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873A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6873A KR20170046873A KR1020150146916A KR20150146916A KR20170046873A KR 20170046873 A KR20170046873 A KR 20170046873A KR 1020150146916 A KR1020150146916 A KR 1020150146916A KR 20150146916 A KR20150146916 A KR 20150146916A KR 20170046873 A KR20170046873 A KR 201700468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frame
- holes
- display
- display are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표시모듈, 프레임, 및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모듈은 평면 표시영역 및 측면 표시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표시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평면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평면 지지부분, 상기 측면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측면 지지부분, 및 결합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분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모듈과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표시모듈과 브라켓이 탈부착이 가능한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영상 표시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모듈 및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모듈을 보호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최근 다양한 형상의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하나의 장치에서 다양한 방향을 향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화면의 표시영역의 일부는 특정 방향으로 밴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표시모듈을 브라켓에 조립하는 공정은 평면 표시장치의 표시모듈을 브라켓과 조립하는 공정과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표시모듈과 브라켓의 탈부착이 용이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시모듈과 브라켓의 탈부착이 용이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모듈, 프레임, 및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모듈은 평면 표시영역 및 상기 평면 표시영역의 제1 측으로부터 밴딩된 제1 측면 표시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표시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평면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평면 지지부분, 상기 제1 측면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1 측면 지지부분, 및 결합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분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평면 지지부분에 개구부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과 수직한 단면상에서, 상기 표시모듈의 제1 측면 표시영역은 사분원(quadrant)과 대응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모듈과 상기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결합부분은 복수 개의 제1 암나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암나사들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을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암나사들과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1 수나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브라켓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을 보호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결합부분은 복수 개의 제2 암나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암나사들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3 관통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제3 관통홀들을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2 암나사들과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2 수나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결합부분은 복수 개의 제1 후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후크부들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브라켓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을 보호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결합부분은 복수 개의 제2 후크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후크부들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 후크부들이 삽입되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평면 표시영역의 상기 제1 측에 마주하는 상기 평면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부터 밴딩된 제2 측면 표시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측면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2 측면 지지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표시영역의 곡률과 상기 제2 측면 표시영역의 곡룔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측면 지지부분의 곡률과 상기 제2 측면 지지부분의 곡률은 서로 동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조방법은 정렬단계, 프리-밴딩 단계, 평면 부착 단계, 측면 부착단계, 및 조립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렬단계는, 평면 표시영역, 상기 평면 표시영역의 제1 측으로부터 밴딩된 제1 측면 표시영역, 및 상기 제1 측에 마주하는 상기 평면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부터 밴딩된 제2 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평면 지지부분, 제1 측면 지지부분, 제2 측면 지지부분, 및 결합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브라켓을 배열한다.
상기 프리-밴딩 단계는 상기 평면 표시영역과 상기 평면 지지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휘어진다.
상기 평면 부착 단계는 상기 평면 표시영역과 상기 평면 지지부분을 부착한다.
상기 측면 부착 단계는 상기 평면 표시영역과 상기 평면 지지부분 중 상기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 것을 원래 형상으로 되돌리면서, 상기 제1 측면 표시영역과 상기 제1 측면 지지부분을 부착하고, 상기 제2 측면 표시영여과 상기 제2 측면 지지부분을 부착한다.
상기 조립 단계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브라켓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상기 결합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을 결합시킨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표시모듈에 부착된 프레임을 통해 표시모듈과 브라켓의 탈부착이 용이하다. 따라서, 표시모듈과 브라켓을 조립한 후에 제품에 문제가 발생할시, 표시모듈과 브라켓을 분리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표시영역의 일부가 밴딩된 표시모듈과 프레임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8는 도 5의 II-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II-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3의 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16는 도 13의 II-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17a, 도 17b, 도 17c, 및 도 1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a 내지 도 17d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9a, 도 19b, 도 19c, 및 도 1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a 내지 도 19d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8는 도 5의 II-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II-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3의 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16는 도 13의 II-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17a, 도 17b, 도 17c, 및 도 1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a 내지 도 17d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9a, 도 19b, 도 19c, 및 도 1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a 내지 도 19d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도 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DD)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DD)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스마트 폰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DD)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유닛, 게임기, 음향 전자장치, 스마트 와치,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장치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A, 또는 표시부분)과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영역(NDA, 또는 비표시부분)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이라는 용어는 이미지 표시 가능/불가능으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또는 부분들)로 표시장치(DD)를 정의한 것이다. 표시영역(DA)을 에워싸는 비표시영역(NDA)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에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비표시영역(NDA)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모듈(DM), 프레임(FRM), 브라켓(BRK), 복수 개의 수나사들(OTH1, OTH2), 제1 커버부(BC1), 및 제2 커버부(BC2)를 포함한다.
