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80078992A - Hydroponics flower port - Google Patents

Hydroponics flower 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992A
KR20180078992A KR1020160184311A KR20160184311A KR20180078992A KR 20180078992 A KR20180078992 A KR 20180078992A KR 1020160184311 A KR1020160184311 A KR 1020160184311A KR 20160184311 A KR20160184311 A KR 20160184311A KR 20180078992 A KR20180078992 A KR 20180078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water
flowerpot
wall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3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상호
Original Assignee
송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호 filed Critical 송상호
Priority to KR102016018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8992A/en
Publication of KR2018007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9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pot for plant cultivation, capable of enabling plants to be raised by using soil or water and processed with or without soil. An outer flowerpot, which has a structure for effectively taking an outer air flow, and an inner flowerpot, which has an efficient storage structure, are combined to form a new type of flowerpot for plant cultivation, and thus, sufficient oxygen is supplied to the roots of a plant to ensure an optimal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environment. Since the outer and inner flowerpots are able to be separated, maintenance such as washing or water replacement is able to be convenient, and also, convenience in management and use is able to be promoted.

Description

식물재배용 화분{HYDROPONICS FLOWER PORT}HYDROPONICS FLOWER PORT

본 발명은 식물재배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흙을 사용하여 식물을 기르거나, 흙을 쓰지 않고 가공토양과 물을 이용하여 식물을 기를 수 있는 식물재배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ts for plant cultiv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pots for plant cultivation in which plants can be grown using soil using processed soils and water without using soil.

일반적으로 수경재배(Hydroculture)는 흙을 쓰지 않고 식물을 기르는 것을 말한다. Generally, hydroculture refers to growing plants without using soil.

이러한 수경재배는 꼭 물로만 기르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꼭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영양분도 물에만 녹아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 토양(하이드로볼)이라는 굵은 입자의 심는 재료(천연화산석, 인공석, 난석, 자갈, 모래, 맥반석 등)를 써서 식물을 지지하기도 함과 더불어 비료분을 흡착-방출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This hydroponic cultivation is not limited to growing only water, but it is necessary to supply necessary nutrients. It does not make nutrients not only dissolve in water, but also grows thick natural particles (natural volcanic stone, artificial stone, Rocks, gravel, sand, elvan, etc.) to support the plant, as well as to adsorb and release the fertilizer.

그리고, 수경재배는 물이 소모되는 대로 보충하기 때문에 흙에 심은 것보다 증발이 더뎌 오랫동안 수분을 유지할 수 있다.And hydroponics can replenish water as it is consumed, so it can retain its moisture for a long time because it evaporates more slowly than it is planted in soil.

이와 같은 수경재배의 경우, 물도 오래되면 부패하기 때문에 물의 부패와 세균의 번식을 막을 목적으로, 그리고 뿌리로부터 분비되는 유해유기산의 해를 막기 위해서 용기의 밑바닥에 숯이나 맥반석, 제올라이트 등을 넣어 흡착제 겸 정수기능을 이용하기도 하며, 또한 뿌리의 발생을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In the case of hydroponic cultivation, water is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decay of water and propagation of bacteria, and to prevent the harmful organic acids released from the roots, charcoal, elvan, and zeolite are added to the bottom of the vessel, It also uses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and also promotes the generation of roots.

보통 수경재배를 하는 식물을 들어보면, '테이블야자' 고무나무' '커피나무' '싱고니움' '필로덴드론' '시페러스' '안수리움' '스파티필룸' '켄차야자' '쉐프렐라' '헤데라' '아디안텀' '프테리스' '코르딜리네' '칼라데아' '페페로미아' '구즈마니아' '드라세나' '스킨답서스' '심비디움' '카틀레야' '덴드로비움' '호접란' '파키라' '다육식물'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채소나 과일을 생산하는 수경재배(Hydroponics)농장도 이런 방법에 잘 관리된 환경과 잘 조제된 영양제의 공급으로 청정농산물을 생산하기도 한다. If you listen to plants that usually grow hydroponics, you will find 'Table Palm', 'Rubber Tree', 'Coffee Tree', 'Sphagnum', 'Filodendron', 'Sperrus',' Ansurium ',' Spatulium ',' Khechajaya ',' 'Hadera' 'Adiantum' 'Pretes', 'Corduale', 'Caladera', 'Peppermia', 'Guzmania', 'Dracena', 'Skin Response', 'Cymbidium' '' Cattleya '' 'Dendrobium' 'Phalaenopsis' And hydroponics farms, which produce vegetables and fruits, also produce clean agricultural products with well-controlled environment and well-supplied nutrients.

한편, 식물재배를 위한 화분은 재배용기 안에 배양토를 채우고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주어야 하고, 식물재배에 알맞은 환경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주는 것은 시간의 적절성과 노력 및 인내력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ots for plant cultivation must fill the cultivation soil in the cultivation vessel and artificially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plants can grow well, and it is necessary to have the timeliness, effort, and endurance to artificially create an environment suitable for plant cultivation.

특히, 식물재배 시 물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데, 기존의 저수량 저장성 기능이 없는 화분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 증발량이 가장 왕성한 여름철에 물관리를 조금만 소홀히 해도 수분 부족으로 인해서 식물이 마르거나 장시간의 외출로 인한 물을 주어야 한다는 신경 쓰임과 물공급이 장시간 안될 경우 정성껏 키운 식물이 말라 죽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put a lot of effort into water management in plant cultivation. When plants are planted with pollutants that do not have the conventional storage capacity,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water in the summer when evaporation is the most active, And the water supply is not given for a long time,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plants that have been cultivated are dried up.

그리고, 저수의 기능이 있어도 통기성을 원활히 확보하지 못해서 저수된 물로 인한 과습이나 뿌리 썩음의 원인으로 인하여 나무의 수세 회복이 불가능하여 결국에는 식물이 고사하는 일도 상당히 많은 것이 현실이다.Also, even though it has the function of water reservoir, it is not able to secure the ventilation smoothly, so it is impossible to recover the water of the tree due to the excessive humidity caused by the water stored and the root rot.

