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067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5067A KR20180005067A KR1020160085025A KR20160085025A KR20180005067A KR 20180005067 A KR20180005067 A KR 20180005067A KR 1020160085025 A KR1020160085025 A KR 1020160085025A KR 20160085025 A KR20160085025 A KR 20160085025A KR 20180005067 A KR20180005067 A KR 201800050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display
- terminal
- screen
- execu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 H04M1/7252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2—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displaying on manual operation elements, e.g. on a kno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5—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vehicle- or driver-related dat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 H04M1/72577—
-
- B60K2350/1028—
-
- B60K2350/2004—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89—Wireless data transf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로서, 차량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차량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차량과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어느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에서 상기 주행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이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로서, 차량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나, 단말기의 사용이 법적으로 금지되는 경우가 있다. 일 예로,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중에는, 긴급을 필요로 하는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고 사용하는 것이 금지된다. 이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으로 운전자의 주의가 분산되어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법적인 제한에도 이동 단말기의 사용에 따른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운전 중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니즈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차량과 단말기가 연결되어 운전자가 차량을 통해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차량, 그리고 그것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개발된 시스템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통화, 메시지, 지도 등의 애플리케이션이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되, 그 실행화면이나 음성정보가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만, 단말기의 기능이 법규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실행되도록, 차량에서 실행되는 기능에는 각종 제한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에 설치된 각종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기설정된 몇몇 애플리케이션만 실행될 수 있거나,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실행화면에 포함된 글자수가 법규에서 정한 최대값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운전 중 단말기의 사용 제한은 운전에 방해가 되는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인데, 운전자가 운전에 개입하지 않아도 프로그램에 의하여 운전이 수행되는 자율주행이 도입되면, 단말기는 더 이상 운전의 방해요소가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는 운전자의 개입에 의하여 운전이 이루어지는 수동 주행 상태와 프로그램에 의하여 운전이 이루어지는 자율 주행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동작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에서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자율 주행 중에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주행 상황의 변화를 경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자율 주행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복수의 단계들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최적화된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차량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차량과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어느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에서 상기 주행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이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정보가 제1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 상기 제1조건에 대응하는 제1실행화면을 선택하고,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1실행화면이 출력되는 중에 상기 주행정보가 제2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 상기 제2조건에 대응하는 제2실행화면을 선택하며, 상기 제1실행화면 대신 상기 제2실행화면이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제2실행화면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수동 주행 상태이면, 상기 제1실행화면이 선택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에 구비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자율 주행 상태이면, 상기 제2실행화면이 선택되며,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1 실행화면 및 상기 제2 실행화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자율 주행 상태는 상기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없어도 상기 차량의 가속 및 진행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차량에 구비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변경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를 상기 수동 주행 상태 또는 상기 자율 주행 상태로 판단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길 안내를 수행하는 길 안내 기능이고, 상기 제2실행화면에는 재생 가능한 동영상이 링크된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고, 상기 제1실행화면에는 상기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실행화면은 지도 이미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실행화면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터치 센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주행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면, 기설정된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이미지가 출력되는 중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주행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거나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수동 주행 상태가 상기 자율 주행 상태로 전환되도록, 주행 모드 변경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주행 상태가 상기 자율 주행 상태로 전환될 수 없는 경우, 전환이 가능한 시점이 안내되도록 안내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주행 상태가 상기 자율 주행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이미지 대신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제3 실행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실행화면이 출력되는 중에 상기 자율 주행 상태가 상기 수동 주행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3실행화면을 상기 기설정된 이미지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실행화면이 출력되는 중에 입력되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다른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다른 기능에 대응하는 제1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상기 다른 기능에 대응하는 제2화면이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율 주행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거나 켜져 있으면, 상기 기설정된 이미지의 표시를 제한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져 있는 중에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가 상기 자율 주행 상태에서 상기 수동 주행 상태로의 전환이 예정된 경우, 전환되기까지 남은 시간 및 남은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기능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이 상기 차량에서 수행되도록,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홈스크린 페이지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은 복수의 홈스크린 페이지들 중 어느 하나의 홈스크린 페이지이며, 상기 어느 하나의 홈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되는 그래픽 객체는 상기 주행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차량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및 상기 차량용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어느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에서 상기 주행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이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용 제어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이 수신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운전자의 편의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에서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중에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주행 상황의 변화를 경고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위급상황에서 빠르게 수동 주행으로 돌입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c는 수동 주행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와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4는 자율 주행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와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라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라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라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8a 및 도 8b는 수동 주행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9a 내지 도 9e는 자율 주행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0은 자율 주행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 추가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자율 주행 상태를 복수의 모드들로 구분하고, 각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c는 수동 주행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와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4는 자율 주행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와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라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라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라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8a 및 도 8b는 수동 주행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9a 내지 도 9e는 자율 주행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0은 자율 주행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 추가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자율 주행 상태를 복수의 모드들로 구분하고, 각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광전 센서, 미러반사형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의 설명에서는 왼쪽 위에 그려진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1a 내지 도 1c에서 상술한 이동 단말기(또는, 단말기; 100), 그리고 차량(200)을 포함한다.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데, 이하에서 설명할 차량 디스플레이(251)와 구분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단말기 디스플레이(151)”로 호칭한다.
