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337U -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 Google Patents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0337U KR20190000337U KR2020170003942U KR20170003942U KR20190000337U KR 20190000337 U KR20190000337 U KR 20190000337U KR 2020170003942 U KR2020170003942 U KR 2020170003942U KR 20170003942 U KR20170003942 U KR 20170003942U KR 20190000337 U KR20190000337 U KR 2019000033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ffuser
- housing
- bottom housing
- sliding door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다수의 방향용 통공이 형성되는 바텀 하우징; 상기 바텀 하우징의 배면 일측에 결합되며, 차량의 일측에 거치되는 스탠드; 상기 바텀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바텀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하우징;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마련되며, 단말기에 대한 거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의 금속 부분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실리콘 자석 캡; 및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디퓨저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바텀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바텀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간편하게 거치하기 위한 본연의 거치 기능 외에도 필요에 따라 방향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을 다변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거치될 수 있는 전자 제품으로서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등이 있다. 특히, 내비게이션의 경우에는 매립형도 있으나 거치형도 널리 보급되는 추세에 있으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기능이 점점 진화되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음악이나 동영상 감상, 혹은 내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하려는 예가 많다.
특히, 운행 시 스마트폰을 내비게이션 기능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그에 적합한 차량용 거치대가 필요하며, 그래야만 스마트폰이 흔들리거나 떨어지지 않고 제자리에 잘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차량용 거치대에 대한 여러 제품들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제품들의 경우,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구조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 예컨대, 향기를 발산시키는 방향 기능이 갖춰진 예는 아직 없다.
따라서 만약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의 거치 기능 외에 방향 기능이 갖춰진다면 하나의 제품으로 여러 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간편하게 거치하기 위한 본연의 거치 기능 외에도 필요에 따라 방향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을 다변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면에 다수의 방향용 통공이 형성되는 바텀 하우징; 상기 바텀 하우징의 배면 일측에 결합되며, 차량의 일측에 거치되는 스탠드; 상기 바텀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바텀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하우징;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마련되며, 단말기에 대한 거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의 금속 부분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실리콘 자석 캡; 및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디퓨저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바텀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바텀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바텀 하우징의 배면 일측에는 손가락이 배치되는 손가락 배치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가락 배치홈부 내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일측을 형성하되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조작을 위한 도어 조작용 플랜지가 배치되며, 상기 도어 조작용 플랜지에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내면에 배치되는 고체형 디퓨저이며, 상기 고체형 디퓨저는 디퓨저 지지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고체형 디퓨저가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를 형성하는 손잡이용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상기 바텀 하우징의 배면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용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 결합용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삼발이식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는 액체형 디퓨저이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내면에는 상기 액체형 디퓨저가 충전되는 디퓨저 포켓이 마련되며, 상기 디퓨저 포켓의 개구에는 다수의 통기공을 구비하는 마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간편하게 거치하기 위한 본연의 거치 기능 외에도 필요에 따라 방향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을 다변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의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업(up) 동작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부분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부분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업(up) 동작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부분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부분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의 이미지, 도 2는 도 1의 정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업(up) 동작된 상태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배면도, 도 6은 도 2의 정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3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간편하게 거치하기 위한 본연의 거치 기능 외에도 필요에 따라 방향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을 다변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100)는 바텀 하우징(110), 스탠드(120), 프론트 하우징(130), 실리콘 자석 캡(140), 그리고 디퓨저(150)가 일측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도어(16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100)의 후방의 메인 구조물을 이룬다.
다양한 플라스틱 소재,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의 사출에 의해 바텀 하우징(110)이 제작될 수 있다. 물론, 폴리카보네이트 외의 다른 소재에 의해서도 바텀 하우징(110)이 제작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재질적인 한정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바텀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도어(160)가 출입되는 출입개구(110a, 도 4 참조)가 형성된다.
바텀 하우징(110)의 일면에는 다수의 방향용 통공(111)이 형성된다. 방향용 통공(111)들을 통해 바텀 하우징(110)과 프론트 하우징(13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디퓨저(150)로부터의 향기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스탠드(120)는 바텀 하우징(110)의 배면 일측에 결합되며, 차량의 일측에 거치된다. 이러한 스탠드(120)는 바텀 하우징(110)의 배면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용 플레이트(121)와, 하우징 결합용 플레이트(121)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삼발이식 브리지(122)를 포함한다.
