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665A - 중력을 이용한 자재 적재 기구 - Google Patents
중력을 이용한 자재 적재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3665A KR20180093665A KR1020170020075A KR20170020075A KR20180093665A KR 20180093665 A KR20180093665 A KR 20180093665A KR 1020170020075 A KR1020170020075 A KR 1020170020075A KR 20170020075 A KR20170020075 A KR 20170020075A KR 20180093665 A KR20180093665 A KR 201800936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lifting
- backward
- rotation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자재 적재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00); 프레임(100)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승하강가이드(200); 승하강가이드(200)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몸체(300); 승하강몸체(300)에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하도록 설치되며, 전단부에는 적재될 자재(11)가 거치되는 전후진거치대(400); 승하강몸체(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천공된 돌기수용공(510)에는 전후진거치대(400)의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10)가 삽입되어 전후진거치대(400)의 전후진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하단부에는 걸림절개홈(520)이 구비되는 회전판(500); 승하강몸체(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단부에는 회전판(500)의 걸림절개홈(520)에 끼워져 회전판(50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걸림편(620)이 구비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단부에는 래치검출편(610)이 구비되는 검출레버(600); 전후진거치대(400)에서 낙하한 자재(11)를 거치하여 적재하는 래치(700); 전후진거치대(400)가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420); 및, 검출레버(600)의 회전방지걸림편(620)을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걸림절개홈(520)에 끼워진 회전방지걸림편(6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탄성부(6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자재를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전원선 연결이나 밧데리 교체가 필요 없어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판상의 자재를 적재하는 적재 기구는 자재의 구체적 형상, 무게,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판상의 자재를 순차적으로 적재하거나 적재된 자재를 반출하기 위한 동력장치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 제20-0314835호의 경우 도1에 도시된 것처럼 거푸집 패널(100)을 초기위치("A")로부터 적재위치("B")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1 컨베이어장치(10)와 거푸집 패널(100)을 상기 적재위치("B")로부터 반출위치("C")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컨베이어 장치(20), 상기 적재위치("B")에 설치되고 거푸집 패널(100)을 지지하고 상하로 승강이동되는 승강플레이트(30), 상기 적재위치("B")에 설치되어 거푸집 패널(100)을 그 이송경로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50)와, 상기 지지부재(50)를 거푸집 패널(100)의 양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간섭위치와 거푸집 패널(100)의 양측 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외측으로 이격된 비간섭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별도의 구동수단(48)이 필요하여 전원 공급 등의 복잡한 문제가 수반되고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2에 도시된 등록특허 제10-1382195호의 경우는 자재 보관장치는, 내측에 승강가이드홈(110a)이 각각 형성된 제1수직프레임(111), 제2수직프레임(112), 제3수직프레임(113) 및 제4수직프레임(114)들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외측 가장자리 상부와 중앙 및 하부를 각각 연결하여 수직프레임들을 지지하는 상부지지프레임(115), 중앙지지프레임(116), 하부지지프레임(117)들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과 제2수직프레임(112)의 내측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어 결합되는 제1적재부(118)와, 상기 제3수직프레임(113)과 제4수직프레임(114)의 내측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어 결합되되 상기 제1적재부(118)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적재부(119)로 구비되어 팔레트(170)를 포함하는 철판자재(A)를 적재 보관되는 적재타워(110)와; 상기 적재타워(110)의 상부지지프레임(115)에 서로 대응되게 결합고정되고 와이어(W)가 각각 권취되는 제1윈치(121), 제2윈치(122), 제3윈치(123), 제4윈치(124)와; 상기 제1윈치(121)와 제2윈치(122)에 제1구동축(125a)으로 연결되는 제1구동모터(125) 및 제3윈치(123)와 제4윈치(124)에 제2구동축(126a)으로 연결되는 제2구동모터(126)와; 상기 제1윈치(121), 제2윈치(122), 제3윈치(123), 제4윈치(124)에 각각 권취되는 와이어(W)가 연결되고 상기 적재타워(110)의 제1수직프레임(111), 제2수직프레임(112), 제3수직프레임(113) 및 제4수직프레임(114)에 양측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레일부(131b)가 일체로 형성된 리프트(130)와; 상기 리프트(130)에 설치되어 팔레트(170) 양측을 지지한 상태에서 적재타워(110)의 제1적재부(118) 및 제2적재부(119)에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안치시키기 위한 포크부재(140)와; 상기 적재타워(110)의 외측 하부에 철판자재(A)가 적재된 팔레트(170)를 안치시키며, 하강된 리프트(130)의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팔레트 이동수단(1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역시 다수의 구동모터가 사용되고 작동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목록]
