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159A - Cosmetic - Google Patents
Cosmeti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06159A KR20170106159A KR1020160115599A KR20160115599A KR20170106159A KR 20170106159 A KR20170106159 A KR 20170106159A KR 1020160115599 A KR1020160115599 A KR 1020160115599A KR 20160115599 A KR20160115599 A KR 20160115599A KR 20170106159 A KR20170106159 A KR 201701061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surface
- contents
- discharge
- low
-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저점도 액상의 내용물이 퍼프 등에 의해 눌리면서 늘어나는 토출면을 통해 적정량 배출되도록 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product in which a low-viscosity liquid content contained in an inside is discharged by a proper amount through a discharge surface which is pushed by a puff or the like.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상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고 아름다움을 부여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되며,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Liquid cosmetics such as foundation and sun block, which are widely used in general, are used for effects such as protecting and brightening the skin, improving the wrinkles and imparting beauty, and the user can use the puff puff, and apply it to the skin.
액상 화장품은 특정한 용기 내에 다양한 방법으로 수용되는데, 일례로 액상 화장품은 펌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펌프는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화장품을 퍼프로 찍어서 피부에 바를 수 있다.Liquid cosmetics are contained in a particular container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liquid cosmetics can be contained in a pump. In this case, the user can actuate the pump by pressing the button, and the pump discharges the cosmetics contained therein, and the user can puff out the cosmetic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pply it to the skin.
그런데 이와 같이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실린더와 피스톤을 갖는 펌프를 마련하여야 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해지며, 전체적인 용기의 크기가 컴팩트하게 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것은 결국 제조 원가의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로 인해 소비자 가격이 증대되면, 소비자 불만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pump is used in this way, a pump having a cylinder and a piston must be provided, so that the configuration becomes complicated, and the overall container size may not be compact. In addition, the complexity of the configuration leads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s, which leads to consumer complaints if consumer prices increase.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다른 예로 함침재를 이용할 수 있다. 함침재는 발포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스펀지 등으로서,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 구멍들에 화장품이 흡수되어 있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accommodating liquid cosmetics, an impregnated material can be used. The impregnation material is a sponge made of foamed urethane, and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cosmetics may be absorbed into the inner holes.
이때 사용자는, 퍼프를 이용하여 함침재의 상면을 눌러서 함침재 내에 함침되어 있던 화장품이 함침재의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으며, 함침재는 탄성력을 통해 원상태의 크기로 회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push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by using the puff so that the cosmetic impregnated in the impregnation material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the impregnation material can be restored to the original size by the elastic force.
그런데 함침재를 이용할 경우, 함침재의 일면에는 퍼프가 지속적으로 닿게 되어 세균의 투입이 우려되고, 함침재의 적어도 일면이 공기 중에 노출됨에 따라 액상 화장품이 경화될 우려 또한 존재한다. However, when the impregnated material is use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uff is continuously contacted to one surface of the impregnated material, so that the bacteria may be injected, and the liquid cosmetic may be cured due to exposure of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mpregnated material to air.
그리고 사용 기간이 경과하면서 화장품의 함침량이 감소하면, 화장품을 배출시키기 위해 퍼프로 함침재를 누르는 압력이 커져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함침재의 탄성력이 떨어지면 함침재의 형상이 변화해 미감을 해친다는 문제가 있다.If the impregnation amount of the cosmetic product decreases over the period of us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pressure for pressing the impregnated puff product to discharge the cosmetic product must be increased, and if the elastic force of the impregnated article is lowered, .
이와 같이 종래의 액상 화장품 용기들은, 제조 원가가 높거나 위생성을 보장하지 못하고 미감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바, 액상 화장품을 효율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용기를 컴팩트화 및 고급화할 수 있는 개선이 시급하게 요구된다.Conventional liquid cosmetics containers have problems such as high production cost, insufficient hygiene and lack of aesthetics. As a result, it is urgently required to improve the ability to compact and upgrade the container while efficiently accommodating liquid cosmetic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일측에 토출면을 덮어 내용물을 보호하고, 퍼프 등에 의해 토출면이 눌리면 내용물이 토출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위생을 보장할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main body for containing liquid contents and protecting the contents by covering a discharge surface on one side thereof, And is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surface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ensuring hygien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면의 구조를 미감 향상 및 내용물 토출에 최적화되도록 개선하였으며, 토출면에 날염부를 두어 퍼프의 도포면에 내용물이 특정 문양으로 전달되도록 해 사용자 만족도를 높인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product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surface is improved to be optimized for aesthetic improvement and to be optimized for contents discharge and a printed portion is provided on a discharge surface to transmit contents to a specific pattern on a coated surface of puff, will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외부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토출면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면은, 고신축성 영역과 저신축성 영역이 교대로 형성되고, 가압 해제 시 고신축성 영역이 축소되면서 저신축성 영역이 서로 접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surface for discharging contents by external pressure, and the discharge surface is formed by alternately forming a high-elasticity region and a low-elasticity region, And the low elasticity region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being contracted.
구체적으로, 상기 저신축성 영역은, 상기 고신축성 영역 대비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w-elasticity region may have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relative to the high-elasticity region.
구체적으로, 상기 저신축성 영역은, 흡액성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w-elasticity region may have liquid-absorbing properties.
구체적으로, 상기 저신축성 영역은, 상기 고신축성 영역 대비 상대적으로 투액성이 낮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w-elasticity region may be low in liquid permeability relative to the high-elasticity region.
구체적으로, 상기 고신축성 영역은, 가압 시 확장되는 토출구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highly stretchable region may have a discharge port that expands when pressurized.
