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80008215A -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215A
KR20180008215A KR1020160090255A KR20160090255A KR20180008215A KR 20180008215 A KR20180008215 A KR 20180008215A KR 1020160090255 A KR1020160090255 A KR 1020160090255A KR 20160090255 A KR20160090255 A KR 20160090255A KR 20180008215 A KR20180008215 A KR 20180008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battery cell
battery
temperature control
control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9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8215A/ko
Publication of KR20180008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21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algorithms, flow charts, software detail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값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측정된 온도값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를 직접 지시할 수 있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을 이용할 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가 차량을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를 함으로써, 최적의 온도에서 배터리 셀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BATTERY CELL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값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측정된 온도값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를 직접 지시할 수 있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을 이용할 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가 차량을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를 함으로써, 최적의 온도에서 배터리 셀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차량(HV, Hybrid Vehicle) 또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중대형 배터리를 이용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이나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시스템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2차 전지는 휴대 단말 등의 배터리로 구현되는 경우는 반드시 그러하지 않을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전기 차량 또는 에너지 저장원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단위 이차전지 셀(cell)이 복수 개 집합되는 형태로 사용되어 고용량 환경에 적합성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복수 개 집합되는 형태로 사용되는 이차전지 셀은 충전 및 방전을 거듭함에 따라 기능이 떨어지고 수명이 점차 줄어들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차전지 셀을 관리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특히 이차전지 셀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 때 이차전지 셀을 사용하는 경우, 이차전지 셀의 수명이 급격하게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 셀을 사용하기 전에 이차전지 셀의 온도를 미리 체크하고 관리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도 셀의 온도가 너무 높게 증가하거나 낮게 감소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25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값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된 온도값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를 직접 지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을 이용할 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가 차량을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를 할 수 있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은,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측정된 온도값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및 사용자 단말에 상기 측정된 온도값을 제공하며, 상기 온도값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값이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의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제1 온도상태로 진단하고,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제2 온도상태로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가 상기 제1 온도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1 제어회로; 및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가 상기 제2 온도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제2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일정 거리반경의 위치 탐지용 신호를 발산하는 발산부; 및 상기 신호의 탐지거리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전 온도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전 온도 제어 데이터 내에 포함된 시간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에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온도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방법은, 온도 측정부가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단계; 온도 제어부가 상기 측정된 온도값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 상기 측정된 온도값을 제공하며, 상기 온도값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온도 제어 단계는, 상기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온도 제어부가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제어 단계는, 진단부가 상기 측정된 온도값이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의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제1 온도상태로 진단하고,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제2 온도상태로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제어 단계는,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가 상기 제1 온도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가 상기 제2 온도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단계는, 일정 거리반경의 위치 탐지용 신호의 탐지거리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전 온도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제어 단계는, 상기 사전 온도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에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제어 단계는, 상기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온도 제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값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배터리 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온도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온도값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를 직접 지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을 이용할 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가 차량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를 함으로써, 운전자와 자동차가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향후 자동차의 개발 방향에 발맞춰, 자동차가 정보를 수집하여 배터리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이 전기 자동차(1)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 이외에도 가정용 또는 산업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이나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시스템 등 이차 전지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라면 어떠한 기술 분야라도 적용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는 배터리(10),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20), ECU(Electronic Control Unit, 30), 인버터(40) 및 모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0)는 모터(5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전기 자동차(1)를 구동시키는 전기 에너지원이다. 배터리(10)는 모터(50) 및/또는 내연 기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인버터(40)에 의해 충전되거나 방전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0)는 복수의 전지 셀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 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지 팩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배터리(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BMS(20)는 배터리(10)의 상태를 추정하고, 추정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10)를 관리한다. 예컨대, 배터리(10)의 잔존 용량(State Of Charging; SOC), 잔존 수명(State Of Health; SOH), 최대 입출력 전력 허용량, 출력 전압 등 배터리(10) 상태 정보를 추정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10)의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며, 나아가 배터리(10)의 교체 시기 추정도 가능하다.
BMS(20)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도 2의 100)을 포함하거나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BMS(20)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을 통해 배터리(10) 셀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며, 진단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10) 셀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ECU(30)는 전기 자동차(1)의 상태를 제어하는 전자적 제어 장치이다. 예컨대,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브레이크(break), 속도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토크 정도를 결정하고, 모터(50)의 출력이 토크 정보에 맞도록 제어한다.
또한, ECU(30)는 BMS(20)에 의해 배터리(10)가 충전 또는 방전될 수 있도록 인버터(40)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인버터(40)는 ECU(3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10)가 충전 또는 방전되도록 한다.
