음향케이블이 감기며 하우징 내부로 수납된다. A
태엽스프링(355)의 탄성에 의해 회전부(350b)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어하는 회전가이드(3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가이드(356)는 사용자가 음향케이블(345)을 당김으로 인해 회전부(350b)가 제1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것은 방해하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가 음향케이블을 놓으면 회전가이드(356)는 음향케이블(345)이 인출된 상태에서 하우징(320) 내부로 수납되지 않도록 회전부(350b)의 제2 방향의 회전을 막아 회전부(350b)를 고정하고, 음향케이블(345)을 다시 당겼다 놓으면 고정이 풀려 태엽스프링(355)의 탄성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음향케이블(345)이 수납되도록 한다.And a
상기 보빈(353)은 상부에 상기 태엽스프링(355)을 수납하는 공간을 포함하고, 하부에 상기 음향케이블(345)가 감기는 오목부(3531)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가 상기 태엽스프링 보다 상부에 위치하면 회전력을 제공하는 부재가 음향케이블이 바닥부터 차곡하게 감길 수 있어 음향케이블(345)이 보빈에 감기다가 엉키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The
회전부(350b)가 회전하더라도 음향케이블(345)은 하우징(320)에 실장된 메인기판(381)과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샤프트(351)에는 상기 음향케이블(345)을 상기 메인기판(38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3511, 351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단자(3511, 3512)는 상기 샤프트(351)의 일부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Even if the
샤프트(351)는 비금속 재질을 포함하며, 연결전극(3511. 3512)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며 샤프트(351)가 비금속재질로 이루어져 한 쌍의 연결전극(3511, 3512) 사이에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샤프트(351)는 제1 비금속부, 제1 연결전극(3511), 제2 비금속부, 제2 연결전극(3512) 및 제3 비금속부 형태의 층상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비금속부는 연결전극(3511¸3512) 사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The
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샤프트(351)의 표면에 금속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으로 연결전극(3511, 3512)을 형성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모듈(350)은 상기 접속단자(3511, 3512)와 상기 음향케이블(345)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접속단자(3521, 35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3521, 3522)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3521, 3522)의 일단부는 납땜 등을 통해 상기 음향 케이블(345)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접속단자(3511, 3512)에 접할 수 있다. 상기 보빈(353)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탄성 브러쉬(352)에 의해 상기 음향케이블(345)과 상기 접속단자(3511, 3512) 사이에 단락 없이 전기적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접속단자(3521, 3522) 샤프트를 향하는 방향 바닥면에 평향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탄성을 가진다. 접속단자(3521, 3522)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고핀 형태를 이용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을 이용한 클립형태를 이용할 수도 있다. The
상기 접속단자(3521, 3522)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3521', 3521", 3522', 352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3521', 3521", 3522', 3522")가 상기 접속단자(3511, 3512)에 접할 수 있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부(3521', 3521", 3522', 3522")는 상기 접속단자(3521, 3522)의 자유단부가 상기 접속단자(3511, 3512)를 향하도록 하는 제1절곡부(3521', 3522') 및 상기 접속단자(3511, 3512)에 접하는 제2절곡부(3521", 3522")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상기 접속단자(3521, 3522)의 끝단이 아닌, 상기 제2절곡부(3521", 3522")가 상기 접속단자(3511, 2512)에 접함에 따라서, 접속단자(3521, 3522)와 접속단자(3511, 3512) 사이에 양호한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As the second
상기 접속단자(3521, 35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성분을 포함하고 부드러운 소재의 탄성 브러쉬를 이용할 수도 있고, 포고핀, C클립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절곡부를 포함하는 클립 형태의 접속단자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a clip-type connecting terminal including a bent portion.
