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004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5004A KR20170125004A KR1020170144797A KR20170144797A KR20170125004A KR 20170125004 A KR20170125004 A KR 20170125004A KR 1020170144797 A KR1020170144797 A KR 1020170144797A KR 20170144797 A KR20170144797 A KR 20170144797A KR 20170125004 A KR20170125004 A KR 201701250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displayed
- screen
- space
- ser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 H04N5/44543—
-
- H04N5/445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3차원 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공간 요소로 구성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복수의 공간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 요소가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메인 공간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UI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다양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UI 화면에 대한 간단한 사용자 인터렉션 만으로 상이한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3차원 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공간 요소로 구성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공간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 요소가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메인 공간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공간 요소는, 실링(ceiling), 월(wall) 및 플로어(floor)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공간에 대응되는 UI 화면은, 상기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된 공간 요소에 대응되는 정보, 기능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실링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인포메이션(inform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포메이션 서비스는 날씨 정보 제공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월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커머스(commerce)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머스 서비스는, 가상의 상품 구매와 실제 상품 구매가 연동되는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플로어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컨트롤(control)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홈 디바이스 컨트롤 서비스 및 홈 시큐리티 컨트롤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헤드 방향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월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헤드 업(head up) 인터렉션이 수신되면 실링 부분을 메인 공간으로, 사용자의 헤드 다운(head down) 인터렉션이 수신되면 플로어 부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원격제어장치의 모션에 따른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월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션에 대응되는 리모콘 신호가 수신되면 월 부분을 메인 공간으로,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션에 대응되는 리모콘 신호가 수신되면 플로어 부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외부 환경 정보 및 컨텐츠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배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화면 제공 방법에 있어서, 3차원 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공간 요소로 구성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공간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 요소가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메인 공간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공간 요소는, 실링(ceiling), 월(wall) 및 플로어(floor)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공간에 대응되는 UI 화면은, 상기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된 공간 요소에 대응되는 정보, 기능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공간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실링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인포메이션(inform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포메이션 서비스는 날씨 정보 제공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공간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월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커머스(commerce)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공간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플로어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컨트롤(control)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 서비스는, 홈 디바이스 컨트롤 서비스 및 홈 시큐리티 컨트롤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월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실링 부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의 헤드 업(head up) 인터렉션이고, 플로어 부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의 헤드 다운(head down) 인터렉션이 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 정보 및 컨텐츠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배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간단한 인터렉션 만으로 다양한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실링 공간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플로어 공간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월 공간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월 공간에서 제공되는 배경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실링 공간에서 제공가능한 기능 또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플로어 공간에서 제공가능한 기능 또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실링 공간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플로어 공간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월 공간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월 공간에서 제공되는 배경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실링 공간에서 제공가능한 기능 또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플로어 공간에서 제공가능한 기능 또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원격 제어 장치(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 휴대폰, 태블릿 PC, PMP, PDA,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휴대용 기기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내장하고 있어 손가락 또는 펜(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모션 또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모션 센서, 터치 센서 또는 광학 기술을 응용한 OJ(optical Joystick) 센서, 물리적 버튼(예를 들어, Tact Switch), 디스플레이 화면, 마이크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OJ 센서(optical Joystick)는 OJ를 통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로서, 광 마우스를 뒤집어 놓은 듯한 동작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OJ를 손가락으로 스치듯이 터치하면 OJ 센서가 광학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양한 3차원 형태의 UI(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공간 중 하나의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재생 화면,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 복수의 공간 요소를 포함하는 UI >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복수의 공간 요소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공간 요소는 실링(ceiling), 월(wall) 및 플로어(floor)의 공간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UI 화면은 룸(room)과 같이 실링 공간, 실링 공간을 지지하는 3개의 월 및 3개의 월 하부에 위치하는 플로어(floor)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개의 월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1개의 월의 위치에서 해당 룸을 바라보는 시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3차원 공간을 제공하는 UI 화면은 2D 화면 또는 3D 화면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분할하여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3D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사이의 시차(disparity)에 의해 깊이감이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UI 화면에 포함된 다양한 객체에 대한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다만, 2D 영상의 경우 UI 화면 내의 객체에 대한 원근감 처리로 3차원 공간이 표현될 수 있다.
