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119950A -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950A
KR20170119950A KR1020160048293A KR20160048293A KR20170119950A KR 20170119950 A KR20170119950 A KR 20170119950A KR 1020160048293 A KR1020160048293 A KR 1020160048293A KR 20160048293 A KR20160048293 A KR 20160048293A KR 20170119950 A KR20170119950 A KR 20170119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tank
advanced
treatment
plate sett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근
홍인규
이길재
피학원
선명찬
Original Assignee
주흥환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흥환경(주) filed Critical 주흥환경(주)
Priority to KR102016004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9950A/ko
Publication of KR2017011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8Plurality of plates inclined in alternating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01F7/2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판침전조 및 막분리조의 활성슬러지를 반송시키는 과정에서 활성슬러지를 감압시키고, 가성소다 및 응집제를 주입하여 응집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질소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 방법 {An apparatus for advanced waste water treatment and its operational methods}
본 발명은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판침전조 및 막분리조를 포함하고, 활성슬러지를 반송시키는 과정에서 감압시키고, 가성소다 및 응집제를 주입하여, 응집효율 및 질소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생활의 산업화, 도시화는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염류의 배출량을 급격하게 증시키기면서 연안과 호수의 부영양화를 유발하여 적조와 녹조 현상을 발생시켜 수질환경을 심하게 오염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물 제거를 위한 2차 처리 다음에 부여되는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인 질소와 인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들은 고도처리라고 하는데 A/O, A2/O, Bardenpho, VIP, UCT, SBR, MBR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처리 공정은 반응조의 구성과 운영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A/O(Anaerobic/Oxic), A2/O (anaerobic/anoxic/oxic), UCT(University of Capetown), Bardenpho공정 등 혐기, 무산소, 호기조가 직렬로 연결되는 main stream 공정과 Phostrip, PL-Ⅱ등과 같이 혐기성 탈인조가 병렬로 연결되는 side stream 공정으로 분류된다. 또한, 반응조의 Phase가 고정되어 있는 공간배치형과 반응조의 phase가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시간배치형 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한 다양한 공정들은 비교적 처리효율이 우수한 공정임에는 분명하나, 기온이나 운전조건등의 변화로 후속 중력침전조에서 슬러지팽화, 미세플록, 슬러지부상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하여 생물처리공정을 최적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처리수질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드러나곤 한다. 특히, 질소 및 인에 비하여 영양원의 농도가 낮은 국내 하폐수에 A2/O와 유사한 공법을 적용하면 탄소원의 부족으로 탈질 효율이 떨어지며, 그 결과 질산성 질소가 반송슬러지를 통해 혐기조로 유입되어 혐기조 내에서 박테리아와 탈질미생물간의 유기물경쟁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인 방출이 저조해지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공정에서 사용하는 중력침전방식은 반응조내 미생물농도를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고부하에 대한 대처능력이 떨어지며,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유지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기존 중력침전에 의한 고액분리를 대신하여 생물학적인 오염물질 제거공정과 일정한 공칭공경을 갖는 분리막을 이용해 안정적으로 고액분리를 달성할 수 있는 막 여과방식을 접목한 막결합형 생물처리공법(Membrane Bio-Reactor)이 등장하게 되었다. MBR은 분리막이 갖는 미세 세공 크기와 막표면 전하를 이용하여 하폐수 중에 존재하는 유/무기 오염물질 및 미생물 등을 거의 완벽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다. 분리막은 모듈화되어 다른 물리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처리장치와 쉽게 조합함으로써 효율적인 하폐수처리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MBR은 반응조 내의 미생물의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유입 부하가 높을 경우 미생물의 활성을 높여 수처리 효율, 특히 질소 및 인 제거 효율이 우수하다고 알려져있다.
