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46A -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0546A KR20190000546A KR1020170079681A KR20170079681A KR20190000546A KR 20190000546 A KR20190000546 A KR 20190000546A KR 1020170079681 A KR1020170079681 A KR 1020170079681A KR 20170079681 A KR20170079681 A KR 20170079681A KR 20190000546 A KR20190000546 A KR 201900005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linear
- plate
- angles
- main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 E04B7/10—Shell structures, e.g. of hyperbolic-parabolic shape; Grid-like formations acting as shell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7/105—Grid-lik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05—Structures with a longitudinal horizontal axis, e.g. cylindrical or prismatic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52—Cove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골조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며, 서로 연결되는 골조의 각 끝단에는, 골조의 중간의 주된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을 이루는 두 앵글의 제1 플레이트가 하나씩 제1 결합부재로 결합되고, 두 앵글의 제2 플레이트의 표면은 골조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며, 서로 연결되는 골조의 끝단에서 제2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는 앵글들은 제2 결합부재로 결합되고, 한 쌍을 이루는 두 앵글은 제1 플레이트의 주된 플레이트와 접하는 외측면으로 앵글 절곡부에 인접한 위치에 서로 결합되는 선형 돌기와 선형 홈을 가지고, 선형 홈 입구에는 걸림턱이 있고 선형 돌기는 끝단보다 폭이 좁은 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처리시설의 덮개 구조에서 프레임을 형성할 때 프레임을 이루는 골조들의 연결 작업의 어려움을 저감시켜 덮개 프레임 설치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처리시설의 덮개 구조에서 프레임을 형성할 때 프레임을 이루는 골조들의 연결 작업의 어려움을 저감시켜 덮개 프레임 설치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처리시설의 악취 등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수처리시설 공간을 덮는 밀폐형 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의 프레임을 이루는 골조 연결구조와 이 프레임 위에 설치될 수 있는 복수 패널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부 하수처리시설, 가령 오폐수 유입 및 탈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를 처리하는 침사지 등이 별다른 차폐시설 없이 외부에 방치되어 하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악취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아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활동하는 생활 시설이 있다면 악취로 인해 주변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피해와 혐오감을 줄 수 있었다.
또한, 여기에 설치된 하수처리시설의 상당 부분은 철제시설물로 구성되지만 기존에 옥외에 그대로 노출되어 쉽게 부식됨으로써 내구 수명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근래에는 하수처리시설의 악취 유발 공간을 외부 공간과 단절시켜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하수처리시설을 이루는 시설물들이 외부 환경에 그대로 드러나 쉽게 부식,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수처리시설 주변 공간을 벽체와 지붕과 같은 덮개로 차폐하고 있다.
이런 하수처리시설은 대개 상당한 면적에 걸쳐 설치되며, 하부에 하수처리를 위한 시설물들이 설치되므로, 덮개 하부 영역에 고르게 기둥을 형성하여 덮개를 떠받치기 어렵고, 실내체육관 등 넓은 공간을 요하는 시설에서 많이 사용하는 도1의 사진과 같은 터널형 덮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런 덮개 구조는 아치형 I빔 혹은 H빔과 같은 골조를 연결하여 만든 곡선 프레임과 직선형 I빔 혹은 H빔과 같은 골조를 연결하여 만든 직선 프레임 다수를 종횡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곡선 프레임과 직선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덮개 골격 위로 다수 패널을 연결 설치하여 전체 덮개를 구성하게 된다.
