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035182A - 바퀴 접이식 캐리어 - Google Patents

바퀴 접이식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182A
KR20170035182A KR1020150133955A KR20150133955A KR20170035182A KR 20170035182 A KR20170035182 A KR 20170035182A KR 1020150133955 A KR1020150133955 A KR 1020150133955A KR 20150133955 A KR20150133955 A KR 20150133955A KR 20170035182 A KR20170035182 A KR 2017003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wheels
folding
crossbar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상
Original Assignee
조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상 filed Critical 조원상
Priority to KR102015013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182A/ko
Publication of KR2017003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retract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 줄 이상의 나선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나선봉들; 상기 한 줄 이상의 나선들과 각각 결합되는 나선결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나선봉들을 연결하는 크로스바; 그리고 상기 크로스바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퀴 접이식 캐리어 {LUGGAGE WITH FOLDING WHEELS}
본 발명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퀴 접이식 캐리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행이나 쇼핑 등을 할 때 러기지(luggage)처럼 바퀴 달린 캐리어가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바퀴가 작을 경우 노면의 요철이 심한 곳 등에서는 끌기가 불편하고, 또한 몸체의 하부 가장자리나 모서리 등이 지면에 닿아 마모되거나 오물이 묻기 쉬운 불편함이 있다.
바퀴를 크게 할 경우 위와 같은 문제점들이 해소될 수 있으나, 바퀴가 클 경우 캐리어의 보관이 불편하고 미관상 좋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의 바퀴들을 다소 크게 하되 그 바퀴들이 필요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이 바퀴들이 절첩되는 캐리어가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10-1218439호) 등록되어 있으나 상기 선등록 특허는 나선봉들의 길이가 길게 된 구조로서, 그와 같이 나선봉들이 길게 되면 그만큼 더 캐리어의 무게가 증가함으로써, 부득이 캐리어를 들어 옮겨할 할 경우 그만큼 더 힘이 들게 된다.
무게를 줄이고 내구성을 증대시킨 바퀴접이식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한 줄 이상의 나선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나선봉들; 나선들과 각각 결합되는 나선결합부들을 포함하고, 한 쌍의 나선봉들을 연결하는 크로스바; 그리고 크로스바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나선들이 각각 홈으로 형성되고, 나선결합부들은 각각 핀으로 됨으로써,
나선들에 나선결합부들이 각각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나선들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나선결합부들에는 각각 요부가 형성됨으로써, 나선들이 요부들에 각각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한 쌍의 나선봉들에 각각 바퀴가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몸체를 더 포함하고, 몸체에 한 쌍의 나선봉들, 크로스바, 그리고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몸체는 가방, 숫케이스, 트렁크, 또는 골프 백(golf bag)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몸체와 적재판이 전체적으로 ┗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적재판이 몸체 가까이 접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크로스바에 한 개 이상의 가이드바가 교차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뻗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크로스바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별도로 된 한 개 이상의 핸들바를 더 포함하고, 한 개 이상의 핸들바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핸들바를 위에서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한 개 이상의 핸들바가 크로스바와 접하면서 크로스바를 아래로 밀어주고, 한 개 이상의 핸들바를 아래에서 위쪽으로 일정 거리 이상 슬라이딩 시키면 크로스바로부터 한 개 이상의 핸들바가 분리되어 크로스바와 한 개 이상의 핸들바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핸들바의 상하 슬라이딩 거리보다 크로스바의 상하 이동 거리가 더 짧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크로스바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크로스바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인장스프링으로 되고,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는 각각 그 한 쪽이 크로스바와 연결되고, 다른 한 쪽이 몸체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한 개 이상의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한 개 이상의 토션스프링은 각각 그 한쪽이 나선봉들과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몸체와 연결될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토션스프링은 한 쌍의 나선봉들의 위쪽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압축스프링으로 될 수 있다. 여기서,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는 몸체에 설치된 한 개 이상의 하우징 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한 개 이상의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한 개 이상의 토션스프링은 각각 그 한쪽이 나선봉들과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몸체와 연결될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토션스프링은 한 쌍의 나선봉들의 위쪽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토션스프링으로 되고, 한 개 이상의 토션스프링은 각각 그 한쪽이 나선봉들과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몸체와 연결될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토션스프링은 한 쌍의 나선봉들의 위쪽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몸체에 한 개 이상의 핸들바와 견인바가 설치되고, 견인바와 크로스바가
로프에 의해 연결되고, 한 개 이상의 핸들바를 아래로 슬라이딩 시키면 한 개 이상의 핸들바가 견인바를 아래로 눌러줌으로써 로프가 몸체에 설치된 방향
변경부를 거쳐 크로스바를 위쪽으로 당겨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나선들이 각각 상부 협폭 구간과 중부 광폭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협폭 구간의 폭과 중부 광폭 구간의 폭의 차는 0.1 ~ 1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나선들이 각각 상부 광폭 구간과 중부 협폭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광폭 구간의 폭과 중부 협폭 구간의 폭과의 차는 0.1 ~ 1 mm 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나선봉들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음으로써 캐리어의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 증대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바퀴들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음으로써, 노면이 다소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바퀴들이 쉽고 원활하게 잘 굴러갈 수 있다.