표시모듈(DM)은 이미지(IM1, IM2)를 생성한다. 표시모듈(DM)는 메인 이미지가 전면으로 표시되는 평면 표시영역(FA, 또는 평면부분)과 서브 이미지가 측면으로 표시되는 측면 표시영역(SA, 또는 측면부분)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평면 표시영역(FA)과 측면 표시영역(SA)"이라는 용어는 형상으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또는 부분들)로 표시모듈(DM)를 정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평면 표시영역(FA)의 일측으로부터 밴딩된 1개의 측면 표시영역(SA)을 포함하는 표시장치(DD) 및 표시모듈(DM)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이미지(IM1)로 배경 이미지에 나타난 수화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고, 서브 이미지(IM2)로 아이콘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메인 이미지(IM1)와 서브 이미지(IM2)가 합쳐져서 하나의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평면 표시영역(FA)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평면 표시영역(FA)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제3 방향축(DR3)은 각 부재들의 전면과 배면을 구분하는 기준축이다. 평면 표시영역(FA)으로부터 밴딩된 측면 표시영역(SA)은 제1 방향축(DR1), 제2 방향축(DR2), 및 제3 방향축(DR3)과 교차하는 제4 방향축(DR4)으로 서브 이미지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제1 내지 제4 방향축들(DR1 내지 DR4)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측면 표시영역(SA)은 일정한 곡률반경(CR)으로 밴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곡률반경(CR)은 약 2.5mm 내지 3.5mm일 수 있다. 단, 곡률반경(CR)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표시장치(DD)를 제1 방향축(DR1) 및 제3 방향축(DR3)이 정의하는 평면상에서 절단한 경우, 측면 표시영역(SA)은 사분원과 대응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표시영역(SA)의 면적이 넓어져서 활용하는 범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측면 표시영역(SA)은 평면 표시영역(FA)으로부터 밴딩되었으면 충분하고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장치(DD)는 표시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는 표시장치(DD)의 전면을 구성한다. 윈도우 부재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면/터치면/표시면을 제공한다. 윈도우 부재와 표시모듈(DM)은 광학 투명 접착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FRM)은 표시모듈(DM)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접착부재(AD1)를 통해 표시모듈(DM)과 결합된다. 프레임(FRM)은 평면 지지부분(FST), 측면 지지부분(SST), 및 결합부분(CBN)을 포함한다.
평면 지지부분(FST)은 평면 표시영역(FA)에 대응하게 결합된다. 평면 지지부분(FST)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OP)에는 브라켓(BRK)의 일부 또는 표시장치(DD)에 필요한 부품의 일부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측면 지지부분(SST)은 측면 표시영역(SA)에 대응하게 결합된다. 측면 지지부분(SST)과 측면 표시영역(SA)은 제1 접착부재(AD1)을 통해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제1 접착부재(AD1)를 통해 결합된 평면 지지부분(FST)과 평면 표시영역(FA)에 의해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FRM)은 결합부분(CBN)을 통해 브라켓(BRK)과 결합한다. 프레임(FRM)은 표시모듈(DM)과 제1 접착부재(AD1)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바, 결국 결합부분(CBN)은 표시모듈(DM)과 브라켓(BRK)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합부분(CBN)은 브라켓(BRK)과 결합 및 탈착을 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이러한 결합부분(CBN)의 구조로서, 복수 개의 암나사들(ITH1, ITH2)을 도시하였다. 즉, 결합부분(CBN)은 암나사들(ITH1, ITH2)이 존재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암나사들(ITH1, ITH2)은 제1 암나사들(ITH1)과 제2 암나사들(ITH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레임(FRM)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프레임(FRM)이 포함하는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레임(FRM)은 구조적 특성, 두께, 또는 재료의 성질로 인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BRK)은 프레임(FRM)의 하부에 배치되며, 결합부분(CBN)을 통해 프레임(FRM)과 탈부착이 가능하다. 브라켓(BRK)은 결합부분(CBN)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 복수 개의 관통홀들(TH1, TH2)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관통홀들(TH1, TH2)은 제1 관통홀들(TH1) 및 제2 관통홀들(TH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관통홀들(TH1)은 제3 방향축(DR3) 상에서 제1 암나사들(ITH1)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다. 제2 관통홀들(TH2)은 제3 방향축(DR3) 상에서 제2 암나사들(ITH2)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다.