< 각 공간 요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또는 기능) 또는 정보 >
한편, 3차원 공간을 구성하는 각 공간 요소는 서로 다른 타입의 UI 화면, 즉 서로 다른 서비스(또는 기능) 또는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실링 공간에서는 인포메이션(information) 서비스를 제공하고, 월 공간에서는 커머스(commerce) 서비스를 제공하고, 플로어 공간에서는 컨트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포메이션 서비스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커머스 서비스란 인터넷 등 전자매체를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컨트롤 서비스는 다양한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실링 공간에서는 제1 타입 정보를, 월 공간에서는 제2 타입 정보를, 플로어 공간에서는 제3 타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타입 정보는, 사용자에게 단순히 알려주기 위한 정보, 사용자와의 상호 인터렉션이 가능한 정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실링 공간에서는 제1 기능을, 월 공간에서는 제2 기능을, 플로어 공간에서는 제3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기능은 커텐츠 재생 기능, 전화 기능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술한 서비스, 기능, 정보는 혼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공간에서 제1 타입 정보가 제공되고, 다른 공간에서 제2 타입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인증 절차에 따라 사용자마다 다른 정보 또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UI는 사용자 인증을 거쳐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해 다른 UI 화면이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가족이라 할지라도 행동 패턴, 선호도 등이 모두 다를 수 있으므로 로그 인 등의 인증 절차가 수행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행동 패턴, 선호도 또는 설정 상태에 대응되는 UI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 UI 배경 요소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은 배경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경 요소가 반영된 배경이 디스플레이되거나, 컨텐츠 타입에 대응되는 배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기선택한 배경이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환경 요소는 비, 눈, 천둥, 안개, 바람 등의 외부 날씨 요소 및 낮/밤 등의 시간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타입은 컨텐츠 장르, 컨텐츠 출연자, 컨텐츠 감독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비가 내리는 경우 비가 오는 배경이 제공될 수 있으며, SF 영화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UFO를 포함하는 배경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은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눈이 쌓이거나, UFO가 사물을 끌어올리는 애니메이션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타입에 기초한 배경은 컨텐츠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메타 데이터 정보에 대응되는 배경 요소가 기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배경 요소는 실링, 월, 플로어의 공간 요소가 그대로 유지된 채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해당 공간이 사라지고 배경 요소만이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배경 요소는 반드시 다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색상/밝기 등만 조정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 월 공간에서 제공되는 큐빅 GUI >
한편, 3개의 월로 구성되는 룸(room) 공간에서는 다면체 형태의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다면체는 정육면체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GUI를 큐빅 GUI라 명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면체는 삼각기둥, 육각 기둥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면체 형태의 GUI가 큐빅 GUI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룸 공간에 디스플레이되는 큐빅 GUI는 육면체 형태의 디스플레이 요소로서, 큐빅 GUI는 소정의 오브젝트를 나타내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큐빅 GUI는 컨텐츠, 컨텐츠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등 다양한 오브젝트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큐빅 GUI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은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큐빅 GUI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은 큐빅 GUI가 나타내는 오브젝트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큐빅 GUI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은 사용자 명령에 따른 메뉴 뎁스에 따라 컨텐츠 제공자 정보, 컨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자 정보, 서비스 정보,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컨텐츠 실행 정보, 사용자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텍스트, 파일, 이미지, 동영상, 아이콘, 버튼, 메뉴, 입체형 아이콘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 정보는 해당 컨텐츠 제공자를 상징하는 아이콘, 로고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컨텐츠 정보는 썸네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각 사용자의 프로필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썸네일의 경우, 원본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부가 정보를 디코딩하여 썸네일 크기로 변환하거나, 부가 정보가 없는 경우 원본 컨텐츠 디코딩하고 썸네일 크기로 변환하여 축소된 형태의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원본 컨텐츠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형태가 될 수 있는데 원본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복수의 정지 영상으로 구성된 애니메이션 영상 형태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 큐빅 GUI가 제공되는 룸 공간>
한편, 큐빅 GUI는 룸(room) 공간 상에 플로팅(floating)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 상의 X축을 따라 나열되고, Z축으로 기설정된 깊이를 갖는 3개의 wall이 형성하는 3차원 공간 상에 큐빅 GUI가 플로팅(floating)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3개의 wall 중 제1 wall이 좌측 면을, 제2 wall이 후면을, 제3 wall이 우측 면을 형성하는 room 공간에 복수의 큐빅 GUI가 플로팅(floating)되는 형태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큐빅 GUI는 일정한 간격을 갖으며, n*m 배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사형, 선형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큐빅 GUI는 2D 방식 또는 3D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2D 방식은 큐빅 GUI의 하나의 면만 표시되고 다른 면들은 은닉되는 형태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이고, 3D 방식은 큐빅 GUI가 적어도 두 면 이상이 표시되는 입체적인 형태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이 될 수도 있다.
한편, 3개의 월 중 적어도 하나에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큐빅 GUI가 기설정된 투명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큐빅 룸 해당 큐빅 룸에 속하는 제1 큐빅 리스트 상의 큐빅 GUI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우측 wall에는 제2 큐빅 리스트에 속하는 큐빅 GUI가 기설정된 투명도를 갖도록(예를 들어, 반투명)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큐빅 룸을 구성하는 wall 상에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큐빅 GUI를 미리보기 형식으로 가이드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wall 상에는 해당 방향에 배치된 큐빅 리스트에 속하는 큐빅 GUI가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큐빅 룸에 속하는 제1 내지 제5 큐빅 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좌측 wall 상에는 제5 큐빅 리스트에 속하는 큐빅 GUI들이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wall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wall 상에서 다른 큐빅 리스트를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좌측 wall 이 포인팅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있는 경우 좌측 wall 상에 제3 큐빅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해 줄 수 있다.
