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069567A - supporter for smart phone - Google Patents

supporter for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567A
KR20170069567A KR1020150176934A KR20150176934A KR20170069567A KR 20170069567 A KR20170069567 A KR 20170069567A KR 1020150176934 A KR1020150176934 A KR 1020150176934A KR 20150176934 A KR20150176934 A KR 20150176934A KR 20170069567 A KR20170069567 A KR 20170069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vertical member
smartphone
elastic clip
elas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재성
장예진
권정연
윤정식
Original Assignee
노재성
장예진
권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성, 장예진, 권정연 filed Critical 노재성
Priority to KR102015017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9567A/en
Publication of KR2017006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567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판상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부재를 구비한 거치대 본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탄성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 본체의 수직부재에는 스마트폰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부재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높이조절용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클립은 디스플레이의 모서리 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이 이루어지는 삼각형상의 결합커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일측 가장자리에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컴퓨터로 업무를 보더라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착탈결합 구조로부터 호환성 및 휴대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radle, comprising: a cradle body having a plate-shaped vertical member and a receiving member protruding for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And an elastic clip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radle body and detachably coupled to a rim of the display. The vertical member of the cradle body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plate for extending the vertical member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mart phone And the elastic clip is formed as a triangular-shaped coupling cover in which a sliding engagement is performed in a state of wrapping the peripheral edge of the display.
Accordingly, since the smartphone can be stably mounted on one edge of the display, not only the user can quickly check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even if he / she is working with the compu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mproved.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대{supporter for smart phone}Smart phone holder {supporter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의 일측 가장자리에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탈결합이 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phone holder capable of stably mounting a smartphone on one side of a display,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과 편리한 휴대성으로 인하여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고 있으며, 그 기능으로부터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확인하는 횟수도 마찬가지로 증대되고 있다.The importance of smart phones is increasing due to their various functions and convenient portability, and the number of times users check smart phones is also increasing.

일반적으로, 사무직 종사자들은 사무실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는 관계로 여건상 스마트폰의 착신을 무음 또는 진동으로 설정하고,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등의 컴퓨터 작업을 수행하거나 서류 작업을 수행한다.Typically, office workers share their office with other people, so they set the incoming calls of the smartphone to silent or vibrate, and perform computer work or paperwork on the desktop or notebook computer.

즉, 사무실에서는 휴대폰을 진동이나 무음 모드로 설정하여 타인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는데, 이럴 경우 업무용 전화나 메시지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므로 책상에 별도의 휴대폰 거치대를 마련하여 거치대에 휴대폰을 올려두고 보관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럴 경우에도 사용자가 컴퓨터로 업무를 할 때는 모니터에 시선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휴대폰 확인이 어려우며, 따라서 업무용 전화나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수시로 휴대폰을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업무에 지장이 발생 됨은 물론, 휴대폰을 위한 거치대와 또한 이러한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충전케이블 등이 별도로 비치되므로 책상 위가 산만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office, set the phone to vibrate or silent mode so that it does not harm others. In this case, sometimes you can not receive business phone calls or messages, so you need to set up a separate phone holder on your desk. However, even in this case, when the user is working with the computer, since the line of sight is fixed on the monitor,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mobile phone, so that sometimes the user can not receive the business phone or the messa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sk is disturbed because a stand for a mobile phone and a charging cable for charging the mobile phone are provided separately.