구체적으로, 상기 저신축성 영역은, 가압 시 20% 이하로 신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w stretchable region can be stretched to 20% or less under pressure.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면은, 상기 고신축성 영역과 상기 저신축성 영역이 교대하는 일 방향으로의 신축이, 상기 고신축성 영역 또는 상기 저신축성 영역과 나란한 타 방향으로의 신축 대비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Specifically, the ejection surface may have a relatively large expansion and contraction in one direction in which the high-elasticity region and the low-elasticity region alternate with each other in the other direction parallel to the high-elasticity region or the low-elasticity region.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면은, 상기일 방향으로의 신축 시 상기 고신축성 영역이 확대되면서 상기 저신축성 영역의 사이가 벌어지며, 상기 타 방향으로의 신축 시 상기 고신축성 영역이 축소되면서 상기 저신축성 영역이 서로 접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jection surface is expanded in the one direction so that the high stretchable region expands and the low stretchable region expands, and when the stretching in the other direction expands the high stretchable region, the low stretchable region Can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면은, 코일 형태의 제1 원사와 코일 형태의 제2 원사가 서로 교차하여 짜여진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charge surface may be formed of a fabric in which a first yarn in the form of a coil and a second yarn in the form of a coil cross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원사는, 스판덱스(Spandex)를 사용해 제직된 섬유이며, 상기 제2 원사는, 두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폴리에스터 원사가 합사된 섬유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yarn may be a fiber woven using spandex, and the second yarn may be a fiber in which two or more polyester yarn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re folded together.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면은, 70 내지 90%의 폴리에스터와 10 내지 30%의 스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charge surface may be composed of 70 to 90% of polyester and 10 to 30% of span.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면은, 상기 내용물과 접하는 내면에 기모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charge surface may be brushed on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저점도 액상 내용물을 용기 본체에 수용하고, 용기 본체의 개방된 일면에 토출면을 마련하여 내용물을 덮어 보호하여 위생성을 확보하며, 탄성력을 갖는 토출면을 퍼프 등으로 누르면 내용물이 토출면을 관통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였다.The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 viscosity liquid content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and the discharge surface is provided on one open side of the container body to cover and protect the contents to ensure the hygienic properties and to press the discharge surface having elastic force with a puff or the like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surface to enhance the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토출면이 저신축성 영역과 고신축성 영역의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용물의 흡액과 토출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며, 토출면에 날염부를 마련해 퍼프에 전달되는 내용물의 모양이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Further, the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surface is alternately arranged in the low-elasticity region and the high-elasticity region so as to effectively effect absorption and discharge of the contents and to provide a printing portion on the discharge surfa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이 늘어남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실링면이 늘어남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C-C'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D-D'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ischarge surface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cosmetic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as the discharge surface increases.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5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surface of the cosmetic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as the sealing surface increases.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1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lan view of a discharge surface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용기 본체(20), 토출면(10), 고정부(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토출면(10)을 가압하는 화장도구는 편의상 퍼프인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1 to 5, a cosmetic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용기 본체(20)는, 내용물(P)을 수용한다. 이때 내용물(P)은 저점도 액상일 수 있으며, 파운데이션 등일 수 있다. 용기 본체(20)는 내용물(P)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면서도 일측이 개방되어, 일측을 통해 내용물(P)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20) accommodates the contents (P). At this time, the content (P) may be a low viscosity liquid, and may be a foundation or the like. The
다만 용기 본체(20)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놓일 경우 용기 본체(20)가 기울어질 때 내용물(P)이 누출될 위험이 있는바, 용기 본체(20)의 개방된 일측에는 토출면(10)이 마련될 수 있다.The contents P may leak when the
또한 용기 본체(20)에는, 내뚜껑(21)이 마련될 수 있다. 내뚜껑(21)은 용기 본체(20)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용기 본체(20)에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내뚜껑(21)을 열고 용기 본체(20)의 내용물(P)을 취할 수 있다.Further, the
용기 본체(20)는 외용기(22)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외용기(22)는 용기 본체(20)의 외측을 두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외용기(22)에 용기 본체(20)가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외용기(22)는 용기 본체(20)의 하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구멍을 통해 용기 본체(20)를 밀어내면 용기 본체(20)가 외용기(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외용기(22)에는 외뚜껑(23)이 마련된다. 외뚜껑(23)은 외용기(22)를 개폐할 수 있게 외용기(22)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뚜껑(23)의 내면에는 거울(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화장을 보조할 수 있다.The outer container (22) is provided with an outer lid (23). The
토출면(10)은, 용기 본체(20)의 일측에 마련되며, 퍼프의 가압에 의해 저점도 액상 내용물(P)을 배출한다. 토출면(10)은 용기 본체(20)에서 개방된 일측을 덮어서 용기 본체(20)가 기울어지더라도 내용물(P)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토출면(1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P)은 토출면(10)을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은, 용기 본체(20)와 토출면(10)에 의하여 일정한 공간 내에 갇혀 있을 수 있다.The contents P may not pass through the
