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161A - Optical cleared adhesiv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ptical cleared adhesiv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4161A KR20170064161A KR1020150169490A KR20150169490A KR20170064161A KR 20170064161 A KR20170064161 A KR 20170064161A KR 1020150169490 A KR1020150169490 A KR 1020150169490A KR 20150169490 A KR20150169490 A KR 20150169490A KR 20170064161 A KR20170064161 A KR 201700641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layer
- display device
- optical adhesive
- panel
- display pane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975 flex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1 excite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L51/56—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H01L27/3253—
-
- H01L51/0097—
-
- H01L2227/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구성이 향상된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커버윈도우와 터치패널 그리고 표시패널과 백플레이트를 접착층 표면에 엠보패턴이 형성된 양면테이프 형상의 광학접착층을 통해 부착 및 일체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폴더블 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광학접착층에 의한 제한이 없으면서도 폴더블 표시장치 자체의 내구성 또한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표시패널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패널이 손상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urability.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ver window, the touch panel, the display panel, and the back plate are attached and integrat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in the form of a double-sided tape-shaped optical adhesive layer having an embossed pattern formed thereon.
This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display device itself without restriction by the optical adhesive layer in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device.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panel from deteriorating,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panel from being damag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구성이 향상된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과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adhesive layer for a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urability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형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recent years, as the society has become a full-fledged information age, a display field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has rapidly developed, and a variety of flat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Be in the spotlight.
이 같은 평판형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형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Specific examples of 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Devices such as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se flat panel display devices have excellent performance in reducing the thickness, weight, and power consumption of a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 CRT).
한편, 이러한 평판형 표시장치는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높은 열을 견딜 수 있도록 유리기판을 사용하므로 경량, 박형화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다. On the other hand, such a flat panel display uses a glass substrate to withstand the high heat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us has a limitation in providing light weight, thinness, and flexibility.
따라서 기존의 유연성이 없는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가 차세대 평판형 표시장치로 급부상중이다.Therefore, a flexible display device which is manufactured so as to be able to maintain the display performance even if it is bent like paper by using a flexible material such as plastic instead of the conventional glass substrate having no flexibility is rapidly emerging as a next generation flat panel display device.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유리가 아닌 플라스틱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활용하여 내구성이 높은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 깨지지 않으면서도 구부릴 수 있는 밴더블(bendable), 둘둘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device utilizes a non-glass plastic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to provide a durable, unbreakable, bendable, bendable, rollable, Foldable, etc. Such a flexible display device has advantages of space utilization, interior and design, and can have various application fields.
특히 최근에는 초박형, 경량화 및 소형화와 함께 대면적화를 구현하기 위해, 접힌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고 펼쳐진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in order to realize large size, light weight, small size, and large size, a fold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being folded in a folded state and displaying an image in an unfolded state has been actively studied.
폴더블 표시장치는 모바일폰, 울트라 모바일 피씨(ultra mobile PC), 전자책, 전자신문과 같은 모바일 장치뿐만 아니라, TV, 모니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The folder-type display device can be applied not only to mobile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n ultra mobile PC, an electronic book, and an electronic newspaper, but also to various fields such as a TV and a monitor.
이러한 폴더블 표시장치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하부에 위치하여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back plate) 그리고 표시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표시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윈도우(cover window)를 포함한다. Such a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largely implementing an image, a back plate fo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a cover window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for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and a cover window.
여기서, 표시패널과 커버윈도우와 표시패널과 백플레이트 사이로는 광학접착층이 개재되어, 표시패널과 커버윈도우 그리고 백플레이트는 서로 일체로 접착 및 모듈화된다. Here, an optical adhesive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the cover window, the display panel and the back plate, and the display panel, the cover window and the back plate are integrally bonded and modularized with each other.
이때, 폴더블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광학접착층은 OCA(Optical Cleared Adhesive)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광학접착층이 낮은 모듈러스(modulus)를 가질 경우, 폴더블 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광학접착층이 제한을 주지는 않지만, 별도의 미들프레임(mid-frame)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되고, 이를 통해 폴더블 표시장치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이는 결국 표시패널의 표시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the optical adhesive layer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foldable type is formed of OCA (Optical Cleared Adhesive). When the optical adhesive layer has a low modulus, the optical adhesive layer is limited in the folding and spreading of the display device However, a separate mid-frame is required, which causes a problem that a physical boundary between the folded area and the unfolded area of the display device is visually recognized. Which eventually deteriorates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panel.
