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103383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383A
KR20170103383A KR1020160026190A KR20160026190A KR20170103383A KR 20170103383 A KR20170103383 A KR 20170103383A KR 1020160026190 A KR1020160026190 A KR 1020160026190A KR 20160026190 A KR20160026190 A KR 20160026190A KR 20170103383 A KR20170103383 A KR 20170103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input device
touch
vehic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6991B1 (ko
Inventor
이종복
권기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991B1/ko
Priority to US15/364,318 priority patent/US10639992B2/en
Priority to CN201611141002.8A priority patent/CN107150643B/zh
Publication of KR2017010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33Touch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4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memory of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60J7/0573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power driven arrangements, e.g. electrical
    • B60K2350/10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46Touch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B60K2360/1468Touch ge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6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coustic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10/00Sensor types, e.g. for passenger detection systems or for controlling seats
    • B60N2210/10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N2210/12Capacitive; Electric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20/00Computerised treatment of data for controlling of seats
    • B60N2220/20Computerised treatment of data for controlling of seats using a deterministic algorith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일 측에 따른 상기 차량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통해 표면 상에 마련된 전극패턴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상기 감지한 터치 입력을 기초로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각종 터치 입력 패턴을 감지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대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이 수행하는 기본적인 기능인 주행 이외에도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처럼 차량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운전자의 차량에 대한 조작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조작 부하의 증가는 운전자의 운전에 대한 집중도를 저하시켜 안전 운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기능의 수가 증가할수록 조작의 곤란성이 증가할 수 있어, 차량의 조작이 미숙한 운전자는 차량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의 조작 부하 및 조작의 곤란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차량용 입력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일 측에 따른 차량은, 차량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통해 베이스 상에 마련된 전극패턴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상기 감지한 터치 입력을 기초로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베이스는, 다곡면 형상으로 구현되며, 상기 전극패턴은 LDS 공법을 통해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베이스의 형상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베이스 상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패턴 홈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패턴 홈에는,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전극패턴과, 상기 전극패턴과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배선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한 터치 횟수, 터치 세기, 및 터치 후 드래그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감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관한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입력을 통해 사이드 미러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1 터치 입력 장치, 전동 시트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2 터치 입력 장치, 및 선루프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3 터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터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사이드 미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터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전동 시트의 포지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터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선루프의 개폐 방향 및 개폐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영역 상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여 기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LDS 공법을 통해 베이스 상에 마련된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제어 명령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제어 명령을 기초로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한 터치 횟수, 터치 세기, 및 터치 후 드래그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감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관한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터치 입력을 통해 사이드 미러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1 터치 입력 장치, 전동 시트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2 터치 입력 장치, 및 선루프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3 터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터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사이드 미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터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전동 시트의 포지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터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선루프의 개폐 방향 및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영역 상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여 기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표면 상에 마련된 전극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통해 사이드 위치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1 입력 장치와, 터치 입력 장치 중 일 예로써, 사이드 미러의 위치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1 터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통해 전동 시트 포지션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2 입력 장치와, 터치 입력 장치 중 일 예로써, 전동 시트의 위치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2 터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전동 시트 포지션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통해 선루프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3 입력 장치와, 터치 입력 장치 중 일 예로써, 선루프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3 터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통해 헤드 램프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4 입력 장치와, 터치 입력 장치 중 일 예로써, 헤드 램프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4 터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통해 음량 조절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5 입력 장치와, 터치 입력 장치 중 일 예로써, 음량 조절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5 터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이 발생됨에 따라 기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표면 상에 마련된 전극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8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93, 94)를 포함한다. 차체(80)는 후드(81), 프런트 휀더(82), 도어(84), 트렁크 리드(85), 및 쿼터 패널(86)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체(8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샤인 루프(sunshine roof)가 마련될 수 있다. 선샤인 루프는 선루프라 하기도 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선루프라 하기로 한다.