다만 사용자가 토출면(10)을 퍼프 등의 화장도구(2)로 누르게 되면, 토출면(10)은 늘어나면서 도면 기준 하방으로 처지게 되며, 토출면(10)에 의해 눌리는 내용물(P)은 토출면(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올 정도의 압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P)은 토출면(10)의 상방으로 토출되며, 사용자는 외부로 배출된 내용물(P)을 퍼프로 찍어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user presses the
이때 토출면(1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은 퍼프에 의하여 눌리면서 늘어나게 되지만, 퍼프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토출면(10)은 원래의 팽팽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At this time, the
물론 토출면(10)은 탄성력이 없거나 매우 적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퍼프의 지속적인 가압 및 내용물(P)의 잔량 감소 등에 따라 처진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토출면(10)은 액상의 내용물(P)과 접촉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젖게 되는데, 토출면(10)이 부분적으로만 내용물(P)에 의해 젖을 경우 얼룩이 생겨서 미감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토출면(10)은, 내용물(P)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토출면(10)은, 퍼프에 의하여 1회도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을 수 있다.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르는 위치나 압력에 따라 토출면(10)에 내용물(P)이 부분적으로만 젖게 되어 얼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즉 본 발명에서 토출면(10)은 용기 본체(20)의 내용물(P)에 닿아 내용물(P)을 흡수하면서 젖게 되기 이전에, 이미 내용물(P)에 의하여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토출면(10)을 적시는 내용물(P)은, 용기 본체(20)에 수용될 내용물(P)과 동일한 것이지만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은 아니거나, 또는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일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 경우 토출면(10)은, 직물로 이루어질 경우 교차된 원사 사이의 틈새 등에 내용물(P)이 채워지면서 표면장력을 갖게 될 수 있고, 따라서 내용물(P)의 불필요한 누액을 방지하는 막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이 젖어있게 되면, 토출면(10)은 표면장력을 갖는 씰링 막이 되면서, 용기 본체(20)가 흔들려 내용물(P)이 유동하더라도 내용물(P)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에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후술할 외측 고정링(32)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은 제외될 수 있다.The portion of the
토출면(10)은 퍼프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P)을 향하도록 늘어나 내용물(P)과 접촉하면서 내용물(P)에 적셔질 수 있는데, 이때 토출면(10)은 틈새로 내용물(P)을 흡수하면서 전체적으로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토출면(10)에서 적어도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면은 모두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면(10)은, 내용물(P)이 묻지 않은 부분과 내용물(P)이 묻은 부분이 구분되면서 얼룩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토출면(10)이 젖는다는 것은 토출면(10)이 직물로 이루어질 때 토출면(10)을 구성하는 원사에 내용물(P)이 흡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원사 자체에 흡수된 내용물(P)과 달리 교차되는 원사들 사이의 틈새에 유입된 내용물(P)은, 토출면(10)이 퍼프에 의해 눌리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wetting of the
토출면(10)은, 내용물(P)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내용물(P)과 이격되더라도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은 사용에 따라 잔량이 줄어들 수 있는데, 토출면(1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토출면(10)과 내용물(P)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내용물(P)이 용기 본체(20)에서 배출됨에 따라 토출면(10)과 내용물(P) 사이의 간격은 점차 커질 수 있다. 그러나 토출면(10)은 내용물(P)에 의하여 젖어있는 상태를 지속 유지할 수 있다.The
그런데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이 접촉하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은, 퍼프와의 접촉에 의해 내용물(P)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토출면(10)을 적신 내용물(P)이 경화될 우려가 있다.Since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기 본체(20)에 내뚜껑(21)이 덮이거나 외용기(22)에 외뚜껑(23)이 덮여 밀폐되도록 하여,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을 적신 내용물(P)은, 내뚜껑(21) 등의 덮임에 의하여 외부와 격리되므로 경화가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다만 내뚜껑(21) 등이 열린 상태에서도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토출면(10)의 타면에는, 발수 또는 발유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A water repellent or oil-repellent coating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토출면(10)의 타면에는 내용물(P)의 투과를 차단하는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내용물(P)이 수성 또는 수중유(oil-in-water)일 경우, 토출면(10)의 타면은 발수 코팅되며, 내용물(P)이 유성 또는 유중수(water-in-oil)일 경우, 토출면(10)의 타면은 발유 코팅될 수 있다.A coating for blocking the permeation of the contents P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따라서 토출면(10)의 타면에 이루어지는 코팅에 의해, 토출면(10)을 적신 내용물(P)은, 외부와 직접적으로 닿지 않으면서 토출면(10)을 젖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by coating on the other surface of the
즉 토출면(10)은, 타면에 발수 또는 발유 코팅하여 토출면(10)을 적신 내용물(P)의 방출을 억제하여,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이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토출면(10)이 늘어날 때 토출면(10)에서 벌어지는 틈새에는 코팅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므로, 토출면(10)에 젖은 모든 내용물(P)(특히 틈새에 존재하는 내용물(P))을 코팅으로 외부와 완전히 격리시키지는 못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적어도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서 얼룩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도로 내용물(P)이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토출면(10)의 타면 코팅과 함께 또는 별도로, 토출면(10)에서 일면과 타면 중 적어도 일면에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되는 코팅을 구현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의 일면에 이루어지는 코팅은, 내용물(P)의 흡수를 허용하는 친수 또는 친유 코팅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내용물(P)이 수성 또는 수중유일 경우 토출면(10)의 일면은 친수 코팅되며, 내용물(P)이 유성 또는 유중수일 경우 토출면(10)의 타면은 친유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면(10)은 일면에 친수 또는 친유 코팅하여 내용물(P)을 보다 쉽게 흡수하여,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충분히 젖도록 할 수 있다.If the content P is unique to water or water, one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토출면(10)이 얼룩덜룩해지는 것을 방지해 미감을 대폭 향상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토출면(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내용물에 젖어있을 수 있으며, 또는 퍼프에 의해 눌려 내용물과 최초로 접할 때 젖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위 두가지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토출면(10)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10)이 늘어남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7은 토출면(10)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외면에 대한 도면이고, 도 8은 토출면(10)이 내용물과 접하는 내면에 대한 도면이다.4 and 5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또한 