또한, 광학접착층이 높은 모듈러스를 가질 경우에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을 가하게 되며, 밴딩스트레스(bending stress)를 야기하여 박막층 박리 등의 표시패널의 손상을 야기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optical adhesive layer has a high modulus, restrictions are imposed on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device, and bending stress is caused to cause damage to the display panel such as peeling of the thin film lay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없으며 내구성이 향상된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able display device having no limitations in folding and unfolding and having improved durability.
이를 통해, 표시패널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며, 또한 표시패널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panel and to prevent the display panel from being damaged.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플레이트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윈도우 사이로 위치하는 제 1 광학접착층과,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백플레이트 사이로 위치하는 제 2 광학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접착층의 표면에는 엠보패턴(embo pattern)이 형성된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anel; A cover window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A back plate positioned behind the display panel; A first optical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window, and a second optical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ack plate,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adhesive layers And a emboss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접착층은 각각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양면으로 제 1 및 제 2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엠보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엠보패턴은 102 ~ 103um의 사이즈를 갖는다.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adhesive layers each include a base film and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on both sides of the base film, and the emboss pattern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And the embossed pattern has a size of 10 2 to 10 3 μm.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접착층은 각각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되며, 상기 접힘영역의 상기 엠보패턴의 사이즈는 상기 비접힘영역의 상기 엠보패턴의 사이즈에 비해 크며, 상기 제 2 광학접착층의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제 2 접착층 사이로 블랙잉크층이 개재된다.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adhesive layers are defined by being divided into a folded area and a non-folded area, the size of the embossed pattern in the folded area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embossed pattern in the unfolded area, A black ink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base film of the optical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또한, 본 발명은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위치하며, 표면에 엠보패턴(embo pattern)이 형성된 제 1 접착층과; 상기 기재필름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 2 접착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base film; a first adhesive lay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nd having an emboss pattern on the surface; And a second adhesive layer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이때,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제 2 접착층 사이에 블랙잉크층이 위치한다. At this time, a black ink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커버윈도우와 터치패널 그리고 표시패널과 백플레이트를 접착층 표면에 엠보패턴이 형성된 양면테이프 형상의 광학접착층을 통해 부착 및 일체화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광학접착층에 의한 제한이 없으면서도 폴더블 표시장치 자체의 내구성 또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window, the touch panel, the display panel, and the back plate are attached to and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optical adhesive layer in the form of a double-sided tape having an embossed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display device itself without limitation by the optical adhesive layer.
이를 통해, 별도의 미드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미드프레임에 의한 폴더블 표시장치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표시패널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physical boundary between the folded area and the non-folded area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by the midframe is visually recognized, by avoiding the need for a separate midframe, The display quality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또한, 밴딩스트레스(bending stress)에 의해 박막층 박리 등의 표시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l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splay panel such as peeling of the thin fil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bending stress.
또한, OLED패널의 배면으로 블랙잉크층을 포함하는 광학접착층을 통해 백플레이트를 부착시킴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의 블랙색감 향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attaching the back plate to the back surface of the OLED panel through the optical adhesive layer including the black ink layer,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lack color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realized.
또한, 백플레이트의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물리적인 단차 또는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에 의해 표시패널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이를 통해서도 표시패널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due to the different material of the back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hysical boundary between the folded area and the non-folded area is visually recogniz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panel due to physical step difference or other pr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folded area and the n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panel from being deteriorated even through this.
또한, 백플레이트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백플레이트로부터 반사되는 외광 등을 차단할 수 있어, 이를 통해도 표시패널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ack plat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external light reflected from the back plate can be blocked, thereby improving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접착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b와 도 3c는 접착층 표면의 엠보패턴을 측정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접착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lde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isplay panel of Fig. 1; Fig.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tical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and 3C are photographs showing embossed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tical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의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isplay panel of FIG.