도2는 최근에 출원인이 하수처리장치에 사용하는 덮개의 부분적 결합 구성를 나타내는 것으로, 프레임을 이루도록 골조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과 골조 위로 패널들을 설치하여 덮개를 이루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3은 근래에 출원인이 개발한 하수처리장치의 덮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골조 위로 결합되는 패널과 패널을 연결하는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기존에는, 도2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넓은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프레임을 만들기 위해 골조와 골조를 결합시킬 때, 먼저, 두 개의 단순한 앵글(20)을 준비하여 각 앵글의 제1 플레이트(21) 표면을 변형된 I빔 혹은 H빔형 골조(10) 단부의 주된 플레이트(11) 양쪽 면에 하나씩 밀착시키고, 이들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홀(25 등)을 이용하여 볼트(275) 등의 결합부재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골조 단부에서 골조의 주된 플레이트(11) 양 측에 앵글(20)이 하나씩 결합된 두 개의 골조(20)를 준비하여 앵글(20)이 결합된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하고, 두 단부에 결합된 앵글(20)의 제2 플레이트(23) 표면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 제2 플레이트(23)에 사전에 형성된 홀(27)들이 정렬되도록 하고, 이 홀(27)들을 관통하는 볼트(271) 및 너트 체결을 통해 두 골조를 연결하게 된다.
그런데, 이런 앵글(20)과 같은 부재를 골조(10) 단부에서 주된 플레이트(11)의 양면에 하나씩 결합시킬 때 세 개의 서로 다른 부재(두 개의 앵글과 하나의 골조)를 볼트(271) 및 너트(미도시)를 이용하여 하나로 결합시켜야 하므로 중량이 상당한 이들을 고정하기 위해 작업자가 복수 명이 필요하고,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앵글(20)을 이루는 서로 직각으로 형성된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3)에 각각 약간의 유격을 가진 홀들(25, 27)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두 종류의 홀들(25, 27)이 서로 대응되는 홀과 정렬되도록 정확한 위치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제1 플레이트의 홀(25)을 통해 골조 주된 플레이트(11)와 결합을 시킬 때 제2 플레이트의 홀(27)의 위치도 정확하게 되도록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도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변형된 I빔형 골조(10)는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볼 때 주된 플레이트(11) 일 단부(상부:11')에서 두께가 증가하면서 가운데 홈(17)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갈라지고, 갈라진 각 가지의 단부는 절곡되어 주된 플레이트(11)와 수직을 이루는 제1 보조 플레이트(13)를 이루고 있다. 주된 플레이트(11)의 다른 단부에도 주된 플레이트와 수직한 제2 보조 플레이트(15)가 형성된다.
주된 플레이트(11)의 상부에 있는 가운데 홈(17)은 골조(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는 선형 홈이며, 선형 홈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보는 양측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선형 나사산(19)이 일정 피치로 서로 이격되어 골조 길이 방향을 따라 뻗도록 형성된다.
프레임 위로 덮개를 이루는 다수 패널(30)들이 설치되는데, 변형 I빔형 골조(10)의 제1 보조 플레이트(13) 위에 두 패널(30)의 주변부가 약간의 틈을 가지고 서로 인접되게 놓이고, 틈을 포함하여 두 패널의 주변부를 위에서 덮는 선형의 누름바(40)가 설치되고, 나사형 결합부재, 가령 볼트(401)가 누름바(40)의 홀(41)과 이들 틈을 관통하여 선형 홈(17)의 내측면에 있는 선형 나사산(19)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볼트(401)를 강하게 죄면 누름바(40)와 패널(30)과 제1 보조플레이트(13)가 밀착되어 통상은 그 사이로는 빗물이 유입되거나 악취가 누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강체로 접촉면 사이에 이물질이 있으면 접촉면 사이로 공간이 생기기 쉽고, 시간이 가고 외력이 작용하여 볼트(401)가 일부 풀어져도 접촉면 사이에 공간이 생기기 쉽다.
결국, 덮개를 이루는 패널(30)들의 주변부가 서로 인접되어 있는 이 연결부에서 충분한 기밀을 유지하지 못하여 비가 오는 경우,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되어 그 내부의 철제 장치들이 부식되기 쉽고, 역으로 내부에서 발생한 악취가 이들 연결부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많았다.
