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272A -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3272A KR20180083272A KR1020180004664A KR20180004664A KR20180083272A KR 20180083272 A KR20180083272 A KR 20180083272A KR 1020180004664 A KR1020180004664 A KR 1020180004664A KR 20180004664 A KR20180004664 A KR 20180004664A KR 20180083272 A KR20180083272 A KR 201800832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formula
- carbon atoms
- substituted
- unsubstitu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 C07D25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51/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51/30—Only oxygen ato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02—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halogens
- C08G18/3804—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812—Polyhydroxy compounds having fluorine ato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50—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5003—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halogens
- C08G18/5015—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halogens having fluorine ato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unsaturated compounds
- C08G65/00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s
- C08G65/00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s containing fluori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3—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08G65/33303—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amino group
- C08G65/33317—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amino group heterocycl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08J3/091—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the organic liquid
- C08J3/095—Oxygen 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01M2300/0037—Mixture of solv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수성 유기용매; 리튬염;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수 전해액은 고온 저장시 이차전지 내부에서 발생되는 CO 또는 CO2 등의 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리튬 이차전지의 고온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올리고머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저장 기술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특히, 휴대폰, 캠코더 및 노트북 PC, 나아가서는 전기자동차에까지 그 적용 분야가 확대되면서, 에너지 저장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전기화학소자는 이러한 에너지 저장 기술분야 중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분야이며, 그 중에서도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이차전지 중에서 1990년대 초에 개발된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높고 에너지 밀도가 월등히 크다는 점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 및 전해액 용매와 전해질염을 포함하는 비수전해액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해액 용매는 전지의 충방전 중 전극 표면에서 분해되거나, 탄소재 음극층 간에 코인터칼레이션 (co-intercalation)되어 음극 구조를 붕괴시키므로, 전지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지의 초기 충전시 전해액 용매의 환원에 의해 음극 표면에 형성된 고체전해질 계면(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막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상기 SEI 막은 리튬 이차전지가 고온 환경하에서 작동되거나 방치되는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전기화학적 에너지와 열에너지에 의해 붕괴되기 쉽다. SEI 막이 붕괴되는 경우, 음극이 노출되고, 노출된 음극이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반응을 지속적으로 일으키면서 CO, CO2, CH4, 및 C2H6 등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결국, 그 영향으로 전지 내압이 상승하여 전지 부풀음(swelling)과 같은 전지 변형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전지의 내부 단락을 야기하여 전지가 발화 또는 폭발될 수 있다.
최근 비수전해액 내에 SEI 막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SEI 막 형성용 첨가제를 추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전해액 첨가제로 인하여 고온 반응시 양극 표면에서 전해액 산화 반응이 일어나면서, 궁극적으로 이차전지의 비가역 용량이 증가하고, 출력 특성이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였다.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온 저장시 가스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비수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 과제는 고온 저장시 가스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비수전해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기술적 과제는 상기 비수전해액을 포함함으로써, 고온 저장 안정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리튬염; 비수성 유기용매; 및
첨가제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며,
이때 R10은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R11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렌기이며,
R1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7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에서,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지환족 탄화수소기 또는 선형 탄화수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환족 탄화소수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함유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시클로알케닐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헤테로시클로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선형 탄화수소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함유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실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키닐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에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헤테로아릴렌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a]
상기 화학식 1a에서,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며,
R10은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고, R11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렌기이며,
R1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이고,
n은 10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2 중 어느 하나의 정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a-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a-1]
상기 화학식 1a-1에서,
n은 10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정수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액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는 비수전해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 g/mol 내지 10,000 g/mol, 구체적으로 3,000 g/mol 내지 8,000 g/mol, 보다 구체적으로 3,000 g/mol 내지 5,000 g/mol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음극, 양극, 상기 음극 및 양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본 발명의 비수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올리고머를 첨가제로 포함함으로써, 고온 저장시 이차전지 내부에서 발생되는 CO 또는 CO2 등의 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포함함으로써 고온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리튬 이차전지의 고온 저장 시 두께 증가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리튬 이차전지의 고온 저장 시 두께 증가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 * "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원자 또는 화학식의 말단부 간의 연결된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리튬염;
비수성 유기용매; 및
첨가제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며,
R10은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R11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렌기이며,
R1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7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이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에서,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지환족 탄화수소기 또는 선형 탄화수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환족 탄화소수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함유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시클로알케닐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헤테로시클로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선형 탄화수소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함유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실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키닐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에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헤테로아릴렌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a]
상기 화학식 1a에서,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며,
R10은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고, R11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렌기이며,
R1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이고,
n은 10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2 중 어느 하나의 정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a-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a-1]
상기 화학식 1a-1에서,
n은 10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정수다.
