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969A - Pad for wireless charger - Google Patents
Pad for wireless char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2969A KR20170122969A KR1020160051999A KR20160051999A KR20170122969A KR 20170122969 A KR20170122969 A KR 20170122969A KR 1020160051999 A KR1020160051999 A KR 1020160051999A KR 20160051999 A KR20160051999 A KR 20160051999A KR 20170122969 A KR20170122969 A KR 201701229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pad
- wireless charger
- mounting portion
-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충전기의 거치부분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전력 송신 코일을 볼록하게 장착하여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여 무선 충전중 발생하는 열을 개선 시키는 무선충전기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형 전자기기에는 충전 가능한 이차전지를 내장한 배터리가 장착되어 전원을 제공한다. 이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가정용 상용 전원을 적절한 전압으로 조정하여 휴대형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단자가 구비되어 있고 두 접촉단자를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충전을 한다.In general,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tablet PC is equipped with a battery having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therein to provide power. In order to charge the secondary battery, a separate charging device for supplying the portable commercial electronic device with a suitable commercial power source is required. Typically,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are each provided with a separate contact terminal on the outside, and the two contact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using a cable to perform charging.
그러나 이와 같이 접촉단자가 외부에 돌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고 접촉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접촉 상태가 쉽게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배터리에 단락이 발생하거나 습기에 노출되면, 충전에너지가 쉽게 소실될 수 있다.However, if the contact terminal protrudes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appearance is not good and the contact terminal is contaminated by the foreign substance and the contact state is easily deteriorated. Also, if a user accidentally shorts the battery or is exposed to moisture, the charging energy may be easily los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무선 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 기술이 개발되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wireless charging or solid state charging techniques u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휴대용 전자기기를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무선충전용 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무선충전용 패드에 내장된 송신 코일에서 전송되는 전력을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장된 수신 코일에서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이다.Simply put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the wireless rechargeable pad without connecting a separate charge connector,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 coil built in the wireless rechargeable pad is received by the receiver coil built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charge the battery System.
그러나 이런 무선 충전방식에서 전력을 전송하고 수신받는 코일에서 손실되는 에너지에 의한 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패드에 올려진 상태에서는 이렇게 발생된 열이 외부로 빠져나갈 방법이 없기 때문에 쉽게 과열되어 심한경우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패드가 폭발하거나 손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However, in such a wireless charging mode, heat may be generated due to energy lost in a coil to which power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state wher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laced on the pad, there is no way to discharge the generated heat to the outsid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pad may explode or be damaged in severe cases.
이에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의 거치부분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전력 송신 코일을 볼록하게 장착하여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여 무선 충전중 발생하는 열을 에어 플로우를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무선충전기용 패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d for a wireless charger in which a mounting portion of a wireless charger is concave and a power transmission coil is convexly mounted to form an air flow so that heat generated during wireless charging can be emitted through an air flow It has its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기용 패드는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일면이 휴대용 단말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의 중앙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송신 코일이 내장되며,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의 경사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거치부가 형성된다.The pad for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including a transmitting coil for wireless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단계적으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rotrusion is stepwise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단계적으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groove is formed stepwise in the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몸체부의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의 경사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하,좌,우 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내장설치되어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이동부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moving portion disposed to protrude alo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movable upward, downward, leftward, and rightward; 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body to be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to move the moving unit;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mov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에 닿지 않도록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so as not to touch the convex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각 모서리 부분이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each corn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충전기용 패드의 오목한 형상에 의해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여 무선 충전 중 발생하는 열을 식혀 발열 현상을 개선 