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80107939A -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 - Google Patents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939A
KR20180107939A KR1020170036907A KR20170036907A KR20180107939A KR 20180107939 A KR20180107939 A KR 20180107939A KR 1020170036907 A KR1020170036907 A KR 1020170036907A KR 20170036907 A KR20170036907 A KR 20170036907A KR 20180107939 A KR20180107939 A KR 20180107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lectric energy
breast
breast cancer
ultrason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345B1 (ko
Inventor
박주영
박연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170036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34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3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K41/00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61B2017/22005Effects, e.g. on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8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 introduction of a substance
    • A61B2017/2208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 introduction of a substance ultrasound absorbing, drug activated by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61N2007/025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interstit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가 제공된다. 본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음향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변환부, 사용자의 유방에 부착되고, 상기 초음파 변환부를 둘러싸는 케이스 및 초음파 변환부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전기 에너지 발생부를 포함하며, 전기 에너지 발생부는,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ULTRASOUND DEVICE TO IMPROVE BREAST CANCER TREATMENT EFFECT}
본 발명은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유방에 부착되어 음향 에너지 조사를 통하여 기계적 진동 및 온열효과로 인해 항암제의 효능을 높일 수 있는 초음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방암의 치료는 크게 수술적 치료와 항암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유방절제수술 및 유방보전수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하더라도 암이 완전히 제거되기 어려우므로, 추가적으로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수술 후 제거되지 않은 미세한 암세포를 제어하여 암세포의 재발 및 전이를 방지한다.
항암치료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정맥주사로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항암치료의 효과는 암세포의 재발 및 전이 방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유방 내에 기계적 진동 및 열을 발생시키면 큰 섬유의 열 활동성 자극으로 통증 역치를 증가시켜 통증을 감소시키고, 유방 내 혈류량의 변화로 신경 전도 속도와 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암에서 발생하는 다약제내성(multi-drug resistance) gene이 초음파의 기계적 진동에 의 줄어들어 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암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항암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장치인 만큼, 암을 유발하거나 염색체를 파괴시키는 등의 전리방사선이 줄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지 않고도 유방에 기계적 진동 및 온열효과를 줄 수 있는 초음파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유방에 부착되어 기계적 진동 및 온열 효과를 통해 유방암 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높이는 초음파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는,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음향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변환부; 사용자의 유방에 부착되고, 상기 초음파 변환부를 둘러싸는 케이스; 및 상기 초음파 변환부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전기 에너지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에너지 발생부는,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제1 벨크로 테이프를 형성하는 제1 단부와 제1 벨크로 테이프와 접착되는 제2 벨크로 테이프를 형성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연장부; 및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유방에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만곡한 형태의 부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벨크로 테이프 및 제2 벨크로 테이프의 결합에 의하여 사용자의 가슴 둘레에 맞춰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의 복수의 돌기가 일대일 대응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의 복수의 돌기가 상기 제2 단부의 복수의 관통홀과 일대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중심부가 오픈되고, 만곡된 형태의 원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발생된 음향 에너지를 투과시키고, 상기 케이스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의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워터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해, 전리방사선이 줄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지 않고, 기계적 진동 및 온열효과를 통해 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암제 투여에 있어서 초음파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의 간단한 블럭도,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초음파에 의해 유발되는 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쥐의 뇌 일부에만 초음파를 조사한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A에 있어서, 1 영역은 초음파를 조사한 영역이고, 2 영역은 초음파를 조사하지 않은 영역이며, 도 1B는 1 영역과 2 영역 각각에서의 P-gp(P-glycoprotein), 에반스 블루(Evans Blue) 및 Merge(P-gp + Evans Blue)를 나타낸다.
P-gp는 수송 단백질로, 다약제내성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물질이다. 암세포의 세포막에 당단백으로 이뤄진 배출펌프(P-gp)가 많이 만들어지면, 이 배출펌프가 세포 안으로 들어온 항암제를 세포 밖으로 배출한다. 결과적으로, 이 과정을 통해 세포 내 항암제의 농도가 감소해 항암제 치료의 효과를 낮추게 된다. 즉, P-gp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암제의 흡수가 낮아지게 된다.