브라켓(BRK)의 돌출부(ETD)는 프레임(FRM)의 개구부(OP)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ETD)와 개구부(OP)의 대응으로, 브라켓(BRK)와 프레임(FRM)의 결합관계가 더욱 견고해 질 수 있다.
제1 커버부(BC1)는 브라켓(BRK)의 하부에 배치되어 브라켓(BRK)을 보호한다. 브라켓(BRK)은 제3 방향축(DR3) 상에서 제2 관통홀들(TH2)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 제3 관통홀들(TH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커버부(BC1)와 브라켓(BRK) 사이에 표시장치(DD)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수나사들(OTH1, OTH2)은 제1 수나사들(OTH1)과 제2 수나사들(OTH2)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수나사들(OTH1)은 대응하는 제1 관통홀들(TH1)을 통하여 대응하는 제1 암나사들(ITH1)과 결합한다. 각각의 제2 수나사들(OTH2)은 대응하는 제2 관통홀들(TH2) 및 대응하는 제3 관통홀들(TH3)을 통하여 대응하는 제2 암나사들(ITH2)과 결합한다.
제1 암나사들(ITH1)과 제1 수나사들(OTH1)의 결합에 의해, 프레임(FRM)과 브라켓(BRK)이 결합된다. 제2 암나사들(ITH2)과 제2 수나사들(OTH2)의 결합에 의해, 프레임(FRM), 브라켓(BRK), 및 제1 커버부(BC1)가 결합된다.
암나사들(ITH1, ITH2)과 수나사들(OTH1, OTH2)이 결합된 경우에, 수나사들(OTH1, OTH2)을 회전시켜 암나사들(ITH1, ITH2)로부터 수나사들(OTH1, OTH2)을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FRM), 브라켓(BRK), 및 제1 커버부(BC1)을 서로 분리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암나사들(ITH1, ITH2)과 수나사들(OTH1, OTH2)을 이용하여 프레임(FRM), 브라켓(BRK), 및 제1 커버부(BC1)를 서로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다.
제2 커버부(BC2)는 제1 커버부(BC1)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 접착부재(AD2)를 통해 제1 커버부(BC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부(BC2)는 제1 커버부(BC1)를 보호하며, 표시장치(DD)의 후면에서 제1 커버부(BC1)의 제3 관통홀들(TH3)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평면 표시영역(FA)과 측면 표시영역(SA)을 포함하는 표시모듈(DM)을 브라켓(BRK)에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직접 결합시키는 경우, 추후에 표시모듈(DM)을 브라켓(BRK)으로부터 탈착시키기 어렵다. 또한, 측면 표시영역(SA)의 밴딩된 형상에 의해, 접착부재를 통해 표시모듈(DM)을 브라켓(BRK)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어렵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RM)은 브라켓(BRK)에 비해 표시모듈(DM)에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결합시키기 용이하여, 프레임(FRM)을 표시모듈(DM)과 브라켓(BRK)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조립과정에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FRM)은 브라켓(BRK)과 탈부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표시모듈(DM)과 브라켓(BRK)을 조립한 후에 표시장치(DD)에 문제가 발생할시, 표시모듈(DM)과 브라켓(BRK)을 분리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1)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표시장치(DD-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DD-1)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8는 도 5의 II-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DD-1)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1)는 표시모듈(DM), 프레임(FRM-1), 브라켓(BRK-1), 제1 커버부(BC1-1), 및 제2 커버부(BC2)를 포함한다.
표시모듈(DM)과 제2 커버부(BC2)에 대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바 생략한다.
프레임(FRM-1)은 표시모듈(DM-1)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접착부재(AD1-1)를 통해 표시모듈(DM-1)과 결합된다. 프레임(FRM-1)은 평면 지지부분(FST), 측면 지지부분(SST), 및 결합부분(CBN-1)을 포함한다.