또한, 3개의 월 상부에는 실링 공간이 디스플레이되고, 하부에는 플로어 공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룸 공간이 메인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기본 상태에서 실링 공간 및 플로어 공간은 일부분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 복수 개의 룸 공간으로 구성된 스텔라 구조>
한편, 큐빅 GUI를 포함하는 3차원 공간은 복수 개가 마련되고 회전에 따라 새로운 3차원 공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에 배치된 통로 영역 및 통로 영역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통로 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정육면체 형태의 3차원 공간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체 형태는 마치 별과 같은 구조(이하에서 스텔라(stellar) 구조라 함)로 구현될 수 있다. 각 3차원 공간은 서로 다른 카테고리를 나타내며,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오브젝트는 큐빅 GUI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다양한 형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시간 TV 시청 카테고리, VOD 컨텐츠 기반 카테고리, SNS 컨텐츠 공유 기반 카테고리, 어플리케이션 제공 카테고리, 개인용 컨텐츠 카테고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기준에 따라 카테고리를 구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3차원 공간의 회전에 따라 3차원 공간을 구성하는 기존 실링, 월, 플로어는 새로운 실링, 월, 플로어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밖에 각 공간 요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정보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카메라,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1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 3차원 공간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
>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UI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각 공간 요소, 즉, 실링, 월, 플로어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각 공간 요소가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될 상태에서의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각 공간 요소를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ⅰ) 사용자 모션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 모션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를 위로 들어올리는 헤드 업(head up) 모션이 실링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를 아래로 수그리는 헤드 다운(head down) 모션이 플로어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의 헤드 업/다운 동작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모션은 손을 눈동자를 up/down하는 모션, 눈동자를 up/down하는 모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ⅱ) 원격 제어 장치의 모션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모션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인팅 업(pointing up) 모션이 실링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장치(20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인팅 다운(pointing down) 모션이 플로어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지자기 센서(예를 들어 9축 지자기 선세),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OJ 센서가 트리거 기능을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OJ 센서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입력을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을 판단하기 시작하는 트리거 명령이라고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OJ 센서를 기설정된 시간 미만 누르는 인터렉션의 경우 OJ 센서는 엔터(enter) 기능, 예를 들어 특정 큐빅 GUI가 포인팅된 상태에서 해당 큐빅 GUI를 선택하여 스크린 상에 재생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스처 모션이 사용자 인터렉션으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제스처(상/하측 방향의 화살표 등)가 실링 또는 플로어 공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스처로 입력될 수 있다.
ⅲ) 원격 제어 장치의 OJ 센서 감지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OJ 센서 상에서의 조작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OJ 센서 상에서의 상측 방향 조작이 실링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 있으며, OJ 센서 상에서의 하측 방향 조작이 플로어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 있다. OJ 센서(optical Joystick)는 OJ를 통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로서, 광 마우스를 뒤집어 놓은 듯한 동작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OJ를 손가락으로 스치듯이 터치하면 OJ 센서가 광학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ⅳ) 원격 제어 장치의 버튼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버튼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제1 버튼에 대한 누름 조작이 실링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 있으며, 제2 버튼에 대한 누름 조작이 플로어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 있다.
ⅴ)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터치 패널 상에서의 조작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터치 패널 상에서의 상측 방향 드래깅 조작이 실링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 상에서의 하측 방향 드래깅 조작이 플로어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은 감압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의 좌표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터치 패널 상에서의 실링, UP(업), 플로어, DOWM(다운) 등의 해당 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텍스트가 입력되는 경우 등도 있을 수 있다.
ⅵ) 음성 인식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마이크, 또는 별도로 구비된 마이크에서의 음성 인식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P"라는 사용자 음성 인식이 실링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 있으며, "DOWN"라는 사용자 음성 인식이 플로어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 있다. 다만, 음성 명령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아래"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월 공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3개의 월로 이루어지는 큐빅 룸 공간에 플로팅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큐빅 G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큐빅 GUI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큐빅 GUI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큐빅 GUI의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큐빅 GUI를 슬라이스 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큐빅 GUI의 크기, 위치, 뎁스를 변경하기 위한 인터렉션, GUI의 일 면을 스크롤(scroll)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큐빅 GUI의 일 면을 러빙(rubbing)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단일 큐빅 G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 및 그룹 큐빅 G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 등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그 밖에 큐빅 GUI 리스트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큐빅 룸의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디스플레이된 큐빅 룸을 다른 큐빅 룸으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큐빅 룸의 메인 디스플레이 공간(예를 들어, ceiling, wall, floor)을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등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른 메인 공간 디스플레이 >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하나의 공간 요소를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월 공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헤드 업 모션이 감지되면 실링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헤드 다운 모션이 감지되면 플로어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함은 해당 공간이 전체 화면의 기설정된 비율 이상을 차지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해당 공간에 대한 인터렉션으로 감지되는 형태까지 포함할 수 있다. 