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568A - 푸시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3568A KR20180033568A KR1020187005561A KR20187005561A KR20180033568A KR 20180033568 A KR20180033568 A KR 20180033568A KR 1020187005561 A KR1020187005561 A KR 1020187005561A KR 20187005561 A KR20187005561 A KR 20187005561A KR 20180033568 A KR20180033568 A KR 201800335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damping
- movable contact
- contact member
- damping member
- push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30—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buckling of disc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with spring blade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2—Damping vibrati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가동 접점부재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갈 때의 조작음의 발생을 억제하여,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를 제공한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반전 동작가능한 팽출부(20a)를 구비한 가동 접점부재(20)를 구비하고, 고정 접점부재(10)가 가동 접점부재(20)와 접리가능한 제 1 고정 접점부(10a)와, 내부 바닥면(51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 2 고정 접점부(10b)를 가지는 푸시 스위치(1)에 있어서, 팽출부(20a)의 반전 동작 하중보다도 낮은 조작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면서 또한 도전성을 구비한 진동 감쇠부재(25)를 더 구비하고, 진동 감쇠부재(25)를 개재하여 팽출부(20a)와 제 2 고정 접점부(10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초기 상태에서 조작했을 때, 진동 감쇠부재(25)가 탄성변형에 의해 휨과 함께, 진동 감쇠부재(25)의 탄성변형 시의 조작력이 단조증가하도록 변화되고, 팽출부(20a)의 반전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복귀할 때에는, 진동 감쇠부재(25)가 가동 접점부재(20)의 진동을 흡수한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반전 동작가능한 팽출부(20a)를 구비한 가동 접점부재(20)를 구비하고, 고정 접점부재(10)가 가동 접점부재(20)와 접리가능한 제 1 고정 접점부(10a)와, 내부 바닥면(51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 2 고정 접점부(10b)를 가지는 푸시 스위치(1)에 있어서, 팽출부(20a)의 반전 동작 하중보다도 낮은 조작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면서 또한 도전성을 구비한 진동 감쇠부재(25)를 더 구비하고, 진동 감쇠부재(25)를 개재하여 팽출부(20a)와 제 2 고정 접점부(10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초기 상태에서 조작했을 때, 진동 감쇠부재(25)가 탄성변형에 의해 휨과 함께, 진동 감쇠부재(25)의 탄성변형 시의 조작력이 단조증가하도록 변화되고, 팽출부(20a)의 반전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복귀할 때에는, 진동 감쇠부재(25)가 가동 접점부재(20)의 진동을 흡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돔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可動) 접점부재를 구비하는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클릭 감촉을 구비하는 푸시 스위치는 각종 입력에 사용되고 있다. 가동 접점부재가 메탈 돔인 푸시 스위치에서는, 가압 조작을 그만둬, 가동 접점부재가 초기 상태로 복귀할 때 의도하지 않는 조작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메탈 돔이 반전하고 있을 때의 에너지를 해방함으로써 가동 접점부재가 고정 접점부재에 충돌하거나, 진동이 전해지는 등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 조작음을 작게 하기 위해 조작 하중이 작은 가동 접점부재를 사용하면, 클릭 감촉이 바뀌어버리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특허문헌 1에는, 고무상(狀) 탄성체층으로 구성한 돌기 부재를 마련한 스위치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도 9는, 스위치 기구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위치 기구는, 스위치 접점(111)을 형성한 스위치 기판(110) 상에, 가동 접점판(113)을 장착하고, 그 위에 가압판(130)과 키탑(key top)판(140)을 배치하여 설치하고, 또한, 그 위를 케이스(170)로 덮어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접점(111)은 키탑(150)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 접점(111) 상에는, 원형의 탄성금속판을 돔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판(113)이 마련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판(130)은, 평판형상의 플렉시블 시트(131)의 하면에 돌기 부재(133)를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돌기 부재(133)가 가동 접점판(113)을 가압하여 클릭 감각을 생기게 하면서 이를 반전하고, 당해 가동 접점판(113)이 스위치 접점(111)에 접촉함으로써 스위치를 온한다. 돌기 부재(133)는 고무상 탄성체층을 플렉시블 시트(131)의 하면에 인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고무상 탄성체층으로 구성한 돌기 부재(133)에 의해 가동 접점판(113)을 가압했을 경우, 소리 및 진동이 생기기 어려우며, 소위 소음 제거가 도모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의 스위치 기구의 경우, 소리 및 진동을 생기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고무상 탄성체층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으면 안됐다. 