이런 악취 누출이 심할 경우, 하수처리시설의 덮개를 형성하는 의미가 없게 되므로 기존이 덮개 구성에 비해 보다 기밀을 달성하고 있는 덮개 구조가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의 하수처리시설의 덮개 구조에서 덮개 프레임을 형성할 때 프레임을 이루는 H빔과 같은 골조들의 연결부에서 연결 작업의 어려움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진 연결용 앵글을 구비한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기존의 하수처리시설의 덮개 구조에서 덮개 프레임 위로 다수 패널을 설치할 때 패널과 패널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기밀이 더 잘 유지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에 패킹 부재를 더 구비한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는,
하수처리시설 위에 덮이는 덮개로서, 선형이나 곡선형의 I빔 혹은 H빔과 같은 골조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며,
서로 연결되는 상기 골조의 각 끝단에는,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볼 때 중간 연결부를 이루는 주된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한 쌍을 이루는 두 앵글의 제1 플레이트가 하나씩 결합되고, 대개 이들 제1 플레이트 두 개와 주된 플레이트는 볼트와 같은 공통 결합부재로 함께 관통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각 앵글의 제2 플레이트 표면은 골조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게 되며,
서로 연결되는 두 골조의 끝단에서 제2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는 앵글들은 결합부재들을 통해 상호 결합됨으로써 두 골조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골조의 한 끝단에서 주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한 쌍을 이루는 두 앵글은 제1 플레이트의 주된 플레이트와 접하는 표면(외측면)이면서 앵글의 절곡부(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서로 수직하게 만나는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 서로 결합되는 선형 돌기와 선형 홈을 가지되, 선형 홈 입구에는 선형 홈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절단면에서 볼 때 폭이 좁아지는 걸림턱이 있고 그 절단면에서 볼 때 선형 돌기는 끝단보다 폭이 좁은 목부를 가져, 선형 홈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선형 돌기가 직접 삽입되지 못하고 선형 홈의 일단에 선형 돌기의 타단을 선형 방향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선형 홈에 선형 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선형 홈에는 두 제1 플레이트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유격이 존재하여 두 제1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골조의 주된 플레이트는 두께는 어느 정도 범위에서 변이를 가질 수 있고, 두 앵글을 선형 홈과 선형 돌기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두 제1 플레이트 사이에 골조의 주된 플레이트를 끼워넣고 가령, 이들 모두에 형성된 홀을 정렬하여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로 관통시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도, 선형 홈과 선형 돌기는 상호 결합된 상황에서 유격에 의해 두 앵글의 제1 플레이트가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경우에도 이 유격 구간에서 자유롭게 놀지 않도록 유격 구간에서 선형 돌기와 선형 홈이 서로 접촉되는 부분이 밀착되어 빡빡하게 마찰을 가지면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에서는 변형 I빔형(본 발명에서 변형 H빔형을 항상 포함하는 개념으로 본다) 골조의 제1 보조 플레이트 위에 두 패널의 주변부가 틈을 가지고 서로 인접되게 놓이고, T자형 패킹의 수평한 부분이 틈을 포함하여 두 패널의 주변부를 위에서 덮고 수직한 부분이 틈을 통과하여 변형 I빔형 골조의 본체 선형홈에 밀착 상태로 삽입되도록 T자형 패킹이 배치되고, T자형 패킹의 수평한 부분 위로 누름바가 설치되고, 나사형 결합부재가 누름바를 관통하여 변형 I빔형 골조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면서 누름바와 변형 I빔형 골조 사이의 T자형 패킹 및 패널을 압박하여 이들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나사형 결합부재가 변형 I빔형 골조에 나사결합 되는 것은 변형 I빔형 골조의 선형 홈의 내측면에 있는 선형 나사산에 나사결합 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처리시설의 덮개 구조에서 덮개 프레임을 형성할 때 프레임을 이루는 H빔과 같은 골조들의 연결부에서 연결 작업의 어려움을 저감시켜 덮개 프레임 설치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즉, 앵글을 골조 단부에서 주된 플레이트 양면에 결합시킬 때 두 개의 앵글을 이미 한 쌍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정렬도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세 개의 서로 다른 부재를 정렬하는 대신 실질적으로 두 부분만 서로 결합하면 되므로 골조 연결 작업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인원을 줄이고,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 측면에 따르면, 하수처리시설의 덮개 구조에서 덮개 프레임 위로 다수 패널을 설치할 때 패널과 패널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기밀이 더 잘 유지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여 덮개에서 물이 새어 들어오거나 하수처리시설 내의 악취가 인근 생활시설로 누출되는 문제를 더욱 잘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넓은 면적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는 터널형 덮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진,
