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698A - Fixing Apparatus For Adjustable High And Low Of Facility - Google Patents
Fixing Apparatus For Adjustable High And Low Of Fac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5698A KR20180015698A KR1020180013397A KR20180013397A KR20180015698A KR 20180015698 A KR20180015698 A KR 20180015698A KR 1020180013397 A KR1020180013397 A KR 1020180013397A KR 20180013397 A KR20180013397 A KR 20180013397A KR 20180015698 A KR20180015698 A KR 201800156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facility
- fixing member
- adjusting nut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설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설치되는 시설물, 공기 덕트, 오수 및 하수 배관, 배선 덕트, PVC 배관 등의 시설물을 건물의 천장부와의 거리에 맞추어 높낮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cility fix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a building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acility, air duct, sewage and sewage pipe, wiring duct, PVC pi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fixation device.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시설물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6958호에는 상기 내용의 배선 덕트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내용에 관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덕트와 같은 시설물이 설치되는 건물의 벽이나 천장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거리에 따라 길이가 다른 시설물 고정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a method of fixing a facility installed in a building so that it is easily installed and fixed is use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6958 discloses a technique relating to a device for fixing the above-described wiring duct. However,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wall and the ceiling of a building in which a facility such as a duct is installed is not consta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facility fixing device having a different length depending on the distance must be us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설물을 건물의 벽이나 천장부에 고정 설치하는 시설물 고정 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설물과 건물의 벽면 또는 천장부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높낮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cility fixing device for fixing a facility to a wall or a ceiling of a building, Provided is a fix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acility regardless of the distan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here, can be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clearly.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띠 형상의 부재로 마련되어, 내측에 시설물을 수용하고, 일측에 상기 시설물이 인 입출 될 수 있도록 시설물결합부가 마련되는 시설물받침;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시설물받침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막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막대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며, 일단부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2 막대; 판 모양으로 마련되고, 양단부가 직각방향으로 꺾여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날개부 각각에는 상기 제1 막대 및 제2 막대가 나란히 관통될 수 있도록 막대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막대고정부재; 상단부에는 상기 제1 막대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시설물결합부와 체결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막대 및 시설물받침을 연결하는 이음부재; 중심부가 움푹 들어간 허리부가 마련된 풀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관통되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이음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구멍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막대부제가 삽입 체결되는 제1 조절너트; 상기 막대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받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막대에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막대를 이동시키는 제2 조절너트; 및 상기 막대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받침을 향한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제2 막대에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막대를 이동시키는 제3 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1 막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대고정부재와 상기 시설물받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제3 조절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막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대고정부재와 상기 천장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cility support provided with a strip-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ccommodating the facility inside and having a facility connection unit for allowing the facility to enter and exit the facility on one side; A first rod provided on the top of the facility support, the first rod being provided in a rod shape having a threaded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econd rod which is provided in a bar shape having thread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which is installed side by side on one side of the first rod and whose one