또한, 차체(80)의 외부에는 차체(8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87),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윈도(88), 도어(84)에 설치되어 차량(200) 후방 및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91, 92), 및 차체(80)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9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체(80)의 외부에는 차량(1)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전조등, 즉 헤드라이트(headlight)를 조사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95, 96)가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체(80)의 외부에는 차량(1)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후방 시야의 확보 또는 후방에 위치한 차량에게 차량(1)의 위치 파악을 돕기 위해 후미등, 즉 테일라이트(taillight)를 방출하는 테일 램프(tail lamp,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차량(1)의 선루프(97), 헤드램프(95, 96), 테일램프 등의 동작은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터치 입력 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보다 손쉽고, 편리하게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차량(1)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차량(1)의 내부에는 공조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공조장치는 차량(1)의 실내/외 환경 조건, 공기의 흡/배기, 순환, 냉/난방 상태 등을 포함한 공조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1)에는 공조장치가 마련되어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153)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내부에는 AVN 단말(100)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AVN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또한, AVN 단말(100)은 각종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1) 내 기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VN 단말(100)은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대시 보드(10)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11)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101)가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01)는 터치, 클릭, 드래그 등과 같은 다양한 터치 조작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 입력부(102)는 디스플레이(101)와 인접한 영역에 하드 키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내비게이션 입력부(102)를 조작하여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콘솔(40)에는 죠그 셔틀 타입 또는 하드 키 타입의 센터 입력부(43)가 마련될 수 있다. 센터 콘솔(40)은 운전석 시트(21)와 조수석 시트(22) 사이에 위치하여 기어조작 레버(41)와 트레이(42)가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센터 입력부(43)는 내비게이션 입력부(102)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운전석 시트(21)와 조수석 시트(22)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동시트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트의 일 측면에 마련된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시트 포지션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운전석 시트(21)와 조수석 시트(22) 전부 전동시트로 구현된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차량(1)의 내부에는 클러스터(144)가 마련될 수 있다. 클러스터(144)는 계기판이라고도 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클러스터(144)라 하기로 한다. 클러스터(144)에는 차량의 주행속도, 엔진 회전수(Revolution Per Minute, RPM), 연료량 등이 표시된다. 또한, 클러스터(144)는 사운드인식 장치(100)와 연동되어, 주행경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제한속도정보 등과 같은 도로의 환경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또한, 차량(1) 내에는 음성 입력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입력부(19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9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운전자가 발화(utterance)한 음성 명령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내부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4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은 스피커(143)를 통해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은 스피커(143)를 통해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한편, 전술한 내비게이션 입력부(102), 센터 입력부(43) 외에도, 차량(1)의 내부에는 전술한 기기들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입력 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시트(21, 22)의 일 측면에 마련되어 시트 포지션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장치, 선 루프(97)의 개폐, 개폐 정도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장치 등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차량(1) 내 기기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장치가 차량(1)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1) 내 기기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터치 입력 장치로 대체된 차량(1)의 제어 블록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은 사이드 미러(91, 92) 선루프(97), 전동시트(21, 22), 스피커(143), 헤드램프(95, 96) 외에도, 터치 입력 장치(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미러(91, 92) 선루프(97), 전동시트(21, 22), 스피커(143), 헤드램프(95, 96)에 관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터치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여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터치 입력 장치(110)를 통해 복잡한 조작 없이, 각종 제어 명령을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죠그 셔틀 타입 또는 하드 키 타입의 조작을 통해서도 가능하나, 이외에도 터치 입력 등을 통해 원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터치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전술한 기기들을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장치(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기기들을 대체하는 제1 터치 입력 장치(111), 제2 터치 입력 장치(112), 제3 터치 입력 장치(113), 및 제N(N≥4) 터치 입력 장치(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터치 입력 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일반적으로 스위치 형태로 구현된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입력 장치(200)는 구조물(410), 및 압력에 의해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210), 및 커버(2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410)은 베이스라 하기도 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베이스라 하기로 한다.
베이스(410)의 상면에는 스위치(210)가 마련되며, 베이스(410)와 스위치(210)는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스위치(210)의 출력 신호는 베이스(41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210)의 상면에는 플라스틱 등으로 구현된 커버(220)가 장착될 수 있다. 커버(220)에는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30)의 표면에는 어떠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장치인지, 버튼의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기호, 숫자, 텍스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10)는 기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전술한 기호, 숫자, 텍스트 등을 커버(230)의 표면 상에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디자인 자유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입력 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410) 상에 기계 부품이 추가로 장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입력 장치(200)는 무게가 증가하며,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형태가 한정됨으로 인해 디자인의 자유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ITO(Indium Tin Oxide) 필름 또는 메탈 메쉬(Metal Mesh) 필름 등과 같은 전도성 필름을 베이스에 접착하고, 접착된 전도성 필름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전도성 필름을 접착하고자 하는 표면의 형상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 전도성 필름이 휘어짐에 따라 전도성 필름 내 와이어가 깨지거나 저항값이 커져 터치 입력에 둔감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전도성 필름과 구조물을 접착시키는 접착 물질이 진동, 습도, 온도 등에 취약하여, 차량과 같이 내구성이 요구되는 기기에는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10)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10) 상에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전극패턴(4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패턴(430)은 배선부(403)를 통해 터치 입력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가 집적된 회로기판(46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10)는 별도의 스위치와 같은 기계 부품이나, 전도성 필름을 접착시키지 않아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여기서, LDS 공법은 베이스(410)와 같은 구조물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패턴 홈을 형성하고, 이때 발생되는 열을 통해 패턴 홈에 금속 시드를 형성시키며, 전도성 물질을 삽입하여 전극패턴을 생성하는 기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바와 같이 터치 입력 장치(100)는 생성된 전극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발생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460)과 배선부(403)의 접합은 다양한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460)과 배선부(403)의 접합은 납땜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의 배선부(403)와 회로기판(460) 간에 물리적으로 접합되는 방식으로만 구현 가능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460)에는 접점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접점과 전극 패턴(430) 간에는 미리 설정된 거리에 따라 이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배선부(403)는 생략될 수 있다.