에반스 블루는 뇌혈관의 투과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청색교질성 아조색소로, 측정이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는 색소이다. 에반스 블루는 뇌조직에서 초음파 조사된 영역을 표시하며, 초음파 조사된 영역에서 P-gp의 변화를 관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를 조사하지 않은 2 영역의 P-gp는 초음파를 조사한 1 영역의 P-gp보다 밀집되어 있으며, 에반스 블루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초음파를 조사한 1 영역의 P-gp는 초음파를 조사하지 않은 2 영역의 P-gp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고 에반스 블루가 나타난다. 이에 따라, 초음파를 조사한 결과로, 항암제를 암세포 밖으로 내보내는 P-gp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를 조사함으로써 항암제가 암세포에 작용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10)는 케이스(20), 전기 에너지 발생부(30) 및 초음파 변환부(40)를 포함한다.
케이스(20)는 사용자의 유방에 밀착되는 내피 및 내피와 결합되어 초음파 변환부(40)를 포함하기 위한 외피로 구성되어 초음파 변환부(40)를 둘러싸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20)는 초음파 변환부(40)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음향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계적 진동 및 온열효과를 유발할 수 있도록 초음파 변환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발생부(30)는 전압원(미도시)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 받아 초음파 변환부(40)로 전달할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 에너지 발생부(30)는 전압원(미도시)에서 공급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교류 전압의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교류 전압의 전기 에너지를 증가시켜 출력할 수 있다.
초음파 변환부(40)는 임의의 형태의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를 포함하여, 전기 에너지 발생부(3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받아 초음파를 생성함으로써 기계적 진동 및 열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100)는 신호 발생부(110), 증폭부(120), 변환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신호 발생부(110)는 전자 신호의 파형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발생부(110)는 시간에 대한 그래프 상에서 전압의 연속적인 임의의 파형을 갖는 특정한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신호 발생부(110)는 전압원(미도시)에서 공급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교류 전압의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신호 발생부(110)는 연속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도 있고,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제1 구간 및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전체 구간을 주기로하여 반복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증폭부(120)는 신호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교류 전압의 전기 에너지를 증가시켜 출력측(미도시)에서 출력할 수 있다.
변환부(130)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류 전압이 입력되면, 변환부(130)는 입력된 교류 전압을 초음파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란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에 진동과 같은 기계 에너지가 입력되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는 효과를 말하고, 이와 반대로 역압전효과는 압전소자에 전기 에너지가 입력되면 진동 에너지로 변환되는 효과를 말한다. 즉, 동일한 압전소자에 기계 에너지가 입력되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전기 에너지가 입력되면 기계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압전소자로 구성될 수 있는 변환부는 전기 에너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전기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변환하여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변환부(130)는 증폭부(120)에서 증폭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변환부(130)는 트랜스듀서(transduc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적절한 세기 및 파형의 초음파가 조절할 수 있도록 신호 발생부(110) 및 증폭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신호 발생부(110) 및 증폭부(120)를 제어하여 연속파(continuous wave) 형태의 초음파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펄스(pulse) 형태의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초음파의 세기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10)의 케이스가 구현될 수 있는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0)는 일 측과 원의 중심부가 오픈된 고리 모양일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300) 일 측 단부에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고, 타 측 단부에는 복수의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하여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기 전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의 케이스(3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0)는 복수의 돌기(350,360,370,380)를 형성하는 제1 단부와 복수의 관통홀(310,320,330,340)을 형성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잇는 두 개의 모서리(390,395)는 서로 길이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모서리(390)의 길이는 제2 모서리(395)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결합되면, 케이스(300)는 제1 모서리(390)의 방향으로 만곡되고, 중심부가 오픈된 원 형상이 된다.
구체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부의 복수의 돌기(350,360,370,380) 중 일부의 돌기가 제1 단부의 복수의 관통홀(310,320,330,340) 중 일부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결합되면, 케이스(300)는 중심부가 오픈되고 일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의 원 형상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단부의 복수의 돌기(350,360,370,380) 중 제일 끝머리 쪽에 위치하는 제1 돌기(350)가 제1 단부의 복수의 관통홀(310,320,330,340) 중 제일 끝머리 쪽에 위치하는 제1 관통홀(310)에 삽입되어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결합되면, 일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의 원 형상 중 가장 큰 원 형상이 된다.