따라서, 기존의 배수성만을 지니거나 또는 저수량 저장성만을 강조한 기존의 식물재배용 화분을 개량하여, 통기성 증가 확보와 일정 저수량 저장성을 함께 갖춘 식물재배용 화분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lant cultivation pot with improved ventilation and a constant storage capacity, by improving existing plant cultivation pots having only the existing drainage property or emphasizing only the storage capacity of the water.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5-0001091호에서는『통기성 증가 확보와 일정 저수량 저장성을 함께 갖춘 식물재배용 기능성 에어워터 화분』을 제시하고 있다. In view of this point, Korean Utility Model No. 20-2015-0001091 proposes a functional air-water pot for plant cultivation with both increased air permeability and a certain storage capacity.

그러나, 상기『통기성 증가 확보와 일정 저수량 저장성을 함께 갖춘 식물재배용 기능성 에어워터 화분』은 통기를 위한 타공구멍의 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되어 있어 외부의 공기 흐름을 도입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결국 식물 뿌리가 있는 화분 내부 깊숙한 곳까지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는 등 통기성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 functional air-water pollen for plant cultivation, which has both increased air permeability and a certain storage capacity,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troduce external air flow because the direction of the perforation hole for ventilation is upward and downward, There is a lack of air permeability such as the air can not enter deep inside the pot.

또한, 상기『통기성 증가 확보와 일정 저수량 저장성을 함께 갖춘 식물재배용 기능성 에어워터 화분』은 식물, 가공토양, 물 등을 하나의 화분 내에 모두 수용하는 형태인 관계로, 화분 세척이나 물교환 시에는 식물 및 가공 토양 전체를 들어내야 하는 등 취급 및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 functional air-water pot flower for plant cultivation with both increased air permeability and ensuring a constant storage capacity " is a form that accommodates plants, processed soil and water in a single pot,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handling and use such that the entire processed soil must be lifted.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5-0001091호Korea public utility model 20-2015-0001091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외부의 공기 흐름을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외부 화분과 효율적인 물 저장 구조를 가지는 내부 화분을 조합한 새로운 형태의 식물재배를 위한 화분을 구현함으로써, 화초 등과 같은 식물의 뿌리에 충분한 산소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최적의 식물 생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외부 화분과 내부 화분의 분리가능한 구조를 통해 세척이나 물 교환 등 취급이 용이하고 관리 및 사용 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식물재배용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flower pot for plant cultivation combining an outer pot with a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introducing an external air flow and an inner pot with an efficient water storing structure , It is possible to supply sufficient oxygen to the roots of plants such as plants and plant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reate an optimum plant growth environment, and it is easy to handle such as washing and water exchange through a structure in which outside pots and inner pots can be separated. And to provide a plant pot for planting which is convenient for 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식물재배용 화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상기 식물재배용 화분은 식물과 가공토양을 수용하는 내부 화분과, 상기 내부 화분을 수용하면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부 화분을 포함하는 한편, 특히 상기 내부 화분의 벽체에는 공기 출입을 위한 다수의 통기홀이 형성되는 동시에 바닥에는 물 수용을 위해 상부로 돌출되는 터널형의 물저장부 및 물 유입을 위한 다수의 물유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화분의 벽체에는 벽체 표면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관통됨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슬롯 형태로 되어 있는 복수 개의 외기 도입구가 형성되므로서, 외기 도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 흐름을 화분 내부로 도입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plant growing pot includes an inner pot containing the plant and the treated soil, and an outer pot capable of storing water while receiving the inner pot, and in particular, the wall of the inner pot contains a plurality of vent holes And a plurality of water flow holes for water inflow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unnel type water storage part protruding upward to receive water, and the wall of the outside flowerpot is penetrat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A plurality of external air inlet openings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slot that is elongated in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air inlet, so that external air flow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flowerpot through the external air inlet.

여기서, 상기 외부 화분에 형성되는 외기 도입구는 상하 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휘어진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외부 화분에 형성되는 각각의 외기 도입구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외부 화분 둘레 방향을 따라가면서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해 배치되므로서, 화분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가 선회류의 흐름을 보이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outer air inlet formed in the outer pot may have an arc shape that is gently curv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each of the outer air inlet formed in the outer pot may have a circular shap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pot, So that the air entering the inside of the pot can show the flow of the swirling flow.

그리고, 상기 외부 화분의 벽체에는 외기 도입구의 상단부에서부터 이어지면서 윗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둘레면을 따라가면서 턱을 조성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wall of the outer flowerpot may be provided with a step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air inlet and extending upward and forming a step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내부 화분의 벽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호(弧)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내부 화분 전체 길이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물주입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a water injection path may be formed in the wall of the inner pot with an arc-shaped cross section inwardly concave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inner pot.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식물재배용 화분의 다른 예로서, 식물과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을 포함하며, 상기 화분의 벽체에는 벽체 표면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관통됨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슬롯 형태로 되어 있는 복수 개의 외기 도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외기 도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 흐름을 화분 내부로 도입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s another example of the plant growing pot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s include pollen receptacles capable of receiving plants and soil. The pollen walls penetrate the wall surface tangentially to the wall surface, A plurality of outdoor air introduction openings are formed in the outer air inlet opening so that external air flow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flowerpot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여기서, 상기 화분에 형성되는 외기 도입구는 상하 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휘어진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의 각 외기 도입구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화분 둘레 방향을 따라가면서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화분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가 선회류의 흐름을 보이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port formed in the pollen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that is gently curv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each of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ports i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long the circular pollen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air entering the pollen can make the flow of swirls flow.

