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209A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1209A KR20170051209A KR1020160122169A KR20160122169A KR20170051209A KR 20170051209 A KR20170051209 A KR 20170051209A KR 1020160122169 A KR1020160122169 A KR 1020160122169A KR 20160122169 A KR20160122169 A KR 20160122169A KR 20170051209 A KR20170051209 A KR 201700512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ousing
- humidifying medium
- water tank
- humidify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2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3 har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2 pos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4 soft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 F24F3/1603—
-
- F24F3/160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 F24F2003/161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a decorative founta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습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컨디셔너,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ir condition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an air purifier for maintaining cleanliness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 humidifier for providing moisture in the air, and a dehumidifier for removing moisture in the air.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Conventionally, a humidifier is classified into a natural evaporation type in which water is atomized in a diaphragm, and a natural evaporation is performed in a vibration type and a humidifying filter which discharge water into the air.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The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includes a disk type humidifier in which a disk is rotated using a driving force and water is naturally evapo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isk in the air, and a humidifying filter type humidifier which is naturally evaporated by air flowing in a humidifying medium Respectively.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필터에서 여과되었다.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가습 기능이 메인이기 때문에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humidifier, a part of the air flowing in the humidification process wa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humidifier has a humidifying function, the function of cleaning the air is weak.
또한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여과기능이 부가되어 실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기 여과만을 위해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the conventional humidifier has a problem in that the humidifier can not be operated only for air filtration because the humidifier is structured by adding filtration function during the humidification process.
그래서 종래 가습기는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공기청정을 원할 경우 가습이 실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humidifier has a problem that humidification is performed when the user desires air cleaning even in a high humidity condition.
본 발명은 가습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capable of independently operat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n air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사용자가 눈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which allows a user to intuitively confirm whether or not humidification is being performed.
본 발명은 수조의 물을 수차하우징을 통해 효과적으로 양수하여 분사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pumping water from a water tank through a water turbine housing.
본 발명은 수차하우징의 회전 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vibration during rotation of a water turbine housing.
본 발명은 물을 효과적으로 양수할 수 있는 수차그루브의 형태, 총 표면적, 상하 방향 길이, 경사 방향, 경사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ape, a total surface area, a vertical length, an oblique direction and an inclination of aberration grooves capable of effectively pumping water.
본 발명은 가습매체가 설치되는 가습매체하우징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of a humidifying medium housing in which a humidifying medium is installed.
본 발명은 외부의 이물질이 수조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a water tank.
본 발명은 탑커버어셈블리에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를 지지할 수 있는 비주얼바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sual body capable of providing power to a top cover assembly and supporting the top cover assembly.
본 발명은 수조의 물이 수조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water in a water tank from overflowing out of the water tank.
본 발명은 수조의 수면으로 물이 직접 떨어져 소음을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낙수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proof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water from being directly separated from a water surface of a water tank and generating noise.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내측에 수조삽입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바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고, 상기 수조삽입공간에 거치되고, 상기 베이스바디에 대해 분리가능한 수조; 상기 수조의 개구된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 상기 수조의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조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수조유입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 및 수조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유로; 상기 수조의 개구된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를 커버하고, 상기 토출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하는 가습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는 상기 수조와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body having a water tank insertion space formed therein; A water tank which is open on the upper side, stores water therein, is placed in the water tank insertion space, and is detachable from the base body; A top cover assembly disposed on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water tub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water tub; A water tank inlet formed at a side of the water tank and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water tank; A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water tub; And a humidifying medium which is disposed on the opened top of the water tub and which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flow path and covers the discharge path and provides humidification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ath, It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water tank.
상기 가습매체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umidifying medium may be disposed below the top cover assembly.
상기 수조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는 상기 비주얼바디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는 상기 가습매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 및 가습매체와 분리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Wherein the humidifying medium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isual body, and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humidifying medium, And can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visual body and the humidifying medium.
상기 탑커버어셈블리 및 가습매체는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조작급수구; 상기 가습매체에 형성되는 가습매체급수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급수구 상측에 상기 조작급수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humidifying medium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channel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upply channel may include an operation water inlet disposed in the top cover assembly; And a humidifying medium supply port formed in the humidifying medium, wherein the operating water supply port is disposed above the humidifying medium supply port.
상기 조작급수구 및 토출유로는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작급수구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조작급수구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The operation water inlet and the discharge flow passage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the operation water inlet may be disposed at an inner center of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discharge flow passage may be disposed outside the operation water inlet.
상기 가습매체가 설치되는 가습매체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수조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And a humidifying medium housing in which the humidifying medium is installed,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being detachably mountable on top of the water tub.
상기 수조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비주얼바디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는 상기 가습매체하우징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 및 가습매체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Wherein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isual body, and the top cover assembly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Disposed above the media housing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visual body and humidification media housing.
상기 탑커버어셈블리 및 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조작급수구; 상기 가습매체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습매체급수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급수구 상측에 상기 조작급수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channel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ank, wherein the water supply channel includes an operation water inlet disposed in the top cover assembly; And a humidifying medium supply port formed in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wherein the operating water supply port is disposed above the humidifying medium supply port.
상기 조작급수구 및 토출유로는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작급수구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조작급수구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The operation water inlet and the discharge flow passage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the operation water inlet may be disposed at an inner center of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discharge passage may be disposed around the operation water inlet.
상기 가습매체하우징에 결합되는 가습매체급수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는 상기 조작급수구 하측에 배치되어 급수된 물이 상기 수조로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조작급수구에 급수된 물을 상기 가습매체급수구로 안내할 수 있다. And a humidifying medium feed guide coupled to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wherein the humidifying medium feed guide is disposed below the operating water feed port to prevent water from being directly dropped into the water tub, Water can be guided to the humidifying medium feed port.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는 상기 가습매체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humidifying medium feed guide may be removably coupled to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상기 가습매체하우징은, 어퍼매체프레임; 상기 어퍼매체프레임 하측에 배치된 로어매체프레임; 상기 어퍼매체프레임 및 로어매체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상기 가습매체; 상기 어퍼매체프레임 및 로어매체프레임에 형성된 다수개의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comprises: an upper media frame; A lower medium frame disposed below the upper media frame; The humidification medium disposed between the upper medium frame and the lower medium frame; And a plurality of voids formed in the upper media frame and the lower media frame.
본 발명에 따른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There are the following advant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베이스바디 상측에 수조가 결합된 비주얼바디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물과 접촉되는 수조 및 가습모듈만을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since the visual body coupled with the water tank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only the water tank and the humidification module which are in contact with water can be separated and cleaned.
둘째, 탑커버어셈블리 및 가습매체하우징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습모듈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since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can be sepa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ide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can be easily cleaned.
셋째, 제 2 가습매체하우징이 탑커버어셈블리와 분리된 구조이기 때문에, 제 2 가습매체하우징 및 제 2 가습매체만을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since the second humidifying medium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top cover assemb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only the second humidifying medium housing and the second humidifying medium can be replaced.
넷째, 제 2 가습매체하우징의 급수유로에 가습매체급수가이드가 배치되기 때문에, 급수된 물이 수조의 내부로 직접 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since the humidifying medium supply guide is disposed in the water supply channel of the second humidifying medium hous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ter supplied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irectly into the water tank.
다섯째, 급수유로 및 토출유로가 분리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의 토출 및 급수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since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discharge channel are disposed separate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ir can be discharged and water can be supplied at the same time.
여섯째, 제 2 가습매체하우징이 토출유로 전체를 커버하기 때문에, 가습유로의 액적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출되는 공기를 가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xth, since the second humidifying medium housing covers the entire discharge flow pa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oplets of the humidification flow path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d air can be humid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청정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가습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탑커버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거치바디가 제거된 로어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에서 거치바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8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8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필터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5에 도시된 수조 및 수차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분해도이다.
도 20은 도 3에 도시된 수차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동력전달하우징의 확대도이다.
도 23은 도 19에 도시된 수차그루브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좌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4에 도시된 가습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8에 도시된 비주얼바디 및 수조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B의 확대도이다.
도 33은 도 30에 도시된 제 1 가습매체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정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3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정면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D-D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5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 module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shown i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 cover assembly shown i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body with the stave body removed in FIG. 6.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body in FIG. 6.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8. Fig.
Fig. 15 is a bottom view of Fig. 8; Fig.
Fig. 16 is a sectional view of Fig. 8.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assembly shown in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tank and the aberration unit shown in Fig.
19 is an exploded view of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erration unit shown in Fig.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0. Fig.
22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wer transmitting housing shown in Fig.
23 is an enlarged view of the aberration groove shown in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ying /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front view of Fig.
26 is a left side view of Fig.
Fig. 27 is a plan view of Fig. 24.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shown in Fig.
29 is a front view of Fig.
3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isual body and the water tank shown in Fig.
32 is an enlarged view of B shown in Fig.
3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humidifying medium housing shown in Fig. 30. Fig.
34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
35 is a front view of Fig. 33. Fig.
3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Fig. 3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3;
Fig. 38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 37;
39 is a front view of Fig.
4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가습청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The humidifying / clean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3. Fig.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장장치는 청정모듈(100) 및 상기 청정모듈(100) 상측에 거치되는 가습모듈(200)을 포함한다.The humidification test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청정모듈(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모듈(200)에 제공한다.The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The
상기 가습모듈(200)은 청정모듈(100) 위에 거치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청정모듈(100)에 대해 분리 가능하다.The
사용자는 상기 가습모듈(200)을 청정모듈(100)에서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모듈(200)을 청정모듈(100)에서 분리한 후 내부에 배치된 수조(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모듈(200)이 청정모듈(100)에 적층된 상태에서 물을 급수할 수도 있다. The user can remove the
상기 가습모듈(200)이 청정모듈(100)이 적층될 때, 여과공기를 공급받기 위해 연결유로(103)가 형성된다. 상기 청정모듈(1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청정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가습모듈(2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 정의한다.When the
상기 청정연결유로(104) 또는 가습연결유로(105)가 별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정연결유로(104) 또는 가습연결유로(105)가 별도의 공간을 갖는 대신 가습모듈(200)이 청정모듈(100)에 거치될 때, 상기 가습모듈(200) 및 청정모듈(100) 사이로 연결유로(103)가 형성된다.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or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may be formed to have a separate space. When the
상기 청정모듈(100)은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10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여과유로(102)가 형성된다.The
상기 청정모듈(100)은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10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가습모듈(200)로 안내하는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흡입된 외부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여과유로(102)가 형성된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압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The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청정모듈(100)은 베이스(112)에 설치되고, 상기 청정모듈(100)은 베이스(112)와 이격되어 상기 흡입유로(101)를 형성한다. The
상기 청정모듈(100)은 베이스(112)에서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넓은 하측면 전체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청정모듈(100)은 하측면에서 흡입된 외부공기를 수직방향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킨다. Since the
흡입되는 외부공기의 유동방향이 꺽이거나 전환되는 경우, 공기저항이 크게 발생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청정모듈(100)의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흡입유로(101)가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청정모듈(100)을 통과한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실시하는 가습유로(106)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공기는 상기 가습유로(106)를 통과하면서 수분을 공급받아 가습된다. The
상기 가습모듈(200)은 청정모듈(100)에 분리가능하게 적층되고, 사용자가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고, 물이 저장되는 수조(3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 또는 수조(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가습유로(106)를 포함한다.The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가습유로(106)와 연결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모듈(200)은 베이스바디(110)에 분리가능하게 적층된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유로(106)는 수조(30)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습유로(106)는 비주얼바디(2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습유로(106)는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가습모듈(200)은 연결유로(103)를 통해 가습모듈(200)에 공급된 여과공기는 상기 수조(30)의 수분을 공급받아 가습된다.I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자연증발된 물에 의해 여과공기가 가습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ltered air is humidified by the water that is naturally evaporated.