하우징 결합용 플레이트(121)는 접착제에 의해 바텀 하우징(110)의 배면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삼발이식 브리지(122)는 에어컨 송풍구 등의 구조물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스탠드(120)가 삼발이식 브리지(122)를 구비하여 에어컨 송풍구 등의 구조물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에 관해 도시하였으나 스탠드(120)는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부착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프론트 하우징(130)은 바텀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바텀 하우징(1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프론트 하우징(130) 역시, 바텀 하우징(110)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플라스틱 소재,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의 사출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바텀 하우징(110)과 프론트 하우징(130)이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고 있으나 나사식의 결합구조로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실리콘 자석 캡(140)은 프론트 하우징(130)에 마련되며, 단말기에 대한 거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단말기의 금속 부분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단말기에 금속 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단말기에 별도의 커버를 덧씌우고 사용하면 된다.
실리콘 자석 캡(140)이 프론트 하우징(130)에 결합되기 위해 프론트 하우징(130)에는 캡 결합홈(131)이 형성된다. 실리콘 자석 캡(140)은 프론트 하우징(130)의 캡 결합홈(131) 상에서 접착 결합될 수 있다. 실리콘 자석 캡(140)의 측부에도 바텀 하우징(110)의 출입개구(110a)와 연통되는 출입개구(140a)가 형성된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160)는 바텀 하우징(110)과 프론트 하우징(130) 사이에서 즉 바텀 하우징(110)과 프론트 하우징(130)의 출입개구(110a,130a)에서 바텀 하우징(110)과 프론트 하우징(130)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160)의 일측에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디퓨저(150)가 마련된다. 즉 슬라이딩 도어(160)는 플레이트(161)와, 플레이트(161)의 단부를 형성하는 손잡이용 플랜지(162)를 포함할 수 있는데, 플레이트(161) 상에 디퓨저(150)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디퓨저(150)는 슬라이딩 도어(160)의 고체형 디퓨저(150)로서, 디퓨저 지지부(152)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60)의 플레이트(161) 상에 디퓨저 지지부(152)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디퓨저(150)를 사용하려면 도 3 및 도 7처럼 슬라이딩 도어(160)를 업(up) 동작시킨 후, 디퓨저(150)를 감싸고 있는 포장을 벗기고, 도 2 및 도 6처럼 슬라이딩 도어(160)를 다운(down) 동작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처럼 슬라이딩 도어(160)는 해당 위치에서 업/다운(up/down) 동작될 수 있는데, 슬라이딩 도어(160)의 업/다운 동작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바텀 하우징(110)의 배면 일측에는 손가락이 배치되는 손가락 배치홈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손가락 배치홈부(112) 내에는 슬라이딩 도어(160)의 일측을 형성하되 슬라이딩 도어(160)의 슬라이딩 조작을 위한 도어 조작용 플랜지(163)가 배치된다.
도어 조작용 플랜지(163)에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패턴(164), 예컨대 삼각패턴이 인쇄됨으로써 동작을 위한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100)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우선, 스탠드(120)를 이용해서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100)를 차량 내부의 적당한 곳에 거치한다.
그런 다음, 필요에 따라 실리콘 자석 캡(140)에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을 자력으로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방향 기능 제공을 위해서는 도 3 및 도 7처럼 슬라이딩 도어(160)를 업(up) 동작시킨 후, 디퓨저(150)의 포장을 벗긴 다음, 도 2 및 도 6처럼 슬라이딩 도어(160)를 다운(down) 동작시키면 된다. 그러면 디퓨저(150)의 향기가 방향용 통공(111)을 통해 차 내로 퍼질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내부 분위기를 좋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간편하게 거치하기 위한 본연의 거치 기능 외에도 필요에 따라 방향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을 다변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도어(260) 역시, 플레이트(161)와, 플레이트(161)의 단부를 형성하는 손잡이용 플랜지(1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디퓨저(250)는 액체형 디퓨저(250)인데, 이와 같은 액체형 디퓨저(250)가 적용되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260)의 내면에는 액체형 디퓨저(250)가 충전되는 디퓨저 포켓(271)이 마련된다.