그리고, 상기 화분의 벽체에는 외기 도입구의 상단부에서부터 이어지면서 윗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둘레면을 따라가면서 턱을 조성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wall of the pollen may be provided with a step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air inlet and extends upward and forms a step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식물재배용 화분의 또 다른 예로서, 식물과 가공토양을 수용하는 내부 화분과, 상기 내부 화분을 수용하면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부 화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화분의 바닥에는 물 수용을 위해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터널형의 물저장부 및 물 유입을 위한 다수의 물유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화분의 벽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호(弧)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내부 화분 전체 길이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물주입통로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s another example of the plant-growing pot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n inner pot containing the plant and the treated soil, and an outer pot capable of storing water while receiving the inner pot, A plurality of tunnel-shaped water storage portions protruding upward to receive water and a plurality of water flow holes for water inflow are formed, and the wall of the inner pot has an arc-shaped cross- And a water injection path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pollen is formed.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식물재배용 화분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The planting pot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식물 및 가공토양 수용을 위한 내부 화분과 물 수용을 위한 외부 화분을 조합한 형태를 적용함으로써, 화분 세척이나 물 교환 시 식물 및 가공토양을 들어내지 않고도 내외부 화분을 분리한 후에 세척이나 물 교환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등 취급이나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First, by combining the inner pot for plant and processed soil and the outer pot for water recep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inner and outer pollen without lifting plants and processed soil during pollen washing or water exchan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handled and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둘째, 외부 화분의 둘레면에 원형의 화분 표면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위아래로 길게 절개된 슬롯 형태의 외기 도입구를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 흐름을 화분 내부로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공기가 들어오는 탄력을 이용하여 화분 내부 깊숙한 곳까지 침투해 들어갈 수 있고, 따라서 화초 등과 같은 식물의 뿌리에 충분한 산소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최적의 식물 생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by forming a slot-shaped outside air introduction port that is long and slender in a tang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ircular pollen surface on the circumference of the outside pollen, the outside air flow can be effectively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pollen, It is possible to penetrate deep into the inside of the pot using the incoming elasticity, and thus, it is possible to supply sufficient oxygen to the root of the plant such as flower plant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reate an optimal plant growth environment.

셋째, 내부 화분의 바닥부에 일정량의 물을 담아둘 수 있는 저수공간 역할의 터널형의 물저장부를 형성함으로써, 식물 생장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물을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물 부족으로 인해서 식물이 마르거나 말라 죽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by forming a tunnel-type water storage part serving as a water storage space capable of stor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at the bottom part of the inner pot,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necessary for plant growth, It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the problem of drying or dying.

넷째, 내부 화분의 양쪽 벽면을 따라 홈 구간을 길게 형성하고, 이곳을 통해 물을 주입함으로써, 물 보충 시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때의 홈 구간은 내부 화분을 꺼낼 때 손잡이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the groove section is formed long along both wall surfaces of the inner pot, and water is injected through the pot, so that the convenience of water replenishment can be achieved. At this time, the groove section can be utilized as a handle There is an advantag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화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화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화분에서 외부 화분의 공기 유입 구조를 나타내는 A-A 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화분에서 외부 화분의 단차 구조를 나타내는 B-B 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화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및 확대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t for growing a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plant growing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ant growing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ing an air inflow structure of an outer flowerpot in a plant growing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showing the step structure of the outer pot in a plant growing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plant growing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a plant growing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plant pot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1 to 4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of a plant growing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물재배용 화분은 식물에 공기와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최적의 식물 생장 환경을 조성할 있는 동시에 세척이나 물 교환 등의 취급 및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plant-cultivated flowerpot can provide an optimal plant growth environment by smoothly supplying air and water to plants, and can easily handle and use such as washing and water exchange Structur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식물재배용 화분은 식물과 가공토양(10)을 수용하는 내부 화분(11)을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plant-growing po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n inner pot 11 containing the plant and the treated soil 10.

상기 내부 화분(11)은 원통형의 화분으로서, 내부에는 식물의 지지기반 역할을 하는 가공토양(10)이 채워지게 되고, 이렇게 채워지는 가공토양(10)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게 된다. The inner pot 11 is a cylindrical pot, filled with the treated soil 10 serving as a supporting base of the plant, and the plant can be planted in the soil 10 thus filled.

여기서, 상기 가공토양(10)은 하이드로볼, 모래, 자갈, 맥반석, 난석, 인공석, 천연화산석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The processed soil 10 may be a hydroball, a sand, a gravel, a quartz stone, a talc, an artificial stone, a natural volcanic stone, or the like.

이러한 내부 화분(11)의 벽체에는 전체 둘레면에 걸쳐 공기 출입을 위한 다수의 통기홀(13)이 벽체 두께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In the wall of the inner pot 11,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3 for air entry and exit are formed through the wall thickness throughout the entire peripheral surface.

이에 따라, 후술하는 외부 화분(12)의 외기 도입구(16)를 통해서 들어온 공기는 다수의 통기홀(13)을 거쳐 내부 화분(11)의 안쪽으로 들어와서 내부 화분(11)에 수용되어 있는 가공토양(10)의 사이사이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16 of the outside flowerpot 12 to be described later enters the interior of the inside flowerpot 11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3 and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flowerpot 11 So that it can be supplied between the processed soil 10.

여기서, 상기 내부 화분(11)과 외부 화분(12)의 결합 시, 즉 내부 화분(11)을 외부 화분(12)의 내측에 수용시키면서 삽입 시 내외부 화분(11,12)의 각 벽체 사이에는 갭이 조성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갭을 거쳐서 외기 도입구(16)에서 들어온 공기가 통기홀(13)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The inner pots 11 and the outer pots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time of coupling of the inner pot 11 and the outer pot 12, So tha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port 16 can enter the ventilation hole 13 through the gap formed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내부 화분(11)의 바닥부위에는 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부로 돌출되는 터널형의 물저장부(14)가 형성된다. The bottom portion of the inner pot 11 is formed with a tunnel-shaped water storage portion 14 protruding upward to receive water.

