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769A -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Block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Block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8769A KR20170038769A KR1020170034588A KR20170034588A KR20170038769A KR 20170038769 A KR20170038769 A KR 20170038769A KR 1020170034588 A KR1020170034588 A KR 1020170034588A KR 20170034588 A KR20170034588 A KR 20170034588A KR 20170038769 A KR20170038769 A KR 201700387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shelf
- retaining wall
- shelf block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을 적층하여 형성한 선반식 옹벽과, 이러한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벽체 형태의 구조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적층블록 이외에도, 수평판 부재 형태의 선반블록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옹벽의 후방에 채워진 뒷채움 토사가 선반블록에 의하여 선반블록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뒷채움 토사부와, 선반블록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2뒷채움 토사부로 구분되도록 하고 제2뒷채움 토사부에 의한 연직 하향의 하중이 제1뒷채움 토사부로 전달되는 것이 선반블록에 의해 저지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되고, 옹벽의 자립고를 더 키울 수 있게 되어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옹벽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선반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he-type retaining wall formed by stacking block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 retaining wall. Specifically, in forming a wall-like structure, a shelf block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member is used together , The backfill soil filled in the back of the retaining wall is divided into a first backfill slope part located under the shelf block by the shelf block and a second backfill slope part located above the shelf block and a vertical backlash by the second backfill slope part The shelf block prevents the downward loa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irst backfill to the toe slab, thereby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the self-supporting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to be increas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more economically and efficiently.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H빔을 지반에 연직하게 고정시키고, H빔이 중앙을 관통하여 배치하도록 블록을 연직하게 적층하여 절토사면이나 성토사면의 전방에 옹벽을 시공하여 구축하는 종래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3678호 등을 통해서 공지되어 있다. The prior art in which the H beam is vertically fixed to the ground and the block is vertically stacked so as to arrange the H beam through the center so that a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in front of the slope slope or the embankment slope to construct i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783678 And the like.
이와 같이 블록과 H빔을 이용한 종래의 옹벽에 있어서, 배면의 토압이 클 경우에는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 향상을 위한 조치가 필요한데, 종래 기술에서는 H빔의 강성을 증가시키거나 H빔의 설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안, 또는 H빔이 지반에 관입되는 깊이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H빔을 고정시키는 기초를 확대하는 방안 등만이 제시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방안은 큰 배면토압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이 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In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using the block and the H beam, if the earth pressure on the back surface is large, measures for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are required. In the prior art, the rigidity of the H beam is increased or the number of H beams is increased Or to increase the depth at which the H beam is penetrated into the ground, or to expand the foundation for fixing the H beam.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limitation that it can not be an effective measure against a large back earth pressur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H빔이 중앙을 관통하여 배치하도록 블록을 연직하게 적층하여 절토사면이나 성토사면의 전방에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옹벽의 배면에 큰 토압이 작용하더라도, H빔을 지지하는 기초를 확대시키거나 또는 옹벽의 전면에 추가적인 보조 지지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큰 배면 토압에 대한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옹벽과, 이러한 옹벽을 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in front of a slope slope or embankment surface by vertically stacking blocks such that H beams are disposed through the cent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with respect to the large back earth pressure without enlarging the foundation for supporting the H beam or providing an additional auxiliary supporting facility on the whole of the retaining wall A new type of retaining wall, and a technique of constructing such a retaining wall.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적층블록이 연직하게 적층되어 구축되는 옹벽으로서, 사면의 전방에서 하단이 지반에 고정된 상태로 연직보강재가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적층블록에는 연직하게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적층블록이 연직하게 적층되었을 때 중공부에 연직보강재가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연직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블록 사이에는, 수평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연직하게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선반블록이 배치되어 있는데, 관통부에는 연직보강재가 삽입 배치되어 있고; 중공부 및 관통부에 경화제가 채워져 연직보강재가 경화제에 매립됨으로써 기둥형태의 보강체가, 적층블록 및 선반블록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옹벽의 후방에 채워진 뒷채움 토사는, 선반블록에 의하여, 선반블록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뒷채움 토사부와, 선반블록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2뒷채움 토사부로 구분되어 있고, 제2뒷채움 토사부에 의한 연직 하향의 하중이 