end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Wherein the rod fixing memb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s both end portions bent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to form a wing portion, and each of the wing portions is provided with a rod through hole so that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can be passed through in parallel; A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rod penetrates is formed at an upper end portion, and a hole is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facility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rod and the facility support; A first adjustment nut which is formed in a pulley shape having a waist portion with a recessed central portion formed therein and threaded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installed in a hole formed 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so that the first rod portion is inserted; A second adjusting nut installed on the first rod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acility support on the basis of the rod fixing member and moving the first rod by rotation; And a third adjusting nut installed on the second rod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toward the facility support on the basis of the rod fixing member and moving the second rod by rotating the second nut, The distance between the rod fixing member and the ceiling is adjusted by moving the first ro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rod fixing member and the facility support and rotating the third adjusting nut to move the second rod, Is adjus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설물을 건물의 벽이나 천장부에 고정 설치하는 시설물 고정 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설물과 건물의 벽면 또는 천장부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높낮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acility fixing device that fixes the facility to the wall or the ceiling portion of the building, so that the height of the facility can be adjusted regardles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acility and the wall surface or the ceiling portion of the building A facility fixture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시설물받침과 이음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제1, 제2, 제3 조절너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가 천장구조물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가 천장구조물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보호덮개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보호덮개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에 보호덮개가 덮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에 보호덮개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제3 막대에 의하여 각각의 막대고정부재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facility support and a coupling member of a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lan view showing a rod fixing member of a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rod fixing member of the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adjustment nuts of the facility fix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rod fixing member of a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rod fixing member of a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ceiling structure. FIG.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rod fixing member of a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ceiling structure. FIG.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rod fixing member of a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a rod fixing member of a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is a plan view showing a protective cover of a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B is a front view showing a protective cover of the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tective cover covering a rod fixing member of a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rotective cover is fastened to a rod fixing member of a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respective rod fixing members are connected by the third rod of the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 Embodiment 1 >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는 시설물받침(10), 제1 막대(20), 제2 막대(30), 막대고정부재(40), 이음부재(50), 제1 조절너트(60), 제2 조절너트(70), 제3 조절너트(80)를 포함한다.1 to 5, a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시설물받침(10)이 마련된다.First, a
구체적으로, 도 1, 도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설물받침(1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띠 형상의 부재로 마련되어, 내측에 시설물을 수용한다. 상기 시설물받침(10)은 상기 시설물과 체결되어 상기 시설물을 지지 또는 고정 한다. 상기 시설물받침(10)은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시설물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시설물받침(10)은 시설물결합부(11)를 포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2 and 14, the
