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288A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0288A KR20170080288A KR1020150191647A KR20150191647A KR20170080288A KR 20170080288 A KR20170080288 A KR 20170080288A KR 1020150191647 A KR1020150191647 A KR 1020150191647A KR 20150191647 A KR20150191647 A KR 20150191647A KR 20170080288 A KR20170080288 A KR 201700802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bank
- organic light
- pixel region
- material solu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1L27/326—
-
- H01L27/3248—
-
- H01L51/5012—
-
- H01L51/5203—
-
- H01L2227/3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층의 두께를 목표두께로 형성함으로써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기판 상의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제1전극과, 제1전극 가장자리를 덮으며 기판 상의 화소영역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1뱅크와, 화소영역의 단축방향 또는 장축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제1뱅크 중앙부를 서로 연결하며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와,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display quality by forming a thicknes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o a target thicknes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a pixel region, a first electrode disposed in a pixel region on the substrate, A first bank which covers the first electrode edge and is disposed at a boundary of the pixel region on the substrate and a second bank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bank central portion located in the minor axis direction or the major axis direction of the pixel region,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ver the first electro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발광층의 두께를 목표두께로 형성함으로써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현재,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 PDP),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OLED)와 같은 평판표시장치가 널리 연구되며 사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urrently, flat panel display devices such as plasma display panels (PD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s (OLED) are widely studied and used have.
위와 같은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s 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s a self-luminous device, and since it does not require a backlight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can be lightweight and thin.
또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it has superior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compared wit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can be driven by DC low voltage, has a quick response speed, is resistant to external impacts due to its solid internal components, It has advantages.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roduction cost can be saved more than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용액 공정으로 화소영역에 유기발광층이 적층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1, illustrating a process of deposi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 a pixel region by a solution process.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a)는 용액공정 중 드롭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용액공정 후 유기발광층이 적층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More specifically, FIG. 2 (a) is a view showing a dropping process during a solution process, and FIG. 2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laminated after a solution process.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는 다수의 화소영역(P1~P3)과, 각 화소영역(P1~P3)을 구획하며 각 화소영역(P1~P3) 경계부에 배치되는 뱅크(7)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P1 to P3,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P1 to P3,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P1 to P3, (7).
구체적으로, 기판(11) 상의 각 화소영역(P1~P3)에 제1전극(5)이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또한, 뱅크(7)는 제1전극(5) 가장자리를 덮으며 기판(11) 상의 각 화소영역(P1~P3) 경계부에 배치된다.The
한편, 유기발광층(10)은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5) 상부에 배치되는데,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 또는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방식 등의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적층된다.The organic
이하,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유기발광층(10)이 적층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process of laminating the organic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물질용액(9)을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5) 상부에 드롭핑(dropping)하는데, 이 때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9)의 퍼짐성이 클수록 유기발광물질용액(9)이 각 화소영역(P1~P3) 전체에 골고루 퍼져 유기발광층(10)의 두께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9 is dropped onto the
이러한 유기발광물질용액(9)의 퍼짐성은 유기발광물질용액(9)의 표면장력과,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9)과 접촉하는 각 화소영역(P1~P3)에 배치된 제1전극(5)과 각 화소영역(P1~P3) 경계부에 배치된 뱅크(7)의 표면에너지에 의해 결정된다.The spreadability of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9 is determined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9 and the surface tension of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9 placed in each pixel region P1 to P3 in contact with the dropp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9. [ Is determined by the surface energy of the
즉, 유기발광물질용액(9)의 표면장력이 작을수록 유기발광물질용액(9)의 퍼짐성이 좋아지고,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9)과 접촉하는 면의 표면에너지가 클수록 퍼짐성이 좋아진다.That is, as the surface tension of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9 is smaller, the spreadability of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9 is improved. As the surface energy of the surface contacting the dropp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9 is larger, Spreadability is improved.