제1뒷채움 토사부로 전달되는 것이, 선반블록에 의해 저지되어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vertically stacking laminated blocks, wherein a vertical reinforcement is vertically installed in a state where a lower end of the slope is fixed to the ground; The laminated block has a hollow portion vertically penetrating therethrough so that when the laminated block is vertically stacked, the vertical stiffener is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A vertically stacked stacked block is provided with a shelf block made of a horizontal plate-shaped member and vertically penetrating therethrough, wherein a vertical stiffener is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penetration portion; The reinforcing member in the form of a colum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acking block and the shelf block by filling the hollow portion and the penetrating portion with the hardening agent so that the vertical stiffening material is embedded in the hardening agent; The backfill soil filled in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is divided into a first backfill slope portion located under the shelf block by a shelf block and a second backfill slope portion located above the shelf block, Wherein a vertical downward load by the first backfil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backfeeding slope is blocked by the shelf block.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옹벽의 시공방법으로서, 사면의 전방에서 하단이 지반에 고정된 상태로 연직보강재를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하고; 연직하게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적층블록을 복수개로 연직하게 1차로 적층하되, 연직보강재가 중공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1차로 적층된 적층블록의 후방으로 뒷채움 토사를 채워서 제1뒷채움 토사부를 형성하고; 1차로 적층된 적층블록 및 제1뒷채움 토사부의 위쪽으로, 수평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연직하게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선반블록을 배치하되, 관통부에 연직보강재가 삽입되도록 하고; 선반블록의 위쪽으로, 연직하게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적층블록을 2차적으로 설치하되, 연직보강재가 중공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각각의 적층블록 및 선반블록을 설치할 때마다 또는 적층블록 및 선반블록을 모두 설치한 후에, 중공부 및 관통부에 경화제를 채워서 연직보강재가 경화제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경화제와 연직보강재로 이루어진 기둥형태의 보강체가 적층블록 및 선반블록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2차적으로 설치된 적층블록의 후방과 선반블록의 위쪽으로 뒷채움 토사를 채워서 제2뒷채움 토사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선반블록에 의하여, 옹벽의 후방에 채워진 뒷채움 토사가 선반블록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뒷채움 토사부와, 선반블록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2뒷채움 토사부로 구분되어 있고, 제2뒷채움 토사부에 의한 연직 하향의 하중이 제1뒷채움 토사부로 전달되는 것이 선반블록에 의해 저지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옹벽을 구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s described above, wherein a vertical stiffener is vertically installed in a state where a lower end of the slope is fixed to a ground; A plurality of stacked blocks each having a vertically penetrating hollow portion are vertically stacked, and a vertical stiffene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Filling the backfill slurry to the rear of the first stacked laminated block to form a first backfill slope; A shelf block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stacked block and the first backfill slope is formed by a horizontal plate member and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so that a vertical stiffen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 stacked block having a hollow portion vertically penetrating to the upper side of the shelf block is provided in a secondary position so that the vertical stiffene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After the laminated block and the shelf block are installed or after the laminated block and the shelf block are all installed, the hollow portion and the penetrating portion are filled with a hardening agent so that the vertical stiffener is embedded in the hardening agent. A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acking block and the shelf block; Forming a second backfill slope by filling backfill soil behind the second stacked block and the top of the shelf block; The backfill soil filled in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is divided into a first backfill slope part located under the shelf block and a second backfill slope part located above the shelf block by the shelf block, A retaining wal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vertically downward loa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backfill slope is blocked by a shelf block is provided.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선반블록은 연직방향으로 복수개의 위치에서 적층블록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선반블록은, 사면을 향하여 후방으로 가면서 연직두께가 얇아지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In the retaining wal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helf block can be disposed between the stacked blocks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helf block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vertical thickness is reduced toward the rear toward the slope It i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은, 적층블록으로 이루어진 구조체와 일체를 이루어서 기둥형태의 보강체가 형성된 구성을 가지므로, 배면토압에 대해 매우 우수한 지지성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reinforcing body in the form of a column is formed integrally with a structure composed of a laminated block, so that it has an advantage that excellent support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back earth pressure.