시설물결합부(11)는 상기 시설물받침(10)의 일측에 마련된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시설물결합부(11)는 상기 시설물이 인입출 될 수 있도록 상기 시설물받침(10)의 일측에 돌출되어 마련된다. 상기 시설물결합부(11)는 구멍이 마련되어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고, 상기 시설물받침(10)에 설치되는 상기 시설물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볼트 및 너트를 조이고 푸는 방법으로 상기 시설물받침(10)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한다.Specifically, the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받침(10)의 상부에 제1 막대(20)가 마련된다.Next, a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막대(20)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1 막대(20)는 상기 시설물받침(10)의 상부에 설치된다.Specifically, the
다음으로, 상기 제1 막대(20)의 일측에 제2 막대(30)가 마련된다. Next, a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막대(30)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2 막대(30)는 상기 제1 막대(20)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제2 막대(30)의 일단부는 건물의 천장부에 여러 가지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되고, 타단부는 하기 막대고정부재(40)에 삽입 설치된다.Specifically, the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를 연결하는 막대고정부재(40)가 마련된다.Next, as shown in FIGS. 3A and 3B, a
구체적으로, 상기 막대고정부재(40)는 판 모양으로 마련되어 양단부가 직각방향으로 꺾여 날개부(41)를 형성한다. 상기 날개부(41)는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를 흔들리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41)의 각각에는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가 관통되는 막대관통구멍(43)이 마련된다. 상기 날개부(41)의 상기 막대관통구멍(43)에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가 나란히 삽입 설치된다. 상기 막대고정부재(40)의 양단에 상기 날개부(41)가 설치되어, 상기 날개부(41)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제1막대(20) 및 제2 막대(30)가 이격되거나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Specifically, the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받침(10)과 상기 제1 막대(20)를 연결하는 이음부재(50)가 마련된다.Next, a
구체적으로, 상기 이음부재(50)는, 상단부에는 상기 제1 막대(20)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시설물결합부(11)와 체결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막대(20) 및 시설물받침(10)을 연결한다. 상기 이음부재(50)의 상부는 하기 제1 조절너트(60)의 허리부(61)에 결합되어 하기 제1 조절너트(60)가 이탈되지 않고, 하기 제1 조절너트(60)에 수평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이음부재(50)의 하부는 상기 시설물결합부(11)에 삽입되고 상기 시설물결합부(11)와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다음으로, 상기 이음부재(50)의 상단부에 제1 조절너트(60)가 마련된다.Next, a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조절너트(60)는 중심부가 움푹 들어간 허리부(61)가 마련된 풀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관통되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조절너트(60)는 허리부(61)가 상기 이음부재(5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구멍에 결합된다. 즉, 상기 이음부재(50)의 상부가 상기 제1 조절너트(60)의 허리부(61)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조절너트(6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제1 조절너트(60)는 상기 제1 막대(20)가 삽입되고, 상기 제1 조절너트(6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막대(20)의 나사산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상기 제1 막대(20)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조절너트(60)는 상기 제1 막대(2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이음부재(50)에 자유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이음부재(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5, the
다음으로, 상기 제1 막대(20)에 제2 조절너트(70)가 마련된다.Next, a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조절너트(70)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받침(1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막대(20)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조절너트(7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막대(20)가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막대고정부재(40)와 상기 시설물받침(10)과의 사이 거리를 조절한다. 상기 제2 조절너트(70)를 회전시킬 때는 상기 제1 막대(20)가 상기 제1 조절너트(6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막대(20)를 손으로 고정한 채로 회전시킨다.5, the
다음으로, 상기 제2 막대(30)에 제3 조절너트(80)가 마련된다.Next, a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조절너트(80)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받침(10)을 향한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제2 막대(30)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3 조절너트(80)는 도 5에 표시된 그림을 상하 반대로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3 조절너트(80)가 회전하면 상기 제2 막대(30)가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막대고정부재(40)와 상기 건물 천장부와의 거리를 조절한다.Specifically, the
상기 제2 조절너트(70) 및 제3 조절너트(80)는 상기 제1 조절너트(6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제2 실시예>≪ Embodiment 2 >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조절너트(70) 및 제3 조절너트(80)가 중심부가 움푹 들어간 허리부(61)가 마련된 풀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관통되어 내측에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너트(70) 및 제3 조절너트(80)의 허리부(61)에 상기 막대고정부재(40)의 날개부(41)가 삽입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조절너트(70) 및 제3 조절너트(80)가 상기 제1 조절너트(6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막대고정부재(40)의 날개부(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4, the