상기 본 발명의 비수전해액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는 양 말단에 자체적으로 가교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친수성 부분인 아크릴레이트계 작용기를 함유하는 동시에, 소수성 부분인 불소로 치환된 알킬렌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지 내에서 계면활성제(surfactant) 역할을 수행하여 전극 계면과의 표면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액은 젖음성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는 리튬염을 해리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리튬 이온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주사슬의 반복단위로 전기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고, Li 이온과의 반응성이 낮은 불소 치환 에틸렌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리튬 이온 (Li+)의 부반응 및 리튬염(salt)의 분해 반응 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과충전 또는 고온 저장 시에 CO 또는 CO2 등의 가스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 변형 또는 전지 내부 단락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리튬 이차전지의 고온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수전해액 첨가제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는 비수 전해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가스 발생 저감 효과가 미미하고, 첨가제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의 올리고머에 의해 저항이 증가하여, 사이클 특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반복 단위의 개수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약 1,000 g/mol 내지 10,000 g/mol, 구체적으로 3,000 g/mol 내지 8,000 g/mol, 보다 구체적으로 3,000 g/mol 내지 5,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양극 및 음극 표면에 보호층이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g/mol 미만이면, 전해액의 부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불소가 치환된 반복단위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전극과 전해액의 부반응 억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g/mol을 초과하면, 올리고머의 물성 자체가 경직(rigid)되고, 전해질 용매와 친화성이 낮아져 용해가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높은 분자량에 의해 제조된 전해액의 점도가 크게 상승하여 전극 및 분리막 내에서 비수전해액의 젖음성이 저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튬 이차전지의 제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를 의미할 수 있고, 특별하게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분자량은 중량평균분자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GPC 조건으로 Agilent社 1200시리즈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이때 사용된 컬럼은 Agilent社 PL mixed B 컬럼을 이용할 수 있고, 용매는 THF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수 전해액에 포함되는 리튬염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염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양이온으로 Li+를 포함하고, 음이온으로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AlO4 -, AlCl4 -, PF6 -, SbF6 -, AsF6 -, BF2C2O4 -, BC4O8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 C4F9SO3 -, CF3CF2SO3 -, (CF3SO2)2N-, (F2SO2)2N-, CF3CF2(CF3)2CO-, (CF3SO2)2CH-,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1종 또는 필요에 따라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리튬염은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으나, 최적의 전극 표면의 부식 방지용 피막 형성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전해액 내에 0.8 M 내지 2M, 구체적으로 0.8M 내지 1.5M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수 전해액에 포함되는 비수성 유기 용매는 이차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산화 반응 등에 의한 분해가 최소화될 수 있고, 첨가제와 함께 목적하는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테르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또는 아미드계 용매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 중 에테르계 용매로는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 에테르, 메틸에틸에테르, 메틸프로필 에테르 및 에틸프로필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계 용매는 환형 카보네이트 화합물, 선형 카보네이트 화합물, 선형 에스테르 화합물, 및 환형 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1,2-부틸렌 카보네이트, 2,3-부틸렌 카보네이트, 1,2-펜틸렌카보네이트, 2,3-펜틸렌 카보네이트,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FE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 및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선형 에스테르 화합물은 그 구체적인 예로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 및 부틸 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환형 에스테르 화합물은 그 구체적인 예로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γ-카프로락톤, σ-발레로락톤, ε-카프로락톤과 