등록실용 제20-0314835호
등록특허 제10-1382195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장치나 전원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과 편심의 원리를 이용하여 자재를 순차적으로 적재하거나 분출할 수 있는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자재 적재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승하강가이드(200); 상기 승하강가이드(200)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몸체(300); 상기 승하강몸체(300)에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하도록 설치되며, 전단부에는 적재될 자재(11)가 거치되는 전후진거치대(400); 상기 승하강몸체(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천공된 돌기수용공(510)에는 상기 전후진거치대(400)의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10)가 삽입되어 상기 전후진거치대(400)의 전후진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하단부에는 걸림절개홈(520)이 구비되는 회전판(500); 상기 승하강몸체(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단부에는 상기 회전판(500)의 걸림절개홈(520)에 끼워져 상기 회전판(50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걸림편(620)이 구비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단부에는 래치검출편(610)이 구비되는 검출레버(600); 상기 전후진거치대(400)에서 낙하한 자재(11)를 거치하여 적재하는 래치(700); 상기 전후진거치대(400)가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420); 및, 상기 검출레버(600)의 회전방지걸림편(620)을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걸림절개홈(520)에 끼워진 상기 회전방지걸림편(6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탄성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방지걸림편(620)이 상기 걸림절개홈(520)에 끼워져 맞물린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판(500)의 회전이 방지되어 상기 전후진거치대(400)가 전진한 상태가 되고, 상기 승하강몸체(300)가 상기 승하강가이드(200)를 따라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이 외부 물체에 맞닿아 밀려 올라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방지걸림편(620)이 상기 걸림절개홈(520)에서 빠져 나와 상기 회전판(500)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제1탄성부(420)에 의하여 상기 전후진거치대(400)가 후진하면서 거치된 자재(11)가 낙하하여 상기 래치(700)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별도의 동력장치가 전원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과 편심의 원리를 이용한 무동력 기구만으로 자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둘째, 전원 공급을 위한 별도의 설비가 불필요하고,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아 현장의 요구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셋째,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의 물리적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기술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측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4는 제1탄성부(420), 전후진거치대(400) 및 회전판(5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승하강몸체(300)의 하강과 관련된 일련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a) 회전판(500)의 걸림절개홈(520)에 검출레버(600)의 회전방지걸림편(620)이 결합된 상태로 승하강몸체(300)가 하강하다가 래치검출편(610)과 래치(700)가 맞닿은 상태, (b) 승하강몸체(300)의 하강이 지속되어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이 밀려 올라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방지걸림편(620)이 걸림절개홈(520)에서 빠져 나오고, 제1탄성부(420)에 의하여 전후진거치대(400)가 후진하면서 거치된 자재(11)가 낙하하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6은 검출레버(600)와 래치(700)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다.
도7은 경사가이드판(900)과 전후진거치대(400)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다.
도8은 본 발명인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 2개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측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4는 제1탄성부(420), 전후진거치대(400) 및 회전판(5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승하강몸체(300)의 하강과 관련된 일련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a) 회전판(500)의 걸림절개홈(520)에 검출레버(600)의 회전방지걸림편(620)이 결합된 상태로 승하강몸체(300)가 하강하다가 래치검출편(610)과 래치(700)가 맞닿은 상태, (b) 승하강몸체(300)의 하강이 지속되어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이 밀려 올라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방지걸림편(620)이 걸림절개홈(520)에서 빠져 나오고, 제1탄성부(420)에 의하여 전후진거치대(400)가 후진하면서 거치된 자재(11)가 낙하하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6은 검출레버(600)와 래치(700)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다.
도7은 경사가이드판(900)과 전후진거치대(400)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다.