시킬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부의 형상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크기가 다른 휴대용 단말기라도 안정적으로 거치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an air flow by a concave shape of a pad for a wireless charger to cool a heat generated during wireless charging to improve a heat generation phenomenon, and, thr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shape of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stably hold other portabl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용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의 실시 예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d for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view of a pad for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is another embodiment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용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d for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용 패드(1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송신 코일(120)을 포함하는 몸체부(110)로 구성되고 몸체부(110)의 일면 즉 도 1에서 상면이 충전대상인 휴대용 단말기(1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도 1에서는 오목부(111)로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1, a pad 100 for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오목부(111)의 중앙부는 볼록하게 형성되어 송신 코일(120)이 내장되며 이를 도 1에서는 볼록부(112)로 표시하고,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오목부(111)의 경사면에 휴대용 단말기(10)가 거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거치부(130)가 형성된다.1, the center of the
거치부(130)는 각기 다른 크기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1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무선 충전 중에 발생하는 발열을 개선하기 위한 에어플로우를 형성하기 위해 거치부(130)는 휴대용 단말기(10)의 각 모서리 부분이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형상을 도 2에 나타내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용 패드의 평면도이다.2 is a top view of a pad for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충전기용 패드(100)의 몸체부(110)에서 오목부(111)에 휴대용 단말기(10)가 인입되어 있고 휴대용 단말기(10)의 각 모서리부분이 거치부(130)에 거치되어 있는것을 알 수 있다.2, the
이러한 무선충전기용 패드(100)의 형상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의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주변에는 오목부(111)의 형상에 의해 에어 플로우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공기의 순환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의 충전 중 송수신 코일에 발생하는 열을 낮출 수 있게 되어 무선 충전에 의한 과열이나 과열로 인한 폭발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e shape of the pad 100 for wireless charger, an air flow is formed around the portion where wireless charging of the
거치부(130)의 자세한 형상은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도 3, 도 4, 도 5에서 각각의 실시 예를 통해 나타내었다.The detailed shape of the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의 실시 예이다.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용 패드(100)의 단면에서 거치부(130)는 점선으로 표시된 오목부(111)의 경사면을 기준으로 돌출부가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계단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end of the pad 100 for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sions are formed step by step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이를 통해 거치 되는 휴대용 말기(10)의 크기에 따라 거치부(130)의 단 중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단에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의 다른 실시 예이다.4 is another embodiment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용 패드(100)의 단면에서 거치부(130)는 점선으로 표시된 오목부(111)의 경사면을 기준으로 홈이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계단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the cross section of the pad 100 for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역시 휴대용 단말기(10)의 크기 맞는 홈에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So that the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용 패드(100)의 단면에서 거치부(130)는 오목부(111)의 경사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131), 이동부(131)와 연결되도록 몸체부(110)에 내장설치되어 이동부(13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32), 이동부(131)와 구동부(132)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33) 및 구동부(132)를 제어하는 제어부(134)를 포함한다.5, the
거치부(130)는 휴대용 단말기(10)의 크기에 맞게 이동부(131)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오목부(111)의 경사면을 따라 돌출된 이동부(131)의 높이를 조정하여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시키게 된다.The
이러한 이동부(131)는 연결 부재(133)를 통해 구동부(132)와 연결되고 구동부(132)에 의해 이동부(131)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는데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부(131)의 측면과 하면이 각각 연결부재를 통해 각가의 구동부(132)와 연결되어 측면의 구동부(132)는 이동부(131)를 좌,우로 이동시키고 하단의 구동부(132)는 이동부(131)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예를 들어 구동부(132)로 실린더장치가 적용된다면 이동부(131)의 하면에 연결된 실린더 구동부(132)가 이동부(131)를 아래로 당기고 이동부(131)의 측면에 연결된 실린더 구동부(132)가 이동부(131)를 몸체부(110)의 벽쪽에서 밀어내면 이동부(131)는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서 오목한 부분의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크기가 작은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할 수 있도록 위치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cylinder unit is applied to the
이때 이동부(131)가 돌출되어 이동하는 경사면은 이동부(131)가 움직이는 반경만큼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on which the moving
제어부(134)는 구동부(132)를 제어하여 휴대용 단말기(10)의 크기에 맞도록 이동부(131)를 이동시키는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의 구동부(132)와 와이어 등으로 연결되어 구동신호를 구동부(132)에 보낸다. 이때 제어부(134)는 구동부(132)를 얼만큼 구동시켜야 할지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의 크기정보를 입력받는다.The
예를 들어 3단계 토글 스위치를 적용하여 1단계-2단계-3단계 각각의 선택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34)가 입력받아 구동부(132)를 제어하여 휴대용 단말기(10)의 크기에 따라 이동부(131)를 이동시킨다.For example, by applying a three-step toggle switch, the
또는 버튼을 두어 버튼을 한번 누를때마다 제어부(134)가 이동부(131)를 기설정된 높이만큼 하단으로 이동시키다가 이동부((131)가 최하단으로 내려간 상태에서 버튼을 한 번 더 누르면 기설정된 높이만큼 상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제어부(134)는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부(132)를 동작시키기 위해 예컨대 마이컴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의 제어소자를 적용시킬 수 있으며, 구동부(13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류 또는 압력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The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크기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1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130)는 휴대용 단말기(10)가 거치부(130)에 거치 되었을 때 볼록부(112)에 휴대용 단말기(10)가 닿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만약 휴대용 단말기(10)가 볼록부(112)에 닿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10)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안정적으로 거치되지 못하여 송수신 코일의 정렬이 맞지 않아 충전 효율이 떨어지거나 제대로 충전이 이루어 지지 않을 수가 있다.If the
