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052975A -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신호들의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신호들의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975A
KR20170052975A KR1020150155157A KR20150155157A KR20170052975A KR 20170052975 A KR20170052975 A KR 20170052975A KR 1020150155157 A KR1020150155157 A KR 1020150155157A KR 20150155157 A KR20150155157 A KR 20150155157A KR 20170052975 A KR20170052975 A KR 20170052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er
applications
mobile device
connection reque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1205B1 (ko
Inventor
박용석
장수영
박대동
홍성수
김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205B1/ko
Priority to US15/344,464 priority patent/US10531243B2/en
Publication of KR20170052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2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L67/325
    • H04L67/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1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 H04L69/162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involving adaptations of sockets based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이동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서버와의 연결 요청 시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의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와의 연결이 생성되면,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발생한 데이터에게 고유값을 할당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신호들의 전송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TIME CORRELATED SIGNALS}
도본 개시는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신호들 간의 전송 시간 간격을 최소화하여 신호들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은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 (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 등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 (Information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한 웹(web) 기반 실시간 통신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동기식 요청-응답 프로토콜(protocol)의 한계를 극복하는 비동기식 양방향 통신 프로토콜인 웹 소켓(WebSocket)이 도입되었다. 기존의 동기식 요청 응답 프로토콜의 대표적인 예인,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기반 통신은, 클라이언트(client)가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실행하여 HTTP를 사용한 요청을 서버(server)에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가 상기 요청의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면, 상기 웹 브라우저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반이중 통신(half duplex)이다. 따라서 HTTP 기반 통신 방식은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매번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접속 과정을 거쳐야 하는 반면, 웹 소켓 기반 통신은, closing handshake가 호출되기 전까지 연결이 유지되며, 비동기적 특성에 따라 클라이언트 풀(pull) 방식 통신뿐만 아니라 서버 푸시(push) 방식 통신도 지원할 수 있다. 더욱이, 웹 소켓은, HTTP 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메시지 헤더를 사용하여 메시지 전송 시 더 적은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그러나, 웹 소켓 프로토콜은 데이터 중심(data-centric) 응용에 대한 지원이 미비하여,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웹 소켓 프로토콜 사용 시 데이터 중심 응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개시는 웹 소켓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 시,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갖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개시는 웹 소켓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갖는 데이터 간 전송 시간 간격을 최소화하는 스케쥴링 방안을 제안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서버와의 연결 요청 시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의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와의 연결이 생성되면,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발생한 데이터에게 고유값을 할당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방법은; 서버가 이동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의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요청의 수락 시 상기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의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이동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서버와의 연결 요청에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의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서버와의 연결이 생성되면,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발생한 데이터에게 고유값을 할당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연결 요청과, 해당 고유값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발생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장치는; 이동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에 있어서, 송수신부가 이동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연결 요청으로부터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의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요청의 수락 시 상기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의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연결 요청의 수락을 상기 이동 디바이스에게 통보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들과, 이득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부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고,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게시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본 게시의 구체적인 설명 