도 9는 도 7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B-B'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7,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토출면(10)은, 코일 형태의 제1 원사(11)와 코일 형태의 제2 원사(12)가 서로 교차하여 짜여진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원사(11)와 제2 원사(12) 사이의 교차 틈새로 내용물(P)이 토출될 수 있는데, 토출면(10)의 짜여진 밀집도는 일반적인 대기압에서 내용물(P)이 틈새를 빠져나오지 못할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때 제1 원사(11)는 스판덱스(Spandex)를 사용해 제직된 섬유일 수 있고, 제2 원사(12)는 두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폴리에스터 원사가 합사된 섬유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원사(11)는 40 내외의 데니어(denier) 두께를 갖는 스판덱스를 이용하여 제직한 섬유일 수 있고, 제2 원사(12)는 60 내지 90(일례로 75 내외)의 데니어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터 원사와 20 내지 50(일례로 36 내외)의 데니어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터 원사를 합사한 섬유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러한 제1 원사(11)와 제2 원사(12)에 의해 짜여진 직물인 토출면(10)은, 70 내지 90%(일례로 88%)의 폴리에스터와 10 내지 30%(일례로 12%)의 스판(spa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눌러서 토출면(10)이 늘어나게 되면, 상기 틈새가 벌어질 수 있고 동시에 내용물(P)은 토출면(10)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때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갖는 내용물(P)은 벌어진 틈새를 통하여 적정량이 빠져나올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토출면(10)에 의하여 내용물(P)의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다만 토출면(10)이 퍼프에 의하여 눌렸을 때에만 내용물(P)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해, 위생성과 편의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llows the contents P to be sealed by the
토출면(10)은, 제1 원사(11) 및 제2 원사(12)가 교차하여 짜여짐에 따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신축성 영역(13)과 고신축성 영역(14)이 교대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편의상 고신축성 영역(14)과 저신축성 영역(13)이 교대하는 일 방향(도 7에서의 상하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하고, 고신축성 영역(14) 및 저신축성 영역(13)과 나란한 타 방향(도 7에서의 좌우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s the
토출면(10)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퍼프에 의한 인장이 없는 상태)에서는, 도 7의 좌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신축성 영역(14)이 축소되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즉 가압이 해제된 상태에서, 토출면(10)은 고신축성 영역(14)이 축소되면서 저신축성 영역(13)이 서로 접하는 구조를 갖는다.In the state in which the
이때 저신축성 영역(13)은, 고신축성 영역(14) 대비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흡액성을 가져서 내용물을 빨아들일 수 있다. 고신축성 영역(14)도 흡액성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저신축성 영역(13)의 흡액성이 고신축성 영역(14)의 흡액성보다 높을 수 있다. 또는 고신축성 영역(14)은 흡액성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low
다만 저신축성 영역(13)은, 고신축성 영역(14) 대비 상대적으로 투액성이 낮을 수 있고, 이는 저신축성 영역(13)이 고신축성 영역(14)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면서 원사의 짜임 밀도가 높기 때문일 수 있다. 저신축성 영역(13)은 투액성이 낮지만 흡액성을 가지므로(흡액성이 높으므로), 저신축성 영역(13)에 내용물이 젖어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면(10)은 전체적으로 젖은 상태를 유지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low
고신축성 영역(14)은, 가압 시 확장되는 토출구(14a)를 가질 수 있다. 고신축성 영역(14)은 저신축성 영역(13)보다 짜임 밀도가 낮을 수 있으며, 토출면(10)이 인장한 상태에서 고신축성 영역(14)의 원사 틈새가 벌어지면서 토출구(14a)가 생길 수 있다. The high
토출면(10)은, 도 7의 우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의 신축이 좌우방향으로의 신축 대비 상대적으로 클 수 있으며, 도 7의 우측 하단을 참조하면 상하방향으로의 신축 시 고신축성 영역(14)이 확대되면서 저신축성 영역(13)의 사이가 벌어질 수 있고, 도 7의 우측 상단을 참조하면 좌우방향으로의 신축 시 고신축성 영역(14)이 축소되면서 저신축성 영역(13)이 서로 접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7, the
물론 신축하지 않은 상태(가압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저신축성 영역(13)은 서로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신축성 영역(14)은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고신축성 영역(14)의 토출구(14a)가 개방되지 않게 되어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따라서 토출면(10)은 실링을 구현할 수 있다.Of course, the low
저신축성 영역(13)은, 짜임 밀도와 두께 등의 요인으로 인해 가압 시 20% 이하로 신장됨에 따라 토출구(14a)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 화살표로 표시된 저신축성 영역(13)의 폭(2개의 고신축성 영역(14) 사이의 거리)은, 늘이기 전 후를 대비한 실험 결과 아래의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여기서 단위는 마이크로미터이다.The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늘이기 전 후 저신축성 영역(13)의 폭은 11.3% 증가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이에 반해 고신축성 영역(14)의 경우 아래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여기서도 단위는 마이크로 미터이다.Referring to Table 1, the width of the low
즉 고신축성 영역(14)의 폭(2개의 저신축성 영역(13) 사이의 거리)은, 저신축성 영역(13) 사이에 끼어 거의 보이지 않아 측정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대폭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저신축성 영역(13)과 비교하자면, 고신축성 영역(14)은 가압 시 적어도 200% 이상으로 신장됨을 알 수 있다.That 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width of the highly elastic region 14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low elasticity regions 13) is substantially invisible between the
따라서 토출면(10)은 가압 시 20% 이하로 신장되는 저신축성 영역(13) 대비, 200% 이상으로 신장되는 고신축성 영역(14)에서의 투액성이 높게 나타날 수밖에 없고, 토출면(10)에서 내용물은, (주로) 고신축성 영역(14)이 신장될 때 확장되는 토출구(14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다만 내용물의 토출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저신축성 영역(13)은 흡액성을 가지므로 내용물을 머금고 있을 수 있고, 토출면(10)이 가압되지 않았을 때 저신축성 영역(13)은 서로 접하게 되므로 토출면(10)은 전체적으로 젖은 상태로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토출면(10)의 미감 및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low
토출면(10)은, 도 7에 나타난 내용물과 접하는 외면과 달리, 도 8에 나타난 내용물과 접하는 내면에 기모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면(10)(특히 저신축성 영역(13))은 기모 부분을 통해 내용물을 흡수할 수 있다.The
고정부(30)는, 토출면(10)을 용기 본체(20)에 고정한다. 고정부(30)는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30) fixes the discharge surface (10) to the container body (20). The fixing
내측 고정링(31)은, 용기 본체(20)의 일측 둘레에 고정된다. 내측 고정링(31)은 용기 본체(20)에서 개방된 일측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고, 나사 결합 또는 억지끼움, 돌기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용기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내측 고정링(31)은 단순한 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내측 고정링(31)의 외측으로 토출면(10)이 감싸질 수 있다. 이때 내측 고정링(31)을 감싸는 토출면(10)은 외측 고정링(32)에 의하여 내측 고정링(31)에 강하게 결속된다.The
외측 고정링(32)은, 내측 고정링(31)과의 사이에 토출면(10)을 두고 내측 고정링(31)에 결합된다. 외측 고정링(32)은 단면이 'ㄱ'자 형태일 수 있으며, 내측 고정링(31)의 외측에 놓인 토출면(10)을 압박하여 토출면(10)이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 사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내측 고정링(31) 및 외측 고정링(32)에 의해 압착되는 토출면(10)의 일부분은, 토출면(10)의 테두리일 수 있다.The outer