차량(200)은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교통 수단을 의미한다. 차량의 대표적인 예로, 자동차를 들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차량(200)의 동작은 차량용 제어장치의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제어장치는 차량(2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일 예로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일 수 있다.
차량(200)은 차량 디스플레이(251)를 포함한다. 차량 디스플레이(251)는 단말기 디스플레이(151) 보다 대화면으로 이루어지지만, 법에 정해진 바에 따라 출력되는 정보에는 일정한 제한이 따른다. 예를 들어, 주행 중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동영상의 재생화면이 표시될 수 없고, 표시될 수 있는 글자수가 소정 개수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하지만, 정차 또는 소정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주행하는 중에는 그러한 제한이 사라지며, 운전자는 차량 디스플레이(251)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251)에는 계기판 디스플레이,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 센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CID)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240)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200)에는 통신부(미도시)가 더 포함된다.
상기 차량(200)은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을 수립하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차량(200)과 단말기(100) 간에 연결이 수립되면, 차량(200)은 차량 디스플레이(251)와 관련된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디스플레이(251)의 크기, 해상도, 화면 비율과 같이 단말기(100)가 차량 디스플레이(251)를 이용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정보가 차량(200)에서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251)에서 출력되도록 관련 정보를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위젯(widget)이나 홈 런처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서, 단말기(100)에서 구동 가능한 모든 형태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홈스크린 페이지, 최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네비게이션, 날씨, 라디오, 웹 브라우저, 오디오 재생, 동영상 재생, 메세지 송수신,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와 차량 디스플레이(251)가 서로 다른 해상도와 화면비율을 가지기 때문에,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되는 단말기 실행화면과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되는 차량 실행화면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차량 실행화면은 단말기 실행화면과 달리 법규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법규에 따라 출력되는 정보에 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 화면에 포함된 전체 글자 수가 최대값 이하로 제한되거나, 차량 실행화면에 동영상의 포함이 금지될 수 있다. 이는, 운전자가 차량 실행화면에 의하여 주의가 분산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차량 실행화면에는 단말기 실행화면에는 포함되지 않는 새로운 그래픽 객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그래픽 객체는 단말기(100)가 아닌 차량(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차량에 설치된 오디오 출력부의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에 연계되거나, 차량 자체에 내부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차량용 홈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에 연계되거나, 차량의 전장품을 동작시키는 기능에 연계될 수 있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단말기(100)에는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이 예정된 단말기 실행화면과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이 예정된 차량 실행화면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실행화면을 선택하고,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되도록 차량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차량 실행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기(100)는 차량(2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즉 차량 디스플레이(251)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실행화면을 새롭게 만들어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이 예정된 단말기 실행화면을 차량 디스플레이(251)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편집할 수 있다.
차량(200)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화면정보를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한다. 차량 디스플레이(251)에서 출력되는 것은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해당한다. 이러한 실행화면이 차량 디스플레이(251)에서 출력되도록, 단말기(100)는 실행화면 자체를 차량(200)으로 전송하거나,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소스코드, 이미지, 동영상, RGB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차량(200)은 센싱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센싱부는 차량 내의 정보, 차량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의 탑승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는 근접센서, 조도 센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모션 센서, RGB 센서, 적외선 센서, 지문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200)은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를 조합하여 주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정보는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는 차량과 관련된 모든 종류의 정보를 의미한다.
차량의 정차 여부, 주행 속도, 주행 방향, 특정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 주행 중인 도로의 특성(비포장 도로, 고속도로, 교차로와 같은 도로의 종류, 곡선 구간에서의 곡률, 도로에 설정된 제한속도 등)과 같이 차량 자체 및/또는 차량의 주변 환경에서 감지되는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주행 정보는 GPS와 같은 위치 정보, 이미지 센서에 의하여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분석된 각종 정보, 레이더나 라이더에 의하여 감지된 물체와 상기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 출발지, 경유지와 목적지와 같은 네비게이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정보는 탑생객에 관한 정보로, 탑승 인원, 탑승객의 성별, 탑승객의 무게, 탑승객과 관련된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주행 정보는 차량의 주행 모드(또는, 주행 상태)를 알리는 주행 모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모드는 자율 주행 모드와 수동 주행 모드를 포함한다.
자율 주행 모드는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없어도 차량(200)의 가속 및 진행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차량(200) 및/또는 단말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변경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정의하는 자율 주행 모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며, 그 정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조종에 의하여 차량(200)이 주행되는 경우도 자율 주행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수동 주행 모드는 자율 주행 모드가 아닌 상태로 정의되며, 자율 주행 모드의 정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모드가 가속 및 진행방향이 모두 프로그램에 의하여 변경되는 상태로 정의된다면, 수동 주행 모드는 차량(200)의 가속 및 진행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운전자의 입력에 의하여 변경되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차량 디스플레이(251)를 구비하는 차량(200)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차량(200)에서 생성된 주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차량(200)으로부터 수신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차량의 주행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의 주행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율 주행 모드와 수동 주행 모드로 구분된다.
먼저, 수동 주행 상태에서 단말기(200)와 차량(200)이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자동 주행 상태에서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차량(200)이 수동 주행 상태인 경우, 단말기(100)는 차량(200)이 주행 중인지 또는 정차 중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한다.