특히, 본 발명의 옹벽에서는, 옹벽의 후방에 채워진 뒷채움 토사가 선반블록에 의하여 선반블록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뒷채움 토사부와, 선반블록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2뒷채움 토사부로 구분되어 있고, 제2뒷채움 토사부에 의한 연직 하향의 하중이 제1뒷채움 토사부로 전달되는 것이, 선반블록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선반블록 아래쪽에서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배면토압이 축소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Particularly, in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fill soil filled in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is divided into a first backfill slope portion located under the shelf block by the shelf block and a second backfill slope portion located above the shelf block, The vertical downward load by the second backfill slope por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backfill slope is blocked by the shelf block. Therefore, the effect of reducing the earth press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ting on the lower side of the shelf block is exhibited.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옹벽에서는, 선반블록에 작용하는 제2뒷채움 토사부의 자중은, 옹벽을 전도시키려는 휨모멘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휨모멘트를 발생시키게 되며, 따라서 옹벽의 전도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Furthermore, in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f weight of the second backfill slope portion acting on the shelf block generates a bending mom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bending moment for conducting the retaining wall, and therefore the conduction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is greatly improved Advantages are demonstrat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옹벽의 배면에 큰 토압이 작용하더라도, 기초를 확대시키거나 또는 옹벽의 전면에 추가적인 보조 지지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큰 배면 토압에 대한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옹벽의 구축에 이용되는 연직보강재의 강성이나 강재 사용량을 줄이거나 또는 옹벽의 자립고를 더 키울 수 있게 되어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옹벽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Therefore, even if a large earth pressure acts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against the large back-side earth pressure without enlarging the foundation or providing an additional auxiliary supporting facility on the whole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gidity of the vertical stiffener used for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the amount of steel material used, or to increase the self-supporting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thereby enabling the retaining wall to be constructed more economically and efficiently.
도 1 및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을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옹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사면 앞에 연직보강재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 후속하여 적층옹벽이 1차 적층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 후속하여 1차 적층된 적층옹벽의 후방에 제1배면토사부가 구축되고 선반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선반블록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으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상태에 후속하여 적층옹벽이 2차 적층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옹벽이 완성되고 옹벽의 후방으로 제2배면토사부의 구축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2개 위치에 선반블록이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에 대한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적층블록 사이에 중간블록이 배치되어 구축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을 보여주는 도 9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사다리꼴 형상의 선반블록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테두리 부분만이 사전 제작된 선반블록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선반블록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적층블록 부분이 미리 돌출된 형태로 일체 결합되어 있도록 제작된 선반블록의 일예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각각 선반블록의 상면에만 적층블록 부분이 미리 돌출된 형태로 일체 결합되어 있도록 제작된 선반블록의 일예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different directions.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vertical stiffener is installed in front of a slope in order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laminated retaining wall is firstly laminated following the state of FIG. 3;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rear soil gypsum portion is constructed and a shelf block is installed behind a laminated retaining wall which is firstly laminated following the state of FIG. 4;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of the shelf block is completed.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6;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minated retaining wall is secondarily laminated subsequent to the state of FIG.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and the construction of the second rear soil erosion portion is completed to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Fig. 11 is a schematic lateral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10 for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helf block is installed at two positions. Fig.
FIG.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9 show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intermediate block is disposed between stacked blocks; FIG.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pezoidal-shaped shelf block.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helf block in which only a rim portion is pre-fabricated.
FIGS. 15 and 16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in different directions, an example of a shelf block manufactured so that the stacked block portions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helf block in advance.