모터(50)는 배터리(10)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ECU(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정보(예컨대,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1)를 구동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100)은 배터리(10)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110), 측정된 온도값에 기반하여 배터리(10) 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120) 및 사용자 단말(140)에 측정된 온도 값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 될 수 있다.
온도 측정부(110)는 배터리(10) 셀과 연결되어, 배터리(10) 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측정부(110)는 온도 센싱 소자이거나, 하나 이상의 온도 센싱 소자가 포함된 회로일 수 있다.
온도 제어부(120)는 온도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온도값에 기반하여 배터리(10) 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 제어부(120)는 진단부(121), 제1 제어회로(122) 및 제2 제어회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부(121)는 온도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온도값과 배터리(10) 셀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배터리(10) 셀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단부(121)는 온도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온도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배터리(10)의 상태를 제1 온도상태로 진단하고, 측정된 온도값이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배터리(10)의 상태를 제2 온도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기준값은 배터리(10)의 크기, 종류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10)는 리튬 이온 전지일 수 있으며, 제1 기준값은 리튬 이온 전지가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허용되는 최대 온도인 60도일 수 있으며, 제2 기준값은 리튬 이온 전지가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허용되는 최소 온도인 -20도일 수 있다.
제1 제어회로(122)는 진단부(121)의 진단 결과가 제1 운동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배터리(10) 셀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제어회로(122)는 하나 이상의 팬(FAN)을 포함하는 회로일 수 있다.
제2 제어회로(123)는 진단부(121)의 진단 결과가 제2 운동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배터리(10) 셀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제어회로는(122)는 하나 이상의 열선을 포함하는 회로일 수 있다.
통신부(130)는 온도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하며, 제공된 온도값에 대한 응답으로서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데이터는 온도 측정부(110)로부터 온도값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배터리(10) 셀의 온도를 직접 제어하기 위해 제1 제어회로 및 제2 제어회로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사전 온도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온도 제어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전 온도 제어 데이터를 제공받은 온도 제어부(120)는 사전 온도 제어 데이터 내에 포함된 시간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에 배터리(10) 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을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설정하면, 설정된 시간 설정 데이터를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100) 내부의 통신부(130)에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에 송신된 시간 설정 데이터는 온도 제어부(120)에 입력되어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이전에 배터리(10) 셀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에 바로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10) 셀의 적정 온도를 사전에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신부(130)는 사용자 단말(140)의 위치를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140)이 차량의 일정 거리반경에 위치하는 경우, 배터리(10) 셀의 온도 제어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발산부(131)와 위치 검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발산부(131)는 일정 거리반경의 위치 탐지용 신호를 발산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거리반경은 스마트키의 인식범위인 700cm일 수 있다.
위치 검출부(132)는 발산부(131)에서 발산되는 위치 탐지용 신호의 탐지거리 내에 사용자 단말(140)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132)를 통해 사용자 단말(140)이 탐지용 신호의 탐지거리 내에 위치하다는 것이 검출되면,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100)이 동작하여 온도 측정부(110)에서 배터리(10)의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 제어부(120)를 통해 배터리(10)의 온도를 제1 및 2 기준값 사이로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100)과 사용자를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140)은 스마트키 또는 스마트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모바일 단말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통신부(130)로부터 온도값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피드백 데이터를 통신부(130)를 통해 온도 제어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온도 제어부(120)가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하는 경우, 온도 제어부(120)는 피드백 데이터를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피드백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제어회로(122) 및 제2 제어회로(123)를 구동하여 배터리(1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온도값에 기반하여 제1 제어회로(122) 및 제2 제어회로(123)가 동작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40)의 피드백 데이터를 통하여 동작하고 있는 제1 제어회로(122) 및 제2 제어회로(123)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온도값이 제1 및 제2 기준값 범위에 있는 정상상태일 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40)의 피드백 데이터를 동하여 제1 제어회로(122) 및 제2 제어회로(12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배터리(10) 셀의 이상 온도 발생시 온도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과 달리 사용자가 측정된 온도값에 기반하여 배터리(10) 셀의 온도를 직접 관리함으로써,
배터리(10) 셀의 온도가 제1 기준값 이상으로 증가하거나, 제2 기준값 이하로 감소하기 이전에 배터리(10) 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터리(10) 셀의 온도 조절을 보다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방법은 온도 측정부가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단계(S200), 온도 제어부가 측정된 온도값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 단계(S300) 및 사용자 단말에 측정된 온도값을 제공하며, 온도값에 대한 응답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방법이 시작되면, 먼저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한다(S200).
그리고 나서, 진단부가 단계(S200)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배터리 셀의 온도의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배터리의 상태를 제1 온도상태로 진단하고,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배터리의 상태를 제2 온도상태로 진단한다(S301).
이후, 단계(S301)에서의 진단결과에 따라 제1 온도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제어회로를 구동하고, 제2 온도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제2 제어회로를 구동한다(S302).
