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078971A -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971A
KR20170078971A KR1020150188838A KR20150188838A KR20170078971A KR 20170078971 A KR20170078971 A KR 20170078971A KR 1020150188838 A KR1020150188838 A KR 1020150188838A KR 20150188838 A KR20150188838 A KR 20150188838A KR 20170078971 A KR20170078971 A KR 20170078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display unit
measuring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087B1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8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0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11/0009
    • F24F11/0017
    • F24F11/008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7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removing rad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7/0281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7/0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7/3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on the outer surface of cylindrical surfaces, e.g. rod-shaped supports having a circular or a polygonal cross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8Rad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사용자기 위치하는 지역의 라돈 농도에 따라 라돈 농도의 초기치에 따라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공기 정화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부, 실내 및 실외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정화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측정 지수를 산출하고 하나의 지수로 환산한 환산 지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 정화장치에서 측정 결과를 하나의 지수로 환산하고, 디스플레이부에서 다양한 점등 패턴으로 표시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환경이 오염되며, 생활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욕구는 점점 커져만 가고 있는데, 아직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공기질을 개선하는 방법론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하겠다. 일 예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활하게 되는 실내의 공기질을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열고 닫는 동작을 통해서 실내 공기가 단순히 환기되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재실자가 없거나 야간 취침 시 방범을 위해 창을 완전히 닫아 밀폐하는 경우에는 실내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들의 환기 또는 제거가 불가능하고, 각종 오염물질은 그대로 실내에 존재하게 되어 각종 문제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도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방안으로 공기청정기가 일부 이용되고는 있으나, 이는 그 기능상 실내 공기질의 개선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수치를 가늠케 하는 측정센서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염물질량을 재실자가 수치로 확인하기가 곤란하여 효율적인 공기질 개선 관리가 불가능 하였다. 또한, 다른 방제나 청결 등과 연계되어 환경 개선이 이루어지지도 않고 있는 등 감각에 의존한 부분적인 공기질 개선 정도가 수행되고 있다고 하겠다. 특히, 공기청정기를 장기간 작동시킬 경우, 음이온(약 75%)과 더불어 방출되는 오존량(25%)이 계속 증가하여 재실자는 오히려 과다 공급되는 유기화합물 등을 흡입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더욱이 건강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가장 소중하고도 중요한 요소인 점은 누구나가 부인할 수 없는 엄연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생활 공간에서는 차량, 산업시설로부터 발생 배출되는 수 많은 공해 물질과 석유, 화학 관련 재료로 만들어진 건축자재, 가구, 전자 등의 생활 용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물질들이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고, 그 심각성은 갈수록 더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인간은 하루 24시간 중 약 80% 이상을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계속 생성하고, 그 생성된 오염 공기에 의해 실내의 오염 농도는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이 때 실내의 오염 농도가 적절하게 조절 또는 개선되지 않으면, 인간은 생활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오염된 공기를 마실 수 밖에 없어서 자신도 모르게 건강을 해치면서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물질들로는 아주 작은 물질을 포함하여 약 250여종이 있다. 그 중에서도 주택과 관련하여 보면, 각종 실내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되는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 라돈, 톨루엔, 벤젠,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포함하여 석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 등이 있다. 또한, 인간의 활동에서 보면,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가스의 발화나 인체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발 냄새와 각종 생활 용품에서의 미생물성 물질(대장균, 녹농균, 0-157, 살모넬라)과 휘발성 유기 오염물질, 기타 악취, 소음, 방사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해 피부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이나 두통 유발 등의 인체에 각종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음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여기서, 각종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들은 약1~5년 정도면 실내의 오염도가 허용 기준치 이하로 자연 소멸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공중위생관리법과 건축법에서 제시한 기준농도(CO2를 기준으로 1000ppm 이하) 이하로 낮아질 때까지의 공기질 개선이 문제가 된다. 또한, 인간의 활동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물질들은 없앨 수가 없다. 