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를 통해 사용되는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용어들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과 그 파생어들은 한정없는 포함을 의미하며; 상기 용어 “혹은(or)”은 포괄적이고 ‘및/또는’을 의미하고; 상기 구문들 “~와 연관되는(associated with)” 및 ““~와 연관되는(associated therewith)”과 그 파생어들은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be included within), ~와 서로 연결되고(interconnect with), 포함하고(contain), ~내에 포함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조하고(cooperate with), 인터리빙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로 가장 근접하고(be proximate to), ~로 ~할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와 ~할 가능성이 크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have a property of) 등과 같은 것을 의미하고; 상기 용어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혹은 그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상기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2개의 몇몇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제어기와 연관되는 기능성이라도 집중화되거나 혹은 분산될 수 있으며, 국부적이거나 원격적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만 할 것이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은 이 특허 문서에 걸쳐 제공되고,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경우,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라고 해도, 상기와 같은 정의들이 종래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의 미래의 사용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웹소켓 프로토콜을 사용한 IoT 통신 환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진 메시지를 처리하는 웹 소켓 확장의 협상(negotiation)을 수행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웹 소켓 메시지 프레임의 일 예;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진 메시지 전송 시 메시지들의 스케줄링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다음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들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가정용 기기(smart home appliance)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마트 가정용 기기는 텔레비젼과,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 DVD, 이하 ‘DVD’라 칭하기로 한다) 플레이어와, 오디오와, 냉장고와, 에어 컨디셔너와, 진공 청소기와, 오븐과, 마이크로웨이브 오븐과, 워셔와, 드라이어와, 공기 청정기와, 셋-탑 박스(set-top box)와, TV 박스 (일 예로, Samsung HomeSyncTM, Apple TVTM, 혹은 Google TVTM)와, 게임 콘솔(gaming console)과, 전자 사전과, 캠코더와, 전자 사진 프레임 등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의료 기기(일 예로,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이하 ‘MRA’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자기 공명 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이하 “MRI”라 칭하기로 한다)과,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이하 ‘CT’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촬상 디바이스, 혹은 초음파 디바이스)와,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와, 전세계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이하 ‘GPS’라 칭하기로 한다) 수신기와, 사고 기록 장치(event data recorder: EDR, 이하 ‘ED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비행 기록 장치(flight data recorder: FDR, 이하 ‘FE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디바이스(automotive infotainment device)와, 항해 전자 디바이스(일 예로, 항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자이로스코프(gyroscope), 혹은 나침반)와, 항공 전자 디바이스와, 보안 디바이스와, 산업용 혹은 소비자용 로봇(robot) 등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가구와, 빌딩/구조의 일부와, 전자 보드와, 전자 서명 수신 디바이스와, 프로젝터와, 다양한 측정 디바이스들(일 예로, 물과, 전기와, 가스 혹은 전자기 파 측정 디바이스들) 등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 디바이스와 서버는 일 예로, 전자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동작으로 설명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클리언트가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서버 역시 서버에 대응하는 저자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응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웹소켓 프로토콜을 사용한 IoT 통신 환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가 실생활에 응용된 대표적인 예로 노년 건강 케어(care)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노년 건강 케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 또는 응용 소프트웨어들을 이동 디바이스(102)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체크를 위한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디바이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을 통한 데이터들을 수집하기 위한 2개의 센서를 구비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1은, 예를 들어, 심음도, 동맥압, 심실압 등의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고, 센서 2는 예를 들어, 심전도, 뇌전도, 근전도, 호흡 수 등의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디바이스는 수집한 데이터들을 일 예로, 이동 통신망(100)을 통해서 인터넷(104)에 접속하여 노년 건강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노년 건강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병원 내에 구축되며, 수신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환자들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1의 심음도와, 센서 2의 심전도는 각종 심질환의 진단을 위해서 동시에 요구되는 데이터이다. 만약, 상기 센서 1의 심음도와 센서 2의 심전도가 상기 서버로 도착하는 데에 시간 편차가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 1의 심음도가 먼저 도착하고, 센서 2의 심전도가 미리 결정된 시간 이후에 도착할 경우, 상기 심음도와 심전도는 심질환의 진단을 위해서 요구되는 데이터로 사용될 수 없다. 이와 같이, 특정 결과값을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값들 간에 최대 시간 간격(maximum time-skew) 제한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관계를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데이터 간 시간적 상관관계로 정의한다.
