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079590A -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 Google Patents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590A
KR20170079590A KR1020150190332A KR20150190332A KR20170079590A KR 20170079590 A KR20170079590 A KR 20170079590A KR 1020150190332 A KR1020150190332 A KR 1020150190332A KR 20150190332 A KR20150190332 A KR 20150190332A KR 20170079590 A KR20170079590 A KR 20170079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horizontal
iron core
ba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4947B1 (ko
Inventor
김도진
박철준
이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5019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947B1/ko
Priority to PCT/KR2016/015064 priority patent/WO2017116068A1/ko
Priority to US16/067,437 priority patent/US10910148B2/en
Publication of KR2017007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3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gulation Of General Use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강판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일부에는 서로 폭을 달리하는 단차부(S)가 형성되는 철심(P)과, 상기 단차부(S)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개의 강판 사이에 체결력을 높이는 소음저감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소음저감수단은 상기 철심(P)의 단차부(S)에 안착되되 상기 강판이 적층되는 방향으로 평면형상의 수평가압면(31)을 갖는 가압바(30)와, 상기 가압바(30)를 포함하는 철심(P)의 외면을 감싸 상기 가압바(30)를 상기 강판의 적층방향으로 가압하는 바인딩(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소음저감수단의 가압바(30)에는 철심(P)의 적층방향으로 평면형태의 가압면이 형성되어, 넓은 면적에서 안정적으로 철심(P)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철심(P)을 구성하는 강판 사이의 압착력이 높아지고 에어갭이 줄어들어, 철심(P)의 진동 및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저감된다.

Description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Transformer having noise reduction means}
본 발명은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를 구성하는 철심의 적층구조에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하여 진동 및 소음을 감소한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는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력계통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된다. 이와 같은 변압기는 전력의 안정된 공급을 위해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 변압기의 내외부로는 고전압이 전달되는 도선들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변압기는 코어몸체와 이를 감싸는 권선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코어몸체는 요크와 상기 요크의 하부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레그로 구성되고, 레그의 외주면에는 이를 둘러 권선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요크와 레그는 다수의 강판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변압기의 철심은 얇은 규소 강판 등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인데, 각 강판 사이에 존재하는 공차에 의한 에어갭(air-gap)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각 강판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바인딩을 이용하여 철심들 사이의 결속력을 높이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1151호에는 강판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바인딩을 사용하되, 다수의 강판이 구성하는 각 단의 함몰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 바를 설치하여 함몰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공차를 줄이고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할 경우에 라운드바는 각 강판의 적층방향 뿐 아니라, 이와 직교한 방향(법선 방향)으로도 힘이 인가되어 전체 접착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칫 각 단의 함몰 모서리 부분에서 라운드바가 강판 사이를 벌어지게 만들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115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압기를 구성하는 철심의 적층방향으로 체결력이 집중되는 소음저감수단을 이용하여 변압기의 진동과 소음을 줄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개의 강판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일부에는 서로 폭을 달리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철심과, 상기 단차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개의 강판 사이에 체결력을 높이는 소음저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수단은 상기 철심의 단차부에 안착되되 상기 강판이 적층되는 방향으로 평면형상의 수평가압면을 갖는 가압바와, 상기 가압바를 포함하는 철심의 외면을 감싸 상기 가압바를 상기 강판의 적층방향으로 가압하는 바인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바는 상기 단차부의 수평면에 대응되어 상기 강판을 적층방향으로 가압하는 수평가압면과, 상기 단차부의 수직면에 대응되어 적층된 강판의 측면부를 가압하는 수직가압면과, 상기 단차부의 수평면 또는 수직면에 접하지 않되 상기 바인딩에 밀착되는 비가압면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바의 횡단면은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비가압면은 곡면형상이다.
상기 단차부의 수평면과 수직면의 길이가 같다면 상기 단차부의 수평면의 길이가 상기 가압바의 횡단면을 형성하는 부채꼴형상의 반경이 되고, 상기 단차부의 수평면과 수직면의 길이가 다르다면 상기 수평면 일단과 수직면의 일단을 가로지르는 대각선의 길이의 1.02배~1.05배의 길이가 상기 가압바의 횡단면을 형성하는 부채꼴형상의 호의 길이가 된다.