본 실시예에서는 물의 자연증발이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가습매체(50)가 설치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셔지고, 적셔진 물은 자연증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져지지만, 수조(30)에 잠기지는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가습매체(50)를 충분히 적신 물은 상기 수조(30)로 흘러내려 저장된다. Water sufficiently impregnated with the humidifying medium (50) flows down to the water tank (30) and is stor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30) 내부의 물을 상측으로 양수(揚水)한 후 분사하여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시는 구조가 채택된다. 상기 수조(30)에 저장된 물을 통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시기 위해 노즐(미도시)이 사용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in the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수조(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바깥으로 분사하는 수차유닛(40)과, 상기 수차유닛(40)에서 분사된 물이 적셔지는 가습매체(50)와, 상기 가습매체(50)가 설치되는 가습매체하우징(220)을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유닛(40)은 수조(30)의 안쪽에서 바깥 쪽으로 물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차유닛(40)은 수조(30)의 바깥 쪽에서 안쪽으로 물을 분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유닛(40)은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차유닛(40)은 가습매체(50)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도 무방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비주얼바디(210)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수조(3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의 설치위치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ying
다만, 상기 가습매체(50)는 연결유로(103) 및 토출유로(107)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매체(50)의 자연증발을 이용해 가습을 실시하기 때문에, 상기 가습매체(50)에 의해 가습유로(106)가 형성된다.However, the humidifying medium (50)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flow path (103) and the discharge flow path (107).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umidif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natural evaporation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유로(103)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는 상기 가습매체(50)를 관통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여과공기는 상기 가습매체(50)를 관통하지 않고, 표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ered air supplied through the
여과공기가 상기 가습매체(50)를 통과하는 것이 가습에 유리하다. It is advantageous for humidification that the filtered air passes through the humidifying medium (50).
상기 가습유로(106)는 가습매체(50)부터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유로(106)는 상기 가습매체(50)부터 후술하는 탑커버어셈블리(230)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The humidification channel (106) is formed from the humidifying medium (50).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설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The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청정모듈(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상기 가습모듈(200)이 거치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분리 가능하다.The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하우징의 조립체이다.The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된 로어바디(130)와,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결합되는 거치바디(120)를 포함한다.The
상기 로어바디(130) 및 거치바디(120)는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로어바디(130)는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거치바디(120)에는 손잡이(129)이가 형성된다. A
상기 거치바디(120) 상측에 가습모듈(200)이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A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필터어셈블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A filter assembl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상기 필터어셈블리(10)가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필터하우징(140)이 설치된다. A
상기 필터하우징(140)은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결합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40) 내부에 여과유로(102)가 형성된다. The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일측에 필터설치개구부(133)가 형성된다. A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14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차폐하는 필터커버(13)를 포함한다. The filter assembly (10) is inserted into the filter housing (140) through the filter installation opening (133). The filter assembly (10) includes a filter cover (13) for shielding the filter installation opening (133).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상기 송풍유닛(20)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가습모듈(200)로 안내하는 송풍하우징(150)이 설치된다.A blowing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하우징(14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하우징(140)에 체결 고정된다.The
상기 필터하우징(140) 및 송풍하우징(150) 사이에 송풍유닛(20)이 설치된다. A blowing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를 유동시키는 압력을 제공한다. The
외부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360도 전방향에서 흡입된다. And the outside air is sucked through the
상기 베이스(112) 및 베이스바디(110)를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바디(110) 및 베이스(112) 사이에 브리지프레임(115)이 설치된다. 상기 브리지프레임(115)은 상기 베이스(112) 및 베이스바디(110)를 결합시키고, 상기 베이스바디(110)를 지지한다. A
외부공기는 상기 브리지프레임(115)을 지나 흡입구(111)로 유동된다.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상기 브리지프레임(115)에 상하로 브리지(114)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114)의 개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입구(111)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촘촘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저항 측면만을 고려하면, 상기 브리지(114)의 개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베이스바디(110) 중 로어바디(130)에 설치되고, 상기 로어바디(130)에서 탈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로어바디(130)에서 수평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공기의 유동과 직교하게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필터하우징(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설치된다. The filter assembly (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housing (140). The
상기 여과유로(102)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설치되면 충분히 기능을 발휘한다. The
상기 여과유로(10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중력방향을 거슬러 형성된다. 유동방향이 전환되지 않고, 최대한 직선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다수개의 필터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다수개의 필터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In the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140) 내부를 통해 송풍유닛(20)으로 유동된다.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01) flows into the air blowing unit (20) through the inside of the filter housing (140).
상기 송풍유닛(20)은 필터하우징(14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유로(102)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모듈(200)로 토출한다. The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은 모두 송풍하우징(150) 및 필터하우징(14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the blowing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하우징(150)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지지된다. 상기 송풍팬(24)은 송풍모터(22)와 조립되고, 상기 송풍모터(2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송풍팬(24)은 필터하우징(140) 측에 배치된다. The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하우징(150)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송풍팬(24)은 필터하우징(140)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The
상기 송풍팬(24)은 중앙으로 여과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여과공기를 토출한다. The blow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는 공기와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송풍팬(24)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공기의 유로를 벗어나 설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wing
상기 송풍팬(24)에서 토출된 공기는 필터하우징(140) 및 송풍하우징(150)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송풍팬(24)에서 토출된 상기 거치바디(120)로 유동된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송풍하우징(150)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로어바디(130)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로어바디(130)와 결합되고, 상기 로어바디(130)와 일체화된다. 베이스바디(110)의 형상에 따라 상기 거치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를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The
상기 거치바디(120)에 상기 가습모듈(200)이 거치된다.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수조(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오목한 형상이다.The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수조(30)가 삽입되고, 가습유로입구(123)가 형성된 거치이너바디(122)와,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와 결합되고,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바디(130)에 결합되는 거치아우터바디(128)와, 상기 거치이너바디(122) 및 거치아우터바디(128) 사이에 배치되고, 공기를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로 안내하는 거치가이드(124)를 포함한다. The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조(30)가 삽입된다.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는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가습유로입구(12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는 거치이너바디(122)의 측벽에 형성된다.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를 통과한 공기는 수조(30) 내부로 유동된다.The stationary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는 전체적으로 바스켓 형상이다.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는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는 360도 전 방향에 대해 형성된다. The stationary
상기 거치가이드(124)는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고, 실시예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거치가이드(124)는 거치이너바디(122) 또는 거치아우터바디(128)에 고정될 수 있다. The mount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가이드(124)는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거치가이드(124)의 상단은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의 상단에 밀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개구된 상기 거치가이드(124)의 상측면 면적이 개구된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의 상측면 면적과 일치된다. The upper side surface area of the opening of the mount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의 상단에는 상기 거치가이드(124)가 지지되는 거치이너바디링(126)이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tationary
상기 거치이너바디링(126)의 직경과 상기 거치가이드(124) 상단의 직경이 일치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거치가이드(124) 및 거치이너바디링(126)이 밀착되어 여과공기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거치이너바디링(126)은 거치가이드(124)의 내측에 배치된다. The diameter of the stationary
상기 거치가이드(124)는 거치이너바디(122) 및 거치아우터바디(128)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거치가이드(124)는 상기 거치이너바디(122) 및 거치아우터바디(128) 사이로 유입된 여과공기를 모아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로 안내한다. The mounting
상기 거치아우터바디(128)에 손잡이(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29)를 통해 가습청장장치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A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는 수조(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조삽입공간(125)이 형성된다. The stationary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는 수조(30) 내부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유로입구(123)의 내측에 상기 가습매체(50)가 배치된다. The
상기 거치바디(120)에 후술하는 수차유닛(40)의 수차모터(42)가 설치된다. 상기 수차모터(42)는 상기 송풍모터(22)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An
상기 수차모터(42)는 수차브래킷(126)을 통해 거치이너바디(122) 외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모터(42)는 거치이너바디(122)의 저면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모터(42)의 구동력을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를 관통하여 상기 수차(30) 내부로 전달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차모터(42) 및 송풍모터(22)를 서로 다른 구조물에 분리 설치하고, 이를 통해 진동에 대한 영향을 차단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모터(42)는 거치바디(120)에 설치되고, 송풍모터(22)는 송풍하우징(150)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두 모터(22)(42)가 동시에 작동될 때, 공진이나 진동에 대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송풍모터(22) 및 수차모터(42)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The
한편, 거치바디(120)의 상측에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비주얼바디(210)의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거치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가습모듈(20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은 삭제 가능한 구성이다. The outer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거치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거치아우터바디(128)에 결합된다.The outer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및 거치아우터바디(128)는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상기 가습모듈(200)은 청정모듈(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습모듈(200)을 들어올려 청정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수조(30)를 청소하거나 가습매체(50)를 교체할 때, 사용자는 상기 가습모듈(200)을 들어올리는 동작으로 상기 청정모듈(100)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모듈(200)은 크게 구분할 경우, 수조(30), 비주얼바디(210) 및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The
상기 가습모듈(200)을 구성하는 수조(30) 및 비주얼바디(210)는 서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30)는 청정모듈(100) 내부로 삽입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수조(30)의 내부를 볼 수 있다. The
상기 수조(30)는 거치바디(120)의 수조삽입공간(125)에 삽입된다. 상기 수조(30)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30)에는 상기 가습유로입구(123)와 연통되는 수조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가습유로입구(123)의 개수와 상기 수조유입구(31)의 개수는 서로 대응된다. 상기 가습유로입구(123) 내측에 상기 수조유입구(31)가 배치된다.The water tub (30) is inserted into the water tub insertion space (125) of the stationary body (120). The
