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396A - Optical system - Google Patents
Optical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9396A KR20180059396A KR1020180013483A KR20180013483A KR20180059396A KR 20180059396 A KR20180059396 A KR 20180059396A KR 1020180013483 A KR1020180013483 A KR 1020180013483A KR 20180013483 A KR20180013483 A KR 20180013483A KR 20180059396 A KR20180059396 A KR 201800593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object side
- optical system
- convex
- imaging op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ing optical system.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 및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가 차지하는 기능이 점차 커지면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고해상도 및 고성능화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a portable terminal has a camera so that a video call and a photograph can be taken. In addition, as the function of the camera in the portable terminal gradually increases, the demand for high resolution and high performance of the camera for the portable terminal is increasing.
또한, 최근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크기가 작으면서도 고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모든 렌즈에 비구면을 적용하고 있다.In addition, aspheric surfaces are applied to all the lenses of a camera for a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realize a high resolution with a small size according to recent miniaturization trends.
그러나, 모든 렌즈에 비구면을 적용할 경우에는, 각 렌즈의 제조 공차 또는 조립 공차에 의해 성능 변화가 발생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an aspherical surface is applied to all the lenses, there i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is deteriorated because a performance change occurs due to manufacturing tolerance or assembly tolerance of each le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수차 개선 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고, 제조 공차 또는 조립 공차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ing optical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aberration improving effect, realizing a high resolution, and minimizing the influence of manufacturing tolerance or assembly toler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의 물체측 면은 구면이고, 상측 면은 비구면이며, 나머지 렌즈들은 각각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비구면이고, 물체측 면이 구면인 상기 렌즈보다 물체측에 가깝게 배치된 렌즈들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의 굴절률이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 중에서 가장 크며,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의 대각 길이의 반을 ImgH라 할 때, TTL/(2*ImgH) < 0.75를 만족할 수 있다.
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to sixth lenses arranged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nd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an image of an object incident through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into an electric signal, wherein an object side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Side surface is an aspherical surface and the other lenses have refractive indexes of any one of lenses arranged on the object side and the image side closer to the object side than the spherical surface on the object side, Wherein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side of the first lens to the image surface of the image sensor is TTL and the half of the diagonal length of the image sensor is ImgH, 2 * ImgH) < 0.7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 의하면, 수차 개선 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고, 제조 공차 또는 조립 공차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berration improving effect, realize high resolution, minimize the influence of manufacturing tolerance or assembly tolerance, and improve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표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표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고,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표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curves showing the aber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1,
FIG. 4 is a table showing the lens characteristic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1,
5 is a table showing the aspherical surface coefficients of the respective lense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1,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curves showing the aber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6,
Fig. 9 is a table showing the lens characteristic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6,
10 is a table showing the aspherical surface coefficients of the respective lense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6,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2 and 13 are curves showing the aber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11,
FIG. 14 is a table showing the lens characteristic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11,
15 is a table showing the aspherical surface coefficients of the respective lense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components, etc., And the like.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 comprising "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의 렌즈 구성도에서 렌즈의 두께, 크기 및 형상은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특히 렌즈 구성도에서 제시된 구면 또는 비구면의 형상은 일 예로 제시되었을 뿐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lens configuration diagrams, the thickness, size, and shape of the lens are shown somewhat exaggerated for explanatory purposes, and 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spherical or aspherical surface presented in the lens configuration diagram is shown by way of example only and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또한, 도 1, 도 6 및 도 11의 렌즈 구성도에서 각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것으로 보일 수 있더라도, 도 4, 도 9 및 도 14의 각 렌즈 특성을 나타낸 표를 참조하면 해당 면의 실제 형상은 오목하거나 평면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것으로 보일 수 있더라도, 해당 면의 실제 형상은 볼록하거나 평면일 수 있다.
In the lens configuration diagrams of Figs. 1, 6, and 11, although one surface of each lens may be seen as convex, referring to the table showing the lens characteristics of Figs. 4, 9, and 14, It can be concave or flat. Likewise, although one side of the lens may appear to be concave, the actual shape of the side may be convex or planar.
제1 렌즈는 물체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6 렌즈는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The first lens means the lens closest to the object, and the sixth lens means the lens closest to the image sensor.
