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454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1454A KR20170081454A KR1020160000525A KR20160000525A KR20170081454A KR 20170081454 A KR20170081454 A KR 20170081454A KR 1020160000525 A KR1020160000525 A KR 1020160000525A KR 20160000525 A KR20160000525 A KR 20160000525A KR 20170081454 A KR20170081454 A KR 201700814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mobile terminal
- display device
- display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6 process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4N21/42219—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 H04M1/725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8—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mapping a matrix of displayed objects on the screen to the numerical key-matrix of the remote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와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대한 화면 응시 상태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화면 응시 상태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화면 응시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것에 관련된 발명이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mart TV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smart TV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그대로 표시해주는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중단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별도의 중단 버튼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을 끊어야 했고, 재 연결 시에는 스크린 미러링을 위해 절차를 다시 거쳐야 했다.
또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통해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분할된 화면을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스크린 미러링 수행 중, 이동 단말기가 알람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알람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그대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미디어 컨텐트를 시청하는데 방해가 되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대한 화면 응시 상태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 중 하나에 기초하여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자동으로 중단하거나, 복귀 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통해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지향시키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 미러링 기능의 수행 중, 이동 단말기의 알람을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와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대한 화면 응시 상태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화면 응시 상태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지면을 향하는 화면 지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중단시키고, 상기 스크린 미러링 기능의 수행 전, 표시했던 미디어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일정 시간 동안 응시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중단시키고, 상기 스크린 미러링 기능의 수행 전, 표시했던 미디어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체 화면 중 일부 화면이 가려진 경우, 가려진 일부 화면에 대응하는 영역만큼 상기 미디어 컨텐트를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 미러링 기능 수행 중,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신한 알람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에 표시된 알람 정보가 가려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 알람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 및 다른 이동 단말기와 상기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미디어 컨텐트 및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분할된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지면을 향하는 화면 지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지면을 향하는 화면 지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아이콘의 형태로 축소시켜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화면 응시 상태를 감지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 해제를 위한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자동으로 중단하거나, 복귀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지향시키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의 수행 중, 이동 단말기의 알람으로 인해, 미디어 컨텐트의 시청에 방해 받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위한 래더 다이어 그램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화면 응시 상태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화면 응시 상태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사용자의 화면 응시 상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바라보고 있는 화면 응시 유지 상태에 있음을 가정한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일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위한 래더 다이어 그램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화면 응시 상태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화면 응시 상태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사용자의 화면 응시 상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바라보고 있는 화면 응시 유지 상태에 있음을 가정한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일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근거리 통신부(173),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근거리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73)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위한 래더 다이어 그램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이동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이란, 단말기 간 화면을 그대로 표시하는 기능으로, 제1 단말기에서 표시 중인 화면을 제2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일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린 미러링을 통해 2대 이상의 단말기에서 동일한 컨텐트를 시청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이동 단말기(300)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 있다(S501).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부(173)를 통해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이동 단말기(300)는 스크린 미러링을 위해 서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이동 단말기(300)가 표시 중인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503). 일 실시 예에서 화면에 대한 정보는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그대로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가 컨텐트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표시 중인 컨텐트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300)에 표시된 컨텐트를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300)에서 재생 중인 컨텐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그대로 재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화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표시 중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한다(S505).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3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동일한 컨텐트를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 응시 상태 및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한다(S507).
일 실시 예에서 화면 응시 상태는 화면 응시 유지 상태 및 화면 미응시 상태 중 하나일 수 있다.
화면 응시 유지 상태는 사용자가 스크린 미러링 중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을 바라보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화면 미응시 상태는 사용자가 스크린 미러링 중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을 바라보고 있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미응시 상태는 사용자가 스크린 미러링 중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이 아닌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 상태는 화면 방향 일치 상태, 화면 지향 상태 전체 화면 가림 상태 및 부분 화면 가림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 방향 일치 상태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방향과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 방향이 일치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방향 일치 상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방향 및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 방향이 사용자 측을 향하는 상태일 수 있다.
화면 지향 상태는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이 지면을 향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즉, 화면 지향 상태는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이 지면에 맞닿아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을 볼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전체 화면 가림 상태는 이동 단말기(300)의 전체 화면이 객체에 의해 가려진 상태일 수 있다. 전체 화면 가림 상태는 화면 지향 상태와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상태일 수 있다.