이때의 물저장부(14)는 내부 화분(11)의 성형 시 바닥부를 일정 폭과 높이를 이루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함께 돌출시킨 형태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water storage part 14 can be formed into a shape in which the bottom part of the inner pot 11 is protruded so as to have a substantially trapezoidal cross section having a certain width and height.

이에 따라, 상기 외부 화분(12)의 내부 바닥에 내부 화분(11)의 바닥이 닿도록 삽입하게 되면, 터널형의 물저장부(14)와 외부 화분(12)의 내부 바닥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조성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조성된 공간, 즉 물저장부(14)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져 저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이때의 물저장부(14)에 들어 있는 물은 후술하는 물유동홀(15)을 통해 내부 화분(11)의 내측으로 출입되어 가공토양(10)측에 스며들면서 식물 생장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bottom of the inner flowerpot 11 is inserted into the inner bottom of the outer flowerpot 12,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tunnel-shaped water storage part 14 and the inner bottom of the outer flowerpot 12,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servoir 14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where the water reservoir 14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lowed in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11 through the flow hole 15 and permeate into the treated soil 10 side so that it can be used for plant growth.

물론, 내외부 화분(11,12)의 내부 바닥에는 물저장부(14)에 채워지는 물과 같은 수위의 물이 채워질 수 있게 된다. Of course, the inner bottoms of the inner and outer pots 11 and 12 can be filled with the water of the same level as that of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storage part 14.

이와 더불어, 상기 내부 화분(11)의 바닥에는 물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물과 내부 화분 내측에 있는 가공토양(10)측 간에 원활한 물 흐름을 위한 수단으로 다수의 물유동홀(15)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inner pot 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flow holes 15 as means for smooth water flow betwe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14 and the treated soil 10 side inside the inner pot Is formed.

이러한 물유동홀(15)은 내부 화분(11)의 바닥을 관통하는 구조 및 물저장부(14)의 양편 벽체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This water flow hole 15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passing through the bottom of the inner pot 11 and passing through both walls of the water reservoir 14. [

특히, 상기 내부 화분(11)의 벽체에는 내부 화분(11)에 있는 물저장부(14)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 즉 내부 화분(11)의 바닥측과 외부 화분(12)의 내부 바닥측 사이에 조성되는 터널형의 공간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물주입통로(18)가 형성된다. Particularly, the wall of the inner pot 11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reservoir 14 in the inner pot 11, that is,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inner bottom 11 of the inner pot 11, A water injection passage 18 is formed as a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tunnel-shaped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side walls of the water tank.

이러한 물주입통로(18)는 내부 화분(11)의 벽체 바깥면에서 내측을 향해 오목한(다시 말하면 벽체 안쪽면에서 내측을 향해 볼록한) 호(弧)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내부 화분 전체 길이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조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This water injection path 18 has an arc-shaped cross section that is recessed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11 (in other words, it is convex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And can be formed in an extending struc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에 따라, 외부 화분(12)의 내부에 내부 화분(11)을 삽입한 상태에서 윗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물주입통로(18)를 통해 물을 주입하게 되면, 이때의 물은 물주입통로(18)를 따라 아래로 흘러 내려가서 물저장부(14)가 조성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내외부 화분(11,12)의 내부 바닥쪽에 채워지게 된다. Thus, when water is injected through the water injection passage 18, which is opened upward in a state where the inner pot 1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uter pot 12, the water is injected into the water injection passage 18, And then filled in the inner bottom of the inner and outer pots 11 and 12 including the space formed by the water storage part 14.

또한, 본 발명의 식물재배용 화분은 내부 화분(11)을 수용하면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부 화분(12)을 포함한다.The plant growing po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 an outer pot 12 capable of storing water while accommodating the inner pot 11.

상기 외부 화분(12)은 내부 화분(11)을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가지는 원통형의 화분으로서, 이러한 외부 화분(12)의 내부에는 내부 화분(11)이 같은 높이로 삽입 결합될 수 있게 된다.The outer pot 12 is a cylindrical pot having a volum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inner pot 11 so that the inner pot 11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pot 12 at the same height.

특히, 상기 외부 화분(12)은 외부의 공기를 화분 내측에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In particular, the outer pot 12 includes a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pot.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 화분(12)의 벽체에는 벽체 표면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관통되고, 이와 더불어 벽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슬롯 형태의 외기 도입구(16)가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wall of the outer pot 12 is tangentially tangent to the wall surface, and a slot-shaped outer inlet 16 is formed which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all.

이러한 외기 도입구(16)는 벽체 둘레를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ports 16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iec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ll.

이에 따라, 상기 외부 화분(12)의 벽면을 타고 유도되는 외부의 공기 흐름이 외기 도입구(16)를 통해 외부 화분(12)의 내부 및 통기홀(13)을 통해 내부 화분(11)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게 되며, 이때의 외부 공기는 외부 화분(12)의 전체 둘레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복수 개의 외기 도입구(16)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게 된다. An external air flow induc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pot 12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pot 11 through the outer pot introduction port 16 and the ventilation hole 13, And the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plurality of outside air introduction openings 16 distributed over the entire periphery of the outside flower pot 12.

그리고, 상기 외기 도입구(16)는 외부 화분 벽체 상하 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휘어진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호 형상의 궤적을 가지는 외기 도입구(16)를 통해 화분 내부로 시간차를 두고 들어가게 되고, 결국 화분 내부에서 활발한 유동을 보이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내부 화분 내측으로 침투될 수 있게 된다.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port 16 can be formed in an arc shape that is gently curv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utside paint wall body so that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port 16 having the outside air trajectory The inside of the pollen can be more effectively penetrated into the inside of the pollen while showing a vigorous flow inside the pollen.

특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화분(12)에 형성되는 각각의 외기 도입구(16)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외부 화분 둘레 방향을 따라가면서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as shown in FIG. 5, each of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openings 16 formed in the outside flowerpot 12 can b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lar outside flowerpot.