그러나, MBR의 운전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분리막 오염(membrane fouling)으로 인해 분리막의 주기적인 세척 및 교체 등이 요구되어 운전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활성슬러지를 공기 감압을 이용하여 가용화 하고, 가성소다 및 응집제를 이용하여 응집효율을 증가시켜 반송시킴으로써, 별도의 분리막을 사용하지 않고도 질소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수가 유입되는 탈기무산소조;
상기 탈기무산소조에서 처리된 폐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반응조;
상기 반응조와 연결되는 경사판침전조; 및
상기 경사판 침전조에서 처리된 폐수가 유입되는 막분리조; 를 포함하는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는 상기 탈기무산소조와 상기 반응조는 제 1 분리부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반응조와 상기 경사판침전조는 제 2 분리부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경사판침전조와 상기 막분리조는 제 3 분리부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리부는 하부에 개방된 제1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분리부는 하부에 개방된 제2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기무산소조는 상기 제1관통구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침전조와 상기 막분리조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 3 분리부는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폐수가 월류할 수 있도록 폐수의 수면보다 낮게 구비되는 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는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슬러리를 상기 반응조로 반송하는 제 1반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는 상기 막분리조의 활성슬러리를 상기 탈기무산소조로 반송하는 제 2반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반송수단은 활성슬러리를 수용하는 활성슬러리 수용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성슬러리 수용부는 가성소다 및 응집제 저장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폐수가 탈기무산소조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탈기무산소조의 폐수가 반응조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반응조의 폐수가 경사판침전조로 유입되는 단계; 및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폐수가 막분리조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의한 하폐수고도처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의 고도처리 방법은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활성슬러지를 상기 반응조로 반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의 고도처리 방법은 상기 막분리조의 활성슬러지를 탈기무산소로 반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의 고도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활성슬러지를 반응조로 반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활성슬러지를 가용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의 고도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활성슬러지는 가용화하는 단계에서는 활성슬러지를 수용하는 활성슬러리 수용부를 감압시켜 가용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의 고도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활성슬러지는 가용화하는 단계에서는 활성슬러리에 가성소다 및 응집제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는 반응조의 상부로 활성슬러지가 공급되고 하부로 폐수가 유입 및 유출되어 각 부분에서 별도의 반응이 일어나 질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활성슬러지를 가용화시켜 반응조에 공급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질소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용화 과정에서 활성슬러지를 공기를 이용하여 감압시킬 수 있으며, 가성소다 및 응집제를 주입하여 응집효율을 향상시켜 더 효율적으로 질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막분리조의 활성슬러지도 탈기무산소조로 반송시켜 사용하므로 질소의 제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에 설치된 각 조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에 설치된 각 조의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도면 및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에 설치된 각 조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는 폐수가 유입되며 하부에 임펠러(14)가 형성되어 있는 탈기무산소조(10); 상기 탈기무산소조(10)와 연결되어 탈기무산소조(10)에서 처리된 폐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반응조(20a, 20b); 상기 복수의 반응조(20a, 20b)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반응조에서 처리된 폐수가 유입되는 경사판침전조(30); 상기 경사판침전조(30)의 폐수가 월류할 수 있도록 폐수의 수면보다 낮게 설치되는 위어(42)를 구비하는 막분리조(40); 상기 경사판침전조(30)의 슬러지를 상기 복수의 반응조(20a, 20b)로 반송하는 제 1 반송수단; 및 상기 막분리조(40)의 슬러지를 상기 탈기무산소조(10)로 반송하는 제 2 반송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탈기무산소조(10), 상기 반응조(20a, 20b), 상기 경사판침전조(30)와 상기 막분리조(40)가 각각 모두 분리되어 형성되거나,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탈기무산소조(10)는 상기 반응조(20a, 20b)와 제 1 분리부(11)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반응조(20a, 20b) 는 상기 경사판침전조(30)와 제 2 분리부(21)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경사판침전조(30)와 상기 막분리조(40)는 제 3 분리부를 사이에 두고 접하도록 하나의 유니트로 팩키징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가 하나의 유니트로 팩키징되어 형성되는 경우 각 조의 연결 상태 및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탈기무산소조(10)는 상기 반응조(20a, 20b)와 제 1 분리부(11)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배치되며, 이때 제 1 분리부(11)의 하부가 개방되어 제1관통구(12)가 형성되고,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교반기(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반기(13)의 임펠러(14)는 상기 제1관통구(12)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에 의한 교반 작용에 의해 제1관통구(12)를 통해 상기 탈기무산소조(10)와 상기 탈기무산소조(10)의 주변에 형성되는 반응조(20a, 20b) 사이의 폐수의 흐름을 유도하게 된다. 즉, 상기 임펠러는 회전시 폐수가 반경 방향으로 배출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탈기무산소조(10)의 상부로 유입된 폐수가 탈기된 후, 제 1 분리부(11)의 하부가 개방되어 제1관통구(12)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하부 임펠러(14)의 작동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하부의 제1관통구(11)를 통해 상기 복수의 반응조(20a, 20b)로 공급된다.