그리고, 제2 단부의 복수의 돌기(350,360,370,380) 중 제일 내부에 위치하는 제4 돌기(380)가 제1 단부의 복수의 관통홀(310,320,330,340) 중 제일 내부에 위치하는 제4 관통홀(340)에 삽입되어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결합되면, 일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의 원 형상 중 가장 작은 원 형상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단부의 복수의 돌기(350,360,370,380) 중 어느 돌기와 제1 단부의 복수의 관통홀(310,320,330,340) 중 어느 관통홀이 삽입되어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결합되는지에 대응하여 케이스(300)의 원 형상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원 형상의 크기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가 유방암 환자의 신체에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으므로 기계적 진동 및 온열효과를 더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케이스(300)는 워터 패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워터 패트(미도시)는 케이스(300)의 일 구성으로, 케이스(300)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워터 패드(미도시)는 케이스(300)를 냉각시켜 케이스(300)의 기능을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부의 복수의 관통홀(310,320,330,340)은 두 개씩 대칭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케이스(300)의 두께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부의 복수의 관통홀(310,320,330,340)의 갯수는 도 3a 및 도 3b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단부의 복수의 돌기(350,360,370,380)는 단일의 돌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400)가 구현될 수 있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00)의 주요 구성은 유방암 환자의 유방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부착부(410), 각각의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여, 부착부(410)가 밀착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연장부(420)로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420)는 제1 벨크로 테이프(430)를 형성하는 제1 단부와 제1 벨크로 테이프와 접착되는 제2 벨크로 테이프(440)를 형성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방암 환자에게 착용될 때, 제1 벨크로 테이프(430)와 제2 벨크로 테이프(440)는 유방암 환자의 가슴 둘레에 따라 접촉되는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신체 조건이 다양한 다수의 유방암 환자가 착용하여도 가슴 둘레에 맞춰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부착부(410)는 연장부(420) 중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방암 환자의 유방에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일 측으로 만곡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부착부(410)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고, 내피와 외피로 형성되는 공간에 초음파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410)를 유방암 환자의 유방에 밀착하여 부착하고, 제1 벨크로 테이프(430)와 제2 벨크로 테이브(440)의 접촉 면적을 조절하여 제1 벨크로 테이프(430)와 제2 벨크로 테이프(440)를 유방암 환자의 등에서 접촉함으로써 유방암 환자의 가슴 둘레와 무관하게 밀착하도록 부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400)는 부착부(410) 형태의 워터 패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워터 패트(미도시)는 케이스(400)의 일 구성으로, 케이스(400)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워터 패드(미도시)는 케이스(400)를 냉각시켜 케이스(400)의 기능을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600)가 구현될 수 있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00)의 주요 구성은 유방암 환자의 유방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부착부(610) 및 전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초음파 변환부(620)로 전달하기 위한 선(6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착부(610)는 유방암 환자의 유방에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일 측으로 만곡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부착부(610)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고, 내피와 외피로 형성되는 공간에 초음파 변환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700)가 구현될 수 있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700)의 주요 구성은 유방암 환자의 유방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부착부(710) 및 전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초음파 변환부(720)로 전달하기 위한 선(7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착부(710)는 유방암 환자의 유방에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일 측으로 만곡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부착부(710)는 유방암 환자의 유방에 밀착하는 것이 유리하도록 중심부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부(710)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고, 내피와 외부로 형성되는 공간에 초음파 변환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와 무관하게 초음파 장치를 부착함으로써, 기계적 진동 및 온열효과를 통한 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
20: 케이스
30: 전기 에너지 발생부
40: 초음파 변환부

Claims (4)

  1.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음향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변환부;
    사용자의 유방에 부착되고, 상기 초음파 변환부를 둘러싸는 케이스; 및