최근에는 디지털TV 또는 평면형 모니터의 일측에 거치암을 매개로 스마트폰을 거치시킬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Recently, a configuration in which a smart phone can be mounted on a side of a digital TV or a flat type monitor via a mounting arm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거치암을 이용한 기술은 상기 디지털TV 또는 평면형 모니터의 후방에 상기 거치암과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별도로 구성해야 하는 것으로 특정 디스플레이에 한정되어 사용할 수밖에 없는 호환성 및 휴대성이 제한되어 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technique using the mounting arm, a fixing bracket, which is complementarily coupled to the mounting arm, is separately provided behind the digital TV or the flat monitor, and the compatibility and portability of the display are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ability is greatly deteriorate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06607호(2014.01.16)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0006607 (Apr. 16, 20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일측 가장자리에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착탈결합 구조로부터 호환성 및 휴대성을 높인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cradle capable of stably mounting a smartphone on one edge of a display, .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판상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부재를 구비한 거치대 본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탄성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 본체의 수직부재에는 스마트폰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부재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높이조절용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클립은 디스플레이의 모서리 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이 이루어지는 삼각형상의 결합커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body having a plate-shaped vertical member and a receiving member projecting for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And an elastic clip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radle body and detachably coupled to a rim of the display. The vertical member of the cradle body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plate for extending the vertical member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mart phone And the elastic clip is formed as a triangular-shaped coupling cover in which a sliding engagement is performed in a state of wrapping the peripheral edge of the display.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두께면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의 개방된 진입부에는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롤러가 형성되고, 안쪽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oupling cover is composed of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having a receiving space portion for receiving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inwardly and a guide roller for facilitating slide engagement is formed in the open entrance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portion,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is formed.

상기 탄성부재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부터로 각각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리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made of at least one or more silicon members protruding from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respectively.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점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elastic member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상기 거치대 본체와 탄성클립 사이에 힌지결합부를 형성하여 상호 접철되는 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hinge engag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elastic clip, so that various angle adjustments can be mad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folded together.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대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탄성클립과, 높이조절용 플레이트를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일측 가장자리에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컴퓨터로 업무를 보더라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착탈결합 구조로부터 호환성 및 휴대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the elastic clip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radle body and the height adjustment plate are provided, the smartphone can be stably mounted on one edge of the display, Not only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can be confirmed quickly, but also compatibility and por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from a simple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가 노트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탄성클립 구성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holder is installed in a notebook comp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op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silient clip construction of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판상의 수직부재(110)와 상기 수직부재(110)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부재(120)를 구비한 거치대 본체(100)와,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D)의 테두리에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탄성클립(20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body 100 having a plate-shaped vertical member 110 and a receiving member 120 projecting for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110, And an elastic clip 2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rim of the display D. [

먼저, 상기 거치대 본체(100)는 상기 스마트폰을 세우는 방향으로 수납보관하는 것으로, 판상의 수직부재(110)와 상기 수직부재(110)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부재(120)로 구성된다.First, the cradle main body 100 includes a vertical member 110 in a plate shape and a supporting member 120 protruding for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110, .

상기 수직부재(110)와 직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받치부재(120)의 구성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은 경사지게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어 그에 따른 고정상태를 안전감 있게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120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member 110, the smartphone can be tilted and the fixed state can be safely maintained.

또한,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수직부재(110)에는 스마트폰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부재(110)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높이조절용 플레이트(130)가 설치된다.A height adjustment plate 130 is provided on the vertical member 110 of the cradle body 100 to extend the vertical member 110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smartphone.

즉, 상기 높이조절용 플레이트(130)를 형성하는 이유는 다양한 스마트폰 크기(길이)에 맞추어 상기 수직부재(110)의 높이가 연장되는 구조로 가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reason why the height adjusting plate 130 is formed is th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member 110 is varied according to various smartphone sizes (lengths).

상기 높이조절용 플레이트(130)는 상기 수직부재(110)의 폭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판 형상으로 제작하며, 일측 표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높이조절돌기(131)가 형성된다.The height adjusting plate 1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which is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vertical member 110. A height adjusting protrusion 131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110)에는 상기 높이조절돌기(131)가 관통하는 상태로 결합되는 장공의 가이드홈(111)이 형성된다.The vertical member 110 is formed with an elongated guide groove 111 through which the height adjusting protrusion 131 passes.

즉, 상기 높이조절용 플레이트(130)는 상기 가이드홈(111)에 결합된 높이조절돌기(131)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진다.That is, the height adjusting plate 130 is slid in a process of vertically moving the height adjusting protrusion 131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11.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홈(111)의 길이방향 내면 일측 또는 양측면에는 파형 구조의 탄성걸림편(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높이조절돌기(131)의 이동 거리를 다단구조로 걸림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elastic protrusions (not shown) having a corrugated structure ar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groove 111 in the lengthwise direction, so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height- .