상기 반응조(20a, 20b)는 반응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탈기무산소조(10)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응조(20a, 20b)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조(20a, 20b)는 상기 경사판침전조(30)와 제 2 분리부(21)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2 분리부(21)의 하부는 개방된 제 2 관통구(22)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관통구(22)를 통해 상기 반응조(20a, 20b)와 상기 경사판침전조(30) 사이에 폐수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경사판침전조(30)는 내부에 경사판(32)이 적층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경사판침전조(30) 내부에서 별도의 혼합동력이 없어도 침전효율이 높고 활성슬러지의 농도를 고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판침전조(30)의 침전성으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경사판침전조에서 처리된 폐수가 공급되는 막분리조(40)의 활성슬러지 농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어서, 플럭스 및 산기에너지를 저감 시킬 수 있다.
경사판침전조(30)로 오수가 유입되는 부분에는 유입되는 오수의 낙차에 의해서 기포가 발생되면 산소가 유입되어 수처리 효율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경사판침전조(30)로 오수가 유입되는 부분에 기포 제거를 위해 경사판을 설치한다. 유입되는 오수가 직접 경사판침전조(30)로 떨어지지 않고, 경사판을 타고 측벽면을 따라서 유입되므로 낙차에 의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판침전조(30)의 활성슬러지가 상기 경사판침전조(30)의 상부로 연결된 제1반송수단(33)을 통해 상기 반응조(20a, 20b)로 공급된다. 상기 제1반송수단은 경사판침전조(30)의 고농도 활성슬러지를 가용화시켜 반응조(20a, 20b)에 공급한다.
아울러 상기 제 1반송수단은 필요에 따라 상기 경사판침전조(30)의 활성화슬러지를 탈기무산소조(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경사판침전조(30)의 활성화슬러지를 탈기무산소조(10)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판침전조(30)의 활성화슬러지는 가용화되어 고농도로 활성화되고, 이후 반응조(20a, 20b)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경사판침전조(30)와 상기 막분리조(40)는 제 3 분리부(41)를 사이에 두고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막분리조(40)는 내부에 막분리기(44)가 설치된다. 상기 경사판침전조(30)와 상기 막분리조(40)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분리부(41)는 상기 경사판침전조(30)에서 처리된 폐수가 월류할 수 있도록 수의 수면보다 낮게 구비되는 위어(42)를 포함한다.
상기 제2반송수단(43)은 상기 막분리조(40)의 활성슬러지를 상기 탈기무산소조(10)로 공급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폐수가 탈기무산소조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탈기무산소조의 폐수가 반응조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반응조의 폐수가 경사판침전조로 유입되는 단계; 및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폐수가 막분리조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은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활성슬러지를 상기 반응조로 반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은 상기 막분리조의 활성슬러지를 탈기무산소로 반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기무산소조(10)는 제2반송수단을 통해 막분리조(40)와 연결되어 슬러지가 공급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경사판침전조(30)로부터 활성슬러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활성슬러지를 상기 반응조로 반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경사판침전조(30)의 활성슬러지를 가용화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감압시켜 활성슬러지를 가용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활성슬러지를 상기 반응조로 반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경사판침전조(30)의 활성슬러지가 상기 경사판침전조(30)의 상부로 연결된 제1반송수단(33)을 통해 상기 반응조(20a, 20b)로 공급되며, 이때 상기 경사판침전조(30)의 활성슬러지는 가용화되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조(20a, 20b)로 반송되는 활성슬러지는 가성소다 (NaOH)와 응집제가 주입되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성소다를 공급하기 위한 가성소다 저장부 및 응집제를 공급하기 위한 응집제 저장부(24, 26)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활성슬러지의 가용화를 통하여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고 가성소다에 의해 활성슬러지의 자산화 및 가수분해가 일어나 탈질에 필요한 유기탄소원을 생성하게 된다. 아울러 가성소다와 같이 주입된 응집제는 인의 응집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경사판침전조(30)에서 공급된 가용화된 활성화슬러지는 침전되면서 상부와 하부 사이의 중간 영역에 무산소조의 기능을 하게 되어 가용화된 슬러지에 의해 탈질이 증진된다. 따라서 상기 반응조(20a, 20b)는 상부, 하부 및 중간의 조건의 상이하여 3가지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탈기무산소조 11: 제1관통구
12: 교반기 14: 임펠러
20a, 20b: 반응조 22: 제2관통구
24: 가성소다탱크 26: 응집제탱크
30: 경사판침전조 32: 경사판
40: 막분리조 42: 위어
44: 막분리기

Claims (15)

  1. 폐수가 유입되는 탈기무산소조;
    상기 탈기무산소조에서 처리된 폐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반응조;
    상기 반응조와 연결되는 경사판침전조; 및
    상기 경사판 침전조에서 처리된 폐수가 유입되는 막분리조; 를 포함하는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무산소조와 상기 반응조는 제 1 분리부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반응조와 상기 경사판침전조는 제 2 분리부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경사판침전조와 상기 막분리조는 제 3 분리부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배치는 것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리부는 하부에 개방된 제1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분리부는 하부에 개방된 제2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무산소조는 상기 제1관통구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침전조와 상기 막분리조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 3 분리부는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폐수가 월류할 수 있도록 폐수의 수면보다 낮게 구비되는 위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슬러리를 상기 반응조로 반송하는 제 1반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조의 활성슬러리를 상기 탈기무산소조로 반송하는 제 2반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반송수단은 활성슬러리를 수용하는 활성슬러리 수용부와 연결되는 것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슬러리 수용부는 가성소다 및 응집제 저장부와 연결되는 것인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10. 