한편, 표면장력이 작은 유기발광물질용액(9)은 건조 과정에서 불균일하게 건조되어 유기발광층(10)의 두께 균일성(uniformity)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표면장력이 비교적 큰 유기발광물질용액(9)을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9 having a small surface tension is unevenly dried in the drying process to lower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또한, 제1전극(5)은 애노드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투명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지고, 뱅크(7)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지는데 표면 처리를 통해 그 상부 표면이 소수성을 띄게 된다.In addition, the
이 때, 유기발광물질용액(9)과 접촉하는 면의 표면에너지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뱅크(7)의 상부면 < 제1전극(5) < 뱅크(7)의 측벽 순이다.In this case, the surface energy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9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top surface of the bank 7 (the
이에 따라, 뱅크(7)의 상부면은 가장 작은 표면에너지를 가짐으로써 각 화소영역(P1~P3)의 유기발광물질용액(9)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 역할을 한다.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전극(5) 보다 뱅크(7)의 측벽이 더 높은 표면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5) 상부에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9)은 뱅크(7)의 측벽으로 치우치게 된다.2 (a), since the sidewall of the
한편,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9)이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5)에 전체적으로 퍼지는 최소의 유기발광물질용액(9)의 드롭(drop) 수를 최소 드롭(drop)수라 하고, 목표로 하는 유기발광층(10)의 두께를 형성하기 위한 유기발광물질용액(9)의 드롭(drop) 수를 목표두께 드롭(drop)수라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ropping amount of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9 that is dropped to the
이 때,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9)은 비교적 높은 표면장력으로 인해 볼록한 형상을 갖게 되고,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9)은 뱅크(7)의 측벽으로 치우치게 되기 때문에 최소 드롭(drop)수가 목표두께 드롭(drop)수 보다 커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opped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9 has a convex shape due to the relatively high surface tension, and the dropped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9 flows into the side wall of the
이에 따라,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과정 후 형성된 유기발광층(10)의 두께가 목표두께(T) 보다 커지게 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b),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각 화소영역(P1~P3)의 면적이 클수록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5) 상부에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9)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지기 때문에 더 크게 발생한다.Particularly, this problem is caused by the fact that as the area of each of the pixel regions P1 to P3 is increased, the distance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s 9 dropped o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발광층의 두께를 목표두께로 형성하여 표시품질이 향상된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quality by forming a thicknes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o a target thickness.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기판 상의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제1전극과, 제1전극 가장자리를 덮으며 기판 상의 화소영역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1뱅크와, 화소영역의 단축방향 또는 장축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제1뱅크 중앙부를 서로 연결하며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와,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ubstrate including a pixel region, a first electrode arranged in a pixel region on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edg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cluding a first bank, a second bank disposed above the first electr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ver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bank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bank central portion in the short axis direction or the major axis direction of the pixel region,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또한, 화소영역은 각각 다른 색을 표시하며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3화소영역을 포함하고, 제2뱅크는 제1 내지 제3화소영역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다.Further, the pixel region includes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each of which displays a different color, and the second bank is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이 때, 제3화소영역은 제1 및 제2화소영역 보다 크며, 제2뱅크는 제3화소영역에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third pixel region is larger than the first and second pixel regions, and the second bank is disposed in the third pixel region.
또한, 제2뱅크는 제1 내지 제3화소영역 경계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뱅크 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제1 및 제2뱅크는 동일물질 및 동일 높이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bank has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ank disposed at each of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 boundaries, and the first and second banks have the same material and the same height.
본 발명은 용액 공정(soluble process) 시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이 뱅크 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기발광층의 두께를 목표두께로 형성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solu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dropped during the soluble process from being biased toward the bank, thereby improving the display qua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by forming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o a target thickness There is an effect.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3의 Ⅳ-Ⅳ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5의 Ⅵa-Ⅵ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5의 Ⅵb-Ⅵ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도7의 Ⅷa-Ⅷ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7의 Ⅷb-Ⅷ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3 is a plan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in FIG.
5 is a plan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a-VIa of FIG. 5, and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b-VIb of FIG.
7 is a plan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VIIIa-VIIIa of FIG. 7, and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VIIIb-VIIIb of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3의 Ⅳ-Ⅳ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용액 공정으로 화소영역에 유기발광층이 적층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plan view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in FIG. Fig.