이는 생태적, 환경적 차원에서도 없어서는 안될 물질들이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인간 활동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들은 그 적정 기준치를 설정하여 이 허용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되는 경우, 즉시 재실자의 유무나 창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실내 공기질이 허용 기준치 이하로 낮추어지도록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는 인간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우리의 주택 구조 상 실내 공기가 자연 순환되도록 적정 설계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유해 공기의 자연 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결국 재실자는 호흡을 통해 적정 산소량보다 이산화탄소를 더 흡입하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호흡곤란이나 뇌 운동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라돈(Radon)의 경우, 천연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방사성 기체로서, 색깔이나 맛이 없고 냄새가 나지 않는 불활성기체로서 천연에 존재하는 기체 중에서 가장 무겁다. 다른 물질과 화학적으로는 반응을 하지 않으나 방사선을 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물리적으로는 매우 불안정하다. 또한 먼지 등의 미립자에 잘 달라붙어 떠돌아다니게 되며, 우리가 호흡을 하면 호흡기를 통하여 폐에 들어가게 된다. 라돈 기체와 그 붕괴 생성물인 짧은 반감기의 자손핵종들은, 장기간 누적하여 호흡 피폭될 경우 초과 폐암의 위험이 있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자연방사선은 인류 생활환경의 일부분으로서 인류의 자연방사선 피폭선량의 약 반 정도가 천연방사성 라돈과 그 자손핵종의 호흡 피폭에 의한 것이며, 인류가 실제로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산업활동에서 방출되는 인공방사선원에 의한 평균 피폭선량 보다 10 ~ 100 여배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내 라돈에 대한 조치준위(Action Level)는 각 나라마다 차이는 있지만, 미국의 경우 148 Bq/m3 (1 Bq/m3는 1 입방미터의 공기 중에 라돈의 원자핵이 1 초에 1개씩 핵붕괴를 하는 것을 의미)이며, 한국은 현재 시행 중인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상의 권고 기준이 4 pCi/L 이다.
WHO는 라돈은 폐암 발병의 원인으로서 기준치를 10배 강화 하였다. WHO는 2009년 9월 보고서를 통해 라돈은 담배에 이어 두 번째로 폐암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나라마다 측정 방법 등에 라돈이 폐암 발병의 원인이 되는 범위는 3∼14%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히 WHO는 "최근 과학적인 연구 자료를 토대로, 실내 라돈 방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허용 기준치를 입방미터 당 100 베크렐(Bq)로 낮출 것을 권고 한다"며 "만약 각국의 사정상 이 기준을 맞출 수 없는 경우에도 입방미터 당 300 Bq를 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WHO는 또한 건물 설계와 건축시 주의를 기울이면 실내 라돈 방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실내 라돈 수치가 높은 겨울에는 자주 환기를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국내에서는 아직은 권고기준으로만 채택하고 있지만, 그 동안 다양한 매체를 통해 라돈과 환경방사능에 관련한 보도가 잇따르고 있으며, 이에 라돈 등 환경방사능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모니터링 방법, 조치 방법 등, 실내 라돈 관련 종합 대책을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현실은 이러한 인간의 욕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데, 종래 각종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살균, 탈취, 공기 청정 기능들을 갖는 각종 제품들의 경우 센서에 의해 단순히 감지만 할 뿐 감지된 공기질을 수치로 체크하여 관리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라돈에 대해서는 감시를 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측정된 결과 및 공기 정화장치의 작동 상태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기 정화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부, 실내 및 실외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정화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측정 지수를 산출하고 하나의 지수로 환산한 환산 지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 지수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에 각각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합산한 점수로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실내의 공간적 특성, 시간대, 상기 실외의 기상 상황, 계절을 포함하는 환경요인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지수 또는 상기 환산 지수에 상기 환경요인을 반영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복수의 LED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전면에 상기 LED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영되어 표시되는 LED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LED로 이루어지는 LED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산 지수에 따라 상기 LED 표시부의 색상, 밝기, 점등 시간, 점등 간격을 포함하는 점등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 표시부는 전부 또는 일부의 LED의 색상 또는 밝기가 다르게 ON 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표시부는 복수의 배경 LED와 상기 배경 LED와 별도로 작동하는 복수의 점등 LED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등 LED는 상기 LED 표시부의 전면에 균일하거나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 표시부는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는,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부와, 실내 및 실외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부는 공기 정화장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는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측정된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실외 공기질을 측정하는 실외 공기질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는 실외 공기 중의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기상청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되는 대기오염 관련 자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정화부는 실내 공기 중에서 라돈을 제거하는 라돈 제거부와, 상기 실내 공기 중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돈 제거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서 실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 구비되는 통합 관제 플랫폼과 통신을 위한 통신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라돈 측정부와 상기 공기질 오염도에서 측정된 결과를 포함하는 오염도 정보와 상기 정화부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화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구비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PC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라돈 측정부와 상기 공기질 오염도에서 측정된 결과를 포함하는 오염도 정보와 상기 