상기 수조(30)는 수조바디(32)와, 상기 수조바디(32)의 측면에 형성된 수조유입구(31)와, 상기 수조바디(32)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컬럼(35)과, 상기 수조바디(32)에 형성되고, 상기 수조유입구(31)를 나누고, 흘러내린 물을 수조바디(32) 내부로 안내하는 수조급수가이드(38)와, 상기 수조바디(32)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조리브(33)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바디(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바디(3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30)는 수조베이스(34)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수조바디(32)에 컬럼(35)이 형성되고, 상기 컬럼(35) 내부에 후술하는 동력전달모듈(60)이 배치된다. 상기 컬럼(35)은 수조바디(32)에 저장된 물과 동력전달모듈(60)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A
상기 수조베이스(34)는 수조바디(32)의 외측 저면에 결합된다. The
상기 수조바디(32)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7)가 배치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37)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A water level sensor 37 for sensing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상기 수조유입구(31)는 수조바디(32)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수조바디(32)에 대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게 배치된다.The
상기 수조유입구(31)는 거치바디(120)의 가습유로입구(123)와 연결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가습유로입구(123)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 및 가습유로유입구(123)는 서로 대향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조유입구(31) 내측에 상기 가습매체(50)가 배치된다. The
상기 수조리브(33)는 상기 수조바디(32)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조리브(33)는 상기 수조바디(32) 내측면을 따라 회전되는 물에 대해 저항으로 작용된다. The
상기 수조리브(33)는 상기 수차유닛(40)이 작동될 때, 저장된 물이 수조바디(32)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수차유닛(40)이 작동되어 저장된 물이 회전되면 수위가 상승된다. 상기 수조리브(33)는 상기 수위 상승을 최소화시킨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급수가이드(38)는 3개가 배치되고, 상기 수조유입구(31)도 3개가 배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water tank feed guides 38 are arranged, and three
상기 수조(30)의 상단에 수조어퍼링(36)이 형성된다. 상기 수조급수가이드(38) 및 수조유입구(31)는 상기 수조어퍼링(36) 밑에 위치된다. 상기 수조어퍼링(36)은 비주얼바디(210)에 고정된다. A water tank upper ring (36)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30). The water
상기 컬럼(35)은 수조바디(32)의 내측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컬럼(35)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컬럼(35)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동력전달모듈(60)이 설치된다.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수조(30)에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수조어퍼링(36)에 고정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를 통해 수조(3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비주얼바디(210)를 따라 상측으로 유동된다.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수조(30)와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시킨다.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술한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이너비주얼바디로 사용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투명한 재질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The outer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측 개구면이 하측 개구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호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상단이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상단에 밀착된다.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내측면에 형성된 상부가이드홈(215)과, 내측면에 형성된 하부가이드홈(217)과,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개방된 상부출구홈(216)과,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개방된 하부출구홈(218)과,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커넥트개구부(213)를 포함한다.The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은 오목한 요홈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에는 가습모듈(200)을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는 리프트(250)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트(250)는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에 삽입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체결고정되는 리프트프레임(252)과, 상기 리프트프레임(252)과 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트바(254)를 포함한다.The
상기 리프트프레임(252)은 상부가이드홈(215)에 삽입된 후, 체결부재가 상기 리프트프레임(252) 및 비주얼바디(210)를 체결고정한다. After the
상기 리프트바(254)는 180도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프레임(252)과 핀결합된다. 상기 리프트바(254)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상기 리프트바(254)는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에 수납된다. 상기 리프트바(254)가 상부가이드홈(215)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납 시 상기 리프트프레임(252)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The
상기 리프프레임(252)은 수납된 리프트바(254)와 연속된 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리프트바(254)가 수납되는 측의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The height of the
상기 상부가이드홈(215) 및 하부가이드홈(217)은 물을 수평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상부출구홈(216)은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출구홈(216)은 상부가이드홈(215)으로 낙하된 물을 비주얼바디(210) 내측면으로 안내한다. 상기 상부출구홈(216)은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은 상부 가이드홈(215)과 같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도 물을 배출시키는 하부출구홈(218)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는 가습매체하우징(220)이 거치된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비주얼바디(210)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 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ying
한편, 상기 커넥트개구부(213)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트개구부(213)는 상부가이드홈(215)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다. 상기 커넥트개구부(213)에는 탑커버어셈블리(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260)가 삽입된다. Meanwhile,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유닛(40)에서 토출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부딪힐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상부가이드홈(215) 및 하부가이드홈(217) 사이로 부딪혀 하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린 물은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 저장된 물은 하부출구홈(218)를 통해 수조(30) 또는 가습매체하우징(220)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Therefore, the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 하부출구홈(218)에서 흘러내린 물이 수조(30)로 낙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출구홈(218) 및 수조(30)의 수조급수가이드(38)는 서로 연결된다. The
상기 하부출구홈(218) 및 수조급수가이드(38)는 낙수방지유로를 형성한다. The
즉, 하부출구홈(218) 하측에 수조급수가이드(38)가 배치되고, 물은 수조(30)의 내측면을 따라 수조(30)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하부출구홈(218) 및 수조급수가이드(38)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하부가이드홈(217)에서 넘친 물이 수조(30) 내부로 낙하되고, 낙수된 물이 수조(30)의 저장된 수면에 떨어져 낙수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at is, a water
상기 낙수방지유로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에 설치된 가습매체(50)를 적실 수 있다. 상기 수차유닛(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차유닛(4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직접 적셔도 무방하다. The water flowing down along the water fall prevention flow path may wet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비주얼공간(211)이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a
상기 가습모듈(200)이 청정모듈(100)에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공간(211)은 밀폐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청정모듈(100)에서 분리되면 상기 비주얼공간(211)은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비주얼공간(211)은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평단면이 달라지면 상기 비주얼공간(211)의 형태도 변경된다.Since the flat sections of the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상기 비주얼공간(211)에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된 정보는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생략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비주얼바디(210) 외부에 위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상기 비주얼공간(211)에 배치되되,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에 고정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디스플레이(160)와 분리된다. The
상기 비주얼공간(21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60)는 물 및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의해 비주얼공간(211)이 밀폐되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누전을 방지할 수 있고, 습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The
특히, 후술하는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통해 외부에서 물을 급수할 때, 급수되는 물이 디스플레이(160)와 접촉되지 않는다. 급수되는 물은 비주얼바디(210) 내측으로 흘러내리거나 아우터비주얼바디(214) 외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Particularly,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링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디스플레이 피씨비(162, PCB) 및 디스플레이커버(164)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164)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코팅된다.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커버(164)에도 투영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커버(164)에도 동일한 효과가 투영된다.The
이러한 효과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고,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통해 후술하는 수차유닛(40)의 작동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커버(164)에 투영된 이미지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는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This effect provides a visual stimulus to the user and intuitively recognizes the operation of the
상기 가습모듈(200) 내부에 물에 적셔져 물을 자연증발시키는 가습매체(50)가 배치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가습매체하우징(220)에 설치되고,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본 실시예에서 비주얼바디(2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A humidifying medium (50) for wetting the inside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by natural evaporation of water is disposed. The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의 상단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내부에 걸쳐져 설치된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에 걸쳐지고, 상기 수조(30) 내부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하부가이드홈(217)에 분리가능하게 걸쳐지고, 상기 수조(3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상기 수조(30)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수조(30)의 수면에 잠기지 않는다. The upper end of the humidifying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가습매체(50)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프레임형태로 형성된다. The humidifying
가습매체(50)는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여과공기와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여과공기는 상기 가습매체(50)를 관통한다. 상기 여과공기는 가습매체(5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되고, 수조(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된다. The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셔진 상태에서 물을 자연증발시킨다. 상기 가습매체(50)를 관통하는 여과공기는 물의 자연증발을 촉진시킨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직조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가습매체(50)는 공기가 통과되는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가습매체(50)는 수조유입구(31)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가습매체(50) 및 수조유입구(31)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umidifying medium (50) is located inside the water tank inlet (31). The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에 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어 상기 수조(3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The humidifying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에 걸쳐져 수조(30) 내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외부 노출을 최소화시킨다. The humidifying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수조의 저장된 물에 잠기지 않는다. 수조(30)에 저장된 물이 만수위여도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잠기지 않는다. The humidifying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이 잠기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습매체(50)는 건조될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 상기 가습매체(50)는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습모듈(200)이 작동되지 않을 때, 가습매체(50)가 건조되기 때문에, 곰팡이 또는 유해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Since the humidifying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이너매체프레임(222) 및 아우터매체프레임(2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너매체프레임(222) 및 아우터매체프레임(224) 사이에 가습매체(50)가 설치된다. The humidifying
아우터매체프레임(224)의 직경이 이너매체프레임(222)보다 크게 형성되고, 가습매체는 아우터매체프레임(224) 및 이너매체프레임(22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The diameter of the outer
상기 이너매체프레임(222)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이너매체유입구(221)가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224)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아우터매체유입구(223)가 형성된다. The inner
이너매체유입구(221) 및 아우터매체유입구(223)는 360도 전방향에 대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형성된다. The inner
이내매체유입구(221) 및 아우터매체유입구(223)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The
연결유로(103)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는 수조유입구(31), 아우터매체유입구(223), 가습매체(50) 및 이너매체유입구(2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수조(30) 내부로 유동된다. The filtered air supplied through the
외측에서부터 수조유입구(31), 아우터매체유입구(223), 가습매체(50) 및 이너매체유입구(221)가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각 구성이 적층된다. The
한편,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비주얼바디(210)에서 분리한 후 비주얼바디(210)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될 경우, 커넥터(260)와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Whe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에 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와의 사이에 토출유로(107)를 형성시킨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조작모듈(240)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터치 동작을 통해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240)의 전원은 커넥터(260)를 통해 공급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분리된 경우, 상기 조작모듈(24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조작모듈(240)에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A user's operation signal input to the
