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80117711A - 수중유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711A
KR20180117711A KR1020187029559A KR20187029559A KR20180117711A KR 20180117711 A KR20180117711 A KR 20180117711A KR 1020187029559 A KR1020187029559 A KR 1020187029559A KR 20187029559 A KR20187029559 A KR 20187029559A KR 20180117711 A KR20180117711 A KR 20180117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cid
poe
powder
eth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긴야 호소카와
유키에 요다
레이지 미야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80117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71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도포시에 발림이 양호하고, 게다가 도포 후에 보송보송한 피부 감촉을 얻을 수 있는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물, 및 수용성이면서 휘발성인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수성 매체와, 상기 수성 매체에 분산되는 유분과, 상기 수성 매체 및 상기 유분을 흡수 가능한, 흡유성 소수 분체를 포함하고, 조성물 중에서, 흡유성 소수 분체는 수성 매체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유형 조성물
본 발명은 수중유형 조성물, 특히 흡유성 소수 분체를 사용한 수중유형 조성물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통상, 피부 관리, 화장 작업은 화장수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에 의해 피부의 상태를 정돈하고, 그 후에 파운데이션에 의해 피부의 하자(색조 혹은 요철)를 수정하며, 추가로 필요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색조, 음영을 부여하고, 외관을 정돈한다.
상기 파운데이션으로는 파우더리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등이 존재하고, 특히 리퀴드 파운데이션은 양호한 발림이 우수하여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리퀴드 파운데이션은 유성 혹은 유화계를 불문하고 액상 유성 기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도포시, 도포 후에 끈적임이 발생하기 쉽고, 이 점에서 파우더리 파운데이션의 보송보송한 피부 감촉을 얻는 것이 곤란하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487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63032호 일본 특허 제329119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0393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6303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하려는 과제는 도포시에 발림이 양호하고, 게다가 도포 후에 보송보송한 피부 감촉을 얻을 수 있는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검토를 행한 결과, 수성 매체 중에 특정 흡유성 소수 분체를 배합함으로써, 리퀴드 타입의 양호한 발림을 확보하면서 보송보송한 우수한 피부 감촉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조성물은
물, 및 수용성이면서 휘발성인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수성 매체와,
상기 수성 매체에 분산되는 유분과,
상기 수성 매체 및 상기 유분을 흡수 가능한, 흡유성 소수 분체를 포함하고, 조성물 중에서, 흡유성 소수 분체는 수성 매체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흡유성 소수 분체는 가교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주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흡유성 소수 분체의 최대 흡유 가능량은 상기 분체에 대해 9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흡유성 소수 분체의 배합량은 5∼25질량%, 유분의 배합량은 흡유성 소수 분체의 최대 흡유 가능량에 대해 15∼1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조성물에 의하면, 흡유성 소수 분체는 조성물 중에서는 수성 매체를 유지하고 있지만, 피부 위에 도포된 후에는 수성 매체가 휘발되어, 보송보송한 피부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조성물의 건조 과정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분체에 의한 수성 매체 취입 상태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흡유성 소수 분체]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흡유성 소수 분체로는 가교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나일론 다공질 분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재질 자체가 친유성이어도 되고, 혹은 재질이 친수성이지만 친유성 물질로 코팅한 것이어도 되지만, 코팅의 경우에는 구멍 내까지 친유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유성 소수 분체의 최대 흡유 가능량은 분체에 대해 9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흡유 가능량이 90질량% 미만이면, 도포시에 충분한 유분을 흡수할 수 없어, 양호한 피부 감촉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흡유성 소수 분체의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5∼25질량%, 바람직하게는 10∼20질량%이다. 5질량% 미만이면 보송보송한 사용감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또한 25질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이 액상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흡유성 소수 분체는 조성물 중에서는 후술하는 수성 매체를 그 때 구멍 내에 취입하고, 공존하는 유분의 취입은 거의 행해지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수성 매체를 취입한 흡유성 소수 분체는 유적(油滴)의 둘레에 편재하고, 분체 유화에 유사한 구조를 형성한다.