즉, 단순히 메인 공간에서 정보만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라면 해당 메인 공간이 전체 화면의 기설정된 비율 이상을 차지하는 형태로만 디스플레이되어도 되지만, 해당 메인 공간이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제어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 인터렉션이 해당 메인 공간에 대한 인터렉션으로 감지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포인팅 방식 또는 풀 방식으로 비가시 공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측으로 포인트시 실링 공간이 큐(cue)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측 방향으로 풀링(pullig)하는 경우 실링 공간이 심리스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 각 공간 요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 >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 요소가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해당 공간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공간에 대응되는 UI 화면은 각 공간에 대응되는 정보, 기능,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형태의 화면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실링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인포메이션(inform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인포메이션 서비스는 일 예로 날씨 정보 제공 서비스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예로 주식 정보, 스포츠 경기 일정, TV 편성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링 공간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나, 사용자 취향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폴트로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사용자가 주식 정보를 제공받기 원하면 실링 공간에서 주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월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커머스(commerce)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커머스 서비스는 일 예로 상품 구매 관련 서비스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예로, 컨텐츠 구매, 어플리케이션 구매 등 다양한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월 공간에서 제공되는 커머스 서비스를 일 예로 월 공간을 꾸미기 위한 가상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서비스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커머스 서비스를 통해 구매된 상품은 월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은 액자, 램프, 거울 등과 같은 벽에 배치될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 뿐 아니라, 벽지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가상의 램프를 구매한 경우 사용자가 구매한 램프는 월 공간에서 디폴트 위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램프는 실제 램프와 같이 ON/OFF 가 가능하여 큐빅 룸에 조명을 제공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거울이 선택된 경우 해당 거울이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거울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커머스 서비스는 실제 상품 구매와 연동되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실제 상품을 구매한 경우 가상의 상품이 월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상의 상품이 월에 배치되고 실제 상품이 홈 내에 배치되는 경우 가상의 상품은 홈 내에 배치된 실제 상품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제 상품인 램프의 조명을 ON/OFF 시키는 경우 가상의 램프 또한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가상의 램프 제어를 통해 실제 램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가상의 상품은 실제 구매하기 어려운 상품이 그래픽 버전이 될 수 있다. 즉, 실제 상품은 가격이 매우 비싸 사용자가 구매하기 어렵더라고 사용자는 가상의 그래픽 상품을 구매하여 UI 화면 내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보상 심리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구매된 가상의 상품이 월에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파와 같은 룸 내 배치 상품은 큐빅 룸 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월 공간에서 제공되는 커머스 서비스는 월 공간의 제공된 특정 상품 판매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월 내에 다양한 상품 판매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상품 판매자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상품 판매자에 의해 판매되는 다양한 상품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큐빅 룸 내 디스플레이된 큐빅 GUI는 일시적으로 화면 상에서 사라지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구매 화면은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멀티 잡으로 커머스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 화면을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여 제공할 수 화면 시청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플로어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컨트롤(control)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 서비스는 일 예로 홈 디바이스 컨트롤 서비스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예로, 오피스(office) 컨트롤 서비스, 특정 디바이스 컨트롤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컨트롤 서비스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상의 2D 또는 3D 공간 배치도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공간 배치도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홈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공간 배치도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홈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텍스트(예를 들어 홈 디바이스 명칭) 또는 이미지(예를 들어, 홈 디바이스의 실사, 외관 이미지 또는 아이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홈 디바이스가 포인팅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홈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으나, 홈 네트워크 서버가 별도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홈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배치도는 홈 디바이스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디바이스 타입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디바이스 타입을 토대로 가상의 공간 배치도를 생성하고, 홈 네트워크에 기존 홈 디바이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새로운 홈 디바이스가 연결될 때마다 입력되는 위치 정보를 토대로 공간 배치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130)는 특정 홈 디바이스가 제어 대상으로 선택되면, 해당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화면 또는 해당 홈 디바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에어컨이 선택되면, 에어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냉장고가 선택되면, 냉장고에 현재 포함된 물품을 스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상태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태 제공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냉장고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를 직접 열어보지 않더라고 필요한 물품을 확인하고 바로 온라인으로 주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월 공간에서 제공되는 커머스 서비스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플로어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홈 시큐리티 컨트롤 서비스 또는 베이비 케어(Baby Care)를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홈 시큐리티에 이상이 발생되면 자동으로 플로어 부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홈 시큐리티 관련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내 설치된 센서로부터 이상 상태가 감지된 경우, 해당 공간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해당 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해당 공간에 CCTV 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상 감지 시점에 찰영된 영상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현관에서 벨이 울리면 자동으로 플로어 부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현관 도어락 카메라에서 활상된 도어 시큐리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공간에서는 사용자의 사무실 컨트롤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사무실 내 컴퓨터, 에어컨, 히터 등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클라우드 서버(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사무실 내 컴퓨터에 대한 원격 제어를 통해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 검색, 파일 오픈 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집 안에서도 사무실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 카테고리에 따라 각 공간 요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 >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실링, 월, 플로어로 구성되는 3차원 공간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회전에 따라 다른 3차원 공간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므로 각 공간의 특성에 따라 각 공간 요소에서 제공하는 UI 화면 타입이 달라지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3차원 공간 즉, 큐빅 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타입에 따라 실링, 월, 플로어에서 제공되는 정보, 기능, 또는 서비스의 타입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된 큐빅 룸이 어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경우 월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련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큐빅 룸이 SNS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경우 실링 부분에서 큐빅 룸에서 선택된 복수의 큐빅 GUI가 나타내는 복수의 사용자와의 화상 통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 그 밖에 각 공간 요소에서 제공되는 정보 또는 기능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 >