아울러, 상기 받침부재(120)는 거치된 스마트폰이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높이의 단턱을 형성한 구조로서, 폭방향 중심부에는 거치되는 스마트폰에 대하여 충전 케이블이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케이블 출입공간(12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20 has a structure with a predetermined height to prevent the mounted smartphone from being forwarded. In the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charging cable can easily enter and exit the smartphone A cable entry space 121 is formed.

아울러, 상기 받침부재(1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패드(122)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pad 12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martphone.

한편, 상기 탄성클립(200)은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TV 또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D)의 테두리에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The elastic clip 2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radle body 100 and is a component to be detached and attached to a rim of a display D such as a TV or a monitor.

즉, 상기 탄성클립(200)의 구성에 의해 상기 거치대 본체(100)를 상기 디스플레이(D)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at is,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clip 200 detachably fixes the cradle unit main body 100 to the display D.

여기서, 상기 탄성클립(200)은 디스플레이(D)의 모서리 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이 이루어지는 삼각형상의 결합커버(210)로 형성된다.Here, the elastic clip 200 is formed of a coupling cover 210 in a triangular shape in which a slide coupling is performed in a state of wrapping the peripheral edge of the display D.

이러한 상기 결합커버(210)는 디스플레이(D)의 모서리 둘레면 전체를 감싸는 심플한 결합구조에 의해 깔끔한 외관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서리 둘레면 전체를 직,간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그에 따른 결합 고정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upling cover 210 can maintain a neat external appearance by a simple coupling structure that wraps around the entire periphery of the corner of the display D, and also can directly or indirectly contact the entire circumferential edge surface, Can greatly improv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커버(210)는 상기 디스플레이(D)의 두께면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수용공간부(211)를 형성한 전면커버(212)와 후면커버(213)로 구성된다.The coupling cover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cover 212 and a rear cover 213 having a housing space 211 for receiving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 inward.

특히, 상기 수용공간부(211)의 개방된 진입부에는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롤러(220)가 형성되고, 안쪽에는 상기 디스플레이(D)의 표면을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230)가 형성된다.A guide roller 220 for facilitating slide engagement is formed in the open entrance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1 and an elastic member 230 for press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D is formed inside do.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다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볼(ball)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roller 220 is preferably formed in a ball structure rotatable in multiple directions.

상기 탄성부재(230)는 전면커버(212)와 후면커버(213)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각 커버(212,213)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리콘부재로 이루어진다.The elastic members 230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s of the front cover 212 and the rear cover 213 and are made of at least one or more silicon member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urfaces of the covers 212 and 213.

또한, 상기 탄성부재(230)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점가 증가하는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23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ding height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D)의 다양한 두께 사이즈에 대응하여 밀착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압되는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achieve tight coupling in correspondence with various thickness sizes of the display D and to prevent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to be pressed.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 본체(100)와 탄성클립(200) 사이에 힌지결합부(400)를 형성하여 상호 접철되는 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3, the hinge coupling part 400 is formed between the base 100 and the elastic clip 200 so that various angle adjustments can be mad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folding.

이는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추어 스마트폰을 편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user to easily view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eye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대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탄성클립(200과, 높이조절용 플레이트(130)를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D)의 일측 가장자리에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컴퓨터로 업무를 보더라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착탈결합 구조로부터 호환성 및 휴대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clip (200) and the height adjusting plate (13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radle body (100) can stably mount the smartphone on one edge of the display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check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even if he / she is working with the computer, and the compatibility and por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from the simple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100 : 거치대 본체
110 : 수직부재
111 : 가이드홈
120 : 받침부재
130 : 높이조절용 플레이트
131 : 높이조절돌기
200 : 탄성클립
210 : 결합커버
211 : 수용공간부
212 : 전면커버
213 : 후면커버
220 : 가이드롤러
230 : 탄성부재
400 : 힌지결합부
100:
110: vertical member
111: Guide groove
120: Support member
130: height adjustment plate
131: height adjustment projection
200: Elastic clip
210: coupling cover
211:
212: front cover
213: Rear cover
220: guide roller
230: elastic member
400: hinge coupling part

Claims (5)