접점은 전도성 물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류가 흘러 전극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460)은 접점을 통해 전극 패턴(430) 상에 변화되는 정전용량 값을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회로기판(460)은 전극 패턴(430)과 물리적으로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전극을 통해 전극 패턴(430)를 통한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전극 패턴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변화되어 정전용량 값이 변화되면, 회로 기판(460)의 접점에는 유도전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의 회로기판(460)은 회로기판(460)과 배선부(403) 간에 물리적으로 접합 또는 결합되어 있는 방식으로만 구현 가능한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에서의 터치 입력은 다양한 터치 입력 패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 패턴은 터치 입력 장치(110)의 터치 영역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적어도 1회 이상 터치하는 행위, 터치 후 드래그 등과 같이 각종 터치 제스처 등을 포함하며, 제한은 없다. 이하에서는 터치 입력 장치(110)의 내부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터치 입력 장치(110)에는 베이스(410)가 마련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110)의 베이스(410)는 제1 베이스(411)와, 그 위에 적층되는 제2 베이스(4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411)와 제2 베이스(415)는 사출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베이스(411, 415)는 금속 복합체를 사출하여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소재(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를 사출하고, 그 위에 금속 복합체를 코팅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2 베이스(415)는 제1 베이스(411) 상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41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베이스(411)와 제2 베이스(415)의 일 면은 곡면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등 제한이 없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1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설계자는 자유롭게 디자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410) 상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패턴 홈(42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홈(420)은 베이스(411)의 일 면에 UV(Ultra Violet) 레이저 또는 엑시머(Excimer) 레이저 등의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이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열은 금속 복합체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여 금속으로 환원시키고, 패턴홈(420)에 금속 시드(Seed)를 형성한다.
패턴홈(4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411)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패턴홈(421)과, 제2 베이스(415)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2 패턴홈(4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홈(411)은 제1 베이스(410)의 일 면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베이스(410)의 형상에 맞추어 레이저를 조사하여 홈을 형성하므로, 제1 베이스(410)의 일 면의 형상이 곡면이면, 제1 패턴홈(411) 또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제1 패턴홈(411)은 후술할 바와 같이 전도성 물질을 삽입하여 사용자의 입력수단을 감지하는 전류패턴을 형성하게 되고, 제1 패턴홈(411)은 제1 베이스(410)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 가능하므로, 제1 베이스(41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10)의 구현 가능한 형태에는 제한이 없게 된다.
한편, 전극패턴은 도금 공정을 통해 패턴 홈(420)에 전도성 물질을 삽입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극패턴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입력수단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금 공정을 통해 제1 패턴홈(421)에는 제1 전극패턴(431)이, 제2 패턴홈(425)에는 제2 전극패턴(43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전극패턴(431, 434)은 제1 및 제2 패턴홈(421, 425) 상에 도금되어 형성된다. 금속 시드 상에 도금하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도금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전극패턴(430)은 하나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극패턴이 마련될 수 있으며, 각 전극패턴(430)은 배선부를 통해 터치 입력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가 직접된 회로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패턴(430)이 제1 전극패턴(431), 및 제2 전극패턴(435)으로만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많은 전극패턴이 포함될 수도 있다.
터치 입력 장치(110)는 전극패턴(430)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기초로, 터치 입력이 발생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극패턴(430)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을 터치 영역이라 하기로 한다.
한편, 차량(1) 내에서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위해 또는 우연히 터치 입력 장치(110)의 터치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모든 터치 입력이 차량(1) 내 기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터치 입력 장치(110)는 의도적으로 또는 비 의도적으로 터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 장치(110)가 사용자의 모든 터치를 입력 받아, 차량(1) 내 기기를 제어하면 사용자에게 오히려 불편을 끼칠 수 있으며, 특히 주행 중인 경우 사용자의 안전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입력 장치(110)는 변화되는 정전용량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위해 터치한 것인지 여부, 즉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임계치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위해 터치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정전용량의 변화 값으로써, 미리 설정되어 차량(1) 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도장층(450)은 제2 전극패턴(435)을 외부의 충격 또는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제2 베이스(435) 상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장층(450)은 터치 영역의 터치면을 구성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110)는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 상에서 접촉하였을 때 제1 및 제2 전극패턴(431, 435)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달라지고, 이를 검출하여 입력수단이 터치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표면 상에 마련된 전극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10)의 전극 배치모습을 나타내는 구조도로서, 실제 보이는 것과는 다르지만, 터치 입력 장치(110)의 동작방법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터치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의 입력수단과 접촉할 수 있는 터치 영역(401), 터치 영역(40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터치 영역(401) 하부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패턴(431, 435), 이와 연결되는 배선부(403)와 접속패드(404)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펜 등을 통해 터치 영역(401)에 접촉이 발생되면, 제1 전극패턴(431)과 제2 전극패턴(435)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일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터치)은 직접적인 접촉 및 간접적인 접촉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적인 접촉은 객체가 터치 입력 장치(110)에 접촉된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접촉은 터치 입력 장치(110)에 접촉되지는 않았지만 전극패턴이 객체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접근한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전극패턴(431)은 제1 방향(도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구획을 나누어 배열될 수 있으며, 제2 전극패턴(435)은 제1 방향과 다른 방향(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구획을 나누어 배열될 수 있다. 제1 전극패턴(431)과 제2 전극패턴(43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층에 마련되고, 교차부(C)를 형성한다. 교차부(C)에서는 제1 전극패턴(431)과 제2 전극패턴(435)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절연부를 사이에 두고 겹쳐질 수 있다.