경우에 따라서는 플로어 공간에서 컨트롤 서비스가 아닌 디스플레이된 큐빅 룸이 나타내는 카테고리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즐겨찾는 아이템을 나타내는 큐빅 GUI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큐빅 룸에서는 특정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큐빅 GUI가 제공되더라도 플로어 공간에는 여러 카테고리에 속하는 큐빅 GUI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링 공간에서 화상 통화 기능이 디폴트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된 큐빅 룸에 포함된 복수의 큐빅 GUI 중 하나의 일면 또는 디스플레이된 전체 큐빅 GUI에 해당 광고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실링 공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해당 실링 공간에서 광고 재생 화면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05),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통신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카메라(182), 마이크(18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영상 수신부(105)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105)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예를 들어, DVD, BD 플레이어 등)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 수신부(105)는 본 발명에 따른 큐빅 GUI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복수의 영상을 수신하는 복수의 영상 수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105)는 복수의 방송 채널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복수의 튜너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4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공되는 큐빅 GUI를 포함하는 다양한 UI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 타입 및 그에 대응되는 기능, 제공되는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에,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베이스 모듈(141), 센싱 모듈(142), 통신 모듈(143), 프리젠테이션 모듈(144), 웹 브라우저 모듈(145), 서비스 모듈(14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41)이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41)은 스토리지 모듈(141-1), 보안 모듈(141-2) 및 네트워크 모듈(14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4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 모듈(141-1)을 이용하여 저장부(14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14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4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4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142)은 헤드 방향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4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4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14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13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4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14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4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14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4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146)은 SNS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치 기반 모듈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칩(151), 블루투스 칩(152), 무선 통신 칩(153) 등 다양한 통신칩을 포함한다. 와이파이 칩(151) 및 블루투스 칩(15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이나 블루투스 칩(15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5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그 밖에 통신부(150)는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NFC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50)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 각종 정보 제공 서버(미도시) 등과 통신을 수행하여 큐빅 GUI의 크기 및 배열 상태 결정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SNS 서비스 제공 화면에서 각 큐빅 GUI가 나타내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프로필 사진 등)를 제공받거나, 큐빅 GUI의 크기 및 배열 상태 결정을 위한 각 사용자들 간의 관계 정보 등을 제공받기 위하여 SNS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텐츠 제공 화면에서 각 큐빅 GUI가 나타내는 컨텐츠 정보 또는 각 컨텐츠 간의 관계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움직임에 따라 큐빅 GUI가 회전되는 경우, 사용자 움직임 속도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제공하도록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움직임 속도에 대응되는 피드백 사운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8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ON/OFF 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18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카메라(18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 모션을 촬상할 수 있다.
마이크(183)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30)는 마이크(18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82) 및 마이크(183)는 그 기능에 따라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의 일 구성이 될 수 있다.
카메라(182) 및 마이크(183)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18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84)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카메라(182)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헤드 업/다운 모션에 따라 실링 공간 또는 플로어 공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 업/다운 모션은 사용자의 얼굴 영역의 크기, 사용자의 안구 위치, 사용자의 목 길이, 사용자의 머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얼굴 영역을 판단하고 얼굴 영역의 위치, 넓이 등에 기초하여 헤드 업/다운 모션을 판단하거나, 사용자의 안구 위치 등에 의해 헤드 업/다운 모션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얼굴 모델링(face modeling) 기술을 통해 카메라(182)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 촬영 영상으로부터 안구 영상을 식별한다. 이때, 얼굴 모델링 기술은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얼굴 영상의 가공 처리 및 전송을 위한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분석 과정으로, ASM(Active Shape Modeling) 기법 및 AAM(Active Appearance Modeling) 기법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식별된 안구 영상을 이용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판단하고, 안구 움직임을 이용하여 헤드 업/다운 모션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촬영 이미지를 픽셀(Pixel) 단위로 스캔하여, 사용자의 왼쪽 눈 위치에 해당하는 픽셀 좌표 값과, 사용자의 오른쪽 눈 위치에 해당하는 픽셀 좌표 값을 검출한 후, 운전자 안구 위치의 이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스캔하여, 사용자의 안구 위치를 픽셀 좌표 값으로 검출하는 안구 위치 검출 방법은, 널리 알려진 다양한 이미지 분석 기법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안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카메라 대신 적외선(IR) 센서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사용자 촬영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상 및 목 영상을 식별하고, 얼굴 길이 및 목 길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헤드 업/다운 모션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 길이 및 목 길이의 비율은 실험 데이터에 의해 산출되어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기저장된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헤드 업/다운 모션을 판단할 수 있다.