17 and 18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aspects of an example of a shelf block manufactured so that the stacked block portions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block in advan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100)을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 및 도 2에서는 옹벽(100)의 후방에 채워지는 제1 및 제2배면성토부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100)은, 횡방향(옹벽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직하게 세워진 연직보강재(1)와, 중공부(21)를 가지고 있고 상기 중공부(21)에 연직보강재(1)가 관통 배치되도록 연직방향으로 적층되는 적층블록(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연직 적층된 적층블록(2) 사이에, 배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평판 부재로 이루어지며 관통부(3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관통부(31)에 연직보강재(1)가 관통배치되는 선반블록(3)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FIGS. 1 and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도 3 내지 도 10에는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옹벽(100)을 시공하는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다음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옹벽(100)을 시공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옹벽(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3 to 10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respective steps of constructing the
절토 또는 성토된 사면(200)의 전방에서 옹벽(100)을 구축할 위치의 지반면에,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연직보강재(1)를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직하게 세워서 고정 설치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연직보강재(1)가 H빔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H빔으로 이루어진 연직보강재(1)의 고정을 위하여 지반을 소정 깊이로 천공하여, 연직보강재(1)를 이루는 H빔의 하단을 천공부분에 삽입시킨 후 콘크리트 등의 경화제를 이용하여 연직보강재(1)의 하단을 지반에 고정시킨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연직보강재(1)로는 H빔 이외에 기타 다양한 단면 형태의 강재 빔, 수직철근과 횡철근으로 이루어진 철근 조립체, 또는 강관 등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연직보강재(1)의 하단을 고정하는 방식은 다양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연직보강재(1)의 설치가 완료되면, 후속하여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로 관통된 중공부(21)를 가지는 적층블록(2)이 복수개로 연직 적층되는데, 이 때 연직보강재(1)는 적층블록(2)의 중공부(21) 내에 삽입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 연직보강재(1)에 적층블록(2)이 끼워져서 적층되어 옹벽(100)을 이루게 된다. 중공부(21) 내에는 콘크리트 등의 경화제(22)가 채워져서 연직보강재(1)가 경화제(22)에 매립될 수 있다.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적층블록(2)을 지반면 위로 소정 개수로 적층한 후에는(1차 적층/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 층으로 적층됨), 1차 적층되어 있는 적층블록(2)의 후방으로 뒷채움 토사를 채워서 제1뒷채움 토사부(41)를 형성한다(도 5 참조). 필요한 경우 1차 적층된 적층블록(2)의 배면에 채워진 뒷채움 토사에 대해 다짐 작업을 수행하여 제1뒷채움 토사부(41)를 구축한다. 이와 같이 적층블록(2)이 1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높이까지 그 후방으로 제1뒷채움 토사부(41)를 구축한 후에는, 수평판 부재로 이루어진 선반블록(3)을 설치한다. 이 때, 제1뒷채움 토사부(41)의 상면은 수평면으로 이루어져서 선반블록(3)이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he laminated
도 5에는 각각 선반블록(3)이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선반블록(3)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6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으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선반블록(3)은 두께를 가지며 사면(200)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수평한 판 형태의 부재 즉, 수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부(31)에 연직보강재(1)가 관통 배치되도록 선반블록(3)이 설치된다. 선반블록(3)은 제1배면토사(41)의 상면 위에 놓이도록 설치되는데, 이 때 선반블록(3)의 후방 단부(배면토사 방향의 단부)는 사면(200)에 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블록(3)의 후방 단부가 사면(200)에 닿도록 설치하는 경우, 후술하는 것처럼 선반블록(3) 위에 제2뒷채움 토사부(42)가 구축되었을 때 제2뒷채움 토사부(42)의 자중에 의해 선반블록(3)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선반블록(3)의 관통부(31)에 연직보강재(1)가 관통 배치된 후에는 관통부(31) 내에는 콘크리트 등의 경화제(22)가 채워져서 연직보강재(1)가 경화제(22)에 매립될 수 있다. After the
도 8에는 도 6의 상태에 후속하여 선반블록(3) 위로 적층블록(2)이 추가적으로 적층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선반블록(3)이 설치된 후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선반블록(3) 위로 적층블록(2)을 추가적으로 적층한다(적층블록의 "2차 적층"). 적층블록(2)을 적층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앞서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설계된 옹벽 높이까지 선반블록(3) 위로 소정 개수의 적층블록(2)을 연직 적층 설치하여 옹벽(100)을 구축한 후에는, 선반블록(3) 위쪽 및 2차 적층된 적층블록(2) 후방의 공간에 토사를 채워서 제2뒷채움 토사부(42)를 형성하게 된다. 도 9에는 완성된 본 발명의 옹벽(100) 후방에 제2뒷채움 토사부(42)가 구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9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으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8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minated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옹벽(100)은, 적층블록(2)이 연직으로 적층됨으로써, 배면토사를 지지하는 벽체형태의 구조체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옹벽(100)에서는, 연직보강재(1)가 적층되어 있는 복수개의 적층블록(2)에 형성된 중공부(21)을 관통하게 되고, 중공부(21)에 경화제(22)가 채워져서 연직보강재(1)가 경화제(22)에 매립됨으로써, 연직보강재(1)와 경화제(22)에 의해 기둥형태의 보강체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100)은, 적층블록(2)으로 이루어진 구조체와 일체를 이루어서 기둥형태의 보강체가 형성된 구성을 가지므로, 배면토압에 대해 매우 우수한 지지성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taining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옹벽(100)에는, 연직으로 적층되는 적층블록(2) 사이에 수평한 선반블록(3)이 배치되어 있으며, 선반블록(3)은 "연직보강재(1)와 경화제(22)로 이루어진 기둥형태의 보강체"와 일체화되어 있다. 