도8은 본 발명인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 2개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측면 구조를 도시하고, 도4는 제1탄성부(420), 전후진거치대(400) 및 회전판(5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자재 적재 기구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100)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적재되는 자재(11) 및 다른 구성요소들의 하중을 견디고, 다른 구성요소에게 장착 및 작동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프레임(100)의 구체적 형상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에 충분하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승하강가이드(200)는 프레임(100)과 나란하게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 방향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승하강몸체(300)는 승하강가이드(200)에 삽입되고 중력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한다. 이러한 승하강몸체(300)는 승하강가이드(20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전후진거치대(400), 회전판(500), 및 검출레버(600) 등의 장착 및 작동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승하강몸체(300)의 구체적인 형상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에 충분하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전후진거치대(400)는 승하강몸체(300)에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전후진거치대(400)의 전단부에는 순차적으로 적재될 자재(11)가 일시적으로 거치되어 적재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회전판(500)은 승하강몸체(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회전판(500)의 상부에는 돌기수용공(510)이 천공되고, 이러한 돌기수용공(510)에는 전후진거치대(400)의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10)가 삽입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전후진거치대(400)의 전후진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판(500)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전후진거치대(400)가 후진(도3에서 좌측 방향)하면 이와 연동하여 회전판(500)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전후진거치대(400)가 전진하면 회전판(50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가 된다.
회전판(500)의 하단부에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절개홈(520)이 구비되고, 이러한 걸림절개홈(520)에 검출레버(600)의 회전방지걸림편(620)이 끼워지면 회전판(500)의 회전 및 전후진거치대(400)의 전후진 이동이 제한을 받게 된다.
검출레버(600)는 승하강몸체(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축을 중심으로 검출레버(600)의 후단부는 회전판(500)의 걸림절개홈(520)에 끼워져 회전판(50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걸림편(620)이 구비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단부에는 래치검출편(610)이 구비된다.
제2탄성부(630)는 검출레버(600)의 회전방지걸림편(620)을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걸림절개홈(520)에 끼워진 회전방지걸림편(620)의 이탈을 방지하여 회전판(500)의 회전 및 전후진거치대(400)의 전후진 이동이 제한을 받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래치(700)는 전후진거치대(400)에서 낙하한 자재(11)를 거치하여 적재하는 역할을 하는데, 도3에 도시된 것처럼 래치검출편(610)과 접촉되는 제2검지돌기(711)가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탄성부(420)는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전후진거치대(400)가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1탄성부(420)가 탄성력을 제공하더라도 검출레버(600)의 회전방지걸림편(620)이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판(500)의 걸림절개홈(520)에 끼워져 맞물린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판(500)의 회전이 방지되고, 전후진거치대(400)가 전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승하강몸체(300)가 중력에 의하여 승하강가이드(200)를 따라 하강하는 과정에서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이 래치(700)나 그 밖의 외부 물체에 맞닿아 밀려 올라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방지걸림편(620)은 하향 회전하면서 회전판(500)의 걸림절개홈(520)에서 빠져 나와 회전판(500)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1탄성부(4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후진거치대(400)가 후진하면서 거치된 자재(11)가 낙하하여 래치(700)에 적재된다.
이러한 과정은 도5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500)의 걸림절개홈(520)에 검출레버(600)의 회전방지걸림편(620)이 결합된 상태로 승하강몸체(300)가 하강하다가 래치검출편(610)과 래치(700)가 맞닿은 상태로서, 회전판(500)의 걸림절개홈(520)에 검출레버(600)의 회전방지걸림편(62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전후진거치대(400)의 후진이 방지되어 거치된 자재(11)가 승하강몸체(300)와 함께 안전하게 하강하게 된다.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검출편(610)과 래치(700)가 맞닿은 상태에서 승하강몸체(300)의 하강이 지속되면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이 밀려 올라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방지걸림편(620)이 하향 회전하여 걸림절개홈(520)에서 빠져 나오고, 제1탄성부(420)에 의하여 전후진거치대(400)가 후진하면서 거치된 자재(11)가 낙하하고, 낙하된 자재는 전후진거치대(400)의 직하부에 있는 래치(700)에 적재된다.