그 밖에,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피드백 제공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제공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되는 UI 화면에 따라 다양한 피드백(예를 들어, 오디오 피드백, 그래픽 피드백, 햅틱 피드백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실링 또는 플로어 공간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등에 사용자의 주위를 환기시키는 오디오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2(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든 것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b)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휴대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수신부(미도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수신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은 룸 형태의 3차원 공간(410 내지 450) 즉, 큐빅 룸(410 내지 450)을 구비하며, 회전 가능한 형태의 GUI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룰렛 휠 형태의 N 등분한 각 공간의 가장 자리에 큐빅 룸(410 내지 450)이 마련되고, 각 큐빅 룸은 서로 다른 카테고리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큐빅 룸에는 대응되는 카테고리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카테고리를 상징하는 아이콘(411 내지 451) 및, 각 카테고리에 대한 간단한 텍스트 정보(412 내지 452)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TV 시청을 위한 "ON TV" 카테고리, VOD 컨텐츠 제공을 위한 "Movies & TV Shows" 카테고리, SNS 컨텐츠 공유를 위한 "Social" 카테고리, 어플리케이션 제공 을 위한 "application" 카테고리, 개인용 컨텐츠 제공을 위한 "Music, Photos & Clips" 카테고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기준에 따라 카테고리를 구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특정 큐빅 룸이 포인팅되는 경우 해당 큐빅 룸을 나타내는 정보(412)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됨으로써 해당 큐빅 룸이 포인팅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큐빅 룸이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회전에 따라 중앙에 위치하는 큐빅 룸이 포인팅되며, 해당 큐빅 룸이 포인팅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해당 큐빅 룸이 선택되어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큐빅 룸에 포함된 큐빅 G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UI 화면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특정 큐빅 룸이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큐빅 룸이 선택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큐빅 GUI(511 내지 519)가 3차원 공간 상에 플로팅(floating)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공간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의 X축을 따라 나열되고, Z축으로 기설정된 깊이를 갖는 3개의 wall(541 내지 543), ceiling(520), floor(530)가 형성하는 room 형태의 공간(큐빅 룸)이 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큐빅 GUI(511 내지 519)는 소정의 오브젝트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큐빅 GUI(511 내지 519)는 해당 큐빅 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양한 오브젝트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큐빅 룸이 VOD 컨텐츠 기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경우 복수의 큐빅 GUI(511 내지 519)는 VOD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진행되는 메뉴 뎁스에 따라 복수의 큐빅 GUI는 각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특정 VOD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큐빅 GUI(511 내지 5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크기 및 배열 상태가 상이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큐빅 GUI(511 내지 519)의 크기 및 배열 상태는 사용자 행동 패턴 및 오브젝트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컨텐츠,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호도가 기준이 되는 경우 사용자가 즐겨찾는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큐빅 GUI(511)는 화면 중앙에 다른 큐빅 GUI보다 크고 작은 뎁스를 갖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큐빅 GUI(511 내지 519)는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이에 따라 해당 큐빅 GUI(511)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률이 높아지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큐빅 GUI(512 내지 519) 또한, 대응되는 선호도에 따른 크기 및 위치, 뎁스를 갖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증 절차에 따라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UI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UI는 사용자 인증을 거쳐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해 다른 UI 화면이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가족이라 할지라도 행동 패턴, 선호도 등이 모두 다를 수 있으므로 로그 인 등의 인증 절차가 수행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행동 패턴, 선호도 또는 설정 상태에 대응되는 UI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 GUI(10)가 우선 순위가 높은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큐빅 GUI(511) 상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팅 GUI(1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큐빅 GUI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포인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해당 포인팅 GUI는 화살표 모양 포인터, 손모양 포인터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한편, 포인팅 GUI(10)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GUI(1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모드에서의 모션 명령, 제스처 모드에서의 모션 명령, 음성 명령,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방향키 조작 명령, 헤드(또는 아이 트랙킹) 등 다양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른 큐빅 GUI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공간 즉, 큐빅 룸이 메인으로 디스플레이된 경우 실링 공간(610)에는 현재 날씨 또는 현재 시간대를 나타내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공간(620)에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큐빅 룸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대가 낮 시간대인 경우 실링 공간(610)에는 낮 시간대를 나타내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대가 밤 시간대인 경우 실링 공간(620)에는 밤 시간대를 나타내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실링 공간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공간이 메인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헤드 업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공간(710)이 메인으로 디스플레이되면서, 날씨 정보(711)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날씨 정보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날씨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머리를 좌측으로 꺽는 인터렉션 또는 좌측으로 회전하는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실링 공간이 회전되어 새로운 실링 공간(720)이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지역의 날씨 정보(721)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지역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지역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가족이 거주하는 지역을 선택하여 날씨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지역으로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한편,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머리를 우측으로 꺽는 인터렉션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는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실링 공간이 회전되어 새로운 실링 공간(730)이 디스플레이되고, 주식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공간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인터렉션에 따라 새로운 실링 공간이 디스플레이되면 동일한 타입의 새로운 정보가 제공(도 7b)되거나, 상이한 타입의 새로운 정보가 제공(도 7c)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플로어 공간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공간이 메인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헤드 다운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공간(810)이 메인으로 디스플레이되면서, 홈 컨트롤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811 내지 814)을 포함하는 공간 배치도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특정 홈 디바이스 아이콘이 포인팅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어 화면 또는 제어 메뉴를 통해 홈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배치도 상에서 홈 디바이스가 실제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의 위치에 위치되고, 디바이스 외관이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머리를 우측으로 꺽는 인터렉션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는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플로어 공간이 회전되어 새로운 플로어 공간(830)이 디스플레이되고, 새로운 컨트롤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사무실 디바이스(831, 832)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집에서 사무실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월 공간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공간이 메인으로 디스플레이되면 3 개의 월(911 내지 913)로 구성된 큐빅 룸이 제공될 수 있다. 큐빅 룸 내에는 큐빅 GUI가 플로팅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3 개의 월 중 적어도 하나(911, 913)에는 사용자가 구매한 가상의 소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램프(921, 922)가 각각 우측 및 좌측 월(911, 9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월(911, 913) 상에 구비된 소품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램프(921, 922)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ON/OFF 되어 큐빅 룸 내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a는 복수의 램프(921, 922)가 OFF 된 경우의 화면이며, 도 9b는 복수의 램프(921, 922)가 ON 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다.