같은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스테르계 용매 중에서 환형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은 고점도의 유기용매로서 유전율이 높아 전해질 내의 리튬염을 잘 해리시키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환형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에 디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와 같은 저점도, 저유전율 선형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및 선형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높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 전해액을 만들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은 필요에 따라서 부가적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부가적 첨가제로는 비닐렌 카보네이트,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비닐에틸렌 카보네이트, 환형 설파이트, 포화 설톤, 불포화 설톤, 비환형 설폰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형 설파이트로는 에틸렌 설파이트, 메틸 에틸렌 설파이트, 에틸 에틸렌 설파이트, 4,5-디메틸 에틸렌 설파이트, 4,5-디에틸 에틸렌 설파이트, 프로필렌 설파이트, 4,5-디메틸 프로필렌 설파이트, 4,5-디에틸 프로필렌설파이트, 4,6-디메틸 프로필렌 설파이트, 4,6-디에틸 프로필렌 설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설파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포화 설톤으로는 1,3-프로판 설톤, 1,4-부탄 설톤 등을 들 수 있으며, 불포화 설톤으로는 에텐설톤, 1,3-프로펜 설톤, 1,4-부텐 설톤, 1-메틸-1,3-프로펜 설톤 등을 들 수 있으며, 비환형 설폰으로는 디비닐설폰, 디메틸 설폰, 디에틸 설폰, 메틸에틸 설폰, 메틸비닐 설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부가적 첨가제들은 2 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전해액 총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가적 첨가제의 함량이 0.01 중량% 보다 적으면 전지의 저온 출력 개선 및 고온 저장 특성 및 고온 수명 특성 개선의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부가적 첨가제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면 전지의 충방전시 전해액 내의 부반응이 과도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상기 부가적 첨가제들이 과량으로 첨가될 시에 고온에서 충분히 분해되지 못하여, 상온에서 전해액 내에서 미반응물 또는 석출된 채로 존재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수명 또는 저항특성이 저하되는 부반응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극, 음극,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상기 본 발명의 비수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 구조체에 본 발명의 비수 전해액을 주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전극 구조체를 이루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은 리튬 이차전지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것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합제층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합제층은 양극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및 용매 등을 포함하는 양극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 상에 코팅한 후, 건조 및 압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코발트, 망간, 니켈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1종 이상의 금속과 리튬을 포함하는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은 리튬-망간계 산화물(예를 들면, LiMnO2, LiMn2O4 등), 리튬-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CoO2 등), 리튬-니켈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O2 등), 리튬-니켈-망간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1 - YMnYO2(여기에서, 0<Y<1), LiMn2 - zNizO4(여기에서, 0<Z<2) 등), 리튬-니켈-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1 - Y1CoY1O2(여기에서, 0<Y1<1) 등), 리튬-망간-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Co1-Y2MnY2O2(여기에서, 0<Y2<1), LiMn2 - z1Coz1O4(여기에서, 0<Z1<2) 등), 리튬-니켈-망간-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pCoqMnr1)O2(여기에서, 0<p<1, 0<q<1, 0<r1<1, p+q+r1=1) 또는 Li(Nip1Coq1Mnr2)O4(여기에서, 0<p1<2, 0<q1<2, 0<r2<2, p1+q1+r2=2) 등), 또는 리튬-니켈-코발트-전이금속(M) 산화물(예를 들면, Li(Nip2Coq2Mnr3MS2)O2(여기에서, M은 Al, Fe, V, Cr, Ti, Ta, Mg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p2, q2, r3 및 s2는 각각 자립적인 원소들의 원자분율로서, 0<p2<1, 0<q2<1, 0<r3<1, 0<s2<1, p2+q2+r3+s2=1이다) 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전지의 용량 특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은 LiCoO2, LiMnO2, LiNiO2, 리튬 니켈망간코발트 산화물 (예를 들면 Li(Ni1/3Mn1/3Co1/3)O2, Li(Ni0.6Mn0.2Co0.2)O2, Li(Ni0.5Mn0.3Co0.2)O2, Li(Ni0.7Mn0.15Co0.15)O2 및 Li(Ni0.8Mn0.1Co0.1)O2 등), 또는 리튬 니켈코발트알루미늄 산화물(예를 들면, Li(Ni0.8Co0.15Al0.05)O2 등) 등일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양극 슬러리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내지 99.5 중량%, 구체적으로 85 중량%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극활물질 함량이 80 중량% 이하인 경우 에너지 밀도가 낮아져 용량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슬러리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양극 슬러리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더욱 상세하게는 3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로 첨가된다. 