그 때문에 고무상 탄성체층을 마련하지 않고,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정음화(靜音化)를 도모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가동 접점부재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갈 때의 조작음의 발생을 억제하여,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반전 동작가능한 돔 형상의 팽출부를 구비한 가동 접점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부재와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고정 접점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부재를 수용하며 일방이 개구한 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접점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내부 바닥면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 접점부재와 접리(接離)가능한 제 1 고정 접점부와, 상기 내부 바닥면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 2 고정 접점부를 가지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의 반전 동작 하중보다도 낮은 조작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면서 또한 도전성을 구비한 진동 감쇠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진동 감쇠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팽출부와 상기 제 2 고정 접점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초기 상태에서 조작했을 때, 상기 진동 감쇠부재가 탄성변형에 의해 휨과 함께, 상기 진동 감쇠부재의 탄성변형 시의 조작력이 단조증가하도록 변화되고, 상기 팽출부의 반전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복귀할 때에는, 상기 진동 감쇠부재가 상기 가동 접점부재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진동 감쇠부재를 마련함으로써, 가동 접점부재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갈 때의 진동 등을 흡수하므로, 조작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 진동 감쇠부재의 탄성변형에 수반하는 조작량을 제 1 조작량이라고 하고, 상기 제 1 조작량만큼 조작했을 때의 조작력을 제 1 조작력이라고 하고, 상기 팽출부가 반전 동작을 시작하기 직전의 조작력을 피크 하중이라고 하고, 상기 팽출부가 반전 동작했을 때의 조작량을 제 2 조작량이라고 하였을 때, 상기 제 1 조작량이 0.015㎜보다 크면서, 또한 상기 제 2 조작량의 10분의 1 내지 5분의 1이며, 상기 제 1 조작력이 상기 피크 하중의 3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감촉를 해치지 않고,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 가동 접점부재가 상기 팽출부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가 상기 진동 감쇠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성부품이 적으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 수용부를 덮는 시트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팽출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트 부재가 팽출부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시트 부재측에서도 가동 접점부재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에 의해, 가압 조작 시에 안정적으로 가동 접점부재의 팽출부를 반전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가 수용부를 덮고 있으므로, 가동 접점부재의 동작을 방해하는 이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접점부재의 팽출부의 반전 동작 하중보다도 낮은 조작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면서 또한 도전성을 구비한 진동 감쇠부재를 마련함으로써, 가동 접점부재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갈 때의 진동 등을 진동 감쇠부재가 흡수한다. 따라서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가동 접점부재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갈 때의 조작음의 발생을 억제하여,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a)는 초기 상태, 도 4(b)는 진동 감쇠부재의 탄성변형에 의한 휨 상태, 도 4(c)는 팽출부의 반전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의 조작량과 조작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조작력이 합성되는 동작 원리이며, 도 6(a)는 팽출부의 조작 하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6(b)는, 진동 감쇠부재의 조작 하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변형예의 가동 접점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의 조작량과 조작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종래의 스위치 기구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a)는 초기 상태, 도 4(b)는 진동 감쇠부재의 탄성변형에 의한 휨 상태, 도 4(c)는 팽출부의 반전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의 조작량과 조작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조작력이 합성되는 동작 원리이며, 도 6(a)는 팽출부의 조작 하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6(b)는, 진동 감쇠부재의 조작 하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변형예의 가동 접점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의 조작량과 조작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종래의 스위치 기구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알기 쉽도록, 도면은 치수를 적절히 변경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푸시 스위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푸시 스위치(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a)는 초기 상태, 도 4(b)는 진동 감쇠부재(25)의 탄성변형에 의한 휨 상태, 도 4(c)는 팽출부(20a)의 반전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푸시 스위치(1)에 있어서의 조작량과 조작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조작력이 합성되는 동작 원리이며, 도 6(a)는 팽출부(20a)의 조작 하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6(b)는, 진동 감쇠부재(25)의 조작 하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부재(20)와, 가동 접점부재(20)와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고정 접점부재(10)와, 일방이 개구한 수용부(51)를 가지는 하우징(50)과, 수용부(51)를 덮는 시트 부재(30)를 구비한다.