도시한 바와 같이,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패널(110)과, 터치센서(미도시)를 이루는 터치패널(120) 그리고 표시패널(110)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back plate : 130) 그리고 표시패널(110)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윈도우(cover window : 1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상의 방향을 정의하면, 표시패널(110)의 표시면이 전방을 향한다는 전제 하에 백플레이트(130)가 표시패널(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며, 표시패널(110)의 전방으로는 커버윈도우(140)가 위치한다.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if the direction of the drawing is defined, the
그리고, 표시패널(110)과 커버윈도우(140) 사이로 터치패널(120)이 위치한다. The
여기서, 표시패널(11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의 대표주자인 O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The OLED is a self-luminous element and can be lightweight and thin because a backlight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is a non-luminous element is not required.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it has a better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tha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can be driven by DC low voltage, has a fast response speed, is resistant to external impacts due to its solid internal components, It has advantages.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roduction cost can be saved more than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러한 OLED로 이루어지는 표시패널(110)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가 형성된 기판(101)이 보호필름(102)에 의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The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OLED로 이루어지는 표시패널(110, 이하 OLED패널이라 함)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Here, the display panel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LED panel) comprising an OL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기판(101) 상의 화소영역(P)에는 반도체층(104)이 형성되는데, 반도체층(104)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영역(104a) 그리고 액티브영역(104a) 양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4b, 104c)으로 구성된다. A
이러한 반도체층(104) 상부로는 게이트절연막(105)이 형성되어 있다. A
게이트절연막(105) 상부로는 반도체층(104)의 액티브영역(104a)에 대응하여 게이트전극(107)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gate
또한, 게이트전극(107)과 게이트배선(미도시) 상부 전면에 제 1 층간절연막(10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제 1 층간절연막(106a)과 그 하부의 게이트절연막(105)은 액티브영역(104a) 양측면에 위치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4b, 104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구비한다. A first interlayer
다음으로,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포함하는 제 1 층간절연막(106a) 상부로는 서로 이격하며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통해 노출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4b, 104c)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전극(108a, 108b)이 형성되어 있다. Next, on the first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08a, 108b)과 두 전극(108a, 108b) 사이로 노출된 제 1 층간절연막(106a) 상부로 드레인전극(108b)을 노출시키는 드레인콘택홀(112)을 갖는 제 2 층간절연막(106b)이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6b having the
이때, 소스 및 드레인전극(108a, 108b)과 이들 전극(108a, 108b)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영역(104b, 104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04)과 반도체층(104)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절연막(105) 및 게이트전극(107)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루게 된다. At this time, the
한편,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게이트배선(미도시)과 교차하여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데이터배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구조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data lines (not shown) for defining the pixel regions P intersect the gate lines (not shown) are formed.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그리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도면에서는 반도체층(104)이 폴리실리콘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코플라나(co-planar) 타입을 예로서 보이고 있으며, 이의 변형예로서 순수 및 불순물의 비정질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보텀 케이트(bottom gate)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drawings,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re shown as an example of a co-planar type in which the
또한, 제 2 층간절연막(106b) 상부로는 실질적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에는 예를 들어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로 발광다이오드(E)를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로서 양극(anode)을 이루는 제 1 전극(111)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6b, which substantially displays an image, has a relatively high work function value, for example, as a constituent element of the anode (anode) One
제 1 전극(111)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108b)과 연결되며The