다른 예로, 어떤 공장이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온도센서 데이터(X1)와 압력센서 데이터(X2)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센서들로부터 생성되는 입력 데이터 [X1 ,X2]는 동시에 중앙 관제실로 전송되어 공조 제어에 필요한 출력 데이터(Y)를 도출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시시각각 변하는 온도와 압력 측정값이 의미 있는 데이터로 간주되기 위해 데이터 간의 도착 시간 간격이 최대 30ms(C(Y│X1,X2)=30ms)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온도 센서 데이터와 압력 센서 데이터 간에는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만약, 상기한 공조 시스템에 웹 소켓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웹 소켓 프로토콜 기반 통신에서는 시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정의하고 있지 않음에 따라 앞서 설명한 공조 제어에 필요한 출력 데이터의 도출을 보장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웹 소켓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 시,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갖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통신을 위한 연결 생성 시 서버에게 전송하는 요청 메시지에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갖는 데이터의 송신을 지원함을 명시하고,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갖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방법 및 상기 메시지들을 스케쥴링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통신을 위한 연결 생성 시 서버에게 전송하는 요청 메시지에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갖는 데이터의 송신을 지원함을 명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진 메시지에 대한 처리를 동시에 지원한다. 또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연결 성립 시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진 메시지 처리에 대한 지원을 명시하는 절차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기존의 웹 소켓 프로토콜 사양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 기능을 정의함으로써, 웹 소켓의 기능적 확장을 지원하는 부가기능인 웹 소켓 확장(extension)을 이용하여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가진 메시지 전송 관련 정보를 명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진 메시지를 처리하는 웹 소켓 확장의 협상(negotiation)을 수행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웹 소켓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 시,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가진 데이터들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204단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가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웹 소켓 확장의 인에이블(enable)을 결정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200)는 웹소켓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02)와 통신하기 위해서, 206단계에서 상기 서버(202)에게 연결 요청 생성하여 송신한다.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웹소켓을 이용한 서버 및 클라이언트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먼저,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Internet Protocol) 접속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206단계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TCP/IP 접속이 완료된 후 수행된 경우를 가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결 요청은, 헤더의 웹 소켓 확장 필드에 상기 클라이언트가 추가하고 싶은 옵션인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메시지 전송의 지원 여부를 명시할 수 있고, 추가로, 상기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메시지 전송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시킬 수 있다.
208단계에서 상기 서버(202)는 상기 수신한 연결 요청의 헤더에 웹 소켓 확장 필드에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메시지 전송의 지원이 명시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웹 소켓 확장 필드에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메시지 전송의 지원이 명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서버(202)는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해 응답을 송신하는 일반적인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웹 소켓 확장 필드에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메시지 전송의 지원이 명시되어 있을 경우, 210단계에서 상기 서버(202) 역시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가지는 메시지 전송의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서버(20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서버(202)는 송수신할 메시지 프레임 내에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짐을 나타내는 고유값들을 할당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하기 도 3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212단계에서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200)에게 전송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응답 역시, 헤더에 상기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메시지 전송의 지원을 명시한다.
그리고, 214단계에서 클라이언트(200) 역시 송수신할 메시지 프레임 내에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짐을 나타내는 고유값들을 할당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하기 도 3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그러면, 216단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200) 및 상기 서버(202)간에 웹 소켓 프로토콜 기반 연결이 생성된다. 이후,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클라이이언트(200) 및 서버(200)는 상기 연결을 통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갖는 메시지들을 비동기적으로 송수신한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송수신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시간적 상관관계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가지는 메시지들에 대해 시간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고유값을 할당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 메시지들에게는 중복되지 않는 고유값을 할당하고,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메시지들에게는 동일한 값을 할당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고유값은 일 예로, 두 개의 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첫 번째 수는 해당 메시지 식별자(message id)를 나타낸다. 메시지 식별자는 동일한 웹 소켓을 통해서 송신되는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갖는 메시지들의 시간적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식별자는 하나의 웹 소켓 연결 내에서 송신되는 메시지 별로 고유값을 가지므로, 하나의 웹 소켓 연결을 통해서 전송되는 메시지들은 각각 서로 다른 메시지 식별자를 가진다. 상기 두 개의 수 중 두 번째 수는 상관 식별자(correlation id)이다. 여기서, 상관 식별자는,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진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웹 소켓 연결들에게 동일한 값으로 부여된다. 