정화부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정화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은,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공기질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측정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측정 지수를 하나의 지수로 환산하여 환산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환산 지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공기 정화장치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공기질 측정 결과에 각각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합산한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의 공간적 특성, 시간대, 상기 실외의 기상 상황, 계절을 포함하는 환경요인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산 지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지수에 상기 환경요인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는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산 지수는 상기 복수의 공간에 대해서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복수의 LED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전면에 상기 LED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영되어 표시되는 LED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산 지수에 따라 상기 LED 표시부의 색상, 밝기, 점등 시간, 점등 간격을 포함하는 점등 패턴을 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LED로 이루어지는 LED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산 지수에 따라 상기 LED 표시부의 색상, 밝기, 점등 시간, 점등 간격을 포함하는 점등 패턴을 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산 지수에 따라, 상기 LED 표시부의 전부 또는 일부의 LED의 색상 또는 밝기를 다르게 ON 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아래의 효과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기질을 측정한 결과나 공기 정화장치의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정된 결과를 하나의 지수로 환산함으로써 사용자가 실내 공기질의 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한다.
또한, 공기 정화장치는 다양한 점등 패턴으로 디스플레이를 나타냄으로써 심미적으로도 우수한 기능을 갖는다.
또한, 실내의 공기질뿐만 아니라 실외 공기질에 대한 정보와, 공간의 종류와 크기, 재실자 수, 계절, 시간, 날씨 등과 같은 환경요인을 이용하여 공기 정화장치를 제어하므로, 실내 공기질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정화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점등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점등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10)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1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 정화장치(10)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10)에서 디스플레이부(15)의 점등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10)에서 디스플레이부(15)의 다른 점등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 정화장치(10)는, 라돈 농도 및 실내외의 공기질의 오염도에 따라 실내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공기 정화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100)와, 실내외 공기질의 오염도를 포함하여 각종 오염도를 측정하는 측정부(11)가 구비되고, 측정부(11)에서 측정된 결과를 통합 관리하고 지수화하여 공기 정화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공기 정화장치(10)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실내외 공기를 교환하는 정화부(14)가 구비된다. 또한, 공기 정화장치(10)는 측정부(11)에서 측정된 결과와 공기 정화장치(10)의 작동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5) 및 사용자가 동작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16)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공기 정화장치(10)는 독립된 개체로 형성되어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형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정화장치(10)는 실내 공간의 천정이나 벽 등에 매립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사각 기둥 형태를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100)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정부(11)는 실내외 공기질을 포함하여 다양한 오염물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센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측정부(11)는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부(111)와, 실내 및 실외 공기질 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1)는 실내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13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11)는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뿐만 아니라, 비래해충, 보행해충 등의 각종 해충이나 쥐와 같은 유해생물을 감지하는 해충 오염도 감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라돈 측정부(111)는 실시간으로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는, 라돈 측정부(111)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라돈 측정부(111)는 공기 정화장치(1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공기 정화장치(10)와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서 실내 공간에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라돈 측정부(111)가 공기 정화장치(10)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라돈 측정부(111)에서 측정된 라돈 농도를 공기 정화장치(10)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돈 측정부(111)는 블루투스나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망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공기 정화장치(10)에 라돈 측정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21)는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2)는 공기 정화장치(1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서 실내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21)가 공기 정화장치(10)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21)에서 측정된 결과를 공기 정화장치(10)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21)에서 측정된 결과는 블루투스나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망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공기 정화장치(10)에 송신된다.