하우징(50)은, 절연재료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성형되어 있으며, 수용부(51)의 Z1측으로 개구를 가지는 상자형의 외형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50)에는, 후술하는 고정 접점부재(10)가 매설되어 있다.
고정 접점부재(10)는,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51)의 내부 바닥면(51a)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 1 고정 접점부(10a)와, 내부 바닥면(51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 2 고정 접점부(10b)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고정 접점부재(10)는, 제 1 고정 접점부(10a)에 접속된 제 1 단자부(10c)와, 제 2 고정 접점부(10b)에 접속된 제 2 단자부(10d)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단자부(10c) 및 제 2 단자부(10d)는, 하우징(50)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노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50)이 절연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고정 접점부(10a)와 제 2 고정 접점부(10b)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 1 단자부(10c)와 제 2 단자부(10d)는 절연되어 있다. 고정 접점부재(10)와 하우징(50)은,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다.
가동 접점부재(20)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수용부(51)에 수용되어 있다. 가동 접점부재(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돔 형상의 팽출부(20a)와, 팽출부(20a)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다리부(20c)를 가지고 있다. 팽출부(20a)는, 초기 상태에서 중앙이 Z1측으로 부풀어 올라 있으며, Z1측에서의 가압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접점부재(20)는, 제 2 고정 접점부(10b)에 다리부(20c)가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다리부(20c)를 개재하여 초기 상태에서 팽출부(20a)와 제 2 고정 접점부(10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시트 부재(30)는, 절연재료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수용부(51)를 덮어서 팽출부(20a)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30)는 수용부(51)를 둘러싸는 하우징(50)에 고착되어 있다. 시트 부재(30)에는, 팽출부(20a)의 중앙부분에 대향하도록 두께가 두꺼운 가압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시트 부재(30)가 팽출부(20a)와 접하도록 배치되어서, 가압 조작 시에 안정적으로 가동 접점부재(20)의 팽출부(20a)를 반전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30)가 수용부(51)를 덮고 있으므로, 가동 접점부재(20)의 동작을 방해하는 이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31)는, 대략 균일한 두께의 합성수지 시트에 용착이나 접착에 의해 일체화된 별도의 부재여도 된다. 이 경우, 합성수지 시트와 동일한 재질로 한정되지 않으며, 용착이나 접착에 적합한 재료로 적절히 선택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에서는, 4개의 다리부(20c)가 팽출부(20a)의 반전 동작 하중보다도 낮은 조작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4개의 다리부(20c) 중, 2개는 제 2 고정 접점부(10b)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있으며, 다른 2개로 상술한 바와 같이 팽출부(20a)와 제 2 고정 접점부(10b)의 전기접속이 이루어져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는 팽출부(20a)가 Z1측으로 부풀어 올라 있으며, 또한, 다리부(20c)가 팽출부(20a)를 소정의 높이 위치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팽출부(20a)와 제 1 고정 접점부(10a)는 초기 상태에서 접촉하지 않고 있다. 여기에서, 조작력이 가해지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초로 다리부(20c)가 탄성변형하여 휘고, 팽출부(20a)의 외주부분이 내부 바닥면(51a)에 접촉한다. 더욱 가압되면, 팽출부(20a)가 반전 동작하고,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전한 팽출부(20a)가 제 1 고정 접점부(10a)와 접촉하여, 제 1 고정 접점부(10a)와 제 2 고정 접점부(10b)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에 있어서의 조작량과 조작력의 관계는, 도 5에 나타내는 그래프처럼 된다. 즉, 초기 상태(조작량 제로)로부터의 가압 직후의 제 1 조작량(S1)에서의 제 1 조작력(F1)은, 다리부(20c)의 탄성변형에 따라 지극히 작은 값이다. 조작력의 피크 하중(F3), 팽출부(20a)가 반전 동작했을 때의 조작량을 제 2 조작량(S2)으로 하였을 때, 예를 들면 피크 하중(F3)이 1.5N, 제 2 조작량(S2)이 0.18㎜이며, 제 1 조작량(S1)은 0.025㎜, 제 1 조작력(F1)은 0.2N이다.