상기 접속단자(3511, 3512)는 상기 샤프트(35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접속단자(3511) 및 제2접속단자(3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3521, 3522)는 상기 제1접속단자(3511)에 연결되는 제1접속단자(3521) 및 상기 제2접속단자(3512)에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35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제1접속단자(3511)는 상기 제2접속단자(3512)보다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단자(3521)는 상기 음향케이블(345)에 연결되는 일 단부가 상기 보빈(353)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보빈(35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단자(3522)는 상기 음향케이블(345)에 연결되는 일 단부가 상기 보빈(353)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보빈(353)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제1접속단자(3521)와 상기 제2접속단자(3522)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interference between the
한편, 상기 제1접속단자(3521)와 상기 제2접속단자(3522)가 동일한 접속단자에 연결되거나 서로 접하게 되면, 쇼트가 발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상기 회전모듈(350)은 상기 제1접속단자(3511)와 상기 제2접속단자(3512)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351)에 체결되는 절연 링(35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링(3515)은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링(3515)에 의해 상기 제1접속단자(3511)와 상기 제2접속단자(3512) 사이의 간섭 및 쇼트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The
상기 제1 접속단자(3521)과 상기 제2 접속단자(35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단자(3521)과 상기 제2 접속단자(3522)가 서로 부딪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한된 공간 내에서 최대한 이격시키기 위함이다. The
또한, 상기 회전모듈(350)이 회전하면 상기 제1 접속단자(3521)과 상기 제2 접속단자(3522)의 제2 절곡부(3521", 3522")가 상기 제1 접속단자(3511)와 상기 제2 접속단자(3512)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상기 제1 접속단자(3511)와 상기 제2 접속단자(3512)는 상기 샤프트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351)의 외주면과 상기 제1 접속단자(3511) 및 상기 제2 접속단자(3512)사이의 단차 때문에 상기 제2 절곡부(3521", 3522")는 상기 제1 접속단자(3511)와 상기 제2 접속단자(3512)와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상기 메인기판(381)과 상기 접속단자(3511, 3512)는 연결케이블(38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케이블(383)의 일단이 상기 메인기판(381)에 납땜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케이블(383)이 타단이 상기 접속단자(3511, 3512)에 납땜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단자(3511, 3512) 및 상기 연결케이블(383)을 통하여, 상기 음향케이블(345)과 상기 메인기판(38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보빈(353)이 회전될 때, 상기 연결케이블(383)이 상기 보빈(353)과 간섭하면 상기 연결케이블(383)과 상기 접속단자(3511, 3512) 사이의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351)는 길이방향 일 단부가 개방된 중공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케이블(383)의 일 단부는 상기 샤프트(351)의 개방된 일 단부(예를 들어,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단 또는 하단)을 통해 상기 샤프트(351)의 내측에서 상기 접속단자(3511, 351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케이블(383)의 일 단부는 상기 샤프트(351)의 개방된 일 단부를 통해 상기 샤프트(351)의 내측으로 안내되고, 상기 샤프트(351)의 내측에서 상기 샤프트(351)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접속단자(3511, 3512)에 납땜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다만 샤프트(351)는 회전모듈의 회전시 축으로서 회전모듈(350)의 회전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바, 강성이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중공축 형태인 경우 강성이 저하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51)는 접속단자(3511, 3512)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부분(도면상 상부. 351a)만 중공형태를 두고 나머지 부분(도면상 하부, 351b)은 내부가 채워진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샤프트(351)의 상부는 중공부(351a) 하부는 솔리드부(351b)로 이루어진다.However, the
본 발명의 탄성 브러시(3521, 3522)는 보빈(353)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접속단자(3511, 3512)도 하부에 위치한다. 연결케이블(383)와 접속단자(3511, 3512)의 연결을 샤프트(351)의 하부를 통해 하는 경우 샤프트(351)의 내부에 빈 공간이 늘어나 샤프트(351)의 강성이 저하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듈(350)의 상부에서 연결케이블(383)이 연장될 수 있다. Since the
회전가이드(35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듈(350)의 상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듈(350)의 하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The
회전가이드(356)는 고정부(350a)와 회전부(350b) 중 일측에 위치하며 볼트랙(357)과 타측에 위치하는 볼슬롯(359)을 포함하고, 도 7의 실시예는 볼슬롯(359)이 회전부(350b)에 위치하고 볼트랙(357)이 고정부(350a)에 위치하는 형태이고, 도 8은 볼슬롯(359)이 고정부(350a)에 위치하고 볼트랙(357)이 회전부(350b)에 위치하는 형태이다. 상기 볼트랙(357)과 볼슬롯(359) 사이에 배치되는 볼(358)을 포함한다. 볼트랙(357)과 볼슬롯(359)은 상기 볼(358)이 볼트랙(357)과 볼슬롯(35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볼(358)의 형상에 상응하여 오목하게 인입된 함몰부를 포함한다. The