좀 더 구체적으로, 도 4(a)는 용액공정 중 드롭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용액공정 후 유기발광층이 적층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More specifically, FIG. 4 (a) is a view showing a dropping process in a solution process, and FIG. 4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laminated after a solution process.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는 다수의 화소영역(P1~P3)을 포함하는 기판(101)과, 기판(101) 상의 각 화소영역(P1~P3)에 배치되는 제1전극(105)과, 각 화소영역(P1~P3)을 구획하며 각 화소영역(P1~P3)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1뱅크(107)와, 제1전극(105)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108)를 포함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하, 각 화소영역(P1~P3)이 각각 다른 색을 표시하며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pixel regions P1 to P3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display different colors,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제1뱅크(107)는 제1전극(105) 가장자리를 덮으며 기판(101) 상에 배치되고, 제2뱅크(108)는 각 화소영역(P1~P3)의 단축방향에 위치한 제1뱅크(107) 중앙부를 연결하며 제1전극(105) 상부에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한편, 도면과 달리, 제2뱅크(108)는 각 화소영역(P1~P3)의 장축방향에 위치한 제1뱅크(107) 중앙부를 연결하며 제1전극(105)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이에 따라, 각 화소영역(P1~P3)은 제2뱅크(108)에 의해 분할된다.Thus, each pixel region P1 to P3 is divided by the
또한, 제1 및 제2뱅크(107, 108)는 함께 형성됨으로써, 동일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또한, 제2뱅크(108)를 제1뱅크(107) 형성시 함께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한편, 제2뱅크(108)는 각 화소영역(P1~P3)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각 화소영역(P1~P3)의 개구율을 저하시키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2뱅크(108)의 폭을 최소화해야 한다.The
이를 위해, 제2뱅크(108)는 각 화소영역(P1~P3)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1뱅크(107)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화소영역(P1~P3)의 장축방향 보다 단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제1뱅크(107)는 각 화소영역(P1~P3) 내에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을 가두는 역할을 하고, 제2뱅크(108)는 각 화소영역(P1~P3) 내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 때, 제1 및 제2뱅크(107, 108)는 폴리아크릴(polyacryl),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마이드(PA), 벤조사이클로부텐(BCB) 및 페놀수지 등의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처리를 통해 그 상부면은 소수성을 가지며 그 측벽은 친수성을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또한, 유기발광층(110)은 제1전극(105) 상부에 배치되고, 제2전극(미도시)은 유기발광층(110) 상부에 배치된다.The organic
한편, 유기발광층(110)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 또는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방식 등의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적층된다.On the other hand, the organic
이하,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유기발광층(110)이 적층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process of laminating the organic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을 화소영역(P1)의 제1전극(105) 상부에 드롭핑(dropping) 한다.First, as shown in FIG. 4A, the organic light emitting
이 때,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의 퍼짐성이 클수록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이 화소영역(P1) 전체에 골고루 퍼져 유기발광층(110)의 두께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spreading property of the dropping organic light emitting
이러한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의 퍼짐성은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의 표면장력과,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109)과 접촉하는 화소영역(P1)에 배치된 제1전극(105)과, 화소영역(P1) 경계부에 배치된 제1뱅크(107)와, 화소영역(P1) 중앙부에 배치된 제2뱅크(108)의 표면에너지에 의해 결정된다.The spreading property of the organic
즉,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의 표면장력이 작을수록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의 퍼짐성이 좋아지고,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109)과 접촉하는 면의 표면에너지가 클수록 퍼짐성이 좋아진다.That is, the smaller the surface tension of the organic
한편, 표면장력이 작은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은 건조 과정에서 불균일하게 건조되어 유기발광층(110)의 두께 균일성(uniformity)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표면장력이 비교적 큰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을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rganic
또한, 유기발광물질용액(109)과 접촉하는 면의 표면에너지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제1 및 제2뱅크(107, 108) 상부면 < 제1전극(105) < 제1 및 제2뱅크(107, 108)의 측벽 순이다.When the surface energy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rganic
이와 같이, 각 화소영역(P1~P3) 경계부에 배치된 제1뱅크(107)의 상부면은, 가장 작은 표면에너지를 가짐으로써, 각 화소영역(P1~P3)의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이 화소영역(P1)의 제1전극(105)에 전체적으로 퍼지게 되는 최소의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의 드롭(drop) 수를 최소 드롭(drop)수라 하고, 목표로 하는 유기발광층(110)의 두께를 형성하기 위한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의 드롭(drop) 수를 목표두께 드롭(drop)수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op amou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이 때, 화소영역(P1) 중앙부에 배치된 제2뱅크(108) 측벽은 제1뱅크(107) 측벽과 마찬가지로 가장 작은 표면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제2뱅크(108) 양 측벽은 분할된 화소영역(P1)에 각각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이 화소영역(P1)의 장축방향 또는 단축방향에 각각 위치한 제1뱅크(107) 양 측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since the side wall of the
즉, 제2뱅크(108)가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109)의 퍼짐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최소 드롭(drop)수가 목표두께 드롭(drop)수 보다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by improving the spread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이에 따라,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과정 후 유기발광층(110)의 두께를 목표두께(T)로 형성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b), after the drying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제 2 실시예>≪ Embodiment 2 >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a는 도5의 Ⅵa-Ⅵ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5의 Ⅵb-Ⅵ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a-VIa in FIG. 5, and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b- Sectional view.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는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을 포함하는 기판(201)과, 기판(201) 상의 각 화소영역(P1~P3)에 배치되는 제1전극(205)과, 각 화소영역(P1~P3)을 구획하며 각 화소영역(P1~P3)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1뱅크(207)와, 제1전극(205)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208)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하,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이 각각 다른 색을 표시하며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P1 to P3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ach displaying a different color.