즉, 서로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진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두 개 이상의 웹 소켓 연결은 동일한 상관 식별자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메시지들의 상관 식별자는 동일한 값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가지는 메시지들의 메시지 식별자 역시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시간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고유값들은 각 메시지 프레임에 포함된다. 즉,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 일반적인 메시지의 프레임은 프레임 헤더와 페이로드 데이터만으로 구성되는 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메시지의 프레임에는 시간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고유값들을 입력하는 필드들이 추가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웹 소켓 메시지 프레임의 일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웹 소켓 메시지 프레임은, 프레임 헤더와, 페이로드 데이터 이외에 해당 메시지가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가짐을 나타내는 고유값들을 위한 필드 즉, 메시지 식별자 필드와 상관 식별자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웹 소켓 메시지의 프레임은, 프레임 헤더의 RSV2 비트를 “1”로 설정함으로써, 해당 메시지가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웹 소켓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이동 디바이스는,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메시지 프레임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웹 소켓 연결 및 해당 메시지의 순서를 식별하여 상기 메시지 식별자와 상관 식별자를 할당하고, 할당된 메시지 식별자와 상관 식별자를 각 필드에 기록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웹 소켓 메시지의 프레임을 수신한 서버는, 상기 프레임 내의 메시지 식별자 필드와 상관 식별자 필드로부터 해당 값을 획득하여, 동일한 메시지 식별자 및 상관 식별자를 갖는 메시지 프레임들을 확인하고, 확인된 메시지 프레임들과 수신한 프레임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웹 소켓 연결을 통해서 송수신할 메시지 프레임들에 대해 시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진 메시지 간의 전송 간격을 최소화하는 스케쥴링 방안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진 메시지 전송 시 메시지들의 스케줄링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예로, 클라이언트의 이동 디바이스 내에 동일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2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어플리케이션 1 및 어플리케이션 2는 각각의 웹 소켓 서버1,2와 연결을 형성하며,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적용되는 센서 등으로부터 발생한 정보를 처리하여 해당 웹 소켓 연결을 통해 전송을 요청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 디바이스 내에 웹 소켓1을 통해서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저장하는 큐(400)와, 웹 소켓 2를 통해서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저장하는 큐(412) 외에, 상기 서비스에 대해 웹 소켓 1 및 웹 소켓2을 통해서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메시지들 중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갖는 메시지들을 우선적으로 네트워크로 송신하기 위해서 별도의 큐(414)를 구비한다. 그리고, 실제 물리 연결을 포함한 응용 계층 이하의 프로토콜 스택(4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웹 소켓 연결1 및 2의 큐들(400, 412)에 저장된 메시지들 중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갖지 않는 메시지들은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상기 프로토콜 스택(416)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송이 시작된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메시지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네트워크로의 전송이 요청된 경우, 해당 메시지는 자신의 웹 소켓 연결에 대응하는 큐에 저장되지 않고, 상기 별도의 큐(414)에 저장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큐(414)는,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첫 번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바로 전송하지 않고, 전송을 지연시킨다. 그리고, 상기 큐(414)는 메시지가 입력될 때마다 입력된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첫 번째 메시지와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두 번째 메시지가 입력되었는 지 확인한다. 이때, 확인 절차는 해당 메시지의 프레임으로부터 획득한 메시지 식별자 및 상관 식별자가 동일한 값들을 갖는 메시지들을 함께 전송할 메시지들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확인 결과, 두 번째 메시지가 입력된 경우, 상기 큐(414)는 상기 첫 번째 메시지와 상기 두 번째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 요청한다. 이로 인해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첫 번째 메시지와 두 번째 메시지간의 전송 시간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별도의 큐(414)는 다른 웹 소켓 연결들에 비해 최우선 순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큐(414)에 저장된 메시지들은 다른 연결의 메시지들에 비해 우선적으로 전송된다. 이를 통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진 메시지의 전송이 다시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미 지연된 전송 시간을 보상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디바이스(500)는, 일 예로, 제어부(502)와, 송수신부(504)와, 메모리(506) 및 프레임 생성부(50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디바이스의 각 구성은 사업자의 구현이나 실시 예에 따라 서브 구성들로 세분화되거나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502)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500)의 각 구성에 대한 모든 동작 혹은 일부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제어부(502)가 이동 디바이스(500)의 일부 동작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동 디바이스(500)는 동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을 통해서 발생하는 데이터들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의 전송 시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가지는 경우를 가정하자. 상기 제어부(50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시간적 상관 관계의 지원을 나타내기 위해서 프레임 구조의 웹 소켓 확장 인에이블을 결정하면, 프레임 생성부(508)를 통해서 서버와의 연결 요청을 송신 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간적 상관 관계의 지원을 명시한 프레임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생성부(508)를 통해서 생성된 연결 요청은 상기 제어부(502)의 지시에 따라 상기 서버에게 송신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2)는 상기 송수신부(504)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응답에 포함된 시간적 상관 관계의 지원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지원이 확인 되면, 상기 제어부(50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도 3과 같이 구성되는 웹 소켓 연결을 통해서 송신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프레임 생성부(508)를 제어한다. 그러면, 프레임 생성부(508)는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발생한 데이터의 네트워크 전송 시 시간적 상관 관계를 표기하기 위해서 고유값을 할당한다. 여기서 고유값은 도 3에서와 같이 할당된다.