[수성 매체]
본 발명에 있어서, 수성 매체는 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추가로 휘발성 유기 용매를 첨가한 것을 말한다. 여기서, 휘발성 유기 용매로는 에틸알코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또한, 휘발성 유기 용매의 수성 매체 중에 대한 배합량은 상기 흡유성 소수 분체가 수성 매체를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획득하는 농도 이상이고, 가교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의 경우에는, 수성 매체 중 5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30질량%이다. 유기 용매의 수성 매체 중에 대한 배합량이 5질량% 미만에서는, 상기 흡유성 소수 분체가 수성 매체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또한 30질량%를 초과하면 파운데이션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알코올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유분]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유분으로는 극성유, 실리콘유 등 각종 유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극성유로는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등의 에스테르유가 예시되고, 특히 흡유성 소수 분체로서 가교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극성유로는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유동 파라핀 등이 예시된다.
유분량은 상기 흡유성 소수 분체가 흡유할 수 있는 유분량(최대 흡유량)의 1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130%이다. 특히 15∼80%가 바람직하다.
유분량이 최대 흡유량에 대해 150%를 초과하면 도포시에 장시간에 걸쳐 끈적이는 경향이 있다. 또한, 15% 미만이 되면, 도포시의 발림이 나쁘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유분으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 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리드, 올레산올레일, 아세트글리세리드,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 레이트,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2-헥실데실,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석신산 2-에틸헥실, 시트르산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는, 예를 들면, 사슬형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등); 고리형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옥타 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등), 아크릴 실리콘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유분은 유분 전체로서 점도가 100mPa·s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
본 발명에 있어서, 분산제로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등의 카르복실산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조성물의 점도]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조성물의 점도는 100000mPa·s 이하가 바람직하다. 수중유형 조성물의 점도가 100000mPa·s 이하임으로써, 리퀴드 파운데이션의 양호한 도포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중유형 조성물의 점도가 100mPa·s 이하가 되면 흡유성 소수 분체가 침강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100mPa·s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중유형 조성물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00∼8000mPa·s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4000mPa·s이다.
[기타]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 이외에,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부외품의 수중유형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을 배합할 수 있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이하에 구체적인 배합 가능 성분을 열거하지만, 상기 필수 성분에 추가하여, 하기 성분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하여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보습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 부틸렌글리콜,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콘드로이틴 황산, 히알루론산, 무코이틴황산, 콜라닌산, 아텔로콜라겐, 락트산나트륨, 담즙산염, dl-피롤리돈카르복실 산염, 단쇄 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 PO 부가물, 록스부르기 장미 추출물, 서양 톱풀 추출물, 메리롯트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분말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무기 분말(예를 들면, 탤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버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칼슘(소석고), 인산칼슘, 불소 애퍼타이트, 히드록시 애퍼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예를 들면,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질화붕소 등); 유기 분말(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사불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등); 무기 백색 안료(예를 들면, 산화아연 등);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면, 티탄산 철 등); 무기 자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 등); 펄 안료(예를 들면,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탤크, 착색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옥시 염화 비스무트, 어린박 등); 금속 분말 안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우더, 코퍼 파우더 등);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예를 들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등색 203호, 등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 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등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 천연 색소(예를 들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유지로는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동백유, 터틀유, 마카다미아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기름, 행도유, 소맥 배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사플라워유, 면실유, 들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티오일, 비유, 쌀겨유, 중국 동유, 일본 동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유지로는 예를 들면,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 경화 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 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류로는 예를 들면, 밀랍, 칸데릴라 왁스, 면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백랍, 경랍, 몬탄 왁스, 쌀겨 왁스, 라놀린, 케이폭 왁스, 아세트산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환원 라놀린, 호호바 왁스, 경질 라놀린, 셸락 왁스, POE 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 