한편, 교차부(C)는 터치 영역(401)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고, 좌표로서 인식될 수 있다. 즉, 입력수단이 어느 하나의 교차부(C)에 접촉한 경우와 입력수단이 이와 인접하는 교차부(C)에 접촉하는 경우를 구분할 수 있고, 입력수단이 어느 위치의 교차부(C)에 접촉하였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면적에 교차부(C)가 많이 형성될수록 터치 영역(401)의 해상도는 증가한다.
제1 및 제2 전극패턴(431, 435)의 일 단은 금속배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선부(40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선부(403)의 일 단에는 접속패드(404)가 마련되고, 각 배선부(403)는 접속패드(404)를 통해 회로기판(도 4, 46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전극패턴(431, 435)의 일 단부에는 접속부(402)가 마련될 수 있다. 접속부(402)는 제1 및 제2 전극패턴(431, 435)의 너비보다 넓게 마련되므로 배선부(403)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용이하다. 접속부(402)와 배선부(403)는 도전성 접착제(일 예로, 솔더(Solder))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배선부(403)는 전극패턴의 감지신호를 접속패드(404)를 통해 회로기판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배선부(403)와 접속패드(404)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401)의 한 영역을 접촉하는 경우 교차부(C)의 정전용량이 감소하게 되고, 배선부(403)와 접속패드(404)를 통해 정전용량에 대한 정보가 터치 입력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기판(도 4, 460)에 도달하고, 터치 입력 장치(110)는 어느 위치에 입력수단이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401)의 한 영역에 가까워지는 경우에 정전용량이 감소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입력 장치(110)는 어느 위치에 입력 수단이 가까워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패턴(420)과 제2 전극패턴(440)의 패턴이 도 6에 도시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패턴은 베이스의 일 면의 형상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10)는 베이스의 형상에 관계없이, LDS 공법을 통해 전극패턴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여, 디자인의 제한이 없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10)는 별도로 스위치 또는 버튼 등과 같은 기계 부품을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10)는 전도성 물질을 별도로 부착하는 것이 아니고, 구조물 상에 직접 레이저 가공을 통해 전극패턴을 생성함으로써, 차량(1) 내 온도, 습도 변화에 상관없는,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10)는 별도의 전도성 물질을 부착하는 것이 아니므로, 주행 중에 진동이 발생되는 차량(1)의 특수한 상황 상에서도,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물질과 같은 별도의 물질을 부착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무게의 감소가 가능하며, 전도성 물질을 부착하기 위해 필요한 부착 비용 또한 필요하지 않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터치 입력 장치(110)에 구현 형태에 관한 예시로써, 제1 터치 입력 장치(111), 제2 터치 입력 장치(112), 제3 터치 입력 장치(113)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나,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들은 전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도 7(a)는 사이드 미러의 위치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1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6(a)에 도시된 입력 장치를 대체하는 제1 터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입력 장치(A1)는 상하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4개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입력 장치(A1)를 구성하는 스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위치에 압력을 가하여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입력 장치(A1)는 스위치와 스위치를 감싸는 커버로 인해 부피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실시예에 따른 제1 터치 입력 장치(111)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에 전극패턴을 삽입하고, 베이스 상에 코팅 공정을 통해 도장층을 형성함으로써, 부피의 감소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보다 매끄럽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장층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터치 영역 별로 사이드 미러의 조절 방향 등이 화살표로 표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입력 장치(A1)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4개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에 압력을 가하여 한 방향으로만 사이드 미러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2방향으로의 동시 조절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과,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사이드 미러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2개의 스위치에 대해 순차적으로 압력을 가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2 방향으로 동시에 조절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스위치는 단순히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상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조절 정도, 및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조절 정도를 한번에 설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입력 장치는 동시에 2 방향으로의 조작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원하는 위치로 조절이 완료될 때까지 스위치에 누르고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에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실시예에 따른 제1 터치 입력 장치(111)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압력을 가할 필요 없이, 간단한 터치 입력만으로도 제어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며, 보다 직관적으로 2 방향의 동시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입력 장치(111)는 사용자의 다양한 터치 입력 패턴을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에로, 사용자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영역 중에서 특정 영역을 터치하면, 제1 터치 입력 장치(11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면, 제1 터치 입력 장치(111)는 사용자가 드래그를 한 특정 방향에 기초하여 사이드 미러의 좌우방향과 상하 방향을 각각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 입력 장치(111)는 드래그 길이를 감지하여, 사이드 미러의 회전 정도, 즉 조절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감지 결과를 기초로 사이드 미러의 2방향 동시 제어가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간단한 터치 입력을 통해 사이드 미러의 조절 방향을 보다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9(a)는 전동 시트의 위치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2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전동 시트의 위치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2 터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동 시트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버튼이 장착된 제2 입력 장치(A2)를 통해 전동 시트의 포지션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제2 입력 장치(A2)의 베이스 상에 스위치, 커버가 추가적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시트의 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나온 형상이 되어, 심미감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해, 실시예에 따른 제2 터치 입력 장치(112)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상에 추가적인 기계 부품의 장착 없이, 전극패턴을 마련하고, 베이스 상에 도장층을 코팅함으로써, 차지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동 시트를 원하는 포지션까지 조절하려면, 사용자는 전동 시트가 원하는 포지션에 위치할 때까지 제2 입력 장치(A2)에 마련된 스위치를 누르고 있어야 된다. 이에 반해, 제2 터치 입력 장치(112)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시트가 원하는 포지션에 위치할 때까지 터치 영역 중에서 특정 영역을 가볍게 터치하고 있으면 되므로, 보다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이동을 원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터치 영역에 감지되는 터치 세기 정도를 기초로, 제2 터치 입력 장치(112)는 사용자가 조절 정도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터치의 세기를 조절하여, 조절 정도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경우 보다 편리하다.