바퀴들이 절첩될 수 있으므로 캐리어의 사용과 보관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 된 특허의 캐리어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캐리어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 4는 도 3의 캐리어에 포함된 나선봉들 및 그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된 바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캐리어에 적용될 수 있는 크로스바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나선봉의 일정 구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나선봉들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4의 나선봉의 일정 구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캐리어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캐리어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캐리어에 포함된 나선봉 및 그에 연결되어 설치된 바퀴 및
탄성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캐리어에 포함된 크로스바 및 그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캐리어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캐리어의 개선된 외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캐리어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캐리어의 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캐리어의 몸체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와 같은 몸체에 도 20과 같은 프레임이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프레임에 나선봉들, 바퀴들, 크로스바, 그리고 1 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24는 도 18의 캐래어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25는 도 18의 캐리어의 개선된 외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캐리어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8은 27의 캐리어에 포함된 하우징 및 그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9는 도 27의 캐리어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캐리어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캐리어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캐리어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36은 도 34의 캐리어에 포함된 크로스바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도 34의 캐리어에 포함된 나선봉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4의 캐리어에 적용될 수 있는 나선봉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나선봉들 중에 하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퀴 접이식 캐리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주로 러기지(luggage), 러기지 카트(luggage cart), 그리고 핸드 트럭(hand truck)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것들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 중, 캐리어들(11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은 각각 러기지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 캐리어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 중 캐리어(1200)는 러기지 카트 또는 핸드 트럭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 캐리어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캐리어들(11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에서 몸체들(410, 430, 440, 450)은 각각 가방, 숫케이스(suitcase),
트렁크(trunk), 또는 골프 백(golf bag)으로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캐리어들(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 1900, 2000)에서, 나선봉들(102, 103, 104, 110, 120 , 130, 140, 130', 140', 150, 160, 170, 180, 190A, 190B)의 각각의 형상은 예시적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캐리어들(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1900, 2000)에서, 나선들(10a, 10b, 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 15a, 15b, 16a, 16b, 17a, 17b)은 각각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선들(10a, 10b, 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 15a, 15b, 16a, 16b, 17a, 17b)의 형상들은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캐리어(1800)의 나선봉들(190A, 190B)에 포함된 나선들(18a, 18b 19a, 19b)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나선들(18a, 18b 19a, 19b)의 형상은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캐리어들(1100, 1200, 1300, 1400, 1600, 1800)에서,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1, 32)은 크로스바들(1, 2, 2', 4, 8)을 각각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캐리어(1500)에 포함된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5)는 크로스바(1)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준다.
캐리어(1700)에 포함된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92)는 크로스바(6)을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준다.
캐리어(1900)에서 크로스바(1)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탄성부재는 실린더(700A) 내에서 피스톤(711)에 의해 갇혀 있는 한 가지 이상의 물질이 된다.
캐리어(2000)에서 크로스바(1)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탄성부재는 실린더(700B) 내에서 피스톤(721)에 의해 갇혀 있는 한 가지 이상의 물질이 된다.
한편,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특허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000)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400)의
일면에는 한 쌍의 나선들(301a 301b)이 구비된 나선봉(310)과 한 쌍의
나선들(302a, 302b)이 구비된 나선봉(320)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캐리어(1000)는 손잡이(370)를 위로 빼올려 핸들바들(350,360)을 위로 이동시킴으로써 몸체(400)의 일면에 설치된 나선봉들(310, 320)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바퀴들(330, 340)이 양쪽 앞으로 벌어져 펼쳐진 상태이다.