또한, 각각의 렌즈에서 제1 면은 물체 측에 가까운 면(또는, 물체측 면)을 의미하고, 제2 면은 상측에 가까운 면(또는, 상측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두께(Thickness), ImgH(이미지 센서의 상면의 대각 길이의 1/2) 등에 대한 수치는 모두 ㎜ 단위이고, FOV(촬상 광학계의 화각)의 단위는 Degree 이다.In each lens, the first surface means a surface close to the object side (or the object side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means a surface (or an upper surface) close to the image sid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numerical values of the curvature radius (Radius), the thickness (Thickness), the ImgH (1/2 of the diagonal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mage sensor) of the lens are all in mm and the unit of the FOV (angle of view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Degree is.
아울러, 각 렌즈의 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근축 영역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근축 영역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xplanation of the shape of each lens, the convex shape of one surface means that the paraxial area of the surface is convex, and the concave shape of one surface means that the paraxial area of the surface is concave. Therefore, even if one surface of the lens is described as a convex shape, the edge portion of the lens can be concave. Similarly, even if one surface of the lens is described as a concave shape, the edge portion of the lens can be convex.
한편, 근축 영역(Paraxial Region)이라 함은 광축 근처의 매우 좁은 영역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araxial region means a very narrow region near the optical ax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6매의 렌즈를 포함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ix lense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한다.For example, 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ns, a second lens, a third lens, a fourth lens, a fifth lens, and a sixth lens arranged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가 6매의 렌즈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ly six lenses,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s needed.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ing optica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an image of an incident subject into an electrical signal.
또한, 촬상 광학계는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제6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된다.Further, the imaging optica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ray filter for blocking infrared rays. An infrared filter is disposed between the sixth lens and the image sensor.
또한, 촬상 광학계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개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Further, the imaging optica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ris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For example, the diaphragm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constituting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아울러,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비구면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has an aspherical surface.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may each have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즉,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That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may be an aspherical surface. Here, the aspherical surfaces of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ar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상기 수학식 1에서 c는 렌즈의 곡률(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Y는 렌즈의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아울러, 상수 A ~ F는 비구면 계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Z는 렌즈의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In Equation (1), c is the curvature of the lens (inverse of the curvature radius), K is the conic constant, and Y is the distance from the arbitrary point on the aspherical surface of the lens to the optical axis. In addition, the constants A to F mean aspheric coefficients. And Z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an arbitrary point on the aspheric surface of the lens to the apex of the aspheric surface.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로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부/정/부/부/부의 굴절력을 가진다.The imaging optical system composed of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has positive / negative / positive / negative / negative / negative refractive power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수차 개선을 통해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imaging optical system thus configured can improve the optical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aber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1을 만족한다.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1).
[조건식 1][Conditional expression 1]
2.0 < f3/f1 < 6.02.0 < f3 / f1 < 6.0
조건식 1에서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3은 상기 제3 렌즈의 초점거리이다.
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2를 만족한다.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2).
[조건식 2][Conditional expression 2]
f/(CT3+CT4+CT5) < 4.0f / (CT3 + CT4 + CT5) < 4.0
조건식 2에서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고, CT3는 상기 제3 렌즈의 근축 영역에서의 두께이고, CT4는 상기 제4 렌즈의 근축 영역에서의 두께이고, CT5는 상기 제5 렌즈의 근축 영역에서의 두께이다.
CT3 is the thickness in the paraxial area of the third lens, CT4 is the thickness in the paraxial area of the fourth lens, CT5 is the paraxial area of the fifth lens, Lt; / RTI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3을 만족한다.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3).
[조건식 3][Conditional expression 3]
|f/f5|+|f/f6| < 1.0| f / f5 | + | f / f6 | ≪ 1.0
조건식 3에서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고, f5는 상기 제5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6은 상기 제6 렌즈의 초점거리이다.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4를 만족한다.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4).
[조건식 4][Conditional expression 4]
TTL/(2×ImgH) < 0.75TTL / (2 x ImgH) < 0.75
조건식 4에서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ImgH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대각 길이의 반이다.
In the conditional expression (4), TTL is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image surface of the image sensor, and ImgH is half the diagonal length of the image sensor.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1 내지 4를 만족한다.
Referring to Table 1,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를 설명한다.Next,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constituting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1 렌즈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하고,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lens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Further, the first lens may have a convex meniscus shape toward the object side. In other words,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ens may be convex in the paraxial area,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concave in the paraxial area.
상기 제1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lens may be aspherical. For example, both surfaces of the first lens may be aspherical.