또한,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21)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실외의 공기질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외 공기질 측정부(211)와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 공간 등을 포함하는 대상 실내의 각종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부(212)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21)는 공기질을 측정하고, 환기에 필요한 요인을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실외 공기질 측정부(211)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며,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포함하며, 복수의 위치에서 측정된다. 또한, 실외 공기질 측정부(211)는 직접적으로 대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은 전국에 위치하는 측정소에서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도 자료를 수집?관리한다. 실외 공기질 측정부(211)는 이와 같이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에서 측정 및 제공되는 대기오염 측정망 관련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외 공기질 측정부(211)는 전국 89개 시/군에 설치된 289개의 도시대기 측정망, 도로변대기 측정망, 국가배경 측정망, 교외대기 측정망에서 측정된 5개 대기환경기준물질의 측정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표출하여 국민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에어 코리아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외 공기질 측정부(211)는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황사경보제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오존경보제 등의 자료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외 공기질 측정부(211)는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 에어 코리아, 기상청, 지자체 등에서 제공되는 각종 대기오염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후술하는 제어부(13)에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실외 공기질 측정부(211)는 제어부(13) 또는 공기 정화장치(1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실내 공기질 측정부(212)는 실내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오염물질의 존재 여부 또는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공기 중에는 각종 실내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되는 라돈이나,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 톨루엔, 벤젠,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포함하고, 석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 등의 오염물질이나,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가스의 발화나 인체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냄새와 각종 생활 용품에서의 미생물성 물질(대장균, 녹농균, 0-157, 살모넬라)과 휘발성 유기 오염물질, 기타 악취, 소음, 방사선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실내 공기질 측정부(12)는 실내 공기 중에서 복수의 오염물질을 감지하고,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공기질 측정부(212)는 미세먼지, CO2와 VOCs를 검출하는 VOCs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해충 오염도 감지부(132)는 실내 공간 내에서 해충의 존재 여부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해충포획장치 등에 포획되는 해충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해충 오염도는 측정된 해충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이전에 해충이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 해충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과 관련된 발생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충 오염도 감지부(132)는 해충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정화장치(10)는 상술한 측정부(11) 이외에도 압력 센서, 조도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정화부(14)는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며, 라돈을 제거하기 위한 라돈 제거부(141)와 각종 필터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라돈 제거부(141)는 실내 공기 중에서 라돈을 제거하며, 공기 정화장치(10)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서 실내에 하나 이상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142)는, 실내에서 발생 및 존재하는 각종 오염물질과 실외에서 유입될 수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필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필터부(142)는 프리 필터, 탈취 필터, 살균 필터 및 기능성 필터를 포함하여 다양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정화장치(10)는 정화부(14) 이외에도 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해충 제거 장치가 별도 또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정화장치(10)는 단독으로 작동될 수 있지만, 공기 정화장치(10)에서 측정된 결과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에 공기 정화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합 관제 플랫폼(17)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관제 플랫폼(17)은 라돈 측정부(111)와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21)에서 측정된 결과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통합 DB(171)와 서버 시스템(1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3)를 통해서 원격지에서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21)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하나의 장치에서 오염도 측정 및 분석과 지수화 분석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6)는 사용자가 공기 정화장치(10)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6)는 본체부(100)의 상면에 복수의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패널부(16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력부(16)는 조작 패널부(161)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공기 정화장치(10)는 입력부(16)를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거나, 사용자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PC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조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정화장치(10)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와의 통신은 후술하는 제어부(13)의 통신 유닛(131)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공기 정화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공기 정화장치(10)를 작동시키고,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들과 공기 정화장치(10)의 동작 등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에는 공기질 지수와, 실내쾌적 지수, 알레르기 지수, 집중도 지수, 세균 지수, 라돈 지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측정 지수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에는 공기 정화장치(10)의 작동 상태 등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측정부(11)에서 측정된 결과 데이터를 수렴하여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32)와 측정부(11) 또는 각종 센서와의 통신 또는 원격지에서 공기 정화장치(10)의 동작을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유닛(1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의 동작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작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조작부(133)는 측정부(11)에서 측정된 결과를 포함하여 공기 정화장치(10)의 동작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에 색상이나 밝기, 점등 패턴 등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거주하는 실내 공간의 종류, 예를 들어, 욕실, 침실, 방, 주방, 거실 및 창고 등의 각 공간마다 공기질이 다르고, 각 공간에서의 공기질 관리 방법이 달라진다. 또한, 같은 공간에 대해서도 재실자 유무 또는 재실자 수에 따라 공기질이 달라지며, 그에 따른 관리 방법 역시 달라져야 한다. 더불어, 같은 공간에 대해서 시간별로, 계절별로, 외부 날씨에 따라서도 공기질이 다르며, 이에 따른 공기질의 관리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 따라서, 공간의 종류와 크기, 재실자의 유무와 재실자 수, 시간, 계절, 날씨의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각각의 요인에 따라 차등화하여 공기질을 관리하고 운영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단순히 실내에서 측정된 공기질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실외 공기질 및 라돈 농도도 고려하여 공기질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실외 공기질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쁜 경우에는 실내 공기질이 양호하다고 하더라도, 실외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공기 정화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또는,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나쁘거나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쁜 경우에는 실내외 공기의 교환을 차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내 라돈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실내/실외 공기질 수치에 우선하여 환기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3)는 측정 지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의 동작을 제어한다. 참고적으로, '측정 지수'라 함은 실내 공기 중에서의 각종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한 값에 대해서 점수를 부여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한국표준협회와 연세대학교에서 공동 개발한 모델로서, 실내 공기질을 표시하는 모델인 숨 지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지수는 오염 지수와 쾌적 지수를 포함하며, 아래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 중에서의 각종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한 값이 규제/권고치와 비교하여 얼마나 높은지/낮은지에 따라 점수가 부여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부여된 점수를 통합하여 산출된 점수를 하나의 지수로서 환산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아래 표에서는 전체 측정 지수가 320점으로 산출되지만, 표시 및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서 실제 표시 시에는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정 지수 및 환산 지수는 다양한 점수로서 산출되고 환산 가능하다.
