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80067061A -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 Google Patents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061A
KR20180067061A KR1020160168379A KR20160168379A KR20180067061A KR 20180067061 A KR20180067061 A KR 20180067061A KR 1020160168379 A KR1020160168379 A KR 1020160168379A KR 20160168379 A KR20160168379 A KR 20160168379A KR 20180067061 A KR20180067061 A KR 20180067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vibration
block
inspection
al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이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KR102016016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7061A/ko
Publication of KR2018006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피검사체의 커넥터를 고정하는 고정블록이 전면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를 향해 하강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상승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며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상기 고정블록에 고정된 커넥터와 접촉되는 유동블록과, 상기 이송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동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검사체를 검사하는 검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A soket for inspection contacting a connector after aligned by vibration and optics}
본 발명은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와 핀블록을 연결할 때 진동을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정렬하여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시디(LCD :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및 EL(electroluminescence) 등은 FPD(평판 디스플레이)의 한 종류로 저소비 전력, 경량화 및 평면화 특성을 가지므로 텔레비전, 컴퓨터 및 휴대전화기 등의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자동차 및 항공기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는 제조된 모듈 상태에서 테스트용 지그를 이용하여 입력 패드를 통해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를 검사하게 되며,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은 데이터라인 또는 게이트라인이 개방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위치에서는 화소 전극이 구동되지 않아 화소가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되지 않으므로 불량 상태로 판정된다.
이때 평판 디스플레이의 커넥터와 테스트용 지그가 정확하게 접촉되어야만 정확한 테스트를 할 수 있으므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스트용 지그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입력패드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72568호는 FPC 검사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상부로 돌출된 측벽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그 전면부에 상하로 관통된 삽입공이 다수 개 형성된 베이스(100)와, 상기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플렉시블 PCB(FPC)가 삽입되는 누름홈이 형성된 회동구(110)와, 상기 베이스(100)와 회동구(110) 사이에 탄설되어 회동구(11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0)와, 상기 베이스(100)의 삽입공에 삽입 수용되며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는 상부핀과 하부핀이 구비된 프로브(190) 및 상기 베이스(100)의 타측면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프로브(190)의 하부핀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패턴이 형성된 PCB를 포함하며, 프로브(190)와 연결 PCB(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결합수단(150)에 의해 고정한 후 연결 PCB(120)의 패턴에 프로브(190)를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프로브(190)의 마모나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고, 검사 지그를 재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피검사체인 PCB가 프로브(190)의 상부에 정확히 위치하지 않으면 프로브(190)핀과 PCB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검사를 진행할 수 없으며, PCB를 고정하는 수단이 없어 PCB와 지그를 연결시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7256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사체의 커넥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피검사체의 커넥터와 핀블록이 정확히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검사체의 커넥터와 핀블록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켜 핀블록의 위치를 커넥터에 맞춰 핀블록과 커넥터를 정확히 접촉시킬 수 있는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검사체의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 감지하여 안착이 안 된 상태에서 가압되어 커넥터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은 피검사체의 커넥터를 고정하는 고정블록이 전면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를 향해 하강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상승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며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상기 고정블록에 고정된 커넥터와 접촉되는 유동블록과, 상기 이송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동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검사체를 검사하는 검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의 상기 유동블록은 전면 상부에 상기 커넥터와 상기 검사모듈을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핀이 형성된 핀블록과, 일측과 타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핀블록에 형성된 핀이 상기 커넥터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블록의 위치를 조절하는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의 상기 유동블록은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각각 진동모터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유동블록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커넥터와 접촉되도록 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은 상기 고정블록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안착되면 상기 커넥터와 상기 고정블록 사이의 틈에서 유입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커넥터가 상기 고정블록에 밀착되었는지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은 상기 베이스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블록의 하부와 연결되며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블록에 안착된 상기 커넥터가 상기 고정블록에 밀착되도록 상기 커넥터를 흡착시키는 흡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의 