선반블록(3)의 배치에 의해, 옹벽(100)의 후방에 채워진 뒷채움 토사는, 선반블록(3)을 기준으로 연직 하부의 제1뒷채움 토사부(41)와, 연직 상부의 제2뒷채움 토사부(42)로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선반블록(3)의 위쪽에 구축되는 제2뒷채움 토사부(42)로부터의 연직 하중은, 강체로 이루어진 선반블록(3)에 작용하게 되고, 선반블록(3)와 일체화된 기둥형태의 보강체를 통해서 지반으로 전달된다. 물론 제2뒷채움 토사부(42)에 의한 수평방향의 배면토압은, 선반블록(3) 위쪽에 위치하는 적층블록(2) 및 "연직보강재(1)와 경화제(22)로 이루어진 기둥형태의 보강체"에 의해 지지된다. Particularly, in the
한편, 위와 같이 선반블록(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옹벽(100)의 후방에 채워진 뒷채움 토사는, 선반블록(3)에 의하여, 선반블록(3)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뒷채움 토사부(41)와, 선반블록(3)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2뒷채움 토사부(42)로 구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선반블록(3) 위쪽의 제2뒷채움 토사부(42)의 자중은, 선반블록(3) 아래의 제1뒷채움 토사부(41)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선반블록(3)의 존재를 통해서, 제2뒷채움 토사부(42)의 자중이 제1뒷채움 토사부(41)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이다. Sinc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옹벽(100)에서는, 제2뒷채움 토사부(42)에 의한 연직 하향의 하중이 제1뒷채움 토사부(41)로 전달되는 것이, 선반블록(3)에 의해 저지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선반블록(3)의 아래쪽에서 수평방향의 배면토압으로 작용하는 부분은 결국 제1뒷채움 토사부(41)가 형성된 연직높이 부분에 국한되어, 선반블록(3) 아래쪽에서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배면토압이 축소된다. 즉, 선반블록(3) 아래쪽에서 적층블록(2) 및 "연직보강재(1)와 경화제(22)로 이루어진 기둥형태의 보강체"가 지지해야 할 수평방향의 배면토압은, 제1뒷채움 토사부(41)에 의해 작용되는 것으로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더 나아가, 선반블록(3)에 작용하는 제2뒷채움 토사부(42)의 자중은, 옹벽(100)을 전도시키려는 휨모멘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휨모멘트를 발생시키게 되며, 따라서 옹벽(100)의 전도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The weight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100)에서는, 선반블록(3)의 설치를 통해서, 적층블록(2) 및 "연직보강재(1)와 경화제(22)로 이루어진 기둥형태의 보강체"로 이루어진 구조체가 지지해야 할 배면토압이 줄어들게 만들 수 있으므로 그만큼 옹벽(100)의 구축에 이용되는 연직보강재(1)의 강성이나 강재 사용량을 줄이거나 또는 옹벽(100)의 높이 즉, 옹벽 자립고를 더 키울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옹벽(100)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옹벽(100)을 구축함에 있어서,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 블록을 이용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매우 유리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구조체를 적층블록으로 구축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옹벽 후방의 토사부를, 제1뒷채움 토사부(41)와 제2뒷채움 토사부(42)로 구분할 수 있는 부재를,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 "선반블록"으로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반블록을 이용하므로, 현장에서의 거푸집 설치와 탈형 등과 같은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공기단축은 물론이고 공사비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prebuilt block at the factory in constructing the
위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적층블록(2)과 선반블록(3)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면서 각각의 적층단계마다 중공부(21) 및 관통부(31)에 경화제(22)를 채우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적층블록(2)과 선반블록(3)을 모두 적층한 후, 경화제(22)를 일괄적으로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중공부(21) 및 관통부(31)에 경화제(22)가 채워져 연직보강재(1)가 경화제(22)에 매립됨으로써, 경화제(22)와 연직보강재(1)로 이루어진 기둥형태의 보강체가, 적층블록(2) 및 선반블록(3)과 일체로 형성된다면, 경화제(22)를 채우는 시기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hardening
또한 위에서는 옹벽(100)의 전체 연직 높이에서 1개 위치에 선반블록(3)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위치에 선반블록(3)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1에는 2개 위치에 선반블록(3)이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100)에 대한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으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연직높이에 걸쳐서 2개의 위치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 선반블록(3)이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위에서는 연직보강재(1)가 관통되는 적층블록(2)으로 본 발명의 옹벽(100)이 구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횡방향으로 적층블록(2) 사이에, 연직보강재(1)가 관통하지 않는 중간블록(5)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2에는 횡방향으로 적층블록(2) 사이에 중간블록(5)이 배치되어 구축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100)을 보여주는 도 9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옹벽(100)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연직보강재(1)가 관통되는 적층블록(2)>과 <연직보강재(1)가 관통되지 않는 중간블록(5)>에 의해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벽체형태의 구조체가 구축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retaining