또한, 종래, 팽출부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다리부를 갖고 있는 가동 접점부재는 사용되었지만, 다리부 단체(單體)로서 탄성변형하는 것이 고려된 것이 아니고, 팽출부의 일부로서 팽출부의 반전 동작과 일체로 변형하는 것으로서 설계되었던 점에서, 형상 및 기계적 특성이 본 실시형태의 다리부(20c)와는 다르다. 비교예로서, 종래의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의 조작량과 조작력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의 조작량과 조작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종래의 푸시 스위치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의 가압 직후에, 급격하게 조작 하중이 커진다. 이 때문에, 가압 조작 직후로부터 조작 하중이 커지는 하중 곡선으로 하여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피크 하중의 조작량에서 팽출부가 반전을 개시하여, 조작 하중이 감소한다. 팽출부의 반전을 완료한 조작량을 넘어, 더욱 가압 조작을 계속하면, 가동 접점부재가 탄성변형되지 않으며, 조작 하중이 급격하게 증대한다.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부(20a)의 조작 하중(도 6(a))과, 다리부(20c)의 조작 하중(도 6(b))으로 나눠서, 동작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다리부(20c)를 구비하고 있지 않을 경우,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 상태(조작량 제로)에서 피크 하중(F3)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조작 하중이 증가한다. 한편, 다리부(20c)만이 탄성변형하는 경우에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력(F1)의 약한 힘으로 제 1 조작량(S1)까지 가압가능하지만, 더 이상은 휠 수 없기 때문에, 조작 하중이 급증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는, 도 6(b)에 나타내는 다리부(20c)의 탄성변형에 의한 휨이 조작량에 영향을 주어, 도 5에 나타내는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가 가압 조작 상태로부터 해방되면, 도 5에 나타내는 조작 하중에 준하여 약간의 히스테리시스를 가진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 제 1 조작량(S1)까지 복귀한 팽출부(20a)의 반전 동작 에너지가, 가동 접점부재(20)의 기계적 진동 에너지의 상태로 잔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부재(20)는 진동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에서는 다리부(20c)의 탄성변형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면서, 이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진동을 감쇠시킨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는, 다리부(20c)가 진동 감쇠부재(25)로서 진동을 흡수한다. 초기 상태에서 조작했을 때, 진동 감쇠부재(25)가 탄성변형에 의해 휨과 함께, 진동 감쇠부재(25)의 탄성변형 시의 조작력이 단조증가하도록 변화되고, 팽출부(20a)의 반전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복귀할 때에는, 진동 감쇠부재(25)가 가동 접점부재(20)의 진동을 흡수한다. 또한, 시트 부재(30)가 팽출부(20a)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시트 부재(30)측에서도 가동 접점부재(20)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 감쇠부재(25)로서의 다리부(20c)를 마련함으로써, 가동 접점부재(20)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갈 때의 진동 등을 흡수하므로, 조작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더욱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리부(20c)의 탄성변형이 어느 정도 큰 것이 필요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검토 결과는, 이하와 같이, 진동 감쇠부재(25)로서의 다리부(20c)를 마련할 필요가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진동 감쇠부재(25)의 탄성변형에 수반하는 조작량을 제 1 조작량(S1)이라고 하고, 제 1 조작량(S1)만큼 조작했을 때의 조작력을 제 1 조작력(F1)이라고 하고, 팽출부(20a)가 반전 동작을 시작하기 직전의 조작력을 피크 하중(F3)이라고 하고, 팽출부(20a)가 반전 동작했을 때의 조작량을 제 2 조작량(S2)이라고 하였을 때, 제 1 조작량(S1)이 0.015㎜보다 크면서, 또한 제 2 조작량(S2)의 10분의 1 내지 5분의 1이며, 제 1 조작력(F1)이 피크 하중(F3)의 30% 이내이다. 또한, 제 1 조작력(F1)은 제 2 조작량(S2)에 있어서의 조작 하중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리부가 탄성변형하기 어려운 구성이면, 제 1 조작량(S1)이 불명료하게 되어서 제 1 조작력(F1)을 정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팽출부(20a)가 반전 동작을 시작하기 직전의 피크 하중(F3)에 비하여 제 1 조작력(F1)이 상대적으로 큰 값이면, 다리부의 움직임이 굳어, 진동을 흡수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의 진동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하, 본 실시형태로 한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반전 동작가능한 돔 형상의 팽출부(20a)를 구비한 가동 접점부재(20)와, 가동 접점부재(20)와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고정 접점부재(10)와, 가동 접점부재(20)를 수용하며 일방이 개구한 수용부(51)를 가지는 하우징(50)을 구비한다. 