상기 제2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아울러, 상기 제2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2 렌즈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하고,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The second lens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the second lens may have a convex meniscus shape toward the object side. In other words,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lens may be convex in the paraxial area,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concave in the paraxial area.
상기 제2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 중에서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이 가장 클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second lens may be aspherical. For example, both surfaces of the second lens may be aspherical. Furth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among the first to sixth lenses may be the largest.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3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3 렌즈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하고,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The third lens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In addition, the third lens may have a meniscus shape convex upward. In other words, the first surface of the third lens may be concave in the paraxial area,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convex in the paraxial area.
상기 제3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third lens may be aspherical. For example, both surfaces of the third lens may be all aspherical.
상기 제4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4 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4 렌즈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The fourth lens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In addition, the fourth lens may have a concave shape on both sides. In other words,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ourth lens may be concave in the paraxial area.
상기 제4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어느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렌즈의 제1 면은 구면이고, 제2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In the fourth lens, either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an aspherical surface.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fourth lens may be a spherical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an aspherical surface.
상기 제5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5 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5 렌즈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The fifth lens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In addition, the fifth lens may have a concave shape on both sides. 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fifth lens may be concave in the paraxial area.
상기 제5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fth lens may be an aspherical surface. For example, both surfaces of the fifth lens may be all aspherical.
상기 제6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6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6 렌즈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하고,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The sixth lens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Further, the sixth lens may have a convex meniscus shape toward the object side. In other words, the first surface of the sixth lens may be convex in the paraxial area,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concave in the paraxial area.
상기 제6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The sixth lens may have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spherical. For example, both surfaces of the sixth lens may be aspherical.
또한, 상기 제6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렌즈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하다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렌즈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하다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inflection point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sixth lens.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sixth lens may be convex in the paraxial area and concave in the edge directi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ixth lens may be concave in the paraxial area and convex in the edge.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다수의 렌즈가 수차 보정 기능을 수행하므로 수차 개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imaging optical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a plurality of lenses perform the aberration correction function, the aberration improv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촬상 광학계를 소형화하는 경우에는, 각 렌즈의 제조 공차 또는 조립 공차에 의하여 촬상 광학계의 성능이 변하게 될 우려가 존재한다. 일 예로, 촬상 광학계를 소형화할수록 렌즈의 민감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각 렌즈의 제조 공차 또는 조립 공차에 따른 성능 변화가 심해지게 된다.In the case of downsizing the imaging optical system,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may change due to manufacturing tolerance or assembly tolerance of each lens. For example, as the imaging optical system is miniaturized, the sensitivity of the lens increases, and the performance variation due to manufacturing tolerance or assembly tolerance of each lens is increased.
특히, 모든 렌즈에 비구면을 적용할 경우에는 제조 공차 또는 조립 공차에 의한 영향이 커지게 된다.In particular, when an aspherical surface is applied to all the lenses, the influence of the manufacturing tolerance or the assembly tolerance becomes large.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렌즈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의 일면(일 예로, 제4 렌즈의 물체측 면)을 구면으로 설계하고, 상기 렌즈의 전방(물체 측)에 배치된 렌즈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일 예로, 제2 렌즈)의 굴절률을 가장 크게 설계(일 예로,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은 1.66보다 클 수 있다.)함으로써, 소형화의 요구를 만족시키면서도 제조 공차 또는 조립 공차에 따라 성능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urface (for example,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ourth lens)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enses is designed as a spherical surface, (For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can be greater than 1.66) of any one of the arranged lenses (for example, the second lens) can be designed to be the largest Or variation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ssembly tolerance can be prevente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및 제6 렌즈(16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조리개, 적외선 필터(170) 및 이미지 센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 렌즈(110)의 초점거리(f1)는 2.6218 ㎜, 상기 제2 렌즈(120)의 초점거리(f2)는 -5.9743 ㎜, 상기 제3 렌즈(130)의 초점거리(f3)는 12.9389 ㎜, 상기 제4 렌즈(140)의 초점거리(f4)는 -12.4925 ㎜, 상기 제5 렌즈(150)의 초점거리(f5)는 -379.999 ㎜, 상기 제6 렌즈(160)의 초점거리(f6)는 -15.6656 mm,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3.5976 mm이다.
As shown in FIG. 4, the focal length f1 of the
여기서,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유효반경)은 도 4와 같다.