상기 가압바의 외면 중 일부는 상기 강판이 적층되는 방향으로 평면형상을 갖는 수평가압면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바인딩에 밀착되되 상기 철심과 접촉되지 않는 바가압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바의 비가압면은 상기 수평가압면의 상부로 갈수록 상기 단차부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압바의 횡단면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가압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고 비가압면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바의 외면 중에서 상기 단차부의 수평면 또는 수직면과 접하지 않는 비가압면은 상기 바인딩이 결속되는 경로보다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바인딩이 상기 철심에 결합되면 상기 바인딩이 상기 비가압면을 가압한다.
상기 단차부의 수직면에는 에폭시 수지가 도포되어 접착층이 형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수단이 구비된 변압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소음저감수단의 가압바에는 철심의 적층방향으로 평면형태의 가압면이 형성되어, 넓은 면적에서 안정적으로 철심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철심을 구성하는 강판 사이의 압착력이 높아지고 에어갭이 줄어들어, 철심의 진동 및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소음저감수단의 가압바가 철심의 적층방향 뿐 아니라 이와 법선 방향인 단차부의 측면방향으로도 평면형태의 수직가압면을 가짐으로써 가압바가 단차부의 전체외면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철심의 조립완성도를 높이게 된다.
특히, 철심의 단차부 측면에 형성된 에폭시 수지로 형성된 접착층을 가압바의 수직가압면이 안정적으로 눌러줌으로써 철심이 적층 방향 및 이와 직교한 방향으로 모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결합력이 높아짐으로써 결과적으로 다소의 설계오차가 있더라도 소음저감수단을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의 일실시례의 전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음저감수단의 제1실시례가 적용된 철심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음저감수단의 제2실시례 내지 제4실시례가 적용된 철심의 요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음저감수단의 제5실시례가 적용된 철심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음저감수단의 제5실시례의 적용시 철심의 단차부 형상에 따라 가압바의 형태를 계산하는 방식을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수단이 구비된 변압기의 전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변압기의 변압기본체(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는 변압기를 구성하는 주요 부분이 구비된다. 본 명세서에는 편의상 주요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의 주된 골격은 철심(P)이 구성하는데, 상기 철심(P)은 다시 레그(10)와 요크(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철심(P)에는 권선들이 구비된다. 상기 레그(10)는 도 1에서 보듯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레그(10)에는 권선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그(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요크(20)가 구비된다. 상기 요크(20)는 상기 다수개의 레그(10)를 가로질러 구비되는데, 레그(10)의 상단 또는 하단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두 요크(2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레그(10)와 요크(20)는 다수개의 강판들이 적층된 후에 서로 엇갈리도록 끼워져 조립되어 구성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강판이 적층되어 하나의 코어를 구성함으로써 레그(10)와 요크(20)가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레그(10)와 요크(20)는 다수의 강판이 적층되어 구성될 뿐, 그 구조는 매우 다양한 실시례가 가능하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요크(20)는 다수개의 강판으로 이루어져 외면에 단차부(S) 형상이 형성된다.
상기 요크(20)의 외면은 프레임(50)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프레임(50)은 상기 요크(20)의 양측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도 1에서 보듯이, 하부의 요크(30)에도 동일하게 프레임(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20)의 양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요크(20)를 그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철심(P)을 구성하는 상기 레그(10)와 요크(20)는 모두 다수개의 강판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즉, 다수의 얇은 판상의 강판들이 적층되어 레그(10)와 요크(20)를 형성하여 하나의 변압기 코어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강판은 얇은 규소 강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철심(P)을 구성하는 레그(10)와 요크(20)에는 단차부(S)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S)는 상기 다수개의 강판이 적층된 철심(P)의 모서리에 돌출된 정도가 달라 형성되는 것으로, 레그(10) 및 요크(20)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S)는 철심(P)의 결합력에 취약한 부분이다. 상기 단차부(S)는 적층된 강판을 바인딩(90)으로 감싸 고정할 때 바인딩(90)이 정확하게 감아 밀착시키기 어려우며, 설계 오차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진동과 진동으로 인한 소음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소음저감수단으로 이를 해결한다.