도 3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단계적으로 형성된 돌출부 또는 홈의 가장 하단에 휴대용 단말기(10)가 거치되어도 볼록부(112)가 휴대용 단말기(10)에 닿지 않도록 거치부(130)가 형성되어야 하며, 도 5의 예시에서는 스위치나 버튼에 의해 이동부(131)가 최하단으로 내려간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10)가 이동부(131)에 거치되어도 볼록부(112)가 휴대용 단말기(10)에 닿지 않도록 제어부(134)가 구동부(132)를 제어해야 한다.3 and 4,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genius will be so self-eviden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무선충전기용 패드
110 : 몸체부
111 : 오목부
112 : 볼록부
120 : 송신 코일
130 : 거치부
131 : 이동부
132 : 구동부
133 : 연결 부재
134 : 제어부
10 : 휴대용 단말기100: Pad for wireless charger 110: Body part
111: concave portion 112: convex portion
120: transmitting coil 130:
131: moving part 132: driving part
133: connecting member 134:
10: Portable terminal
Claims (6)
상기 몸체부 일면이 휴대용 단말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의 중앙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송신 코일이 내장되며,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의 경사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거치부가 형성되는 무선충전기용 패드.A body portion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coil; Lt; / RTI >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ody portion is recessed to receive the portable terminal, the center of the concave portion is convexly formed to house the transmission coil, Wherein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er.
상기 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단계적으로 형성되는 무선충전기용 패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stepwise.
상기 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단계적으로 형성되는 무선충전기용 패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has at least one groove stepwise formed therein.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몸체부의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의 경사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하,좌,우 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내장설치되어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이동부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용 패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moving part disposed to protrude alo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of the body part and movable upward, downward, leftward and rightward;
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body to be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to move the moving unit;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mov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a pad for a wireless charger.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에 닿지 않도록 형성되는 무선충전기용 패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so as not to touch a convex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각 모서리 부분이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무선충전기용 패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each corner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1999A KR20170122969A (en) | 2016-04-28 | 2016-04-28 | Pad for wireless char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1999A KR20170122969A (en) | 2016-04-28 | 2016-04-28 | Pad for wireless charg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2969A true KR20170122969A (en) | 2017-11-07 |
Family
ID=6038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1999A KR20170122969A (en) | 2016-04-28 | 2016-04-28 | Pad for wireless char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2296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2033B1 (en) | 2020-11-26 | 2021-08-20 | (주)플렉스파워 | Pad integrated wireless charging device |
KR102302100B1 (en) * | 2020-05-22 | 2021-09-13 | 김효진 | Wireless power charger of smart device for vehicle |
-
2016
- 2016-04-28 KR KR1020160051999A patent/KR2017012296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2100B1 (en) * | 2020-05-22 | 2021-09-13 | 김효진 | Wireless power charger of smart device for vehicle |
KR102292033B1 (en) | 2020-11-26 | 2021-08-20 | (주)플렉스파워 | Pad integrated wireless charg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0947B1 (en) | Portable charging case for mobile phone | |
JP6196861B2 (en) | Mobile battery | |
US8729744B2 (en) | Inverter | |
KR101443007B1 (en) | Mobile Device Cradl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 |
US20100213894A1 (en) | Recharging device and recharging system using same | |
CN203537034U (en) | Vehicle wireless charger | |
KR20140098297A (en) | Mobile phone case | |
KR20120008200A (en) | Core assembl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ower supplying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re assembl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
US20210119470A1 (en) | Multi-functional smart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cell phone in horizontal placement and vertical placement | |
JP3205886U (en) | Charger | |
KR20170122969A (en) | Pad for wireless charger | |
KR20170040909A (en) | Portable battery and charging device | |
KR200484841Y1 (en)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of mobil device | |
CN212098682U (en) | Vehicle-mounted support device with mobile power supply | |
KR20190092159A (en) | Multi-charge wireless power transmitter | |
KR102190572B1 (en) | Hair roll for wireless charging and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 |
US9431640B2 (en) | Mobile power supply | |
KR101769053B1 (en) | Bag having chargeable function | |
JP2016063659A (en) | Charging connector | |
KR101709869B1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 |
JP2020036412A (en) | Vehicle charging system | |
KR101709868B1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 |
CN118842142A (en) | Wireless charging seat and heat dissipation seat thereof and method for charging by using wireless charging seat | |
CN213817358U (en) | Portable charging and lighting integrated combination device | |
KR20200002620U (en) | Portable mobile powe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