부분 화면 가림 상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방향과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 방향이 일치하나,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 일부분이 가려진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통해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 방향 일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조도 센서와 같은 센서를 통해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 지향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의 화면 응시 상태 및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 상태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을 제어한다(S509).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화면 응시 상태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화면 방향 일치 상태에 있음을 가정하고, 도 6c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화면 지향 상태에 있음을 가정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1)는 서로 연결되어, 스크링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1)는 화면(310-1) 상에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 중 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1)로부터 미디어 컨텐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재생 중일 수 있다. 도 6a에서 사용자(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중일 수 있다. 즉, 사용자(A)의 화면 응시 상태는 위에서 설명한 화면 응시 유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때,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1)의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방향과 같은 화면 방향 일치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A)의 화면 응시 상태가 화면 응시 유지 상태에서 화면 미응시 상태로 변경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응시하다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1)의 화면(310-1)을 응시할 수 있다. 화면 미응시 상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을 일정 시간 동안 응시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화면 미응시 상태임을 감지한 경우,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중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중지하기 위한 요청을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1)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중지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 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스크린 미러링 기능의 수행 전 표시되었던 미디어 컨텐트(630)를 표시할 수 있다. 미디어 컨텐트(630)는 방송 프로그램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도 6a의 상태에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 상태가 화면 방향 일치 상태에서 화면 지향 상태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70)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중지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중지하기 위한 요청 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스크린 미러링 기능의 수행 전 표시되었던 미디어 컨텐트(63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1)의 화면을 지면으로 향하게 하면, 스크린 미러링을 중단하기 위한 의도일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러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스크린 미러링을 중단하고, 원래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63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화면 응시 상태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사용자의 화면 응시 상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바라보고 있는 화면 응시 유지 상태에 있음을 가정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1) 및 스마트 태블릿(300-2)와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분할된 화면 상에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수신 중인 제1 미디어 컨텐트(710) 및 스마트 태블릿(300-2)으로부터 수신 중인 제2 미디어 컨텐트(730)를 표시하고 있다.
도 7a의 상태에서, 스마트 태블릿(300-2)의 화면이 지향된 경우(즉, 화면 지향 상태가 된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상에 표시된 컨텐츠의 사이즈 및 배치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상태에서, 스마트 태블릿(300-2)의 화면이 지향된 경우(즉, 화면 지향 상태가 된 경우), 제어부(17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미디어 컨텐트(710)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고, 제2 미디어 컨텐트(730)를 아이콘(750)의 형태로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 태블릿(300-2)이 다시 반지향 상태로 변경되면, 제어부(17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미디어 컨텐트(730)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a의 상태에서, 스마트 태블릿(300_2)의 화면이 지향된 경우(즉, 화면 지향 상태가 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미디어 컨텐트(710)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고, 제2 미디어 컨텐트(730)를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스마트 태블릿(300-2)과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중단할 수 있다. 사용자(A)가 2개의 단말기를 통해 스크린 미러링을 수행하다가,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지향하는 것은 지향된 단말기와의 스크린 미러링을 중단하겠다는 의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이러한 의도를 파악하여, 지향된 단말기로부터 수신 중인 미디어 컨텐트를 작게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일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에서 사용자의 화면 응시 상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바라보고 있는 화면 응시 유지 상태에 있음을 가정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1), 제2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4), 스마트 태블릿(300-2) 및 스마트 폰(300-3)과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4개로 분할된 화면 상에 제1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1)로부터 수신 중인 제1 미디어 컨텐트(810), 스마트 태블릿(300-2)으로부터 수신 중인 제2 미디어 컨텐트(820), 스마트 폰(300-3)으로부터 수신 중인 제3 미디어 컨텐트(830) 및 제2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4)로부터 수신 중인 제4 미디어 컨텐트(840)를 표시하고 있다.
도 8a의 상태에서, 스마트 태블릿(300-2)의 화면이 지향된 경우(즉, 화면 지향 상태)가 된 경우, 제어부(17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미디어 컨텐트(810)를 제2 미디어 컨텐트(820)의 표시 영역까지 확대하여 표시하고, 제2 미디어 컨텐트(820)를 아이콘(821)으로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3 미디어 컨텐트(830) 및 제4 미디어 컨텐트(840)는 본래의 위치에서 재생 중이다. 또 다른 예로, 스마트 태블릿(300-2)의 화면이 지향된 경우(즉, 화면 지향 상태)가 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미디어 컨텐트(810)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제2 미디어 컨텐트(820)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스마트 태블릿(300-2)과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a의 상태에서, 스마트 태블릿(300-2)의 전체 화면이 사용자의 손에 의해 가려진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미디어 컨텐트(810)를 제2 미디어 컨텐트(820)의 표시 영역까지 확대하여 표시하고, 제2 미디어 컨텐트(820)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전체 화면이 가려진 스마트 태블릿(300-2)과의 스크린 미러링을 중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태블릿(300-2)의 전체 화면을 가린다는 것은 해당 기기와의 스크린 미러링을 중단할 의도로 볼 수 있다.