상기 메모리(506)는 상기 2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발생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각 큐와,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갖는 별도의 큐(즉, 도 4의 414에 대응)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2)이 지시에 따라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큐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가지는 데이터를 상기 큐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504)는 상기 큐로부터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가지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들을 동시에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이때, 메시지들은 상기 제어부(502)를 통해서 동일한 고유값 즉, 메시지 식별자 및 상관 식별자가 동일한 하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역시 도 5에 도시한 이동 디바이스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웹 소켓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생성 시 제어부(502)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간적 상관 관계의 지원 여부를 명시하도록 프레임 생성부(508)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설명한 구조를 통해서 이동 디바이스는 상기 서버가 지원하는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가지는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는 송수신부(504)를 통해서 상기 이동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시간적 상관 관계를 가지는 데이터들의 수신 시 시간 지연차가 감소하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웹 소켓 연결 시 시간적 상관 관계의 지원 여부를 명시하고, 상기 연결을 통해서 송수신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시간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고유값을 할당함으로써, 웹 소켓을 사용하는 IoT 및 센서네트워크 등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시간적 연관성이 있는 데이터 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표현이 가능하며, 이들의 시간적 상관 관계를 어플리케이션 단이 아닌 웹 소켓 계층에서 처리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의 부담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시간적 상관관계를 가진 데이터 간의 전송 간격에 대한 최소 시간 간격을 보장함으로써, 해당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측면들은 또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리드 온니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이하 ‘ROM’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이하 ‘RAM’라 칭하기로 한다)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상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과 같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개시를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개시가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이동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서버와의 연결 요청 시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의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와의 연결이 생성되면,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발생한 데이터에게 고유값을 할당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값을 할당하여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으로부터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가 표기된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발생한 데이터에게 해당 고유값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고유값이 설정된 데이터들을 동일 큐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들 중 해당 고유값이 동일한 적어도 2개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값은,
    상기 데이터에게 설정된 최대 전송 시구간에 대응하는 제1값과, 상기 데이터가 발생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데이터의 순서를 지시하는 제2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최대 전송 시구간이 동일한 데이터들의 고유값은 동일한 제1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서버가 이동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의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요청의 수락 시 상기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의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이동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이동 디바이스에게 서비스를 지원하는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각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발생한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발생한 데이터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로부터 할당된 동일한 고유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값은,
    상기 최대 전송 시구간에 대응하는 제1값과, 상기 데이터가 발생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데이터의 순서를 지시하는 제2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서버와의 연결 요청에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의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서버와의 연결이 생성되면,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발생한 데이터에게 고유값을 할당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연결 요청과, 해당 고유값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발생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응답으로부터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가 표기된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발생한 데이터에게 해당 고유값을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해당 고유값이 설정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큐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데이터들 중 고유값이 동일한 적어도 2개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값은,
    상기 데이터에게 설정된 최대 전송 시구간에 대응하는 제1값과, 상기 데이터가 발생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데이터의 순서를 지시하는 제2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디바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최대 전송 시구간이 동일한 데이터들의 고유값은 동일한 제1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디바이스.