상기 이송판 상부에는 상기 커넥터의 안착상태, 상기 유동블록의 정렬상태, 전원공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LED가 작동상태에 따라 발광하는 작동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에 의하면 피검사체의 커넥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피검사체의 커넥터와 핀블록이 정확히 접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에 의하면 피검사체의 커넥터와 핀블록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켜 핀블록의 위치를 커넥터에 맞춰 핀블록과 커넥터를 정확히 접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에 의하면 피검사체의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 감지하여 안착이 안 된 상태에서 가압되어 커넥터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검사용 소켓을 나타낸 조립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을 분리시켜 나타낸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의 유동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의 감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의 흡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와 핀블록을 연결할 때 진동을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정렬하여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11)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11)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은 피검사체(10)의 커넥터(11)를 고정하는 고정블록(110)이 전면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100)와, 베이스(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베이스(100)를 향해 하강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상승되는 이송판(200)과, 이송판(200)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며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고정블록(110)에 고정된 커넥터(11)와 접촉되는 유동블록(210)과, 이송판(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유동블록(210)과 연결되고 피검사체(10)를 검사하는 검사모듈(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100)는 전면 상부에 피검사체(10)의 커넥터(11)를 안착시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블록(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100)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 흡착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케이스(30)가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100)의 전면에는 피검사체(10)를 고정하기 위한 지그(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그(20)와 베이스(100)는 판상형의 작업대(도시되지 않음)의 상부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송판(200)은 베이스(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판(200)의 전면 하부에는 베이스(100)에 형성된 고정블록(110)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유동블록(210)이 장착되게 된다.
유동블록(210)에는 커넥터(11)와 접촉되는 핀블록(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판(200)이 승강함에 따라 핀블록(도시되지 않음)이 커넥터(11)와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되며, 진동에 의해 유동블록(210)이 움직여 핀블록(도시되지 않음)이 커넥터(11)에 맞춰지도록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핀블록(도시되지 않음)은 유동블록(210)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어 고정블록(110)에 삽입된 커넥터(11)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사모듈(250)은 이송판(200)의 상부에 결합된 후 유동블록(210)의 상부에 위치하여 핀블록(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며 피검사체(10)의 모델이나 검사 내용에 따라 검사모듈(25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피검사체(10)의 모델에 따라 검사모듈(250)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송판(200) 상부에는 모델명 또는 제품명이 기입된 커버(230)가 장착되게 되며, 커버(230)는 검사모듈(250)의 종류에 맞춰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또한 이송판(200) 상부에는 커넥터(11)의 안착상태, 유동블록(210)의 정렬상태, 전원공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LED가 작동상태에 따라 발광하는 작동표시등(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표시등(220)은 전원의 공급여부 상태를 표시하거나 정렬상태, 커넥터(11)의 안착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LED가 점등 또는 소등함으로써 현재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전원상태에 위치한 LED를 통해 소켓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정렬상태에 위치한 LED를 통해 유동블록(210)이 진동에 의해 정렬된 후 핀블록(도시되지 않음)과 커넥터(11)가 정상적으로 연결되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며, 안착상태에 위치한 LED를 통해 커넥터(11)가 고정블록(110)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형성된 작동표시등(220)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으며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명칭이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명칭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11)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을 분리시켜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11)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은 실린더(도시되지 않음) 또는 구동모터(310)를 이용하여 이송판(200)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장치(300)는 베이스(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10)와, 이상부는 이송판(200)과 결합되고 내부는 구동모터(310)의 볼스크루(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되어 구동모터(310)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100)를 관통하여 승강되는 승강축(320)과, 승강축(3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부는 이송판(200)과 결합되고 하부는 베이스(100)를 관통하여 승강축(320)을 따라 승강하는 가이드바(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판(200)과 결합된 승강축(320)은 중공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는 구동모터(310)와 결합된 볼스크루가 삽입되게 되며, 볼스크루와 승강축(320)의 내주면은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이때 승강축(320)의 상부는 이송판(200)에 결합될 때 회전하지 않도록 양 측면에 볼트(도시되지 않음)로 고정되도록 하여 볼스크루가 회전하면 승강축(320)이 볼스크루를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310)가 동작하여 볼스크루를 회전시키면 승강축(320)은 볼스크루의 축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며, 이송판(200) 자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판(200)의 일측과 타측에는 베이스(100)를 관통하여 자유롭게 승강되는 가이드바(330)가 결합되게 된다.