이러한 제 1 전극(111)은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되는데,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된 제 1 전극(111) 사이에는 뱅크(bank : 119)가 위치한다. The
즉, 뱅크(119)를 각 화소영역(P) 별 경계부로 하여 제 1 전극(111)이 화소영역(P) 별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That is, the
그리고 제 1 전극(111)의 상부에 유기발광층(113)이 형성되어 있다. An organic
여기서, 유기발광층(113)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organic
이러한 유기발광층(113)은 적(R), 녹(G), 청(B)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영역(P) 마다 적(R), 녹(G), 청(B)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113a, 113b, 113c)을 패턴하여 사용한다. In general, the organic
그리고, 유기발광층(113)의 상부로는 전면에 음극(cathode)을 이루는 제 2 전극(115)이 형성되어 있다. A
이때, 제 2 전극(115)은 이중층 구조로, 일함수가 낮은 금속 물질을 얇게 증착한 반투명 금속막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전극(115)은 반투명 금속막 상에 투명한 도전성 물질이 두껍게 증착된 이층 구조일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따라서, 유기발광층(113)에서 발광된 빛은 제 2 전극(115)을 향해 방출되는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으로 구동된다. Therefo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또는 제 2 전극(115)이 불투명 금속막으로 이루어져, 유기발광층(113)에서 발광된 빛은 제 1 전극(111)을 향해 방출되는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Or the
이러한 OLED패널(110)은 선택된 색 신호에 따라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극(11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발광층(113)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 될 때 빛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to the
이때, 발광된 빛은 투명한 제 2 전극(115) 또는 제 1 전극(1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되므로, OLED패널(110)은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emitted light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 상부에는 얇은 박막필름 형태인 보호필름(102)이 형성되어, OLED패널(101)은 보호필름(102)을 통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되는데, 보호필름(102)은 외부 산소 및 수분이 OLED패널(1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보호필름(102a)을 적어도 2장 적층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2장의 무기보호필름(102a) 사이에는 무기보호필름(102a)의 내충격성을 보완하기 위한 유기보호필름(102b)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한편, 기판(101)은 유연한 성질을 갖기 위해 얇은 폴리이미드(polyimide)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얇은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기판(101)은 박막트랜지스터(DTr)와 같은 구성요소의 형성공정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기판과 같은 캐리어기판에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부착한 상태에서 박막트랜지스터(DTr)와 같은 구성요소의 형성공정을 진행한다. 이후, 캐리어기판과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분리함으로써, OLED패널(110)을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OLED패널(110)의 상부로는 터치패널(120)이 위치하는데, OLED패널(110)과 터치패널(120)은 터치패널(110)의 접착층(미도시)을 통해 서로 합착된다. The
여기서,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패널(120)은 제 1 터치전극(미도시)이 형성된 제 1 터치필름(미도시)과 제 2 터치전극(미도시)이 형성된 제 2 터치필름(미도시)이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여 이루어진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제 1 터치전극(미도시)은 제 1 터치필름(미도시) 상의 전면에 증착되며, 제 1 터치전극(미도시)은 투명 도전성 물질인 인듐-틴-옥사이드(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ZO)로 이루어진다.The first touch electrode (not shown) is deposi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touch film (not shown), and the first touch electrode (not shown) is formed of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IZO).
그리고, 제 1 터치필름(미도시)과 마주보는 제 2 터치필름(미도시) 상에는 제 2 터치전극(미도시)이 일정 간격 이격하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합금(AlNd), 마그네슘(Mg), 금(Au), 은(Ag) 등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진다.A second touch electrode (not shown) is formed on the second touch film (not shown) facing the first touch film (not shown) (AlNd), magnesium (Mg), gold (Au), silver (Ag) or the like.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미도시)은 터치센서(미도시)를 이루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touch electrodes (not shown) form a touch sensor (not shown).
따라서, 제 1 터치필름(미도시) 상부로 손가락 또는 펜과 같은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에 접촉하게 되면, 제 1 터치필름(미도시)에 형성된 제 1 터치전극(미도시)과 제 2 터치필름(미도시)에 형성된 제 2 터치전극(미도시)이 상호 통전되고, 그 위치의 저항 값에 의하여 변화된 전압 값을 읽어 들인 후 제어 장치에서 전위차의 변화에 따라 위치 좌표를 찾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ouch film (not show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oint by a predetermined input means such as a finger or a pen, a first touch electrode (not shown) formed on the first touch film A second touch electrode (not shown) formed on a two-touch film (not shown) is mutually energized, a voltage value changed by the resistance value at that position is read, and then the position coordinate can be found in accordance with the variation of the potential difference in the control device .