이에 따라, 상기 외부 화분(12)의 각 외기 도입구(16)를 통해 화분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는 원형의 화분 내벽면을 따라 흐르면서 선회류의 흐름을 보일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러한 선회류의 유동특성에 의해 외부 화분 내측을 돌고 있던 공기는 통기홀(13)을 거쳐 내부 화분(11)의 내부 깊숙한 곳까지 원활하게 침투하여 식물 뿌리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ai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flowerpot through each of the outdoor air introduction ports 16 of the outer flowerpot 12 can flow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lowerpot, and the swirling flow can be seen. As a result, The air circulating inside the outer pot can be smoothly penetrated deep inside the inner pot 11 through the vent hole 13 to supply fresh air to the root of the plant.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화분(12)은 화분 주위를 흐르는 외부 공기를 외기 도입구(16)가 있는 쪽으로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6, the outside flower pot 12 includes a structure capable of guiding outside air flowing around the flowerpot to the outside air inlet 16.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 화분(12)의 벽체에는 외기 도입구(16)의 상단부에서부터 이어지면서 윗쪽으로 일정구간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동시에 벽체 원주방향으로의 둘레면을 따라가면서 턱을 조성하는 단차부(17)가 형성된다. For this, the wall of the outer pot 12 has a length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air inlet 16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forming a step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ll 17 are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외부 화분(12)의 벽체 표면을 따라 흐르던 외부의 공기 흐름은 단차부(17)에 막히게 되고, 이렇게 단차부(17)에 막힌 일부의 공기 흐름은 단차부 벽면을 따라 아래로 유도되면서 곧바로 외기 도입구(16)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Thus, the outside air flow that has flowed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pot 12 is clogged by the step portion 17, so that a part of the air flow clogged by the step portion 17 is guided downward along the step wall surface It is possible to enter the outside air inlet 16 immediatel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화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plant growing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화분(11)과 외부 화분(12)이 내외측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내부 화분(11)에 채워져 있는 가공토양(10)에는 식물(100)이 식재되고, 이와 더불어 내외부 화분(11,12)의 내부 바닥쪽에 조성되어 있는 물저장부(14)를 포함하는 화분 바닥부위에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다. The plant 100 is planted in the treated soil 10 filled in the inner pot 11 while the inner pot 11 and the outer pot 12 are assembled inside and outsid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bottom part of the flowerpot including the water storage part 14 formed on the inner bottom side of the inner and outer pots 11 and 12.

따라서, 가공토양(10)에 뿌리를 내린 식물(100)은 가공토양(10)의 공극 사이에 스며들어 있는 물을 흡수하여 생장할 수 있게 된다. Thus, the plant 100 having roots in the treated soil 10 can absorb the water impregnated between the pores of the treated soil 10 and grow.

이때, 외부 화분(12)의 외기 도입구(16)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 화분(11) 내의 가공토양(10)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가 있는 깊숙한 곳까지 충분하게 공급되므로, 통기성이 원활치 못해 뿌리가 썩는 등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물저장부(14) 내에 항상 일정량의 물이 채워져 있으므로, 물 부족으로 인해서 식물이 마르거나 식물이 말라 죽는 등의 문제도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outside air supplied through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port 16 of the outside flower pot 12 is sufficiently supplied to the deep portion where the roots of the plant planted in the treated soil 10 in the interior flower pot 11 are present,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olve the problems such as poor air permeability and rotting of the roots. Moreover, since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always filled in the water storage part 14, problems such as dryness of the plants and dryness of the plants due to lack of water can be completely solved .

이와 같은 내외부 화분 조합형의 식물재배용 화분은 건물의 실내는 물론 바람이 잘 통하는 베란다 등에 설치하여 실내공기 정화용 또는 습도조정용, 관상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Such plant pots for combination with inner and outer flower pots can be used for indoor air purification, humidity adjustment, ornamental use, etc., by installing the plant pots for indoor use as well as indoor and outdoor verandas.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및 확대도이다.FIGS. 8 to 10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n enlarged view, respectively, of a plant growing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물재배용 화분은 식물에 공기와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최적의 식물 생장 환경을 조성할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8 to FIG. 10, the plant-growing pots are structured to provide optimum plant growth environment by supplying air and water smoothly to plants.

이를 위하여, 상기 식물재배용 화분은 식물과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의 화분(200)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화분 내부에는 식물의 지지기반 역할을 하는 흙 등의 토양이 채워지게 되고, 이렇게 채워지는 토양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게 된다.For this purpose, the plant-growing pots include a cylindrical pot (200) capable of receiving plants and soil, and the inside of the pot is filled with soil, such as soil, The plant can be planted in the soil thus filled.

이러한 화분(200)은 외부의 공기를 화분 내측에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The pollen (200) includes a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pollen interior.

이를 위하여, 상기 화분(200)의 벽체에는 벽체 표면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관통되고, 이와 더불어 벽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슬롯 형태의 외기 도입구(160)가 형성된다. For this, a wall of the pot 200 is tangentially tangential to the wall surface, and a slot-shaped outside air inlet 160 is formed, which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all.

이러한 외기 도입구(160)는 벽체 둘레를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outside air introducing ports 160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ll.

이에 따라, 상기 화분(200)의 벽면을 타고 유도되는 외부의 공기 흐름이 외기 도입구(160)를 통해 화분 내부로 도입될 수 있게 되며, 이때의 외부 공기는 화분(200)의 전체 둘레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복수 개의 외기 도입구(160)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outside air flow induc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pollen (200) can be introduced into the pollen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160), and the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pollen And can be introduced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plurality of external air introducing ports 160 that are distributed.

