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869A -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6869A KR20170136869A KR1020160068970A KR20160068970A KR20170136869A KR 20170136869 A KR20170136869 A KR 20170136869A KR 1020160068970 A KR1020160068970 A KR 1020160068970A KR 20160068970 A KR20160068970 A KR 20160068970A KR 20170136869 A KR20170136869 A KR 201701368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resonance
- current
- switching
-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2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operating from a resonant DC source, i.e. the DC input voltage varies periodically, e.g. resonant DC-link invert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 H02M2001/0009—
-
- H02M2001/0064—
-
- H02M2007/4815—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는 계통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된 전원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링된 전원을 이용하여 자계를 형성하는 공진출력부; 상기 공진출력부의 전류를 스위칭하여 상기 공진부의 전압을 제어하는 스위칭부;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감지센서; 및 상기 전류감지센서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감지센서를 갖는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감지센서를 갖는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감지센서를 갖는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5는 정상동작시와 최대전류 초과시의 스위칭부(5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감지센서를 갖는 유도가열 인버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300 : 공진출력부 400,400a,400b : 전류감지센서
500 : 스위칭부 900 : 제어부
Claims (11)
- 계통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된 전원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링된 전원을 이용하여 자계를 형성하는 공진출력부;
상기 공진출력부의 전류를 스위칭하여 상기 공진부의 전압을 제어하는 스위칭부;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감지센서; 및
상기 전류감지센서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감지센서를 갖는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출력부는 인덕터 및 상기 인턱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공진커패시터로 구성되고,
상기 전류감지센서는 상기 인덕터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감지센서를 갖는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감지센서는 상기 스위칭부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부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감지센서를 갖는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 제 1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전류 값이 미리 설정된 최대전류값보다 클 경우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전류가 상기 최대전류값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감지센서를 갖는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전류 값이 미리 설정된 최대전류값보다 클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전류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전류 값이 미리 설정된 최대전류값보다 낮아지면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전류 값이 미리 설정된 최대전류값보다 클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스위칭부에 입력되는 다음 펄스에서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전류값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듀티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전류가 상기 최대전류값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 공진출력부 및 스위칭부를 갖는 유도가열 인버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전류가 미리 설정한 최대전류값보다 높은 값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전류가 최대전류값보다 높은 값인 경우 상기 출력전류가 상기 최대전류값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인버터 제어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전류가 최대전류값보다 높은 값인 경우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중단하도록 상기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인버터 제어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전류가 최대전류값보다 높은 값인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스위칭부에 입력되는 다음 펄스에서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인버터 제어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듀티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전류가 상기 최대전류값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인버터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8970A KR20170136869A (ko) | 2016-06-02 | 2016-06-02 |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8970A KR20170136869A (ko) | 2016-06-02 | 2016-06-02 |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6869A true KR20170136869A (ko) | 2017-12-12 |
Family
ID=6094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8970A Ceased KR20170136869A (ko) | 2016-06-02 | 2016-06-02 |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3686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82066A1 (ko) * | 2021-02-26 | 2022-09-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공진 주파수를 추종하는 가열 장치 |
-
2016
- 2016-06-02 KR KR1020160068970A patent/KR20170136869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82066A1 (ko) * | 2021-02-26 | 2022-09-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공진 주파수를 추종하는 가열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28396C (en) | Induction heating device | |
US2012028594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essel presence and circuit resonance for a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 |
KR100629334B1 (ko) |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 |
JP2011023163A (ja) | 炊飯器 | |
KR100600754B1 (ko) | 용기 편심에 따라 동작이 차단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 |
US20210029787A1 (en) | Determining presence of compatible cookware in induction heating systems | |
US2016009516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essel presence for a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 |
JP2016082700A (ja) | インバータ圧縮機の制御装置 | |
US9596721B2 (en) | Method for protecting switching elements in an induction heating system | |
KR20170136869A (ko) |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및 그 제어방법 | |
JP5053332B2 (ja) | 誘導加熱装置 | |
JP5521597B2 (ja) | 炊飯器 | |
KR102175634B1 (ko) | 동작 안정성을 향상한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 |
US12144087B2 (en) | Induction heating circuit, protection circuit and cooling system for an appliance | |
KR102238457B1 (ko) | 서지 검출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 |
KR102142412B1 (ko) | Emi를 감소시킨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 |
JP6854405B2 (ja) | 誘導加熱装置および誘導加熱装置の駆動制御方法 | |
KR101191297B1 (ko) | 유도 가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101594520B1 (ko) | 계통전원의 변동을 검지하는 이상전원 검지부가 구비된 공진형인버터 구동회로 | |
JP2006079833A (ja) | 誘導加熱調理器 | |
JP4613687B2 (ja) | 誘導加熱装置 | |
JP2012230874A (ja) | 誘導加熱調理器 | |
JP2005317320A (ja) | 誘導加熱調理器 | |
KR100712840B1 (ko) |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의 전류 제어방법 | |
EP3432683B1 (en) | Induction cooker, method of operation and computer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0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