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셀린, 마이크로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운데실렌산, 톨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레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직쇄 알코올(예를 들면,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 분기쇄 알코올(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카놀,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카놀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조성물에는 각종 계면활성제를 배합해도 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지방산 비누(예를 들면, 라우르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등);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등);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POE-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황산나트륨 등); N-아실사루코신산(예를 들면, 라우로일사루코신나트륨 등); 고급 지방산아미드설폰산염(예를 들면,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메틸타우리드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리드나트륨 등); 인산에스테르염(POE-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 설포석신산염(예를 들면, 디-2-에틸헥실설포석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포석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석신산나트륨 등); 알킬벤젠설폰산염(예를 들면, 리니어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리니어도데실벤젠설폰산트리에탄올아민, 리니어도데실벤젠설폰산 등); 고급 지방산에스테르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경화 야자유 지방산글리세린황산나트륨 등); N-아실글루탐산염(예를 들면, N-라우로일글루탐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탐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모노나트륨 등); 황산화유(예를 들면, 로트유 등); POE-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POE-알킬알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고급 지방산에스테르설폰산염; 2급 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알킬올아미드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석신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르트산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예를 들면,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 알킬피리디늄염(예를 들면, 염화세틸피리디늄 등);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 4급 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폴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시드-1-카르복시에틸옥시 2나트륨염 등);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 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리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지방산류(예를 들면, 모노 면실유 지방산글리세린, 모노에루크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α,α'-올레산피로글루탐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말산 등);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등);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POE-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리에이트 등); POE-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리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리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모노올리에이트 등); POE-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리에이트,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등); POE-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 플루로닉형류(예: 플루로닉 등); POE·POP-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 모노부틸에테르, POE·POP-수첨 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 테트라 POE·테트라 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예를 들면, 테트로닉 등); POE-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예를 들면, 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탐산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 말레산 등); POE-밀랍·라놀린 유도체(예를 들면, POE-소르비트밀랍 등); 알칸올아미드(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 POE-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아미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저분자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경우, 당해 저분자 계면활성제가 흡유성 소수 분체에 흡착하여, 분체의 흡유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조성물의 1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갈락탄,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타마린드검, 캐롭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르멜로), 조류콜로이드(갈조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시리진산); 미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잔탄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풀루란 등); 동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전분계 고분자(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말 등); 알긴산계 고분자(예를 들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비닐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 등); 아크릴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 이외의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덱스트린, 펙틴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오스,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규산 AlMg(비검), 라포나이트,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파라아미노벤조산(이하, PABA로 약칭함),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에스테르 등);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 살리실산 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 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 -3-카르복시벤조페논 등); 3-(4'-메틸벤질리덴)-d,l-캄퍼, 3-벤질리덴-d,l-캄퍼;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 -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잘아진;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루보르닐리덴)-3-펜탄-2-온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2가 