일 예로, 단말기(100)는 차량(100)이 주행 중인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지만, 차량(100)이 정차 중인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제한의 일 예로, 단말기(100)는 잠금화면과 같이 사용자 입력에 따른 기능 실행을 제한하는 기설정된 이미지를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할 수 있다. 기설정된 이미지가 출력되는 동안에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더라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수동 주행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와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단말기(100)는 차량(200)과 연결되는 경우, 차량 홈스크린 페이지가 차량 디스플레이(251)에서 출력되도록 차량 홈스크린 페이지와 관련된 정보를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200)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차량 홈스크린 페이지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홈스크린 페이지를 출력한다.
차량 홈스크린 페이지는 단말기 홈스크린 페이지와 구분된다.
단말기 홈스크린 페이지는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되는 것으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과 위젯이 포함된다. 이와 달리, 차량 홈스크린 페이지는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차량(200)에서 그 실행화면이 출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과 위젯이 포함된다.
단말기 홈스크린 페이지와 차량 홈스크린 페이지의 공통점은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및/또는 위젯이 포함된다는 것이다.
차이점은, 법규에서 제한하는 기능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차량
차량 홈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되는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으로 호칭)은 단말기 및/또는 차량의 제조사에 의하여 기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단말기 사용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 의하여, 기존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이 차량 홈스크린 페이지에서 삭제되거나, 새로운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이 차량 홈스크린 페이지에 추가되거나, 차량용 홈스크린 페이지에서 실행 아이콘의 표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차량 디스플레이(251)는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다. 차량(200)은,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중에 터치가 감지되면, 감지된 터치의 좌표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감지된 터치의 터치좌표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터치좌표에 근거하여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차량 디스플레이(251)에서 출력되도록 관련 정보를 차량(200)으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단말기(100)는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가해진 터치에 응답하여 차량 홈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을 선택하고,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차량 실행화면을 차량(200)으로 전송한다.
단말기(100)는 차량(200)으로부터 수신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200)의 정차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200)이 정차 중인지 주행 중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정차는 차량(200)이 정지해 있거나, 소정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을 하고 있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주행은 상기 소정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을 하고 있는 상태로 정의된다. 상기 소정 속도는 각국의 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0km/h을 포함한다.
차량(200)이 정차 중인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가해진 터치에 응답하여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단말기 실행화면을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차량 디스플레이(251)뿐만 아니라 단말기 디스플레이(151)를 통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차량(200) 주행 중인 겨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가해진 터치에 응답하여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기설정된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단말기 디스플레이(151)를 끌 수 있다.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터치가 가해졌을 때 단말기 디스플레이(151)가 꺼져 있었다면, 단말기(100)는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의 꺼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이미지에는, 주행 중 단말기의 사용이 금지됨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되고, 운전자는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터치를 가함으로써 단말기(100)에서 이용할 수 있던 기능을 차량(200)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단말기 실행화면과 달리, 차량 실행화면은 법규에서 요구하는 제한을 준수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단말기(100)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단말기(100)의 사용이 금지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법규를 위반하는 것이 사전에 차단된다.
도 4는 자율 주행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와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기(100)와 차량(200) 간에 연결이 수립된다(S410).
상기 연결은 유선에 의한 것이거나,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제3자에 의한 해킹이나 잘못된 연결이 방지되도록, 연결이 수립되기 전에 단말기(100) 및 차량(200) 중 적어도 하나는 암호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와 차량(200) 간에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에 암호를 입력 받도록 형성된 잠금 이미지가 단말기 디스플레이(151) 및/또는 차량 디스플레이(251)에서 출력될 수 있다.
단말기(100)와 차량(200)이 연결되는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251)에는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즉, 단말기(100)와 차량(200) 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단말기(100)에서 전송하는 화면이 무엇인지에 따라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되는 화면이 달라지게 된다.
한편, 차량(200)의 주행 상태에 따라 단말기(100)는 서로 다른 화면을 차량(200)으로 전송한다. 일 예로, 수동 주행 상태에서 차량(200)이 주행 중인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251)에는 법규에 제한을 받는 화면이 출력되어야 하고, 자율 주행 상태에서 차량(200)이 주행 중인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251)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이 다양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적절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단말기(100)는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차량(200)으로 전송할 어느 하나의 화면을 선택하게 된다.
이하에서, 차량(200)의 주행 상태에 따른 단말기(100)와 차량(200)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연결이 수립되고 나면, 차량(200)은 단말기(100)로 주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20).
차량(200)은 정기적/비정기적으로 차량(200)에서 센싱되거나 생성된 주행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차량(200)은 주행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상기 주행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정보는 차량에 구비된 센싱부에 의하여 감지되거나 센싱부에서 센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에서 생성된 차량 및/또는 차량 주변
여기서, 주행 정보는 차량 및/또는 차량 주변과 관련된 모든 종류의 정보를 의미하며, 차량에 구비된 센싱부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 센싱부에서 센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이 생성한 정보, 서버를 통해 차량에 제공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430).