한편, 표 1에 기재된 지수들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정 지수는 다양한 측정 결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산 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측정 지수뿐만 아니라 환경요인 등을 더 고려하여 지수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야 구분 세부항목 배점 규제/권고치 <60 70 80 90 100
성과
(320점)
오염지수
(240점)
CO2 50 1000(ppm) 1000 800 600 500 400
PM10 70 150(㎍/㎥) 150 120 100 80 10
Rn 70 4.0(pCi/ℓ) 4 3 2 1 0.5
TVOC 50 400(㎍/㎥) 400 300 100 80 50
쾌적지수
(80점)
온도 40 17 - 28(℃) ±2 ±1.5 ±1.0 ±0.5 범위 내
상대습도 40 40 - 70(%) ±20 ±15 ±10 ±5 범위 내
디스플레이부(15)는 측정부(11)에서 측정된 결과와 공기 정화장치(10)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예를 들어, 제어부(13)에서 산출된 환산 지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의 색상이나 밝기, 점등 시간, 점등 간격 등의 패턴(이하, '점등 패턴'이라 함)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는 측정부(11)에서 측정된 결과 이외에도, 해충 오염도 정보나, 외부 환경 정보나 실내 환경 정보 등의 환경 정보와, 공기 정화 또는 해충 정화 진행 과정 등의 진행 과정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들을 다양한 점등 패턴으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와 공기 정화장치(10)의 상태를 한눈에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5)는 본체부(100)의 적어도 전면 또는 전면과 측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면에 LED 표시부(15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00)의 상부에는 소정의 LED가 구비되고, 상기 LED(미도시)에서 발광하는 빛이 LED 표시부(151)를 통해 외부로 보여진다. 즉, LED 표시부(151)는 스크린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LED 표시부(151)에서는 RGB를 조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표시부(151)는 측정 지수가 양호하면 초록색으로, 측정 지수가 불량하여 공기질의 오염도가 심할수록 노란색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라돈 농도가 높거나 미세먼지나 꽃가루 등의 특정 오염물질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보라색이나 핑크색 등의 소정의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ED 표시부(151)는 단일 색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뿐만 아니라 점등된 색상의 면적이나 밝기, 형태 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0)의 상단에 LED(미도시)가 구비되고, LED 표시부(151)는 LED에서 조사되는 광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LED 표시부(151) 전체가 복수의 LED로 이루어 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LED 표시부(151)는 전체 LED를 이용하거나 일부 LED만을 점등함으로써 소정의 점등 패턴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표시부(151)는 배경을 표시하는 복수의 배경 LED(511)와, 부분적으로 소정의 색과 밝기를 갖도록 배경 LED(511)와 다른 색이나 밝기로 켜지도록 작동되는 복수의 점등 LED(51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점등 LED(512)가 점등됨에 따라 소정의 점등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점등 LED(512)는 디스플레이부(15)의 전면에 배치되며, 균일하게 또는 불규칙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경 LED(511)는 소정의 배경 색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고, 점등 LED(512)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켜지거나,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냄으로써 보다 다양한 점등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배경 LED(511)는 점등되지 않고, 점등 LED(512)만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또는, 점등 LED(512)는 지속적으로 점등되거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등이 on/off 되거나 색상, 밝기가 변화되어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발생하는 점등 패턴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경 LED(511)와 점등 LED(512)를 구별하지 않고 한 종류의 LED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점등하거나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점등 패턴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는 본체부(100)의 전면, 즉, 도 2나 도 6에서 배경 LED(511)가 구비된 부분에 LED가 아니라 프린트 등으로 소정의 그림이나 사진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부(15)는 소정의 그림이나 사진을 배경으로 표시하고, 점등 LED(512)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점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는 다양한 점등 패턴과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는 LED 표시부(151) 외에도 본체부(100)의 전면 또는 상면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버튼이나 액정표시창 등의 표시 패널부(15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플레이부(15)의 위치나 구성 및 크기 등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정화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15)에서 시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알림이 필요한 경우에는 소정의 알림 또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측정부(11)에서 측정된 결과나 공기 정화장치(10)의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공기질 오염도와 공기 정화장치(10)의 동작 상태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정화장치(10)는 측정부(11)에서 측정된 결과를 하나의 지수로 환산함으로써 사용자가 실내 공기질의 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한다. 