유선인 경우, 조작모듈(240) 및 커넥터(260)의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wired connection, an electrical signal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physical connection of the
무선인 경우, 조작모듈(240)의 무선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는 WIFI, 블루투스, IR 신호 등 다양한 전파가 사용될 수 있다.In case of wireless, the radio signal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모듈(240)에 발신부(미도시)가 배치되고, 커넥터(260)에 수신부(미도시)가 배치되며, 상기 조작모듈(240)에 입력된 조작신호가 IR 주파수를 통해 커넥터(260)의 수신부로 전달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transmitting unit (not shown) is disposed in the
상기 커넥터(260)에 무선신호의 수신부가 배치될 경우, 전달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되는 전력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When the receiver of the radio signal is disposed in the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The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유로(107)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토출구(231) 및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급수구(233)가 형성된 토출그릴(232)과, 상기 토출그릴(232) 상측에 적층되고, 상기 그릴급수구(233)와 연통되고, 상기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외부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수조(30)로 안내하는 외부급수구(239)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조작모듈(240)과, 상기 토출그릴(232)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필터(70)와, 상기 커넥터(260) 및 조작모듈(2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탑커넥터(270)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유로(109)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형성된다. 상기 급수유로(109) 상에 상기 정수필터(70)가 설치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토출그릴(232)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다수개의 그릴토출구(231)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그릴(232)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그릴급수구(233)가 형성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릴급수구(233)는 상기 토출그릴(232)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그릴토출구(231)가 상기 그릴급수구(233) 주변에 배치된다. The
상기 그릴토출구(231)는 그릴급수구(233)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토출그릴(232)은 평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릴토출구(231)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된다. The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 하측에 가습매체(55)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30) 내측에 설치된 가습매체(50)를 제 1 가습매체(50)로 정의하고, 탑커버어셈블리(230)에 설치된 가습매체(55)를 제 2 가습매체(55)로 정의한다. A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토출그릴(232) 하측에 배치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토출그릴(232)의 그릴토출구(231)를 커버한다.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그릴토출구(231)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추가로 가습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humidifying medium (55) covers the grill discharge port (231) of the discharge grill (232).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그릴급수구(233)를 제외한 그릴토출구(231) 전체를 커버한다.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에서 부딪혀 튄 물방울에 의해 젖셔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차유닛(40)에서 상기 제 2 가습매체(55)를 향해 물을 분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그릴급수구(233)에 상기 정수필터(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70)는 급수된 물을 정화한다. 상기 정수필터(70)는 경수를 연수로 정화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70)는 외부에서 급수된 물에서 이물질을 여과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water filter (70) may be installed in the grill water inlet (233). The
상기 정수필터(70)는 필터하우징(72)과, 상기 필터하우징(72) 내부에 배치된 여과재(74)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하우징(72)은 상기 그릴급수구(233)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필터하우징(72)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하우징(72)은 그릴급수구(233)의 평단면형상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탑커넥터(270)는 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될 경우, 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조작모듈(240)에 배치될 수 있고, 조작모듈(24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넥터(270)가 토출그릴(232)에 배치된다.The
상기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될 때, 커넥트개구부(213)로 돌출된 커넥터(260)와 연결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상기 조작모듈(240)에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조작모듈(240)에 입력된 조작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The
상기 조작모듈(240)에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급수유로(109)의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조작급수구(241)가 형성된다. The
상기 조작모듈(240)은 토출그릴(232)에 조립되고, 내측에 조작급수구(241) 중 일부가 형성되는 하부조작하우징(244)과, 상기 하부조작하우징(244)의 상부에 조립되어 내부에 조작공간(243)을 형성하고, 내측에 조작급수구(241) 중 나머지가 형성되는 상부조작하우징(242)과,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에 배치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245)와, 상기 조작공간(243)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245)의 신호를 처리하는 조작신호처리부(246)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 및 하부조작하우징(244) 사이에 미들조작하우징(248)이 배치된다. 상기 미들조작하우징(248)은 내측에 조작급수구(241)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a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에는 조작급수구(241)와 연결되는 상부급수개구부(241a)가 형성되고, 하부조작하우징(244)에는 조작급수구(241)와 연결되는 하부급수개구부(241b)가 형성된다. The
조작급수구(241)는 상부급수개구부(241a) 및 하부급수개구부(241b)와 연통된다.The operating
상기 미들조작하우징(248)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조작급수구(241)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급수구(241)에 정수필터(70)가 조립된다.An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급수가이드(236)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급수가이드(236)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상부급수개구부(241a)로 모은다. At least a part of the
상기 외부급수가이드(236)의 내측에 상부급수개구부(241a)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급수개구부(241a)의 면적은 조작급수구(241)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래서 외부급수가이드(236)을 따라 안내된 물은 온전히 조작급수구(241) 내부로 안내된다. An upper
상기 미들조작하우징(248)은 급수된 물이 조작공간(243)으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조작하우징(242), 하부조작하우징(244) 및 미들조작하우징(248) 사이에 상기 조작공간(243)이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ng
상기 조작공간(243)은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실링된다. 이를 위해 상부조작하우징(242) 및 하부조작하우징(244) 사이에 개스킷(249)이 설치된다. The operating
상기 하부조작하우징(244)에는 탑커넥터(270)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연결홀(244b)이 형성된다. 상기 탑커넥터(270)에도 상기 커넥터연결홀(244b)과 대응되는 커넥터연결홀(270b)이 형성된다. The
상기 탑커넥터(270)는 탑커넥터하우징(272) 및 탑커넥터커버(27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넥터하우징(272)은 토출그릴(232)과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탑커넥터하우징(272)은 하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탑커넥터커버(274)는 개구된 탑커넥터하우징(272)에 조립된다.The
상기 수차유닛(40)은 수조(30)의 물을 끌어올린 후 상기 비주얼바디(210)로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유닛(40)에서 분사된 물은 비주얼바디(210)를 따라 흘러내려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수차유닛(40)에서 분사된 물이 가습매체(50)를 직접 적시게 배치될 수도 있다. 가습매체(50)를 적시고 남은 물은 낙수방지유로를 따라 수조(30)로 유동된다.The
상기 수차유닛(40)은 수조(30)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되어 수조(30)의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수차하우징(80)과, 상기 수차하우징(8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차모터(42)와, 상기 수차모터(42)의 회전력을 상기 수차하우징(8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모듈(60)을 포함한다.The
상기 수차하우징(80)의 내측면에는 수차그루브(81)가 형성된다.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양수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상기 수차하우징(80)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수차모터축(43)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Aberration grooves (81)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berration housing (80).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하우징(80) 및 수차모터(42)는 분리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은 가습모듈(200) 내부에 설치되고, 수차모터(42)는 청정모듈(10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수조(30)와 함께 청정모듈(100)에서 분리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수차하우징(80) 및 수차모터(42)의 분리구조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모듈(60)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설계된다. 상기 동력전달모듈(60)은 동력을 전달하되, 분리가능한 커플러(61)(62)를 포함한다. For the separation structure of the
상기 수차모터(42)에 결합된 커플러를 제 1 커플러(61)로 정의하고, 상기 가습모듈(200)에 배치되고, 상기 수차하우징(8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커플러를 제 2 커플러(62)로 정의한다. A coupler coupled to the
상기 수차모터(42)는 거치바디(120)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 수차모터(42)는 상기 송풍모터(22)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송풍모터(22)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The
상기 수차모터(42)의 수차모터축(43)은 상기 거치바디(120)를 관통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모터축(43)은 거치이너바디(1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The
상기 수차모터축(43)의 상단에 제 1 커플러(61)가 설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커플러(61)는 거치이너바디(122)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의 하측에 수차모터(42)가 배치되고, 상측에 제 1 커플러(61)가 배치되고, 수차모터축(43)이 거치이너바디(122)를 관통한다. A first coupler (61)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aberration motor shaft (43). As a result, the
상기 제 1 커플러(61)는 거치이너바디(122)의 내측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플러(61)의 외주면에 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의 치형은 수차모터축(4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The
제 2 커플러(62)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 1 커플러(61)가 삽입됩니다. 사기 제 1, 2 커플러(6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 시 형합된다. The lower side of the
제 2 커플러(62)는 상기 제 1 커플러(61)가 삽입되는 원추형상의 결합홈(62a)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62a)의 내주면에 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 및 제 2 커플러(62)의 치형은 서로 치합되고, 회전력을 전달한다. The
상기 제 1, 2 커플러(61)(62)가 원추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상기 제 1, 2 커플러(61)(62)가 원추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 시 동력전달축(64) 및 수차모터축(43)의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Since the first and
상기 수조(30)의 거치 시, 제 1, 2 커플러(61)(62)의 치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제 1 커플러(61)가 회전될 때 하중에 의해 제 2 커플러(62)가 이동되면서 치합이 정렬되는 장점이 있다. Even when the first and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수조(30)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흡입간격(80a)을 형성한다. 수차하우징(80)은 상기 흡입간격(80a)을 통해 수조(30)의 물을 흡입할 수 있다. The
상기 수차하우징(80)은 하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컵 형상이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컵을 거꾸로 놓은 형상이다. The
상기 수차하우징(80) 내부에 수조(30)의 컬럼(35)이 위치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컬럼(35)을 감싸게 설치된다. A column (35) of the water tank (30) is located inside the aberration housing (80). The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상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확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컬럼(35)은 상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축소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 및 컬럼(35)의 형상은 물을 효과적으로 양수하기 위한 형상이다. The
상기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될 때, 내부로 흡입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 수차하우징(80)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 내주면에 형성된 수차그루브(81)는 내부로 흡입된 물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When the
상기 수차하우징(80)에는 흡입된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분사구(4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분사구(41)를 통해 양수된 물이 외부로 토출된다. The aberration housing (80) is provided with a jetting port (41) for discharging sucked water to the out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jetting
상기 분사구(41)는 설계조건에 따라 그 개수가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는 수차하우징(80)에 높이차를 두고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의 상측에 배치된 분사구를 고속분사구로 정의하고, 수차하우징의 중간에 배치된 분사구를 노멀분사구로 정의한다.The number of the
상기 수차하우징(80)이 고속으로 회전될 때에만, 상기 고속분사구에서 물이 토출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이 통상적으로 회전되는 속도에는 상기 고속분사구를 통해 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상기 노멀분사구는 수차하우징이 일상적으로 작동되는 모든 단계에서 물을 토출한다.Only when the
수차하우징(80)이 통상 회전속도로 회전되면, 양수된 물은 최소 노멀분사구 보다 높게 상승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이 고속으로 회전되면, 양수된 물은 고속분사구의 높이 이상으로 상승된다. When the