구체적으로, 제1뱅크(207)는 제1전극(205) 가장자리를 덮으며 기판(201) 상에 배치되고, 제2뱅크(208)는 제3화소영역(P3)의 단축방향에 위치한 제1뱅크(207) 중앙부를 연결하며 제3화소영역(P3)의 제1전극(205) 상부에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또한, 도면과 달리, 제2뱅크(208)는 제1 또는 제2화소영역(P1, P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 중 하나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Also, unlike the drawing, the
한편, 각 화소영역(P1~P3) 중 발광효율이 낮은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되는 화소영역의 경우,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화소영역 대비 면적을 넓게 형성하기 때문에, 후술할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ixel region i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the low luminous efficiency is arranged among the pixel regions P1 to P3, the area of the pixel region is wider than the other pixel regions in order to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The spread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may be lowered.
이에 따라, 제2뱅크(208)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화소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와 같이, 제3화소영역(P3)이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보다 더 큰 면적을 갖기 때문에 제3화소영역(P3)에 제2뱅크(208)가 배치되며, 제3화소영역(P1~P3)은 제2뱅크(208)에 의해 분할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hird pixel region P3 has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and second pixel regions P1 and P2, the
또한, 제1 및 제2뱅크(207, 208)는 함께 형성됨으로써, 동일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또한, 제2뱅크(208)를 제1뱅크(207) 형성시 함께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한편, 제2뱅크(208)는 제3화소영역(P3)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제3화소영역(P3)의 개구율을 저하시키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2뱅크(208)의 폭을 최소화해야 한다.The
이를 위해, 제2뱅크(208)는 각 화소영역(P1~P3)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1뱅크(207)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the
또한, 제1뱅크(207)는 각 화소영역(P1~P3) 내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가두는 역할을 하고, 제2뱅크(208)는 제3화소영역(P3) 내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 때, 제1 및 제2뱅크(207, 208)는 폴리아크릴(polyacryl),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마이드(PA), 벤조사이클로부텐(BCB) 및 페놀수지 등의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처리를 통해 그 상부면은 소수성을 가지며 그 측벽은 친수성을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또한, 유기발광층(210)은 제1전극(205) 상부에 배치되고, 제2전극(미도시)은 유기발광층(210) 상부에 배치된다.The organic
한편, 유기발광층(210)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 또는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방식 등의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적층된다.Meanwhile, the organic
이하,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유기발광층(210)이 적층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process of laminating the organic
먼저,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205) 상부에 드롭핑(dropping) 한다.First,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is dropped onto the
이 때,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이 클수록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각 화소영역(P1~P3) 전체에 골고루 퍼져 유기발광층(210)의 두께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spread of the dropped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not shown) increases,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not shown) uniformly spreads throughout the pixel regions P1 to P3, The uniformity can be improved.