또한, 공기 정화장치(10)는 다양한 점등 패턴으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의 이해를 쉽게 함과 더불어, 심미적으로도 우수한 기능을 갖는다. 더불어, 공기 정화장치(10)는 라돈 농도뿐만 아니라 실내 및 실외의 공기질 오염도에 의해서 공기 정화장치(10)가 작동되므로 효과적으로 실내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에서, 다수의 공간에 대해서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의 크기와 종류, 재실자의 유무와 재실자 수, 계절, 시간, 날씨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라돈 농도 및 실내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으며, 차등화하여 공기질을 관리하므로 보다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측정된 결과와 공기 정화장치(10)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비롯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공기질 관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여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공기 정화장치
100: 본체부
11: 측정부
111: 라돈 측정부
121: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
211: 실외 공기질 측정부
212: 실내 공기질 측정부
131: 온/습도 센서
132: 해충 오염도 감지부
13: 제어부
131: 통신 유닛
132: 데이터 처리부
14: 정화부
141: 라돈 제거부
142: 필터부
15: 디스플레이부
151: LED 표시부
511, 512: LED
152: 표시 패널부
16: 입력부
161: 조작 패널부
17: 통합 관제 플랫폼
171: 통합 DB
172: 서버 시스템

Claims (28)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부;
    실내 및 실외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정화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측정 지수를 산출하고 하나의 지수로 환산한 환산 지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지수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에 각각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합산한 점수로 산출되는 공기 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내의 공간적 특성, 시간대, 상기 실외의 기상 상황, 계절을 포함하는 환경요인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지수 또는 상기 환산 지수에 상기 환경요인을 반영하는 공기 정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복수의 LED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전면에 상기 LED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영되어 표시되는 LED 표시부가 형성되는 공기 정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산 지수에 따라 상기 LED 표시부의 색상, 밝기, 점등 시간, 점등 간격을 포함하는 점등 패턴을 결정하는 공기 정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LED로 이루어지는 LED 표시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산 지수에 따라 상기 LED 표시부의 색상, 밝기, 점등 시간, 점등 간격을 포함하는 점등 패턴을 결정하는 공기 정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ED 표시부는 전부 또는 일부의 LED의 색상 또는 밝기가 다르게 ON 되도록 작동되는 공기 정화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ED 표시부는 복수의 배경 LED와 상기 배경 LED와 별도로 작동하는 복수의 점등 LED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등 LED는 상기 LED 표시부의 전면에 균일하거나 불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공기 정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표시부는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전면에 구비되는 공기 정화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부가 구비되는 공기 정화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가 구비되는 공기 정화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부와, 실내 및 실외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공기 정화장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위치에 구비되는 공기 정화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는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공기 정화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측정된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실외 공기질을 측정하는 실외 공기질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는 실외 공기 중의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기상청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되는 대기오염 관련 자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실내 공기 중에서 라돈을 제거하는 라돈 제거부와, 상기 실내 공기 중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라돈 제거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서 실내에 구비되는 공기 정화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 구비되는 통합 관제 플랫폼과 통신을 위한 통신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라돈 측정부와 상기 공기질 오염도에서 측정된 결과를 포함하는 오염도 정보와 상기 정화부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화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공기 정화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구비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PC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라돈 측정부와 상기 공기질 오염도에서 측정된 결과를 포함하는 오염도 정보와 상기 정화부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정화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공기 정화장치.