한편, 소품의 구매는 3개의 월 중 적어도 하나의 월 상에서 제공되는 커머스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큐빅 룸 내에 디스플레이된 큐빅 GUI 중 하나를 통해 제공되는 커머스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머스 서비스는 실제 소품 구매와 연동되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실제 소품을 구매함에 따라 해당 소품이 월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상의 소품이 월에 배치되고 실제 소품이 홈 내에 배치되는 경우 가상의 소품은 홈 내에 배치된 실제 소품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제 소품인 램프의 조명을 ON/OFF 시키는 경우 가상의 램프 또한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가상의 램프 제어를 통해 실제 램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월 공간에서 제공되는 배경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큐빅 룸이 메인으로 디스플레이된 경우 배경에는 현재의 날씨 정보가 반영된 그래픽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비가 오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가 오는 그래픽 효과가 제공되고, 눈이 오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이 오는 그래픽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방울이 월이나 플로어에 맺히거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이 큐빅에 쌓이는 것과 같이 실제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 듯한 생동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픽 효과는 투명도를 갖는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영상을 새로이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큐빅 룸이 메인으로 디스플레이된 경우 월 공간이 사라지고, 다양한 배경 화면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큐빅 GUI의 속성에 따라 대응되는 배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F 장르의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해당 장르에 부합되는 배경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된 배경은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배경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자동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자 인터렉션이 없는 경우 해당 배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실링 공간에서 제공가능한 기능 또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헤드 업 인터렉션에 따라 실링 공간이 메인으로 디스플레이되면 해당 실링 공간에서는 큐빅 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와 관련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큐빅 룸이 SNS 카테고리에 대응되고, 큐빅 룸 내의 큐빅 GUI(1211 내지 1219)가 복수의 사용자를 나타내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큐빅 GUI(1211, 1212)가 선택된 후, 실링 공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수신되면, 실링 공간(1220)에 선택된 타 사용자들과의 화상 통화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큐빅 GUI에 대응되는 타 사용자들(User 1, User 2)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User) 영상을 각각 제공하는 멀티 스크린(1221 내지 1223)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렉션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모션 인터렉션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OJ 센서를 누르는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해당 입력을 트리거 명령이라고 감지하고 9축 센서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시작한다. 또한, 해당 누름 조작에 대응되는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인디케이터는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에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제1 인디케이터() 및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 임계값을 나타내는 제2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디케이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L)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명령이 입력된 후 원격 제어 장치(20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복수의 제1 인디케이터() 중 원격 제어 장치(50)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제1 인디케이터()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원격 제어 장치(50)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L)를 변경시킬 수 있다.
특히,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따라 제1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다가 제2 인디케이터()와 접촉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전환하라는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 공간(1220)으로 화면이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큐빅 룸이 VOD 카테고리에 대응되고, 큐빅 룸 내의 큐빅 GUI(1231 내지 1239)가 컨텐츠 제공자 또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큐빅 GUI(1231)이 선택된 후, 사용자의 헤드 업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실링 공간(1240)에 선택된 큐빅 GUI(1231)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예고 영상, 광고 영상 등을 제공하는 스크린(124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큐빅 룸이 방송 채널 카테고리에 대응되고, 큐빅 룸 내의 큐빅 GUI(1251 내지 1259)가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헤드 업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실링 공간(1260)에 TV 편성표(126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특정 큐빅 GUI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헤드 업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해당 큐빅 GUI가 나타내는 방송 채널의 편성표가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플로어 공간에서 제공가능한 기능 또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헤드 업 인터렉션에 따라 플로어 공간이 메인으로 디스플레이되면 해당 플로어 공간에서는 큐빅 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와 관련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큐빅 룸이 SNS 카테고리에 대응되고, 큐빅 룸 내의 큐빅 GUI가 복수의 사용자 각각을 나타내는 경우,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플로어 공간(1310)에 해당 SNS 서버에서 제공되는 음악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뮤직 재생 화면(1311)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뮤직 재생 화면이 플로어 영역에서 카테고리와 관계없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렉션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모션 인터렉션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모션 인터렉션의 구체적 방법은 도 12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큐빅 룸이 방송 채널 카테고리에 대응되고, 큐빅 룸 내의 큐빅 GUI가 각각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헤드 다운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플로어 공간(1320)에 사용자가 즐겨찾기에 등록한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큐빅 GUI(1321 내지 1324)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헤드 다운 인터렉션에 따라 메인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플로어 공간(1330)에 큐빅 룸의 카테고리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즐겨찾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큐빅 GUI(1331 내지 1334)가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송 채널 카테고리에 속하는 큐빅 GUI(1331), SNS 카테고리에 속하는 큐빅 GUI(1332), 통신 카테고리에 속하는 큐빅 GUI(1333) 및 어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속하는 큐빅 GUI(1334)가 플로어 공간(133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화면 제공 방법에 따르면, 우선, 3차원 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공간 요소로 구성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410).
이어서,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을 수신한다(S1420).
이 후, 수신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복수의 공간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 요소가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메인 공간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한다(S1430).
여기서, 복수의 공간 요소는, 실링(ceiling), 월(wall) 및 플로어(flo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공간에 대응되는 UI 화면은,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된 공간 요소에 대응되는 정보, 기능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실링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인포메이션(inform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포메이션 서비스는 날씨 정보 제공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월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커머스(commerce)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플로어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컨트롤(control)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 서비스는, 홈 디바이스 컨트롤 서비스 및 홈 시큐리티 컨트롤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월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실링 부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의 헤드 업(head up) 인터렉션이고, 플로어 부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의 헤드 다운(head down) 인터렉션이 될 수 있다.