이벤트의 발생은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부재중 전화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메세지가 도착한 경우, 디스플레이 활성화 키(LCD awake key 또는 home key) 눌림, 알람(alarm), 호 연결(Incoming call), 부재중 알림(missed notif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특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다. 또한,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터치가 가해지거나,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터치가 가해지는 경우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차량(200)의 충돌 가능성이 기준 값을 넘거나, 차량(200)의 주행 상태가 자율 주행 상태에서 수동 주행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또는 수동 주행 상태가 자율 주행 상태로 넘어가는 것도 이벤트의 발생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활성화 키가 눌리면 최근 실행된 화면의 표시 기능 또는 홈스크린 페이지 표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홈스크린 페이지의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이 달라지며,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는 화면도 달라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행된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에서 상기 주행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하고(S440),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차량(200)으로 전송한다(S450). 차량(200)은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한다(S460).
이벤트 발생에 따라 동일한 기능이 실행되더라도, 차량(200)의 주행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실행화면이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100)는 주행 정보가 제1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실행된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 상기 제1조건에 대응하는 제1실행화면을 선택하고, 주행 정보가 제2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실행화면과 다른 제2실행화면을 상기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에서 선택한다. 차량 디스플레이(251)에는 상기 제1 및 제2 실행화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제1조건은 차량(200)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수동 주행 상태를 의미하고, 제2조건은 차량(200)이 차량(200) 및/또는 단말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자율 주행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율 주행 상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없어도 차량(200)의 가속 및 진행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차량(200) 및/또는 단말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변경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수동 주행 상태는 상기 자율 주행 상태가 아닌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자율 주행 상태가 어떻게 정의되냐에 따라 수동 주행 상태의 정의도 변경될 수 있다.
차량(200)은 자신의 주행 상태를 단말기(100)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차량(200)은 자신의 주행 정보만을 전송하고, 단말기(100)는 전송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200)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주행 정보가 제1조건을 만족하다가 제2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변경된다면, 차량(200)으로 전송되는 실행화면은 제1실행화면에서 제2실행화면으로 변경되게 된다. 즉, 제1실행화면이 차량(200)으로 전송되다가 주행 정보가 제2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바뀔 때, 제1실행화면 대신 제2실행화면이 차량(200)으로 전송된다.
한편, 동일한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실행화면은 단말기(1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기설정된 서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기준 실행화면이 메모리 또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고, 단말기(100)는 주행 정보에 따라 기준 실행화면을 편집하여 서로 다른 실행화면을 생성할 수도 있다.
특정 기능에 대한 실행화면들 중에서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되는 실행화면을 ‘단말기 실행화면’이라고 호칭한다. 수동 주행 상태에서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되는 실행화면을 ‘수동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이라고 호칭하고, 자율 주행 상태에서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되는 실행화면을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이라고 호칭한다. 도 2에서 상술한 ‘차량 실행화면’은 수동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과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동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은 차량(200)이 수동 주행 중인 상황에서 법규의 제한을 만족하는 화면 구성이 이루어진 차량 실행화면이고,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은 자유
수동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은, 수동 주행 중인 차량(200)에서 운전자가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막고 차량 디스플레이(251)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법규에서 규정한 제한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수동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에는 동영상이 제외되거나, 동영상에 연결된 링크가 포함되더라도 동영상의 재생은 제한될 수 있다.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은 자율 주행 중인 차량(200)에서 운전자가 자유롭게 차량 디스플레이(251)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이용하되, 차량(200)과 관련된 정보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중인 차량(200)의 목적지, 주행 속도, 주행 방향, 남은 연료량, 충돌가능성, 수동 주행까지 남은 시간 및 남은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에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은 차량(200) 및/또는 차량(200)에 구비된 전장품의 제어기능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좌석에 대응하는 창문의 높이 조절, 에어컨의 목표 온도 및 풍량 조절, 볼륨 조절, 자율 주행 중인 차랑(200)의 목적지 또는 경유지 설정, 주차지 설정 등과 같은 그래픽 객체가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자율 단말기(100)를 사용하면서도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차량(200)을 제어할 수 있다.
수동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과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에 대해서는 이하 도 5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한편,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이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되는 중에 단말기 디스플레이(151) 또는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터치가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에서 좌표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탐색할 수 있다. 그래픽 객체가 탐색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탐색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며, 앞서 설명한 S430에서 S460의 각 단계가 수행된다.
도 5는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라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차량(200)과 단말기(100)가 연결되면, 단말기(100)는 운전자가 차량 디스플레이(251)를 통해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차량용 홈스크린 페이지를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200)는 수신된 차량용 홈스크린 페이지를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한다.
이때, 단말기(100)는 차량(200)의 주행 상태에 따라 수동 주행용 홈스크린 페이지 또는 자율 주행용 홈스크린 페이지를 선택적으로 차량(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 디스플레이(251)에는 수동 주행 중인 경우 수동 주행용 홈스크린 페이지가 표시되고, 자율 주행 중인 경우 자율 주행용 홈스크린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수동 주행용 홈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되는 실행 아이콘은 그 종류와 개수가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수동 주행용 홈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되는 실행 아이콘은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수동 주행 중에 제한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전화, 메시지, 지도, 음악 재생과 같은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에 한해서 그 실행 아이콘이 수동 주행용 홈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되게 된다.