알코올(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부텐-1,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등); 3가 알코올(예를 들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4가 알코올(예를 들면, 1,2,6-헥산트리올 등의 펜타에리트리톨 등); 5가 알코올(예를 들면, 자일리톨 등); 6가 알코올(예를 들면, 소르비톨, 만니톨 등); 다가 알코올 중합체(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 2-메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아밀에테르, 에틸렌글리콜벤질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코올에테르에스테르(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석시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등);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예를 들면, 헥실알코올, 세라킬알콜, 바틸알코올 등); 당 알코올(예를 들면, 소르비톨, 말티톨, 말토트리오스, 만니톨, 에리트리톨 등); 글리소리드;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POE-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POP-부틸에테르; POP·POE-부틸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인산; POP·POE-펜탄에리트리톨에테르, 폴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단당으로는, 예를 들면, 삼탄당(예를 들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 아세톤 등); 사탄당(예를 들면, D-에리트로오스, D-에리트룰로오스, D-트레오스 등); 오탄당(예를 들면, L-아라비노오스, D-자일로오스, L-릭소오스, D-아라비노오스, D-리보오스, D-리불로오스, D-자일루로오스, L-자일루로오스 등); 육탄당(예를 들면, D-글루코오스, D-탈로오스, D-프시코오스, D-갈락토오스, D-프룩토오스, L-갈락토오스, L-만노오스, D-타가토오스 등); 칠탄당(예를 들면, 알도헵토오스, 헵토오스 등); 팔탄당(예를 들면, 옥투로오스 등); 디옥시당(예를 들면, 2-디옥시 -D-리보오스, 6-디옥시-L-갈락토오스, 6-디옥시-L-만노오스 등); 아미노당(예를 들면,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무람산 등); 우론산(예를 들면, D-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투론산, L-이두론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는, 예를 들면, 자당, 겐티아노오스, 움베리페로오스, 락토오스, 플란테오스, 이소리크노오스류, α,α-트레할로오스, 라피노오스, 리크노오스류, 엄빌리킨, 스타키오스베르바스코오스류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는, 예를 들면, 중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트레오닌, 시스테인 등); 염기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히드록시리신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아실사르코신나트륨(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아실글루탐산염, 아실 β-알라닌나트륨, 글루타티온,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아민으로는 예를 들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로는 예를 들면, POE(9)POP(2)디메틸에테르, POE(14)POP(7)디메틸에테르, POE(10)POP(10)디메틸에테르, POE(6)POP(14)디메틸에테르, POE(15)POP(5)디메틸에테르, POE(25)POP(25)디메틸에테르, POE(7)POP(12)디메틸에테르, POE(22)POP(40)디메틸에테르, POE(35)POP(40)디메틸에테르, POE(50)POP(40)디메틸에테르, POE(55)POP(30)디메틸에테르, POE(30)POP(34)디메틸에테르, POE(25)POP(30)디메틸에테르, POE(27)POP(14)디메틸에테르, POE(55)POP(28)디메틸에테르, POE(36)POP(41)디메틸에테르, POE(7)POP(12)디메틸에테르, POE(17)POP(4)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사나트륨염,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사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석신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아세트산 3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 보조제로는, 예를 들면,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브산, 말레산, 말론산, 석신산, 푸마르산, 케팔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트산,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배합 가능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방부제(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 미백제(예를 들면, 태반 추출물, 바위취 추출물, 알부틴 등); 혈행 촉진제(니코틴산,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토코페롤, 니코틴산 β-부톡시에스테르, 미녹시딜 또는 그 유연체, 비타민 E류, γ-오리자놀, 알콕시카르보닐피리딘 N-옥시드, 염화카르프로늄 및 아세틸콜린 또는 그 유도체 등); 각종 추출물(예를 들면, 생강, 황백, 황련, 자근, 자작 나무, 비파 나무, 당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수세미, 백합, 사프란, 천궁, 생강, 고추 나물,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당귀, 모란, 해조 등), 부활제(예를 들면, 판테닐에틸에테르, 니코틴산아미드, 비오틴, 판토텐산, 로열 젤리,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 항지루제(예를 들면, 피리독신류, 티안톨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의 제형은 임의이고, 용액계, 유화계, 로션, 젤, 미스트, 스프레이, 무스 등 어떠한 제형이어도 상관없지만, 특히 파운데이션 내지 번들거림 방지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시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분산 상태)
제작한 샘플의 분산 상태를 현미경에 의해 확인을 행하였다. 100배로 보았을 때의 시야 내에 응집물이 하나도 없는 상태를 A, 10개 이하를 B, 50개 이하를 C, 그 이상을 D로 하고, A와 B를 분산 상태가 좋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점도)
각 샘플을 BL형 점도계(시바우라 시스템 주식회사 제조), 로터 No.3, 12rpm, 60초, 30℃에서 측정한 것이다.
(흡유량)
(1) 시료 2g을 유리판에 취하고,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을 뷰렛으로부터 소량씩 시료 중앙에 적하하고, 그때마다 전체를 주걱으로 충분히 반죽한다.
(2) 이 조작을 반복하고, 시료로부터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이 스며 나와 더 이상 들어 가지 않는 양을 종점으로 한다.
(3) 이것에 필요로 한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의 양을 구하고, 다음 식으로부터 흡유량을 산출한다.
흡유량=[(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분체 시료)]×100
(도포시 사용감: 보송보송함)
(1) 시료 0.4g을 상완 내측에 도포하고, 2㎝×4㎝의 범위를 1초 1왕복 행한다
(2) 보송보송한 정도가 더 이상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느낀 시간을 측정한다(감촉 변화 시간)
(3) 평가 기준 A 매우 보송보송 B 보송보송 C 약간 보송보송 D 보송보송하지 않음
우선, 본 발명자들은 다음의 표 1에 나타내는 시험을 행하고, 액상 파운데이션에 대해 그 발림 등의 도포감을 악화시키지 않고, 파우더리 파운데이션의 보송보송한 사용감을 부여하는 검토를 행하였다.
Figure pc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분체를 배합하지 않는 경우(시험예 1-1)에는 보송보송한 사용감은 얻어지지 않고, 또한 이른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한 제제화도 곤란하였다. 또한, 가교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다공질 분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에틸알코올을 배합하지 않는 한, 분체의 분산성이 나빠, 제제화가 곤란하였다(시험예 1-2).