도 2는 도 1의 캐리어(1000)의 손잡이(370)를 눌러 핸들바들(350, 360)을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바퀴들(330, 340)이 양쪽 가운데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캐리어(1000)는 핸들바(350)와 크로스바(93)가 일체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핸들바(360)와 크로스바(9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바들(350, 360)을 상하 이동시킨 거리 이상으로 나선봉(310)과
나선봉(320)에 형성된 나선들(301a, 301b, 302a, 302b)의 구간이 길게 되어야 하므로, 나선봉(310)과 나선봉(320)의 길이 역시 길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나선봉들(310, 320)이 길게 되면 그만큼 캐리어(1000)의 무게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특히 여행 중에 캐리어(1000)를 불가피하게 들어서 이동시켜야 할
경우 그만큼 더 힘이 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한 줄 이상의 나선(10a, 10b)을 포함하는 나선봉(110)과 한 줄 이상의 나선(11a, 11b)을 포함하는 나선봉(120); 상기 나선들(10a, 10b)과 결합되는
나선결합부(21)와 상기 나선들(11a, 11b)과 결합되는 나선결합부(2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나선봉들(110, 120)을 연결하는 크로스바(1); 그리고 상기
크로스바(1)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1, 32); 를
포함한다. 여기서 물건을 수납하는 몸체(4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몸체(410)는 캐리어(1100)의 사용 방법을 예시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이외에, 필요에 따라 캐리어의 바퀴들의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410)에 한 쌍의 나선봉들(110, 120)이 설치되어 있다.
나선봉들(110, 120)이 몸체(410)에 설치될 때 각각 그 길이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하여 좌우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선봉(110)은 한 쌍의 나선들(10a, 10b)을 포함하고,
나선봉(120)도 한 쌍의 나선들(11a, 11b)을 포함하고 있다 (도 9 참조).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이 갖는 나선의 수는 한 줄이상으로 할 수
있으나, 도 3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2 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선봉(110) 및 나선봉(12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나선들(10a, 10b, 11a, 11b)은 각각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선들(10a, 10b, 11a, 11b)의 각각의 형상은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나선들(10a, 10b, 11a, 11b)은 각각 그 위쪽 또는
아래쪽이 나선봉들(110, 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직선으로 연장되게
하거나 또는 그 위쪽과 아래쪽 모두가 나선봉들(110, 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직선으로 연장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 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
나선봉(110)에 포함된 한 쌍의 나선들(10a, 10b)과 나선봉(120)에 포함된 한 쌍의 나선들(11a, 11b)은 상호 대칭을 이룬다. 한 쌍의 나선들(10a, 10b)과 한 쌍의 나선들(11a, 11b)이 상호 대칭을 이룰 때, 정확하게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4의 (a)와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선봉들(110, 120)의 일 부분들(43)과 다른 일부분들(44)은 그 나머지 부분들보다 두께가 더 가늘다. 도 4의 (a)의 나선봉(110)의 형태와 (b)의 나선봉(120)의 형태는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a)의 나선봉(110)과 (b)의 나선봉(120)은 각각 그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그 가운데 부분이 파이프처럼 텅 비거나 또는 그 속이 꽉 차있을 수 있다. ////////////////////
도 4의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이 몸체(410)에 설치되는 방법은,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의 일 부분들(44)이 몸체(410)에 설치된
슬리브들(sleeves)(42) 내에 각각 위치하고, 다른 일 부분들(43)은 슬리브들(41) 내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설치될 수 있으나, 이 방법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나선봉(110)에 바퀴 지지대(71)가 구비될 수 있고, 나선봉(120)에도 바퀴
지지대(72)가 구비될 수 있다.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에는 각각 바퀴(210)와 바퀴(220)가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에 바퀴(210, 220)가 설치되는 방법은, 나선봉(110)에 구비된 바퀴 지지대(71)에 바퀴(210)가 설치되고, 나선봉(120)에 구비된 바퀴 지지대(72)에 바퀴(220)가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또는 바퀴(210)와 바퀴(220)가 바퀴지지대(71)와 바퀴지지대(72) 없이 직접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에 각각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이 각각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나선봉(110)에 연결되어 설치된 바퀴(210)와 나선봉(120)에 연결되어 설치된