가이드바(330)에 의해 구속된 이송판(200)은 회전하지 않고 승강축(320)에 의해 승강될 수 있으며, 가이드바(330)의 하부는 승강축(320)이 설정된 한계치까지 상승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가이드바(330)의 지름보다 큰 스톱바가 형성되어 있어 이송판(200)이 상승되는 높이를 제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송판(200)의 일측에는 고정장치(240)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형태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송판(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230)의 일측에 밀착되어 커버(23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검사모듈(250)은 이송판(200)과 커버(230) 사이에 형성되며 전면 중앙이 돌출되어 있어 유동블록(210)에 결합된 핀블록(213)의 상부와 연결되게 된다.
유동블록(210)은 이송판(200)의 전면 하부에 볼트로 결합되는데, 이송판(200)의 홀은 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볼트가 이송판(200)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유격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동블록(210)은 핀블록(213)과 도 2의 커넥터(11)가 서로 맞물리는 위치로 진동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도 2의 커넥터(11)와 핀블록(213)의 위치가 틀어진 상태에서 이송판(200)이 하강되더라도 유동블록(210)이 유격에 의해 움직이면서 도 2의 커넥터(11)에 맞는 위치로 핀블록(213)이 대응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100)의 전면 상부에는 도 2의 커넥터(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블록(110)이 위치하게 되며, 베이스(100)의 하부에는 흡착장치(130)가 형성되어 고정블록(110)의 하부면과 연결되게 된다.
흡착장치(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베이스(100)의 하부에는 각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제어하는 제어기판(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어기판(140)은 작동표시등(220), 구동장치(300), 흡착장치(130), 유동블록(2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11)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의 유동블록(21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11)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의 유동블록(210)은 전면 상부에 커넥터(11)와 검사모듈(250)을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핀이 형성된 핀블록(213)과, 일측과 타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진동을 발생시켜 핀블록(213)에 형성된 핀이 커넥터(11)와 접촉될 수 있도록 유동블록(2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진동모터(211, 2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동블록(210)은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각각 진동모터(211, 212)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켜 유동블록(21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커넥터(11)와 접촉되도록 하는 특징으로 한다.
진동모터(211, 212)는 제1진동모터(211)와 제2진동모터(2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진동모터(211)는 유동블록(2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진동모터(212)는 유동블록(210)의 타측에 위치한다.
제1진동모터(211)와 제2진동모터(212) 사이에는 핀블록(213)이 위치하게 되며 핀블록(213)은 유동블록(210)과 결합된 상태기 때문에 유동블록(210)이 제1진동모터(211)와 제2진동모터(212)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서 고정블록(110)에 안착된 도 2의 커넥터(11)의 위치와 핀블록(213)의 위치가 맞춰지게 된다.
제1진동모터(211)와 제2진동모터(212)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되어 제1진동모터(211)와 제2진동모터(2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유동블록(21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제1진동모터(211)와 제2진동모터(2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유동블록(21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제1진동모터(211)와 제2진동모터(21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유동블록(210)은 회전하지 않고 진동만 발생하게 된다.