Here, the lens characteristics (radius of curvature, thickness of the lens or distance between lenses, index, Abbe number, effective radius) of each lens ar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11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1 렌즈(11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제2 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12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2 렌즈(12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상기 제3 렌즈(1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13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3 렌즈(13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The
상기 제4 렌즈(1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렌즈(140)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상기 제5 렌즈(1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렌즈(150)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상기 제6 렌즈(1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렌즈(16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6 렌즈(16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또한, 상기 제6 렌즈(160)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inflection point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제1 렌즈(110) 내지 상기 제6 렌즈(160)의 각 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110), 상기 제2 렌즈(120), 상기 제3 렌즈(130), 상기 제5 렌즈(150) 및 상기 제6 렌즈(160)는 제1 면과 제2 면이 모두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제4 렌즈(140)의 제1 면은 구면이고, 상기 제4 렌즈(140)의 제2 면은 비구면이다.On the other hand, each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110)와 상기 제2 렌즈(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iaphragm may be disposed between the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Further, the imaging optical system thus constructed can have the aberration characteristics shown in Figs. 2 and 3.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Fig.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210), 제2 렌즈(220), 제3 렌즈(230), 제4 렌즈(240), 제5 렌즈(250) 및 제6 렌즈(26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조리개, 적외선 필터(270) 및 이미지 센서(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 렌즈(210)의 초점거리(f1)는 2.6207 ㎜, 상기 제2 렌즈(220)의 초점거리(f2)는 -5.9619 ㎜, 상기 제3 렌즈(230)의 초점거리(f3)는 12.9714 ㎜, 상기 제4 렌즈(240)의 초점거리(f4)는 -12.446 ㎜, 상기 제5 렌즈(250)의 초점거리(f5)는 -373.7857 ㎜, 상기 제6 렌즈(260)의 초점거리(f6)은 -16.0742 mm,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3.5947 mm이다.
9, the focal length f1 of the
여기서,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유효반경)은 도 9와 같다.
The lens characteristics (radius of curvature, thickness of the lens, distance between lenses, index, Abbe number, effective radius) of each lens are shown in Fig.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21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1 렌즈(21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제2 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22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2 렌즈(22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상기 제3 렌즈(2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23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3 렌즈(23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The
상기 제4 렌즈(2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렌즈(240)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상기 제5 렌즈(2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렌즈(250)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상기 제6 렌즈(2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렌즈(26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6 렌즈(26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또한, 상기 제6 렌즈(260)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Also, at least one inflection point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제1 렌즈(210) 내지 상기 제6 렌즈(260)의 각 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210), 상기 제2 렌즈(220), 상기 제3 렌즈(230), 상기 제5 렌즈(250) 및 상기 제6 렌즈(260)는 제1 면과 제2 면이 모두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제4 렌즈(240)의 제1 면은 구면이고, 상기 제4 렌즈(240)의 제2 면은 비구면이다.On the other hand, each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210)와 상기 제2 렌즈(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iaphragm may be disposed between the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imaging optical system thus configured can have the aberration characteristics shown in Figs. 7 and 8. Fig.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5. Fig.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310), 제2 렌즈(320), 제3 렌즈(330), 제4 렌즈(340), 제5 렌즈(350) 및 제6 렌즈(36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조리개, 적외선 필터(370) 및 이미지 센서(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 렌즈(310)의 초점거리(f1)는 2.6206 ㎜, 상기 제2 렌즈(320)의 초점거리(f2)는 -5.9609 ㎜, 상기 제3 렌즈(330)의 초점거리(f3)는 13.0307 ㎜, 상기 제4 렌즈(340)의 초점거리(f4)는 -12.4783 ㎜, 상기 제5 렌즈(350)의 초점거리(f5)는 -362.3299 ㎜, 상기 제6 렌즈(360)의 초점거리(f6)은 -16.1613 mm,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3.5943 mm이다.
14, the focal length f1 of the
여기서,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유효반경)은 도 14와 같다.
Here, the lens characteristics (radius of curvature, thickness of the lens or distance between lenses, index, Abbe number, effective radius) of each lens ar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3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31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1 렌즈(31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제2 렌즈(3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32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2 렌즈(32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상기 제3 렌즈(3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33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3 렌즈(33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The third lens 330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a meniscus shape convex upward.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third lens 330 is concave in the paraxial area,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third lens 330 is convex in the paraxial area.