수동 주행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이용할 수 있는 실행 아이콘 자체가 제한되기 때문에, 운전 중 주의가 분산되는 것이 사전에 차단된다. 이와 달리, 자율 주행 상태에서 운전자는 단말기 디스플레이(151) 보다 대화면인 차량 디스플레이(251)를 통해 단말기(100)에 포함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라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가 재생될 수 있다. 이때,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를 재생하는 주체는 단말기(100)이고, 재생에 따른 실행화면과 소리는 차량(200)에 구비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오디오(예를 들어, get lucky)가 재생되더라도, 차량(200)의 주행 상태에 따라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되는 실행화면은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주행 상태에 따라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바뀌게 된다.
예를 들어, 수동 주행용 실행화면에는 출력되는 글자의 총 개수가 제한되고, 동영상이 표시되지 않거나 동영상의 재생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자율 주행용 실행화면에는 재생 중인 오디오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표시되거나 동영상이 링크된 그래픽 객체가 포함될 수 있다.
주행 상태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의 종류가 달라지기 때문에, 운전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라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실행화면에는 지도 이미지와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서 차량(200)의 현재위치를 안내하는 그래픽 객체가 포함된다. 운전자는 실행화면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목적지 또는 경유지를 설정할 수 있다. 목적지가 설정된 경우, 실행화면은 목적지로 향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에는 재생 가능한 동영상이 링크된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에는 재생 가능한 동영상이 링크된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동영상은 지도 이미지의 일 지점에 위치한 건물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안내하는 광고 동영상 및/또는 광고 이미지일 수 있다. 나아가, 그래픽 객체에는 해당 위치에서 제공되는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종류, 방문했던 사람들의 평가, 할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픽 객체가 수동 주행 상태에서는 운전자의 주의가 분산되지 않도록 표시되지 않다가 자율 주행 상태에서는 표시되게 된다.
한편,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에는 지도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과 달리,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에는 차량(200)에 구비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수동 주행 상태에서 운전자는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현재 위치와 경로를 안내 받기를 원한다. 이와 달리, 자율 주행 상태에서 운전자는 주행 방향에 위치한 사물들에 대한 증강 현실을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 니즈를 가진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하여, 차량(200)의 전방을 향하도록 카메라가 설치되고, 단말기(100)는 차량(200)으로부터 상기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 증강 현실을 구현한다.
단말기(100)는 차량(200)이 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수신된 영상에 가상의 그래픽 객체를 겹쳐서 가상 영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사물을 탐색하고, 탐색된 사물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수신된 영상 위에 합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영상에 빵집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빵집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720)가 상기 수신된 영상에 합성되게 된다.
상기 그래픽 객체(720)는 동영상과 링크될 수 있는데, 상기 그래픽 객체(720)에 터치가 가해지면 단말기(100)는 링크된 동영상을 재생하고, 그 재생화면을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재생 화면(722)은 상기 가상 영상 위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자는 자율 주행 상태에서 주행 방향의 전방을 차량 디스플레이(251)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에 포착된 지역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차량(200)의 주행 상태에 따라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서로 다른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주행 상태에 따라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서로 다른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수동 주행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수동 주행 상태인 경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단말기 디스플레이(151)를 끈다. 주행 중에 단말기(100)의 사용이 금지되기 때문이다.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단말기 디스플레이(151)가 켜지더라도,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는 기설정된 이미지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100)는 터치 센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수동 주행 상태에서 차량(200)이 주행하는 중에 단말기 디스플레이(151)가 켜지면, 기설정된 이미지가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서 출력되도록 터치 제어한다.
나아가, 기설정된 이미지가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되는 중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홈 버튼이 가압되면, 홈스크린 페이지가 출력되어야 하지만, 수동 주행 상태에서 차량(200)이 주행 중에 홈 버튼이 가압되면, 홈스크린 페이지의 출력이 제한되고 기설정된 이미지가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다.
한편, 단말기(100)는 수동 주행 상태에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수동 주행 상태가 자율 주행 상태로 전환되도록, 주행 모드 변경 명령을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설정된 조건은 운전자에게 단말기(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또는 운전자가 단말기(100)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단말기(100)를 소정시간 동안 응시하는 경우, 운전자가 단말기(100)를 손에 쥐는 경우, 단말기(100)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151)가 켜지는 경우 등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단말기(100)는 차량(200)으로 주행 모드 변경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단말기(100) 및/또는 차량(200)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차량(200)의 주행상태가 차량(200)으로부터 수신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수동 주행 상태에서 자율 주행 상태로 전환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환이 가능한 경우, 단말기(100)는 곧바로 주행 모드 변경 명령을 차량(200)으로 전송하거나 주행 모드 변경에 대한 운전자의 승인을 얻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이미지가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되는 중에 홈 버튼이 가압되면, 단말기(100)는 주행 상태의 전환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전환이 가능하다면 자율 주행으로의 전환을 승인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이 경우 운전자로부터 승인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주행 모드 변경 명령을 차량(200)으로 전송한다.
전환이 불가능한 경우, 단말기(100)는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전환이 가능한 시점이 안내되도록 안내 정보를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할 수 있다.