즉, 제1진동모터(211)와 제2진동모터(212)의 회전방향에 의해 유동블록(210)에 진동 및 회전방향이 결정되게 되며 도 2의 이송판(200)이 구동장치(300)에 의해 하강할 때 제1진동모터(211)와 제2진동모터(212)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유동블록(210)은 도 2의 커넥터(11)와 완전히 접촉되기까지 제1진동모터(211)와 제2진동모터(212)에 의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반복 회전하게 되면서 도 2의 커넥터(11)에 맞는 위치로 정렬되어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동블록(21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은 0.1~0.2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mm보다 작은 경우는 도 2의 커넥터(11)에 맞게 회전되는 범위가 너무 좁고 0.2mm보다 큰 경우에는 회전되는 범위가 너무 커 도 2의 커넥터(11)와 어긋난 상태에서 밀착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제1진동모터(211)와 제2진동모터(212)는 서로 교반하여 진동을 발생시켜 유동블록(21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11)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의 감지장치(1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11)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은 고정블록(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커넥터(11)가 안착되면 커넥터(11)와 고정블록(110) 사이의 틈에서 유입되는 빛을 감지하여 커넥터(11)가 고정블록(110)에 밀착되었는지 감지하는 감지장치(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지장치(120)는 도 3의 베이스(100) 전면 하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고정블록(110)의 안착홈(111)에 안착되는 커넥터(11)가 안착홈(111)에 완전히 밀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형성 된다.
감지장치(120)는 안착홈(111)에 형성된 감지홀(114)을 통해 유입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홀(114) 하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감지센서(121)와, 고정블록(110)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고정블록(110)의 전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122)와, 감지센서(121)와 발광소자(122)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도 3의 제어기판(140)과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블록(1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지블록(123)은 고정블록(110)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면 상부에 장착되는 발광소자(122)가 고정블록(11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게 되고, 전면 상부에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포토센서로 이루어진 감지센서(121)가 감지홀(114)의 중심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감지센서(121)는 감지홀(114)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 4의 베이스(100) 하부에 형성되는 감지센서(121)가 감지홀(114)을 통해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도 4의 베이스(100)에도 감지홀(114)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와 같이, 커넥터(11)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광소자(122)에서 빛을 안착부 방면으로 조사하게 되면 감지홀(114)을 통해 감지센서(121)가 조사된 빛을 감지하여 커넥터(11)가 안착되지 않았거나 정상적으로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도 5-B와 같이, 커넥터(11)가 안착된 상태에는 발광소자(122)에서 조사된 빛은 커넥터(11)에 의해 차단되어 감지홀(114)에는 빛이 투과할 수 없게 되며 이 경우 감지센서(121)는 빛을 감지하지 못해 안착홈(111)에 커넥터(11)가 완전히 밀착되었다고 신호를 보내게 된다.
또한 커넥터(11)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은 경우 발광소자(122)에서 조사된 빛이 커넥터(11)와 안착홈(111) 사이의 틈새를 통해 감지홀(114)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감지센서(121)가 빛을 인식하여 커넥터(11)가 안착홈(111)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았다고 신호를 보내게 된다.
감지센서(121)에서 송신된 신호는 도 3의 제어기판(140)을 통해 도 3의 작동표시등(220)으로 전송되게 되며, 커넥터(11)의 안착상태에 대해 도 3의 작동표시등(220)이 점등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11)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의 흡착장치(1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11)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은 베이스(100) 하부에 위치하여 고정블록(110)의 하부와 연결되며 음압을 형성하여 고정블록(110)에 안착된 커넥터(11)가 고정블록(110)에 밀착되도록 커넥터(11)를 흡착시키는 흡착장치(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착장치(130)는 베이스(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 개의 니플(131)과, 각각의 니플(131)을 연결하는 연결관(1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부에 형성된 니플(131)은 베이스(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베이스(100)의 관통홀(115)과 연결되어 있으며, 관통홀(115)의 상부에는 고정블록(110)의 하부에 형성된 흡착홈(112)과 연결되고, 흡착홈(112)은 관통홈(113)을 통해 도 2의 커넥터(11)가 안착되는 안착홈(111)과 연결되게 된다.