볼슬롯(359)은 회전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볼(358)이 볼슬롯(359)을 따라서만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볼트랙(357)은 원형의 트랙을 포함한다. 볼슬롯(359)이 회전하면 볼트랙(357)이 고정되고 볼(358)이 볼트랙(357)을 따라 회전하고, 볼(358)의 볼트랙(357) 상의 위치에 따라 볼슬롯(359)을 따라 이동한다. 볼(358)은 회전하는 볼트랙(357)의 궤적을 따라 상대 변위를 하되 고정된 볼슬롯(359)의 경로에 종속되어 볼슬롯(359)이 형성된 방향의 성분에 대해서만 이동한다.The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볼트랙(357)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볼(358)이 볼트랙(357)을 따라 이동하는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볼트랙(357)이 회전부(350b)에 위치하고 볼슬롯(359)이 고정부(350a)에 위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볼트랙(357)이 회전하므로 볼(358)은 회전부(350b)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트랙(357)을 따라 이동한다. Figs. 10 and 11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the
볼트랙(357)은 원형의 제1 트랙(3571)과 제2 트랙(3572) 및 제1 트랙(3571)과 제2 트랙(3572) 사이에 형성된 연결트랙(3573)과 고정트랙(3574)을 포함한다. 제1 트랙(3571)과 제2 트랙(3572)은 직경이 상이하고, 제1 트랙(3571) 및 제2 트랙(3572)은 트랙의 깊이가 변화(경사)한다. 걸림부(3571a, 3572a)는 제1 트랙(3571) 및 제2 트랙(3572)의 깊이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단차가 형성한다.The
도 10는 음향케이블(345)이 보빈(353)에 감기는 상황에서 볼(358)과 볼트랙(357) 및 볼슬롯(359)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트랙(3571)은 볼(358)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볼트랙(357)이 제2 방향으로 회전) 계속 제1 트랙(3571)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도 9의 (a) (b)), 볼(358)이 제2 방향으로 회전(볼트랙(357)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3571a)에 걸려 연결트랙(3573)을 따라 제2 트랙(3572)으로 이동한다(도 9의 (c), (d), (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도 11은 음향케이블이 고정되고 고정이 풀리는 상황에서 볼(358)과 볼트랙(357) 및 볼슬롯(359)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트랙(3572)은 제1 트랙(3571)과 반대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제2 방향으로 볼(358)이 회전하는 경우 제2 트랙(3572)을 따라 회전한다. 그러나, 도 11의 (a)및 (b)와 같이 음향케이블(345)을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태엽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볼트랙(357)이 제2 방향으로 회전 볼(358)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볼(358)은 제2 트랙(3572)의 걸림부(3572a)에 결려 고정트랙(3574)으로 이동한다. 11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고정트랙(3574)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3574a)과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부분(3574b)으로 구성되어 꺽어진 형상을 가지고, 제1 부분(3574a)과 제2 부분(3574b)이 연결된 모서리 부분(3574c)에서 멈추어 볼(358)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지한다. The fixed
사용자가 다시 음향케이블을 당기면 볼(358)은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제2 부분(3574b)을 따라 제1 트랙(3571)으로 이동한다. (도 11의 (c), (d))When the user again pulls the acoustic cable, the
사용자가 음향케이블을 짧게 당겼다가 다시 놓으면 제1 트랙(3571)에서 제1 방향으로 계속 볼(358)이 회전하면서 음향케이블이 보빈(353)에 감기고(도 10의 (a), (b)) 사용자가 음향케이블(345)을 길게 당기는 경우 제1 트랙(3571)에서 연결트랙(3573)을 따라 제2 트랙(3572)으로 이동하여 볼(358)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음향케이블은 계속 인출된다(도 10의 (c), (d), (e)). When the user shortly pulls and re-releases the acoustic cable, the acoustic cable is wound on the bobbin 353 (Figs. 10A and 10B) as the
즉, 음향케이블을 인출할 때 회전부(350b)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볼(358)은 제2 트랙(3572)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음향케이블을 수납할 때 회전부(350b)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볼(358)은 제1 트랙(3571)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볼(358)은 제1 트랙(3571)에 있을 때 볼슬롯(359)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2 트랙(3572)에 있을 때 볼슬롯(359)의 외측에 위치하며, 고정트랙(3574) 또는 연결트랙(3573)에 위치하는 경우 볼슬롯(359)의 가운데에 위치한다. That is, when the audio cable is drawn out, the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모듈에서 회전부가 회전하더라도 구성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tructures can be well maintained even if the rotating portion rotates in the rotating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모듈에 구비되는 부품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that can minimize the number of parts provided in the rotary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 구성 중 하나인 회전모듈을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which can compactly manufacture a rotary module, which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and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y way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00: 휴대용 음향기기
310: 탄성밴드
31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312: 제2 피복부
313: 제1 피복부
315: 연결부
