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637A -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 Google Patents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8637A KR20180058637A KR1020170155873A KR20170155873A KR20180058637A KR 20180058637 A KR20180058637 A KR 20180058637A KR 1020170155873 A KR1020170155873 A KR 1020170155873A KR 20170155873 A KR20170155873 A KR 20170155873A KR 20180058637 A KR20180058637 A KR 201800586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ten metal
- ingot
- distribution gate
- oxide
-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12—Appurtenances, e.g. for sintering, for preventing splas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6—Ingot moulds or their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제공한다. 턴디쉬로부터 용탕을 받아 잉곳케이스에 상기 용탕을 분배하는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상기 턴디쉬에서 용탕이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분배게이트의 출구지름이 점진적으로 넓어져 용탕의 유동성이 저하돼도 잉곳케이스에 주입되는 용탕의 부피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턴디쉬 노즐에서 공급된 용탕이 효과적으로 분배게이트 하단에 설치된 잉곳케이스에 분배되어 들어갈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분배게이트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0102호에서는 설치된 잉곳케이스의 수에 따라 일정한 간격 및 크기의 주입구가 뚫려있었다. 그러나, 턴디쉬로부터 용탕을 받을 때 턴디쉬 노즐의 위치에 따른 용탕의 체류시간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입 후 응고된 잉곳 제품의 기계적 특성 편차를 야기할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분배게이트는 경사가 없는 평탄한 바닥의 형상을 가졌기 때문에 체류시간이 길어져 유동성을 잃은 용탕이 그대로 바닥에 남아 응고되어 스크랩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특히 합금 용탕의 점성도에 따라 유동성을 잃는 속도는 더 가속화되기 때문에 상기 원인이 단점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기술의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스크랩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분배게이트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종래기술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턴디쉬 노즐로부터 분배게이트 주입구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주입구 크기에 편차를 주고 주입구 주변에 경사면을 위치시켜 잉곳케이스에 주입되는 용탕의 흐름 유도 및 유량을 조절하는 잉크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제공함을 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제공한다.
턴디쉬로부터 용탕을 받아 잉곳케이스에 상기 용탕을 분배하는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내부에 용탕 수용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상기 턴디쉬에서 용탕이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분배게이트의 출구지름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상기 턴디쉬에서 용탕이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분배게이트의 출구지름이 점진적으로 넓어짐으로써 용탕의 유동성이 저하돼도 잉곳케이스에 주입되는 용탕의 부피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의 가로 : 세로 : 높이 비가 5내지 7 : 4 내지 6 : 1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산화규소(SiO2)계, 산화규소-알루미늄(SiO2-Al2O3)계, 산화지르코늄(ZrO2)계, 탄화규소(SiC)계, 산화알루미늄(Al2O3)계, 스피넬계, 산화크로뮴(Cr2O3)계, 탄소(C)계, 마그네시아(MgO)계, 산화마그네슘-크로뮴(MgO-CrO3-)계 또는 산화칼슘(CaO)계 내화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제공한다.