도2는 최근의 하수처리시설의 덮개의 프레임 형성을 위해 두 골조의 단부에 앵글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최근의 하수처리시설의 덮개에서 변형 I빔형 골조의 제1 플레이트 위에서 두 패널의 주변부가 인접되게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에서 프레임 형성을 위해 두 골조를 연결하고 골조 위로 패널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에서 두 골조가 서로 연결될 때 앵글만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도4에서 한 골조의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앵글이 골조와 결합되기 전에 먼저 서로 결합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도6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의 한 쌍의 앵글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변형 I빔형 골조의 제1 플레이트 위에서 두 패널의 주변부가 인접되게 연결될 때 누름바 아래 T자형 패킹을 채택한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9는 도8의 T자형 패킹을 별도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최근의 하수처리시설의 덮개의 프레임 형성을 위해 두 골조의 단부에 앵글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최근의 하수처리시설의 덮개에서 변형 I빔형 골조의 제1 플레이트 위에서 두 패널의 주변부가 인접되게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에서 프레임 형성을 위해 두 골조를 연결하고 골조 위로 패널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에서 두 골조가 서로 연결될 때 앵글만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도4에서 한 골조의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앵글이 골조와 결합되기 전에 먼저 서로 결합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도6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의 한 쌍의 앵글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변형 I빔형 골조의 제1 플레이트 위에서 두 패널의 주변부가 인접되게 연결될 때 누름바 아래 T자형 패킹을 채택한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9는 도8의 T자형 패킹을 별도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를 형성하면서 프레임 형성을 위해 두 골조의 단부에 앵글을 한 쌍씩 결합시켜 마주보게 하고 골조 위로 패널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5는 서로 결합되는 두 골조의 단부에서 다른 요소를 제외하고 앵글 부분만 떼어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 및 도7은 한 골조의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앵글이 골조와 결합되기 전에 먼저 서로 결합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이렇게 결합된 한 쌍의 앵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도 종래의 도2에 나타난 구조를 설명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수처리시설 위에 덮이는 덮개를 형성하기 위해 프레임과 패널이 상호 결합하게 된다.
서로 연결되는 변형 I빔형 골조(10)의 각 끝단에는, 골조의 주된 플레이트(11)의 양 측면에 한 쌍의 앵글(120a, 120b)의 제1 플레이트(121)가 하나씩 결합되며, 이때, 앵글의 제1 플레이트(121) 두 개와 골조의 주된 플레이트(11)에는 미리 홀(125)이 설치되어 이들 홀(125)을 관통하는 결합부재(볼트: 251))로 결합되고, 각 앵글의 제2 플레이트(123) 표면은 변형 I빔형 골조의 끝단에서 골조 길이방향(골조가 연장되는 방향)을 향한다.
따라서, 서로 연결되는 두 변형 I빔형 골조의 끝단은 제2 플레이트(123)가 서로 마주보는 앵글들을 관통하는 결합부재(볼트: 271)로 결합시켜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하나의 변형 I빔형 골조(10)의 한 끝단에서 주된 플레이트(11)에 결합되는 두 앵글은 제1 플레이트(121)의, 주된 플레이트(11)와 접하는 외측면이면서 앵글(120a, 120b)의 절곡부, 즉, 제1 플레이트(121)와 제2 플레이트(123)가 서로 수직하게 만나는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 서로 결합되는 선형 돌기(129a)와 선형 홈(129b)을 가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선형 돌기(129a)와 선형 홈(129b)은 주된 플레이트(1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도6 및 도7에 나타난 방식으로 주된 플레이트에 결합되기 전에 먼저 서로 결합된다. 즉, 선형 홈(129b) 입구에는 도7과 같은 선형 홈(129b)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절단면에서 볼 때 폭이 좁아지는 걸림턱이 있고 그 절단면에서 볼 때 선형 돌기(129a)는 끝단보다 폭이 좁은 목부를 가져 선형 홈(129b)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선형 돌기(129a)가 직접 삽입되지 못하고, 선형 홈(129b)의 일단에 선형 돌기(129a)의 타단을 정렬시켜 선형 방향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도7에도 보이듯이 선형 홈에 선형 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두 제1 플레이트(121)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선형 홈 내부에는 유격(여유 공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두 제1 플레이트(121) 사이에 위치하는 변형 I빔형 골조의 주된 플레이트의 두께가 어느 정도 범위에서 변이를 가지는 경우에도, 두 앵글을 선형 홈(129b)과 선형 돌기(129a)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두 제1 플레이트(121) 사이에 변형 I빔형 골조의 주된 플레이트를 끼워넣고 이들에 형성된 홀(125)을 정렬하여 결합부재(251)로 관통시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된다.