카운터웨이트(810)는 자재(11)가 전후진거치대(400)에 거치되면 승하강몸체(300)가 승하강가이드(200)를 따라 하강할 수 있고, 자재(11)가 전후진거치대(400)에 거치되지 않으면 승하강몸체(300)가 승하강가이드(200)를 따라 상승할 수 있는 범위의 중량을 가지게 된다.
휠(820)은 프레임(100)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구비되고, 벨트나 체인(830)이 이러한 휠(820) 각각에 맞물려 상하 이동하는데, 도3에 도시된 것처럼 벨트나 체인(830)의 일측에는 승하강몸체(300)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카운터웨이트(810)가 연결된다.
따라서, 자재(11)가 전후진거치대(400)에 거치되면 무게 차이에 따른 중력에 의하여 승하강몸체(300)가 승하강가이드(200)를 따라 자동 하강하고, 거치된 자재(11)를 래치(700)로 전달하고 나면 무게 차이가 역전되어 하강하였던 승하강몸체(300)가 다시 상승하게 된다.
도6은 검출레버(600)와 래치(700)의 작동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데, 자재(11)가 거치되는 래치(700)는 다수 개가 미리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7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단부는 자재(11)가 적재되는 자재적재부(710)를 형성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단부는 자재적재부(7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운 편심부(720)를 형성하여 자재(11)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재적재부(710)가 상향 회전하여 수직 방향으로 접힌 상태가 되면서 검출레버(600)의 승하강시 상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래치(700)는 도6에 도시된 것처럼 자재(11)가 적재되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 자재(11)가 적재된 래치(700)의 직상부에 위치하면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를 이루도록 펼쳐진 상태, 및 수직으로 접힌 상태 가운데 어느 한 가지 상태가 될 수 있다.
자재(11)가 적재된 래치(700)들은 자재적재부(710)가 하향 회전하여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가 되고, 자재(11)가 적재되어 자재적재부(710)가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래치(700)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래치(700)는 자재(11)가 적재된 래치(700)의 회전에 따라 상향 회동하는 편심부(720)에 맞닿아 자재적재부(710)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를 이루도록 펼쳐져 전후진거치대(400)에서 낙하 이송되는 자재(11)를 거치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수직과 수평의 중간 위치정도로 펼쳐져 낙하 이송되는 자재(11)를 받아서 적재할 수 있으나, 하강하는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과는 접촉(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가 되는 것이다.
아울러, 자재적재부(710)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를 이루도록 펼쳐진 상태의 래치(700)는 직상부에 위치하는 래치(700)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나머지 래치(700)들은 자재적재부(710)가 수직 방향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승하강몸체(300)와 함께 하강하는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은 자재적재부(710)가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의 래치(700)와 맞닿게 되는데, 래치검출편(610)과 래치(700)가 맞닿은 상태에서 승하강몸체(300)의 하강이 지속되면 래치검출편(610)이 밀려 올라가는 방향으로 검출레버(60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회전방지걸림편(620)이 하향 회전하면서 걸림절개홈(520)에서 빠져 나와, 제1탄성부(420)에 의하여 전후진거치대(400)가 후진하면서 거치된 자재(11)가 낙하하고, 낙하된 자재는 전후진거치대(400)의 직하부에 있는 래치(700)에 적재된다.
이 때 전후진거치대(400)의 직하부에 있는 래치(700)는 자재적재부(710)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를 이루도록 펼쳐져 전후진거치대(400)에서 낙하되는 자재(11)를 받아서 적재할 수 있는데, 자재(11)를 적재하는 순간 자재적재부(710)가 하향 회전하여 완전히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게 되고, 그 상부에 있는 래치(700)는 자재(11)가 적재된 래치(700)의 회전에 따라 자재적재부(710)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를 이루도록 펼쳐져 전후진거치대(400)에서 낙하 이송되는 자재(11)를 거치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자재(11)가 전후진거치대(400)에서 래치(700)로 옮겨짐에 따라 카운터웨이트(810)의 작동으로 승하강몸체(300)가 초기 위치로 상승하게 되고, 승하강몸체(300)와 함께 상승하는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은 수평 방향으로 완전히 펼쳐진 래치(7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승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래치(700)와 맞닿게 되어 상승이 방해를 받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 전단부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하부에서 외부 물체와 맞닿으면 회전하지 않고, 상부에서 외부 물체와 맞닿으면 하향 회전하는 일방향회전접촉부(611) 구조가 구비되어야 한다.