상기 고속분사구는 수차하우징(8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멀분사구 또한 수차하우징(8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high-speed injection ports may b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상기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되지 않으면, 분사구(41)를 통해 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청정모드로만 작동시키면, 수차유닛(40)이 작동되지 않고, 송풍유닛(20)만 작동된다. 사용자가 가습모드로만 작동시키거나 청정모드 및 가습모드로 작동시킬 때만, 상기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되고, 상기 분사구(41)를 통해 물이 토출된다. Whe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에서 토출되는 물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분사된다.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분사구(41)에서 토출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타격하면서 회전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사용자는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물이 분사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분사는 가습모드로 작동 중인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물의 분사를 통해 가습모드가 작동 중인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at the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상기 정수필터(70)를 통과한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신 후, 하측으로 흘러내린다. 상기 가습매체(50)에서 흘러내린 물은 낙수방지유로를 따라 수조(30) 내부로 안내된다. 이후 수조(30)의 물이 다시 수차하우징(80) 내부로 양수된 후 분사되고,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The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하우징(80)은 3개의 파트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차하우징(80)은 1개 또는 2개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수조(3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고, 내측면에 수차그루브(81)가 형성된 제 1 수차하우징(82)과,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차하우징(82)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2 수차하우징(84)과, 상기 제 2 수차하우징(84)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수차하우징(84)의 상면을 커버하는 수차하우징커버(86)와, 상기 제 2 수차하우징(84)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모듈(60)과 결합되어 제 2 수차하우징(8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88)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수차하우징바디가 상기 제 1 수차하우징(82) 및 제 2 수차하우징(84)이 분리되어 제작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 하나의 수차하우징바디와, 상기 수차하우징바디의 상측을 폐쇄하는 수차하우징커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erration housing body is manufactured by separating the
상기 제 1 수차하우징(82) 내부에 수차그루브(81)가 형성된다. 상기 수차그르부(81)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수차모터축(4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수차그루브(81)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수차하우징(80) 축 중심을 향해 돌출된다. Aberration grooves (81) are formed in the first aberration housing (82). The
상기 제 1 수차하우징(82)의 하단은 수조(30)의 내부 저면과 이격되어 흡입간격(80a)을 형성한다. 제 1 수차하우징(82)의 상단은 제 2 수차하우징(84)의 하단과 결합된다.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제 1 수차하우징(82)은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증가되게 형성된다. The
상기 1 수차하우징(82) 및 제 2 수차하우징(84)은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차하우징(82) 및 제 2 수차하우징(84)은 나사결합을 통해 조립된다. 제 1 수차하우징(82)의 상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 2 수차하우징(84)의 하측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The
상기 제 2 수차하우징(84)의 외주면에는 수차날개(85)가 형성된다. 상기 수차날개(85)는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차날개(85)는 수차하우징(80)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되면 양수되는 물에 의해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상측으로 압력을 받는다. 상기 수차날개(85)는 수차하우징(80)을 하측으로 가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수차하우징커버(86)는 제 2 수차하우징(84)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수차하우징(86)의 상측을 밀폐시킨다. 상기 수차하우징커버(86)는 제 2 수차하우징(84)과 나사결합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하우징커버(86)는 동력전달모듈(60)과 조립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차하우징커버(86)는 동력전달모듈(60)과 분리되어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수차하우징커버(86)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동력전달모듈(60)의 동력전달축(64)이 결합되는 축고정부(86a)가 형성된다. 상기 축고정부(86a)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의 상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동력전달축(64)의 상단은 축고정부(86a)와 나사결합된다. A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는 제 1 수차하우징(82) 및 제 2 수차하우징(84)에 각각 형성된다. 제 1 수차하우징(82)에 노멀분사구(44)가 형성되고, 제 2 수차하우징(84)에 고속분사구(45)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jetting
상기 동력전달부(88)는 본 실시예에서 제 2 수차하우징(84) 내부에 배치된다. 제 2 수차하우징(84)에 배치된 동력전달부(88)는 사출 시 수차그루브(81)와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동력전달부(88)는 제 1 수차하우징(8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부(88)는 제 2 수차하우징(84)과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동력전달부(88)는 제 2 수차하우징(84)에 조립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동력전달부(88)는 수차하우징(80)의 축중심에 위치되는 부싱설치부(89)와, 상기 부싱설치부(89) 및 수차하우징(80)을 연결하는 수차연결부(8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싱연결부(89) 및 수차연결부(87)는 사출되어 일체로 제작된다. The
상기 수차연결부(87)는 리브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수차연결부(87)는 축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복수개가 형성된다.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될 때, 상기 수차연결부(87)는 흡입된 물과의 저항을 증가시켜 양수 효율을 향상시킨다. The
상기 부싱연결부(89) 내부에 부싱(90)이 설치된다. 상기 부싱(90)은 후술하는 동력전달모듈(60)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A bushing (90) is installed inside the bushing connection part (89). The
상기 부싱(90)은 후술하는 동력전달축(64)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그래서 상기 부싱(9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싱(90)은 제 2 수차하우징(84)에 이중 사출되어 제작된다. 상기 부싱(90)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부싱축중공(91)이 형성된다.The
상기 부싱(90)은 상기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될 때, 진동을 저감시킨다. 상기 부싱(90)은 동력전달축(64)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싱(90)은 상기 수차하우징(80)의 무게중심에 위치된다. 상기 부싱(90)에 수차하우징(80)의 무게중심이 위치되기 때문에, 회전 시 수차하우징(80)의 진동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연결부(87)는 제 2 수차하우징(84)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수차연결부(87)는 무게중심을 제공하는 부싱(90)의 위치에 따라 그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예를 들어, 상기 부싱(90)이 제 2 수차하우징(84)의 내부가 아닌 제 1 수차하우징(82)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수차연결부(87)는 제 2 수차하우징(84)에서 상기 제 1 수차하우징(82)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즉, 상기 수차연결부(87)는 부싱(90)의 위치에 따라 수평하게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수조(30)의 물을 효과적으로 양수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그루브(81)는 분사구(41)보다 낮게 위치된다. 특히 상기 수차그루브(81)는 노멀분사구(44) 보다 낮게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수차그루브(81)는 물에 대하여 수평방향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수차그루브(81)가 형성될 경우, 수직방향으로 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양수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그루브(81)은 수차하우징(8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동력전달축(64)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수차하우징(82)을 사출로 제작하기 때문에, 상기 수차그루브(81)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하여 금형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제작방식이 바뀌는 경우, 상기 수차그루브(81)를 직선이 아닌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하고, 돌출된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When the manufacturing method is changed, the
예를 들어 상기 수차그루브는 도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차그루브는 전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차그루브는 사각단면, 원형단면, 삼각단면 등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berration groove may be formed in a dot shape. The aberration groove may be formed in a wire form. The aberration groove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 circular cross section, a triangular cross section or the like protruding inward.
상기 수차그루브(81)의 표면적이 양수효율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특히 상기 수차그루브(81)의 표면적은 수차흡입구(82a)의 면적과 연관된다. The surface area of the
상기 수차그루브(81)의 총 표면적은 상기 수차흡입구(82a)의 면적 대비 77% 내지 129.5%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차그루브(81)의 총 표면적을 상기 비율로 형성시키기 위해, 수차그루브(81)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수차그루브(81)의 돌출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수차그루브(81)의 상하 방향 길이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상기 수차그루브(81)의 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 수차하우징(80) 높이의 100% 내지 30%로 형성될 수 있다. The vertical length of the
그리고 상기 수차흡입구(82a)의 면적은 수차하우징(80)의 최대면적 대비 19.5% 내지 32.7%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대면적은 수차하우징(80)의 내부 평면적 중에서 가장 넓은 면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수차하우징(84)의 상측 개구부 면적이 최대 면적이다. The area of the
그리고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제 1 수차하우징(84)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갖게 형성된다. 상기 수차그루브(81)의 경사각은 적어도 3도 이상이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그루브(81)는 3도의 경사각을 형성한다.The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상측으로 갈수록 동력전달축(64)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각이 형성된다. The
상술한 수차연결부(87)도 상기 수차그루브(81)와 같이, 물의 수평방향 유동을 수직방향으로 전환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The above-described
상기 동력전달모듈(60)은 수차모터(42)의 회전력을 수차하우징(8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모듈(60)은 상기 컬럼(35) 내부에 설치되고, 동력전달모듈(60)이 수조(30)에 저장된 물과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The
상기 동력전달모듈(60)은 컬럼(35) 내부에 위치되는 동력전달하우징(63)과,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차하우징(8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축(64)과, 상기 동력전달축(64) 및 동력전달하우징(63) 사이에 위치되는 베어링(67)과, 수차모터축(43)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커플러(61)와, 상기 동력전달축(64)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커플러(6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제 2 커플러(62)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모듈(60)이 물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컬럼(35) 내부에 설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 동력전달축(64), 베어링(67), 제 2 커플러(62)는 상기 컬럼(35) 내부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동력전달축(64)은 동력전달하우징(63)을 상하로 관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은 동력전달하우징(63)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된다. The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은 내부식성이 높은 알루미늄 또는 황동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은 수조베이스(34) 상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수조베이스(34)는 제 1 커플러(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39)가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은 상기 삽입구(39)를 밀폐한다. The
상기 동력전달축(64)은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동력전달축(64)의 상단은 상기 수차하우징(80)에 결합되고, 하단은 제 2 커플러(62)에 결합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커플러(62)는 동력전달하우징(63) 내부에 배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베어링(67)은 동력전달하우징(63) 및 동력전달축(64)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축(64)은 상기 베어링(67)을 관통하게 배치된다.The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의 상측은 수차하우징(80) 내부에 노출되고, 양수된 물에 노출될 수 있다.The upper side of the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의 상측을 밀폐시킨다.The upper side of the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 베어링하우징(65)과, 상기 베어링하우징(65)의 상측에 결합되고 동력전달축(64)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하우징캡(66)과, 상기 하우징캡(66) 및 동력전달축(6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캡(66)에 끼워져 고정되는 축개스킷(68)과, 베어링(67) 및 하우징캡(66)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우징탄성부재(69)를 포함한다. The
상기 동력전달축(64)은 상기 베어링(67)을 지지하는 단(64a)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67)은 상기 단(64a)에 지지된다. 상기 단(64a)의 하측 직경이 상측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The
상기 하우징캡(66)은 베어링하우징(65)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캡(66)은 베어링하우징(65)에 끼움고정된다. 상기 하우징캡(66)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캡(66)은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축(64)은 상기 중공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The
상기 하우징캡(66)은 축개스킷(68)이 지지되는 캡지지부(66a)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축개스킷(68)은 상기 캡지지부(66a)에 지지된다.The
상기 축개스킷(68)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개스킷(68)은 물이 베어링하우징(65)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상기 축개스킷(68)은 캡지지부(66a)에 밀착되는 개스킷바디(68a)와, 상기 개스킷바디(68a)에서 동력전달축(64)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개스킷다이어프램(68b)을 포함한다.The
상기 개스킷바디(68a)는 "ㄴ"자 단면으로 형성되고, 외측면 및 하측면이 하우징캡(66)에 지지된다. The
상기 개스킷다이어프램(68b)은 개스킷바디(68a)와 일체로 형성된다. The
상기 개스킷다이어프램(68b)은 동력전달축(64)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개스킷다이어프램(68b)은 2개로 형성되고, 2중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한다. The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는 하우징캡(66) 및 베어링(67)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이 하우징캡(66)을 탄성지지하고, 하단이 베어링(67)에 탄성지지된다. The housing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는 베어링(67)을 탄성력을 통해 하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에 의해 베어링(67)이 단(64a)에 지지된다. The housing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는 동력전달축(64)이 회전될 때, 베어링(67)의 진동을 최소화시킨다. The housing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컬러(35) 내부에 동력전달하우징(63)이 설치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이 수조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축(64)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수조(30)의 용량을 원하는 만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수조(30)의 용량이 작은 경우, 수차하우징(80)에 제 2 커플러(62)를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력전달축(64) 및 베어링(67) 등의 구성이 삭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조가 더욱 간결해진다.When the capacity of the