법규에 따라 자율 주행이 가능한 도로와 자율 주행이 불가능한 도로가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지도에 포함된 GPS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 시점에 자율 주행이 불가능한 도로에 차량(200)이 위치하여 전환이 불가능하지만, x 시점 후에 차량(200)이 자율 주행이 가능한 도로로 진입할 예정이라면, 단말기(100)는 운전자에게 x 시점 후 자율 주행이 가능함을 안내할 수 있다. 안내 정보에는 x 시점에 대한 정보 x 시점에 진입할 도로에 대한 정보, 자율 주행이 가능한 이유에 대한 정보, t 시점에서 자율 주행이 불가능한 이유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e는 자율 주행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자율 주행 상태에서 단말기 디스플레이(151)는 차량 디스플레이(251)와 연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기능에 대하여 단말기 실행화면이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고,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이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 주행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미지가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되다가, 수동 주행 상태가 자율 주행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는 기설정된 이미지 대신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되고 있는 차량 실행화면의 기능에 대응하는 단말기 실행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단말기 실행화면이 표시되고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자율 주행 상태가 수동 주행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151)는 꺼지거나 단말기 실행화면 대신 기설정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차량 디스플레이(251)에서는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이 수동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으로 전환된다.
한편, 자율 주행 상태에서 단말기 실행화면이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그에 대응하는 새로운 단말기 실행화면을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새로운 단말기 실행화면에 대응하는 새로운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이 차량 디스플레이(251)에서 출력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율 주행 상태에서 지도 화면이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는 중에 홈 버튼이 가압되면, 최근 실행된 실행화면들이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 최근 실행된 음악 재생 실행화면에 터치가 가해지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디스플레이(251)에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자율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자율 주행 상태에서 단말기 디스플레이(151)가 켜지거나 켜져 있으면, 기설정된 이미지의 출력을 중지한다. 다시 말해, 기설정된 이미지는 수동 주행 상태인 경우에만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다.
또한, 단말기(100)는 자율 주행 상태에서 차량(200)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단말기 디스플레이(151)를 제어한다. 주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200)으로부터 전송된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주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 속도, 주행 방향, 목적지와 같은 일반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충돌 가능한 물체, 충돌 가능성, 운전자 개입이 필요한 정도와 같이 자율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이 수동 주행으로 전환이 예정된 경우, 전환되기까지 남은 시간 및 남은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0)이 자율 주행이 가능한 도로를 주행 중이나 16분 뒤에 수동 주행을 해야 하는 도로로 진입할 예정인 경우, 수동 주행으로 전환 시까지 남은 시간 및 남은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주행에 개입해야 하는 상황인 경우, 자율 주행 상태는 수동 주행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때, 단말기 디스플레이(151) 및 차량 디스플레이(251)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동 주행 상태로 전환됨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자율 주행 상태에서 단말기(100)를 사용하던 운전자는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는 알림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곧바로 주행에 개입하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알림 정보가 소정시간 출력되고 난 후,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디스플레이(251)에는 수동 주행용 차량 실행화면이 표시되고, 단말기 디스플레이(151)는 꺼지거나 켜진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자는 다시 운전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자율 주행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 추가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단말기(100)는 자율 주행 상태에서 차량(200)의 제어기능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의 일 단에서 타 단으로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는 드래그 입력을 따라 단계별로 나타나는 커튼 창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커튼 창의 제1영역(1010)에는 단말기(100)의 제어기능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고, 제2영역(1020)에는 차량(200)의 제어기능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운전자는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단말기(100)를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200)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자율 주행 상태를 복수의 모드들로 구분하고, 각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자율 주행 상태도 복수의 페이스들로 구분되고, 각 페이스마다 서로 다른 실행화면이 차량 디스플레이(251)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상태가 제1 페이스에 해당하는 경우, 제1 페이스에 대응하는 제1 페이스 실행화면이 선택되고, 자율 주행 상태가 제2 페이스에 해당하는 경우, 제2 페이스에 대응하는 제2 페이스 실행화면이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상태의 각 페이스마다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도 달라질 수 있다. 각 페이스마다 단말기(1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 목록이 달라지고,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종류(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도 달라질 수 있다.
각 페이스를 설명하기에 앞서, 용어를 정의한다.
핸즈 온(hands-on)은 운전자의 손이 스티어링 휠에서 제1 기준 시간보다 길게 떨어져서는 안되는 상황, 즉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잡아서 차량(200)의 주행 방향을 조작해야 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핸즈 오프(hands-off)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지 않아도 차량의 주행 방향이 프로그램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핏 온(feet-on)은 운전자의 발이 가속 페달에서 제2 기준 시간보다 길게 떨어져서는 안되는 상황, 즉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가압해서 차량(200)의 가속을 조작해야 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핏 오프(feet-off)는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가압하지 않아도 차량의 가속이 프로그램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아이 온(eye-on)은 운전자의 시선이 윈드실드 밖을 향해야 하는 상황을 의미하고, 아이 오프(eye-off)는 운전자가 주행 중에 제3 기준 시간보다 길게 눈을 감아도 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즉, 아이 오프(eye-off)의 경우, 차량의 가속 및 주행 방향이 모두 프로그램에 의하여 조절되게 된다.