<제3 실시예> ≪ Third Embodiment >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막대고정부재(4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막대고정부재(40)는 판 모양으로 마련되어 양 단부가 직각방향으로 꺾이고, 다시 직각방향으로 꺾여 상기 판 모양 부재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걸림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2)에는 상기 제1 조절너트(60)와 동일한 형상의 제4 조절너트(100)와 및 제5 조절너트(110)가 설치된다. 상기 걸림부(42)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구조물(90)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막대고정부재(40)가 상기 천장구조물(90)에 설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천장구조물(90)은 다양한 형태의 빔과 같은 철제 구조물로 주로 구성되는데, 상기 막대고정부재(40)의 걸림부(42)를 상기 천장구조물(90)의 상방으로 굽혀진 하단부에 걸고, 상기 제4 조절너트(100)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막대(30)를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천장구조물(90)에 상기 막대고정부재(4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때, 제5 조절너트(100)에 하방으로 볼트를 체결한다면 상기 막대고정부재(40)와 상기 천장구조물(90)은 더욱 단단하게 고정 가능하다. 상기 걸림부(42)와 상기 천장구조물(90)의 상방으로 굽혀진 하단부가 서로 걸리기 때문에 상기 막대고정부재(40)가 상기 천장구조물(90)로부터 이탈되어 추락하는 것이 방지된다.6 to 8 show the shape of the
또한, 상기 제4 조절너트(100)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로부터 자유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2 막대(30)가 회전 하여도 상기 막대고정부재(40)로부터 이탈되어 추락되는 것이 방지된다.Since the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막대고정부재(4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막대고정부재(40)는 상기 날개부(41)에 직교하는 판 모양의 부재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제6 조절너트(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6 조절너트(120)는 상기 제1 조절너트(60)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허리부(61)가 형성되어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서 이탈되지 않는 너트인 것이다.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는 보호덮개(140)가 설치될 수 있다.Figs. 9 and 10 show a state of the
구체적으로, 도 11a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덮개(14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막대수용부(17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140)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와 체결되기 위한 덮개구멍(180)이 마련된다. 상기 막대수용부(170)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 설치되는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성 가능하다. 상기 보호덮개(140)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 체결되는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에 설치되고, 상기 막대고정부재(40)의 상기 덮개구멍(180)을 관통하는 덮개볼트(160)에 의하여 상기 제6 조절너트(120)에 체결된다. 상기 보호덮개(140)는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가 회전하여 상기 제2 조절너트(70) 및 제3 조절너트(8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140)에 의하여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130)의 나사산에 흠집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11A to 13, th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막대고정부재(40)는 건물에 설치되는 상기 시설물받침(10)들 간의 거리를 조절하고, 고정함으로써 상기 시설물받침(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설물받침(10)들은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른 막대고정부재(40)에 의하여 고정 및 설치되고,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는 상기 제6 조절너트(120)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막대고정부재(40)는 제3 막대(1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즉, 각각의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 형성되는 각각의 상기 제6 조절너트(120)에 상기 제3 막대(130)가 삽입 설치됨으로써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3 막대(130)의 일단부는 건물의 벽 또는 빔과 같은 기초구조물에 설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3 막대(130)가 각각의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 삽입 설치될 때, 또는 통과할 때, 상기 보호덮개(140)가 이탈되지 않는 방향으로 덮개너트(150)가 설치된다. 상기 덮개너트(150)는 상기 제3 막대(130)가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 삽입 설치되기 위하여 회전할 때 상기 보호덮개(140)가 상기 막대고정부재(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막대고정부재(40)는 건물의 천장부에 설치되는 각종 시설물들과의 거리를 조절하고, 각각의 상기 시설물받침(10)들 간의 거리조절과 함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4, the facility supports 10 are fixed and installed by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 고정 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제2 막대(30)의 일단부를 상기 천장부에 결합시킨다. First, one end of the
또는, 상기 제2 막대(20)의 상단부에 제3 실시예에 따른 막대고정부재(40)를 결합한 후, 천장구조물(90)에 설치한다.Alternatively, after the
다음으로, 상기 제2 막대(30)의 하부에 막대고정부재(40)를 결합한다. 상기 제2 막대(30)가 상기 막대고정부재(40)의 날개부(41)에 형성되는 막대관통구멍(43)들 중 어느 한쪽의 상기 막대관통구멍(43)에 삽입 설치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제2 막대(30)의 하단부로부터 제3 조절너트(70)를 삽입 결합하여, 상기 천장부의 반대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날개부(41)의 일측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Next, the
다음으로,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 제1 막대(20)를 삽입 설치한다. 상기 날개부(41)에 형성되는 상기 막대관통구멍(43)들 중 상기 제2 막대(30)가 삽입되지 않은 반대 측 구멍으로 삽입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막대(20)의 상단부로부터 제2 조절너트(70)를 삽입 결합시켜, 상기 천장부를 향한 상기 날개부(41)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Next, the
다음으로, 상기 제1 막대(20)의 하단부에 이음부재(5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 조절너트(10)를 삽입 결합시킨다.Next, a