수조(30)의 용량이 큰 경우, 길이가 긴 수차하우징(80)이 요구된다. 수차하우징(80)의 길이가 길어지면, 회전 시 진동이 발생된다. 즉, 회전력이 수차하우징(80)의 하측에만 전달되는 경우, 수차하우징(80)에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수차하우징(80)의 상측 및 하측의 속도차가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capacity of the
이러한 변형 또는 속도차에 의해 수차하우징(80)에서는 대량의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A large amount of vibration may be generated i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축(64)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에서 수차하우징(80)의 무게중심 및 상단에 각각 결합되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즉,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는 수조(30)의 높이가 증가됨에 따라 수차하우징(80)의 높이를 증가시켜도 진동의 발생이 최소화된다. That is,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height of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유로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 path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흡입유로(101)는 외부공기를 필터어셈블리(10)로 안내한다. 상기 흡입유로(101)는 베이스(112) 및 필터하우징(140) 사이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112)부터 필터하우징(140)의 저면까지를 흡입유로(101)로 볼 수 있다.The
외부공기는 필터하우징(140) 저면까지 이동될 때,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될 수 있다. 하지만, 흡입유로(101)는 360도 전 방향에 대해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방향전환에 따른 저항이 작다. When the outside air is mov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여과유로(102)는 외부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필터하우징(140)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04) 내부에 설치된 필터어셈블리(10)가 외부공기를 여과한다. 그래서 상기 여과유로(102)는 필터하우징(140) 및 필터어셈블리(10)에 형성된다.The
상기 여과유로(102)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직선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가 유동된다. The
상기 연결유로(103)는 분리가능한 청정모듈(100) 및 가습모듈(200)을 연결하고, 여과공기를 가습모듈(200)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유로(103) 중 청정연결유로(104)는 청정모듈(100)에 형성되고, 가습연결유로(105)는 가습모듈(200)에 형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청정연결유로(104)는 거치바디(120)에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너거치바디(122) 및 거치가이드(124) 사이에 상기 청정연결유로(104)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lean connection channel 104 is formed in the mounting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가습모듈(200)에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30) 바깥쪽에 가습연결유로(10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독립적인 유로로 형성되는 대신, 거치바디(120)에 거치될 때, 비로소 가습연결유로(105)로 기능하게 된다.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is formed in the
즉, 상기 가습모듈(200)이 이너거치바디(122)에 삽입되면, 수조(30) 외측 및 거치가이드(124) 사이의 공간이 연결유로(103)로 기능한다. That is, when the
상기 연결유로(103)는 송풍팬(24)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습유로(106)로 안내한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여과공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송풍팬(24)의 가장자리에서 여과공기가 토출되기 때문에, 상기 여과공기는 방향전환 없이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여과공기는 상기 거치가이드(124) 및 수조(30) 사이에 형성된 연결유로(103)를 따라 수직방향 상측으로 유동된다. The filtration air flows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상기 가습유로(106)는 여과공기에 대해 수분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매체(50)(55)가 2개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가습매체(50) 및 제 2 가습매체(55) 사이가 가습유로(106)로 형성된다. The
상기 제 1 가습매체(50) 및 제 2 가습매체(55)에서 물이 자연증발하기 때문에, 수분이 공급되는 유로를 정확하게 특정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제 1 가습매체(50) 및 제 2 가습매체(55)에서 제공된 수분 및 수차유닛(40)에서 제공된 수분에 의해 가습이 이루어지는 것은 명확한 사실이다.Since water is naturally evaporated in the first humidifying medium (50) and the second humidifying medium (55),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specify the flow path through which moisture is supplied. However, it is a clear fact that the humidification is performed by the moisture provided i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가습매체(50) 및 제 2 가습매체(55) 사이에서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 가습매체(50) 또는 제 2 가습매체(55)만 설치되는 경우, 설치된 가습매체 이후가 가습유로로 기능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ered air is humidified between the first humidifying medium (50) and the second humidifying medium (55). When only the
예를 들어, 제 1 가습매체(50)만 설치된 경우, 제 1 가습매체(50) 및 수차유닛(40)에 의해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여과공기가 지나가는 제 1 가습매체(50) 이후 공간이 가습유로로 규정될 수 있다. 특히 여과공기는 제 1 가습매체(50) 및 수조(30) 내부를 반드시 통과하기 때문에, 가습유로는 제 1 가습매체(50) 및 수조(30) 내부를 포함한다.For example, when only the
이와 달리, 제 2 가습매체(55)만 설치되고, 수차유닛(40)이 제 2 가습매체(55)를 적시는 경우, 여과공기가 지나가는 수조(30) 내부공간부터 제 2 가습매체(55)까지를 가습유로로 규정할 수 있다. Alternatively, only the
본 실시예에서는 여과공기가 제 1 가습매체(50) 및 제 2 가습매체(55)를 모두 관통하게 유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여과공기가 제 1 가습매체(5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수분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제 2 가습매체(55)도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flow path is formed so that filtered air passes through both the
이와 같이, 가습매체(50)(55)에 의한 수분의 공급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매체(50)(55)가 평면으로 형성되고, 여과공기가 평면으로 형성된 가습매체(50)(55)를 관통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가습매체(50)(55)가 굴곡을 형성하거나 특정한 패턴을 형성하여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습매체(50)(55) 내부에도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습매체(55)(55)의 내측 및 외측 사이에 기압차를 형성하고, 여과공기가 통과할 때 가습매체(50)(55)의 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기화 또는 무화되게 할 수 있다. Thus, the supply of water by the humidifying medium 50 (55)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this embodiment, the
여과공기가 상기 연결유로(103)에서 가습유로(106)로 진입할 때, 여과공기의 방향전환이 약간 발생된다. 하지만 여과공기가 상기 연결유로(103)에서 가습유로(106)로 진입하는 과정에서도 공기의 주된 유동방향은 상측을 향한다. When the filtered air enters the humidification channel (106) from the connection channel (103), the direction of the filtered air is slightly changed. However, in the course of the filtered air entering the
상기 제 1 가습매체(50)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여과공기는 제 1 가습매체(50)를 통과할 때, 주로 상측을 향하는 경사진 방향으로 유동된다. Although the
여과공기가 상기 연결유로(103)에서 가습유로(106)로 진입할 때, 공기의 방향전환은 90도 이하에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유로(106)로 진입할 때, 수직방향에서 대체로 45도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When the filtered air enters the
그리고 상기 수조(30) 내부에서 공기는 수직 방향으로 상측으로 이동된 후 토출유로(107)로 진입한다. In the
상기 토출유로(107)는 가습모듈(200)에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가습공기가 지나가는 제 2 가습매체(55) 이후의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다.The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대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습공기는 토출유로(107)를 따라 가습모듈(200)의 상측으로 토출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토출된다. The
상기 가습유로(106)에서 토출유로(107)로 가습공기가 진입할 때, 약간의 방향전환이 발생된다. 하지만, 상기 가습유로(106)에서 토출유로(107)로 가습공기가 진입할 때에도 공기의 주된 유동방향은 상측을 향하고, 공기의 방향전환은 45도 이하로 형성된다. When humidification air enters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흡입된 공기가 토출될 때까지 주된 유동방향이 상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하측을 향하는 구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Thus,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the main flow direction is directed upward until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have a section in which the air flowing inside is directed downward.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공기의 방향전환이 최대 90도 이하에서 이루어지고, 대체적으로 예각 이하에서 공기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진다.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rectional change of the air is performed at a maximum of 90 degrees or less and the air is changed in direction of the air at an acute angle or less.
도 24 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24 to 40,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탑커버어셈블리(230) 아래에 가습매체하우징(280)이 더 배치된다.In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humidifying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습매체(50)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으로 정의하고, 제 2 가습매체(55)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으로 정의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in which the
상기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은 수조유입구(31)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통과시킨다. 상기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에 배치된 제 1 가습매체(50)가 상기 흡입된 공기에 대해 가습을 실시한다. The first humidifying medium housing (300) passes air sucked through the water tank inlet (31). The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은 토출유로(107)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107)를 이동하는 공기를 통과시킨다.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에 배치된 제 2 가습매체(55)가 상기 토출유로(107)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가습을 실시한다.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토출유로(107)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은 비주얼바디(210) 내측에 위치되고, 탑커버어셈블리(230)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된다.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은 비주얼바디(210)의 상측면을 커버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은 내측에 상기 그릴급수구(233)과 연통되는 가습매체급수구(283)가 형성된다. 상기 가습매체급수구(283)는 그릴급수구(233) 하측에 위치된다. 급수유로(109)를 통해 공급된 물은 상기 가습매체급수구(283)를 통과한다. A humidifying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은 도넛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은 비주얼바디(210)의 평단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은 어퍼매체프레임(282) 및 로어매체프레임(284)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매체프레임(282) 및 로어매체프레임(284) 사이에 상기 제 2 가습매체(55)가 배치된다. 상기 어퍼매체프레임(282) 및 로어매체프레임(284)은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된다.The second
상기 어퍼매체프레임(282) 및 로어매체프레임(284)에는 각각 상기 가습매체급수구(28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어퍼매체프레임(282) 및 로어매체프레임(284) 중 어느 하나에만 상기 가습매체급수구(283)가 형성될 수도 있다. The humidification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에는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는 가습매체급수구(283)에 설치된다.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는 그릴급수구(2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가습매체급수구(283)로 안내한다. A second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는 상기 가습매체급수구(283)로 이물질이 직접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습매체급수구(283)를 커버하고, 물만 상기 가습매체급수구(283)로 유동시킨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umidifying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가습매체급수구(283)를 커버하고, 수평 또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가습매체급수구(283)와 연통된다.The humidifying
상기 가습매체급수구(283)는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차폐된다. 외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은 상하 방향으로는 상기 가습매체급수구(283)를 통과할 수 없다.The humidifying medium feed port (283) is shie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humidifying medium feed guide (290). External dust or foreign matter can not pass through the humidify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는 상측으로 볼록한 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에는 좌우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급수가이드홈(291)이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umidifying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는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에 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는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에 끼움결합된다.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는 가습매체급수구(283)에 삽입된 후 회전되어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과 끼움결합된다. The humidifying
이를 위해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 또는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끼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 및 끼움홈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a fitting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of the second
이와 달리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 또는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는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에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Alternatively, the second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는 그릴급수구(283)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그릴급수구(233)와 소정간격 이격된다. 그릴급수구(283)로 투입된 물은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의 표면을 따라 가장자리로 유동된다. The humidifying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의 가장자리로 유동된 물은 급수가이드홈(291)을 통해 가습매체급수구(283)로 유동된 후 낙하될 수 있다. The water flowing to the edge of the humidifying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290)의 가장자리로 유동된 물은 상기 제 2 가습매체(55)를 적실 수 있다. 상기 제 2 가습매체(55)를 충분히 적시고 남은 물은 수조(30)로 낙하되거나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다. The water flowing to the edge of the humidifying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낙수방지유로를 따라 수조(30)로 이동될 수 있다. The water flowing along the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부가이드홈(215) 대신 거치단(215')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단(215')은 내측을 향해 구배가 형성된다.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상기 거치단(215')에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단(215')에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이 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단(215')에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이 거치되고, 상기 제 2 가습매체하우징(280) 상측에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된다. The