  21.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공기질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측정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측정 지수를 하나의 지수로 환산하여 환산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환산 지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공기 정화장치를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공기질 측정 결과에 각각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합산한 점수로 산출하는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실내의 공간적 특성, 시간대, 상기 실외의 기상 상황, 계절을 포함하는 환경요인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산 지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지수에 상기 환경요인을 반영하는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는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산 지수는 상기 복수의 공간에 대해서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복수의 LED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전면에 상기 LED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영되어 표시되는 LED 표시부가 형성되는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환산 지수에 따라 상기 LED 표시부의 색상, 밝기, 점등 시간, 점등 간격을 포함하는 점등 패턴을 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복수의 LED로 이루어지는 LED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산 지수에 따라 상기 LED 표시부의 색상, 밝기, 점등 시간, 점등 간격을 포함하는 점등 패턴을 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환산 지수에 따라, 상기 LED 표시부의 전부 또는 일부의 LED의 색상 또는 밝기를 다르게 ON 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0188838A 2015-12-29 2015-12-29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2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38A KR101862087B1 (ko) 2015-12-29 2015-12-29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38A KR101862087B1 (ko) 2015-12-29 2015-12-29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971A true KR20170078971A (ko) 2017-07-10
KR101862087B1 KR101862087B1 (ko) 2018-07-05

Family

ID=5935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838A KR101862087B1 (ko) 2015-12-29 2015-12-29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0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10A (ko) * 2018-06-22 2020-01-02 (주)닥터서플라이 온도 조절수단이 구비된 면상 발열모듈
KR20200058695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제이오텍 다목적 공기청정기
KR20200120247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원화이에프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공기청정기
KR20210060077A (ko) * 2019-11-18 2021-05-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장치
KR20210109701A (ko) * 2020-02-27 2021-09-07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공기 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11601B (zh) * 2020-12-21 2023-08-11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室內空汙防治解決方法
KR102327296B1 (ko) * 2021-05-17 2021-11-16 김인영 공기질정보를 출력하는 인디케이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334A (ja) * 2003-06-16 2005-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機の発光表示装置
KR101446285B1 (ko) * 2013-04-03 2014-10-06 한일원자력(주) 실시간 라돈 가스 측정 및 실내 환경 개선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10A (ko) * 2018-06-22 2020-01-02 (주)닥터서플라이 온도 조절수단이 구비된 면상 발열모듈
KR20200058695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제이오텍 다목적 공기청정기
KR20200120247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원화이에프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공기청정기
KR20210060077A (ko) * 2019-11-18 2021-05-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장치
KR20210109701A (ko) * 2020-02-27 2021-09-07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087B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087B1 (ko)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2174B1 (ko) 공기질측정장치와 무선단말기를 연동한 공기질 알림장치 및 그 공기질 알림방법
KR20170077691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101796296B1 (ko) 공기 정화 장치
JP6480639B2 (ja) 空気清浄器及び空気清浄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KR100930346B1 (ko) 공간별 실내 공기질 검출 장치
KR20170077694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101512664B1 (ko) 통지기능을 갖는 포터블형 실내 공기상태 표시장치
EP1990080A1 (en) Air purifier
KR20170078372A (ko)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75224B1 (ko) 공기질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20180138262A (ko) 공기 청정 장치
KR20160019577A (ko)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
KR20200009317A (ko) 실내공기 질 자동제어 통합시스템
KR100836725B1 (ko) 공기청정기용 먼지 센서의 보상 제어방법
KR20190121571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Morawska et al. Lessons from the COVID-19 pandemic for ventilation and indoor air quality
KR20170078377A (ko)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Granzin et al. Long-term filter efficiency of mobile air purifiers in schools
KR20210083592A (ko)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7091B1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6174A (ko) 공기질 개선을 위한 IoT와 연동된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20200134478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제어 프로그램
KR20200056798A (ko) 복합 센서를 이용한 지하 상가 및 시설의 환경 측정 및 개선 시스템
KR20160064618A (ko) 현장상황에 적응적인 실시간 영유아건강관리모니터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