단, 이런 경우, 선형 홈과 선형 돌기는 상호 결합된 상황에서 유격에 의해 두 앵글의 제1 플레이트(121)가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질 때 선형 홈(129b)과 선형 돌기(129a)가 서로 닿는 면이 틈이 있으면 상호 위치가 안정되지 않고 마음대로 바뀌면서 놀게 되므로(불안정하게 되므로) 골조 연결 작업이 어렵게 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격 구간에서 두 앵글이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질 때에는 닿는 면이 빡빡하게 마찰을 가지면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선형 돌기(129a)의 목부 폭이 가장 작은 곳에서도 선형 홈의 턱이 꽉 끼이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7에 나타나듯이 목부는 약간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결합부재(251)를 돌려 죄면 두 앵글이 접근하면서 선형 홈의 입구에 있는 걸림 턱에 닿는 선형 돌기의 목부의 폭은 점차 커지고 선형 홈의 입구를 이루는 걸림턱 사이의 간격을 약간씩 벌어지며, 어떤 위치에서도 목부는 걸림턱에 꽉 끼이는 형태가 된다.
또 하나의 차이는, 도4의 실시예에서는 앞선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는 도2와 달리 프레임 위로 복수 패널을 설치할 때, 도8에서도 잘 나타나는 것과 같이 서로 인접한 두 패널의 연결부 위로 누름바를 놓기 전에 먼저 T자형 패킹(150)을 설치한다는 것이다.
즉, 도2에서와 같이 변형 I빔형 골조(10)의 제1 보조 플레이트(13) 위에 두 패널(30)의 주변부가 틈을 가지고 서로 인접되게 놓이고, 도8과 같은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볼 때 T자를 나타내는 T자형 패킹(150)의 수평한 부분(151)으로 두 패널(30) 주변부를 덮으면서 T자형 패킹(150)의 수직한 부분(153)은 두 패널 사이의 틈을 지나 변형 I빔형 골조(10)의 가운데 홈(17) 속으로 삽입되어 가운데 홈을 거의 채우게 된다.
이때 T자형 패킹(150)은 탄성 신축 변형이 용이하여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연질의 합성수지, 가령 연질의 PVC로 이루어지고, 수직한 부분(153)의 양 측면에는 골조의 가운데 홈(17)의 내측면에 형성된 선형 나사산(19)과 비슷하게 복수의 돌기(155)가 일정 피치로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어, T자형 패킹(150)으로 채워진 골조의 가운데 홈(17)으로는 물이나 가스가 스며들거나 밖으로 새어 나가기 어렵게 된다.
다음으로 T자형 패킹(150) 위로 누름바(40)가 설치되고, 누름바(40)의 볼트구멍(41)을 통해 볼트(401)를 삽입하여 틈을 통과시키고, T자형 패킹(150)을 관통하면서 골조의 가운데 홈(17) 내측면에 설치된 선형 나사산(19)을 암나사의 나사산처럼 이용하여 볼트(401)를 가운데 홈(17)에 체결하게 된다.