상기 거치단(215') 상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거치단(215')의 구배를 따라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으로 유동될 수 있다. Water flowing down above the mounting end 215 'may flow to the inner side of the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이 거치된다.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은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The first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부출구홈(218)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출구홈(218)에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가이드리브(219)가 형성된다. A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경사면(212)으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가이드홈(217)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12)의 하단에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이 형성된다.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단(215') 및 하부가이드홈(217) 사이가 경사면(212)으로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은 내측으로 개방된 하부출구홈(218)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하부출구홈(218)은 하부가이드홈(217)의 물을 수조(30)로 안내한다. The
상기 가이드리브(219)는 상기 하부출구홈(218)의 물을 하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리브(219)는 상기 하부가이드홈(217)과 연결되어 형성된다. The
상기 가이드리브(219)는 하측으로 돌출된다. 돌출된 가이드리브(219)는 수조급수가이드(38)와 결합된다.The
낙수방지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출구홈(218) 및 수조급수가이드(38)는 상기 가이드리브(219)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The
상기 가이드리브(219)는 낙수방지유로의 일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리브(219)는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를 끼움 결합시킨다. The
상기 가이드리브(219)는 내외측 방향으로 수조어퍼링(36)과 중첩되고, 상기 수조급수가이드(38)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30)의 수조어퍼링(36)이 제거된 형태이기 때문에, 가이드리브(219)가 수조급수가이드(38)에 직접 삽입되고, 낙수방지유로를 연결시킨다. The
그래서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의 물은 하부출구홈(218), 가이드리브(219), 수조급수가이드(38)를 거쳐 수조(30) 내부로 유동된다. The water in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30) 및 비주얼바디(210)를 체결고정하기 위한 체결부가 하부출구홈(218) 및 수조급수가이드(38)에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portions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수조어퍼링(36)에 비주얼바디(210)가 고정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급수가이드(38)에 비주얼바디(210)가 고정된다. Although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하부에는 비주얼바디체결부(210a)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의 하측에 비주얼바디체결부(210a)가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visual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급수가이드(38)에는 수조체결부(30a)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수조체결부(30a)는 수조급수가이드(38)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특히 상기 비주얼바디체결부(210a)는 하부출구홈(218)에 형성되고, 하부가이드홈(217)과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체결부(210a)가 하부가이드홈(217)에 형성되는 경우, 유로를 막거나 유로에 저항을 형성시킬 수 있다. Particularly, the visual
상기 하부출구홈(218)에 형성된 비주얼바디체결부(210a)는 유동되는 물과의 간섭을 최소화시킨다. The visual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바디체결부(210a)는 양쪽 가이드리브(219) 사이에 위치되고, 각 가이드리브(219)와 가이드채널(219a)을 형성시킨다. 상기 가이드채널(219a)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sual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체결부(30a)는 비주얼바디체결부(210a)에 끼워지고,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가 이들을 체결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리브(219)는 수조급수가이드(38) 내측에 끼워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그래서 상기 가이드리브(219) 및 수조급수가이드(38)의 끼움결합은 체결부재를 고정하기 전에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의 위치를 임시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조체결부(30a) 및 비주얼바디체결부(210a)의 끼움결합 역시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의 위치를 임시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refore, the fitting of the
상기 가이드채널(219a)은 하부출구홈(218)에 연결되고, 하부출구홈(218)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유동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Since the
특히, 하부출구홈(218)보다 좁게 형성된 가이드채널(219a)은 표면장력을 이용해 정체된 물을 효과적으로 아래로 유동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커넥트개구부(213) 대신 커넥터지지부(213')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지지부(213')에 커넥터홀(213a)이 형성된다. In the meantime, in the
제 1 실시예에서는 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비주얼바디(2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커넥트개구부(213)가 형성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a connecting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넥트개구부(213)를 폐쇄하여 커넥터지지부(213')를 형성시키고, 상기 커넥터지지부(213')에 커넥터홀(213a)을 형성시킨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커넥터지지부(213')는 상기 탑커넥터(270)를 지지한다. 상기 커넥터홀(213a)은 전극(미도시)이 관통된다. 상기 전극은 커넥터(260) 또는 탑커넥터(270)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에 배치된 커넥터(260)에 전극이 배치된다. The connector support 213 'supports the
상기 커넥터지지부(213')의 상측에 탑커넥터(270)가 배치되고, 하측에 커넥터(260)가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는 커넥터홀(213a)을 관통하는 전극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상기 탑커넥터(270)는 상기 전극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조작신호는 무선신호를 통해 상기 커넥터(260)에 전달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신호 중 IR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커넥터(26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탑커넥터(270)의 하측면 중 일부 및 커넥터(260)의 상측면 중 일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지지부(213') 역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an operation signal of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그래서 탑커넥터(270)의 IR신호는 상기 커넥터지지부(213')를 관통하여 커넥터(260)에 전달될 수 있다. Thus, the IR signal of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고, 수조(30)의 가장자리를 차폐하고, 상기 수조(30)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Meanwhile, the first
상기 수조(30)에 저장된 물은 수조유입구(31)를 통해 넘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수조(30)에 저장된 물이 수조유입구(31)를 통해 수조(30) 밖으로 흘러 넘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바(254)를 통해 수조(30)를 이동시키는 경우, 수조(30)의 물이 넘칠 수 있다.The water stored in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은 수조(30)의 상측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이 거치될 때, 하단이 수조(30)의 상측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은 수조(30)와 결합된 상태가 아니라 거치된 상태이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first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를 수조(30)의 상단에 결합시켜 물의 넘침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도 있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의 일부를 수조(30) 내측에 끼워 상기 수조(30)의 내측면에 밀착시킴으로서, 물의 넘침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이 넘침방지커버(320)를 더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first
상기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은 제 1 가습매체(50) 안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가습매체(50)를 지지하고, 공기가 통과되는 이너매체유입구(311)가 형성된 이너매체프레임(310)과, 상기 제 1 가습매체(50) 바깥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가습매체(50)를 지지하고, 공기가 통과되는 아우터매체유입구(321)가 형성된 아우터매체프레임(320)과, 상기 이너매체프레임(310) 또는 아우터매체프레임(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수조(30)의 물넘침을 방지하는 넘침방지커버(330)를 포함한다.The first
상기 제 1 가습매체(50)는 이너매체프레임(310) 및 아우터매체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습매체(50)는 수조유입구(31)를 커버한다. 상기 제 1 가습매체(50)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습매체(50)는 하측 단면적이 작고 상측 단면적이 큰 호퍼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습매체(50)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The
상기 제 1 가습매체(5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320) 또는 이너매체프레임(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 1 가습매체(50)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305)가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outer
본 실시예에서는 아우터매체프레임(320) 및 이너매체프레임(310)에 각각 고정돌기(305)가 형성된다. 각 고정돌기(305)들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305)들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protrusions 305 are formed on the outer
상기 이너매체프레임(310)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이너매체유입구(311)가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320)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아우터매체유입구(321)가 형성된다. The inner
이너매체유입구(311) 및 아우터매체유입구(321)는 360도 전방향에 대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내매체유입구(311) 및 아우터매체유입구(321)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inner
상기 이너매체프레임(310)은 상측 직경이 크고, 하측 직경 작게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320) 역시 상측 직경이 크고, 하측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1 가습매체하우징(300)은 전체적으로 호퍼 형태로 형성된다.The inner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320) 및 이너매체프레임(310)은 서로에 대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320) 및 이너매체프레임(310)가 억지 끼움될 때, 상기 제 1 가습매체(50)가 고정된다. The outer
상기 넘침방지커버(330)는 아우터매체프레임(320) 및 이너매체프레임(310)의 하측에 조립된다. 상기 넘침방지커버(330)는 아우터매체프레임(320) 또는 이너매체프레임(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억지끼움된다. The
조립된 아우터매체프레임(320) 및 이너매체프레임(310)를 매체프레임어셈블리로 정의한다. The assembled outer
상기 매체프레임어셈블리의 상단은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 거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따라 흘러내린 물은 상기 매체프레임어셈블리를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media frame assembly is received in the
상기 넘침방지커버(330)는 매체프레임어셈블리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매체프레임어셈블리를 받친다. 상기 넘침방지커버(330)는 흘러내린 물을 일시 저장하고, 상측면의 물을 수조(30) 내측면으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넘침방지커버(330)는 낙수방지유로 중 일부를 제공한다.The
상기 넘침방지커버(330)는 흘러내린 물을 안내하고, 낙수 소음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넘침방지커버(330)는 매체프레임어셈블리의 하단 중 적어도 일부를 받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넘침방지커버(330)는 매체프레임어셈블리의 하단 전체를 감싸고, 물이 수조(30) 수면으로 직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 넘침방지커버(330)는 탑뷰로 볼 때,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넘침방지커버(330)의 상측면은 매체프레임어셈블리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아 수조(30)의 내측면으로 안내한다. 상기 넘침방지커버(330)의 하측면은 상기 수조(30)의 내측 가장자리를 막아서 상기 수조(30) 밖으로 넘치는 물을 차단시킨다. The
상기 이너매체프레임(31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거치되는 이너어퍼프레임(312)과, 상기 이너어퍼프레임(3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너매체유입구(311)를 형성시키는 이너버티컬프레임(313)과, 상기 이너버티컬프레임(313)과 연결되고 넘침방지커버(330)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이너로어프레임(314)를 포함한다.The inner
상기 이너어퍼프레임(312) 및 이너로어프레임(314) 사이에 다수개의 이너버티컬프레임(313)이 배치된다. 상기 이너어퍼프레임(312) 및 이너로어프레임(314) 및 이너버티컬프레임(313)들 사이에 이너매체유입구(311)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inner
상기 이너버티컬프레임(313)에는 핸들(315)이 형성된다. 상기 핸들(315)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315)은 이너버티컬프레임(313)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된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315)을 통해 제 1 가습매체하우징(300)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A
상기 이너어퍼프레임(312)는 링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이 개구된다. 상기 이너로어프레임(314)은 링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이 개구된다. The inner
상기 이너어퍼프레임(312)는 비주얼바디(210)의 하부가이드홈(217)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320)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inner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320)은 상기 이너매체프레임(310)과 유사한 구조이다. 상기 이너매체프레임(310)과 같이,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320)은 아우터매체유입구(321), 아우터어퍼프레임(322), 아우터버티컬프레임(323) 및 아우터로어프레임(324)을 포함한다.The outer
상기 이너매체프레임(310)과 달리,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320)은 아우터어퍼프레임(322) 및 아우터로어프레임(324)을 연결하는 아우터매체가이드(325)를 더 포함한다.The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325)는 상기 아우터어퍼프레임(322) 및 아우터로어프레임(324)을 지지한다.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325)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325)는 제 1 가습매체(50)의 물을 넘침방지가이드(330)로 안내한다. The outer media guide 325 supports the outer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325)의 하측단에는 내부의 물을 상기 넘침방지가이드(330)에 제공하는 아우터매체가이드홀(326)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홀(326)은 반경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홀(326)은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넘침방지가이드(330)는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325)와 상호 형합된다. At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325)의 저면은 경사면(327)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27)은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325)의 물은 상기 경사면(327)을 따라 아우터매체가이드홀(326)로 안내된다. 상기 경사면(327)의 끝에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홀(326)이 배치된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media guide 325 is formed as a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325)는 3개가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325)들은 각각이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방사상 형태로 배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outer media guides 325 are disposed. The outer media guides 325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arranged in a radial manner.