317: 체결홀
318: 신호선홀
319: 신호선 수용부
320: 하우징
321: 상부 케이스
322: 제1 하부 케이스
324: 제2 하부 케이스
325: 이어버드 홀더
340: 이어버드
345: 음향케이블
350: 회전모듈
360: 마이크
370: 사용자 입력부
375: 센싱부
380: 제어부
381: 메인기판
382: 신호선
385: 무선통신부
390: 전원공급부
391: 배터리
350a: 고정부
350b: 회전부
351: 샤프트
353: 보빈
355: 태엽스프링
357: 볼트랙
3571: 제1 트랙
3572: 제2 트랙
3573: 연결트랙
3574: 고정트랙
358: 볼
359: 볼슬롯300: portable sound device 310: elastic band
311: shape memory alloy wire 312: second covering portion
313: first covering portion 315: connection portion
317: fastening hole 318: signal line hole
319: Signal line receiving part 320: Housing
321: upper case 322: first lower case
324: second lower case 325: ear bud holder
340: Earbud 345: Acoustic cable
350: rotation module 360: microphone
370: user input unit 375: sensing unit
380: control unit 381: main substrate
382: Signal line 385:
390: power supply unit 391: battery
350a: Fixing
351: shaft 353: bobbin
355: spring-loaded spring 357: ball track
3571: first track 3572: second track
3573: Connection Track 3574: Fixed Track
358: Ball 359: Ball Slot
Claims (15)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버드;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된 음향케이블;
상기 본체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기판; 및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회전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의 고정부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부는,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이 감기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보빈;
상기 오목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측단부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외측단부는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스프링; 및
상기 음향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보빈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전극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연결전극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A body including an ear bud holder;
An ear bud detachably attached to the ear bud holder and outputting sound;
An acoustic cable extending from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earbud;
A main board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And
And a rotation module including a fixed portion fixed to the main body and a rotation portion rotating and unwinding or loosening the audio cable,
The fixing part of the rotation module includes:
shaft; And
And a pair of connection electrodes formed on the shaf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The rotary part of the rotary module,
A bobbin including a concave portion that rotates about the shaft and into which the acoustic cable is wound;
A spring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cess and having an inner end connected to the shaft and an outer end connected to the bobbin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bobbin; And
And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connected to the acoustic cable and projecting inward of the bobbin and contacting the pair of connection electrodes,
And the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are in contact with the pair of connection electrodes in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연결전극 및 제2연결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제1연결전극에 접촉하는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2연결전극에 접촉하는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electrode includes a first connection electrode and a second connection electrode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ntacting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ontacting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1연결전극과 상기 제2연결전극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절연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otation module further comprises an insulation ring fastened to the shaf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상기 샤프트는
제1 비금속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연결전극, 제2 비금속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연결전극; 및 제3 비금속부 순서로 적층된 원기둥형상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haft
The first connecting electrode including a metal material, the second nonmetal portion, the second connecting electrode including a metal material; And a third nonmetal portion in the form of a columnar structure stacked in this order.