상기 소음저감수단은 철심(P)을 둘러 체결력을 높이는 바인딩(90)과, 철심(P)의 단차부(S)에 삽입되는 가압바(30)를 포함한다. 상기 바인딩(90)과 가압바(30)는 협력하여 상기 철심(P)을 구성하는 강판이 적층되는 방향으로 체결력을 더하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보듯이, 바인딩(90)이 철심(P)을 둘러 감싸고, 모서리에 형성된 단차부(S)에는 가압바(30)가 구비된다. 단차부(S) 및 가압바(30)의 자세한 형상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가압바(30)의 제1실시례로서, 대략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가압바(30)는 철심(P)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세장형구조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압바(30)는 압출강화목으로 구성되나,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다.
참고로 단차부(S)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단차부(S)는 철심(P)을 구성하는 강판이 적층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수평면(S1)과, 이와 직교하여 철심(P)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수직면(S2)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수평면(S1)과 수직면(S2)은 단차부(S)의 수평면(S1)과 수직면(S2)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가압바(30)는 상기 단차부(S)를 메워 바인딩(90)에 의해 철심(P)이 감길 때 바인딩(90)이 단차부(S)를 철심(P) 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바(30)는 상기 철심(P)의 단차부(S)에 안착되되 상기 강판이 적층되는 방향으로 평면형상의 수평가압면(31)을 갖는다. 상기 수평가압면(31)은 상기 단차부(S)의 수평면(S1)에 마주하는 부분으로, 평면형상을 가짐으로써 도 3의 화살표에서 보듯이 강판이 적층되는 방향인 하부로 강판을 강하게 눌러줄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압바(30)의 외면 중 일부는 상기 강판이 적층되는 방향으로 평면형상을 갖는 수평가압면(31)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바인딩(90)에 밀착되되 상기 철심(P)과 접촉되지 않는 바가압면(35)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비가압면은 상기 철심(P)의 단차부(S)와 접촉하지 않으나 바인딩(90)과 선접촉 또는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가압바(30) 전체가 단차부(S) 방향으로 밀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바(30)는 반원형상의 횡단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가압바(30)의 비가압면(35)은 상기 가압면의 상부로 갈수록 상기 단차부(S)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인딩(90)에 의해 가압바(30)가 눌리는 힘은 온전히 수평방향, 즉 강판이 적층되는 방향으로 집중됨으로써 강판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고 에어갭을 줄일 수 있다. 참고로 도면부호 11, 13, 15는 철심(P)이 높이를 달리하여 단차를 형성하는데, 철심(P)의 각 층을 의미한다.
한편, 도 4에는 상기 가압바의 서로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는 가압바(130)가 부채꼴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제2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가압바(130)에는 수평가압면(131)이 형성되고, 비가압면(135)은 단차부(S)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바인딩(90)에 의해 눌릴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4(b)의 제3실시례에서는 상기 가압바(230)의 횡단면이 대략 부채꼴형태이나, 수평가압면(231)과 함께 소정 높이의 수직가압면(237)도 함께 가지고 있다. 상기 수직가압면(237)은 상기 단차부(S)의 수직면(S2)과 접하여 수직면(S2)을 눌러주게 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비가압면(235)이 바인딩(90)에 의해 눌리는 힘은 수평가압면(31)과 함께 수직가압면(237)에 전해져 단차부(S)의 수직면(S2)을 어느 정도 눌러줄 수 있다.