상기 바인더가 1 중량부 미만이면 전극활물질과 집전체와의 접착력이 불충분해질 수 있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력은 향상되지만 그만큼 전극활물질의 함량이 감소하여 전지 용량이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부여하는 물질로서, 양극 슬러리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재는 그 대표적인 예로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또는 서멀 블랙 등의 탄소 분말; 결정구조가 매우 발달된 천연 흑연, 인조흑연, 또는 그라파이트 등의 흑연 분말;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아세틸렌 블랙 계열 도전재 (Chevron Chemical Company 제조, 덴카 블랙(Denka Singapore Private Limited 제조), 또는 Gulf Oil Company 제조), 케첸 블랙(Ketjenblack), EC 계열(Armak Company 제조), 불칸 XC-72 (Cabot Company 제조) 및 수퍼(Super)-P(Timcal 제조) 등의 명칭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는 NMP(N-methyl-2-pyrrolidone) 등의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양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 등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점도가 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슬러리 중의 고형분 농도가 10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 20 중량% 내지 50 중량%가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합제층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합제층은 음극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및 용매 등을 포함하는 음극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 상에 코팅한 후, 건조 및 압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활물질은 리튬 금속,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탄소 물질, 금속 또는 이들 금속과 리튬의 합금,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 및 전이 금속 산화물 전이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탄소 물질로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계 음극 활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또는 이들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정질 탄소의 예로는 무정형, 판상, 인편상(flake), 구형 또는 섬유형의 천연 흑연 또는 인조 흑연과 같은 흑연을 들 수 있고, 상기 비정질 탄소의 예로는 소프트 카본(soft carbon: 저온 소성 탄소) 또는 하드 카본(hard carbon), 메조페이스 피치 탄화물, 소성된 코크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또는 이들 금속과 리튬의 합금으로는 Cu, Ni, Na, K, Rb, Cs, Fr, Be, Mg, Ca, Sr, Si, Sb, Pb, In, Zn, Ba, Ra, Ge, Al 및 S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또는 이들 금속과 리튬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복합 산화물로는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Bi2O5, LixFe2O3(0≤x≤1), LixWO2(0≤x≤1), 및 SnxMe1-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로는 Si, SiOx(0 < x < 2), Si-Y 합금(상기 Y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3족 원소, 14족 원소, 전이금속, 희토류 원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이며, Si은 아님), Sn, SnO2, Sn-Y(상기 Y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3족 원소, 14족 원소, 전이금속, 희토류 원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이며, Sn은 아님)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 중 적어도 하나와 SiO2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원소 Y로는 Mg, Ca, Sr, Ba, Ra, Sc, Y, Ti, Zr, Hf, Rf, V, Nb, Ta, Db, Cr, Mo, W, Sg, Tc, Re, Bh, Fe, Pb, Ru, Os, Hs, Rh, Ir, Pd, Pt, Cu, Ag, Au, Zn, Cd, B, Al, Ga, Sn, In, Ti, Ge, P, As, Sb, Bi, S, Se, Te, P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로는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바나듐 산화물, 리튬 바나듐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음극 슬러리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내지 99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도전재, 활물질 및 집전체 간의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음극 슬러리 중 고형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양극 제조 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음극 슬러리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또는 NMP(N-methyl-2-pyrrolidone) 등의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 등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점도가 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고형분의 농도가 50 중량%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 70 중량% 내지 90 중량%가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분리막으로는 종래에 분리막으로 사용된 통상적인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적인 다공성 부직포, 예를 들어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실시예