다음으로, 상기 천장부와 시설물과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의 상하방향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 시설물과 천장부와의 거리가 먼 경우 상기 제2 막대(3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조절너트(80)를 회전시킨다. 상기 시설물과 천장부와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상기 제2 막대(30)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조절너트(80)를 회전시킨다. 상기 시설물과 천장부와의 거리가 더욱 가까운 경우에는 제2 조절너트(70)를 회전시켜 상기 막대고정부재(40)를 하강시킨다. 상기 제2 조절너트(70)를 회전시킬 때, 상기 제1 막대(20)의 하단부가 상기 제1 조절너트(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막대(20)를 손으로 고정한 채로 상기 제2 조절너트(70)를 회전시킨다.Next, the vertical length of the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에 시설물받침(10)을 체결한다. 상기 시설물받침(10)의 시설물결합부(11)로 상기 시설물을 삽입하고, 이음부재(50)와 함께 결합한다. 이때, 상기 시설물결합부(11)와 이음부재(50)를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조절하여 상기 삽입되는 시설물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시설물받침(10)의 폭을 조절한다.Next, the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받침(10)을 건물에 복수 개 설치한다.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시설물받침(10)은 제3 막대(130)에 의하여 체결되어, 각각의 상기 시설물받침(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건물에 단단히 고정된다.Next, a plurality of the facility supports 10 are installed in the building.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4, each of the facility supports 10 is fastened by the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시설물과 천장부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거리에 맞게 조절하여 상기 시설물을 용이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다.The facility can be easily installed and fixed by adjusting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acility and the ceiling is not the same.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시설물받침
11 : 시설물결합부
20 : 제1 막대
30 : 제2 막대
40 : 막대고정부재
41 : 날개부
42 : 걸림부
43 : 막대관통구멍
50 : 이음부재
60 : 제1 조절너트
61 : 허리부
70 : 제2 조절너트
80 : 제3 조절너트
90 : 천장구조물
100 : 제4 조절너트
110 : 제5 조절너트
120 : 제6 조절너트
130 : 제3 막대
140 : 보호덮개
150 : 덮개너트
160 : 덮개볼트
170 : 막대수용부
180 : 덮개구멍10: Facility support
11:
20: First rod
30: Second rod
40: rod fixing member
41: wing portion
42:
43: rod through hole
50: joint member
60: first adjustment nut
61: waist
70: second adjustment nut
80: third adjusting nut
90: Ceiling structure
100: Fourth adjustment nut
110: fifth adjustment nut
120: sixth adjustment nut
130: Third bar
140: Protective cover
150: Cover nut
160: Cover bolt
170:
180: cover hole
Claims (1)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시설물받침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막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막대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며, 일단부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2 막대;
판 모양으로 마련되고, 양단부가 직각방향으로 꺾여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날개부 각각에는 상기 제1 막대 및 제2 막대가 나란히 관통될 수 있도록 막대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막대고정부재;
상단부에는 상기 제1 막대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시설물결합부와 체결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막대 및 시설물받침을 연결하는 이음부재;
중심부가 움푹 들어간 허리부가 마련된 풀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관통되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이음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구멍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막대가 삽입 체결되는 제1 조절너트;
상기 막대고정부재의 상단 일측 막대관통구멍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 1막대와 체결되는 제 2조절너트; 및
상기 막대고정부재의 하단 타측 막대관통고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 2막대와 체결되는 제 3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조절너트와 상기 제 3조절너트는 상기 막대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막대고정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고,
상기 제2 조절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1 막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대고정부재와 상기 시설물받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제3 조절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막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대고정부재와 상기 천장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고정 장치.A facility support provided with a strip-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ccommodating the facility inside and having a facility connection unit for allowing the facility to enter and exit the facility;
A first rod provided on the top of the facility support, the first rod being provided in a rod shape having a threaded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econd rod which is provided in a bar shape having thread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which is installed side by side on one side of the first rod and whose one end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Wherein the rod fixing memb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s both end portions bent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to form a wing portion, and each of the wing portions is provided with a rod through hole so that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can be passed through in parallel;