턴디쉬로부터 용탕을 받아 잉곳케이스에 상기 용탕을 분배하는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내부에 용탕 수용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 바닥면 상기 몸체부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출구부, 상기 출구부의 바닥면, 상기 출구부의 바닥면에 연결된 출구 관 및 상기 출구부의 바닥면과 상기 출구 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상기 분배게이트의 바닥면에 용탕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사면은 바닥면을 기준으로15° 내지 45°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의 가로 : 세로 : 높이 비가 5내지 7 : 4 내지 6 : 1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알 산화규소(SiO2)계, 산화규소-알루미늄(SiO2-Al2O3)계, 산화지르코늄(ZrO2)계, 탄화규소(SiC)계, 산화알루미늄(Al2O3)계, 스피넬계, 산화크로뮴(Cr2O3)계, 탄소(C)계, 마그네시아(MgO)계, 산화마그네슘-크로뮴(MgO-CrO3-)계 또는 산화칼슘(CaO)계 내화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이용하여 잉곳케이스에 주입되는 용탕의 체류시간을 조절하여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곳케이스에 주입되는 상기 용탕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분배판 위에 잔탕이 남아 스크랩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탕의 주입을 균일하게 제어하여 균일한 크기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턴디쉬에서 용탕이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분배게이트의 출구지름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게이트의 바닥면으로부터 출구에 걸쳐 경사면이 형성된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게이트의 바닥면으로부터 출구에 걸쳐 경사면이 형성된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턴디쉬에서 용탕이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분배게이트의 출구지름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내부에 용탕 수용부를 포함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에 위치하는 복수의 출구부(210, 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상기 턴디쉬에서 용탕이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분배게이트의 출구지름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상기 턴디쉬에서 용탕이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분배게이트의 출구지름이 점진적으로 넓어짐으로써 용탕의 유동성이 저하돼도 잉곳케이스에 주입되는 용탕의 부피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출구부(210, 220, 230)는 용탕 공급위치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제1라인출구부(210), 제2라인출구부(220) 및 제3라인 출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출구부(210, 220, 230)는 상기 제1라인출구부(210) < 상기 제2라인출구부(220) < 상기 제3라인 출구부(230) 순으로 출구부의 지름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턴디쉬에서 용탕이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장 가까운 출구지름을 기준으로 상기 출구지름은 130% 내지 145%의 비율로 넓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라인출구부(210) : 상기 제2라인출구부(220) : 상기 제3라인 출구부(230) = 100% : 130% : 145%의 출구지름 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출구지름은 Ø30 내지 Ø5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턴디시로부터 출탕된 용탕을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장치에 주입하여 잉곳케이스로 분배할 경우, 상기 용탕이 상기 분배게이트 내부에서 용탕 주입부와 멀어짐에 따라 상기 용탕의 온도가 낮아짐과 동시에 점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탕의 점도가 증가하게 될 경우, 상기 용탕 주입부와 먼 곳에 위치하는 상기 분배게이트의 출구가 막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분배게이트의 출구가 막히게 되면 용탕의 고른 분배가 어려워지고, 더 나아가 장입 용탕 대비 잉곳 생성 수율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용탕 주입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분배게이트의 출구를 넓게 제조한다면, 상기 용탕의 점도가 증가하더라도 단위 시간 당 상기 용탕 주입부와 가까운 분배게이트 출구와 균일한 부피의 용탕을 상기 잉곳케이스에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의 가로 : 세로 : 높이 비가 5내지 7 : 4 내지 6 : 1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산화규소(SiO2)계, 산화규소-알루미늄(SiO2-Al2O3)계, 산화지르코늄(ZrO2)계, 탄화규소(SiC)계, 산화알루미늄(Al2O3)계, 스피넬계, 산화크로뮴(Cr2O3)계, 탄소(C)계, 마그네시아(MgO)계, 산화마그네슘-크로뮴(MgO-CrO3-)계 또는 산화칼슘(CaO)계 내화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험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턴디쉬에서 용탕이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분배게이트의 출구지금이 넓어지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적으로 잉곳을 주조하였다.
먼저, 잉곳케이스 상에 슬리브를 조립하였다.
다음, 상기 슬리브와 결합된 잉곳케이스 상에 세라크울 및 분배게이트를 조립하여 금형을 제작하였다.
그 다음, 상기 금형을 잉곳 주조기에 장입하였다.
그 다음, 턴디시를 예열 후 용탕을 장입하였다.