그리고, 상기 외기 도입구(160)는 외부 화분 벽체 상하 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휘어진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호 형상의 궤적을 가지는 외기 도입구(160)를 통해 화분 내부로 시간차를 두고 들어가게 되고, 결국 화분 내부에서 활발한 유동을 보이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내부 화분 내측으로 침투될 수 있게 된다.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port 160 can be formed in an arc shape that is gently curved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outside paint wall, The inside of the pollen can be more effectively penetrated into the inside of the pollen while showing a vigorous flow inside the pollen.

특히, 상기 화분(200)에 형성되는 각각의 외기 도입구(16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화분 둘레 방향을 따라가면서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each of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openings 160 formed in the pollen 200 can b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long the circular pollen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에 따라, 상기 화분(200)의 각 외기 도입구(160)를 통해 화분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는 원형의 화분 내벽면을 따라 흐르면서 선회류의 흐름을 보일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러한 선회류의 유동특성에 의해 화분 내측을 돌고 있던 공기는 화분 에 채워져 있는 흙 속의 내측 깊숙한 곳까지 원활하게 침투하여 식물 뿌리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air entering the inside of the pollen through each of the outside air introducing ports 160 of the pollen 200 flows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circular pollen, and the swirling flow can be seen. As a result, The air circulating inside the pollen can penetrate smoothly into the deep inside of the soil filled in the pollen, so that fresh air can be supplied to the root of the plant.

그리고, 상기 화분(200)은 화분 주위를 흐르는 외부 공기를 외기 도입구(160)가 있는 쪽으로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The pollen 200 includes a structure capable of guiding the outside air flowing around the pollen to the outside air inlet 160.

이를 위하여, 상기 화분(200)의 벽체에는 외기 도입구(160)의 상단부에서부터 이어지면서 윗쪽으로 일정구간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동시에 벽체 원주방향으로의 둘레면을 따라가면서 턱을 조성하는 단차부(170)가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wall of the pollen (200) is provided with a step portion (170)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air introducing port (160) and having a length extending upwards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ing a step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ll Is formed.

이에 따라, 상기 화분(200)의 벽체 표면을 따라 흐르던 외부의 공기 흐름은 단차부(170)에 막히게 되고, 이렇게 단차부(170)에 막힌 일부의 공기 흐름은 단차부 벽면을 따라 아래로 유도되면서 곧바로 외기 도입구(160)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Thus, the external airflow flowing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pollen 200 is clogged by the step 170, so that a part of the air flow blocked in the step 170 is guided down along the stepped wall surface It is possible to directly enter the outside air inlet 160.

한편, 상기 화분(200)의 바닥에는 물 배수를 위한 수단으로 다수의 배수홀(220)이 형성되며, 이때의 배수홀(220)은 화분 벽체에 있는 외기 도입구(160)와 연통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220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lowerpot 200 as means for draining water and the drainage hole 220 at this tim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ir inlet 160 in the flowerpot wall body .

예를 들면, 상기 각각의 배수홀(220)은 각 외기 도입구(160)의 하단에서부터 화분 바닥쪽으로 그대로 절개된 형태를 이루면서 화분 바닥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길다란 장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each of the drain holes 220 may be formed in a long sloped shape radially arranged on the bottom of the flowerpot, while being cut from the lower end of each outer air inlet 160 toward the bottom of the flowerpot.

이에 따라, 화분(200)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에 물을 주게 되면, 흙 속에 스며들고 남은 잔여의 물은 배수홀(220)을 통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plants planted in the pots 200 are given water, the remaining water that has permeated into the soil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s 220.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S. 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plant po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물재배용 화분은 식물에 공기와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최적의 식물 생장 환경을 조성할 있는 동시에 세척이나 물 교환 등의 취급 및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plant-cultivated flowerpot can provide an optimal plant growth environment by supplying air and water smoothly to plants, and can easily handle and use such as washing and water exchange Structure.

이를 위하여, 상기 식물재배용 화분은 내부 화분(110)을 수용하면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부 화분(120)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lant growing pot includes an outer pot 120 capable of storing water while receiving the inner pot 110.

상기 외부 화분(120)은 내부 화분(110)을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가지는 사각형의 화분으로서, 이러한 외부 화분(120)의 내부에는 역시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내부 화분(110)이 같은 높이로 삽입 결합될 수 있게 된다.The outer pollen 120 is a rectangular pollen having a volume capable of receiving the inner pollen 110. Inside the outer pollen 120, the inner pollen 110, which is also a square, .

상기 내부 화분(110)은 식물과 가공토양을 수용하는 사각형의 화분으로서, 내부에는 식물의 지지기반 역할을 하는 가공토양이 채워지게 되고, 이렇게 채워지는 가공토양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게 된다. The inner pot 110 is a rectangular flower pot containing plants and processed soil. The inner pot 110 is filled with the treated soil serving as a supporting base of the plant, and the plant can be planted in the filled soil.

여기서, 상기 가공토양은 하이드로볼, 모래, 자갈, 맥반석, 난석, 인공석, 천연화산석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Here, the processed soil may be a hydroball, a sand, a gravel, a quartz stone, a talc, an artificial stone, a natural volcanic stone, or the like.

이러한 내부 화분(110)의 바닥부위에는 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부로 돌출되는 터널형의 물저장부(140)가 형성된다. The bottom portion of the inner pot 110 has a tunnel-shaped water storage portion 140 protruding upward to receive water.

이때의 물저장부(140)는 내부 화분(110)의 성형 시 바닥부를 일정 폭과 높이를 이루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함께 돌출시킨 형태로 다수 개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water storage part 140 can be formed into a plurality of shapes such that the bottom part of the inner pot 110 is protruded so as to have a substantially trapezoidal cross 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이에 따라, 상기 외부 화분(120)의 내부 바닥에 내부 화분(110)의 바닥이 닿도록 삽입하게 되면, 터널형의 물저장부(140)와 외부 화분(120)의 내부 바닥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조성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조성된 공간, 즉 물저장부(140)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져 저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이때의 물저장부(140)에 들어 있는 물은 후술하는 물유동홀(150)을 통해 내부 화분(110)의 내측으로 출입되어 가공토양측에 스며들면서 식물 생장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bottom of the inner pot 1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bottom of the outer pot 120,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bottom of the tunnel type water storage part 140 and the inner pot 120,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servoir 140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where the water reservoir 140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flows into and through the inside of the inner pot 110 through the flow hole 150, so that it can be used for plant growth while permeating both sides of the processed soil.