본 발명에서 선반블록(3)을 이루는 판부재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지만, 사면(200)을 향하여 후방으로 가면서 횡방향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3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선반블록(3)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선반블록(3)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경우, 곡선부에 옹벽(100)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선반블록(3)을 연직방향의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부재로 제작함에 있어서, 선반블록(3)의 연직두께가 사면(200)을 향하여 후방으로 가면서 줄어들어서 점차 얇아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반블록(3)의 상면은 수평을 유지한 채, 선반블록(3)의 하면이 기울어져서 선반블록(3)의 연직두께가 줄어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후방으로 가면서 선반블록(3)에 작용하는 연직하중(뒷채움 토사의 자중)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선반블록(3)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경우, 선반블록(3)의 무게를 최적화시킬 수 있게 되어,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member constituting the
선반블록(3)은 앞서 살펴본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 형상의 판부재로 사전에 공장에서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현장으로 이송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선반블록(3)이 일부분(테두리 부분)만이 공장 제작되고, 나머지 부분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완성될 수도 있다. 도 14에는 테두리 부분만이 사전 제작된 선반블록(3)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중앙 부분에는 미리 배근해놓은 보강철근(33)이 노출되도록 빈 공간을 가진 형태로 사전 제작한 후, 현장으로 이송하여 제1뒷채움 토사부(41) 위에 거치한 후, 비어 있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선반블록(3)을 완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운반할 때 선반블록(3)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이송, 운반 및 설치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The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선반블록(3)은 위에서 설명한 판형의 부재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선반블록(3)의 위,아래에 위치하는 적층블록이 미리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에는 각각 선반블록(3)의 상면과 하면에 적층블록 부분이 미리 돌출된 형태로 일체 결합되어 있도록 제작된 선반블록(3)의 일예가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되어 있다(도 15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16은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선반블록(3)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적층블록에 해당하는 부분이 미리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선반블록(3)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한쪽에만 적층블록에 해당하는 부분이 미리 구비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도17 및 도 18에는 각각 선반블록(3)의 상면에 적층블록 부분이 미리 돌출된 형태로 일체 결합되어 있도록 제작된 선반블록(3)의 일예가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되어 있다(도 17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18은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반블록(3)의 하면에만 적층블록 부분이 미리 돌출된 형태로 일체 결합되어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선반블록(3)의 상부에 존재하는 제2뒷채움 토사부(42)의 배수를 위하여, 또는 선반블록(3) 아래에 빈공간이 발생할 경우에 선반블록(3)의 상부에서 그 하부의 빈공간으로 접근하여 빈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반블록(3)에는 상,하로 연통되는 연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통공은, 선반블록(3)의 제작시에 연직한 파이프를 선반블록(3)의 콘크리트에 매설해둠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or the drainage of the
1: 연직보강재
2: 적층블록
3: 선반블록
21: 중공부
22: 경화제
31: 관통부
41: 제1뒷채움 토사부
42: 제2뒷채움 토사부1: vertical stiffener
2: laminated block
3: Shelf block
21:
22: Hardener
31:
41: 1st backfill
42: Second backfill
Claims (4)
사면(200)의 전방에서 하단이 지반에 고정된 상태로 연직보강재(1)가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적층블록(2)에는 연직하게 관통하는 중공부(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적층블록(2)이 연직하게 적층되었을 때 중공부(21)에 연직보강재(1)가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연직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블록(2) 사이에는, 수평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연직하게 관통하는 관통부(31)가 형성되어 있는 선반블록(3)이 배치되어 있는데, 관통부(31)에는 연직보강재(1)가 삽입 배치되어 있고;
중공부(21) 및 관통부(31)에 경화제(22)가 채워져 연직보강재(1)가 경화제(22)에 매립됨으로써 기둥형태의 보강체가, 적층블록(2) 및 선반블록(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옹벽(100)의 후방에 채워진 뒷채움 토사는, 선반블록(3)에 의하여, 선반블록(3)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뒷채움 토사부(41)와, 선반블록(3)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2뒷채움 토사부(42)로 구분되어 있고, 제2뒷채움 토사부(42)에 의한 연직 하향의 하중이 제1뒷채움 토사부(41)로 전달되는 것이, 선반블록(3)에 의해 저지되어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A retaining wall (100) in which stacked blocks (2) are stacked vertically,
The vertical stiffener 1 is vertically erected with the lower end fixed to the ground in front of the slope 200;
The laminated block 2 has a hollow portion 21 penetrating therethrough so that when the laminated block 2 is vertically stacked, the vertical stiffener 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1;
The shelf block 3 is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ly stacked laminated blocks 2 and is provided with a penetration portion 31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a horizontal plate member. A vertical stiffener 1 is inserted and arranged;