판상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부재를 구비한 거치대 본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탄성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 본체의 수직부재에는 스마트폰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부재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높이조절용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클립은 디스플레이의 모서리 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이 이루어지는 삼각형상의 결합커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A holder base body having a plate-shaped vertical member and a receiving member projecting for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And an elastic clip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radle body and detachably engaged with a rim of the display,
A height adjusting plate is provided on the vertical member of the cradle body so as to extend the vertical member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martphone,
Wherein the elastic clip is formed as a triangular-shaped coupling cover in which a slide coupling is performed in a state of wrapping around a cor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두께면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의 개방된 진입부에는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롤러가 형성되고, 안쪽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cover comprises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each having a housing space for receiving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inward,
Wherein a guide roller for facilitating slide engagement is formed in an open entry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is formed on the in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부터로 각각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리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made of at least one silicone member protruding from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respective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점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height of the protrusion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와 탄성클립 사이에 힌지결합부를 형성하여 상호 접철되는 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 hinge engag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elastic clip to adjus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elastic clip are folded together.
KR1020150176934A 2015-12-11 2015-12-11 supporter for smart phone Abandoned KR201700695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934A KR20170069567A (en) 2015-12-11 2015-12-11 supporter for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934A KR20170069567A (en) 2015-12-11 2015-12-11 supporter for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567A true KR20170069567A (en) 2017-06-21

Family

ID=5928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934A Abandoned KR20170069567A (en) 2015-12-11 2015-12-11 supporter for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9567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892A (en) * 2018-03-16 2019-04-23 박성만 Supporter For Monitor
KR102025720B1 (en) * 2019-04-23 2019-09-26 주식회사 덴텀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KR20190126498A (en) 2018-05-02 2019-11-12 이종곤 A multipurpose stands
CN110967829A (en) * 2018-09-29 2020-04-07 深圳市掌网科技股份有限公司 Mobile terminal virtual reality equipment
KR102142209B1 (en) * 2019-02-14 2020-08-06 전태환 Holder for stand of set top box and TV peripheral device
KR102253375B1 (en) 2019-12-18 2021-05-17 이상현 Multi-funtion holder for smart phon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892A (en) * 2018-03-16 2019-04-23 박성만 Supporter For Monitor
KR20190126498A (en) 2018-05-02 2019-11-12 이종곤 A multipurpose stands
CN110967829A (en) * 2018-09-29 2020-04-07 深圳市掌网科技股份有限公司 Mobile terminal virtual reality equipment
KR102142209B1 (en) * 2019-02-14 2020-08-06 전태환 Holder for stand of set top box and TV peripheral device
KR102025720B1 (en) * 2019-04-23 2019-09-26 주식회사 덴텀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KR102253375B1 (en) 2019-12-18 2021-05-17 이상현 Multi-funtion holder for smart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9567A (en) supporter for smart phone
KR101586496B1 (en) Portable holder
US20130134282A1 (en)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se
US11974118B2 (en) Portable device accessory
US20180314295A1 (en) Parabolic-shaped receptacle and support mechanism for a computing device
KR20120004024U (en) support function and tripod possible a smart phone protection case
RU2019103750A (en) MOUNTING TOOL FOR MOUNTING THE UNIT TO A FLAT MONITOR
US11226656B2 (en) Computer
GB2508566A (en) Multi-function cover for a personal media device including a sound channel to enhance the audio from the media device
AU2012317558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radle and desktop telephone
KR20150138691A (en) mobile case containing holder of angle control function
KR20120035810A (en) A hand held device protection case clip and standing. and holding apparatus with a tilt function
US10274993B2 (en) Portable device docking station for privacy protection
KR20190099549A (en) Supporter for smart phone
KR20150002726U (en) Resting Structure For Mobile Telephone
KR101726869B1 (en) supporter for smart phone
KR20140146466A (en) Sheet typed deposit unit for cell phone
JP6016592B2 (en) Case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200461647Y1 (en) Cradle for smartphone
CN103216708B (en) Support frame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1328501B1 (en) Case for portable device
KR20110038008A (en) Multifunctional Crad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5825688B2 (en) Desk phone
KR20120129194A (en) Smart phone cradle
KR101533387B1 (en) Smartpad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