외측 고정링(32)은 내측 고정링(31)과 억지끼움, 돌기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외측 고정링(32)과 내측 고정링(31) 사이에는 토출면(10)이 놓이게 되므로, 외측 고정링(32)과 내측 고정링(31)은 간접적인 접촉으로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방식을 통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The
토출면(10)은 평면 형태로 내측 고정링(31)의 상측에 놓이고, 외측 고정링(32)은 토출면(10)의 둘레를 내측 고정링(31)의 외측으로 내리누르면서, 외측 고정링(32)과 내측 고정링(31) 사이에 토출면(10)의 테두리가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30)와 토출면(1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고정부(30)는 용기 본체(20)에 결합되어 토출면(10)을 용기 본체(20)에 결합시킬 수 있다.While the
이와 달리 용기 본체(20)의 일측 둘레에 토출면(10)이 놓이고 외측 고정링(32)이 토출면(10)의 둘레를 내리누르면서 용기 본체(20)의 둘레와 외측 고정링(32) 사이에 토출면(10)이 압착되도록 할 경우, 고정부(30)는 내측 고정링(31)을 생략할 수 있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다만 내측 고정링(31)을 사용할 경우에는 고정부(30)를 용기 본체(20)로부터 분리하더라도 고정부(30)에 토출면(10)이 팽팽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인 반면, 내측 고정링(31)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정부(30)를 용기 본체(20)에서 분리하면 토출면(10)이 따로 분리될 수 있는바, 토출면(10)의 재설치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내측 고정링(31)을 사용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신축성 영역(13)과 고신축성 영역(14)으로 이루어지는 토출면(10)이 저신축성 영역(13)의 흡액성으로 인해 내용물(P)에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P)이 토출면(10)에 부분적으로 묻어서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압 시 고신축성 영역(14)에서 확장되는 토출구(14a)를 통해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토출면(10)이 깔끔한 모습을 갖도록 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실링면(40)이 늘어남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C-C'의 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D-D'의 단면도이다.16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sealing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실링면(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토출면(10)은, 앞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용물(P)에 의해 젖은 상태일 수 있고, 또는 그렇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실링면(40)은, 앞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용물(P)에 의해 젖은 상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to 18, the cosmetic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실링면(40)은, 토출면(10)과 내용물(P) 사이에서 마련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토출면(10)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면(40)은 토출면(10)에 퍼프가 주로 눌리는 중앙 부분에서 토출면(10)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토출면(10)과 실링면(40)의 투과성이 충분히 상이할 경우(일례로 약 2배 이상의 차이), 토출면(10)과 실링면(40)은 서로 이격되지 않을 수도 있고, 사용에 따라 점차 이격될 수 있다.The sealing
토출면(10)과 실링면(40)은 고정부(30)에 의하여 용기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용기 본체(20)에서 개방된 일측의 면적보다, 용기 본체(20)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실링면(40)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즉 실링면(40)은, 토출면(10)보다 처진 상태로 용기 본체(20)에 고정됨에 따라, 토출면(10)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토출면(10)은, 인장된 상태로 고정부(30)에 의하여 용기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은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진 상태에서 고정부(30)에 의해 용기 본체(20)에 고정됨에 따라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물론 토출면(10)은, 토출면(10) 원단의 구조와 두께 및 종류, 내용물의 점도 및 누액 안정성 등에 따라, 인장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고정부(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Of course, the
반면 실링면(40)은, 토출면(10)보다 상대적으로 덜 인장된 상태 또는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부(30)에 의해 용기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고, 처진 상태로 용기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면(40)과 토출면(10)은, 적어도 중앙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이때 토출면(10)과 실링면(4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내용물(P)이 채워져 있을 수 있다. 또는 해당 공간에는 내용물(P)을 임시로 함침하는 함침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함침재는 다공성 스펀지 등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또한 토출면(10)과 실링면(40) 사이에는 이격유지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격유지부재는 토출면(10)과 실링면(40) 사이의 간격을 벌리도록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는 실링면(40)이 토출면(10)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마련되어 내용물(P)의 누액 방지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또한 앞서 언급한 함침재 역시 이격유지부재의 예시로 볼 수 있으며, 이격유지부재는 스펀지, 플라스틱, 메시, 고무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separation holding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실링면(40)은 인장된 상태로 고정부(30)에 의해 용기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는 토출면(10)과 실링면(40) 사이에 이격이 (거의) 생기지 않을 수 있으나, 실링면(40) 원단의 구조와 두께 및 종류, 내용물의 점도 및 누액 안정성 등에 따라 실링면(40)의 고정 방식은 다양하게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sealing
실링면(40)은, 토출면(10) 대비 투과성이 상이한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실링면(40)은 내용물(P)의 누액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면(10)보다 투과성이 낮을 수 있다. 토출면(10)과 실링면(40)은 날실과 씨실이 서로 교차하여 짜여진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실링면(40)은 토출면(10) 대비 짜여진 정도가 상대적으로 촘촘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ling
반대로 실링면(40)은 토출면(10)보다 투과성이 높은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실링면(40)은 토출면(10) 대비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용기 본체(20)에 고정되어 실링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및/또는 실링면(40)은 내용물(P)에 젖은 상태를 유지하여 내용물(P)의 표면 장력에 의해 실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The sealing