평면 지지부분(FST) 및 측면 지지부분(SST)에 대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프레임(FRM-1)은 결합부분(CBN-1)을 통해 브라켓(BRK-1)과 결합한다. 프레임(FRM-1)은 표시모듈(DM)과 제1 접착부재(AD1)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바, 결국 결합부분(CBN-1)은 표시모듈(DM)과 브라켓(BRK-1)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합부분(CBN-1)은 브라켓(BRK-1)과 결합 및 탈착 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도 6에서는 이러한 결합부분(CBN-1)의 구조로서, 복수 개의 후크부들(HK1, HK2)을 도시하였다. 즉, 결합부분(CBN-1)은 후크부들(HK1, HK2)이 존재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후크부들(HK1, HK2)은 제1 후크부들(HK1)과 제2 후크부들(HK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레임(FRM-1)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프레임(FRM-1)이 포함하는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레임(FRM-1)은 구조적 특성, 두께, 또는 재료의 성질로 인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BRK-1)은 프레임(FRM-1)의 하부에 배치되며, 결합부분(CBN-1)을 통해 프레임(FRM-1)과 탈부착이 가능하다. 브라켓(BRK-1)은 결합부분(CBN-1)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 복수 개의 관통홀들(TH1-1, TH2-1)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관통홀들(TH1-1, TH2-1)은 제1 관통홀들(TH1-1) 및 제2 관통홀들(TH2-1)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관통홀들(TH1-1)은 제3 방향축(DR3) 상에서 제1 후크부들(HK1)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다. 제2 관통홀들(TH2-1)은 제3 방향축(DR3) 상에서 제2 후크부들(HK2)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다.
브라켓(BRK-1)의 돌출부(ETD)와 개구부(OP)에 대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제1 커버부(BC1-1)는 브라켓(BRK-1)의 하부에 배치되어 브라켓(BRK-1)을 보호한다. 브라켓(BRK-1)은 제3 방향축(DR3) 상에서 제2 관통홀들(TH2-1)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 제3 관통홀들(TH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커버부(BC1-1)와 브라켓(BRK-1) 사이에 표시장치(DD-1)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후크부들(HK1)은 대응하는 제1 관통홀들(TH1-1)에 삽입된다. 각각의 제2 후크부들(HK2)은 대응하는 제2 관통홀들(TH2-1) 및 대응하는 제3 관통홀들(TH3-1)에 삽입된다.
제1 후크부들(HK1)이 제1 관통홀들(TH1-1)에 삽입되어, 프레임(FRM-1)과 브라켓(BRK-1)이 결합된다. 제2 후크부들(HK2)이 제2 관통홀들(TH2-1)에 삽입되어, 프레임(FRM-1), 브라켓(BRK-1), 및 제1 커버부(BC1-1)가 결합된다.
후크부들(HK1, HK2)이 관통홀들(TH1-1, TH2-1)에 삽입된 경우, 후크부들(HK1, HK2)을 조절하여 관통홀들(TH1-1, TH2-1)로부터 후크부들(HK1, HK2)을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FRM-1), 브라켓(BRK-1), 및 제1 커버부(BC1-1)을 서로 분리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후크부들(HK1, HK2)과 관통홀들(TH1-1, TH2-1)을 이용하여 프레임(FRM-1), 브라켓(BRK-1), 및 제1 커버부(BC1-1)를 서로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2)의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표시장치(DD-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DD-2)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II-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DD-2)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2)는 표시모듈(DM-1), 프레임(FRM-2), 브라켓(BRK-2), 복수 개의 수나사들(OTH1, OTH2), 제1 커버부(BC1-2), 및 제2 커버부(BC2)를 포함한다.
표시모듈(DM-1)은 이미지(IM1, IM2)를 생성한다. 표시모듈(DM-1)는 메인 이미지(IM1)가 전면으로 표시되는 평면 표시영역(FA, 또는 평면부분)과 서브 이미지(IM2)가 측면으로 각각 표시되는 제1 측면 표시영역(SA1, 또는 측면부분) 및 제2 측면 표시영역(SA2, 또는 측면부분)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평면 표시영역(FA), 제1 측면 표시영역(SA1), 및 제2 측면 표시영역(SA2)"이라는 용어는 형상으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또는 부분들)로 표시모듈(DM)를 정의한 것이다.
제1 측면 표시영역(SA1)과 제2 측면 표시영역(SA2)은 제1 방향축(DR1)을 따라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이미지(IM1)로 배경 이미지에 나타난 수화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고, 서브 이미지(IM2)로 아이콘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메인 이미지(IM1)와 서브 이미지(IM2)가 합쳐져서 하나의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2)는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표시영역과 이미지들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평면 표시영역(FA)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평면 표시영역(FA)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제3 방향축(DR3)은 각 부재들의 전면과 배면을 구분하는 기준축이다.
제1 측면 표시영역(SA1)은 평면 표시영역(FA)의 제1 측(SD1)으로부터 밴딩된다. 제1 측면 표시영역(SA1)은 제4 방향축(DR4)으로 서브 이미지(IM2)를 표시한다.