그 다음, 상기 턴디시에서 출탕하여 상기 분배게이트를 거쳐 잉곳케이스에 용탕을 투입하여 잉곳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분배게이트 출구 크기가 균일한 분배게이트를 이용하여 잉곳을 주조한 경우 용탕 주입 대비 잉곳 수율은 70%로 확인되었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턴디쉬에서 용탕이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분배게이트의 출구지름이 넓어지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이용하여 잉곳을 주조한 경우 용탕 주입 대비 잉곳 수율은 86%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이용할 경우, 잉곳 주조시 수율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상기 턴디쉬에서 용탕이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분배게이트의 출구지금이 넓어짐으로써, 용탕의 유동성이 저하돼도 잉곳케이스에 주입되는 용탕의 부피를 일정하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게이트의 바닥면으로부터 출구에 걸쳐 경사면이 형성된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내부에 용탕 수용부(120)를 포함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바닥면(110) 및 분배게이트 출구 구조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분배게이트 출구 구조체(300)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바닥면(110)에 위치하는 복수의 출구부(200), 상기 출구부의 바닥면(201), 상기 출구부의 바닥면(201)에 연결된 출구 관(310) 및 상기 출구부의 바닥면(201)과 상기 출구 관(310)을 연결하는 연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상기 분배게이트의 바닥면(110)에 용탕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400)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400)가 시작되는 출구부 상부지름은 Ø30 내지 Ø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400)가 끝나는 출구부 하부지름은 Ø23 내지 Ø3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턴디시로부터 출탕된 용탕을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장치에 주입하여 잉곳케이스로 분배할 경우, 상기 용탕이 상기 분배게이트 내부에서 용탕 주입부와 멀어짐에 따라 상기 용탕의 온도가 낮아짐과 동시에 점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탕의 점도가 증가하게 될 경우, 상기 용탕이 평평한 분배게이트의 바닥면에서 응고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분배게이트의 출구가 막히게 되면 용탕의 고른 분배가 어려워지고, 더 나아가 장입 용탕 대비 잉곳 생성 수율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분배게이트의 바닥면으로부터 출구에 걸쳐 경사면을 형성한다면, 상기 용탕의 점도가 증가하더라도 상기 용탕이 분배게이트의 바닥면에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고, 잔여 용탕이 남지 않도록 하여 장입 융탕 대비 잉곳 생성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은 바닥면을 기준으로15° 내지 45°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의 가로 : 세로 : 높이 비가 5내지 7 : 4 내지 6 : 1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산화규소(SiO2)계, 산화규소-알루미늄(SiO2-Al2O3)계, 산화지르코늄(ZrO2)계, 탄화규소(SiC)계, 산화알루미늄(Al2O3)계, 스피넬계, 산화크로뮴(Cr2O3)계, 탄소(C)계, 마그네시아(MgO)계, 산화마그네슘-크로뮴(MgO-CrO3-)계 또는 산화칼슘(CaO)계 내화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분배게이트의 바닥면으로부터 출구에 걸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용탕의 점도가 증가하더라도 상기 용탕이 분배게이트의 바닥면에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고, 잔여 용탕이 남지 않도록 하여 장입 용탕 대비 잉곳 생성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몸체부
110 : 몸체부의 내부 바닥면
120 : 용탕 수용부
200 : 출구부
201 : 출구부의 바닥면
210 : 제1라인출구부
220 : 제2라인출구부
230 : 제3라인출구부
300 : 분배게이트 출구 구조체
310 : 분배게이트 출구 관
400 : 연결부
110 : 몸체부의 내부 바닥면
120 : 용탕 수용부
200 : 출구부
201 : 출구부의 바닥면
210 : 제1라인출구부
220 : 제2라인출구부
230 : 제3라인출구부
300 : 분배게이트 출구 구조체
310 : 분배게이트 출구 관
400 : 연결부
Claims (8)
- 턴디쉬로부터 용탕을 받아 잉곳케이스에 상기 용탕을 분배하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에 있어서,
