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023A - 소금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소금적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8023A KR20180098023A KR1020170024974A KR20170024974A KR20180098023A KR 20180098023 A KR20180098023 A KR 20180098023A KR 1020170024974 A KR1020170024974 A KR 1020170024974A KR 20170024974 A KR20170024974 A KR 20170024974A KR 20180098023 A KR20180098023 A KR 201800980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lt
- bogie
- shovel
- main frame
- collec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4—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pick-up shove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7—Articles manipulated as 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26—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upwards or horizontally
- B65G2814/0328—Picking-up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금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셔블(Shovel)에 의해 적재시 소금이 적재되는 셔블의 일측을 들어올려 작업자가 소금운반용 대차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소금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소금운반용 대차에 염전 바닥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적재하기 위한 소금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가 인입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대차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대차의 이동을 제한하는 대차고정부재; 염전 바닥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상기 대차에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셔블;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기 셔블과 연결된 권취와이어를 전동부재에 의해 권취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권취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소금운반용 대차에 염전 바닥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적재하기 위한 소금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가 인입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대차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대차의 이동을 제한하는 대차고정부재; 염전 바닥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상기 대차에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셔블;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기 셔블과 연결된 권취와이어를 전동부재에 의해 권취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권취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금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셔블(Shovel)에 의해 적재시 소금이 적재되는 셔블의 일측을 들어올려 작업자가 소금운반용 대차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소금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염전은 크게 저수지, 증발지, 결정지로 이루어지며, 햇볕과 바람에 의해 증방되는 함수를 소금 결정지에 얇게 펴서 햇볕과 바람으로 재증발시켜 소금 결정체가 생길 때 이를 소금 결정지의 일측으로 수거하는 방식으로 생산되고 있다.
이때, 소금결정시에서 일측으로 거둬들인 소금은 지게 또는 수레에 삽 등으로 퍼올려 채집시킨 후, 소금창고로 운속하거나 삽 등으로 소금운반용 대차에 소금을 수거하여 소금 결정지에 인접한 소금 결정지 둑에 설치된 레일을 타고 운반하여 소금적재창고에 소금을 하역하여 소금을 적재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소금 결정지에서 지게나 수레 또는 소금 운반차에 삽 등을 이용하여 인력으로 소금을 채집하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 및 작업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생산성 저하로 인해 소금의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83064호의 소금수거장치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55362호의 소금 수거 및 적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전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셔블(Shovel)에 의해 적재시 소금이 적재되는 셔블의 일측을 스위치조작에 의한 권취와이어의 권취동작으로 들어올려 작업자가 소금운반용 대차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소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금적재에 따른 작업능률의 향상 및 고령작업인의 작업편의성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소금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소금운반용 대차에 염전 바닥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적재하기 위한 소금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가 인입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대차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대차의 이동을 제한하는 대차고정부재; 염전 바닥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상기 대차에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셔블;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기 셔블과 연결된 권취와이어를 전동부재에 의해 권취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권취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셔블은 작동스위치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상기 권취와이어에 의해 들어올려져 염전 바닥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상기 대차에 적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대차고정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어부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편체와, 상기 승하강편체에 링크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편체의 승강시에는 상기 대차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대차의 상단을 고정하고, 상기 승하강편체의 하강시에는 상기 제어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대차의 상단의 고정을 해제하는 대차고정편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권취와이어에는 상기 셔블의 승강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제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셔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셔블거치대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된 대차에 셔블(Shovel)를 통해 수집된 소금을 적재시, 셔블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부재의 조작에 의해 권취와이어가 자동권취되도록 하여 소금이 적재되는 셔블의 일측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되므로 대차로의 소금적재작업의 신속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고령작업인의 작업편의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적재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고정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고정부재의 구성간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셔블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제한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이드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드럼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드럼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고정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고정부재의 