제2 측면 표시영역(SA2)은 평면 표시영역(FA)의 제2 측(SD2)으로부터 밴딩된다. 제2 측면 표시영역(SA2)은 제5 방향축(DR5)으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4 방향축(DR4)과 제5 방향축(DR5)은 제3 방향축(DR3)을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측면 표시영역(SA1)은 일정한 제1 곡률반경(CR1)으로 밴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곡률반경(CR1)은 약 2.5mm 내지 3.5mm일 수 있다. 제2 측면 표시영역(SA2)은 일정한 제2 곡률반경(CR2)으로 밴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곡률반경(CR2)은 약 2.5mm 내지 3.5mm일 수 있다. 제1 곡률반경(CR1)은 제2 곡률반경(CR2)과 동일할 수 있다. 단, 제1 곡률반경(CR1)과 제2 곡률반경(CR2)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표시장치(DD-2)를 제1 방향축(DR1) 및 제3 방향축(DR3)이 정의하는 평면상에서 절단한 경우, 제1 및 제2 측면 표시영역(SA1, SA2)은 사분원과 대응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측면 표시영역(SA1, SA2)의 면적이 넓어져서 활용하는 범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측면 표시영역(SA1, SA2)은 평면 표시영역(FA)으로부터 밴딩되었으면 충분하고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장치(DD-2)는 표시모듈(DM-1)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는 표시장치(DD-2)의 전면을 구성한다. 윈도우 부재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면/터치면/표시면을 제공한다. 윈도우 부재와 표시모듈(DM-2)은 광학 투명 접착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FRM-2)은 표시모듈(DM-1)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접착부재(AD1-1)를 통해 표시모듈(DM-1)과 결합된다. 프레임(FRM-2)은 평면 지지부분(FST), 제1 측면 지지부분(SST1), 제2 측면 지지부분(SST2), 및 결합부분(CBN)을 포함한다.
평면 지지부분(FST) 및 결합부분(CBN)에 대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제1 측면 지지부분(SST1)은 제1 측면 표시영역(SA1)에 대응하게 결합된다. 제2 측면 지지부분(SST2)은 제2 측면 표시영역(SA2)에 대응하게 결합된다.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분(SST1, SST2)과 제1 및 제2 측면 표시영역(SA1, SA2)은 제1 접착부재(AD1-1)를 통해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제1 접착부재(AD1-1)를 통해 결합된 평면 지지부분(FST)과 평면 표시영역(FA)에 의해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BRK-2)은 프레임(FRM-2)의 하부에 배치되며, 결합부분(CBN)을 통해 프레임(FRM-2)과 탈부착이 가능하다. 브라켓(BRK-2)은 결합부분(CBN)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 복수 개의 관통홀들(TH1, TH2)을 포함한다. 브라켓(BRK-2)의 관통홀들(TH1, TH2) 및 돌출부(ETD)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제1 커버부(BC1-2)는 브라켓(BRK-2)의 하부에 배치되어 브라켓(BRK-2)을 보호한다. 제1 커버부(BC1-2)의 제3 관통홀들(TH3)에 대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커버부(BC1-2)와 브라켓(BRK-2) 사이에 표시장치(DD-2)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나사들(OTH1, OTH2)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제2 커버부(BC2-1)는 제1 커버부(BC1-2)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 접착부재(AD2-1)를 통해 제1 커버부(BC1-2)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부(BC2-1)는 제1 커버부(BC1-2)를 보호하며, 표시장치(DD-2)의 후면에서 제1 커버부(BC1-2)의 제3 관통홀들(TH3)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3)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장치(DD-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3의 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DD-3)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16는 도 13의 II-II'에 대응하는 표시장치(DD-3)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3)는 표시모듈(DM-1), 프레임(FRM-3), 브라켓(BRK-3), 제1 커버부(BC1-3), 및 제2 커버부(BC2-1)를 포함한다.
표시모듈(DM-1) 및 제2 커버부(BC2-1)에 대한 내용은 도 9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프레임(FRM-3)은 표시모듈(DM-1)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접착부재(AD1-1)를 통해 표시모듈(DM-1)과 결합된다. 프레임(FRM-1)은 평면 지지부분(FST), 제1 측면 지지부분(SST1), 제2 측면 지지부분(SST2), 및 결합부분(CBN-1)을 포함한다.