또 다른 예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영역을 터치한 다음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면, 제2 터치 입력 장치(112)는 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터치 입력 장치(112)는 사용자가 입력 수단을 통해 드래그 방향 및 드래그 길이를 기초로 전동 시트의 높낮이 조절 정도 및 앞뒤 조절 정도에 관한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동 시트의 높낮이 및 앞뒤의 동시 제어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전동 시트의 높낮이 및 앞뒤의 조절 명령을 별도로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2번의 입력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제2 터치 입력 장치(112)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전동 시트의 높낮이 및 앞뒤 조절 등 다양한 포지션에 관한 제어 명령을 한번에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내 존재하는 기존의 입력 장치는 터치 입력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는 선루프 조절 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으로 구성된 제3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선루프 조절 명령을 입력 받는 제3 터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3 입력 장치(A3)에 마련된 버튼을 눌러 선루프의 개폐 여부 및 개폐 정도를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원하는 개폐 정도가 될 때까지, 버튼을 계속 눌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제3 터치 입력 장치(113)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영역 중 특정 영역을 터치하면, 제3 터치 입력 장치(113)는 사용자가 터치한 특정 영역의 위치를 인식하고, 선루프를 열거나 또는 닫는 것 중 어떠한 것을 원하는지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터치 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였다면, 제3 터치 입력 장치(113)는 드래그 방향, 및 드래그 정도를 감지하여,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2(a)와 도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두 프론트 윈도와 반대 방향으로 터치 후 드래그를 한 경우, 제3 터치 입력 장치(113)는 사용자가 선루프의 오픈 명령을 입력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3 터치 입력 장치(113)는 사용자의 드래그 정도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기초로 선루프의 개폐 정도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a)에 도시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였을 때 보다, 도 12(b)에 도시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였을 때, 제어부(120)는 더 크게 선루프를 열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 장치의 구현 형태가 전술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통해 헤드 램프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4 입력 장치와, 터치 입력 장치 중 일 예로써, 헤드 램프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4 터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통해 음량 조절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5 입력 장치와, 터치 입력 장치 중 일 예로써, 음량 조절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5 터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위치를 통해 헤드 램프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4 입력 장치(A4)는, LDS 공법을 통해 구현되어, 베이스 상에 터치 영역이 마련된 제4 터치 입력 장치(115)로 대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4를 참조하면, 스위치를 통해 음량 조절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5 입력 장치(A5)는 LDS 공법을 통해 구현되어, 베이스 상에 터치 영역이 마련된 제5 터치 입력 장치(116)로 대체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최근에는 차량(1) 내에 다양한 기기들이 내장됨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1) 내 기기들을 파악하기에 어렵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1) 내 기기들을 전부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사용자가 운전 중에 차량(1) 내 입력 장치를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하려면, 시야를 변경해야 하므로 안전 상에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터치 입력 장치(110) 각각은 각각의 기능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기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장치(110)에 대해 사용자가 터치를 하면, 제어부(120)는 터치 입력 장치로부터 터치 입력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 받고, 제어신호를 통해 스피커(143)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된 터치 입력 장치가 어떠한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음성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 운전을 돕는다. 또는, 제어부(120)는 제어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터치한 터치 입력 장치가 지원하는 기능을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가 발생된 터치 입력 장치의 지원 기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이상 특정 지점 또는 포인트를 터치하면,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음성을 통한 터치 입력 장치의 기능 설명을 요구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4, 5 터치 입력 장치(115, 116)는 제4, 5 입력 장치(A4, A5)을 보다, 매끄러운, 즉 심러스(seamless)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차량(1)에는 제어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MCU(Micro Control Unit, MCU)와 같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에는 차량(1)내 기기들의 동작에 관한 제어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1) 내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단일의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제한은 없다. 