구성간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셔블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제한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이드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드럼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드럼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금적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적재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고정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고정부재의 구성간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셔블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제한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 분리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이드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드럼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드럼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염전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셔블(Shovel)을 통해 적재시 소금이 수용되는 셔블의 일측을 들어올려 작업자가 소금운반용 대차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소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소금적재에 따른 작업능률의 향상 및 고령작업인의 작업편의성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금적재장치는 염전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소금운반용 대차(20)에 염전 바닥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적재하기 위한 소금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가 인입되는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대차(20)의 이동을 제한하는 대차고정부재(200)와, 상기 대차(20)에 소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셔블(Shovel)(300)과, 상기 셔블(300)과 연결된 권취와이어(710)를 권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권취드럼(7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틀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지지골격(110)과, 상기 지지골격(110)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연결프레임(120)과, 상기 지지골격(110)의 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측면연결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10)은 상기 지지골격(11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대차고정부재(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대차(20)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대차(2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셔블(300)에 의한 적재작업시 상기 대차(2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대차고정부재(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어부(150)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편체(210)와, 상기 승하강편체(210)에 링크부재(22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편체(210)의 승강시에는 상기 대차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대차의 상단을 고정하고, 상기 승하강편체(210)의 하강시에는 상기 제어부(150)방향으로 상승이동되어 상기 대차(20)의 상단 고정을 해제하는 대차고정편(23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링크부재(220)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승하강편체(210)에 축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대차고정편(230)에 축결합되어 상기 승하강편체(210)의 승하강동작시 상기 링크부재(220)에 상기 상기 대차고정편(230)이 승하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대차고정편(23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링크부재(220)에 축결합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대차(20)의 상단에 안착되는 Y형상의 분기고정편(23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대차고정부재(2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부로 인입된 대차(2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50)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어부(1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하강편체(210)가 상기 제어부(150)방향으로 상승된다. 이때, 상기 대차고정편(230)은 상기 링크부재(220)에 의해 상기 대차(20)방향으로 하강되어 상기 분기고정편(231)이 상기 대차(20)의 상단에 가압안착되어 상기 대차(2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차(20)에 일정한 양의 소금을 적재한 후, 상기 대차(20)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를 구동시키게되면 상기 제어부(1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하강편체(210)가 상기 대차(20)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대차고정편(230)이 상기 링크부재(220)에 의해 상기 제어부(150)방향으로 이동도어 상기 대차(20)의 고정상태를 해제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대차(20)에 소금을 적재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는 셔블(Shovel)(30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체(310)와 상기 봉체(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는 손잡이(320)와 상기 봉체(3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되어 수집되 소금을 퍼 올릴 수 있도록 하는 버켓(3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셔블(300)의 버켓(330)에는 후술되는 권취드럼(700)에 권취되는 권취와이어(71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권취드럼(700)의 회전구동을 위한 작동스위치부재(35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셔블(300)은 상기 작동스위치부재(350)의 조작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700)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권취드럼(700)에 권취되는 상기 권취와이어(710)에 의해 상기 버켓(330)부위가 들어올려져 염전 바닥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상기 대차(20)에 손쉽게 적재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권취와이어(710)에는 상기 셔블(300)의 승강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제한부재(400)가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권취와이어(710)의 과도한 권취로 인한 상기 셔블(300)의 지나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셔블(300)의 버켓(330)이 상기 대차(20)의 측면 높이에 적정한 높이만큼만 상승될 수 있도록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승강제한부재(400)는, 상기 권취와이어(710)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일측에 다수개의 분기편(411)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중공형 삽입구(410)와, 상기 삽입구(410)가 삽입되면서 상기 분기편(411)이 상기 권취와이어(710)에 가압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구(420)와, 상기 결합구(42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권취와이어(710)가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일정면적을 갖는 타격편(430)과, 상기 결합구(420)와 타격편(430) 사이에 상기 권취와이어(71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셔블(300)의 승강제한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부재(4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에는 상기 권취와이어(710)를 상기 권취드럼(700)방향으로 안내하는 회전가이드부재(5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가이드부재(500)를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소금이 수집된 방향에 따라 상기 셔블(30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작업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권취와이어(710)가 권취되어 상기 셔블(300)이 들어올려지는 경우, 상기 타격편(430)이 상기 회전가이드부재(500)에 타격되어 상기 셔블(300)의 승강이 제한된다.