한편, 도 8a의 상태에서, 스마트 태블릿(300-2)의 화면이 지향된 경우(즉, 화면 지향 상태)가 된 경우, 제어부(170)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미디어 컨텐트(810)를 제3 미디어 컨텐트(830)의 표시 영역까지 확대하여 표시하고, 제2 미디어 컨텐트(820)를 아이콘(821)으로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170)는 제3 미디어 컨텐트(830)를 기존의 제4 미디어 컨텐트(830)의 표시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제4 컨텐트(840)를 기존의 제2 미디어 컨텐트(820)의 표시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미디어 컨텐트(810)를 세로로 표시하고, 나머지 제3 미디어 컨텐트(830) 및 제4 미디어 컨텐트(840)를 가로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8b 내지 도 8c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제1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1)의 화면 상태가 화면 지향 상태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3 미디어 컨텐트(830)를 제1 미디어 컨텐트(810)의 표시 영역(도 8a 참조)까지 확대하여 표시하고, 제4 미디어 컨텐트(840)를 제2 미디어 컨텐트(820)의 표시 영역(도 8a 참조)까지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1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1)와의 스크린 미러링을 중단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 지향 상태가 아닌 스마트 폰(300-3) 및 제2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4)을 통해 스크린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태블릿(300-2)과 스크린 미러링을 수행 중일 수 있고, 스마트 태블릿(300-2)이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910)를 재생 중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스마트 태블릿(300-2)의 화면 상태가 전체 화면 중 일부 화면이 가려진 부분 화면 가림 상태임을 확인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하는 제1 미디어 컨텐트(910)의 일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되지 않은 일부는 블랙 영역으로 처리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스마트 태블릿(300-2)으로부터 부분 화면 가림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에서 사용자의 화면 응시 상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바라보고 있는 화면 응시 유지 상태에 있음을 가정한다.
도 10a는 도 9a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도면이나, 알림 정보(1010)가 표시된 내용이 다르다. 즉, 제어부(17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알람 정보(1010)를 스크린 미러리 수행 도중 수신할 수 있다. 알람 정보(1010)는 미디어 컨텐트(910)의 상측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알람 정보(1010)로 인해, 미디어 컨텐트(910)의 시청을 방해 받고 싶지 않을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스마트 태블릿(300-2)의 화면 상에서 알람 정보(1010)가 가려지는 부분 화면 가림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된 부분 화면 가림 상태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트(910)의 전체를 표시하면서 알람 정보(1010)를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알람 정보(1010)를 가리는 동작을 통해 스크린 미러링 중인 미디어 컨텐트(910)의 시청을 방해 받지 않을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도 9a와 동일한 도면이므로, 관련 설명은 대체한다.
도 11a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스마트 태블릿(300-2)이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 스마트 태블릿(300-2)은 통화 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태블릿(300-2)이 통화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스마트 태블릿(300-2) 각각은 통화 수신 화면(1110)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태블릿(300-2)의 화면 상태가 화면 지향 상태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70)는 통화 수신 화면(1110)을 미디어 컨텐트(910)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통화 호 신호 수신 전, 재생했던 미디어 컨텐트(910)를 다시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린 미러링을 통해 미디어 컨텐트를 시청 도중, 통화 호 신호 수신으로 인해, 미디어 컨텐트의 시청을 방해받지 않기 위해, 스마트 태블릿(300-2)을 지향시키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와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
상기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대한 화면 응시 상태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화면 응시 상태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지면을 향하는 화면 지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중단시키고, 상기 스크린 미러링 기능의 수행 전, 표시했던 미디어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일정 시간 동안 응시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중단시키고, 상기 스크린 미러링 기능의 수행 전, 표시했던 미디어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체 화면 중 일부 화면이 가려진 경우, 가려진 일부 화면에 대응하는 영역만큼 상기 미디어 컨텐트를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 미러링 기능 수행 중,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신한 알람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에 표시된 알람 정보가 가려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 알람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 및 다른 이동 단말기와 상기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미디어 컨텐트 및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분할된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지면을 향하는 화면 지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지면을 향하는 화면 지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아이콘의 형태로 축소시켜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응시 상태를 감지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0525A KR20170081454A (ko) | 2016-01-04 | 2016-01-04 |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0525A KR20170081454A (ko) | 2016-01-04 | 2016-01-04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1454A true KR20170081454A (ko) | 2017-07-12 |
Family
ID=5935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0525A Withdrawn KR20170081454A (ko) | 2016-01-04 | 2016-01-04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8145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01260A1 (en) * | 2019-11-19 | 2021-05-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and screen mirro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
-
2016
- 2016-01-04 KR KR1020160000525A patent/KR20170081454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01260A1 (en) * | 2019-11-19 | 2021-05-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and screen mirro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
US11435974B2 (en) | 2019-11-19 | 2022-09-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screen mirro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screen mirroring method of mobile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49575B1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1790429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US10327030B2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570379B1 (ko) |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US10481753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2479487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70123184A (ko) |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180016805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US12148349B2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210000520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6009688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16009537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17008145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9002802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80043139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170081425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11974004B2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11600216B1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20250203171A1 (en) | Display device | |
US20250156138A1 (en) | Display system | |
US20250024110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KR20180054052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180040230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80006073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24016017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