The reinforcing member 22 is filled in the hollow portion 21 and the penetrating portion 31 so that the vertical reinforcing member 1 is embedded in the hardening agent 22 so that the reinforcing member in the form of a colum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acking block 2 and the shelf block 3. [ ≪ / RTI >
The backfill soil filled in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100 is divided into a first backfeeding section 41 located below the shelf block 3 by the shelf block 3 and a second backfeeding section 41 located above the shelf block 3 And the vertical backward load by the second backfeeding section 42 is transmitted to the first backfeeding section 41 by the second backfeeding section 42 is blocked by the shelf block 3 Wherein the retaining wall comprises a resilient member.
선반블록(3)은 연직방향으로 복수개의 위치에서 적층블록(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lf block (3) is arranged between the laminated blocks (2)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선반블록(3)은, 사면(200)을 향하여 후방으로 가면서 연직두께가 얇아지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lf block (3)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vertical thickness is reduced toward the back toward the slope (200).
사면(200)의 전방에서 하단이 지반에 고정된 상태로 연직보강재(1)를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하고;
연직하게 관통하는 중공부(21)가 형성되어 있는 적층블록(2)을 복수개로 연직하게 1차로 적층하되, 연직보강재(1)가 중공부(21)에 삽입되도록 하고;
1차로 적층된 적층블록(2)의 후방으로 뒷채움 토사를 채워서 제1뒷채움 토사부(41)를 형성하고;
1차로 적층된 적층블록(2) 및 제1뒷채움 토사부(41)의 위쪽으로, 수평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연직하게 관통하는 관통부(31)가 형성되어 있는 선반블록(3)을 배치하되, 관통부(31)에 연직보강재(1)가 삽입되도록 하고;
선반블록(3)의 위쪽으로, 연직하게 관통하는 중공부(21)가 형성되어 있는 적층블록(2)을 2차적으로 설치하되, 연직보강재(1)가 중공부(21)에 삽입되도록 하고;
각각의 적층블록(2) 및 선반블록(3)을 설치할 때마다 또는 적층블록(2) 및 선반블록(3)을 모두 설치한 후에, 중공부(21) 및 관통부(31)에 경화제(22)를 채워서 연직보강재(1)가 경화제(22)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경화제(22)와 연직보강재(1)로 이루어진 기둥형태의 보강체가 적층블록(2) 및 선반블록(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2차적으로 설치된 적층블록(2)의 후방과 선반블록(3)의 위쪽으로 뒷채움 토사를 채워서 제2뒷채움 토사부(42)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선반블록(3)에 의하여, 옹벽(100)의 후방에 채워진 뒷채움 토사가 선반블록(3)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뒷채움 토사부(41)와, 선반블록(3)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2뒷채움 토사부(42)로 구분되어 있고, 제2뒷채움 토사부(42)에 의한 연직 하향의 하중이 제1뒷채움 토사부(41)로 전달되는 것이 선반블록(3)에 의해 저지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옹벽을 구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시공방법. As a method for vertically stacking the laminated block 2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100,
The vertical stiffener 1 is vertically erected while the lower end of the slope 200 is fixed to the ground;
A plurality of laminated blocks 2 in which a hollow portion 21 penetrating vertically is formed are stacked vertically so that the vertical stiffener 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1;
Filling the backfill slurry to the back of the first stacked laminated block 2 to form a first backfill slope section 41;
A shelf block (3)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31) which is made of a horizontal board member and penetrates vertically is formed above the first stacked block (2) and the first backfill tongue (41) So that the vertical stiffener (1)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31);
A laminated block 2 having a hollow portion 21 vertically penetrating is formed above the shelf block 3 so that the vertical stiffener 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1;
The curing agent 22 (22) is provided in the hollow portion 21 and the penetrating portion 31 after the stacking block 2 and the shelf block 3 are installed, or after the stacking block 2 and the shelf block 3 are all installed, The vertical reinforcing member 1 is embedded in the hardening agent 22 so that the columnar reinforcing member made of the hardening agent 22 and the vertical stiffener 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acking block 2 and the shelf block 3 ;
And filling the backfill soil behind the second stacked block (2) and the upper side of the shelf block (3) to form the second backfill trough (42);