평면 지지부분(FST), 제1 측면 지지부분(SST1), 및 제2 측면 지지부분(SST2)에 대한 내용은 도 9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결합부분(CBN-1)에 대한 내용은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프레임(FRM-3)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프레임(FRM-3)이 포함하는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레임(FRM-3)은 구조적 특성, 두께, 또는 재료의 성질로 인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BRK-3)은 프레임(FRM-3)의 하부에 배치되며, 결합부분(CBN-1)을 통해 프레임(FRM-3)과 탈부착이 가능하다. 브라켓(BRK-3)은 복수 개의 관통홀들(TH1-1, TH2-1)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관통홀들(TH1-1, TH2-1)에 대한 내용은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제1 커버부(BC1-3)는 브라켓(BRK-3)의 하부에 배치되어 브라켓(BRK-3)을 보호한다. 제1 커버부(BC1-3)의 제3 관통홀들(TH3-1)에 대한 내용은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커버부(BC1-3)와 브라켓(BRK-3) 사이에 표시장치(DD-3)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7a, 도 17b, 도 17c, 및 도 1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2)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a 내지 도 17d에 도시된 표시장치(DD-2)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8에서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표시장치(DD-2)를 제조하는 단계 중 일부에 대해 도시하였다. 표시장치(DD-2) 제조방법은 정렬 단계(S100), 표시모듈 프리-밴딩 단계(S200), 평면 부착 단계(S300), 측면 부착 단계(S400), 및 조립 단계(S500)을 포함한다.
도 17a는 정렬 단계(S100)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표시모듈(DM-1), 프레임(FRM-2), 및 브라켓(BRK-2)을 배열한다. 표시모듈(DM-1), 프레임(FRM-2), 및 브라켓(BRK-2)에 대한 설명은 도 9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7a에서는 표시모듈(DM-1), 프레임(FRM-2), 및 브라켓(BRK-2)은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표시모듈(DM-1)과 프레임(FRM-2)만을 일렬로 배열하여 제조공정을 진행한 후에 브라켓(BRK-2)이 추가로 배열될 수도 있다.
도 17b는 표시모듈 프리-밴딩 단계(S200)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표시모듈(DM-1)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한 성질을 갖는바, 표시모듈(DM-1)의 상측, 좌측, 또는 우측에 힘을 가하여 표시모듈(DM-1)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7c는 평면 부착 단계(S300)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평면 부착 단계(S300)에서는 표시모듈(DM-1)의 평면 표시영역(FA)과 프레임(FRM-2)의 평면 지지부분(FST)이 부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평면 표시영역(FA)과 평면 지지부분(FST)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7d는 측면 부착 단계(S400)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표시모듈 프리-밴딩 단계(S200)에서 표시모듈(DM-1)에 인가된 힘을 제거하거나, 표시모듈(DM-1)에 인가된 힘과 반대방향의 힘을 인가하여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 표시모듈(DM-1)을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릴수 있다.
표시모듈(DM-1)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가면서, 제1 측면 표시영역(SA1)과 제1 측면 지지부분(SST1)이 부착되고, 제2 측면 표시영역(SA2)과 제2 측면 지지부분(SST2)이 부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측면 표시영역(SA1)과 제1 측면 지지부분(SST1) 사이에 접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측면 표시영역(SA2)과 제2 측면 지지부분(SST2) 사이에 접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7e는 조립 단계(S500)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조립 단계(S500)에서는, 프레임(FRM-2)이 브라켓(BRK-2)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프레임(FRM-2)과 브라켓(BRK-2)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1 암나사들(ITH1)과 제1 수나사들(OTH2)이 사용된다. 제1 암나사들(ITH1)과 제1 수나사들(OTH2)에 대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조립 단계(S500)는 제1 커버부(BC1-2, 도 10 참조), 및 제2 커버부(BC2-1, 도 10 참조)를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e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표시장치(DD-2)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RM-3)의 후크부들(HK1, HK2)을 이용하여 표시모듈(DM-1)이 브라켓(BRK-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9a, 도 19b, 도 19c, 및 도 1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2)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a 내지 도 19d에 도시된 표시장치(DD-2)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9a는 정렬 단계(S110)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정렬 단계(S110)에 대한 내용은 도 17a 및 도 18에 도시된 정렬 단계(S10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9b는 프레임 프리-밴딩 단계(S210)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FRM-2)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한 성질을 갖는바, 프레임(FRM-2)의 하측 또는 좌우측에 힘을 인가하여 프레임(FRM-2)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9c는 평면 부착 단계(S310)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평면 부착 단계(S310)에서는 표시모듈(DM-1)의 평면 표시영역(FA)과 프레임(FRM-2)의 평면 지지부분(FST)이 부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평면 표시영역(FA)과 평면 지지부분(FST)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9d는 측면 부착 단계(S410)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 프리-밴딩 단계(S210)에서 표시모듈(DM-1)에 인가된 힘을 제거하거나, 프레임(FRM-2)에 인가된 힘과 반대방향의 힘을 인가하여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 프레임(FRM-2)을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릴수 있다.