터치패널(120)과 합착된 OLED패널(110)은 커버윈도우(140)와 백플레이트(130)를 통해 일체로 모듈화되는데, 화상이 구현되는 OLED패널(110)의 전방으로는 터치패널(120)과 OLED패널(110)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윈도우(140)가 제 1 광학접착층(150)을 통해 부착되며,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는 OLED패널(110)을 지지하기 위한 백플레이트(130)가 제 2 광학접착층(160)을 통해 부착된다. The
여기서, 제 1 및 제 2 광학접착층(150, 160)은 기재필름(201, 도 3a 참조)의 양면으로 OCA(Optical Cleared Adhesive)로 이루어지는 접착층(210, 220, 도 3a 참조)이 위치하는 양면테이프 형상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접착층(210, 220, 도 3a 참조)의 표면이 엠보패턴(embo pattern : 230, 도 3a 참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내구성이 향상되며, OLED패널(110)이 손상되거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추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커버윈도우(14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OLED패널(110)및 터치패널(120)을 보호하며, OLED패널(110)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OLED패널(1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한다.The
이러한 커버윈도우(140)는 내충격성 및 광투과성을 가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사이클로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I (Polyimide), PA (Polyaramid)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백플레이트(130)는 OLED패널(110)의 기판(101)이 너무 얇기 때문에, OLED패널(110)을 지지하고자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 부착되는데,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 물질 또는 폴리메닐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PV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crylonitirle-butadiene-styrene, 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와 같은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커버윈도우(140)와 터치패널(120) 그리고 OLED패널(110)과 백플레이트(130)를 접착층(210, 220, 도 3a 참조) 표면에 엠보패턴(230, 도 3a 참조)이 형성된 양면테이프 형상의 광학접착층(150, 160)을 통해 부착 및 일체화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또한 OLED패널(110)이 손상되거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접착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b와 도 3c는 접착층 표면의 엠보패턴을 측정한 사진이다.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tical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B and 3C are photographs showing embossed patterns on the surface of an adhesive layer.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접착층(150, 160)은 기재필름(201)과, 기재필름(201)의 양면으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접착층(210, 220)을 포함하며, 제 1 접착층(210) 상부에는 제 1 보호필름(240)이 부착되어 있으며, 제 2 접착층(220)의 하부로는 제 2 보호필름(250)이 부착되어 있다. 3A, the optical
제 1 접착층(210)의 표면에는 엠보패턴(230)이 형성되어 있다. An
여기서, 제 1 및 제 2 보호필름(240, 250)은 추후 터치패널(도 1의 120) 상부로 커버윈도우(도 1의 140)를 부착시키거나, OLED패널(도 1의 110)의 배면으로 백플레이트(도 1의 130)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제거된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이러한, 광학접착층(150, 160)은 양면테이프 형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제 1 접착층(210)의 표면에 형성된 엠보패턴(230)으로 인하여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없으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The optical
이를 통해 별도의 미드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미드프레임에 의한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physical boundary between the folded area and the non-folded area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0 of FIG. 1) by the midframe is visually recognized, by not requiring a separate midframe have.
즉,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는 접힘 시 곡률이 형성되도록 접히는 영역인 접힘영역과, 접힘영역의 양측으로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접힘 시에도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될 수 있는데, 이때, 미드프레임은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서는 위치하지 않게 된다. That is,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0 in Fig. 1) is provided with a folded area which is an area where folding is performed so as to form a curvature at the time of folding and a folded area where both sides of the folded area are flat even when the foldable display device Folded area, where the midframe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unfolded area and is not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folded area.
따라서, 미드프레임에 의해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는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별도의 미드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미드프레임에 의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physical boundary between the folded region and the non-folded region is visually recognized by the midframe. However, the foldable display apparatus (100 of FIG.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in durability itself,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physical boundary between the folded region and the non-folded region due to the midframe is visually recognized.
이를 통해, OLED패널(도 1의 11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display quality of the OLED panel (110 in FIG. 1)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또한, 밴딩스트레스(bending stress)에 의해 박막층 박리 등의 OLED패널(도 1의 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OLED panel (110 in FIG. 1) such as peeling of the thin film due to bending stress.
여기서, 엠보패턴(230)은 도 3b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02 ~ 103um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한다. Here, the