한편, 제어부(120)는 AVN 단말(100)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개로 존재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제어부(12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통해 차량(1) 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터치 입력 장치(110)가 감지한 터치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1)내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터치 입력 장치(110)를 통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감지 결과에 대응되도록 차량(1)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 입력 장치(111)의 터치 영역 중에서 특정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제어 신호를 통해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예를 들어, 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사이드 미러를 조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술한 방향에 대응되는 특정 영역에 대해 지속적으로 터치가 유지되면, 제어부(120)는 유지되는 시간 동안 사이드 미러 내의 모터를 동작시켜,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예를 들어, 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조작되게끔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터치 입력 장치(1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은 위치 및 터치 입력이 유지된 시간 등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전달 받으면, 제어부(120)는 제어 신호를 통해 감지 결과에 대응되도록 사이드 미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대각선 방향으로 터치 후 드래그를 하면, 제1 터치 입력 장치(111)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20)는 사이드 미러를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드래그 길이에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의 회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사이드 미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사용자가 상하좌우를 개별적으로 입력할 필요 없이, 한번의 터치 입력을 통해 한번에 사이드 미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터치 입력 장치(110)는 제1 내지 제 N 터치 입력 장치(111, 112, 113, 114) 중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입력 장치가 지원하는 기능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기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기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이 발생됨에 따라 기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차량 상에는 터치 입력 모드가 활성화된 터치 입력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1300). 이때, 터치 입력 모드는 상시 활성화가 되거나 또는 이그니션 키(ignition key)의 위치에 따라 활성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터치 입력 모드가 활성화되기 위해선, 터치 입력 장치의 활성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때, 터치 입력 장치는 특정 전원조건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그니션 키를 키 홈에 삽입하여, ACC(Accessory)의 위치까지 돌린 경우, 터치 입력 장치는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전원조건이 ACC(Accessory)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예에 해당한다.
또한, 터치 입력 장치가 활성화되었어도, 사용자는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도록 잠금 모드(lock mode)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터치 입력 모드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터치 입력 모드가 활성화 중인 경우,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영역 상에서 터치 입력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1310). 이때,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터치 입력 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으나,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전 중에 다른 버튼을 누르려 했으나 실수로 잘못 누른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우연히 눌러진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전극 패턴을 통해 측정된 캐패시턴스 값이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1320). 여기서, 임계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된 캐패시턴스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입력 모드로 다시 전환할 수 있다(1300).
또는, 측정된 캐패시턴스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 장치를 이용하고자 터치를 입력한 것으로 판단하여, 터치 입력의 인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1330).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구조물 상에 레이저 패터닝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물질을 부착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입력 장치가 어떠한 기능을 지원하는지에 관한 기호, 숫자, 텍스트 등의 표시를 없앨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1) 내에 다양한 기기들이 내장됨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1) 내 기기들을 파악하기에 어렵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1) 내 기기들을 전부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특정 터치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기능 알림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1340).
터치 입력이 감지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이상이면, 터치 입력 장치는 기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스피커,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사용자가 주행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해당 터치 입력 장치가 지원하는 기능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기능 알림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내용은 터치 입력 장치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루프의 개폐에 관한 조작 명령을 입력 받는 제3 입력 장치(도 3, 113)를 통해 제1 시간이상 터치가 감지되면, 제3 터치 입력 장치(도 3, 113)는 제어부(도 3, 120)와 연동하여, 스피커를 통해 '선루프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입니다' 등의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선루프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입니다' 등의 내용이 포함된 팝업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터치 입력 장치(도 3, 111)를 통해 제1 시간이상 터치가 감지되면, 제1 터치 입력 장치(도 3, 111)는 제어부(도 3, 120)와 연동하여, '사이드 미러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입니다' 등의 내용을 스피커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시간이 이후에도 지속된다면,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이상이면(1360),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터치 입력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터치 입력 서비스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기초로 차량 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1370).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 장치는 제어부(도 3, 120)와 연동하여, 차량 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기능 알림 서비스가 상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도 2, 101)를 통해 기능 알림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기능 알림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입력 서비스, 즉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전에 기능 알림 서비스가 선행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은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1400). 이때, 터치 입력 장치는 차량 내 다양한 입력 장치를 대체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장치는 전술한 사이드 미러의 조절 명령을 입력 받는 제1 입력 장치, 전동 시트의 조절 명령을 입력 받는 제2 입력 장치, 선루프의 조절 명령을 입력 받는 제3 입력 장치를 대체하여, 차량 내에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터치 입력 장치는 전술한 센터 입력부, 스티어링 휠에 마련된 입력부, 헤드 램프의 조절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대신에, 차량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기 공지된 다양한 입력 장치들을 대체할 수 있다.