  16. 이동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에 있어서,
    송수신부가 이동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연결 요청으로부터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의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요청의 수락 시 상기 최대 전송 시구간이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의 지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연결 요청의 수락을 상기 이동 디바이스에게 통보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이동 디바이스에게 서비스를 지원하는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각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 연결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발생한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발생한 데이터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로부터 할당된 동일한 고유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값은,
    상기 최대 전송 시구간에 대응하는 제1값과, 상기 데이터가 발생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데이터의 순서를 지시하는 제2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50155157A 2015-11-05 2015-11-05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신호들의 전송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411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57A KR102411205B1 (ko) 2015-11-05 2015-11-05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신호들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15/344,464 US10531243B2 (en) 2015-11-05 2016-11-04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having temporal corre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57A KR102411205B1 (ko) 2015-11-05 2015-11-05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신호들의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75A true KR20170052975A (ko) 2017-05-15
KR102411205B1 KR102411205B1 (ko) 2022-06-29

Family

ID=5866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157A Active KR102411205B1 (ko) 2015-11-05 2015-11-05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신호들의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31243B2 (ko)
KR (1) KR102411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3953B2 (en) * 2018-01-02 2020-06-02 Sap Se Transport channel via web socket for OData
US10547466B2 (en) * 2018-05-25 2020-01-28 Slack Technologies, Inc. Multiplexing message distribution within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234A (ko) * 2010-08-25 2012-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정보수집 환경에서의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153322B1 (ko) * 2010-07-16 2012-06-07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0883B1 (en) 1999-08-28 2003-05-27 Hsiao-Tung Wong Packet scheduling using dual weight single priority queue
US7173945B1 (en) 2002-03-11 2007-02-06 Cisco Technology, Inc. Removing jitter by adaptive slope tracking
TWI237448B (en) * 2004-04-12 2005-08-01 Benq Corp Method for interleaving data frame and circuit thereof
DE102005016866A1 (de) 2005-04-12 2006-10-19 Siemens Ag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m Synchronisieren von inhaltsbezogenen ersten Datensegmenten einer ersten Datendatei und inhaltsbezogenen zweiten Datensegmenten einer zweiten Datendatei
US20150186635A1 (en) * 2014-01-02 2015-07-02 Madjid F. Nakhjiri Granular Redaction of Resources
EP3235271A1 (en) * 2014-12-17 2017-10-25 Convida Wireless, LLC Methods for enabling delay-awareness in the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coap)
EP3243317B1 (en) * 2015-01-05 2024-04-10 Convida Wireless, LLC Machine-to-machine protocol indication and negotiation
EP3809751B1 (en) * 2015-05-19 2023-08-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activity handling of devices with delay-tolerant traffic
US9998994B2 (en) * 2015-09-14 2018-06-12 Squadle, Inc. Low power redundant transmission network
JP2017199162A (ja) * 2016-04-26 2017-11-02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障害対応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障害対応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322B1 (ko) * 2010-07-16 2012-06-07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19234A (ko) * 2010-08-25 2012-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정보수집 환경에서의 인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205B1 (ko) 2022-06-29
US10531243B2 (en) 2020-01-07
US20170134914A1 (en)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7849B (zh) 用于控制物联网设备的装置和方法
CN105408865B (zh) 用于针对IoT系统的作为服务的数据注释的方法与设备
KR10238957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조 광고자 검출 장치 및 방법
EP3038328A1 (en) Getting app list of partner device and transmitting selection and shared data
EP33384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l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loud storage service
US102505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packet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001175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 function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US101656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communication between nodes in a Bluetooth network
CN108605279B (zh) 一种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扫描周期的方法和装置
CN105338052B (zh) 用于同步电子设备的应用的方法和装置
CN107005796B (zh) 用于确定是否执行电子设备的任务的移动终端和方法
KR20150054505A (ko) 홈 가전기기들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서버 및 홈 가전기기들에 대한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N113438628B (zh) 用于数据交互的方法和装置
CN109872408B (zh) 用于发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201701274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interv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bluetooth scheme
US20170006230A1 (en) Dynamic preview display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5684520A (zh) 用于建立无线局域网通信连接的方法及其电子设备
Garai et al. Methodology for clinical integration of e-Health sensor-based smart device technology with cloud architecture
WO2010100735A1 (ja) 情報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情報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その方法
EP299131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p network service
US9268612B2 (en) Deployment of mobile workloads based on proximity
KR102411205B1 (ko) 시간적 상관관계를 갖는 신호들의 전송 방법 및 장치
CN111601399A (zh) 电子装置和用于控制电子装置的方法
US11516627B2 (en) SM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5550098B (zh) 电子装置和在电子装置中控制内容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1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