이때, 상기 회전가이드부재(500)에 리미트스위치와 같은 센서부재(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타격편(430)의 타격시 상기 권취드럼(70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상기 타격편(430)이 타격되어 상기 권취와이어(710)에 일정한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권취드럼(700)의 회전을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본 발명의 소금적재장치의 제조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 한 쌍의 회전가이드부 및 한 쌍의 권취드럼과, 각각의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권취와이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셔블을 마련하여 소금적재속도의 증가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에는 소금적재작업의 중단시 상기 셔블(300)의 손잡이를 거치하여 상기 셔블(300)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셔블거치대(60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권취드럼(7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 상기 셔블(300)과 연결되는 상기 권취와이어(710)를 전동부재(720)에 의해 권취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권취드럼(700)은 상기 전동부재(72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원형의 회전체(730)와, 상기 회전체(7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회전체(730)의 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측면커버체(740)와, 상기 측면커버체(740)의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730)에 권취되는 상기 권취와이어(7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75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동부재(7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체(730)가 회전되면 상기 권취와이어(710)가 상기 회전체(730)에 권취되고, 상기 셔블(300)을 소금이 수집된 위치로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체(730)에 권취된 상기 권취와이어(710)가 풀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권취와이어(710)가 상기 이탈방지편(750) 및 상기 측면커버체(740)에 의해 상기 회전체(730)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레일
20: 대차
100: 메인프레임 200: 대차고정부재
300: 셔블 400: 승강제한부재
500: 회전가이드부재 600: 셔블거치대
700: 권취드럼
100: 메인프레임 200: 대차고정부재
300: 셔블 400: 승강제한부재
500: 회전가이드부재 600: 셔블거치대
700: 권취드럼
Claims (4)
-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소금운반용 대차에 염전 바닥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적재하기 위한 소금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가 인입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대차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대차의 이동을 제한하는 대차고정부재;
염전 바닥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상기 대차에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셔블;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기 셔블과 연결된 권취와이어를 전동부재에 의해 권취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권취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적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블은 작동스위치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상기 권취와이어에 의해 들어올려져 염전 바닥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상기 대차에 적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적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고정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어부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편체와, 상기 승하강편체에 링크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편체의 승강시에는 상기 대차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대차의 상단을 고정하고, 상기 승하강편체의 하강시에는 상기 제어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대차의 상단의 고정을 해제하는 대차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적재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와이어에는 상기 셔블의 승강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제한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적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4974A KR20180098023A (ko) | 2017-02-24 | 2017-02-24 | 소금적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4974A KR20180098023A (ko) | 2017-02-24 | 2017-02-24 | 소금적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8023A true KR20180098023A (ko) | 2018-09-03 |
Family
ID=6360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4974A KR20180098023A (ko) | 2017-02-24 | 2017-02-24 | 소금적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9802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40085A (zh) * | 2021-04-28 | 2021-06-29 | 淮北市金鳜湖水产养殖有限公司 | 一种用于鱼类的分类种养装置 |
-
2017
- 2017-02-24 KR KR1020170024974A patent/KR20180098023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40085A (zh) * | 2021-04-28 | 2021-06-29 | 淮北市金鳜湖水产养殖有限公司 | 一种用于鱼类的分类种养装置 |
CN113040085B (zh) * | 2021-04-28 | 2023-05-02 | 淮北市金鳜湖水产养殖有限公司 | 一种用于鱼类的分类种养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748932C2 (ru) |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замены грузовых единиц | |
JP2017007777A (ja) | 移動式クレーン | |
KR20180098023A (ko) | 소금적재장치 | |
KR101336396B1 (ko) | 미세조정장치를 가지는 크레인 | |
US3578182A (en) | Lumber cart having cradle with variable height | |
US2540803A (en) | Log carrier | |
JP2018122999A (ja) | ジブ係留方法およびジブ係留装置 | |
US2096943A (en) | Pile driving attachment | |
KR101670614B1 (ko) | 차량 탈부착용 리프트 | |
US2577338A (en) | Bale hoist | |
JP5216300B2 (ja) | 昇降チェーン交換装置、及び、昇降チェーン交換装置の使用方法 | |
KR101471867B1 (ko) | 굴삭기를 이용한 집재장치 | |
KR101263300B1 (ko) | 본체 상하 이동식 권상장치 | |
CN106744469A (zh) | 具有斜向提升机构的卷纸装置 | |
CN207739960U (zh) | 一种旋挖钻机随行器 | |
CN112678731A (zh) | 后拉挂杆式举升机及上下平台方法 | |
JPH0790920B2 (ja) | コンテナ受台 | |
JP2015168579A (ja) | 集材装置 | |
CN220165745U (zh) | 一种钢丝卷搬运装置 | |
US2168393A (en) | Hay carrier | |
JP3696325B2 (ja) | 杭打機のリーダ起伏方法とその装置 | |
JP3811050B2 (ja) | 集材用搬器 | |
CN211846394U (zh) | 一种卷材铲起、转运、装机一体车 | |
KR101210588B1 (ko) | 버섯 퇴비 자동 입상 및 폐상 장치 | |
JPH0657593B2 (ja) | 架設集材搬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