이에 비해, 이온 교환수 및 에틸알코올을 혼합한 분산매에 가교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다공질 분체를 첨가한 경우에는 양호한 분체 분산물을 형성하고, 분체의 부상도 거의 생기지 않는 점에서, 다공질 분체가 수성 매체의 취입을 행하고 있는 것이 나타나고, 게다가 유분에서 유래하는 양호한 발림을 유지하면서 피부 위에서 10초 정도의 도찰을 행함으로써 유분에 의한 끈적임이 소실되고, 보송보송한 사용감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었다(시험예 1-3). 이 점에 관하여, 본 발명자들은 조성물의 건조 과정을 관찰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즉, 본품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0.01g 올려, 이쑤시개로 펼쳐 분산시키고, 커버 글라스를 올리지 않고 건조 과정을 현미경으로 40배로 관찰하였다. 좌측의 사진은 직후, 중앙의 사진은 도포하고 30초 후, 우측의 사진은 1분 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성물 중(내지 도포 직후)에서는 가교형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다공질 분체에 둘러싸이도록 존재하고 있던 용매가 건조에 따라 소실되어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있어서 특징적인 피부 위에서의 흡유 기능에 대해 검토를 행하였다. 즉, 1. 물 80%, 에탄올 10%, 가교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다공질 분체 10%의 혼합물 및 2. 물 90%, 가교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다공질 분체 10%의 혼합물을 준비하고, 각각 디스퍼로 2000rpm의 속도로 1분 교반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도 2는 제조 직후 및 1일 정치 후의 샘플 사진이다.
교반·조정 직후는 두 샘플 전부 새하얗고, 어느 쪽도 변함이 없어 보이지만, 1일 정치하면 1.의 상부는 투명하고, 가교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다공질 분체는 거의 침강되어 있다. 이것은 물/EtOH로 구성되는 수용성 성분이 가교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다공질 분체의 세공 중에 취입되어, 비중이 무거워짐으로써 침강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2.의 물 뿐이면 다공질 분체의 일부는 침강되지만, 대부분은 수면 위에 떠있다.
이들로부터 가교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소수성 분말이고, 분산매가 물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분산매(물)의 흡수량은 매우 작은 것으로 생각되며, 한편, 유기 용매가 혼재하는 수성 매체에서는 가교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분산매(수성 매체)를 흡수하고 있는 것이 이해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분체의 분산매(수성 매체)에 대해 검토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틸알코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중 어느 것도 거의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고, 수성 매체 중의 휘발성 유기 용매의 배합량이 5질량% 이상에서 제제화 적성 및 양호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었다. 5질량% 미만에서는 흡유성 소수 분체에 대한 분산성, 흡수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포를 시작한 당초의 발림이 좋은 오일감에서 보송보송한 감촉으로 변화하는 시간(감촉 변화 시간)도 7∼10초 정도와 같은 양호한 범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감촉 변화 시간이 5초 미만이면 약간 도포성에 곤란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고, 한편 20초를 초과하면 보송보송한 도포감으로는 판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이 밝혀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유기 용매의 배합량의 상한은 특별히 존재하지 않지만, 파운데이션 등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수성 매체 중의 유기 용매량은 30질량% 정도까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각종 흡유성 분체에 대해 검토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3의 결과로부터 소수 분체여도 흡유량이 분체에 대해 90질량% 미만이 되면 충분한 사용감 개선을 도모할 수 없고(시험예 3-1), 또한 어느 정도의 흡유성 을 갖고 있어도 친수성 실리카에서는 양호한 제제화 적성을 얻을 수 없다(시험예 3-2).
한편, 흡유량 90질량% 이상의 소수 분체는 다공질인지 여부를 불문하고 사용감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시험예 3-3∼3-7).
또한, 본 발명자들은 흡유성 소수 분체의 배합량에 대해 검토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표 4로부터 흡유성 소수 분체의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5∼2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0질량%인 것이 이해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유분의 검토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유분종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저점도(100mPa·s 이하)의 에스테르유가 바람직하고, 실리콘유, 탄화수소유는 조성물 점도가 상승하여 수플레 형상이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흡유성 소수 분체의 흡유 가능량과 유분량의 관계에 주목하여 검토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상기 표 6으로부터 유분량이 흡유 가능량의 80% 이하이면 극히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지지만, 130% 정도까지는 사용감의 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150%를 초과하면 감촉 변화 시간이 길어져, 보송보송한 사용감을 실감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제제 중의 분말 침강 개선에 대해 검토를 행하였다. 즉, 제제 중에서 분말이 침강하여 분말이 용매 중에 재분산할 수 없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침강 개선에 관하여 검토를 행한 결과,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잔탄검에 침강 개선 효과가 관찰되고, 잔탄검의 배합량은 점도 상승도 고려하면 0.03∼0.5질량% 정도의 배합이 바람직하다.