이러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은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표면장력과,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과 접촉하는 각 화소영역(P1~P3)에 배치된 제1전극(205)과, 각 화소영역(P1~P3) 경계부에 배치된 제1뱅크(207)와, 제3화소영역(P3) 중앙부에 배치된 제2뱅크(208)의 표면에너지에 의해 결정된다.The spreading proper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depends on the surface tens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and the pixel areas P1 to P3 in contact with the dropping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A
즉,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표면장력이 작을수록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이 좋아지고,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과 접촉하는 면의 표면에너지가 클수록 퍼짐성이 좋아진다.That is, the smaller the surface tension of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not shown), the better the spreadability of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not shown) and the better the surface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ropp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The larger the energy, the better the spreadability.
한편, 표면장력이 작은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은 건조 과정에서 불균일하게 건조되어 유기발광층(210)의 두께 균일성(uniformity)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표면장력이 비교적 큰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not shown) having a small surface tension is unevenly dried during the drying process to lower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또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과 접촉하는 면의 표면에너지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제1 및 제2뱅크(207, 208) 상부면 < 제1전극(205) < 제1 및 제2뱅크(207, 208)의 측벽 순이다.In addition, when the surface energy of the surface contacting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not shown) is compare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이와 같이, 각 화소영역(P1~P3) 경계부에 배치된 제1뱅크(207)의 상부면은, 가장 작은 표면에너지를 가짐으로써, 각 화소영역(P1~P3)의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205)에 전체적으로 퍼지게 되는 최소의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드롭(drop) 수를 최소 드롭(drop)수라 하고, 목표로 하는 유기발광층(210)의 두께를 형성하기 위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드롭(drop) 수를 목표두께 드롭(drop)수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op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in which the dropping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is spread over the
이 때, 제3화소영역(P3) 중앙부에 배치된 제2뱅크(208) 측벽은 제1뱅크(207) 측벽과 마찬가지로 가장 작은 표면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제2뱅크(208) 양 측벽은 분할된 제3화소영역(P3)에 각각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제3화소영역(P3)의 장축방향에 각각 위치한 제1뱅크(207) 양 측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since the side wall of the
즉, 제2뱅크(208)가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최소 드롭(drop)수가 목표두께 드롭(drop)수 보다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by improving the spread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in which the
이에 따라,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과정 후 유기발광층(210)의 두께를 목표두께(T)로 형성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6B, after the drying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또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화소영역(P1)은 제3화소영역(P3) 보다 작은 면적을 갖기 때문에, 제1화소영역(P1)에 제2뱅크(208)가 배치되지 않더라도 제1화소영역(P1)의 제1전극(205) 상부에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은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6A, since the first pixel region P1 has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third pixel region P3, even if the
이에 따라, 건조 과정 후 목표두께(T)를 갖는 유기발광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화소영역(P2)도 마찬가지이다.Accordingly, the organic
<제 3 실시예>≪ Third Embodiment >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8a는 도7의 Ⅷa-Ⅷ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7의 Ⅷb-Ⅷ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VIIIa-VIIIa of FIG. 7, and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VIIIb- Sectional view.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는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을 포함하는 기판(301)과, 기판(301) 상의 각 화소영역(P1~P3)에 배치되는 제1전극(305)과, 각 화소영역(P1~P3)을 구획하며 각 화소영역(P1~P3)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1뱅크(307)와, 제1전극(305)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308)를 포함한다.3,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하,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이 각각 다른 색을 표시하며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P1 to P3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ach displaying a different color.
구체적으로, 제1뱅크(307)는 제1전극(305) 가장자리를 덮으며 기판(301) 상에 배치되고, 제2뱅크(308)는 제3화소영역(P3)의 장축방향에 위치한 제1뱅크(307) 중앙부를 연결하며 제3화소영역(P3)의 제1전극(305) 상부에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또한, 도면과 달리, 제2뱅크(308)는 제1 또는 제2화소영역(P1, P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 중 하나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Also, unlike the drawing, the
한편, 각 화소영역(P1~P3) 중 발광효율이 낮은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되는 화소영역의 경우,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화소영역 대비 면적을 넓게 형성하기 때문에, 후술할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ixel region i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the low luminous efficiency is arranged among the pixel regions P1 to P3, the area of the pixel region is wider than the other pixel regions in order to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The spread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may be lowered.