도 4(c)의 제4실시례에서는 상기 가압바(330)의 횡단면이 반원형태이되, 정확한 반원형태를 갖지 않고, 어느 일측으로 더 돌출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압바(330)의 외면 중에서 상기 단차부(S)의 수평면(S1) 또는 수직면(S2)과 접하지 않는 비가압면(335)의 일부(335')는 상기 바인딩(90)이 결속되는 경로보다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바인딩(90)이 상기 철심(P)에 결합되면 상기 바인딩(90)이 상기 비가압면(335)을 가압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도 4(c)의 실시례에 도시된 가압바(330)의 횡단면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지 않는 형태이다. 이는 상기 비가압면(335)이 상기 바인딩(90)에 의해 더욱 강하게 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한편, 도 5에는 소음저감수단의 제5실시례가 적용된 철심(P)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소음저감수단을 구성하는 가압바(430)의 횡단면은 대략 원의 1/4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바(430)는 단차부(S)의 수평면(S1) 뿐 아니라, 수직면(S2)을 함께 가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압바(430)는 상기 단차부(S)의 수평면(S1)에 대응되어 상기 강판을 적층방향으로 가압하는 수평가압면(431)과, 상기 단차부(S)의 수직면(S2)에 대응되어 적층된 강판의 측면부를 가압하는 수직가압면(433)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가압면(431)과 수직가압면(433)은 각각 단차부(S)의 수평면(S1) 및 수직면(S2)에 대응되는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수평면(S1)과 수직면(S2)을 안정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바(430)의 나머지 부분은 비가압면(435)으로 구성되어, 상기 단차부(S)의 수평면(S1) 또는 수직면(S2)에 접하지 않되 상기 바인딩(90)에 밀착된다. 상기 비가압면(435)은 상기 바인딩(90)과 선접촉 또는 면접촉함으로써 가압바(430)가 수평면(S1) 방향과 수직면(S2) 방향으로 동시에 강하게 밀릴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차부(S)는 반드시 수평면(S1)과 수직면(S2)이 같은 길이를 가지진 않으며, 설계에 따라 수평면(S1) 또는 수직면(S2) 중 어느 하나가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가압바(430)의 형상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차부(S)의 수평면(S1)과 수직면(S2)의 길이가 다르다면, 상기 가압바(430)의 횡단면인 부채꼴형상의 호의 길이는 상기 수평면(S1) 일단과 수직면(S2)의 일단을 가로지르는 대각선의 길이(l1)의 1.02배~1.0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가압바(430)의 횡단면인 부채꼴형상의 호의 길이가 대각선 길이(l1) 보다 길어야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바인딩(90)에 의해 눌릴 수 있기 때문인데, 그 정도가 대각선 길이(l1)의 1.02배~1.05배인 경우에 가장 안정적으로 눌릴 수 있다.
도 6에는 단차부(S)의 형태에 따른 가압바(430)의 횡단면형상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서 보듯이, 수평면(S1)과 수직면(S2)이 갖은 경우에는 상기 가압바(430)의 횡단면형상은 중심각이 90°인 부채꼴형태이다.
그리고, 단차부(S)의 수평면(S1)과 수직면(S2)의 길이가 다르다면 도 6(b)와 같은 형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압바(430)의 횡단면인 부채꼴형상의 호의 길이는 상기 수평면(S1) 일단과 수직면(S2)의 일단을 가로지르는 대각선의 길이의 1.02배~1.05배인데, 1.02배일 경우에 부채꼴의 중심으로부터 대각선까지의 길이는 l2이고, 부채꼴의 반지름은 r2가 된다. 여기서 r2 및 l2의 정확한 값은 대각선의 길이(l1)과 호의 길이(l1의 1.02배)가 이미 정해져 있으므로 구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차부(S)의 수직면(S2), 즉 상기 강판이 적층된 측면부인 수평면에는 접착층(E)이 형성된다. 상기 접착층(E)은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물이 도포되어 형성된 것으로, 강판의 측면부를 보강하여 강판 전체의 체결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접착층(E)은 혹시 상기 강판들의 측면 사이에 설계오차나 제조상 오차에 의해 단차가 존재하더라도 이를 메울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제5실시례의 경우에 가압바(430)의 수직가압면(433)이 상기 접착층(E)을 강하게 눌러줄 수 있어, 접착층(E)에 의한 철심(P)의 체결력강화는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인딩(90)은 다수개의 강판이 적층된 철심(P) 외면을 강하게 감싸 고정하여, 강판 사이의 에어갭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상기 강판 사이의 에어갭으로 인한 진동이나 발열이 감소된다.