즉 본 실시예는 투과성이 서로 다른 토출면(10)과 실링면(40)을 마련하여 누액을 방지하는 동시에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토출면(10)이 실링면(40) 대비 투과성이 낮은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미관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할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즉 실링면(40)은 다른 실시예에서 토출면(10)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유사하게, 내용물(P)에 젖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및/또는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면(40)은 액상 내용물(P)의 표면 장력에 의하여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That is, the sealing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실링면(40)은 인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는 구멍(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작게 마련되었다가, 인장 시 구멍이 확장된다. 다만 이때 실링면(40)은 도 7에 나타난 토출면(10) 대비 다소 성기게 짜여질 수 있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실링면(40)은 토출면(10)과 함께 또는 토출면(10)과 달리 내용물(P)에 젖은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구멍이 내용물(P)로 채워져 실링이 구현될 수 있다.16 to 18, the sealing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링면(40)은 처진 상태로 용기 본체(20)에 고정되므로, 실링면(40)은 내용물(P)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으며, 실링면(40)이 내용물(P)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실링면(40)은 내용물(P)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가, 토출면(10)에 의해 눌리면 눌린 부분이 움푹 들어가면서 내용물(P)과 접촉할 수 있다. The sealing
토출면(10)과 실링면(40) 중 적어도 토출면(1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토출면(10)과 실링면(40)은 두께, 탄력감, 투과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면(40)은 토출면(10)의 처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t least the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르면, 퍼프의 가압에 의해서 실링면(40)과 토출면(10)의 이격된 부분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후 퍼프의 가압이 해제되면, 실링면(40)에서 토출면(10)과 이격되는 부분은 다시 이격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즉 실링면(40)은, 사용자에 의해 내용물(P)의 배출이 필요하지 않을 때 토출면(1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내용물(P)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토출면(10) 대비 투과성이 상이한 실링면(40)을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에 인접한 부분에 마련하고, 실링면(40)을 토출면(10)과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내용물(P)의 표면장력을 이용하는 실링면(40)을 통해 내용물(P)의 누액을 방지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장할 수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토출면(10)의 상면에 가림면(도시하지 않음)을 부가하는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림면은,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이 접촉하는 일면(내면)과 반대되는 타면(외면)에 인접하게 마련된다. 토출면(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직물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는데,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토출면(10)에는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토출면(10)이 처진 상태로 놓이면 미감이 훼손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해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림면을 토출면(10)의 타면에 두어 토출면(10)이 처지더라도 토출면(10)의 처짐이 외부에서 쉽게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covering surface (not shown) is ad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가림면은, 토출면(10)의 처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리며, 토출면(10) 대비 내용물(P)의 투과성 및 처짐 강도가 높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처짐 강도라 함은, 퍼프의 가압이 작용하더라도 처짐이 적게 발생하는 힘을 의미한다. 즉 처짐 강도는, 탄성계수가 클수록(=탄성력이 클수록) 높게 나타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The shielding surface at least partly covers deflection of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permeability and deflection strength of the contents (P) relative to 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high. Here, the deflection strength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orce that causes deflection to be reduced even when the puff is pressed. In other words, the deflection strength is a concept that the higher the modulus of elasticity (= the greater the elastic force), the higher the degree of deflection.
가림면은 토출면(10)의 처짐을 가리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인데, 내용물(P)의 토출에 장애가 될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부여하게 될 수 있는바, 가림면은 토출면(10)의 틈새를 통해 빠져나온 내용물(P)이 큰 장애 없이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The covering surface serves to cover the deflection of the
즉 가림면은, 퍼프에 의하여 특정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토출면(10) 대비 내용물(P)을 상대적으로 많이 투과시킬 수 있다. 이는 가림면이 직물이나 메시 등으로 이루어질 때, 가림면에 형성되는 틈새의 평균 크기가 토출면(10)의 틈새의 크기보다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앞서 설명한 도 16 내지 도 18의 직물 구조가, 가림면에 적용될 수도 있다. That is, when the specific pressure is applied by the puff, the covering surface can relatively transmit the content P relatively to the
가림면은, 레이스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서 토출면(10)의 처짐을 가리는 동시에 우아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가림면에 형성되는 틈새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적어도 내용물(P)이 주로 토출되는 중앙 부분에서 가림면의 틈새는 평균적으로 토출면(10)의 틈새 대비 클 수 있다.The covering surfac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ace or the like, so that it can cover the deflection of the
가림면은, 토출면(10)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토출면(10)에 처짐이 발생할 경우 토출면(1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shielding surface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elastic force with respect to the
토출면(10)의 탄성력이 약해지면서 토출면(10)이 처질 경우, 가림면은 토출면(10)과 달리 처짐이 발생하지 않거나 적게 발생하여 비교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면(10)의 처짐량에 따라, 가림면과 토출면(10) 사이의 최대 이격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Unlike the
가림면은 토출면(1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 중 일부분만 덮도록 마련될 수 있고, 특히 토출면(10)에서 처짐이 발생할 확률이 가장 높은, 즉 사용자가 퍼프로 가장 많이 누르게 되는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분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covering surface may be provided so as to cover only a part of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가림면은 토출면(10)의 처짐을 가리기 위한 것이지만, 토출면(10)과 마찬가지로 내용물(P)에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토출면(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림면에도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림면에서 내용물(P)에 인접한 일면 및 토출면(10)에 인접한 타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내용물(P)의 흡수를 허용하는 친수 또는 친유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vering surface is intended to cover deflection of the discharging
또는 반대로, 가림면은 토출면(10)의 처짐을 가리되 내용물(P)에 젖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면과 타면 모두 내용물(P)의 흡수를 차단하는 발수 또는 발유 코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On the contrary, the shielding surface may be a water-repellent or oil-repellent coating that blocks the absorption of the contents P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order to keep the