이는, 102um 이하의 엠보패턴(230)은 광학접착층(150, 160)의 제 1 접착층(210)의 표면에서 엠보패턴(230)으로써의 역할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그리고, 광학접착층(150, 160)의 제 1 접착층(210)의 표면에 103um 이상의 엠보패턴(230)을 형성할 경우, 광학접착층(150, 160)의 제 1 접착층(210)의 표면에서 엠보패턴(230)으로써의 역할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When the
여기서, 광학접착층(150, 160)을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할 수 있는데, 광학접착층(150)의 접힘영역에서는 제 1 접착층(210) 표면의 엠보패턴(230)의 사이즈를 비접힘영역의 엠보패턴(230)의 사이즈에 비해 크게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optical
도 3b는 접힘영역에서의 제 1 접착층(210) 표면의 엠보패턴(230)이고, 도 3c는 접힘영역에서의 제 1 접착층(210) 표면의 엠보패턴(230)이다. 3B is an
이를 통해, 접힘영역에서는 광학접착층(150, 160)의 연신을 최대화되도록 할 수 있어,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보다 제한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비접힘영역에서는 작은 크기의 엠보패턴(230)에 의해 광학접착층(150, 160)의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도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longation of the optical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접착층(150, 160)은 기재필름(201)의 양면으로 제 1 및 제 2 접착파우더(미도시)를 코팅한 후, 제 1 및 제 2 접착파우더(미도시) 상부로 각각 제 1 및 제 2 보호필름(240, 250)을 부착하면서 라미네이팅(laminating)하여 형성하는데, 이때 제 1 접착층(210)의 표면에 형성된 엠보패턴(230)은 제 1 접착파우더(미도시)와 밀착되는 제 1 보호필름(240)의 일면에 형성된 엠보패턴(미도시)이 라미네이팅 과정에서 제 1 접착파우더(미도시)로 전사되면서 형성된다. The optica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접착층(150, 160)은 제 1 접착층(210)의 표면에 엠보패턴(230)이 형성되어,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광학접착층(150, 160)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따라서, 이러한 광학접착층(150, 160)을 통해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커버윈도우(도 1의 140)와 터치패널(도 1의 120), OLED패널(도 1의 110), 백플레이트(도 1의 130)를 일체로 부착시킬 경우,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광학접착층(150, 160)에 의한 제한이 없으면서도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 자체의 내구성 또한 향상시키게 된다. 1), the touch panel (120 in FIG. 1), the OLED panel (110 in FIG. 1), and the touch panel When the back plate (130 in Fig. 1) is integrally attached, there is no restriction by the optical
이를 통해 별도의 미드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미드프레임에 의한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OLED패널(도 1의 11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physical boundary between the folded area and the non-folded area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0 of FIG. 1) by the midframe is visually recognized, by not requiring a separate midframe have.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degradation of the display quality of the OLED panel (110 in FIG. 1).
또한, 밴딩스트레스(bending stress)에 의해 박막층 박리 등의 OLED패널(도 1의 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OLED panel (110 in FIG. 1) such as peeling of the thin film due to bending stress.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접착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tical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접착층(160)은 기재필름(201)과, 기재필름(201)의 양면으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접착층(210, 220)을 포함하며, 제 1 접착층(210) 상부에는 제 1 보호필름(240)이 부착되어 있으며, 제 2 접착층(220)의 하부로는 제 2 보호필름(250)이 부착되어 있다. The optical
제 1 접착층(210)의 표면에는 엠보패턴(230)이 형성되어 있다. An
여기서, 제 1 및 제 2 보호필름(240, 250)은 추후 터치패널(도 1의 120) 상부로 커버윈도우(도 1의 140)를 부착시키거나, OLED패널(도 1의 110)의 배면으로 백플레이트(도 1의 130)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제거된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특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접착층(160)은 기재필름(201)과 제 2 접착층(220) 사이로 블랙잉크층(260)이 더욱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optical
이러한 광학접착층(160)은 OLED패널(도 1의 110)의 배면으로 백플레이트(도 1의 130)를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OLED패널(도 1의 110)의 배면으로 백플레이트(도 1의 130)를 블랙잉크층(260)이 포함된 광학접착층(160)으로 부착시킬 경우,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블랙색감 향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The optical
또한, 백플레이트(도 1의 130)의 소성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백플레이트(도 1의 130)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는 강한 강성을 갖는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물리적인 단차 또는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에 의해 OLED패널(도 1의 110)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in order to minimize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back plate (130 in FIG. 1), the back plate (130 in FIG. 1) is defined as a folded area and a non-folded area and is made of a soft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lded area (110 in Fig. 1) due to the physical step difference or the different pr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folded region and the non-folded region due to the different material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that a physical boundary between the folded region and the non-folded region is visually recognized.
따라서, OLED패널(도 1의 11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degradation of the display quality of the OLED panel (110 in FIG. 1).
또한, 백플레이트(도 1의 130)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백플레이트(도 1의 130)로부터 반사되는 외광 등을 차단할 수 있어, 이를 통해도 OLED패널(도 1의 110)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ack plate (130 in FIG. 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external light reflected from the back plate (130 in FIG. 1) can be blocked and the display quality of the OLED panel .