베이스의 일면 상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패턴홈이 형성되면, 형성된 패턴홈에 도금 공정을 수행하여 전극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패턴에 전류가 흐르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전극패턴에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차량은 LDS 공법을 통해 베이스 상에 마련된 전극패턴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조작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차량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초로 인식한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1410). 이때, 차량은 다양한 터치 입력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한 제어 명령을 인식함으로써, 인식한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입력 패턴에는 단순히 1회성 터치 외에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복수회의 터치, 드래그뿐만 아니라, 다양한 터치 제스처 등이 포함되며, 제한은 없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는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영역을 통해 복수 회 터치 입력을 하거나 또는 특정 방향으로 터치를 연속해서 즉 드래그를 할 수도 있으며, 터치 입력을 길게 또는 짧게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세기를 조절하여 터치 영역을 터치할 수도 있다. 그러면, 차량은 사용자의 다양한 종류의 터치 입력, 즉 제스처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기초로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다양한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 받고, 차량 내 기기 별 특성을 고려하여, 터치 입력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한 제어 명령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장치는 차량 내 기기 별로 각각 마련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기기에 관한 조작 명령을 동시에 입력 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동 시트의 조작 명령 만을 입력 받는 제2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영역에, 사용자가 일정 시간 내에 복수 회 터치를 하면, 차량은 사용자가 미리 저장해놓은 전동시트의 포지션으로 전동 시트의 포지션을 복원할 수 있다. 즉, 차량은 사용자가 일정 시간 내에 복수 회 터치를 하면, 메모리시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요청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영역에서, 사용자가 터치 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면, 차량은 사용자가 드래그한 방향에 대응되게끔 전동 시트의 포지션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드래그한 정도를 기초로 전동시트와 스티어링 휠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일정 시간 내에 복수 회 터치를 하면, 차량은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고 있는 음성을 중지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제스처라 하더라도, 차량은 터치 입력 장치와 연계된 기기의 사용 패턴 등과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은 터치 입력을 감지한 터치 입력 장치와, 터치 입력 장치와 연결된 기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동일한 터치 입력 패턴을 감지하더라도 다른 액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모리에는 차량 내 기기 별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제스처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기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입력 받는 터치 입력 장치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일한 터치 입력을 입력하더라도, 차량 내 기기의 동작은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보다 손쉽고, 짧은 시간 내에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구조물 내에 별도의 스위치, 버튼 등의 증착이 필요 없이, 구조물 상에 레이저 패터닝을 적용하여 전극패턴을 형성하므로, 비용 및 무게의 감소가 가능하다. 또한, 구조물의 형상에 맞추어 전극 패턴의 삽입이 가능하므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디자인에서 보다 높은 자유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unit)", "~기", "~블록(block)", "~부재(member)", "~모듈(modul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구성일 수 있다.제1 베이스(410)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1: 차량, 10: 대시보드, 11: 센터페시아
12: 스티어링 휠, 13: 헤드라이닝
21: 운전석, 22: 조수석
40: 센터 콘솔, 41: 기어조작 레버
42: 트레이, 43: 센터 입력부
80: 차체, 81: 후드, 82: 프런트 휀더
84: 도어, 85: 트렁크 리드, 86: 쿼터 패널
87: 프런트 윈도, 88, 89: 사이드 윈도
90: 리어 윈도, 91, 92: 사이드 미러, 95, 96: 헤드램프, 97: 선루프
100: AVN 단말, 101: 디스플레이, 102: 내비게이션 입력부,
143: 스피커, 144: 클러스터, 153: 통풍구, 190: 사운드 입력부

Claims (16)

  1. 차량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통해 베이스 상에 마련된 전극패턴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상기 감지한 터치 입력을 기초로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베이스는, 다곡면 형상으로 구현되며, 상기 전극패턴은 LDS 공법을 통해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베이스의 형상에 맞추어 설계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베이스 상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패턴 홈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패턴 홈에는,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전극패턴과, 상기 전극패턴과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배선부가 마련되는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한 터치 횟수, 터치 세기, 및 터치 후 드래그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감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관한 제어 명령을 인식하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입력을 통해 사이드 미러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1 터치 입력 장치, 전동 시트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2 터치 입력 장치, 및 선루프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3 터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터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사이드 미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제어하는 차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터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전동 시트의 포지션을 제어하는 차량.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터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선루프의 개폐 방향 및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영역 상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여 기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10. 차량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LDS 공법을 통해 베이스 상에 마련된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제어 명령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제어 명령을 기초로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한 터치 횟수, 터치 세기, 및 터치 후 드래그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감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관한 제어 명령을 인식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터치 입력을 통해 사이드 미러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1 터치 입력 장치, 전동 시트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2 터치 입력 장치, 및 선루프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3 터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어 명령을 인식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터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사이드 미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터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전동 시트의 포지션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터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선루프의 개폐 방향 및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영역 상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여 기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60026190A 2016-03-04 2016-03-04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796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190A KR101796991B1 (ko) 2016-03-04 2016-03-04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5/364,318 US10639992B2 (en) 2016-03-04 2016-11-30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611141002.8A CN107150643B (zh) 2016-03-04 2016-12-12 车辆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190A KR101796991B1 (ko) 2016-03-04 2016-03-04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383A true KR20170103383A (ko) 2017-09-13