이에 따라, 제2뱅크(308)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화소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와 같이, 제3화소영역(P3)이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보다 더 큰 면적을 갖기 때문에 제3화소영역(P3)에 제2뱅크(308)가 배치되며, 제3화소영역(P1~P3)은 제2뱅크(308)에 의해 분할된다.Since the third pixel region P3 has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and second pixel regions P1 and P2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제1 및 제2뱅크(307, 308)는 함께 형성됨으로써, 동일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또한, 제2뱅크(308)를 제1뱅크(307) 형성시 함께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한편, 제2뱅크(308)는 제3화소영역(P3)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제3화소영역(P3)의 개구율을 저하시키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2뱅크(308)의 폭을 최소화해야 한다.The
이를 위해, 제2뱅크(308)는 각 화소영역(P1~P3)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1뱅크(307)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the
또한, 제1뱅크(307)는 각 화소영역(P1~P3) 내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가두는 역할을 하고, 제2뱅크(308)는 제3화소영역(P3) 내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 때, 제1 및 제2뱅크(307, 308)는 폴리아크릴(polyacryl),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마이드(PA), 벤조사이클로부텐(BCB) 및 페놀수지 등의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처리를 통해 그 상부면은 소수성을 가지며 그 측벽은 친수성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또한, 유기발광층(310)은 제1전극(305) 상부에 배치되고, 제2전극(미도시)은 유기발광층(310) 상부에 배치된다.The organic
한편, 유기발광층(310)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 또는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방식 등의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적층된다.Meanwhile, the organic
이하,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유기발광층(310)이 적층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process of laminating the organic
먼저,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305) 상부에 드롭핑(dropping) 한다.First,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is dropped onto the
이 때,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이 클수록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각 화소영역(P1~P3) 전체에 골고루 퍼져 유기발광층(310)의 두께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spreadability of the dropped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not shown) increases,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not shown) uniformly spreads throughout the pixel regions P1 to P3, The uniformity can be improved.
이러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은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표면장력과,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과 접촉하는 각 화소영역(P1~P3)에 배치된 제1전극(305)과, 각 화소영역(P1~P3) 경계부에 배치된 제1뱅크(307)와, 제3화소영역(P3) 중앙부에 배치된 제2뱅크(308)의 표면에너지에 의해 결정된다.The spreading proper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depends on the surface tens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and the pixel areas P1 to P3 in contact with the dropping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A
즉,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표면장력이 작을수록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이 좋아지고,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과 접촉하는 면의 표면에너지가 클수록 퍼짐성이 좋아진다.That is, the smaller the surface tension of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not shown), the better the spreadability of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not shown) and the better the surface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ropp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The larger the energy, the better the spreadability.
한편, 표면장력이 작은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은 건조 과정에서 불균일하게 건조되어 유기발광층(310)의 두께 균일성(uniformity)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표면장력이 비교적 큰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not shown) having a small surface tension is unevenly dried in the drying process to lower the thickness uniformity of the organic
또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과 접촉하는 면의 표면에너지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제1 및 제2뱅크(307, 308) 상부면 < 제1전극(305) < 제1 및 제2뱅크(307, 308)의 측벽 순이다.In addition, when the surface energy of the surface contacting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solution (not shown) is compare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이와 같이, 각 화소영역(P1~P3) 경계부에 배치된 제1뱅크(307)의 상부면은, 가장 작은 표면에너지를 가짐으로써, 각 화소영역(P1~P3)의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305)에 전체적으로 퍼지게 되는 최소의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드롭(drop) 수를 최소 드롭(drop)수라 하고, 목표로 하는 유기발광층(310)의 두께를 형성하기 위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드롭(drop) 수를 목표두께 드롭(drop)수라 한다.On the other hand, a drop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in which a dropping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is spread over the
이 때, 제3화소영역(P3) 중앙부에 배치된 제2뱅크(308) 측벽은 제1뱅크(307) 측벽과 마찬가지로 가장 작은 표면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제2뱅크(308) 양 측벽은 분할된 제3화소영역(P3)에 각각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제3화소영역(P3)의 단축방향에 각각 위치한 제1뱅크(307) 양 측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since the side wall of the
즉, 제2뱅크(308)가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최소 드롭(drop)수가 목표두께 드롭(drop)수 보다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by increasing the spread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olution (not shown) in which the
이에 따라,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과정 후 유기발광층(310)의 두께를 목표두께(T)로 형성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8B, after the drying process, the organic
또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화소영역(P1)은 제3화소영역(P3) 보다 작은 면적을 갖기 때문에, 제1화소영역(P1)에 제2뱅크(308)가 배치되지 않더라도 제1화소영역(P1)의 제1전극(305) 상부에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퍼짐성은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8A, since the first pixel region P1 has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third pixel region P3, even if the
이에 따라, 건조 과정 후 목표두께(T)를 갖는 유기발광층(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화소영역(P2)도 마찬가지이다.Accordingly, the organic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 기판
105 : 제1전극
107, 108 : 제1 및 제2뱅크
110 : 유기발광층101: substrate
105: first electrode