물론, 내외부 화분(110,120)의 내부 바닥에는 물저장부(140)에 채워지는 물과 같은 수위의 물이 채워질 수 있게 된다. Of course, the inner bottoms of the inner and outer pots 110 and 120 can be filled with water at the same level as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storage part 140.

이와 더불어, 상기 내부 화분(110)의 바닥에는 물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물과 내부 화분 내측에 있는 가공토양측 간에 원활한 물 흐름을 위한 수단으로 다수의 물유동홀(150)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water flow holes 150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pot 110 as a means for smooth water flow betwe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part 140 and both sides of the inner pot, do.

이러한 물유동홀(150)은 내부 화분(110)의 바닥을 관통하는 구조 및 물저장부(140)의 양편 벽체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This water flow hole 150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penetrating the bottom of the inner pot 110 and passing through both walls of the water reservoir 140.

특히, 상기 내부 화분(110)의 벽체에는 내부 화분(110)에 있는 물저장부(14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 즉 내부 화분(110)의 바닥측과 외부 화분(120)의 내부 바닥측 사이에 조성되는 터널형의 공간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물주입통로(180)가 형성된다. Particularly, the wall of the inner pot 110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reservoir 140 in the inner pot 110, that is,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inner bottom 110 of the inner pot 110, A water injection path 180 is formed as a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a tunnel-shaped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sides.

이러한 물주입통로(180)는 내부 화분(110)의 벽체 바깥면에서 내측을 향해 오목한(다시 말하면 벽체 안쪽면에서 내측을 향해 볼록한) 호(弧)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내부 화분 전체 길이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조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This water injection path 180 has an arc-shaped cross-section that is recessed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110 (in other words, convex toward the inner si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And can be formed in an extending struc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에 따라, 외부 화분(120)의 내부에 내부 화분(1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윗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물주입통로(180)를 통해 물을 주입하게 되면, 이때의 물은 물주입통로(180)를 따라 아래로 흘러 내려가서 물저장부(140)가 조성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내외부 화분(110,120)의 내부 바닥쪽에 채워지게 된다. When water is injected through the water injection passageway 180 which is opened upward with the inner pot 110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uter pot 120, water is injected into the water injection passageway 180, And then filled down on the inner bottom of the inner and outer pots 110 and 120 including the space formed by the water storage part 14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흙이나 가공토양과 물을 이용한 식물재배 시, 외부의 공기 흐름을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단일형 화분이나 내외부 화분의 조합형 화분을 제공함으로써, 화초 등과 같은 식물의 뿌리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어 뿌리가 썩는 등의 문제없이 최적의 식물 생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세척이나 물 교환 시에는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내부 화분만 간단히 빼낼 수 있으므로 전반적으로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관리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ant is cultivated using soil or processed soil and wat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troduce external air flow and simultaneously provide a flower pot of a single type flower pot or a flower po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fficiently storing water It is possible to supply sufficient oxygen to the roots of plants such as plants, plants and the lik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reate an optimum plant growth environment without problems such as rotting of roots, and in washing or water exchange, Overall handling can be facilitated, and management and use can be facilitated.

10 : 가공토양
11 : 내부 화분
12 : 외부 화분
13 : 통기홀
14 : 물저장부
15 : 물유동홀
16 : 외기 도입구
17 : 단차부
18 : 물주입통로
10: Processed soil
11: Inner pollen
12: outside pot
13: vent hole
14: Water reservoir
15: Water flow hole
16: outside air introduction port
17:
18: Water injection path

Claims (10)