일방향회전접촉부(611)는 도6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면에 의하여 상향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가 될 수도 있고,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는 핀을 이용하여 상향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 전단부에 일방향회전접촉부(611) 구조가 구비되면 승하강몸체(300)가 하강할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자재(11)의 하강 이송 및 적재가 이루어지고, 승하강몸체(30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자재(11)가 적재되어 자재적재부(710)가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래치(700)와 일방향회전접촉부(611)가 맞닿아도 일방향회전접촉부(611)가 하향 회전하면서 승하강몸체(300)의 상승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래치검출편(610)의 일방향회전접촉부(611)에는 래치(700)를 향하여 측면으로 돌출된 제1검지돌기(612)가 구비되고, 래치(700)의 자재적재부(710)에는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을 향하여 측면으로 돌출된 제2검지돌기(711)가 구비되어 제1검지돌기(612)와 제2검지돌기(711)가 맞닿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도7은 경사가이드판(900)과 전후진거치대(400)의 작동 구조를 도시하는데, 경사가이드판(900)은 후진한 전후진거치대(400)를 초기 위치로 복귀(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경사가이드판(900)은 프레임(100)의 상부에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카운터웨이트(810)의 작동으로 승하강몸체(300)가 상승함에 따라 전후진거치대(400)의 후단부에 맞닿아 전후진거치대(400)를 원래의 위치로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전후진거치대(400)가 전진하게 되면 전후진거치대(40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판(500)의 걸림절개홈(520)에 검출레버(600)의 회전방지걸림편(620)이 끼워져 전후진거치대(400)의 후진을 방지하게 되고, 전진한 전후진거치대(400)에는 새로운 자재(11)가 옮겨져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가이드판(900)은 카운터웨이트(810), 벨트나 체인(830), 승하강몸체(30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의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한다.
본 발명인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는 통상적으로 2개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3개 또는 그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데, 다수의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승하강몸체(300)의 승하강 속도 및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필요가 있는데, 도8에 도시된 것처럼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어 한 쌍을 이룰 경우 서로 마주보는 상하부 휠(820) 가운데 어느 일측은 서로 싱크로샤프트(840)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아울러 휠(820)과 벨트나 체인(830)은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 구조로 맞물리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아래의 도면부호는 본 발명에 관한 도면인 도3 내지 도8에만 적용되며, 선행기술에 관한 도면인 도1 및 도2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100:프레임
200:승하강가이드
300:승하강몸체
400:전후진거치대
410:걸림돌기
420:제1탄성부
500:회전판
510:돌기수용공
520:걸림절개홈
600:검출레버
610:래치검출편
611:일방향회전접촉부
612:제1검지돌기
620:회전방지걸림편
630:제2탄성부
700:래치
710:자재적재부
711:제2검지돌기
720:편심부
810:카운터웨이트
820:휠
830:벨트나 체인
840:싱크로샤프트
900:경사가이드판
11:자재
100:프레임
200:승하강가이드
300:승하강몸체
400:전후진거치대
410:걸림돌기
420:제1탄성부
500:회전판
510:돌기수용공
520:걸림절개홈
600:검출레버
610:래치검출편
611:일방향회전접촉부
612:제1검지돌기
620:회전방지걸림편
630:제2탄성부
700:래치
710:자재적재부
711:제2검지돌기
720:편심부
810:카운터웨이트
820:휠
830:벨트나 체인
840:싱크로샤프트
900:경사가이드판
11:자재
Claims (7)
-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자재 적재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승하강가이드(200);
상기 승하강가이드(200)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몸체(300);
상기 승하강몸체(300)에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하도록 설치되며, 전단부에는 적재될 자재(11)가 거치되는 전후진거치대(400);
상기 승하강몸체(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천공된 돌기수용공(510)에는 상기 전후진거치대(400)의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10)가 삽입되어 상기 전후진거치대(400)의 전후진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하단부에는 걸림절개홈(520)이 구비되는 회전판(500);
상기 승하강몸체(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단부에는 상기 회전판(500)의 걸림절개홈(520)에 끼워져 상기 회전판(50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걸림편(620)이 구비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단부에는 래치검출편(610)이 구비되는 검출레버(600);