추가적으로 단계(S200)에서 측정된 온도값은 사용자 단말로 송신되며(S401),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한다(S402).
단계(S402)를 통해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면, 온도 제어 단계(S300)는 피드백 데이터를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피드백 데이터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를 수행한다(S303).
수신 단계(S400)는 일정 거리반경의 위치 탐지용 신호의 탐지거리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S403), 범위 내에 사용자 단말이 있을 경우, 온도 측정 단계(S200) 및 온도 제어 단계(S300)을 수행한다.
또한 수신 단계(S4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전 온도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다(S404). 단계(S404)에서 수신된 사전 온도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에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 배터리
110: 온도 측정부
120: 온도 제어부
130: 통신부
140: 사용자 단말

Claims (12)

  1.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측정된 온도값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및
    사용자 단말에 상기 측정된 온도값을 제공하며, 상기 온도값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값이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의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제1 온도상태로 진단하고,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제2 온도상태로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가 상기 제1 온도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1 제어회로; 및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가 상기 제2 온도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제2 제어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일정 거리반경의 위치 탐지용 신호를 발산하는 발산부; 및
    상기 신호의 탐지거리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전 온도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전 온도 제어 데이터 내에 포함된 시간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에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온도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7. 온도 측정부가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단계;
    온도 제어부가 상기 측정된 온도값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 단계; 및
    사용 단말에 상기 측정된 온도값을 제공하며, 상기 온도값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제어 단계는, 상기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온도 제어부가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 단계는,
    진단부가 상기 측정된 온도값이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의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제1 온도상태로 진단하고,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제2 온도상태로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 단계는,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가 상기 제1 온도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가 상기 제2 온도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일정 거리반경의 위치 탐지용 신호의 탐지거리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전 온도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제어 단계는,
    상기 사전 온도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에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 단계는,
    상기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온도 제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방법.
KR1020160090255A 2016-07-15 2016-07-15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eased KR20180008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255A KR20180008215A (ko) 2016-07-15 2016-07-15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255A KR20180008215A (ko) 2016-07-15 2016-07-15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215A true KR20180008215A (ko) 2018-01-24

Family

ID=6102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255A Ceased KR20180008215A (ko) 2016-07-15 2016-07-15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82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658A (ko) 2019-12-20 2021-06-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cm을 이용한 배터리팩 환경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079654A (ko) 2019-12-20 2021-06-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cm이 적용된 배터리팩의 제어와 계측 알고리즘 및 pcm이 적용된 배터리팩의 제어와 계측 장치
WO2021232970A1 (zh) * 2020-05-19 2021-11-25 上海奥威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大功率储能设备的热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40082286A (ko) * 2020-01-08 2024-06-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온도 감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658A (ko) 2019-12-20 2021-06-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cm을 이용한 배터리팩 환경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079654A (ko) 2019-12-20 2021-06-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cm이 적용된 배터리팩의 제어와 계측 알고리즘 및 pcm이 적용된 배터리팩의 제어와 계측 장치
KR20240082286A (ko) * 2020-01-08 2024-06-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온도 감시 장치
WO2021232970A1 (zh) * 2020-05-19 2021-11-25 上海奥威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大功率储能设备的热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4208B (zh) 电池管理装置和包括该电池管理装置的电池组
EP2523248B1 (en) Battery control device and method
US10991994B2 (en) Temperatur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pack
KR101680526B1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656211B2 (en) Method of predicting time for charging battery of eco-friendly vehicle
JP5916024B2 (ja) バッテリー残容量推定装置および方法
US10479213B2 (en) Battery swelling sensing system and method
JP5943404B2 (ja) バッテリースウェリング感知装置および方法
KR20200041711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80032454A (ko)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
CN105051552A (zh) 电压传感器的故障检测装置
KR101641762B1 (ko) 프리차지 저항 및 릴레이 파손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80008215A (ko)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3318045A (zh) 车辆及其控制方法
KR20210117933A (ko) 파이로 점화기 회로 및 이의 테스트 방법
KR20160032072A (ko) 저온 환경의 성능 개선을 위한 배터리팩 제어장치
JP2024026100A (ja) 電池状態予測装置および電池状態予測方法
KR101945425B1 (ko) 배터리 팩 상태 병렬 모니터링 장치
Kilic et al. Design of master and slave modules on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KR102020044B1 (ko)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의 최대용량 충전 제어방법
KR101602530B1 (ko)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1741303B1 (ko) 배터리 랙 간 전압 밸런싱 장치 및 방법
US10566807B2 (en) Battery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CN112219306B (zh) Bms识别系统和方法
EP4303600A1 (en) Voltage determina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7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0101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0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