제1 페이스에서는 단말기(100)의 사용이 금지된다. 따라서, 단말기(100)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단말기 디스플레이(151)에는 기설정된 이미지가 출력된다. 차량 디스플레이(251)에는 제1 페이스에 대응하는 제1 페이스 실행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페이스에서는 단말기(100)에 대한 권한이 제1레벨로 설정된다. 단말기(100)에서는 제1레벨로 설정된 기능들만 제한적으로 실행될 수 있게 된다. 차량 디스플레이(251)에는 제2 페이스에 대응하는 제2 페이스 실행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3 페이스에서는 단말기(100)에 대한 권한이 2레벨로 설정된다. 제1레벨에 설정된 기능들과 제2레벨로 설정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 제4 페이스에서는 운전자가 단말기(100)의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자율 주행 상태도 복수의 페이스들로 구분되고, 각 페이스에 따라 단말기(100)와 차량(200)의 동작이 상이해지므로, 운전자는 주행 상태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안전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므로, 운전자는 단말기(100)와 차량(200)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 차량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차량과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어느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에서 상기 주행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이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정보가 제1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 상기 제1조건에 대응하는 제1실행화면을 선택하고,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1실행화면이 출력되는 중에 상기 주행정보가 제2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 상기 제2조건에 대응하는 제2실행화면을 선택하며, 상기 제1실행화면 대신 상기 제2실행화면이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제2실행화면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수동 주행 상태이면, 상기 제1실행화면이 선택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에 구비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자율 주행 상태이면, 상기 제2실행화면이 선택되며,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1 실행화면 및 상기 제2 실행화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 주행 상태는 상기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없어도 상기 차량의 가속 및 진행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차량에 구비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변경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를 상기 수동 주행 상태 또는 상기 자율 주행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길 안내를 수행하는 길 안내 기능이고,
상기 제2실행화면에는 재생 가능한 동영상이 링크된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고, 상기 제1실행화면에는 상기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행화면은 지도 이미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실행화면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
터치 센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주행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면, 기설정된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이미지가 출력되는 중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주행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거나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수동 주행 상태가 상기 자율 주행 상태로 전환되도록, 주행 모드 변경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주행 상태가 상기 자율 주행 상태로 전환될 수 없는 경우, 전환이 가능한 시점이 안내되도록 안내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주행 상태가 상기 자율 주행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이미지 대신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제3 실행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실행화면이 출력되는 중에 상기 자율 주행 상태가 상기 수동 주행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3실행화면을 상기 기설정된 이미지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실행화면이 출력되는 중에 입력되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다른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다른 기능에 대응하는 제1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상기 다른 기능에 대응하는 제2화면이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율 주행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거나 켜져 있으면, 상기 기설정된 이미지의 표시를 제한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져 있는 중에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가 상기 자율 주행 상태에서 상기 수동 주행 상태로의 전환이 예정된 경우, 전환되기까지 남은 시간 및 남은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기능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이 상기 차량에서 수행되도록,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홈스크린 페이지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은 복수의 홈스크린 페이지들 중 어느 하나의 홈스크린 페이지이며,
상기 어느 하나의 홈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되는 그래픽 객체는 상기 주행정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차량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및
상기 차량용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어느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에서 상기 주행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이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용 제어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이 수신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을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5025A KR101822945B1 (ko) | 2016-07-05 | 2016-07-05 | 이동 단말기 |
EP17001106.8A EP3267659B1 (en) | 2016-07-05 | 2017-06-28 | Mobile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system with a display |
CN201710533722.7A CN107580104B (zh) | 2016-07-05 | 2017-07-03 | 移动终端以及包括该移动终端的控制系统 |
US15/641,716 US10616755B2 (en) | 2016-07-05 | 2017-07-05 | Mobile terminal |
US16/800,724 US10932124B2 (en) | 2016-07-05 | 2020-02-25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5025A KR101822945B1 (ko) | 2016-07-05 | 2016-07-05 |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5067A true KR20180005067A (ko) | 2018-01-15 |
KR101822945B1 KR101822945B1 (ko) | 2018-01-29 |
Family
ID=5931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5025A KR101822945B1 (ko) | 2016-07-05 | 2016-07-05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10616755B2 (ko) |
EP (1) | EP3267659B1 (ko) |
KR (1) | KR101822945B1 (ko) |
CN (1) | CN10758010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6113178A1 (de) * | 2016-07-18 | 2018-01-18 |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 Elektronische Kontrolleinheit und Verfahren zur Wiedergabe von Audio- und/oder Video- oder holografischen Daten |
US10665155B1 (en) * | 2017-03-22 | 2020-05-26 | Accelerate Labs, Llc | Autonomous vehicle interaction system |
GB2563287B (en) * | 2017-06-09 | 2021-05-12 | Ford Global Tech Llc | A vehicle display system and method |
DE102017215542A1 (de) * | 2017-09-05 | 2019-03-07 | Audi Ag |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erassistenzsystems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
JP7043853B2 (ja) | 2018-01-29 | 2022-03-3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
CN110231817A (zh) * | 2018-04-13 | 2019-09-13 | 蔚来汽车有限公司 | 车辆驾驶提示方法、装置、控制系统和计算机存储介质 |
DE102018215265A1 (de) | 2018-09-07 | 2020-03-12 | Audi Ag | Verfahren und Steuereinrichtung zum Betreiben einer am Kopf tragbaren Anzeige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