이때, 볼트(401)를 충분히 죄면, 누름바(40)가 T자형 패킹(150)의 수평한 부분(151)을 누르고, 간접적으로 패널(30)을 누르게 되어 누름바(40)와 T자형 패킹(150)의 수평한 부분(151)과 패널(30) 사이의 접촉면은 T자형 패킹의 수평한 부분이 일부 변형되면서 충분히 밀착되어 이 접촉변으로 가스나 물이 스며들거나 누출되는 것을 어렵게 하고, 비록 볼트가 일부 풀어지는 경우에도 T자형 패킹의 신축, 탄력성에 의해 기밀은 상당 기간 유지될 수 있다. 누름바를 고정하는 볼트는 T자형 패킹을 관통하면서 T자형 패킹에도 고정되므로 단단한 골조의 선형 홈이나 누름바와 같은 경성 재질만을 관통하는 경우에 비해 충격에도 잘 풀리지 않느다는 이점도 누릴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하수처리장치 밀폐용 덮개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프레임 연결 작업을 훨씬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덮개에서 패널 사이로 가스가 누출되거나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훨씬 구조적으로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골조(변형 I빔형 골조) 11: 주된 플레이트
13: 제1 보조 플레이트 15: 제2 보조 플레이트
17: 가운데 홈 19: 선형 나사산
20, 120a, 120b: 앵글 21, 121: 제1 플레이트
23, 123; 제2 플레이트 25, 27, 125, 127: 홀(hole)
30: 패널 40: 누름바
41: 홀 251, 271 : 결합부재(볼트)
13: 제1 보조 플레이트 15: 제2 보조 플레이트
17: 가운데 홈 19: 선형 나사산
20, 120a, 120b: 앵글 21, 121: 제1 플레이트
23, 123; 제2 플레이트 25, 27, 125, 127: 홀(hole)
30: 패널 40: 누름바
41: 홀 251, 271 : 결합부재(볼트)
Claims (4)
- H빔형 혹은 I빔형 골조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며,
서로 연결되는 상기 골조의 각 끝단에는, 상기 골조의 중간의 주된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을 이루는 두 앵글의 제1 플레이트가 하나씩 제1 결합부재로 결합되고, 상기 두 앵글의 제2 플레이트의 표면은 상기 골조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며, 서로 연결되는 상기 골조의 끝단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는 앵글들은 제2 결합부재로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두 앵글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주된 플레이트와 접하는 외측면으로 앵글 절곡부에 인접한 위치에 서로 결합되는 선형 돌기와 선형 홈을 가지고,
상기 선형 홈 입구에는 상기 선형 홈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절단면에서 볼 때 폭이 좁아지는 걸림턱이 있고 상기 절단면에서 볼 때 상기 선형 돌기는 끝단보다 폭이 좁은 목부를 가져 상기 선형 홈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선형 돌기가 직접 삽입되지 못하고 상기 선형 홈의 일단에 상기 선형 돌기의 타단을 선형 방향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홈에 상기 선형 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선형 홈에는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두 앵글의 상기 제1 플레이트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유격이 존재하여 상기 골조의 상기 주된 플레이트의 두께가 변이를 가질 때에도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에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홈과 상기 선형 돌기는 상호 결합된 상황에서 상기 유격에 의해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두 앵글의 제1 플레이트가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유격 구간에서 상기 선형 돌기와 상기 선형 홈 사이의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밀착을 유지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 -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는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주된 플레이트 일 단부에서 두께가 증가하면서 가운데 홈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갈라지고, 갈라진 각 가지의 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주된 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는 제1 보조 플레이트를 이루고 상기 주된 플레이트의 다른 단부에도 상기 주된 플레이트와 수직한 제2 보조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가운데 홈은 상기 골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뻗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면에서 볼 때 상기 가운데 홈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나사산이 일정 피치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골조 길이 방향을 따라 뻗도록 형성되는 변형 I(변형 H 포함)빔형 골조이고,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 위에 두 패널의 주변부가 틈을 가지고 서로 인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볼 때 T자를 이루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고, T자의 수평한 부분이 상기 틈을 포함하여 상기 두 패널의 주변부를 위에서 덮고 T자의 수직한 부분이 상기 틈을 통과하여 상기 골조의 상기 가운데 홈에 적어도 일부에서 밀착되도록 삽입되는 T자형 패킹이 구비되고,