또한 가림면은 토출면(10)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가리기 위하여 토출면(10) 대비 어두운 색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토출면(10)은 내용물(P)에 의하여 젖어있을 수 있으므로, 가림면은 내용물(P) 대비 어두운 색상을 가질 수 있다.Further, the covering surface may be provided so as to have a dark color with respect to the
가림면은 토출면(10)(및 실링면(40))과 적층되어 고정부(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0)는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을 포함하며,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 사이에는 토출면과 가림면이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shielding surface can be laminated with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sealing surface 40) and fixed by the fixing
이와 같이 가림면을 마련할 경우, 토출면(10)이 퍼프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눌림에 따라 토출면(10)에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가림면을 이용하여 토출면(10)의 처짐을 가림으로써, 미감이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providing the covering surface in this way, even if sagging occurs in the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10)의 평면도이다.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plan view of a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상기의 실시예 대비 토출면(10)에 날염부(15)가 부가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설명을 생략하는 부분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19 and 20, the cosmetic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above embodiment in that a
본 실시예에서 토출면(10)은, 날염부(15)를 포함한다. 날염부(15)는 토출면(10)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일면인 외면에 날염 가공되는 일부분일 수 있다. 날염부(15)는 실크 프린팅 및/또는 필름 프린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일례로 날염부(15)가 실크 프린팅에 의해 형성될 경우, 날염부(15)는 수성, 안료, 실리콘, 호일, 우레탄 등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실크 프린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염부(15)는 발포, 금분/은분, 촉광 날염 등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반면 날염부(15)가 필름 프린팅에 의해 형성될 경우, 날염부(15)는 토출면(10)의 외면에 올려지는 필름이 프레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압착됨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또는 날염부(15)는, 정전기를 이용하는 후로킹 날염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날염부(15)는, 날염 가공되는 방식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Or the
이와 같이 형성되는 날염부(15)는, 발수성 및 발유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질을 갖도록 날염 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날염부(15)는 토출면(10)의 가압 시 토출면(10)의 외면의 다른 부분 대비 내용물의 토출량이 적을 수 있다.The
날염부(15)가 없을 경우 토출면(10)이 가압되면, 토출면(10)의 외면에는 비교적 고르게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토출면(10)의 외면에 날염부(15)를 부가하게 되면, 토출면(10)의 가압 시 날염부(15)가 내용물의 토출을 저지하게 되므로, 토출면(10)의 외면에는 날염부(15)가 없는 부분 위주로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진다.When the
날염부(15)는 다양한 문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르게 되면, 퍼프에서 토출면(10)을 누른 면에는 내용물이 날염부(15)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날염부(15)가 도면과 같이 도넛 형태일 경우,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르게 되면 퍼프의 도포면에는 도넛 모양으로 내용물이 발라지지 않은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날염부(15)는, 퍼프에 의해 토출면(10)이 가압될 때 퍼프의 도포면에 전달되는 내용물에 날염부(15)의 형상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이러한 원리를 통해 본 실시예는, 퍼프의 도포면에 내용물이 전달되는 모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찍을 때 퍼프의 도포면에 나타나는 내용물의 모양을 통해 미감 향상 및 사용자 만족도 극대화 등이 가능하다.Through this principle, the present embodiment can change the manner in which the contents are transferred to the coated surface of the puff in various ways.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aesthetics and maximize the user's satisfaction through the shape of the content appearing on the coated surface of the puff when the user takes the
이상에서 날염부(15)는 토출면(10)에 부가된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출면(10)의 외면에 가림면이 마련될 경우, 날염부(15)는 토출면(10) 및/또는 가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가림면에 날염부(15)가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토출면(10)에 날염부(15)를 마련하여 퍼프로 토출면(10)을 찍을 때 퍼프의 도포면에 전달되는 내용물이 특정한 모양을 갖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대폭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본 발명은, 날염부(15)가 토출면(10)이 아닌, 내용물을 함침한 함침재(도시하지 않음)에서 외부로 노출된 일면(일례로 상면)에 마련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mbodiment in which the
즉 용기 본체(20)에는 내용물을 함침한 함침재가 마련될 수 있고, 함침재의 상면에 날염부(1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토출면(10)은 함침재의 상면이나 하면 중 적어도 일측에 부가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다.That is,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화장품
10: 토출면
11: 제1 원사
12: 제2 원사
13: 저신축성 영역
14: 고신축성 영역
14a: 토출구
15: 날염부
20: 용기 본체
21: 내뚜껑
22: 외용기
23: 외뚜껑
30: 고정부
31: 내측 고정링
32: 외측 고정링
40: 가림면1: cosmetics 10: discharge face
11: first yarn 12: second yarn
13: low elastic region 14: high elastic region
14a: Discharge port 15:
20: container body 21: inner lid
22: outer container 23: outer lid
30: fixing part 31: inner fixing ring
32: outer fixing ring 40: shielding surface
Claims (12)
상기 토출면은,
고신축성 영역과 저신축성 영역이 교대로 형성되고, 가압 해제 시 고신축성 영역이 축소되면서 저신축성 영역이 서로 접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And a discharge surfac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by external pressure,
The discharge surface
Wherein the high stretchable region and the low stretchable region are alternately formed and the high stretchable region is reduce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so that the low stretchable reg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고신축성 영역 대비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2.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
Stretchable region has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relative to the highly stretchable region.
흡액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2.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
And has a liquid-absorbing property.
상기 고신축성 영역 대비 상대적으로 투액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2.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
Wherein the liquid-repellent layer has a lower liquid-permeability than the high-elasticity region.
가압 시 확장되는 토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igh-
And a discharge port that expands upon pressurization.