또한, 광학접착층(160)은 제 1 접착층(210)의 표면에 형성된 엠보패턴(230)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며, 기재필름(201) 및 블랙잉크층(260) 등에 의해 자체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The durability of the optical
따라서, 이러한 광학접착층(160)을 OLED패널(도 1의 110)의 배면으로 부착하여, 광학접착층(160)이 백플레이트(도 1의 130)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백플레이트(도 1의 130)의 삭제를 통해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의 펼침 및 접힘에 보다 제한이 없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공정비용을 줄이거나, 백플레이트(도 1의 130)를 부착하는 공정 등을 삭제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such an optica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10)는 커버윈도우(도 1의 140)와 터치패널(도 1의 120) 그리고 OLED패널(도 1의 110)과 백플레이트(도 1의 130)를 접착층(210, 220) 표면에 엠보패턴(230)이 형성된 양면테이프 형상의 광학접착층(160)을 통해 부착 및 일체화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광학접착층(160)에 의한 제한이 없으면서도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 자체의 내구성 또한 향상시키게 된다. 1) of the cover window (140 in FIG. 1), the touch panel (120 in FIG. 1), the OLED panel (110 in FIG. 1) 1) by attaching and integrating the
이를 통해 별도의 미드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미드프레임에 의한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OLED패널(도 1의 11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physical boundary between the folded area and the non-folded area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0 of FIG. 1) by the midframe is visually recognized, by not requiring a separate midframe have.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degradation of the display quality of the OLED panel (110 in FIG. 1).
또한, 밴딩스트레스(bending stress)에 의해 박막층 박리 등의 OLED패널(도 1의 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OLED panel (110 in FIG. 1) such as peeling of the thin film due to bending stress.
또한, OLED패널(도 1의 110)의 배면으로 블랙잉크층(260)을 포함하는 광학접착층(160)을 통해 백플레이트(도 1의 130)를 부착시킴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의 블랙색감 향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Further, by attaching the back plate (130 in FIG. 1) through the optical
또한, 백플레이트(도 1의 130)의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물리적인 단차 또는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에 의해 OLED패널(도 1의 110)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due to the different material of the back plate (130 in FIG. 1) due to the physical step difference or other pr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folded region and the non-folded reg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problem that the physical boundary of the display device is visually recognized.
따라서, OLED패널(도 1의 11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degradation of the display quality of the OLED panel (110 in FIG. 1).
또한, 백플레이트(도 1의 130)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백플레이트(도 1의 130)로부터 반사되는 외광 등을 차단할 수 있어, 이를 통해도 OLED패널(도 1의 110)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ack plate (130 in FIG. 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external light reflected from the back plate (130 in FIG. 1) can be blocked and the display quality of the OLED panel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접착층(160)은 제 1 접착층(210)의 표면에 엠보패턴(230)이 형성됨을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엠보패턴(230)은 제 1 접착층(210)의 표면과 함께 제 2 접착층(220)의 표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제 2 접착층(220)의 표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optical
그리고,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폴더블 표시장치(도 1의 100)에 있어서 화상이 구현되는 OLED패널(도 1의 110)의 상부로 터치패널(도 1의 120)이 위치함을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터치패널(도 1의 120)은 삭제 가능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ouch panel (120 in FIG. 1) is positioned above the OLED panel 110 (FIG. 1) i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in the display device , The touch panel (120 in Fig. 1) can be deleted.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50, 160 : 광학접착층
201 : 기재필름
210, 220 : 제 1 및 제 2 접착층
230 : 엠보패턴
240, 250 : 제 1 및 제 2 보호필름150, 160: Optical adhesive layer
201: substrate film
210, 220: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230: emboss pattern
240, 250: first and second protective films
Claims (7)
상기 표시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플레이트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윈도우 사이로 위치하는 제 1 광학접착층과,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백플레이트 사이로 위치하는 제 2 광학접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접착층의 표면에는 엠보패턴(embo pattern)이 형성된 폴더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A cover window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A back plate positioned behind the display panel;
A first optical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window, and a second optical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ackplate,
And an emboss pattern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adhesive layers.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접착층은 각각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양면으로 제 1 및 제 2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엠보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는 폴더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adhesive layers each comprise a base film and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on both sides of the base film, wherein the emboss pattern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Lt; / RTI >
상기 엠보패턴은 102 ~ 103um의 사이즈를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mboss pattern has a size of 10 2 to 10 3 μm.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접착층은 각각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되며, 상기 접힘영역의 상기 엠보패턴의 사이즈는 상기 비접힘영역의 상기 엠보패턴의 사이즈에 비해 큰 폴더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adhesive layers are divided into a folded area and a non-folded area, respectively, and the size of the embossed pattern in the folded area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embossed pattern in the unfolded area.