상기 T자의 수평한 부분 위로 누름바가 설치되고, 나사형 결합부재가 상기 누름바를 관통하여 상기 변형 I빔형 골조의 상기 가운데 홈의 나사산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9681A KR101986181B1 (ko) | 2017-06-23 | 2017-06-23 |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9681A KR101986181B1 (ko) | 2017-06-23 | 2017-06-23 |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546A true KR20190000546A (ko) | 2019-01-03 |
KR101986181B1 KR101986181B1 (ko) | 2019-06-07 |
Family
ID=6502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9681A KR101986181B1 (ko) | 2017-06-23 | 2017-06-23 |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618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45934A (zh) * | 2021-11-09 | 2022-02-15 |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 单层铝合金穹顶网壳结构及安装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0290B1 (ko) | 2021-11-16 | 2022-10-04 |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 저수조 기밀용 알루미늄 플랫커버 |
KR102498152B1 (ko) | 2022-02-14 | 2023-02-09 | 천지플랜트주식회사 | 수처리시설 덮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73935A (ja) * | 1997-01-31 | 1998-10-13 | Nippon Light Metal Co Ltd | 構造材の連結構造 |
KR101498424B1 (ko) | 2014-07-17 | 2015-03-03 | 천지플랜트주식회사 | 악취포집용 덮개 조립체 |
KR101509100B1 (ko) * | 2014-10-17 | 2015-04-08 | 윤이중 | 시공성이 우수한 에이치빔 어댑터 |
KR101554455B1 (ko) | 2015-06-15 | 2015-09-18 | 구제진 | 탈취 수단이 설치된 악취발생시설용 덮개 |
-
2017
- 2017-06-23 KR KR1020170079681A patent/KR1019861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73935A (ja) * | 1997-01-31 | 1998-10-13 | Nippon Light Metal Co Ltd | 構造材の連結構造 |
KR101498424B1 (ko) | 2014-07-17 | 2015-03-03 | 천지플랜트주식회사 | 악취포집용 덮개 조립체 |
KR101509100B1 (ko) * | 2014-10-17 | 2015-04-08 | 윤이중 | 시공성이 우수한 에이치빔 어댑터 |
KR101554455B1 (ko) | 2015-06-15 | 2015-09-18 | 구제진 | 탈취 수단이 설치된 악취발생시설용 덮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45934A (zh) * | 2021-11-09 | 2022-02-15 |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 单层铝合金穹顶网壳结构及安装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6181B1 (ko) | 2019-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6181B1 (ko) |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 | |
EP2723952B1 (en) | Assembly for securing two juxtaposed panels to a structure so as to allow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 |
US5007701A (en) | Splice closure apparatus | |
KR101887659B1 (ko) |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 |
KR100879803B1 (ko) |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
KR100903988B1 (ko) | 관상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모듈식건물조립체 | |
KR100675656B1 (ko) | 외장 판넬 조립 구조물 | |
SK64196A3 (en) | Shuttering panel with edge struts made from a flat extruded section | |
JP6181960B2 (ja) | 縦目地伸縮装置 | |
KR20200016089A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부재 체결구 및 이의 시공방법 | |
US9759327B2 (en) | Large perimeter segmented seals | |
US20070193152A1 (en) | Building block assembly system | |
JP6148697B2 (ja) | 型枠 | |
KR100732048B1 (ko) | 건축 골조 콘크리트 이음부 거푸집 체결장치 | |
US20230383528A1 (en) | Water drainage duct for dual gasket assembly | |
EP0770784B1 (de) | Klemmverbindung | |
KR200377908Y1 (ko) |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2262505B1 (ko) | 배관 연결 장치 | |
EP1818471A2 (en) | Fixing device for a plate or panel | |
KR20120019386A (ko) | 개스킷 스톱 | |
KR100626201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2498152B1 (ko) | 수처리시설 덮개 | |
KR101836447B1 (ko) | 수밀성이 향상된 맨홀 | |
JPH04182532A (ja) | ボックスカルバート | |
KR102436538B1 (ko) | 수처리 시설을 위한 악취 방지 덮개의 프레임 조립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