이때, 상기 바인딩(90)은 상기 요크(20)와 레그(10)가 결합되는 결합부에 인접한 위치, 바람직하게는 결합부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결합된다. 이는, 상기 바인딩(90)이 상기 요크(20)를 구성하는 강판들의 고정뿐 아니라, 상기 요크(20)와 레그(10) 사이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요크(20)와 레그(10)가 서로 겹치는 부분을 직접 가압하도록 해당 결합부에 바인딩(90)을 감는 것이 더 체결력을 높일 수 있으나, 레그(10)와 간섭되어 결합부를 직접 감싸 고정하는 것은 어렵다. 상기 바인딩(90)의 재질은 섬유, 합성수지, 실리콘, 금속 등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음저감수단에 의해 철심이 가압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강판과 강판 사이에는 공차에 의한 에어갭(air-gap)이 존재한다. 그리고, 강판과 강판 사이의 에어갭은 자속밀도를 증가 또는 포화시키고, 작동과정에서 변압기의 진동 및 소음, 그리고 발열량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변압기의 작동 중에 소음이 증가하면 이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소음저감수단을 이용하게 되는데, 소음저감수단은 압착바와 바인딩(90)으로 구성되어, 철심(P)의 단차부(S)를 메우고, 이를 감싸 고정함으로써, 철심(P)의 외면을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례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단차부(S)에 가압바(43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바인딩(90)이 감기게 되면, 상기 가압바(30)의 수평가압면(431)과 수직가압면(433)은 각각 단차부(S)의 수평면(S1)과 수직면(S2)에 강하게 밀착되어 눌리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면(S1)에 가해지는 힘은 강판 사이를 더욱 강하게 밀착시켜 체결력을 높이고, 수직면(S2)에 가해지는 힘은 접착층(E)을 눌러 강판들의 측면부 체결력을 높이게 된다.
이에 따라 단차부(S)는 전체적으로 체결력이 향상하고, 단차부(S)의 존재로 인하여 철심(P) 전체의 체결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히려 단차부(S)를 이용하여 철심(P) 전체의 조립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레그 20: 레그
30: 가압바 31: 수평가압면
35: 비가압면 90: 바인딩
433: 수직가압면 S: 단차부
S1: 수평면 S2: 수직면

Claims (9)

  1. 다수개의 강판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일부에는 서로 폭을 달리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철심과,
    상기 단차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개의 강판 사이에 체결력을 높이는 소음저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수단은
    상기 철심의 단차부에 안착되되 상기 강판이 적층되는 방향으로 평면형상의 수평가압면을 갖는 가압바와,
    상기 가압바를 포함하는 철심의 외면을 감싸 상기 가압바를 상기 강판의 적층방향으로 가압하는 바인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는 상기 단차부의 수평면에 대응되어 상기 강판을 적층방향으로 가압하는 수평가압면과, 상기 단차부의 수직면에 대응되어 적층된 강판의 측면부를 가압하는 수직가압면과, 상기 단차부의 수평면 또는 수직면에 접하지 않되 상기 바인딩에 밀착되는 비가압면을 포함하는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의 횡단면은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비가압면은 곡면형상인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수평면과 수직면의 길이가 같다면 상기 단차부의 수평면의 길이가 상기 가압바의 횡단면을 형성하는 부채꼴형상의 반경이 되고, 상기 단차부의 수평면과 수직면의 길이가 다르다면 상기 수평면 일단과 수직면의 일단을 가로지르는 대각선의 길이의 1.02배~1.05배의 길이가 상기 가압바의 횡단면을 형성하는 부채꼴형상의 호의 길이가 되는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의 외면 중 일부는 상기 강판이 적층되는 방향으로 평면형상을 갖는 수평가압면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바인딩에 밀착되되 상기 철심과 접촉되지 않는 바가압면으로 구성되는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의 비가압면은 상기 수평가압면의 상부로 갈수록 상기 단차부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형성되는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의 횡단면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가압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고 비가압면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의 외면 중에서 상기 단차부의 수평면 또는 수직면과 접하지 않는 비가압면은 상기 바인딩이 결속되는 경로보다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바인딩이 상기 철심에 결합되면 상기 바인딩이 상기 비가압면을 가압하는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수직면에는 에폭시 수지가 