평가는 50℃에서 4주간 보존한 샘플에 대해, 용매 중에 분말의 침강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경우는 ○로 하고, 침강이 관찰되는 경우는 ×로 하였다.
Figure pct00007

Claims (6)

  1. 물, 및 수용성이면서 휘발성인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수성 매체와,
    상기 수성 매체에 분산되는 유분과,
    상기 수성 매체 및 상기 유분을 흡수 가능한, 흡유성 소수 분체를 포함하고, 조성물 중에서, 흡유성 소수 분체는 수성 매체를 유지하고 있는, 수중유형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유성 소수 분체가 다공질인, 수중유형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흡유성 소수 분체는 가교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주소재로 하는, 수중유형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흡유성 소수 분체의 최대 흡유 가능량은 상기 분체에 대해 90질량% 이상인,수중유형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흡유성 소수 분체의 배합량은 5∼25질량%, 유분의 배합량은 흡유성 소수 분체의 최대 흡유 가능량에 대해 15∼130질량%인, 수중유형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잔탄검을 배합한, 수중유형 조성물.
KR1020187029559A 2016-03-15 2017-03-10 수중유형 조성물 Ceased KR201801177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51579 2016-03-15
JP2016051579A JP6851723B2 (ja) 2016-03-15 2016-03-15 水中油型組成物
PCT/JP2017/009735 WO2017159566A1 (ja) 2016-03-15 2017-03-10 水中油型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711A true KR20180117711A (ko) 2018-10-29

Family

ID=5985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559A Ceased KR20180117711A (ko) 2016-03-15 2017-03-10 수중유형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51723B2 (ko)
KR (1) KR20180117711A (ko)
CN (1) CN108778231B (ko)
TW (1) TW201737898A (ko)
WO (1) WO2017159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3567B2 (ja) * 2017-10-02 2022-05-09 ロレアル エラグ酸化合物を含む組成物
KR102221666B1 (ko) * 2018-07-31 2021-03-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726898B (zh) * 2020-05-14 2022-06-21 锦州大业炭素制品有限公司 一种生产真空感应炉所用大型石墨发热体多块材料粘接方法
JP2022151056A (ja) * 2021-03-26 2022-10-07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1195B2 (ja) * 1996-03-18 2002-06-10 花王株式会社 ジェル状化粧料
JP4820164B2 (ja) * 2005-12-20 2011-11-24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5537046B2 (ja) * 2009-02-20 2014-07-02 花王株式会社 ボディーリンス剤
JP5878326B2 (ja) * 2011-10-06 2016-03-08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5888937B2 (ja) * 2011-10-31 2016-03-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化粧料
JP5908699B2 (ja) * 2011-10-31 2016-04-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化粧料
BR112015027606A2 (pt) * 2013-05-16 2017-07-25 Dsm Ip Assets Bv composição cosmética compreendendo óleo orgânico natural e partículas de polimetilmetacrila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65675A (ja) 2017-09-21
CN108778231B (zh) 2021-07-09
WO2017159566A1 (ja) 2017-09-21
JP6851723B2 (ja) 2021-03-31
CN108778231A (zh) 2018-11-09
TW201737898A (zh)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3326B2 (en)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1754744B (zh) 水包油型乳化防晒化妆品
KR100974005B1 (ko) 피부 외용제
JP7436382B2 (ja) 化粧料の製造方法
JP6979874B2 (ja) 組成物
JP7696334B2 (ja) ラメラゲル含有組成物、乳化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KR20180117711A (ko) 수중유형 조성물
TWI795417B (zh) 含有粉體之水系非乳化組成物及皮膚外用劑
JP7430644B2 (ja) 粉末分散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75206A (ja) 化粧料
JP7132763B2 (ja) 組成物
JP4349883B2 (ja) 皮膚外用組成物
JP7142653B2 (ja) 粉末含有組成物、水系溶媒用粉末、及び水系溶媒用粉末の製造方法
JP2010047506A (ja) ゾル−ゲル可逆性組成物、増粘剤及び化粧料。
JP2004018415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7142652B2 (ja) 粉末含有組成物、水系溶媒用粉末、及び水系溶媒用粉末の製造方法
JP4301499B2 (ja) 皮膚外用組成物
JP2003119110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01335434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25039376A (ja) 水中油乳化型組成物
HK40000137A (en) Oil-in-water type composition
JP2004307386A (ja) 皮膚外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5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2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