또한, 고정 접점부재(10)가, 수용부(51)의 내부 바닥면(51a)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가동 접점부재(20)와 접리가능한 제 1 고정 접점부(10a)와, 내부 바닥면(51a)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 2 고정 접점부(10b)를 가진다. 그리고, 팽출부(20a)의 반전 동작 하중보다도 낮은 조작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면서 또한 도전성을 구비한 진동 감쇠부재(25)를 더 구비하며, 진동 감쇠부재(25)를 개재하여 팽출부(20a)와 제 2 고정 접점부(10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초기 상태에서 조작했을 때, 진동 감쇠부재(25)가 탄성변형에 의해 휨과 함께, 진동 감쇠부재(25)의 탄성변형 시의 조작력이 단조증가하도록 변화되고, 팽출부(20a)의 반전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복귀할 때에는, 진동 감쇠부재(25)가 가동 접점부재(20)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진동 감쇠부재(25)를 마련함으로써, 가동 접점부재(20)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갈 때의 진동 등을 흡수하므로, 조작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는, 진동 감쇠부재(25)의 탄성변형에 수반하는 조작량을 제 1 조작량(S1)이라고 하고, 제 1 조작량(S1)만큼 조작했을 때의 조작력을 제 1 조작력(F1)이라고 하고, 팽출부(20a)가 반전 동작을 시작하기 직전의 조작력을 피크 하중(F3)이라고 하고, 팽출부(20a)가 반전 동작했을 때의 조작량을 제 2 조작량(S2)이라고 하였을 때, 제 1 조작량(S1)이 0.015㎜보다 크면서, 또한 제 2 조작량(S2)의 10분의 1 내지 5분의 1이며, 제 1 조작력(F1)이 피크 하중(F3)의 30% 이내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진동 감쇠부재(25)의 탄성변형 시의 조작력이 단조증가이면서 또한 하중이 작기 때문에, 조작 감촉를 해치지 않고,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는, 가동 접점부재(20)가 팽출부(20a)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다리부(20c)를 가지며, 다리부(20c)가 진동 감쇠부재(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성부품이 적으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는, 수용부(51)를 덮는 시트 부재(30)를 더 구비하며, 시트 부재(30)가 팽출부(20a)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트 부재(30)가 팽출부(20a)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시트 부재(30)측에서도 가동 접점부재(20)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30)에 의해, 가압 조작 시에 안정적으로 가동 접점부재(20)의 팽출부(20a)를 반전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30)가 수용부(51)를 덮고 있으므로, 가동 접점부재(20)의 동작을 방해하는 이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리부(20c)가 4개로, 그 중 2개에서 팽출부(20a)와 제 2 고정 접점부(10b)의 전기접속이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팽출부(20a)와 제 2 고정 접점부(10b)의 전기접속은 1개만이어도 된다. 또한, 진동 감쇠부재(25)로서 안정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2개의 진동 감쇠부재(25)로 지지되어 있으면 된다. 도 7은, 변형예의 가동 접점부재(2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진동 감쇠부재(25)가 2개인 사례이다. 또한, 진동 감쇠부재(25)를 3개 이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리부(20c)가 탄성변형하여 휘고, 팽출부(20a)의 외주부분이 내부 바닥면(51a)에 접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다리부(20c)의 휨이 이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리부(20c)의 휨이 도중에서 멈추어, 팽출부(20a)의 외주부분이 내부 바닥면(51a)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팽출부(20a)의 반전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다리부(20c)의 일부분이 탄성변형하기 쉬운 양태로 마련되어, 그 부분이 진동 감쇠부재(25)로서 작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3)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 접점부재(20)에 진동 감쇠부재(25)가 일체가 된 구성으로 하였지만, 진동 감쇠부재(25)의 작용을 얻을 수 있는 양태이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2 고정 접점부(10b)측에 진동 감쇠부재(25)를 마련해도 된다.