그리고 디퓨저 포켓(271)의 개구에는 마개(27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개(272)에 다수의 통기공(273)이 형성됨으로써 디퓨저 포켓(271) 내의 액체형 디퓨저(250)에 의한 향기가 디퓨저 포켓(271)의 외부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실시예에가 적용되더라도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간편하게 거치하기 위한 본연의 거치 기능 외에도 필요에 따라 방향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을 다변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부분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300) 역시, 바텀 하우징(110), 스탠드(120), 프론트 하우징(130), 그리고 디퓨저(150)가 일측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도어(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프론트 하우징(130)의 전면부에는 이중 구조를 이루되 접철이 가능한 구조의 이중 접철식 전면부 캡(330)이 마련된다.
이중 접철식 전면부 캡(330)은 프론트 하우징(130)에 결합되되 전면이 제1 거울면(341)을 이루는 내부 캡(340)과, 힌지(H)에 의해 내부 캡(340)에 접철 가능하되 내면은 제2 거울면(351)을 이루고 외면은 실리콘 자석면(352)을 이루는 외부 캡(350)을 포함한다.
내부 캡(340)과 외부 캡(350)이 도 10처럼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 캡(340)에는 결합홈(340a)이 형성되고, 외부 캡(350)에는 결합돌기(350a)가 형성된다.
이에, 도 10처럼 외부 캡(350)을 닫은 상태에서는 실리콘 자석면(352)을 통해 단말기 등을 자력으로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1처럼 외부 캡(350)을 열면 제1 거울면(341)과 제2 거울면(351)이 드러나기 때문에 거울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가 적용되더라도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간편하게 거치하기 위한 본연의 거치 기능 외에도 필요에 따라 방향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을 다변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부분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400) 역시, 제3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그 세부적인 기능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400)는 바텀 하우징(110), 스탠드(120), 프론트 하우징(130), 그리고 디퓨저(150)가 일측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도어(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하우징(130)의 전면부에는 앞선 실시처럼 이중 구조를 이루되 접철이 가능한 구조의 이중 접철식 전면부 캡(430)이 마련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중 접철식 전면부 캡(430)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중 접철식 전면부 캡(430)은 프론트 하우징(130)에 결합되되 전면이 제1 자석면(441)을 이루는 내부 캡(440)과, 힌지(H)에 의해 내부 캡(440)에 접철 가능하되 내면은 제2 자석면(451)을 이루고 외면은 거울면(452)을 이루는 외부 캡(450)을 포함한다.
내부 캡(440)과 외부 캡(450)이 도 12처럼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 캡(440)에는 결합홈(440a)이 형성되고, 외부 캡(450)에는 결합돌기(450a)가 형성된다.
이에, 도 12처럼 외부 캡(450)을 닫은 상태에서는 거울면(452)이 드러나기 때문에 거울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 13처럼 외부 캡(450)을 열면 제1 자석면(441)과 제2 자석면(451)이 드러나기 때문에 이들을 통해 단말기 등을 자력으로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는 패드(pad)처럼 사이즈가 큰 단말기를 넓은 면적의 자력으로 거치시키고자 할 때,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가 적용되더라도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간편하게 거치하기 위한 본연의 거치 기능 외에도 필요에 따라 방향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을 다변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110 : 바텀 하우징
111 : 방향용 통공 112 : 손가락 배치홈부
120 : 스탠드 130 : 프론트 하우징
140 : 실리콘 자석 캡 150 : 디퓨저
152 : 디퓨저 지지부 160 : 슬라이딩 도어
161 : 플레이트 162 : 손잡이용 플랜지
163 : 도어 조작용 플랜지 164 : 방향 표시패턴
111 : 방향용 통공 112 : 손가락 배치홈부
120 : 스탠드 130 : 프론트 하우징
140 : 실리콘 자석 캡 150 : 디퓨저
152 : 디퓨저 지지부 160 : 슬라이딩 도어
161 : 플레이트 162 : 손잡이용 플랜지
163 : 도어 조작용 플랜지 164 : 방향 표시패턴
Claims (4)
- 일면에 다수의 방향용 통공이 형성되는 바텀 하우징;
상기 바텀 하우징의 배면 일측에 결합되며, 차량의 일측에 거치되는 스탠드;
상기 바텀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바텀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하우징;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마련되며, 단말기에 대한 거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의 금속 부분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실리콘 자석 캡; 및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디퓨저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바텀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바텀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하우징의 배면 일측에는 손가락이 배치되는 손가락 배치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가락 배치홈부 내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일측을 형성하되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조작을 위한 도어 조작용 플랜지가 배치되며,