식물과 가공토양(10)을 수용하는 내부 화분(11)과, 상기 내부 화분(11)을 수용하면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부 화분(12)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화분(11)의 벽체에는 공기 출입을 위한 다수의 통기홀(13)이 형성되는 동시에 바닥에는 물 수용을 위해 상부로 돌출되는 터널형의 물저장부(14) 및 물 유입을 위한 다수의 물유동홀(15)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화분(12)의 벽체에는 벽체 표면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관통됨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슬롯 형태로 되어 있는 복수 개의 외기 도입구(16)가 형성되어, 상기 외기 도입구(16)를 통해 외부의 공기 흐름을 화분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화분.
An inner pot (11) for receiving the plant and the treated soil (10), and an outer pot (12) capable of storing the inner pot (11)
A plurality of air holes 13 for air entry and exit are formed in the wall of the inner pot 11 and a tunnel type water storage part 14 protruding upward to receive water and a plurality of A water flow hole 15 is formed and a wall of the outer pot 12 is penetrated in a tang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and a plurality of outside air introduction openings 16 are formed in the shape of slot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external air flow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pot through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port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화분(12)에 형성되는 외기 도입구(16)는 상하 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휘어진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port (16) formed in the external flower pot (12) has an arc shape that is gently curv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화분(12)에 형성되는 각각의 외기 도입구(16)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외부 화분 둘레 방향을 따라가면서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화분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는 선회류의 흐름을 보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Each of the outdoor air introduction openings 16 formed in the outer flowerpot 12 i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flowerpot having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air entering the flowerpot can be seen to have a swirling flow Wherein the plant is cultivat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화분(12)의 벽체에는 외기 도입구(16)의 상단부에서부터 이어지면서 윗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둘레면을 따라가면서 턱을 조성하는 단차부(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all of the outer pot (12) is formed with a step (17)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air inlet (16) and extending upward and forming a step along the circumfere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화분(11)의 벽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호(弧)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내부 화분 전체 길이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물주입통로(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wall of the inner pot (11) is formed with a water injection path (18)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inner pot with an inwardly concave cross section in the shape of an arc. .
식물과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200)을 포함하며,
상기 화분(200)의 벽체에는 벽체 표면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관통됨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슬롯 형태로 되어 있는 복수 개의 외기 도입구(210)가 형성되어, 상기 외기 도입구(210)를 통해 외부의 공기 흐름을 화분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화분.
A pot (200) capable of receiving plants and soil,
The wall of the pollen (200) has a plurality of outside air introduction openings (210) penetrating in the tang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and having a slot shap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external airflow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flowerpo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화분(200)에 형성되는 외기 도입구(21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휘어진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화분.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utside air introducing port (210) formed in the pot (200) has an arc shape that is gently curv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잇어서,
상기 화분(200)에 형성되는 각각의 외기 도입구(20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화분 둘레 방향을 따라가면서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화분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는 선회류의 흐름을 보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화분.
In claim 6 or 7,
Each of the outdoor air introducing ports 200 formed in the flowerpot 200 i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long the circle direction of the flowerpot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air entering the flowerpot can show the flow of the swirling flow Features planted potted plants.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화분(200)의 벽체에는 외기 도입구(210)의 상단부에서부터 이어지면서 윗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둘레면을 따라가면서 턱을 조성하는 단차부(1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wall of the pot (200) is formed with a step portion (170)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opening (210) and extending upward and forming a step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식물과 가공토양을 수용하는 내부 화분(110)과, 상기 내부 화분(110)을 수용하면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부 화분(12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화분(110)의 바닥에는 물 수용을 위해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터널형의 물저장부(140) 및 물 유입을 위한 다수의 물유동홀(150)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화분(110)의 벽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호(弧)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내부 화분 전체 길이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물주입통로(1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화분.
An inner flower pot (110) for receiving plants and processed soil; and an outer flower pot (120) capable of storing water while receiving the inner pot (110)
A plurality of tunnel-shaped water storage parts 140 protruding upward to receive water and a plurality of water flow holes 150 for water inflow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pot 110, ) Has a water-injecting passage (18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interior pollen while having an arc-shaped cross-section inwardly concave.
KR1020160184311A 2016-12-30 2016-12-30 Hydroponics flower port KR201800789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311A KR20180078992A (en) 2016-12-30 2016-12-30 Hydroponics flower 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311A KR20180078992A (en) 2016-12-30 2016-12-30 Hydroponics flower por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888A Division KR20180079237A (en) 2018-04-09 2018-04-09 Hydroponics flower 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992A true KR20180078992A (en) 2018-07-10

Family

ID=6291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311A KR20180078992A (en) 2016-12-30 2016-12-30 Hydroponics flower 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899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975B1 (en) * 2020-12-22 2021-06-23 (주)이에스텍 A planter with dual structure and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5299266A (en) * 2022-08-12 2022-11-08 长沙善富智能科技有限公司 Water-air internal circulation flowerpot and using method thereof
WO2023238990A3 (en) * 2022-06-08 2024-03-07 이상헌 Slitted plant pot exhibiting excellent ventilation characteristic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163U (en) * 1989-08-24 1991-04-10
JP2004290105A (en) * 2003-03-27 2004-10-21 Mukoyama Orchids Co Ltd Plant cultivation container
KR20080004674U (en) * 2007-04-12 2008-10-16 박신현 Pot for the culture of orchid
KR20080004675U (en) * 2007-04-12 2008-10-16 박신현 Pot for the culture orchid of porous great
KR20130058457A (en) * 2011-11-25 2013-06-04 심이성 Flowerpo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163U (en) * 1989-08-24 1991-04-10
JP2004290105A (en) * 2003-03-27 2004-10-21 Mukoyama Orchids Co Ltd Plant cultivation container
KR20080004674U (en) * 2007-04-12 2008-10-16 박신현 Pot for the culture of orchid
KR20080004675U (en) * 2007-04-12 2008-10-16 박신현 Pot for the culture orchid of porous great
KR20130058457A (en) * 2011-11-25 2013-06-04 심이성 Flowerpo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975B1 (en) * 2020-12-22 2021-06-23 (주)이에스텍 A planter with dual structure and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23238990A3 (en) * 2022-06-08 2024-03-07 이상헌 Slitted plant pot exhibiting excellent ventilation characteristics
CN115299266A (en) * 2022-08-12 2022-11-08 长沙善富智能科技有限公司 Water-air internal circulation flowerpot and using method thereof
CN115299266B (en) * 2022-08-12 2024-01-16 长沙善富智能科技有限公司 Water-gas internal circulation flowerpot and use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379B1 (en) multi-pot with a water tank which is easy for planting
KR20180078992A (en) Hydroponics flower port
JP2017029127A (en) Plate/pot for solid organic compost culture medium
KR20180079237A (en) Hydroponics flower port
KR101037162B1 (en) Flower-pot apparatus
US20050166455A1 (en) Plant pot
KR100419903B1 (en)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KR200463816Y1 (en) Functional flowerpot
KR200207920Y1 (en)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KR101313866B1 (en) System planting pot
KR200370417Y1 (en) Home plant cultivation
JPH11253054A (en) Double pot for plant culture
JP2004222552A (en) Simple type nutriculture container
KR200359219Y1 (en) Port for seedling cultivation of broad-leaved tree
KR200440736Y1 (en) Separation Type Flowerpot
KR20010099373A (en)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JPH0410757Y2 (en)
CN221409873U (en) Multifunctional flowerpot
CN115812470B (en) Do benefit to ventilative peony of hydrophobic cultivation basin
JP2006174829A (en) Simplified hydroponics container
KR20230130332A (en) Hydroponics flower port
CN212164308U (en) Permeable and breathable automatic water-absorbing flowerpot
KR200470194Y1 (en) Dual flowerpot
KR20110008363U (en) A Planting pot for broadleaf tree
KR200278197Y1 (en) A pot for cultivating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