폐수가 탈기무산소조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탈기무산소조의 폐수가 반응조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반응조의 폐수가 경사판침전조로 유입되는 단계; 및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폐수가 막분리조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의한 하폐수고도처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활성슬러지를 상기 반응조로 반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하폐수고도처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조의 활성슬러지를 탈기무산소로 반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하폐수고도처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활성슬러지를 반응조로 반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활성슬러지를 가용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하폐수의 고도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슬러지는 가용화하는 단계에서는 활성슬러지를 수용하는 활성슬러리 수용부를 감압시켜 가용화하는 것인
    하폐수의 고도처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슬러지는 가용화하는 단계에서는 활성슬러리에 가성소다 및 응집제가 주입되는 것인
    하폐수의 고도처리 방법.


KR1020160048293A 2016-04-20 2016-04-20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KR20170119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293A KR20170119950A (ko) 2016-04-20 2016-04-20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293A KR20170119950A (ko) 2016-04-20 2016-04-20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950A true KR20170119950A (ko) 2017-10-30

Family

ID=6030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293A KR20170119950A (ko) 2016-04-20 2016-04-20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99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670A (ko)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하폐수 고도처리에서 수두차를 이용한 무동력 공기공급 장치
CN115382429A (zh) * 2022-08-26 2022-11-25 马平平 一种旋风分离水处理装置及水处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670A (ko)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하폐수 고도처리에서 수두차를 이용한 무동력 공기공급 장치
CN115382429A (zh) * 2022-08-26 2022-11-25 马平平 一种旋风分离水处理装置及水处理方法
CN115382429B (zh) * 2022-08-26 2023-12-19 锦州鑫泰基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旋风分离水处理装置及水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724B1 (ko) 슬러지 부상분리를 통한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0509662C (zh) 炼油厂污水处理与回用系统及其运行方法
AU2017286249B2 (en) Method of combining recuperative digestion with a contact tank and dissolved air flotation
KR20100115412A (ko) 생물반응조, 슬러지분리조, 및 막분리조를 구비한 오폐수 처리장치
JP2008029993A (ja) メタン発酵装置
WO2022082955A1 (zh) 一种利用气浮预处理+生化+双膜法处理并回用机加工废水的系统及方法
JP2008086862A (ja) 嫌気性処理方法及び装置
KR20110138668A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KR100992827B1 (ko)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KR20170119950A (ko)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CN202054693U (zh) 一体化铁碳芬顿污水预处理装置
KR101069773B1 (ko) 분리막 생물 반응조,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CN103102035A (zh) 一种高酸原油电脱盐废水的处理方法
KR20160084631A (ko) 팩키지형 오수처리시설
KR101634292B1 (ko) 변형 a2o공법에 기반한 유동상여재 활용 수처리시스템
US20050061739A1 (en) Activated sludge process and apparatus with high biomass concentration using a downflow sludge blanket filtration
CN111153558A (zh) 垃圾中转站渗滤液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20020018572A (ko) 순환와류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 처리 장치
CN111186957A (zh) 石油炼化港储污水的深度处理设备及处理工艺
KR100913989B1 (ko)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가스 교반형 혐기성 소화장치
CN210457829U (zh) 一种垃圾渗滤液的处理设备
CN214457492U (zh) 用于处理含乳化状油剂废水的破乳技术系统
CN110759584A (zh) 一种乳化液废水处理工艺
CN213895535U (zh) 一种炼油厂污水处理系统
CN214829601U (zh) 一种气浮-活性炭吸附-臭氧气浮的除油除cod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7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4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6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6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1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7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002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93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2I

Patent event date: 201908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7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6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11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