1
(비수전해액 제조)
1M LiPF6가 용해된 비수성 유기용매 (에틸렌 카보네이트(EC):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 3:7 부피비) 95g에 상기 화학식 1a-1의 화합물 (n=10, 중량평균분자량(Mw): 3,000 g/mol) 5g을 첨가하여 본 발명의 비수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이차전지 제조)
양극 활물질로 (LiNi1 / 3Co1 / 3Mn1 / 3O2; NCM) 94 중량%, 도전재로 카본 블랙(carbon black) 3 중량%,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3 중량%를 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양극 활물질 슬러리 (고형분 함량 50%)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두께가 20㎛ 정도의 양극 집전체인 알루미늄(Al)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 활물질로 탄소 분말, 바인더로 PVDF, 도전재로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각각 96 중량%, 3 중량% 및 1 중량%로 하여 용매인 NMP에 첨가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 (고형분 함량 80%)를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두께가 10㎛의 음극 집전체인 구리(Cu)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음극 및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PP/PE/PP) 3층으로 이루어진 분리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음극 및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PP/PE/PP) 3층으로 이루어진 분리막을 이용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고, 이를 전지케이스에 수납하고 상기 제조된 비수전해액을 주액하여 리튬 이차전지(Full cell)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비수전해액 제조 시에, 비수성 유기용매 90g에 상기 화학식 1a-1의 화합물 10g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비수전해액 제조 시에, 비수성 유기용매 99g에 상기 화학식 1a-1의 화합물을 1g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비수전해액 제조 시에, 비수성 유기용매 95g에 상기 화학식 1a-1의 화합물 (중량평균분자량(Mw): 1,000 g/mol) 5g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비수전해액 제조 시에, 비수성 유기용매 80g에 상기 화학식 1a-1의 화합물 20g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비수전해액 제조 시에, 비수성 유기용매 95g에 상기 화학식 1a-1의 화합물 (중량평균분자량(Mw): 10,000 g/mol) 5g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비수전해액 제조 시에, 비수성 유기용매 99.7g에 상기 화학식 1a-1의 화합물 (n=10, 중량평균분자량(Mw): 3,000 g/mol) 0.3g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비수전해액 제조 시에, 비수성 유기용매 75g에 상기 화학식 1a-1의 화합물 25g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비수전해액 제조 시에, 비수성 유기용매 95g에 상기 화학식 1a-1의 화합물 (중량평균분자량(Mw): 500 g/mol) 5g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비수전해액 제조 시에, 비수성 유기용매 95g에 상기 화학식 1a-1의 화합물 (중량평균분자량(Mw): 20,000 g/mol) 5g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수전해액 제조)
1M LiPF6를 비수성 유기용매 (에틸렌 카보네이트(EC):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3:7 부피비)에 용해하여 비수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실시예 1 내지 10의 비수전해액과 비교예 1의 비수전해액의 구성을 정리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고온 성능 평가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의 리튬 이차전지를 0.1 C rate로 3시간 충전하였다. 이어서, 탈가스(degas)/재밀봉(reseal)하고 실온에서 0.2C로 4.15V까지 정전류/정전압 조건으로 충전하고, 0.2C로 3.0V까지 정전류 조건으로 방전하여 초기 충방전을 수행하였다. 초기 충방전 후, 각각 4.15V로 충전하고, 60℃에서 10 주 동안 저장(SOC(state of charge) 100%)한 다음, 60℃에서의 두께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두께 증가율(%)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전해액을 사용한 실시예 1 및 2의 이차전지의 경우, 올리고머를 포함하지 않은 전해액을 사용한 비교예 1에 비해 60℃에서 4주간 이후부터 두께 증가율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고온 성능 저장
실시예 3 내지 10에서 제조한 리튬 이차전지에서 제조한 리튬 이차전지를 0.1C rate로 3시간 충전하였다. 이어서, 탈가스 (degas)/재밀봉 (reseal)하고 실온에서 0.2C로 4.15V까지 정전류/정전압조건으로 충전하고, 0.2C로 3.0V까지 정전류 조건으로 방전하여 초기 충방전을 수행하였다. 