도포되어 접착층이 형성되는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KR1020150190332A 2015-12-30 2015-12-30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KR101794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32A KR101794947B1 (ko) 2015-12-30 2015-12-30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PCT/KR2016/015064 WO2017116068A1 (ko) 2015-12-30 2016-12-21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US16/067,437 US10910148B2 (en) 2015-12-30 2016-12-21 Transformer having noise reduc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32A KR101794947B1 (ko) 2015-12-30 2015-12-30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590A true KR20170079590A (ko) 2017-07-10
KR101794947B1 KR101794947B1 (ko) 2017-11-07

Family

ID=5922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332A KR101794947B1 (ko) 2015-12-30 2015-12-30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10148B2 (ko)
KR (1) KR101794947B1 (ko)
WO (1) WO2017116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8970B1 (ja) * 2016-04-19 2017-08-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変圧器
CN108010683A (zh) * 2017-12-27 2018-05-08 北方民族大学 一种机车用变压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0350A (en) * 1965-03-24 1968-02-27 Navy Usa Method of fastening cores of electromagnetic devices
US3270308A (en) * 1965-05-26 1966-08-30 Gen Electric Preformed magnetic core structure
US3568118A (en) * 1968-02-16 1971-03-02 Hitachi Ltd Transformer
US3783426A (en) * 1973-01-09 1974-01-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al inductive apparatus having rigid foam supporting members and methods of providing same
JPS5332326A (en) * 1976-09-06 1978-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Transformer iron core
JPH0295221U (ko) 1988-11-24 1990-07-30
JPH11111529A (ja) * 1997-10-08 1999-04-23 Toshiba Corp 静止誘導電器鉄心
JP3587033B2 (ja) 1997-11-06 2004-11-10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鉄心主脚の固定方法
JP2000077250A (ja) 1998-08-31 2000-03-14 Toshiba Corp 静止誘導電器の鉄心締付装置
KR200291151Y1 (ko) 2002-07-08 2002-10-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변압기용 철심
KR20120129148A (ko) 2011-05-19 2012-11-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변압기 코어 진동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6068A1 (ko) 2017-07-06
KR101794947B1 (ko) 2017-11-07
US20190006093A1 (en) 2019-01-03
US10910148B2 (en)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8389B2 (ja) 積層コアおよびステータ
JP6301811B2 (ja) コイルとその製造方法、及びリアクトル
KR101794947B1 (ko)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KR101302830B1 (ko) 변압기의 철심
US8717139B2 (en) Transformer incorporated in electronic circuits
JP6483322B2 (ja) アモルファス変圧器及びそれに用いる積鉄心
JP2010103307A (ja) リアクトル
JP2019050327A (ja) 内鉄型変圧器の鉄心
WO2019123797A1 (ja) ハイブリッド鉄心変圧器
JP6320150B2 (ja) アモルファス変圧器
JP5969755B2 (ja) アモルファス鉄心変圧器
JP4802540B2 (ja) コア、リアクトル及びコア製造方法
KR102135201B1 (ko) 변압기
JPH02203507A (ja) 三相分路リアクトル鉄心
KR20160081573A (ko) 바인딩수단을 구비한 변압기
JPH0711460Y2 (ja) 巻鉄心変圧器
JP2006294829A (ja) リアクトル
JPS5914621A (ja) 誘導電器の分割鉄心
WO2017199350A1 (ja) 変圧器
CN210668035U (zh) 电抗器
JPH0574634A (ja) 変圧器
JP2011211102A (ja) リアクトル
KR101904100B1 (ko) 변압기의 철심
JPH11111529A (ja) 静止誘導電器鉄心
JPH01249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