107, 108: first and second banks
110: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laims (8)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제1 내지 제3화소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가장자리를 덮으며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제1 내지 제3화소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1뱅크;
상기 제1 내지 제3화소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화소영역의 단축방향 또는 장축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제1뱅크 중앙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 및
상기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
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A substrate including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each of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on the substrate;
A first bank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edge and surrounding the first through third pixel regions on the substrate;
A second bank connected to the first bank central portion located in a minor axis direction or a major axis direction of at least one pixel region of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and disposed abov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상기 제3화소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화소영역 보다 면적이 크며, 상기 제2뱅크는 상기 제3화소영역에 배치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pixel region is larger in area than the first and second pixel regions, and the second bank is disposed in the third pixel region.
상기 제2뱅크는 상기 제1 내지 제3화소영역 경계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뱅크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bank has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bank disposed at each of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 boundaries.
상기 제1 및 제2뱅크는 동일물질로 이루어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anks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상기 제1 및 제2뱅크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anks are made of an organic material.
상기 제1 및 제2뱅크 상부면은 소수성을 가지며, 그 측벽은 친수성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nks are hydrophobic and the side walls thereof are hydrophilic.
상기 제1 및 제2뱅크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anks have the same height.
상기 유기발광층 상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
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electr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91647A KR102587743B1 (en) | 2015-12-31 | 2015-12-31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91647A KR102587743B1 (en) | 2015-12-31 | 2015-12-31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0288A true KR20170080288A (en) | 2017-07-10 |
KR102587743B1 KR102587743B1 (en) | 2023-10-10 |
Family
ID=5935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91647A KR102587743B1 (en) | 2015-12-31 | 2015-12-31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774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1689A (en) * | 2018-10-12 | 2020-04-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US10665648B2 (en) | 2017-12-29 | 2020-05-26 | Lg Display Co., Ltd. | Electroluminescense display device |
CN113097249A (en) * | 2019-12-23 | 2021-07-09 | 乐金显示有限公司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US11094754B2 (en) | 2018-12-31 | 2021-08-17 | L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64864A (en) * | 2004-12-10 | 2006-06-22 | Seiko Epson Corp |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JP2010177156A (en) * | 2009-02-02 | 2010-08-12 | Seiko Epson Corp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2015
- 2015-12-31 KR KR1020150191647A patent/KR10258774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64864A (en) * | 2004-12-10 | 2006-06-22 | Seiko Epson Corp |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JP2010177156A (en) * | 2009-02-02 | 2010-08-12 | Seiko Epson Corp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65648B2 (en) | 2017-12-29 | 2020-05-26 | Lg Display Co., Ltd. | Electroluminescense display device |
KR20200041689A (en) * | 2018-10-12 | 2020-04-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US11094754B2 (en) | 2018-12-31 | 2021-08-17 | L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
CN113097249A (en) * | 2019-12-23 | 2021-07-09 | 乐金显示有限公司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US11812639B2 (en) | 2019-12-23 | 2023-11-07 | Lg Display Co., Ltd.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7743B1 (en) | 2023-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5577B1 (en) |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457536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2280423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US9741775B2 (en) | Display device | |
CN106328679B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US9923036B2 (en) |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CN108461526B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 |
CN108258012B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EP3878017B1 (en) | Display substrates and display devices | |
US11056550B2 (en) |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module | |
CN106935629B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US10923684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microlense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20170003458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2151609B1 (en) |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WO2015072063A1 (en) | Organic el display panel,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 |
CN113130585B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JP6599306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KR20170080288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KR101972306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20230142409A1 (en) |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sk plate | |
KR102593711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KR101780009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CN108962939B (en) | Pixel unit, display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102478821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2523534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