내부에 용탕 수용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턴디쉬에서 용탕이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출구부의 출구지름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의 출구지름이 점진적으로 넓어져 용탕의 유동성이 저하돼도 잉곳케이스에 주입되는 용탕의 부피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의 몸체부는 가로 : 세로 : 높이 비가 5내지 7 : 4 내지 6 : 1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산화규소(SiO2)계, 산화규소-알루미늄(SiO2-Al2O3)계, 산화지르코늄(ZrO2)계, 탄화규소(SiC)계, 산화알루미늄(Al2O3)계, 스피넬계, 산화크로뮴(Cr2O3)계, 탄소(C)계, 마그네시아(MgO)계, 산화마그네슘-크로뮴(MgO-CrO3-)계 또는 산화칼슘(CaO)계 내화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 턴디쉬로부터 용탕을 받아 잉곳케이스에 상기 용탕을 분배하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에 있어서,
내부에 용탕 수용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 바닥면;
상기 몸체부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출구부;
상기 출구부의 바닥면;
상기 출구부의 바닥면에 연결된 출구 관; 및
상기 출구부의 바닥면과 상기 출구 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게이트의 바닥면에 용탕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바닥면을 기준으로15° 내지 45°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의 가로 : 세로 : 높이 비가 5내지 7 : 4 내지 6 : 1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는 산화규소(SiO2)계, 산화규소-알루미늄(SiO2-Al2O3)계, 산화지르코늄(ZrO2)계, 탄화규소(SiC)계, 산화알루미늄(Al2O3)계, 스피넬계, 산화크로뮴(Cr2O3)계, 탄소(C)계, 마그네시아(MgO)계, 산화마그네슘-크로뮴(MgO-CrO3-)계 또는 산화칼슘(CaO)계 내화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7577 | 2016-11-24 | ||
KR20160157577 | 2016-11-2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8637A true KR20180058637A (ko) | 2018-06-01 |
Family
ID=6263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5873A KR20180058637A (ko) | 2016-11-24 | 2017-11-21 |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58637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0102B1 (ko) | 2001-11-24 | 2005-11-22 | 주식회사 포스코 | 연속주조 턴디쉬의 용강 분배판 |
-
2017
- 2017-11-21 KR KR1020170155873A patent/KR201800586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0102B1 (ko) | 2001-11-24 | 2005-11-22 | 주식회사 포스코 | 연속주조 턴디쉬의 용강 분배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318105C (en) | Immersion nozzle for metallurgical vessels | |
US20170014898A1 (en) | Slab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 |
WO2016113965A1 (ja) | スラブ連続鋳造用装置 | |
KR101170673B1 (ko) | 주조용 침지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장치 | |
ITUD940137A1 (it) | Scaricatore per colata continua | |
KR101840274B1 (ko) | 스프루와 라이저가 일체화된 사형 주조용 사형 몰드 | |
KR20180058637A (ko) | 잉곳 주조용 분배게이트 | |
US4036280A (en) | Method of starting the casting of a strand in a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 |
JP2842577B2 (ja) | 鋳造装置 | |
JPH03110048A (ja) | タンディッシュストッパー | |
EP2830792B1 (en) | Continuous casting process of metal | |
JP4864423B2 (ja) | 連続鋳造用の浸漬ノズル | |
KR101962230B1 (ko) | 개선된 구조의 연속주조용 침지노즐 | |
JP4344652B2 (ja) | 金属成形品の製造装置 | |
JP4036033B2 (ja) | 中炭素鋼の高速鋳造方法 | |
JP4017784B2 (ja) | 連続鋳造用ノズル | |
KR102083536B1 (ko) | 침지노즐 및 용강 처리방법 | |
JP3408319B2 (ja) | 偏流を防止する鋳造用ノズル | |
JP2005262301A (ja) |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 |
JPH0237959A (ja) | 溶湯ノズル、該溶湯ノズルを備えた流し機構及びその使用方法 | |
JP2018035382A (ja) | ガス供給装置 | |
US20110315721A1 (en) | Submerged entry nozzle | |
KR101344898B1 (ko) | 침지노즐 | |
JPH01107951A (ja) | 水平連続鋳造用タンデイッシュ | |
US5040593A (en) | Side feed tundish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apid solidification of molten materi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