프레임(FRM-2)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가면서, 제1 측면 표시영역(SA1)과 제1 측면 지지부분(SST1)이 부착되고, 제2 측면 표시영역(SA2)과 제2 측면 지지부분(SST2)이 부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측면 표시영역(SA1)과 제1 측면 지지부분(SST1) 사이에 접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측면 표시영역(SA2)과 제2 측면 지지부분(SST2) 사이에 접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9e는 조립 단계(S510)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조립 단계(S510)에 대한 내용은 도 17e 및 도 18에 도시된 조립 단계(S50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9a 내지 도 19e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표시장치(DD-2)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RM-3)의 후크부들(HK1, HK2)을 이용하여 표시모듈(DM-1)이 브라켓(BRK-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M: 표시모듈
FRM: 프레임 BRK: 브라켓
BC1: 제1 커버부 BC2: 제2 커버부
AD1: 제1 접착부재 AD2: 제2 접착부재
CBN: 결합부분 ETD: 돌출부
ITH1: 제1 암나사 ITH2: 제2 암나사
OTH1: 제1 수나사 OTH2: 제2 수나사
TH1: 제1 관통홀 TH2: 제2 관통홀
HK1: 제1 후크 HK2: 제2 후크
FRM: 프레임 BRK: 브라켓
BC1: 제1 커버부 BC2: 제2 커버부
AD1: 제1 접착부재 AD2: 제2 접착부재
CBN: 결합부분 ETD: 돌출부
ITH1: 제1 암나사 ITH2: 제2 암나사
OTH1: 제1 수나사 OTH2: 제2 수나사
TH1: 제1 관통홀 TH2: 제2 관통홀
HK1: 제1 후크 HK2: 제2 후크
Claims (18)
- 평면 표시영역 및 상기 평면 표시영역의 제1 측으로부터 밴딩된 제1 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평면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평면 지지부분, 상기 제1 측면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1 측면 지지부분, 및 결합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분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평면 지지부분에 개구부가 정의된 표시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과 수직한 단면상에서, 상기 표시모듈의 제1 측면 표시영역은 사분원(quadrant)과 대응하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과 상기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결합부분은 복수 개의 제1 암나사들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암나사들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을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암나사들과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1 수나사들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을 보호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결합부분은 복수 개의 제2 암나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암나사들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3 관통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제3 관통홀들을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2 암나사들과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2 수나사들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결합부분은 복수 개의 제1 후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후크부들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을 보호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결합부분은 복수 개의 제2 후크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후크부들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 후크부들이 삽입되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평면 표시영역의 상기 제1 측에 마주하는 상기 평면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부터 밴딩된 제2 측면 표시영역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측면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2 측면 지지부분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표시영역의 곡률과 상기 제2 측면 표시영역의 곡룔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측면 지지부분의 곡률과 상기 제2 측면 지지부분의 곡률은 서로 동일한 표시장치. - 평면 표시영역, 상기 평면 표시영역의 제1 측으로부터 밴딩된 제1 측면 표시영역, 및 상기 제1 측에 마주하는 상기 평면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부터 밴딩된 제2 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평면 지지부분, 제1 측면 지지부분, 제2 측면 지지부분, 및 결합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브라켓을 배열하는 정렬 단계;
상기 평면 표시영역과 상기 평면 지지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휘어지는 프리-밴딩(pre-bending) 단계;
상기 평면 표시영역과 상기 평면 지지부분을 부착하는 평면 부착 단계;
상기 평면 표시영역과 상기 평면 지지부분 중 상기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 것을 원래 형상으로 되돌리면서, 상기 제1 측면 표시영역과 상기 제1 측면 지지부분을 부착하고, 상기 제2 측면 표시영여과 상기 제2 측면 지지부분을 부착하는 측면 부착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이 상기 브라켓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상기 결합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을 결합키시는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과 수직한 단면상에서, 상기 표시모듈은 사분원(quadrant)과 대응하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결합부분은 복수 개의 암나사들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복수 개의 관통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 단계에서 복수 개의 수나사들을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들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암나사들과 결합키시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결합부분은 복수 개의 후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후크부들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6916A KR20170046873A (ko) | 2015-10-21 | 2015-10-21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
US15/172,056 US20170118849A1 (en) | 2015-10-21 | 2016-06-02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6916A KR20170046873A (ko) | 2015-10-21 | 2015-10-21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6873A true KR20170046873A (ko) | 2017-05-04 |
Family