또한, 공간 요소의 배경 화면으로 외부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UI 화면 제공 방법에 따르면, 월 공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수신한다(S1510). 여기서, 월 공간은 3 개의 월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즉, 상술한 큐빅 룸 공간이 될 수 있다.
이어서, 수신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헤드 업 인터렉션인지 판단한다(S1520).
S1520 단계의 판단 결과, 헤드 업 인터렉션으로 판단되면(S1520:Y), 실링 부분은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대응되는 서비스(또는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S1520 단계의 판단 결과, 헤드 업 인터렉션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S1520:N), 헤드 다운 인터렉션인지 판단한다(S1540).
S1540 단계의 판단 결과, 헤드 다운 인터렉션으로 판단되면(S1540:Y), 플로어 부분은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대응되는 서비스(또는 정보)를 제공한다(S155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링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인포메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플로어 부분이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컨트롤 서비스를 제공하고, 월 부분에서는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실링 부분에 화상 통화 기능, 영상 재생 기능 등 컨텐츠 재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실링 부분을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인 리모콘을 상측으로 포인팅하는 포인팅 업 모션이 될 수 있으며, 플로어 부분은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인 리모콘을 하측으로 포인팅하는 포인팅 다운 모션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텔라 GUI는 OS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 상에서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사용자 인터렉션 만으로 서로 다른 정보, 기능 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3차원 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공간 요소로 구성된 3차원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공간 요소가 메인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면 메인 공간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Claims (19)
- 복수의 사용자 시선에 매핑된 복수의 영역을 저장하는 저장부;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 시점에 대응되는 제1 영역을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인 영역 주변에 제2 영역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영역에 상기 제1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시점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사용자 시점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을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매핑된 서비스들 중 하나와 관련된 UI 화면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들 중 하나는 외부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은,
실링(ceiling), 월(wall) 및 플로어(floor)를 포함하며,
상기 UI 화면은,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정보, 기능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실링 부분이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인포메이션(inform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포메이션 서비스는 날씨 정보 제공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월 부분이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커머스(commerce)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머스 서비스는,
가상의 상품 구매와 실제 상품 구매가 연동되는 형태의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플로어 부분이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컨트롤(control)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서비스는,
홈 디바이스 컨트롤 서비스 및 홈 시큐리티 컨트롤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헤드 방향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월 부분이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헤드 업(head up) 인터렉션이 수신되면 실링 부분을 메인 영역으로, 사용자의 헤드 다운(head down) 인터렉션이 수신되면 플로어 부분을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환경 정보 및 컨텐츠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배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화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시선에 매핑된 복수의 영역을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 시점에 대응되는 제1 영역을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인 영역 주변에 제2 영역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영역에 상기 제1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시점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사용자 시점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을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매핑된 서비스들 중 하나와 관련된 UI화면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들 중 하나는 외부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화면 제공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은,
실링(ceiling), 월(wall) 및 플로어(floor)를 포함하며,
상기 UI 화면은,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정보, 기능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화면 제공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실링 부분이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인포메이션(inform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화면 제공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포메이션 서비스는 날씨 정보 제공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화면 제공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영역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월 부분이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커머스(commerce)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화면 제공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영역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플로어 부분이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되면, 컨트롤(control)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화면 제공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서비스는,
홈 디바이스 컨트롤 서비스 및 홈 시큐리티 컨트롤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화면 제공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월 부분이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실링 부분을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의 헤드 업(head up) 인터렉션이고, 플로어 부분을 메인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의 헤드 다운(head down) 인터렉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화면 제공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외부 환경 정보 및 컨텐츠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배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화면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4797A KR20170125004A (ko) | 2017-11-01 | 2017-11-0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4797A KR20170125004A (ko) | 2017-11-01 | 2017-11-0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3446A Division KR20140133362A (ko) | 2013-05-10 | 2013-05-10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5004A true KR20170125004A (ko) | 2017-11-13 |
Family
ID=6038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4797A KR20170125004A (ko) | 2017-11-01 | 2017-11-0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2500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00399711A1 (en) * | 2018-02-13 | 2020-12-24 | Roche Sequencing Solutions, Inc. | Method of predicting response to therapy by assessing tumor genetic heterogeneity |
US11636824B2 (en) | 2019-11-11 | 2023-04-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variably displaying user interface |
-
2017
- 2017-11-01 KR KR1020170144797A patent/KR2017012500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00399711A1 (en) * | 2018-02-13 | 2020-12-24 | Roche Sequencing Solutions, Inc. | Method of predicting response to therapy by assessing tumor genetic heterogeneity |
US11636824B2 (en) | 2019-11-11 | 2023-04-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variably displaying user interfa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33362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 |
KR102364443B1 (ko) |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
US9247303B2 (en) |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 |
KR20140133353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 |
US20140337792A1 (en) |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 |
US10379698B2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9628744B2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150193036A1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2995075B1 (en) | Display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screen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2132390B1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
US10203927B2 (en)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
KR10180331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 |
KR20150094484A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
CN108293146B (zh) |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 |
EP3321789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 |
US20170262143A1 (en) | Image out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service | |
US20140333421A1 (en) |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 |
KR2017012500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 |
WO2022083554A1 (zh) | 用户界面的布局、交互方法及三维显示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