KR101796991B1 KR101796991B1 (ko) 2017-11-13

Family

ID=5972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190A KR101796991B1 (ko) 2016-03-04 2016-03-04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39992B2 (ko)
KR (1) KR101796991B1 (ko)
CN (1) CN10715064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516A (ko) * 2017-12-12 2019-07-05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표면 포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터치 제어기
KR20190083777A (ko) * 2018-01-05 2019-07-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3661B4 (de) * 2017-06-21 2021-03-04 Bcs Automotive Interface Solutions Gmbh Kraftfahrzeugbedienvorrichtung
KR102403356B1 (ko) * 2017-11-01 2022-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컨트롤 패널
KR20200002610A (ko) * 2018-06-29 2020-01-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JP7135558B2 (ja) * 2018-08-07 2022-09-13 株式会社デンソー ヒータ装置
US10884614B1 (en) * 2018-11-30 2021-01-05 Zoox, Inc. Actuation interface
DE102018221709A1 (de) 2018-12-13 2020-06-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Dachkonsole für ein Fahrzeug
DE102018221710A1 (de) 2018-12-13 2020-06-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Dachkonsole für ein Fahrzeug
CN110884392A (zh) * 2019-11-08 2020-03-17 北京他山科技有限公司 调节汽车座椅的方法、装置和系统、及座椅和汽车
CN111002922A (zh) * 2019-12-02 2020-04-14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开关及汽车
CN113147536A (zh) * 2021-05-13 2021-07-23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座椅调节系统、儿童安全座椅及其控制方法
DE102021207897A1 (de) 2021-07-22 2023-01-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dieneinheit für die Außenspiegel eines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2426A1 (en) * 2003-09-08 2005-03-10 Hagermoser E. Scott Vehicle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978666B1 (ko) * 2011-06-10 2019-05-15 미래나노텍(주)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JP5303069B2 (ja) * 2011-08-03 2013-10-02 東レ株式会社 導電積層体、パターン化導電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タッチパネル
KR20130071013A (ko) 2011-12-20 2013-06-28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 내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183144B1 (ko) 2012-05-25 2012-09-14 실력산업 (주)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 스위치
JP6047420B2 (ja) 2013-02-19 2016-12-21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静電容量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207702B (zh) 2013-03-30 2016-08-24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屏及其制造方法
WO2015121964A1 (ja) * 2014-02-14 2015-08-20 富士通株式会社 入力装置
CN104951116B (zh) 2014-03-31 2018-08-31 宸盛光电有限公司 触控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561917B1 (ko) * 2014-04-10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57337B1 (ko) 2014-07-11 2014-11-13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Lds를 이용한 전자 기기의 측면 키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24583A (ko) * 2014-08-26 201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CN104636042B (zh) * 2015-02-12 2018-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装置和方法
US9891739B2 (en) * 2016-02-29 2018-0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formable touch and strain sens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516A (ko) * 2017-12-12 2019-07-05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표면 포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터치 제어기
KR20190083777A (ko) * 2018-01-05 2019-07-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50643B (zh) 2022-04-29
US10639992B2 (en) 2020-05-05
US20170253121A1 (en) 2017-09-07
CN107150643A (zh) 2017-09-12
KR101796991B1 (ko) 201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99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9933820B2 (en) Display device for a motor vehicle,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device, and motor vehicle having a display device
JP5005758B2 (ja) 自動車における車載機器の操作装置
US10649587B2 (en) Terminal, for gesture recognition and operation command determination,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994228B2 (en) Proximity switch having wrong touch feedback
US201202870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interface in a vehicle
GB2423808A (en) Gesture controlled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accessories
KR102333631B1 (ko) 스티어링 휠,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5751996A (zh) 用于在操作开关之前辅助用户的装置和方法
US11182072B2 (en) Touch screen, a vehicle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WO2018110482A1 (ja) 車両用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KR20170100537A (ko) 손가락 기반 컨트롤 바 및 상기 컨트롤 바의 사용
JPWO2012147942A1 (ja) 車載機器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7183408A1 (ja) 車載操作装置
US9073433B2 (en) Vehicle control system
KR20190041115A (ko) 근접센서
KR20190041632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221913A1 (en) Console display interlocking method and vehicle system using the same
KR10161473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9814154B (zh) 近距离传感器
KR102441509B1 (ko)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JP2021163155A (ja) 操作制御装置
KR101879870B1 (ko)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7484756B2 (ja) 表示システム
JP2024029697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方法及び車両用表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