초기 충방전 후, 각각 4.15V로 충전하고, 60℃에서 6주 동안 저장(SOC 100%)한 다음, 0주차 대비 6주 차의 cell의 용량 유지율(%) 및 두께 변화율(swelling)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 내지 6에서 제조한 리튬 이차전지는 고온 저장 후 용량 유지율이 약 94% 이상이고, 고온 저장 후 두께 증가율은 약 7.2%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첨가제가 소량 포함된 비수전해액을 구비한 실시예 7의 리튬 이차전지의 고온 저장 후 용량 유지율은 82.4% 이상이고, 고온 저장 후 두께 증가율은 15%로 실시예 3 내지 6에서 제조한 리튬 이차전지 대비 열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첨가제가 과량 포함된 비수전해액을 구비한 실시예 8의 리튬 이차전지는 저장 증가로 인하여 고온 저장 후 용량 유지율은 86.1% 이상이고, 고온 저장 후 두께 증가율은 13.2%로 실시예 3 내지 6에서 제조한 리튬 이차전지 대비 열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중량평균분자량이 낮은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액을 구비한 실시예 9의 리튬 이차전지의 고온 저장 후 용량 유지율은 89% 이상이고, 고온 저장 후 두께 증가율은 8.7%로 실시예 3 내지 6에서 제조한 리튬 이차전지 대비 열화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중량평균분자량이 높은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액을 구비한 실시예 10의 리튬 이차전지는 두께 증가율이 7%로 실시예 3 내지 6에서 제조한 리튬 이차전지와 동등 수준인 반면에, 분자량이 커짐에 따라 전해액의 자체 점도가 증가하여, 전지 내에서의 젖음성 특성이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에, 충반전 효율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고온 저장 시 반응 불균일로 인하여 용량 유지율이 92.5% 이하로 열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 리튬염;
비수성 유기용매; 및
첨가제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것인 비수 전해액: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며,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이고, 상기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이며,
R10은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R11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렌기이며,
R1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7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 청구항 1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에서,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함유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시클로알케닐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헤테로시클로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환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함유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실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키닐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형 탄화수소기이고,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헤테로아릴렌기인 것인 비수전해액.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는 비수 전해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비수 전해액.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는 비수 전해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비수 전해액.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 g/mol 내지 10,000 g/mol 인 것인 비수 전해액.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3,000 g/mol 내지 8,000 g/mol 인 것인 비수 전해액.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3,000 g/mol 내지 5,000 g/mol 인 것인 비수 전해액.
- 음극, 양극, 상기 음극 및 양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청구항 1의 비수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307,751 US10777849B2 (en) | 2017-01-12 | 2018-01-12 |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PCT/KR2018/000646 WO2018131952A1 (ko) | 2017-01-12 | 2018-01-12 |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JP2019515644A JP6793997B2 (ja) | 2017-01-12 | 2018-01-12 |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598 | 2017-01-12 | ||
KR20170005598 | 2017-01-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3272A true KR20180083272A (ko) | 2018-07-20 |
KR102109835B1 KR102109835B1 (ko) | 2020-05-13 |
Family
ID=6310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4664A KR102109835B1 (ko) | 2017-01-12 | 2018-01-12 |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777849B2 (ko) |
EP (1) | EP3457485B1 (ko) |
JP (1) | JP6793997B2 (ko) |
KR (1) | KR102109835B1 (ko) |
CN (1) | CN109417196B (ko) |
PL (1) | PL3457485T3 (ko)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3201A (ko) * | 2018-09-19 | 2020-03-2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전지 |
WO2021066462A1 (ko) * | 2019-10-02 | 2021-04-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CN113966557A (zh) * | 2019-09-03 | 2022-01-21 | 株式会社Lg新能源 | 非水性电解液和包含该电解液的锂二次电池 |
US11251432B2 (en) | 2016-02-12 | 2022-02-15 | Samsung Sdi Co., Ltd. | Lithium battery |
US11264644B2 (en) | 2016-02-12 | 2022-03-01 | Samsung Sdi Co., Ltd. | Lithium battery |
US11264645B2 (en) | 2016-02-12 | 2022-03-01 | Samsung Sdi Co., Ltd. | Lithium battery |
EP3883037A4 (en) * | 2019-01-17 | 2022-03-30 | LG Energy Solution, Ltd. |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IT |