1
푸시 스위치
10 고정 접점부재
10a 제 1 고정 접점부
10b 제 2 고정 접점부
10c 제 1 단자부
10d 제 2 단자부
20,21 가동 접점부재
20a 팽출부
20c 다리부
25 진동 감쇠부재
30 시트 부재
31 가압부
50 하우징
51 수용부
51a 내부 바닥면
F1 제 1 조작력
F3 피크 하중
S1 제 1 조작량
S2 제 2 조작량
10 고정 접점부재
10a 제 1 고정 접점부
10b 제 2 고정 접점부
10c 제 1 단자부
10d 제 2 단자부
20,21 가동 접점부재
20a 팽출부
20c 다리부
25 진동 감쇠부재
30 시트 부재
31 가압부
50 하우징
51 수용부
51a 내부 바닥면
F1 제 1 조작력
F3 피크 하중
S1 제 1 조작량
S2 제 2 조작량
Claims (4)
-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반전 동작가능한 돔 형상의 팽출부를 구비한 가동 접점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부재와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고정 접점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부재를 수용하며 일방이 개구한 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접점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내부 바닥면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 접점부재와 접리가능한 제 1 고정 접점부와, 상기 내부 바닥면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 2 고정 접점부를 가지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의 반전 동작 하중보다도 낮은 조작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면서 또한 도전성을 구비한 진동 감쇠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진동 감쇠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팽출부와 상기 제 2 고정 접점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초기 상태에서 조작했을 때, 상기 진동 감쇠부재가 탄성변형에 의해 휨과 함께, 상기 진동 감쇠부재의 탄성변형 시의 조작력이 단조증가하도록 변화되고,
상기 팽출부의 반전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복귀할 때에는, 상기 진동 감쇠부재가 상기 가동 접점부재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쇠부재의 탄성변형에 수반하는 조작량을 제 1 조작량이라고 하고,
상기 제 1 조작량만큼 조작했을 때의 조작력을 제 1 조작력이라고 하고,
상기 팽출부가 반전 동작을 시작하기 직전의 조작력을 피크 하중이라고 하고,
상기 팽출부가 반전 동작했을 때의 조작량을 제 2 조작량이라고 하였을 때,
상기 제 1 조작량은 0.015㎜보다 크면서, 또한 상기 제 2 조작량의 10분의 1 내지 5분의 1이며,
상기 제 1 조작력은 상기 피크 하중의 3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재는 상기 팽출부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가 상기 진동 감쇠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덮는 시트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팽출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194630 | 2015-09-30 | ||
JPJP-P-2015-194630 | 2015-09-30 | ||
PCT/JP2016/069169 WO2017056601A1 (ja) | 2015-09-30 | 2016-06-28 | プッシュスイッ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3568A true KR20180033568A (ko) | 2018-04-03 |
Family
ID=5842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5561A KR20180033568A (ko) | 2015-09-30 | 2016-06-28 | 푸시 스위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529505B2 (ko) |
EP (1) | EP3358589A4 (ko) |
JP (1) | JP6689284B2 (ko) |
KR (1) | KR20180033568A (ko) |
CN (1) | CN107615432B (ko) |
WO (1) | WO201705660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0610A (ko) | 2015-05-09 | 2017-11-28 |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푸시 스위치 |
JP1624526S (ko) * | 2018-03-06 | 2019-02-18 | ||
JP1624527S (ko) * | 2018-03-06 | 2019-02-18 | ||
JP7077877B2 (ja) * | 2018-08-30 | 2022-05-31 | オムロン株式会社 | スイッチ及び操作装置 |
JP7077876B2 (ja) * | 2018-08-30 | 2022-05-31 | オムロン株式会社 | スイッチ及び操作装置 |
JP7216535B2 (ja) * | 2018-12-12 | 2023-02-01 |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 可動接点及び可動接点を用いたスイッチ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41964A (en) * | 1974-12-09 | 1976-03-02 | Bowmar Instrument Corporation | Push-button type binary switch device |
DE2655964A1 (de) * | 1976-12-10 | 1978-06-15 | Licentia Gmbh | Tastenschaltersystem |
US4385218A (en) * | 1981-04-21 | 1983-05-24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Electric switch |
CH677552A5 (ko) * | 1989-04-10 | 1991-05-31 | Sulzer Ag | |
JPH0729728U (ja) | 1993-10-27 | 1995-06-02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押しボタンスイッチ |
JPH1196848A (ja) * | 1997-09-16 | 1999-04-09 |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 スイッチ機構 |