가압 시 20% 이하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2.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
And is elongated to 20% or less upon pressurization.
상기 고신축성 영역과 상기 저신축성 영역이 교대하는 일 방향으로의 신축이, 상기 고신축성 영역 또는 상기 저신축성 영역과 나란한 타 방향으로의 신축 대비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Stretchable region and the low-elasticity region are elongated relative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igh-elasticity region or the low-elasticity region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일 방향으로의 신축 시 상기 고신축성 영역이 확대되면서 상기 저신축성 영역의 사이가 벌어지며,
상기 타 방향으로의 신축 시 상기 고신축성 영역이 축소되면서 상기 저신축성 영역이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The ink jet recording head according to claim 7,
The high stretchable region expands at the time of stretching in the one direction,
Wherein the high elastic region is reduced and the low elastic region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elastic member is expanded or contracted in the other direction.
코일 형태의 제1 원사와 코일 형태의 제2 원사가 서로 교차하여 짜여진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yarn in the form of a coil and the second yarn in the form of a coil are interwoven with each other.
상기 제1 원사는, 스판덱스(Spandex)를 사용해 제직된 섬유이며,
상기 제2 원사는, 두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폴리에스터 원사가 합사된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yarn is a fiber woven using spandex,
Wherein the second yarn is a fiber in which two or more polyester yarn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re joined together.
70 내지 90%의 폴리에스터와 10 내지 30%의 스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70 to 90% of polyester and 10 to 30% of span.
상기 내용물과 접하는 내면에 기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brushed on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tents.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780012464.6A CN108697222B (en) | 2016-03-10 | 2017-03-08 | Cosmetic preparation |
PCT/KR2017/002502 WO2017155301A1 (en) | 2016-03-10 | 2017-03-08 | Cosmetic product |
JP2018545318A JP6921420B6 (en) | 2016-03-10 | 2017-03-08 | cosmetic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028849 | 2016-03-10 | ||
KR1020160028849 | 2016-03-10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1377A Division KR102173157B1 (en) | 2016-03-10 | 2020-01-30 | Cosmetic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6159A true KR20170106159A (en) | 2017-09-20 |
Family
ID=600341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5599A KR20170106159A (en) | 2016-03-10 | 2016-09-08 | Cosmetic |
KR1020200011377A KR102173157B1 (en) | 2016-03-10 | 2020-01-30 | Cosmetic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1377A KR102173157B1 (en) | 2016-03-10 | 2020-01-30 | Cosmetic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921420B6 (en) |
KR (2) | KR20170106159A (en) |
CN (1) | CN108697222B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8082A (en) * | 2017-09-29 | 2019-04-08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Cosmetics |
KR20190038084A (en) * | 2017-09-29 | 2019-04-08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Cosmetic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04009B1 (en) * | 2019-12-10 | 2024-07-26 | Oreal | Method of filling a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cosmetic composition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2614U (en) * | 1990-07-06 | 1992-03-17 | ||
JP3516295B2 (en) * | 1999-06-10 | 2004-04-05 |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 Method for producing stretchable long fiber fabric |
JP2002339185A (en) * | 2001-05-23 | 2002-11-27 | Nippon Dam Kk | Stretchable woven tap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DE102006017270A1 (en) * | 2006-04-12 | 2007-10-18 | Bst Safety Textiles Gmbh | tissue |
JP5082449B2 (en) * | 2007-01-09 | 2012-11-28 | 株式会社カツシカ | Powder cosmetic container |
JP5120768B2 (en) * | 2007-07-02 | 2013-01-16 | 株式会社カツシカ | Powder cosmetic container |
KR20130116194A (en) * | 2012-04-13 | 2013-10-23 | (주)아모레퍼시픽 | Cosmetics comprising screening n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SG11201406395VA (en) * | 2012-04-13 | 2014-11-27 | Amorepacific Corp |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mprising foams |
KR200472370Y1 (en) * | 2012-08-17 | 2014-04-24 | (주)톨리코리아 | Powder container for cosmetics |
KR101567671B1 (en) * | 2014-02-03 | 2015-11-09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Corporate body to pass cosmetics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
-
2016
- 2016-09-08 KR KR1020160115599A patent/KR20170106159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7
- 2017-03-08 JP JP2018545318A patent/JP6921420B6/en active Active
- 2017-03-08 CN CN201780012464.6A patent/CN108697222B/en active Active
-
2020
- 2020-01-30 KR KR1020200011377A patent/KR102173157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8082A (en) * | 2017-09-29 | 2019-04-08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Cosmetics |
KR20190038084A (en) * | 2017-09-29 | 2019-04-08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Cosmetic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921420B2 (en) | 2021-08-18 |
JP2019511274A (en) | 2019-04-25 |
CN108697222B (en) | 2021-10-26 |
CN108697222A (en) | 2018-10-23 |
JP6921420B6 (en) | 2021-09-29 |
KR102173157B1 (en) | 2020-11-03 |
KR20200014401A (en) | 2020-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7442B1 (en) | Cosmetic | |
KR20180028213A (en) | Cosmetic | |
KR102173157B1 (en) | Cosmetic | |
US7461992B2 (en) | Applicator and a kit including such an applicator | |
KR20160140019A (en) | Liquefied cosmetics compact case with cushion sheet | |
KR20180047781A (en) | Cosmetic vessel | |
KR102552600B1 (en) | Cosmetic | |
KR102222155B1 (en) | Cosmetic leakage prevention device of compact cosmetic container | |
KR20170125598A (en) | Cosmetic | |
KR20170027762A (en) | Cosmetic | |
CN207721397U (en) | Cosmetics containers | |
KR101791832B1 (en) | Cosmetic pact of makeup with multi-pore fabric and waterproof film | |
KR102515462B1 (en) | Cosmetic vessel | |
KR100701626B1 (en) | Device for cometic | |
KR20170047680A (en) | A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velvet element for adhe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