A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rod penetrates is formed at an upper end portion, and a hole is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facility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rod and the facility support;
A first adjustment nut which is formed in a pulley shape having a waist portion with a recessed central portion and is threaded on an inner side and inserted into 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so that the first rod is inserted;
A second adjusting nut rotatably fixed to a rod through hole on one side of an upper end of the rod fixing member and engaged with the first rod; And
And a third adjusting nut rotatabl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fixing member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rod, and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rod,
The second adjusting nut and the third adjusting nut are fixed to the rod fixing member and rotate freely relative to the rod fixing member,
By moving the first rod by rotating the second adjusting nut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rod fixing member and the facility support and rotating the third adjustment nut to move the second rod,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member and the ceiling is adjus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3397A KR101885048B1 (en) | 2018-02-02 | 2018-02-02 | Fixing Apparatus For Adjustable High And Low Of Fac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3397A KR101885048B1 (en) | 2018-02-02 | 2018-02-02 | Fixing Apparatus For Adjustable High And Low Of Facility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6098A Division KR20170094855A (en) | 2016-02-12 | 2016-02-12 | Fixing Apparatus For Adjustable High And Low Of Facil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5698A true KR20180015698A (en) | 2018-02-13 |
KR101885048B1 KR101885048B1 (en) | 2018-08-29 |
Family
ID=6123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3397A KR101885048B1 (en) | 2018-02-02 | 2018-02-02 | Fixing Apparatus For Adjustable High And Low Of Fac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504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9201661A1 (en) | 2018-02-08 | 2019-08-08 | Hyundai Motor Company | Mobile power generation system and power generation method for a vehicle |
JPWO2021100164A1 (en) * | 2019-11-21 | 2021-05-27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5533Y1 (en) * | 1999-10-27 | 2000-03-15 | 박자배 | Pipe hanger |
JP2007285325A (en) * | 2006-04-12 | 2007-11-01 | Sanki Eng Co Ltd | Length adjusting mechanism of hanger bolt |
-
2018
- 2018-02-02 KR KR1020180013397A patent/KR10188504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5533Y1 (en) * | 1999-10-27 | 2000-03-15 | 박자배 | Pipe hanger |
JP2007285325A (en) * | 2006-04-12 | 2007-11-01 | Sanki Eng Co Ltd | Length adjusting mechanism of hanger bol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9201661A1 (en) | 2018-02-08 | 2019-08-08 | Hyundai Motor Company | Mobile power generation system and power generation method for a vehicle |
JPWO2021100164A1 (en) * | 2019-11-21 | 2021-05-2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5048B1 (en) | 2018-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63402B2 (en) | Suspended architectural structure | |
US8277090B2 (en) | Translating aperture adjustment for a recessed luminaire | |
US7154040B1 (en) | Support bracket for electrical junction box | |
US7355118B1 (en) | Electrical box mounting assembly | |
KR910005101B1 (en) | Plaster frame | |
JPS62110201A (en) | Spot light mounting apparatus | |
KR100728793B1 (en) | Fixing hanger for ceiling pannel | |
KR101885048B1 (en) | Fixing Apparatus For Adjustable High And Low Of Facility | |
US9816272B2 (en) | Purlin construction and mounting system for flat roof structures | |
US9145985B2 (en) | Trapeze conduit support system | |
US980377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a package in an elevated position | |
EP3640559B1 (en) | Method for mounting air conditioner air outlet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air outlet installation structure | |
US3602468A (en) | Roof support assembly for chimneys | |
JP6570367B2 (en) | Ceiling base fixing bracket | |
US3104122A (en) | Arm attachment device | |
KR20170094855A (en) | Fixing Apparatus For Adjustable High And Low Of Facility | |
KR101774758B1 (en) | Plumbing Fixture for Apartment Houses | |
US9163782B2 (en) |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an electrical box | |
KR100619136B1 (en) | Support device for duct | |
US8714506B2 (en) | Mounting assembly for electrical fixture | |
US5088675A (en) | Overhead hanger | |
JP2015212503A (en) | Installing metal fitting for diagonal reinforcement member | |
JP6562622B2 (en) | Suspended ceiling equipment | |
KR19990022559U (en) | Apparatus for adjusting angle of cable tray bracket | |
US20200076178A1 (en) | Ceiling Box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