바퀴(220)도 각각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도 5의 (a)는 도 3 의 캐리어(1100)에 포함된 크로스바(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크로스바(1)는 좌측의 나선결합부(21)와 우측의 나선결합부(22)를 포함한다. 크로스바(1)에 포함된 나선결합부들(21, 22)은 각각 핀의 형태로 되어 있다. 나선결합부들(21, 22)의 형상들은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이 크로스바(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나선결합부(21)가 나선들(10a, 10b)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나선결합부(21)와 나선들(10a, 10b)이 결합되고, 마찬가지로 나선결합부(22)가 나선들(11a, 11b)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나선결합부(22)와 나선들(11a, 11b)이 결합되어, 크로스바(1)가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을 연결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크로스바(1)가 위로 올라가거나 또는 아래로 내려감에 따라
나선결합부(21)가 나선들(10a, 10b)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하고, 마찬가지로
나선결합부(22)가 나선들(11a, 11b)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함으로써,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이 각각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나선봉(110)에 포함된 한 쌍의 나선들(10a, 10b)과 나선봉(120)에 포함된 한 쌍의 나선들(11a, 11b)은 상호 대칭을 이루기 때문에 크로스바(1)가 위로 올라가거나 또는 아래로 내려감에 따라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이 각각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도 5의 (a)의 크로스바 대신에 도 5의 (b)와 같은 형태의 크로스바(2) 또는 도 5의 (c)와 같은 형태의 크로스바(2')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2 참조)
도 5의 (b)의 크로스바(2)는 그 좌측에 한 개 이상의 나선결합부들(23a, 23b)이 구비되고, 연결부(2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그 우측에도 한 개 이상의 나선결합부들(24a, 24b)이 구비되고, 연결부(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크로스바(2)에 포함된 나선결합부들(23a, 23b, 24a, 24b)은 각각 핀의 형태로 되어 있다. 나선결합부들(23a, 23b, 24a, 24b)의 각각의 형태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5의 (b)의 크로스바(2)의 좌측에 구비된 한 쌍의 나선결합부들(23a, 23b)은 그 끝부분들이 일정 거리 떨어진 채 서로 마주 보고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한 쌍의 나선결합부들(24a, 24b)도 그 끝부분들이 일정 거리 떨어진 채 서로 마주
보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나선결합부(23a, 23b)와 나선결합부(24a, 24b)는 각각 나선봉(110)의 나선들(10a, 10b)이 서로 관통되고, 나선봉(120)의
나선들(11a, 11b)들이 서로 관통되어 있을 경우 뿐만 아니라 서로 관통되지 않은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의 크로스바(1)의 나선결합부들(21, 22)과 도 (c)의
크로스바(2')의 나선결합부들(27, 28)은 나선봉(110)의 나선들(10a, 10b)들과 나선봉(120)의 나선들(11a, 11b)들이 각각 서로 관통되어 있을 경우에만 삽입이 가능하다.
도 5의 (b)의 크로스바(2)의 좌측의 나선결합부들(23a, 23b) 중에 한 쪽의
나선결합부(23b)가 나선봉(110)에 포함된 한쪽의 나선(10a)에 삽입되고, 다른 한쪽의 나선결합부(23a)가 다른 한쪽의 나선(10b)에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크로스바(2)의 우측의 나선결합부들(24a, 24b) 중에 한 쪽의 나선결합부(24a)가 나선봉(120)에 포함된 한쪽의 나선(11a)에 삽입되고, 다른 한쪽의
나선결합부(24b)가 다른 한쪽의 나선(11b)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2 참조).
한편, 도 5의 (c)의 크로스바(2')는 좌측의 나선결합부(27)와 우측의 나선결합부(28)를 포함한다. 나선결합부(27)의 양쪽 끝부분들이 연결부(2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나선결합부(28)의 양쪽 끝부분들이 연결부(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5의 (c)의 크로스바(2')는 도 5의 (a)의 크로스바(1)처럼 좌측의 나선결합부(27)가 나선봉(110)에 포함된 한 쌍의 나선들(10a, 10b)들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우측의 나선결합부(28)가 나선봉(120)에 포함된 한 쌍의 나선들(11a, 11b)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나선결합부(27)가 나선들(10a, 10b)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나선결합부(28)가 나선들(11a, 11b)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5의 크로스바들(1, 2, 2')의 각각의 형태는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5의 크로스바들(1, 2, 2')의 각각의 형태는 아래의 실시예들의 캐리어들(1200, 1300, 1400, 1500, 1600, 17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a)와 (b)는 도 4의 (a)의 나선봉(110)과 도 4의 (b)의
나선봉(120)에서, 각각 일 부분(44)의 아래쪽과 일 부분(43)의 위쪽 사이의 일정 구간(L7)만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선봉(110)의 나선(10a)과 나선봉(120)의
나선(11a)은 각각 좁은 폭(W1)의 상부 협폭(狹幅) 구간(L1)과 하부 협폭
구간(L5)을 포함한다(도면상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나선(10b)과 나선(11b)도 각각 상기 나선(11a)과 나선(11b)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음). 상부 협폭