CN1112712C (zh) * | 1999-05-31 | 2003-06-25 | 明碁电脑股份有限公司 | 按键 |
FR2796754B1 (fr) * | 1999-07-19 | 2002-04-12 | Cit Alcatel | Commutateur a double pression |
JP2004031185A (ja) * | 2002-06-27 | 2004-01-29 | Yazaki Corp | 薄型スイッチ |
JP2005044552A (ja) | 2003-07-24 | 2005-02-17 | Fairyland:Kk | スイッチ接触子とそれを使用したプッシュスイッチ |
JP2005056703A (ja) * | 2003-08-05 | 2005-03-03 | Denso Corp | スイッチの可動子 |
JPWO2005124805A1 (ja) * | 2004-06-15 | 2008-04-17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ドーム接点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段動作電気スイッチ |
JP4513688B2 (ja) * | 2005-08-17 | 2010-07-2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
JP2009266394A (ja) * | 2008-04-22 | 2009-11-12 | Meioh Electronics Co Ltd | 高ストロークドームスイッチ |
US20100140065A1 (en) * | 2008-12-08 | 2010-06-10 | Hanbit Precision Co., Ltd. (Republic Of Korea) | Multi-step pressurized switch |
JP2010146947A (ja) * | 2008-12-22 | 2010-07-01 | Alps Electric Co Ltd | プッシュスイッチ |
JP5111580B2 (ja) * | 2010-09-17 | 2013-01-09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プッシュスイッチ |
JP2013093313A (ja) * | 2011-10-05 | 2013-05-16 | Mitsumi Electric Co Ltd | スイッチ |
US9711303B2 (en) * | 2013-06-27 | 2017-07-18 | Blackberry Limited | Dome-shaped assembly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ome-shaped assembly |
KR20170130610A (ko) | 2015-05-09 | 2017-11-28 |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푸시 스위치 |
JP6854585B2 (ja) | 2015-10-20 | 2021-04-07 |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 プッシュスイッチ |
-
2016
- 2016-06-28 KR KR1020187005561A patent/KR2018003356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6-06-28 WO PCT/JP2016/069169 patent/WO2017056601A1/ja unknown
- 2016-06-28 EP EP16850778.8A patent/EP3358589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6-06-28 CN CN201680027981.6A patent/CN107615432B/zh active Active
- 2016-06-28 JP JP2017542940A patent/JP6689284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1-29 US US15/882,096 patent/US10529505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17056601A1 (ja) | 2018-05-31 |
US10529505B2 (en) | 2020-01-07 |
CN107615432A (zh) | 2018-01-19 |
WO2017056601A1 (ja) | 2017-04-06 |
EP3358589A1 (en) | 2018-08-08 |
CN107615432B (zh) | 2020-05-22 |
US20180151313A1 (en) | 2018-05-31 |
JP6689284B2 (ja) | 2020-04-28 |
EP3358589A4 (en) | 2018-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33568A (ko) | 푸시 스위치 | |
JP2007280742A (ja) |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 |
KR20170130610A (ko) | 푸시 스위치 | |
JP2019075192A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JP2001229764A (ja) | キースイッチ構造 | |
JP6854585B2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KR100675545B1 (ko) | 푸시 버튼 스위치 구조 | |
JP6125234B2 (ja) | 携帯端末 | |
US10692667B1 (en) | Keyboard keycap connecting element | |
CN112424895A (zh) | 开关及操作装置 | |
JP4720435B2 (ja) | キースイッチ | |
JP5394207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4900068B2 (ja) | 押圧操作装置 | |
JP7125492B2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JP2001084866A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JP6949222B2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JP7308404B2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CN215911338U (zh) | 按钮开关 | |
US11456128B1 (en) | Key structure | |
JP7178629B2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JP2010205691A (ja) |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 |
WO2024157998A1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JP2019114461A (ja) | スイッチ装置 | |
JP7369647B2 (ja) | 押釦スイッチ用部材 | |
JP2557784Y2 (ja) | タクトスイッ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