    상기 초음파 변환부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전기 에너지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에너지 발생부는,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제1 벨크로 테이프를 형성하는 제1 단부와 제1 벨크로 테이프와 접착되는 제2 벨크로 테이프를 형성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연장부; 및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유방에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만곡한 형태의 부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벨크로 테이프 및 제2 벨크로 테이프의 결합에 의하여 사용자의 가슴 둘레에 맞춰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의 복수의 돌기가 일대일 대응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의 복수의 돌기가 상기 제2 단부의 복수의 관통홀과 일대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중심부가 오픈되고, 만곡된 형태의 원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
  4.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발생된 음향 에너지를 투과시키고, 상기 케이스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의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워터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
KR1020170036907A 2017-03-23 2017-03-23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 Active KR102049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07A KR102049345B1 (ko) 2017-03-23 2017-03-23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07A KR102049345B1 (ko) 2017-03-23 2017-03-23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939A true KR20180107939A (ko) 2018-10-04
KR102049345B1 KR102049345B1 (ko) 2019-11-27

Family

ID=6386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907A Active KR102049345B1 (ko) 2017-03-23 2017-03-23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3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284Y1 (ko) * 2002-05-23 2002-08-21 성낙현 차광모자
KR100481031B1 (ko) * 2002-12-06 2005-04-07 이명희 여성용 가슴 찜질팩
KR200398559Y1 (ko) * 2005-06-04 2005-10-13 조운현 모듈화된 곡면 밀착형 초음파 치료 및 미용기
KR200440602Y1 (ko) * 2007-01-23 2008-06-20 조운현 초음파에 의한 젖가슴 마사지기
KR101020581B1 (ko) 2008-03-12 2011-03-09 이상협 유축기, 이를 위한 흡입기, 온열기 및 마사지기
KR20160041181A (ko) * 2014-10-06 2016-04-18 우길영 초음파를 이용한 지방 분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284Y1 (ko) * 2002-05-23 2002-08-21 성낙현 차광모자
KR100481031B1 (ko) * 2002-12-06 2005-04-07 이명희 여성용 가슴 찜질팩
KR200398559Y1 (ko) * 2005-06-04 2005-10-13 조운현 모듈화된 곡면 밀착형 초음파 치료 및 미용기
KR200440602Y1 (ko) * 2007-01-23 2008-06-20 조운현 초음파에 의한 젖가슴 마사지기
KR101020581B1 (ko) 2008-03-12 2011-03-09 이상협 유축기, 이를 위한 흡입기, 온열기 및 마사지기
KR20160041181A (ko) * 2014-10-06 2016-04-18 우길영 초음파를 이용한 지방 분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345B1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060B1 (ko) 초음파 장치
EP2925406B1 (en) Flexible, wearable therapeutic laser array
US2016020634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val of a Targeted Tissue from the Body
JP2018532501A (ja) 刺激治療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WO2006134754A1 (ja) 治療用超音波発射装置
JP2017047184A (ja) カスタマイズ型複合刺激が加えられる肌の機能改善用の立体陰圧複合刺激器モジュール
KR20010006565A (ko) 흉골 치료 촉진을 위한 초음파 적용 장치
EP3644912B1 (en) Irradiation device for irradiating a radiation absorbing medium, hearing aid device and laser surgery device, in particular for laser ear surgery, with such an irradiation device
KR20150085551A (ko) 초음파 빔포밍 기술을 이용한 비침습 경혈 자극기
US20180117328A1 (en) Hearing prosthesis emitting ultrasonic pulses
KR102117485B1 (ko)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
KR20180107939A (ko)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
KR20220113862A (ko) 치매예방과 기억력 증진을 위한 음향 및 레이저 복합 치료장치
JP2011062373A (ja) 超音波発振ユニット及び超音波発振システム
KR20130137256A (ko) 피하 지방층의 감소를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KR102085220B1 (ko) 매개체를 이용한 비침습적 치료시스템
KR102260917B1 (ko) 난청과 이명의 개선 및 예방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이어폰
CN206730278U (zh) 一种疼痛诊疗装置
KR101721441B1 (ko) 초음파 발생기
US20180280231A1 (en) Invasive shock wave applicator for applying shock waves sideways
US20250025370A1 (en) Acoustic shock wave therapeutic methods to treat neurological conditions using reflexology zones
RU164996U1 (ru)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RU2175226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иброакустическ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KR20190097362A (ko)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방식을 적용한 피부 미용기기
CN210992680U (zh) 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