상기 넘침방지커버(330)는 수조(30)에서 넘치는 물을 막는 커버부(332)와, 상기 커버부(332)에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325)가 삽입되는 커버삽입홈(335)과, 상기 커버삽입홈(335)에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홀(326)과 연통되는 커버홀(336)을 포함한다. The
상기 커버부(332)는 매체프레임어셈블리 하측에 배치된다. The
상기 커버삽입홈(335)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325)가 삽입된다. 상기 커버삽입홈(335)은 수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325)는 수직방향으로 삽입된다. The
상기 커버삽입홈(335)에 삽입된 아우터매체가이드(325)는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커버삽입홈(335)은 아우터매체가이드홀(326)은 소정간격 이격된다. The movement of the outer
상기 커버삽입홈(335)에 커버홀(336)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홀(336)은 반경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버삽입홈(335)의 저면은 경사면(337)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37)은 아우터매체가이드(325)의 경사면(327)과 대응된다.A
상기 경사면(337)은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37)의 끝에 상기 커버홀(336) 배치된다. 상기 커버홀(336)에 토출된 물은 수조(30)의 내측면과 접촉된다. The
상기 커버부(332)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332)는 외측이 높고, 내측이 낮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332)의 경사는 상측의 물이 커버부(332) 바깥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커버부(332) 상측면의 물은 경사를 따라 내측으로 유동된다. The
상기 커버부(302)는 수조(3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02)는 상기 수조(30)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02)는 상기 수조(30)의 상단에 오버랩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30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302)는 수조(3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수조(30)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portion 30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 필터어셈블리
20 : 송풍유닛
22 : 송풍모터
24 : 송풍팬
30 : 수조
31 : 수조유입구
32 : 수조바디
34 : 수조베이스
40 : 수차유닛
42 : 수차모터
50 : 제 1 가습매체
55 : 제 2 가습매체
60 : 동력전달유닛
61 : 제 1 커플러
62 : 제 2 커플러
63 : 동력전달하우징
64 : 동력전달축
70 : 정수필터
80 : 수차하우징
81 : 수차그루브
90 : 부싱
100 : 청정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거치바디
130 : 로어바디
140 : 필터하우징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200 : 가습모듈
210 : 비주얼바디
220 : 가습매체하우징
230 : 탑커버어셈블리
240 : 조작모듈
250 : 리프트
260 : 커넥터
270 : 탑커넥터10: filter assembly 20: blowing unit
22: blower motor 24: blower fan
30: water tank 31: water tank inlet
32: water tank body 34: water tank base
40: aberration unit 42: aberration motor
50: first humidifying medium 55: second humidifying medium
60: Power transmission unit 61: First coupler
62: second coupler 63: power transmission housing
64: Power transmission shaft 70: Water filter
80: aberration housing 81: aberration groove
90: bushing 100: clean module
110: base body 120: stationary body
130: Lower body 140: Filter housing
150: blower housing 160: display module
200: Humidification module 210: Visual body
220: humidifying medium housing 230: top cover assembly
240: Operation module 250: Lift
260: connector 270: top connector
Claims (12)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고, 상기 수조삽입공간에 거치되고, 상기 베이스바디에 대해 분리가능한 수조;
상기 수조의 개구된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
상기 수조의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조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수조유입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 및 수조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유로;
상기 수조의 개구된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를 커버하고, 상기 토출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하는 가습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는 상기 수조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A base body having a water tank insertion space formed therein;
A water tank which is open on the upper side, stores water therein, is placed in the water tank insertion space, and is detachable from the base body;
A top cover assembly disposed on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water tub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water tub;
A water tank inlet formed at a side of the water tank and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water tank;
A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water tub;
And a humidifying medium disposed on the opened top of the water tub and disposed on the discharge flow path to cover the discharge flow path and to provide humidification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ath,
Wherein the humidifying medium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water tank.
상기 가습매체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 하측에 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umidifying medium is disposed below the top cover assembly.
상기 수조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는 상기 비주얼바디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는 상기 가습매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 및 가습매체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tub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seen through the inside from the outside,
The humidifying medium is detachably mounted on top of the visual body,
Wherein the top cover assembly is disposed above the humidifying medium and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visual body and the humidifying medium.
상기 탑커버어셈블리 및 가습매체는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조작급수구; 상기 가습매체에 형성되는 가습매체급수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급수구 상측에 상기 조작급수가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humidifying medium further comprise a water supply channel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ank,
The water-
An operating water inlet disposed in the top cover assembly; And a humidifying medium supply port formed in the humidifying medium,
And the manipulating water is disposed on the humidifying medium feed port.
상기 조작급수구 및 토출유로는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작급수구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조작급수구 바깥쪽에 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ration water inlet and the discharge passage are separately formed,
Wherein the operation water inlet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discharge passage is disposed outside the operation water inlet.
상기 가습매체가 설치되는 가습매체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수조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umidifying medium housing in which the humidifying medium is installed,
Wherein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is releasably mounted on top of the water tub.
상기 수조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비주얼바디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는 상기 가습매체하우징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 및 가습매체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tub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seen through the inside from the outside,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is detachably mounted on top of the visual body,
Wherein the top cover assembly is disposed above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and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housing of the visual body and the humidifying medium.
상기 탑커버어셈블리 및 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조작급수구; 상기 가습매체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습매체급수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급수구 상측에 상기 조작급수가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channel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ank,
The water-
An operating water inlet disposed in the top cover assembly; And a humidifying medium supply opening formed in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And the manipulating water is disposed on the humidifying medium feed port.
상기 조작급수구 및 토출유로는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작급수구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조작급수구의 둘레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operation water inlet and the discharge passage are separately formed,
Wherein the operating water inlet is disposed at an inner center of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discharge passage is disposed around the operating water inlet.
상기 가습매체하우징에 결합되는 가습매체급수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는 상기 조작급수구 하측에 배치되어 급수된 물이 상기 수조로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조작급수구에 급수된 물을 상기 가습매체급수구로 안내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a humidifying medium supply guide coupled to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Wherein the humidifying medium feed guide is disposed below the operating water inlet so as to prevent water from being directly dropped into the water tank and to guide the water supplied to the operating water inlet to the humidifying medium feed port.
상기 가습매체급수가이드는 상기 가습매체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humidifying medium feed guid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상기 가습매체하우징은,
어퍼매체프레임;
상기 어퍼매체프레임 하측에 배치된 로어매체프레임;
상기 어퍼매체프레임 및 로어매체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상기 가습매체;
상기 어퍼매체프레임 및 로어매체프레임에 형성된 다수개의 공극;을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umidifying medium housing comprises:
Upper media frame;
A lower medium frame disposed below the upper media frame;
The humidification medium disposed between the upper medium frame and the lower medium frame;
And a plurality of voids formed in the upper media frame and the lower media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337,914 US10101044B2 (en) | 2015-10-30 | 2016-10-28 |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248463P | 2015-10-30 | 2015-10-30 | |
US62/248,463 | 2015-10-30 | ||
KR1020150156254 | 2015-11-07 | ||
KR20150156254 | 2015-11-07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7235A Division KR20170051142A (en) | 2015-10-30 | 2016-03-28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1209A true KR20170051209A (en) | 2017-05-11 |
Family
ID=58741571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6037A KR101750877B1 (en) | 2015-10-30 | 2015-12-24 | Mechanical fan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
KR1020150186044A KR101931707B1 (en) | 2015-10-30 | 2015-12-24 | Air conditioner |
KR1020150186041A KR101970245B1 (en) | 2015-10-30 | 2015-12-24 | Mechanical fan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
KR1020150185872A KR101871268B1 (en) | 2015-10-30 | 2015-12-24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KR1020150186153A KR20170051108A (en) | 2015-10-30 | 2015-12-24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KR1020160122169A KR20170051209A (en) | 2015-10-30 | 2016-09-23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6037A KR101750877B1 (en) | 2015-10-30 | 2015-12-24 | Mechanical fan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
KR1020150186044A KR101931707B1 (en) | 2015-10-30 | 2015-12-24 | Air conditioner |
KR1020150186041A KR101970245B1 (en) | 2015-10-30 | 2015-12-24 | Mechanical fan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
KR1020150185872A KR101871268B1 (en) | 2015-10-30 | 2015-12-24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KR1020150186153A KR20170051108A (en) | 2015-10-30 | 2015-12-24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6) | KR10175087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02819B2 (en) | 2017-11-27 | 2020-07-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leaner |
WO2022033605A1 (en) * | 2020-08-11 | 2022-02-17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Apparatus for using water to treat air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7572B1 (en) * | 2018-04-06 | 2020-0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an assembly |
KR101912232B1 (en) | 2018-05-28 | 2018-10-26 | 신기산업(주) | The Soil Composition for Garden with improved fertilizer efficacy and damage to disease |
KR20210071374A (en) | 2019-12-06 | 2021-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KR20210071373A (en) | 2019-12-06 | 2021-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CN110986232A (en) * | 2019-12-16 | 2020-04-10 | 佛山市高明欧一电子制造有限公司 | Humidifier with directional diversion |
JP7203914B2 (en) | 2020-07-27 | 2023-01-13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portable air purifier |
KR102536072B1 (en) * | 2020-07-27 | 2023-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
KR20240009735A (en) * | 2022-07-14 | 2024-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leane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0355B1 (en) * | 2001-04-20 | 2004-03-02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Turbo fan in air-conditioner |
JP3930760B2 (en) | 2002-04-17 | 2007-06-13 | 株式会社ラビ | Anion generator |
JP2003339846A (en) * | 2002-05-31 | 2003-12-02 | Sanyo Electric Co Ltd | Air cleaner |
KR101392092B1 (en) * | 2007-10-22 | 2014-05-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ceiling-mounted type air conditioner |
JP5758814B2 (en) * | 2012-01-25 | 2015-08-0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Corner vane for tunnel ventilation equipment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KR20140034383A (en) * | 2012-09-10 | 2014-03-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102076668B1 (en) * | 2013-05-24 | 2020-02-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
KR101510610B1 (en) * | 2015-01-20 | 2015-04-14 | 유제빈 | Air cleaner with a vase shape |
-
2015
- 2015-12-24 KR KR1020150186037A patent/KR10175087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5-12-24 KR KR1020150186044A patent/KR10193170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5-12-24 KR KR1020150186041A patent/KR101970245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5-12-24 KR KR1020150185872A patent/KR10187126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5-12-24 KR KR1020150186153A patent/KR20170051108A/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
- 2016-09-23 KR KR1020160122169A patent/KR20170051209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02819B2 (en) | 2017-11-27 | 2020-07-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leaner |
US10967319B2 (en) | 2017-11-27 | 2021-04-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leaner |
WO2022033605A1 (en) * | 2020-08-11 | 2022-02-17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Apparatus for using water to treat air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0245B1 (en) | 2019-08-20 |
KR101931707B1 (en) | 2018-12-21 |
KR20170051108A (en) | 2017-05-11 |
KR101750877B1 (en) | 2017-06-26 |
KR20170051106A (en) | 2017-05-11 |
KR20170051107A (en) | 2017-05-11 |
KR20170051105A (en) | 2017-05-11 |
KR101871268B1 (en) | 2018-06-27 |
KR20170064973A (en) | 2017-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51211A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20170051209A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880484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EP3163182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JP7069010B2 (en) | Humidifier purifier | |
CN107036217B (en) | Humidifying and purifying device | |
KR101922951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871265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921535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939087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2381724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959310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2419346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957163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