하부에 형성된 니플(131)은 공기를 흡입하는 음압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게 되며, 도 2의 커넥터(11)가 고정블록(110)의 안착홈(111)에 안착되면 음압기(도시되지 않음)가 작동하여 진공상태로 만들어 도 2의 커넥터(11)를 안착홈(111)에 완전히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의 커넥터(11)가 도 5의 감지장치(120)에 의해 밀착되었다고 판단되면, 흡착장치(130)의 음압기(도시되지 않음)가 작동되어 도 2의 커넥터(11)가 안착부에서 떨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진공상태로 만들어 고정시키게 된다.
도 2의 커넥터(11)가 고정되면 도 3의 승강판이 하강하면서 흡착장치(130)에 의해 고정된 도 2의 커넥터(11)에 맞춰 도 3의 유동블록(210)이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도 3의 핀블록(213)의 위치를 도 2의 커넥터(11)에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의 승강판이 상승한 후 도 2의 커넥터(11)를 안착홈(111)에서 이격시킬 때는 흡착장치(130)가 정지되어 안착홈(111)에서 도 2의 커넥터(11)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에 의하면 피검사체의 커넥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피검사체의 커넥터와 핀블록이 정확히 접촉되고, 피검사체의 커넥터와 핀블록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켜 핀블록의 위치를 커넥터에 맞춰 핀블록과 커넥터를 정확히 접촉되며, 피검사체의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 감지하여 안착이 안 된 상태에서 가압되어 커넥터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피검사체 11 : 커넥터
20 : 지그 30 : 케이스
100 : 베이스 110 : 고정블록
111 : 안착홈 112 : 흡착홈
113 : 관통홈 114 : 감지홀
115 : 관통홀 120 : 감지장치
121 : 감지센서 122 : 발광소자
123 : 감지블록 130 : 흡착장치
131 : 니플 132 : 연결관
140 : 제어기판 200 : 이송판
210 : 유동블록 211 : 제1진동모터
212 : 제2진동모터 213 : 핀블록
220 : 작동표시등 230 : 커버
240 : 고정장치 250 : 검사모듈
300 : 구동장치 310 : 구동모터
320 : 승강축 330 : 가이드바

Claims (6)

  1. 피검사체의 커넥터를 고정하는 고정블록이 전면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를 향해 하강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상승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며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상기 고정블록에 고정된 커넥터와 접촉되는 유동블록과;
    상기 이송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동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검사체를 검사하는 검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블록은
    전면 상부에 상기 커넥터와 상기 검사모듈을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핀이 형성된 핀블록과;
    일측과 타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핀블록에 형성된 핀이 상기 커넥터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블록의 위치를 조절하는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블록은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각각 진동모터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유동블록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커넥터와 접촉되도록 하는 특징으로 하는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안착되면 상기 커넥터와 상기 고정블록 사이의 틈에서 유입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커넥터가 상기 고정블록에 밀착되었는지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블록의 하부와 연결되며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블록에 안착된 상기 커넥터가 상기 고정블록에 밀착되도록 상기 커넥터를 흡착시키는 흡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 상부에는 상기 커넥터의 안착상태, 상기 유동블록의 정렬상태, 전원공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LED가 작동상태에 따라 발광하는 작동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KR1020160168379A 2016-12-12 2016-12-12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KR20180067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379A KR20180067061A (ko) 2016-12-12 2016-12-12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379A KR20180067061A (ko) 2016-12-12 2016-12-12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061A true KR20180067061A (ko) 2018-06-20

Family

ID=6276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379A KR20180067061A (ko) 2016-12-12 2016-12-12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706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1161A (zh) * 2018-07-13 2018-12-18 芜湖超源力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led灯检测装置
KR101992313B1 (ko) * 2018-10-29 2019-06-24 최광옥 피검사체의 모델에 따라 호환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검사용 연결장치
CN111913059A (zh) * 2020-06-30 2020-11-10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触觉反馈测试装置
KR102181039B1 (ko) * 2020-07-16 2020-11-19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지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검사용 연결 장치