상기 도어 조작용 플랜지에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패턴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내면에 배치되는 고체형 디퓨저이며,
상기 고체형 디퓨저는 디퓨저 지지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고체형 디퓨저가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를 형성하는 손잡이용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상기 바텀 하우징의 배면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용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 결합용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삼발이식 브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액체형 디퓨저이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내면에는 상기 액체형 디퓨저가 충전되는 디퓨저 포켓이 마련되며,
상기 디퓨저 포켓의 개구에는 다수의 통기공을 구비하는 마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942U KR20190000337U (ko) | 2017-07-27 | 2017-07-27 |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942U KR20190000337U (ko) | 2017-07-27 | 2017-07-27 |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337U true KR20190000337U (ko) | 2019-02-11 |
Family
ID=6536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3942U KR20190000337U (ko) | 2017-07-27 | 2017-07-27 |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00337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144384A1 (de) * | 2021-09-01 | 2023-03-08 | Supair-Tel AG | Beduf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7391U (ko) | 1999-02-24 | 2000-09-25 | 장상용 | 승하강칠판 |
KR20120005908U (ko) | 2011-02-14 | 2012-08-22 | 이광무 | 푸시 빗자루 |
KR20140005309U (ko) | 2013-04-03 | 2014-10-14 | 손흥수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버스운행정보 안내전광판 시스템 |
KR20140128135A (ko) | 2013-04-26 | 2014-11-05 | 주식회사 바이오리쏘스 | 알긴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용도 |
-
2017
- 2017-07-27 KR KR2020170003942U patent/KR20190000337U/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7391U (ko) | 1999-02-24 | 2000-09-25 | 장상용 | 승하강칠판 |
KR20120005908U (ko) | 2011-02-14 | 2012-08-22 | 이광무 | 푸시 빗자루 |
KR20140005309U (ko) | 2013-04-03 | 2014-10-14 | 손흥수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버스운행정보 안내전광판 시스템 |
KR20140128135A (ko) | 2013-04-26 | 2014-11-05 | 주식회사 바이오리쏘스 | 알긴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용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144384A1 (de) * | 2021-09-01 | 2023-03-08 | Supair-Tel AG | Beduf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6916Y1 (ko) | 휴대전자기기용 프로텍터 | |
US20170324850A1 (en) | Unibody desk telephone | |
KR200466058Y1 (ko) |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 |
KR20160061078A (ko) | 휴대전자기기용 프로텍터 | |
JP2018538045A (ja) | 分離及び組み合わせが出来るメイクアップパレットを備えた携帯電話ケース | |
CN209488657U (zh) | 一种多功能手机保护壳 | |
KR20190000337U (ko) |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 |
US10827267B2 (en) | Soun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ound device | |
KR200478697Y1 (ko) |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 |
KR20140002951U (ko) |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 |
US20230274556A1 (en) | Motion-activated mobile virtual panorama (mvp) box camera for continuous and autonomous automobile physical security monitoring | |
JP4982622B2 (ja) |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電子機器 | |
KR101775233B1 (ko) | 휴대용 모니터 | |
JP4875188B2 (ja) | テレビジョン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CN203399152U (zh) | 一种多功能数码产品保护装置 | |
JP3183624U (ja) | アダプター付きスマートフォンカバー | |
KR102067337B1 (ko) | 개선된 구조의 스마트폰 뒷면 커버 | |
US20150045094A1 (en) | Color conversion kit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 |
KR200230258Y1 (ko)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손바닥 걸이 | |
CN205432488U (zh) | 一种旅行箱 | |
CN206542476U (zh) | 一种手机保护壳 | |
CN103625381A (zh) | 车载装置 | |
US20250040674A1 (en) | Multipurpose piece which can be attached to a mobile phone and is equipped with spectacles, a writing instrument and a folding support | |
KR20170053018A (ko) | 휴대폰의 수납 및 충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 |
CN202503848U (zh) | 一种电子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