WO2022092831A1 (ko) | 2020-10-30 | 2022-05-0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20220058016A (ko) | 2020-10-30 | 2022-05-0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20220058014A (ko) | 2020-10-30 | 2022-05-0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20220058026A (ko) | 2020-10-30 | 2022-05-0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US11335952B2 (en) | 2016-02-12 | 2022-05-17 | Samsung Sdi Co., Ltd. | Lithium battery |
US11637322B2 (en) | 2016-02-12 | 2023-04-25 | Samsung Sdi Co., Ltd. | Lithium battery |
US11973190B2 (en) | 2019-08-30 | 2024-04-30 | Lg Energy Solution, Ltd. |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US12125980B2 (en) | 2018-12-13 | 2024-10-22 | Lg Energy Solution, Ltd. |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5859A (ko) | 2007-08-09 | 2009-02-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KR20160040127A (ko) * | 2014-10-02 | 2016-04-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6657A (ja) * | 1996-07-18 | 1998-02-10 | Showa Denko Kk | 重合性モノマー及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固体電解質、及びその用途 |
CA2210040A1 (en) * | 1996-07-23 | 1998-01-23 | Rohm And Haas Company | Electrolyte and electrolytic cell |
AU3865797A (en) * | 1996-08-20 | 1998-03-06 | Daiso Co. Ltd. | Solid polyelectrolyte |
WO1998048429A1 (fr) * | 1997-04-18 | 1998-10-29 | Showa Denko K.K. | Electrolyte polymere solide et son utilisation |
WO2000022012A1 (en) * | 1998-10-15 | 2000-04-20 |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Polymers, containing a fluorocyclobutyl ring and their preparation |
ITMI20010008A1 (it) * | 2001-01-03 | 2002-07-03 | Ausimont Spa | Additivi per fluoropolieterei per applicazioni elettromagnetiche |
JP4157055B2 (ja) | 2004-02-23 | 2008-09-24 |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 ゲルポリマー電解質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
EP2220143B1 (en) * | 2007-12-06 | 2011-06-22 | Basf Se | Room temperature crosslinkable ion conductive polymer system |
US9893337B2 (en) * | 2008-02-13 | 2018-02-13 | Seeo, Inc. | Multi-phase electrolyte lithium batteries |
WO2009133899A1 (ja) | 2008-04-28 | 2009-11-05 | 旭硝子株式会社 | 二次電池用非水電解液および二次電池 |
US20120189910A1 (en) * | 2009-02-11 | 2012-07-26 | Dow Global Technologies Llc | Highly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s and secondary batteries including the same |
KR101350316B1 (ko) | 2009-07-24 | 2014-01-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겔 폴리머 전해질용 퍼플루오르화 포스페이트계 아크릴레이트 가교제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과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CN102918701B (zh) * | 2010-05-25 | 2017-05-03 | U芝加哥阿尔贡股份有限公司 | 用于锂离子电池的聚醚官能化的氧化还原穿梭添加剂 |
JP5633400B2 (ja) | 2011-01-31 | 2014-12-03 | 三菱化学株式会社 | 非水系電解液、それを用いた電池 |
KR101911431B1 (ko) * | 2011-11-25 | 2018-10-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해액 조성물,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
KR102167579B1 (ko) | 2013-02-27 | 2020-10-19 |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 비수계 전해액 및 그것을 이용한 비수계 전해액 전지 |
CN103199302B (zh) * | 2013-03-18 | 2015-08-19 |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 锂离子二次电池及其电解液 |
CN105917502A (zh) * | 2013-10-17 | 2016-08-31 | 路博润先进材料公司 | 作为锂离子电池的性能增强剂的具有聚丙烯酸骨架的共聚物 |
WO2016161465A1 (en) | 2015-04-03 | 2016-10-06 | Seeo, Inc. | Fluorinated alkali ion electrolytes with urethane groups |
CN105552430A (zh) * | 2016-03-09 | 2016-05-04 |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 一种电解液以及锂离子电池 |
-
2018
- 2018-01-12 JP JP2019515644A patent/JP6793997B2/ja active Active
- 2018-01-12 KR KR1020180004664A patent/KR1021098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1-12 PL PL18739272T patent/PL3457485T3/pl unknown
- 2018-01-12 CN CN201880002743.9A patent/CN109417196B/zh active Active
- 2018-01-12 US US16/307,751 patent/US10777849B2/en active Active