KR102508229B1 (ko) * 2022-06-29 2023-03-09 주식회사 프로이천 상하전후구동블록조립체 및 프로브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9594B2 (ko) * 1986-04-25 1992-11-06 Hitachi Shipbuilding Eng Co
KR100244575B1 (ko) * 1996-12-28 2000-02-15 이두철 슬롯 컨넥터 접촉 불량 검출기
KR200372568Y1 (ko) 2004-09-17 2005-01-14 서승환 Fpc 검사용 지그
JP2007071537A (ja) * 2005-09-02 2007-03-22 Wirutekku Kk プリント基板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4789920B2 (ja) * 2005-02-15 2011-10-12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バーンイン装置
KR101111443B1 (ko) * 2007-11-30 2012-02-15 (주)멜파스 하이브리드 입력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1139329B1 (ko) * 2012-01-31 2012-04-26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평형유지형 승하강 컨택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모듈 컨택장치
JP2013125001A (ja) * 2011-12-16 2013-06-24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ーブクリーニ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9594B2 (ko) * 1986-04-25 1992-11-06 Hitachi Shipbuilding Eng Co
KR100244575B1 (ko) * 1996-12-28 2000-02-15 이두철 슬롯 컨넥터 접촉 불량 검출기
KR200372568Y1 (ko) 2004-09-17 2005-01-14 서승환 Fpc 검사용 지그
JP4789920B2 (ja) * 2005-02-15 2011-10-12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バーンイン装置
JP2007071537A (ja) * 2005-09-02 2007-03-22 Wirutekku Kk プリント基板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1111443B1 (ko) * 2007-11-30 2012-02-15 (주)멜파스 하이브리드 입력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JP2013125001A (ja) * 2011-12-16 2013-06-24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ーブクリーニング装置
KR101139329B1 (ko) * 2012-01-31 2012-04-26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평형유지형 승하강 컨택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모듈 컨택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1161A (zh) * 2018-07-13 2018-12-18 芜湖超源力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led灯检测装置
CN109031161B (zh) * 2018-07-13 2021-03-16 芜湖超源力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led灯检测装置
KR101992313B1 (ko) * 2018-10-29 2019-06-24 최광옥 피검사체의 모델에 따라 호환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검사용 연결장치
CN111913059A (zh) * 2020-06-30 2020-11-10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触觉反馈测试装置
WO2022000580A1 (zh) * 2020-06-30 2022-01-06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触觉反馈测试装置
KR102181039B1 (ko) * 2020-07-16 2020-11-19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지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검사용 연결 장치
KR102508229B1 (ko) * 2022-06-29 2023-03-09 주식회사 프로이천 상하전후구동블록조립체 및 프로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7061A (ko) 광학 및 진동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어 커넥터와 접촉되는 검사용 소켓
KR100793699B1 (ko)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스트용 지그
KR101052490B1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KR101616564B1 (ko) 프로브 이동장치
JP2005017179A (ja) 表示パネル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101145536A (zh) 真空吸附装置
CN110211889B (zh) 检查系统
JP5730664B2 (ja) 電子部品実装機
JP6219080B2 (ja) 部品実装装置
JP7476926B2 (ja) 検査治具
CN207424001U (zh) 一种用于柔性oled面板和fpc的自动对位点灯设备
KR20140080166A (ko) 인쇄회로기판 검사장치
KR101354690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의 조립장치에 적용되는 패널 이송장치
KR20130011263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벤딩장치
KR102245209B1 (ko) 진공 흡착 모듈
KR101075588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의 광 특성 검사장치
KR102037446B1 (ko) 하부접속방식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검사장치
KR101549679B1 (ko)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WO2021193824A1 (ja) 基板検査装置
KR101830606B1 (ko)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JP2006098296A (ja) 表示パネルの点灯検査装置
KR101763622B1 (ko) 글라스패널 이송장치 및 글라스패널 이송장치를 구비한 어레이 테스트 장치
KR20050041120A (ko) 유기이엘소자 검사장치
KR101891749B1 (ko) 자동 검사장치
KR20020065099A (ko) 엘시디 패널 위치 정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