상기 전후진거치대(400)에서 낙하한 자재(11)를 거치하여 적재하는 래치(700);
상기 전후진거치대(400)가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420); 및,
상기 검출레버(600)의 회전방지걸림편(620)을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걸림절개홈(520)에 끼워진 상기 회전방지걸림편(6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탄성부(6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방지걸림편(620)이 상기 걸림절개홈(520)에 끼워져 맞물린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판(500)의 회전이 방지되어 상기 전후진거치대(400)가 전진한 상태가 되고, 상기 승하강몸체(300)가 상기 승하강가이드(200)를 따라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이 외부 물체에 맞닿아 밀려 올라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방지걸림편(620)이 상기 걸림절개홈(520)에서 빠져 나와 상기 회전판(500)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제1탄성부(420)에 의하여 상기 전후진거치대(400)가 후진하면서 거치된 자재(11)가 낙하하여 상기 래치(700)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 - 제1항에서,
자재(11)가 상기 전후진거치대(4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몸체(300)가 상기 승하강가이드(200)를 따라 하강할 수 있고, 자재(11)가 상기 전후진거치대(400)에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몸체(300)가 상기 승하강가이드(200)를 따라 상승할 수 있는 범위의 중량을 가지는 카운터웨이트(810);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구비되는 휠(820); 및,
상기 휠(820) 각각에 맞물려 상하 이동하며 일측은 상기 승하강몸체(3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카운터웨이트(810)에 연결되는 벨트나 체인(830);
이 더 포함되어,
상기 전후진거치대(400)에 자재(11)가 거치되면 중력에 의하여 상기 승하강몸체(300)가 자동으로 하강하고,
상기 전후진거치대(400)에 거치된 자재(11)가 상기 래치(700)로 옮겨지면 중력에 의하여 상기 승하강몸체(300)가 자동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 - 제2항에서,
상기 래치(700)는,
다수 개가 미리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단부는 자재(11)가 적재되는 자재적재부(710)를 형성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단부는 상기 자재적재부(7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운 편심부(720)를 형성하여 자재(11)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자재적재부(710)가 상향 회전하여 수직 방향으로 접힌 상태가 되며,
자재(11)가 적재된 상태에서는 상기 자재적재부(710)가 하향 회전하여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가 되고, 자재(11)가 적재되어 상기 자재적재부(710)가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래치(700)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래치(700)는 자재(11)가 적재된 래치(700)의 회전에 따라 상향 회동하는 상기 편심부(720)에 맞닿아 상기 자재적재부(710)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를 이루도록 펼쳐져 상기 전후진거치대(400)에서 낙하 이송되는 자재(11)를 거치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자재적재부(710)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를 이루도록 펼쳐진 상태의 래치(700)는 직상부에 위치하는 래치(700)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 - 제3항에서,
상기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은 상기 승하강몸체(300)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자재적재부(710)가 하향 회전하여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의 래치(700)에 맞닿아 밀려 올라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 - 제3항 또는 제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검출레버(600)의 래치검출편(610)의 전단부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하부에서 외부 물체와 맞닿으면 회전하지 않고, 상부에서 외부 물체와 맞닿으면 하향 회전하는 일방향회전접촉부(611);
가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몸체(30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자재(11)가 적재되어 상기 자재적재부(710)가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래치(700)와 상기 일방향회전접촉부(611)가 맞닿아도 상기 래치검출편(610)이 하향 회전하여 상기 승하강몸체(300)의 상승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 - 제2항 내지 제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몸체(30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전후진거치대(400)의 후단부에 맞닿아 상기 전후진거치대(400)를 원래의 위치로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밀어주면서 상기 전후진거치대(40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500)의 걸림절개홈(520)에 상기 검출레버(600)의 회전방지걸림편(620)이 끼워지도록 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경사가이드판(90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 - 제2항 내지 제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어 한 쌍을 이루고,