The backfill soil filled in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100 by the shelf block 3 is divided into a first backfeeding section 41 located below the shelf block 3 and a second backfeeding section 41 located above the shelf block 3, 2 backfill slope 42 and that the vertical downward load by the second backfeeding slag 42 is transmitted to the first backfeeding slag 41 is blocked by the shelf block 3 Wherei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with a retaining wa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4588A KR20170038769A (en) | 2017-03-20 | 2017-03-20 |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Block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4588A KR20170038769A (en) | 2017-03-20 | 2017-03-20 |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Block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8769A true KR20170038769A (en) | 2017-04-07 |
Family
ID=5858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4588A KR20170038769A (en) | 2017-03-20 | 2017-03-20 |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Block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38769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76890B2 (en) | 2016-03-30 | 2020-06-09 | Robert Gordon McIntosh | Retaining wall system, method of supporting same, and kit for use in constructing same |
USD895153S1 (en) | 2018-10-05 | 2020-09-01 | Pacific Prebenched Ltd. | Block for a retaining wall |
KR20200139104A (en) | 2020-11-23 | 2020-12-11 | (주)스마텍엔지니어링 |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Block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3678B1 (en) | 2007-01-10 | 2007-12-07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Retaining wall using block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2017
- 2017-03-20 KR KR1020170034588A patent/KR2017003876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3678B1 (en) | 2007-01-10 | 2007-12-07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Retaining wall using block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76890B2 (en) | 2016-03-30 | 2020-06-09 | Robert Gordon McIntosh | Retaining wall system, method of supporting same, and kit for use in constructing same |
USD895153S1 (en) | 2018-10-05 | 2020-09-01 | Pacific Prebenched Ltd. | Block for a retaining wall |
KR20200139104A (en) | 2020-11-23 | 2020-12-11 | (주)스마텍엔지니어링 |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Block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9770B1 (en) | Soil protection against build structure and the method | |
KR101173045B1 (en) | Earth retaining-cum-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102919B1 (en)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90006671A (en) | Structural continuation method of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and earth transitional zone | |
KR20160006924A (en) | Concrerte pannel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1278687B1 (en) | Box-type thrust tube structure, and method of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box-type thrust tube structure | |
KR20170038769A (en) |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Block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324231B1 (en) | Soil cement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
KR101414155B1 (en) | Self-supported shoring structure using shelf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relieving platform | |
JP7232714B2 (en) | how to build a foundation | |
KR101293550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 |
KR101211469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prefabricated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20180134445A (en) | Stackable Concrete Block and Formwork for the Same | |
KR102075202B1 (en) |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 |
KR101287739B1 (en) | Sheet pile combined modular bridge abutme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20150135659A (en) | slope retaing wall using precast concrete and method therefore | |
JP6678487B2 (en) | How to build an underground structure | |
KR20110029888A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282770B1 (en) | Precast straight wall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146757B1 (en) | Stackable retaining wall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190522B1 (en) | A constructure method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t | |
KR102482690B1 (en) | Bridg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formwork integrated PC panels | |
KR101677431B1 (en) | Large concrete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KR102150531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vertical underground inse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3189413U (en) | Residual formwor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79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308 Effective date: 2019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