상기 제4 렌즈(3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렌즈(340)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상기 제5 렌즈(3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렌즈(350)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상기 제6 렌즈(3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렌즈(36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6 렌즈(36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또한, 상기 제6 렌즈(360)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The
한편, 상기 제1 렌즈(310) 내지 상기 제6 렌즈(360)의 각 면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310), 상기 제2 렌즈(320), 상기 제3 렌즈(330), 상기 제5 렌즈(350) 및 상기 제6 렌즈(360)는 제1 면과 제2 면이 모두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제4 렌즈(340)의 제1 면은 구면이고, 상기 제4 렌즈(340)의 제2 면은 비구면이다.On the other hand, each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310)와 상기 제2 렌즈(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iaphragm may be disposed between the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imaging optical system thus constructed can have the aberration characteristics shown in Figs. 12 and 13. Fig.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0, 210, 310: 제1 렌즈
120, 220, 320: 제2 렌즈
130, 230, 330: 제3 렌즈
140, 240, 340: 제4 렌즈
150, 250, 350: 제5 렌즈
160, 260, 360: 제6 렌즈
170, 270, 370: 적외선 필터
180, 280, 380: 이미지 센서110, 210, and 310: a first lens
120, 220, 320: a second lens
130, 230, 330: Third lens
140, 240, 340: fourth lens
150, 250, 350: fifth lens
160, 260, 360: Sixth lens
170, 270, 370: Infrared filter
180, 280, 380: image sensor
Claims (16)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의 물체측 면은 구면이고, 상측 면은 비구면이며,
나머지 렌즈들은 각각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비구면이고,
물체측 면이 구면인 상기 렌즈보다 물체측에 가깝게 배치된 렌즈들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의 굴절률이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 중에서 가장 크며,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의 대각 길이의 반을 ImgH라 할 때,
TTL/(2*ImgH) < 0.75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A first lens to a sixth lens arranged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nd
And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an image of an object incident through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into an electric signal,
The object side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is a spherical surface, the upper surface is an aspherical surface,
The other lenses are aspherical surfaces on the object side and the upper side,
The refractive index of any one of the lenses disposed closer to the object side than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object side is the largest among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A distance from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image surface of the image sensor is TTL,
When half of the diagonal length of the image sensor is ImgH,
TTL / (2 * ImgH) < 0.75.
물체측 면이 구면인 상기 렌즈는 제4 렌즈인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said lens whose object side is a spherical surface is a fourth lens.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 중에서, 굴절률이 가장 큰 상기 렌즈는 제2 렌즈인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s having the largest refractive index among the first lens and the sixth lens is a second lens.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상기 제3 렌즈의 초점거리를 f3이라 할 때,
2.0 < f3/f1 < 6.0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is f1 and the focal length of the third lens is f3,
2.0 < f3 / f1 < 6.0.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상기 제3 렌즈의 근축 영역에서의 두께를 CT3, 상기 제4 렌즈의 근축 영역에서의 두께를 CT4, 상기 제5 렌즈의 근축 영역에서의 두께를 CT5이라 할 때,
f/(CT3+CT4+CT5) < 4.0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tal focal length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is f, the thickness of the paraxial area of the third lens is CT3, the thickness of the paraxial area of the fourth lens is CT4, and the thickness of the paraxial area of the fifth lens is CT5 time,
f / (CT3 + CT4 + CT5) < 4.0.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상기 제5 렌즈의 초점거리를 f5, 상기 제6 렌즈의 초점거리를 f6이라 할 때,
|f/f5|+|f/f6| < 1.0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otal focal length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is f, the focal length of the fifth lens is f5, and the focal length of the sixth lens is f6,
| f / f5 | + | f / f6 | ≪ 1.0.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는 순서대로 정, 부, 정, 부, 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have positive, negative, positive, negative, negative, and negative refractive powers in order.
상기 제1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며,
상기 제2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ens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 convex meniscus shape toward the object side,
Wherein the second lens has a meniscus shape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being convex on the object side.
상기 제2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며,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lens has a meniscus shape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convex on the object side,
Wherein the third lens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a meniscus shape convex upward.
상기 제4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ourth lens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상기 제4 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ourth lens is concave on both sides.
상기 제5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fth lens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상기 제5 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fth lens is concave on both sides.