서로 마주보는 상하부 휠(820) 가운데 어느 일측은 서로 싱크로샤프트(840)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기 휠(820)과 상기 벨트나 체인(830)은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 구조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재 적재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0075A KR101975900B1 (ko) | 2017-02-14 | 2017-02-14 | 중력을 이용한 자재 적재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0075A KR101975900B1 (ko) | 2017-02-14 | 2017-02-14 | 중력을 이용한 자재 적재 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3665A true KR20180093665A (ko) | 2018-08-22 |
KR101975900B1 KR101975900B1 (ko) | 2019-05-07 |
Family
ID=6345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0075A KR101975900B1 (ko) | 2017-02-14 | 2017-02-14 | 중력을 이용한 자재 적재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590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63281A (zh) * | 2019-11-20 | 2020-04-07 | 重庆启尔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pcb板自动上料用送板机 |
CN112573080A (zh) * | 2020-12-23 | 2021-03-30 | 江阴市华方新技术科研有限公司 | 一种宝塔管自动下料组串机构 |
WO2021082552A1 (zh) * | 2019-11-02 | 2021-05-06 | 金华华东环保设备有限公司 | 一种袋装物的自动叠包机 |
CN113478429A (zh) * | 2021-05-27 | 2021-10-08 | 安徽美博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空调流水线生产用移动装配架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81088A (ja) * | 2013-03-18 | 2014-09-29 | Bridgestone Corp | 無動力垂直昇降装置 |
-
2017
- 2017-02-14 KR KR1020170020075A patent/KR1019759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81088A (ja) * | 2013-03-18 | 2014-09-29 | Bridgestone Corp | 無動力垂直昇降装置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82552A1 (zh) * | 2019-11-02 | 2021-05-06 | 金华华东环保设备有限公司 | 一种袋装物的自动叠包机 |
CN110963281A (zh) * | 2019-11-20 | 2020-04-07 | 重庆启尔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pcb板自动上料用送板机 |
CN112573080A (zh) * | 2020-12-23 | 2021-03-30 | 江阴市华方新技术科研有限公司 | 一种宝塔管自动下料组串机构 |
CN113478429A (zh) * | 2021-05-27 | 2021-10-08 | 安徽美博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空调流水线生产用移动装配架 |
CN113478429B (zh) * | 2021-05-27 | 2024-04-02 | 安徽美博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空调流水线生产用移动装配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5900B1 (ko) | 2019-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5900B1 (ko) | 중력을 이용한 자재 적재 기구 | |
US10023434B2 (en) | Robotic enabled vertical lift | |
TW546234B (en) | Load storage equipment | |
JP5770110B2 (ja) | 保管用設備、並びに特にこの設備用の倉庫ラック及び荷役機械 | |
JP6102759B2 (ja) | 物品搬送台車 | |
JP6435795B2 (ja) | 物品搬送設備 | |
JP2016121001A (ja) | 物品搬送用容器昇降搬送装置 | |
US10053339B2 (en) |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 |
US9938090B2 (en) |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 |
KR101382195B1 (ko) | 자재 보관장치 | |
CN205527152U (zh) | 一种防坠装置 | |
CN110155856B (zh) | 安葬工作系统及运载平台对位方法 | |
JPWO2012060146A1 (ja) | スタッカークレーン及び物品の搬出入方法 | |
TWI438130B (zh) | Positioning means and a mounting table using the positioning means | |
JP2015209277A (ja) | 自動倉庫 | |
JP5260160B2 (ja) | 立体格納庫 | |
JP2007076802A (ja) | 段ばらし装置、段積み装置及び段ばらし段積み装置 | |
SU1299494A3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полнени сло ми пакетов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го складского стеллажа | |
JP5094585B2 (ja) | 立体格納庫 | |
JP2868414B2 (ja) | 物品保管設備 | |
JPS6214001Y2 (ko) | ||
JP3335044B2 (ja) | 機械式駐車設備の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 |
CN215439467U (zh) | 一种垂直提升机工作站及吊挂输送线 | |
CN210594280U (zh) | 堆叠装置 | |
TW202430456A (zh) | 保管棚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