FR3086625A1 (fr) * | 2018-09-28 | 2020-04-03 | Psa Automobiles Sa | Dispositif d’affichage a ecran tactile affichant dans des zones independantes des pages d’imagettes associees a des fonctionnalites d’un vehicule |
US20200104966A1 (en) | 2018-09-30 | 2020-04-02 | Strong Force Intellectual Capital, Llc |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
KR102699141B1 (ko) * | 2018-10-12 | 2024-08-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및 그의 위한 정보 출력 방법 |
KR20200042660A (ko) * | 2018-10-16 | 2020-04-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DE102019105546A1 (de) * | 2019-03-05 | 2020-09-10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mobiles Anwendergerät, Computerprogramm zum Ansteuern einer Steuereinheit eines Fahrzeugs |
WO2021002519A1 (ko) * | 2019-07-04 | 2021-01-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차량용 광고 제공 장치 및 차량용 광고 제공 방법 |
JP7409877B2 (ja) * | 2020-01-09 | 2024-01-09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制御装置 |
CN113370788B (zh) * | 2020-03-09 | 2024-06-18 |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 一种车辆状态信息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 |
JP7226410B2 (ja) * | 2020-08-04 | 2023-02-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載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
JP7363746B2 (ja) * | 2020-11-10 | 2023-10-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車両、及び制御方法 |
CN113815637A (zh) * | 2021-08-28 | 2021-12-21 | 济南臻真技术研究所 | 基于驾驶辅助功能调度通知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81301B2 (ja) * | 2011-11-30 | 2014-08-27 |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 車載装置と携帯情報端末が連携するシステム |
US8874162B2 (en) * | 2011-12-23 | 2014-10-28 | Microsoft Corporation | Mobile device safe driving |
US9008961B2 (en) * | 2012-11-30 | 2015-04-14 | Google Inc. | Determining and displaying auto drive lanes in an autonomous vehicle |
US8825258B2 (en) * | 2012-11-30 | 2014-09-02 | Google Inc. | Engaging and disengaging for autonomous driving |
US20140188970A1 (en) * | 2012-12-29 | 2014-07-03 | Cloudcar, Inc. | System and method enabling service and application roaming |
JP2014204242A (ja) * | 2013-04-03 | 2014-10-2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制御システム |
DE102013012777A1 (de) * | 2013-07-31 | 2015-02-05 |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 Verfahren zum Nutzen eines Kommunikationsendgeräts in einm Kraftfahrzeug beim aktivierten Autopiloten und Kraftfahrzeug |
US20150094897A1 (en) * | 2013-09-30 | 2015-04-02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utonomous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
DE102013018966A1 (de) * | 2013-11-12 | 2015-05-13 |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isplays beim Umschalten eines Kraftfahrzeugs von einem automatischen in einen manuellen Fahrmodus, Fahrerassistenz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
KR102155091B1 (ko) * | 2014-01-22 | 2020-09-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150137799A (ko) * | 2014-05-30 | 2015-1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DE102015103773A1 (de) * | 2015-03-16 | 2016-09-22 |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ommunikation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während eines autonomen Fahrmodus, Kommunikationsvorrichtung sowie Kraftfahrzeug |
US9884631B2 (en) * | 2015-06-04 | 2018-02-06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Transitioning between operational modes of an autonomous vehicle |
US9946890B2 (en) * | 2016-03-18 | 2018-04-17 | Uber Technologies, Inc. | Secure start system for an autonomous vehicle |
JP6964271B2 (ja) * | 2016-03-31 | 2021-11-10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運転支援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運転支援装置、自動運転制御装置、車両、プログラム |
EP3266640B1 (en) * | 2016-07-06 | 2019-06-19 | Volvo Car Corporation | Multi mode screen device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multi mode screen device in a vehicle |
-
2016
- 2016-07-05 KR KR1020160085025A patent/KR10182294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6-28 EP EP17001106.8A patent/EP3267659B1/en active Active
- 2017-07-03 CN CN201710533722.7A patent/CN107580104B/zh active Active
- 2017-07-05 US US15/641,716 patent/US10616755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2-25 US US16/800,724 patent/US10932124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580104A (zh) | 2018-01-12 |
KR101822945B1 (ko) | 2018-01-29 |
EP3267659B1 (en) | 2021-03-24 |
US10616755B2 (en) | 2020-04-07 |
CN107580104B (zh) | 2021-02-26 |
US20180014182A1 (en) | 2018-01-11 |
EP3267659A1 (en) | 2018-01-10 |
US20200213835A1 (en) | 2020-07-02 |
US10932124B2 (en) | 2021-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2945B1 (ko) | 이동 단말기 | |
US10431086B2 (en) | Vehicl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9909892B2 (en)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10387192B2 (en) | Mobile terminal operating system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vehicle, and operating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 |
KR101716145B1 (ko) |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 |
KR20170006859A (ko) | 이동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07980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26532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841501B1 (ko) | 카 쉐어링을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카 쉐어링 시스템의 동작 방법 | |
KR20160114486A (ko) |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
KR101677644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101736820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746503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148375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072940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KR101916425B1 (ko) |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 |
KR101700765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1576461B1 (ko) |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KR20170013062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70019071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61970B1 (ko) |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
KR20170011915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120104A (ko) | 차량용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101641565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116693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