상기 제6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xth lens has a meniscus shape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being convex on the object side.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aphragm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렌즈의 물체측 면은 구면이고, 상측 면은 비구면이며,
나머지 렌즈들은 각각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비구면이고,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은 1.66보다 크고,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이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 중에서 가장 크며,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의 대각 길이의 반을 ImgH라 할 때,
TTL/(2*ImgH) < 0.75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A first lens to a sixth lens arranged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nd
And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an image of an object incident through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into an electric signal,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ourth lens is a spherical surface, the upper surface is an aspherical surface,
The other lenses are aspherical surfaces on the object side and the upper sid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is greater than 1.66,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is the largest among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A distance from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image surface of the image sensor is TTL,
When half of the diagonal length of the image sensor is ImgH,
TTL / (2 * ImgH) < 0.75.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3483A KR102416824B1 (en) | 2016-11-25 | 2018-02-02 | Optical system |
KR1020220080250A KR102456649B1 (en) | 2018-02-02 | 2022-06-30 | Optical system |
KR1020220132541A KR102494408B1 (en) | 2018-02-02 | 2022-10-14 | Optical system |
KR1020230010288A KR102535291B1 (en) | 2018-02-02 | 2023-01-26 | Optical system |
KR1020230063769A KR102574437B1 (en) | 2018-02-02 | 2023-05-17 | Optical system |
KR1020230114756A KR102609151B1 (en) | 2018-02-02 | 2023-08-30 | Optical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8181A KR101832627B1 (en) | 2016-11-25 | 2016-11-25 | Optical system |
KR1020180013483A KR102416824B1 (en) | 2016-11-25 | 2018-02-02 | Optical system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8181A Division KR101832627B1 (en) | 2016-11-25 | 2016-11-25 | Optical system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0250A Division KR102456649B1 (en) | 2018-02-02 | 2022-06-30 | Optical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9396A true KR20180059396A (en) | 2018-06-04 |
KR102416824B1 KR102416824B1 (en) | 2022-07-05 |
Family
ID=8240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3483A KR102416824B1 (en) | 2016-11-25 | 2018-02-02 | Optical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682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2918A (en) | 2018-11-27 | 2020-06-04 | 엘컴텍 주식회사 | Lens optical system |
KR20200062919A (en) | 2018-11-27 | 2020-06-04 | 엘컴텍 주식회사 | Lens optical system |
KR20200143850A (en) * | 2019-06-17 | 2020-12-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Imaging Lens System |
WO2024076081A1 (en) * | 2022-10-04 | 2024-04-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2627B1 (en) * | 2016-11-25 | 2018-02-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Optical system |
-
2018
- 2018-02-02 KR KR1020180013483A patent/KR10241682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2627B1 (en) * | 2016-11-25 | 2018-02-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Optical system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2918A (en) | 2018-11-27 | 2020-06-04 | 엘컴텍 주식회사 | Lens optical system |
KR20200062919A (en) | 2018-11-27 | 2020-06-04 | 엘컴텍 주식회사 | Lens optical system |
KR20200143850A (en) * | 2019-06-17 | 2020-12-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Imaging Lens System |
KR20210082408A (en) * | 2019-06-17 | 2021-07-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Imaging Lens System |
US11454782B2 (en) | 2019-06-17 | 2022-09-27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Imaging lens system |
US12055792B2 (en) | 2019-06-17 | 2024-08-06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Imaging lens system |
WO2024076081A1 (en) * | 2022-10-04 | 2024-04-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6824B1 (en) | 2022-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1701B1 (en) | Optical system | |
KR101946261B1 (en) | Optical system | |
KR102009431B1 (en) | Optical system | |
KR101709836B1 (en) | Optical system | |
KR102126419B1 (en) | Optical system | |
KR20180076742A (en) | Optical system | |
KR101832627B1 (en) | Optical system | |
KR101709830B1 (en) | Optical system | |
KR101719876B1 (en) | Optical system | |
KR101740766B1 (en) | Optical system | |
KR102416100B1 (en) | Optical imaging system | |
KR20180076164A (en) | Optical system | |
KR20190090325A (en) | Optical system | |
KR102416824B1 (en) | Optical system | |
KR102483092B1 (en) | Optical system | |
KR101670136B1 (en) | Optical system | |
KR20230007296A (en) | Optical imaging system | |
KR101681374B1 (en) | Optical system | |
KR102632359B1 (en) | Optical system | |
KR102126411B1 (en) | Optical system | |
KR102609151B1 (en) | Optical system | |
KR102126412B1 (en) | Optical system | |
KR20220133166A (en) | Optical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