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148A - 차량용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송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7148A KR20180047148A KR1020160142926A KR20160142926A KR20180047148A KR 20180047148 A KR20180047148 A KR 20180047148A KR 1020160142926 A KR1020160142926 A KR 1020160142926A KR 20160142926 A KR20160142926 A KR 20160142926A KR 20180047148 A KR20180047148 A KR 201800471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over member
- intake duct
- inflow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인테이크 덕트에 내기유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일체로 구비하고 내기유입구의 측면방향에서 내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내기유입구 앞에 커버부재가 배치되어 내기 흡입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상기 커버부재와 인테이크 덕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금형 개수 축소 및 커버의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인테이크 덕트에 내기유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일체로 구비하고 내기유입구의 측면방향에서 내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내기유입구 앞에 커버부재가 배치되어 내기 흡입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상기 커버부재와 인테이크 덕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금형 개수 축소 및 커버의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실내/외 공기를 도입하여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장치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 전환도어(23)가 설치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입구측(43)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10)와, 상기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측(43)과 이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측(44)이 구비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로 구성된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장치(10)는 내,외기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 전환도어(23)가 내부에 설치된 인테이크 덕트(2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의 하부에 조립됨과 아울러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 송풍하도록 송풍팬(35)을 구비한 스크롤케이스(3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와 스크롤케이스(30)의 사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필터(25)와, 상기 송풍팬(35)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스크롤케이스(30)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3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크롤케이스(30)가 공조케이스(40)의 입구측과 연결된다.
따라서, 외기유입모드시에는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23)가 내기유입구(21)를 밀폐하고 외기유입구(22)는 개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송풍팬(35)의 작동으로 상기 외기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송풍팬(35)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반경방향으로 토출되고, 토출된 외기는 스크롤케이스(30)내의 스크롤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송풍된다.
또한, 내기유입모드시에는 반대로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23)가 내기유입구(21)를 개방하고 외기유입구(22)는 밀폐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송풍팬(35)의 작동으로 상기 내기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상기 송풍팬(35)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반경방향으로 토출되고, 토출된 내기는 스크롤케이스(30)내의 스크롤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송풍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송풍장치(10)는, 도 2와 같은 내기유입모드시, 상기 내기유입구(21)를 통해 내기가 흡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테이크 덕트에 내기유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일체로 구비하고 내기유입구의 측면방향에서 내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내기유입구 앞에 커버부재가 배치되어 내기 흡입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상기 커버부재와 인테이크 덕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금형 개수 축소 및 커버의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송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가 형성된 인테이크 덕트를 구비한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덕트에는, 상기 내기유입구를 일정간격을 두고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내기유입구의 측면방향에서 내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테이크 덕트에 내기유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일체로 구비하고 내기유입구의 측면방향에서 내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내기유입구 앞에 커버부재가 배치되어 내기 흡입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와 인테이크 덕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서, 금형 개수를 축소하고, 커버의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커버부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인테이크 덕트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커버부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인테이크 덕트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100)는, 인테이크 덕트(110)와, 스크롤케이스(130)를 조립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는, 상부에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111) 및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112)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111)(112)를 개폐하는 내,외기 전환도어(11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내기유입구(111)와 외기유입구(112)는 내,외기 전환도어(115)의 회전방향으로 일정각도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케이스(130)는 스크롤부(140)와 토출부(미도시)로 구성되어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개방된 하부에 조립된다.
상기 스크롤부(140)는 내부에 송풍팬(16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스크롤부(140)는 상기 송풍팬(160)의 둘레를 따라 스크롤(Scroll)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16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가 스크롤면을 따라 소용돌이치며 상기 토출부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송풍팬(160)은 원심팬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크롤부(140)의 상부면에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내로 유입된 공기를 송풍팬(16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벨마우스(141)가 관통 형성되고, 스크롤부(140)의 하부면에는 상기 송풍팬(160)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16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스크롤부(140)의 스크롤 형상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토출부의 끝단은 공조케이스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와 스크롤케이스(130)의 사이에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내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12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15)는, 돔(Dome)형 도어로서 인테이크 덕트(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별도의 케이블(미도시)이나 액츄에이터(미도시) 등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에는, 상기 내기유입구(111)를 일정간격을 두고 커버하는 커버부재(200)가 구비되어 상기 내기유입구(111)의 측면방향에서 내기를 흡입하게 된다.