상기 제1 비금속부는 내부가 채워진 솔리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비금속부는 내부가 빈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연결전극과 상기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non-metallic portion includes a solid portion filled with the inside, the third non-metallic portion includes an empty hollow portion inside,
And a connection cable connecting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main board through the hollow portion.
상기 솔리드부는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케이블은 상기 회전모듈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메인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olid portion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cable extends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module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상기 샤프트는 비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비금속 재질의 샤프트 둘레에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하고,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기판과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ft comprises a non-metallic material,
Wherein the connection electrode includes a connection cable formed by coating a conductive material around the shaft of the non-metallic material, and connecting the shaft to the main board through the shaft.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인입된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a groove reces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상기 접속단자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가 상기 연결전극에 접하는 탄성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t least one bent portion, wherein the bent portion includes an elastic brush contacting the connection electrode.
상기 절곡부는 상기 탄성 브러쉬의 자유단부가 상기 연결전극을 향하도록 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연결전극에 접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ending portion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for allowing the free end of the elastic brush to face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contacting the connection electrode.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보빈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전극과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연결전극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를 구비한 포고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pogo pin having an elastic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bobbin and applying a force to the connection electrode so as to maintain a connection state with the connection electrode.
사용자가 상기 음향케이블을 잡아당기면 상기 회전부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음향케이블을 놓으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고정하며, 사용자가 상기 음향케이블을 짧게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상기 회전부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을 상기 보빈에 감도록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user pulls the acoustic cable, the rotary unit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when the acoustic cable is laid, the rotation of the rotary unit is fixed. When the user pulls the acoustic cable briefly and releases the rotary unit, And a rotation guide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so that the acoustic cable is wound around the bobbin.
상기 회전가이드부는
상기 보빈의 상부 또는 상기 보빈의 하부에 위치하고,
연속적으로 이어진 요홈을 포함하는 볼트랙;
상기 볼트랙과 대면하며 형성되며 상기 회전모듈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볼슬롯; 및
상기 볼트랙과 상기 볼슬롯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볼트랙 및 상기 볼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랙 또는 상기 볼 슬롯 중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otation guide portion
A bobbin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bbin or a lower portion of the bobbin,
A ball track comprising successively connected grooves;
A ball slot formed to face the ball track and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module; And
And a ball interposed between the ball track and the ball slot to move along the ball track and the ball slot,
Wherein one of the ball track or the ball slot is fixed and the other is rotated.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한면을 커버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bracket covering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rotation portion,
The shaft is coupled to the bracket,
And the bracket is fixed to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상용자의 목에 착용하는 C자 형태의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본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C-shaped elastic band to be worn on the neck of a user, and the rotation module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9187A KR20190014980A (en) | 2017-08-04 | 2017-08-04 | Portable sound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9187A KR20190014980A (en) | 2017-08-04 | 2017-08-04 | Portable sound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4980A true KR20190014980A (en) | 2019-02-13 |
Family
ID=6536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9187A KR20190014980A (en) | 2017-08-04 | 2017-08-04 | Portable sound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14980A (en) |
-
2017
- 2017-08-04 KR KR1020170099187A patent/KR20190014980A/en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5337B1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US9918155B2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101805535B1 (en)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
KR101687623B1 (en) | Wireless sound equipment | |
US9131309B2 (en) |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 |
US10306351B2 (en) | Portable sound device | |
KR101763600B1 (en) | Wireless sound equipment | |
KR20170136293A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101943329B1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102302328B1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US10244305B2 (en) | Portable sound device | |
KR101758285B1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101759947B1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20160048452A (en) | Sound EQUIPMENT | |
KR20190014980A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20190014979A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20190016843A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20190022138A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20190019546A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20190016845A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20190014978A (en) | Rotation module and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20190016844A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20180024235A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20190022137A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20190069755A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