상기 제 2 광학접착층의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제 2 접착층 사이로 블랙잉크층이 개재되는 폴더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black ink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base film of the second optical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위치하며, 표면에 엠보패턴(embo pattern)이 형성된 제 1 접착층과;
상기 기재필름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 2 접착층
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A base film,
A first adhesive lay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nd having an emboss pattern on the surface;
The second adhesive layer loc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an optical adhesive layer for a display device.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제 2 접착층 사이에 블랙잉크층이 위치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black ink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9490A KR102529108B1 (en) | 2015-11-30 | 2015-11-30 | Optical cleared adhesiv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9490A KR102529108B1 (en) | 2015-11-30 | 2015-11-30 | Optical cleared adhesiv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4161A true KR20170064161A (en) | 2017-06-09 |
KR102529108B1 KR102529108B1 (en) | 2023-05-04 |
Family
ID=5922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9490A KR102529108B1 (en) | 2015-11-30 | 2015-11-30 | Optical cleared adhesiv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9108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8451B1 (en) * | 2017-08-31 | 2018-08-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dhesive and Flexible Display Using the Same |
KR20190105683A (en) * | 2018-03-05 | 2019-09-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US10991787B2 (en) | 2017-10-26 | 2021-04-27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114582230A (en) * | 2020-12-02 | 2022-06-03 | 乐金显示有限公司 | Display device |
CN115171534A (en) * | 2022-07-12 | 2022-10-11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
US11565514B2 (en) | 2019-11-08 | 2023-01-31 | Samsung Display Co., Ltd. | Release film, tray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tray modul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3007A (en) * | 2009-04-11 | 2010-10-20 | 주식회사 영우 | Adhesive tape for fixing backlight unit and lcd panel |
KR20140137818A (en) * | 2013-05-24 | 2014-12-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dhesive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
KR20140148176A (en) * | 2013-06-21 | 2014-12-3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KR20150010411A (en) * | 2013-07-19 | 2015-01-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Display Device |
KR20150021167A (en) * | 2013-08-19 | 2015-03-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oldable display device |
-
2015
- 2015-11-30 KR KR1020150169490A patent/KR10252910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3007A (en) * | 2009-04-11 | 2010-10-20 | 주식회사 영우 | Adhesive tape for fixing backlight unit and lcd panel |
KR20140137818A (en) * | 2013-05-24 | 2014-12-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dhesive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
KR20140148176A (en) * | 2013-06-21 | 2014-12-3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KR20150010411A (en) * | 2013-07-19 | 2015-01-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Display Device |
KR20150021167A (en) * | 2013-08-19 | 2015-03-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oldable display device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8451B1 (en) * | 2017-08-31 | 2018-08-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dhesive and Flexible Display Using the Same |
US10559768B2 (en) | 2017-08-31 | 2020-02-11 | Lg Display Co., Ltd. | Adhesive and flexible display using the same |
US10991787B2 (en) | 2017-10-26 | 2021-04-27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1849610B2 (en) | 2017-10-26 | 2023-12-19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190105683A (en) * | 2018-03-05 | 2019-09-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US11565514B2 (en) | 2019-11-08 | 2023-01-31 | Samsung Display Co., Ltd. | Release film, tray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tray module |
CN114582230A (en) * | 2020-12-02 | 2022-06-03 | 乐金显示有限公司 | Display device |
CN115171534A (en) * | 2022-07-12 | 2022-10-11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
CN115171534B (en) * | 2022-07-12 | 2024-02-02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9108B1 (en) | 2023-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88088B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KR102454082B1 (en) | Backplat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1016335B2 (en) | Polarizing pl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1971201B1 (en) | Du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EP3098855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20170072973A (en) | Optical cleared adhesiv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AU2014367064B2 (en) | Display module and system applications | |
KR102501045B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CN115331550B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KR102529108B1 (en) | Optical cleared adhesiv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09701B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KR20190006101A (en) |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KR102553373B1 (en) | Optical cleared adhesiv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00082015A (en) | Flexible display device | |
KR102723484B1 (en) | Flexible display device | |
KR102461528B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KR102621128B1 (en) | Optical cleared adhesiv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1989602B2 (en) | Display device and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
US20070164660A1 (en) | Dual-emiss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
US12039897B2 (en) | Display device that prevents edge burn-in | |
KR102667252B1 (en) | Flexible Display Device | |
KR20240016599A (en) |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
KR20240144597A (en) | Display device | |
CN116645878A (en) | Protective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30171347A (en) |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