즉, 상기 내기유입구(111)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커버부재(200)가 설치되어 내기유입구(111)를 커버하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내기유입구(111)의 가장자리 측면방향에서 내기를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내기유입구(111)의 상,하,좌,우 네방향에서 내기를 흡입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내기유입구(111) 앞에 커버부재(200)가 배치되어 있어 내기 흡입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커버부재(200)와 인테이크 덕트(1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금형 개수 축소 및 커버의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기유입구(111)는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15)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내기유입구(111)를 커버하는 커버부재(200)도 상기 내기유입구(111)와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200)의 면적은, 상기 내기유입구(111)의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커버부재(200)의 일단부가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200)의 일단부에는 상기 내기유입구(111)의 측면방향에서 내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흡입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흡입공(211)은 격자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200)의 일단부를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와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내기유입구(111)의 측면방향 즉 상,하,좌,우 방향에서 모두 내기 흡입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흡입공(211)이 형성되며 인테이크 덕트(110)와 일체로 연결되는 평판 형태의 고정부(210)와, 상기 내기유입구(111)를 커버하는 곡면 형태의 커버부(220)와, 상기 고정부(210)와 커버부(220)를 연결하되 고정부(210)에 대해 커버부(220)가 접히고 펴지도록 연결하는 연결부(23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200)에서 고정부(210)는 인테이크 덕트(110)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20)만 접히고 펴지는 작동을 하면서 상기 내기유입구(111)를 커버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21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부(210)를 서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하고, 각 고정부(210)의 사이로 공기가 흡입되게 함으로써, 풍량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0)는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10)와 커버부(220)를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에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고정부(210) 및 커버부(220) 보다 얇은 두께로 되어 있어 일정 탄력으로 접히고 펴질 수 있다. 즉, "U"자 형태의 연결부(230)가 벌어지고 오므라지는 과정을 통해 상기 커버부(220)가 고정부(210)로부터 접히고 펴지는 작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부(220)에는, 상기 내기유입구(111)를 커버하는 위치에 있을때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리브(22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221)는 별도의 스크류(미도시)를 통해 인테이크 덕트(110)측에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고정리브(221) 자체를 후크 형태로 형성하여 인테이크 덕트(110)측에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내기유입모드시에는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15)에 의해 내기유입구(111)가 개방되고 외기유입구(112)는 폐쇄되며, 외기유입모드시에는 외기유입구(112)가 개방되고 내기유입구(111)는 폐쇄되게 된다.
이때, 내기유입모드시, 상기 내기유입구(111)를 커버하고 있는 커버부재(200)에 의해 내기유입구(111)의 측면 네방향에서 내기가 흡입되게 된다.
이하, 내기유입모드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송풍팬(160)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내기유입구(111)의 측면 네방향에서 내기가 흡입된다.
상기 흡입된 내기는 필터(120)를 통과한 후 상기 송풍팬(16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송풍팬(160)으로 유입된 공기는 반경방향으로 토출되어 상기 스크롤케이스(130)의 내부를 따라 유동한 후 공조케이스로 송풍된다.