ID=5855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6916A KR20170046873A (ko) | 2015-10-21 | 2015-10-21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70118849A1 (ko) |
KR (1) | KR2017004687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28812B2 (en) | 2018-11-27 | 2022-12-1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09873B (zh) * | 2016-09-09 | 2021-09-14 | 三星显示有限公司 | 显示装置及使用显示装置制造电子装置的方法 |
KR102296074B1 (ko) * | 2017-05-19 | 2021-08-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2610245B1 (ko) * | 2018-01-10 | 2023-12-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KR102589499B1 (ko) | 2018-10-31 | 2023-10-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KR102587879B1 (ko) * | 2018-11-23 | 2023-10-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US10741009B2 (en) | 2018-12-04 | 2020-08-11 |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 Curved button deck display |
USD920440S1 (en) | 2018-12-04 | 2021-05-25 |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 Curved button panel display for an electronic gaming machine |
USD920441S1 (en) | 2018-12-04 | 2021-05-25 |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 Curved button panel display for an electronic gaming machine |
USD920439S1 (en) | 2018-12-04 | 2021-05-25 |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 Curved button panel display for an electronic gaming machine |
USD923592S1 (en) * | 2018-12-18 | 2021-06-29 |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 Electronic gaming machine |
US10733830B2 (en) | 2018-12-18 | 2020-08-04 | Aristocrat Technologies Pty Limited | Gaming machine display having one or more curved edges |
USD1029822S1 (en) * | 2020-01-20 | 2024-06-04 | Compal Electronics, Inc. | Notebook computer |
USD1035649S1 (en) * | 2020-01-20 | 2024-07-16 | Compal Electronics, Inc. | Notebook computer |
USD1038930S1 (en) * | 2020-01-20 | 2024-08-13 | Compal Electronics, Inc. | Notebook computer with secondary display screen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115359A (zh) * | 2006-07-26 | 2008-01-30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电子装置壳体 |
KR101347575B1 (ko) * | 2007-03-28 | 2014-0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
TWI372904B (en) * | 2007-12-12 | 2012-09-21 | Au Optronics Corp | Back bezel for use in a back light module |
CN102037433B (zh) * | 2008-05-30 | 2013-06-05 |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 带触摸输入功能的保护面板的安装结构以及安装方法 |
JP4945667B2 (ja) * | 2010-08-05 | 2012-06-06 | 株式会社東芝 | 表示装置 |
JP5963272B2 (ja) * | 2011-02-23 | 2016-08-03 |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 情報端末 |
KR20140046839A (ko) * | 2012-10-11 | 2014-04-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 장치 |
US9304538B2 (en) * | 2012-12-13 | 2016-04-05 | Nokia Technologies Oy | Displa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
USD741308S1 (en) * | 2013-06-14 | 2015-10-20 | Lg Electronics Inc. | Mobile phone |
FR3021134B1 (fr) * | 2014-05-14 | 2023-01-06 | Lg Electronics Inc | Terminal mobile |
WO2016085020A1 (ko) * | 2014-11-25 | 2016-06-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2015
- 2015-10-21 KR KR1020150146916A patent/KR20170046873A/ko unknown
-
2016
- 2016-06-02 US US15/172,056 patent/US20170118849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28812B2 (en) | 2018-11-27 | 2022-12-1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1968789B2 (en) | 2018-11-27 | 2024-04-2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118849A1 (en) | 2017-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46873A (ko)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 |
CN107329301B (zh) | 显示装置 | |
US9338905B2 (en) | Curved display apparatus | |
CN102338944B (zh) | 液晶显示装置 | |
US9733427B2 (en) | Apparatus for applying compensation to displayed im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CN110880274B (zh) | 薄型窄框的显示器以及其外框件 | |
US20150146390A1 (en) | Display device | |
US10139625B2 (en) | Sliding frame | |
AU2011354523A1 (en) | Curved surface display device | |
JP2012138842A (ja) |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電子機器 | |
US9128318B2 (en) | Display device | |
US20120002129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
JP5938333B2 (ja) | ディスプレイ装置 | |
JP2013156346A (ja) | 電気光学装置 | |
EP2587336B1 (en) | Display device | |
EP2950136A1 (en) | Display device | |
US20070279581A1 (en) | Backlight module frame | |
US8611027B2 (en) | Wide display with lens | |
US20180217314A1 (en) | Backlight module,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 |
US10018863B2 (en) | Display device comprising a guide panel having a base that is fixed to a display panel | |
TW201316768A (zh) | 顯示器 | |
KR20160094193A (ko) | 디스플레이장치 | |
US8553173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US20080043167A1 (en) | Electrooptic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 |
JP2007047693A (ja) | フラットパネル型表示装置のフレ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