- 2018-01-12 EP EP18739272.5A patent/EP345748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5859A (ko) | 2007-08-09 | 2009-02-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KR20160040127A (ko) * | 2014-10-02 | 2016-04-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35952B2 (en) | 2016-02-12 | 2022-05-17 | Samsung Sdi Co., Ltd. | Lithium battery |
US11637322B2 (en) | 2016-02-12 | 2023-04-25 | Samsung Sdi Co., Ltd. | Lithium battery |
US11264645B2 (en) | 2016-02-12 | 2022-03-01 | Samsung Sdi Co., Ltd. | Lithium battery |
US11264644B2 (en) | 2016-02-12 | 2022-03-01 | Samsung Sdi Co., Ltd. | Lithium battery |
US11251432B2 (en) | 2016-02-12 | 2022-02-15 | Samsung Sdi Co., Ltd. | Lithium battery |
CN110931859A (zh) * | 2018-09-19 | 2020-03-27 | 三星Sdi株式会社 | 锂电池 |
KR20200033201A (ko) * | 2018-09-19 | 2020-03-2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전지 |
US12125980B2 (en) | 2018-12-13 | 2024-10-22 | Lg Energy Solution, Ltd. |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EP3883037A4 (en) * | 2019-01-17 | 2022-03-30 | LG Energy Solution, Ltd. |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IT |
US12062759B2 (en) | 2019-01-17 | 2024-08-13 | Lg Energy Solution, Ltd. |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US11973190B2 (en) | 2019-08-30 | 2024-04-30 | Lg Energy Solution, Ltd. |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CN113966557A (zh) * | 2019-09-03 | 2022-01-21 | 株式会社Lg新能源 | 非水性电解液和包含该电解液的锂二次电池 |
CN113966557B (zh) * | 2019-09-03 | 2024-02-20 | 株式会社Lg新能源 | 非水性电解液和包含该电解液的锂二次电池 |
WO2021066462A1 (ko) * | 2019-10-02 | 2021-04-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KR20220058026A (ko) | 2020-10-30 | 2022-05-0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20220058014A (ko) | 2020-10-30 | 2022-05-0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20220058016A (ko) | 2020-10-30 | 2022-05-0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WO2022092831A1 (ko) | 2020-10-30 | 2022-05-0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9835B1 (ko) | 2020-05-13 |
CN109417196A (zh) | 2019-03-01 |
US20190198925A1 (en) | 2019-06-27 |
PL3457485T3 (pl) | 2020-11-02 |
CN109417196B (zh) | 2021-08-20 |
EP3457485A1 (en) | 2019-03-20 |
EP3457485B1 (en) | 2020-07-08 |
US10777849B2 (en) | 2020-09-15 |
EP3457485A4 (en) | 2019-05-29 |
JP6793997B2 (ja) | 2020-12-02 |
JP2019530955A (ja) | 2019-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5909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109835B1 (ko) |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CN110998959B (zh) | 具有提高的高温存储特性的锂二次电池 | |
KR102242252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JP6775843B2 (ja) |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解質およ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 |
US20100266904A1 (en) | Non-aqueous electrolyte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102117622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180083274A (ko) |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180041602A (ko)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200114403A (ko) | 리튬 이차 전지 | |
KR20210023000A (ko) |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053313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494419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 |
KR20210011342A (ko) | 리튬 이차전지 | |
KR101902646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220165364A (ko) |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 |
KR20220058026A (ko)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190139156A (ko) | 저온 특성 및 고온 특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 | |
KR102473691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 |
KR20190063931A (ko) |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180083273A (ko) |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721825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501252B1 (ko) |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JP7118479B2 (ja) |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解質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 |
KR102721824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