100: 송풍장치
110: 인테이크 덕트
111: 내기유입구 112: 외기유입구
115: 내,외기 전환도어
120: 필터 130: 스크롤케이스
140: 스크롤부
160: 송풍팬 161: 모터
200: 커버부재 210: 고정부
211: 흡입공 220: 커버부
221: 고정리브 230: 연결부
111: 내기유입구 112: 외기유입구
115: 내,외기 전환도어
120: 필터 130: 스크롤케이스
140: 스크롤부
160: 송풍팬 161: 모터
200: 커버부재 210: 고정부
211: 흡입공 220: 커버부
221: 고정리브 230: 연결부
Claims (8)
- 내기유입구(111) 및 외기유입구(112)가 형성된 인테이크 덕트(110)를 구비한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에는, 상기 내기유입구(111)를 일정간격을 두고 커버하는 커버부재(200)가 구비되어 상기 내기유입구(111)의 측면방향에서 내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내기유입구(111)와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의 면적은, 상기 내기유입구(111)의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커버부재(200)의 일단부가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200)의 일단부에는 상기 내기유입구(111)의 측면방향에서 내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흡입공(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와 연결되는 고정부(210)와, 상기 내기유입구(111)를 커버하는 커버부(220)와, 상기 고정부(210)와 커버부(220)를 연결하되 고정부(210)에 대해 커버부(220)가 접히고 펴지도록 연결하는 연결부(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20)에는, 상기 내기유입구(111)를 커버하는 위치에 있을때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리브(2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어 고정부(210)의 사이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2926A KR102592441B1 (ko) | 2016-10-31 | 2016-10-31 | 차량용 송풍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2926A KR102592441B1 (ko) | 2016-10-31 | 2016-10-31 | 차량용 송풍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7148A true KR20180047148A (ko) | 2018-05-10 |
KR102592441B1 KR102592441B1 (ko) | 2023-10-23 |
Family
ID=6218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2926A KR102592441B1 (ko) | 2016-10-31 | 2016-10-31 | 차량용 송풍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244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1184A (ko) | 2019-09-11 | 2021-03-19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차량용 공조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68372A (ja) * | 2002-11-20 | 2004-06-17 | Denso Corp | 蓋体の取付構造 |
KR20040102762A (ko) * | 2003-05-29 | 2004-12-08 | 한라공조주식회사 | 송풍기 유니트 |
KR20160122880A (ko) * | 2015-04-14 | 2016-10-25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
-
2016
- 2016-10-31 KR KR1020160142926A patent/KR1025924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68372A (ja) * | 2002-11-20 | 2004-06-17 | Denso Corp | 蓋体の取付構造 |
KR20040102762A (ko) * | 2003-05-29 | 2004-12-08 | 한라공조주식회사 | 송풍기 유니트 |
KR20160122880A (ko) * | 2015-04-14 | 2016-10-25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1184A (ko) | 2019-09-11 | 2021-03-19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차량용 공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2441B1 (ko) | 2023-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35649B2 (en) | Blower for vehicles | |
US8074709B2 (en) |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461987B1 (ko) | 차량용 송풍장치 | |
KR101659871B1 (ko) | 차량용 송풍장치 | |
KR20150077776A (ko) | 제습기 | |
KR20110136257A (ko) | 차량용 송풍장치 | |
JP5304719B2 (ja) | 車両用空調装置の送風ユニット | |
KR20180047148A (ko) | 차량용 송풍장치 | |
JP3876830B2 (ja) | 遠心式送風機及び空調装置用の送風機 | |
CN107208926B (zh) | 空调室内机 | |
KR102121971B1 (ko) |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인테이크 시스템 | |
KR100683566B1 (ko) |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 |
KR102445208B1 (ko) | 차량용 송풍장치 | |
WO2020105294A1 (ja) | 送風機 | |
KR20140111387A (ko) | 차량용 송풍장치 | |
CN113043807B (zh) | 用于供暖通风空调(hvac)单元的空气入口壳体 | |
KR101789102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JP4263498B2 (ja) | 車両用空調装置 | |
KR102365016B1 (ko) |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 |
KR101695646B1 (ko) | 차량용 송풍장치 | |
KR200333187Y1 (ko) | 차량용 공조장치의 필터커버 | |
KR20150021197A (ko) | 차량용 송풍장치 | |
WO2021090648A1 (ja) | 送風機 | |
KR100789022B1 (ko) |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장치용 송풍유닛 | |
JP2557204Y2 (ja) | 自動車用空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