구간(L1)과 하부 협폭 구간(L5) 사이에 넓은 폭(W2)의 중부 광폭 구간(L3)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협폭 구간(L1)과 중부 광폭 구간(L3) 사이가 상부 연결
구간(L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협폭 구간(L5)과 중부 광폭 구간(L3) 사이가 하부 연결 구간(L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부 연결 구간(L2)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면서 점점 더 넓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고, 하부 연결 구간(L4)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점점 더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7의 (a)는 도 6의 (a)의 나선봉(110)에서 상부 협폭 구간 (L1) 내에 도 5의 크로스바들(1, 2, 2')의 좌측에 구비된 나선결합부들(21, 23b. 27) 중에 하나가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b)는 도 6의 (b)의 나선봉(120)에서 하부 협폭 구간(L5) 내에 도 5의 크로스바들(1, 2, 2')의 우측에 구비된 나선결합부들(22, 24a, 28) 중에 하나가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와 같은 상태 또는 도 7의 (b)와 같은 상태에서는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이 각각 그 길이방향을 축으로 좌우로 회전하여 요동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감소됨으로써, 나선봉(110)에 연결되어 설치된 바퀴(210)와
나선봉(120)에 연결되어 설치된 바퀴(220)가 좌우로 불안정하게 요동하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나선결합부들(21, 22, 23a, 23b, 24a, 24b, 27, 28)이 중부 광폭 구간(L3) 내에서는 상하 슬라이딩이 더욱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부 협폭 구간의 폭(W1)과 중부 광폭 구간의 폭(W2)의 차는 0.1 ~ 1 mm 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부 연결 구간(L2) 또는 하부 연결 구간(L4)을 통하여 나선결합부(21) 또는
나선결합부(22)가 중부 광폭 구간(L3)으로부터 상부 협폭 구간(L1)으로 또는
하부 협폭 구간(L5)으로의 이동이 더욱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의 (a)의 나선(10a)의 형태와 (b)의 나선(11a)의 형태는 각각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8의 (a)와 (b)는 도 6의 (a)의 나선봉(110)과 도 6의 (b)의
나선봉(120)에서, 나선들(10a, 11b)의 상부 중심선들과 하부 중심선들이 각각 나선봉들(110, 120)의 중심축들과 이루는 각(R2)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처럼 바퀴(210)와 바퀴(220)가 몸체(410)의 양쪽 앞으로 벌어져
펼쳐지고 도 9에서처럼 바퀴(210)와 바퀴(220)가 양쪽 가운데로 접혀질 때,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이 각각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는 90°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1, 32)이 각각 그 한쪽이 크로스바(1)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몸체(410)와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1, 32)는 각각 인장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3에서는 각각 인장스프링으로 된
2개의 탄성부재들(31, 32)이 설치되어 있음). 탄성부재(31)와 탄성부재(32)가 크로스바(1)에 연결되는 위치는 크로스바(1)의 좌우 중심으로부터 서로 동등거리가 되도록 또는 실질적으로 동등 거리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그와 같이 탄성부재(31)와 탄성부재(32)가 크로스바(1)에 연결되는 위치가 크로스바(1)의 좌우 중심으로부터 서로 동등거리가 되도록 또는 실질적으로 동등 거리가 되도록 하면 크로스바(1)가 상하 이동할 때 좌우 수평 또는 좌우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 ///////////////////////////////////////////////////////////////////////////////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1, 32)은 크로스바(1)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도 3에서는 탄성부재들(31, 32)이 자체 복원력에 의해
크로스바(1)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크로스바(1)가 위쪽으로
올라가고, 바퀴들(210, 220)이 몸체(410)의 양쪽 앞으로 벌어져 펼쳐진 상태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개 이상의 핸들바들(61, 62)이 몸체(410)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에서는 한 쌍의 핸들바들(61, 62)이 몸체(410)에 설치되어 있음.) 한 쌍의 핸들바들(61, 62)이 몸체(41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들(51, 52)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3에서는 손잡이(610)를 위로 빼 올려 한 쌍의 핸들바들(61, 62)이 위쪽으로 이동 된 후 높낮이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3에서 손잡이(610)를, 가령 손으로 눌러, 한 쌍의 핸들바들(61, 62)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한 개 이상의 핸들바(61, 62)가 크로스바(1)와
접하면서 한 개 이상의 핸들바(61, 62)가 크로스바(1)를 아래로 밀어줌에 따라 탄성부재들(31,32)이 아래쪽으로 늘어나게 되고 또한 나선봉(11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나선봉(120)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도 9에서처럼 바퀴(210)와 바퀴(220)가 양쪽 가운데로 접혀지게 된다. (한 쌍의 핸들바들(61, 62)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시킬 때, 핸들바(61)와 핸들바(62)의 길이가 동일하고, 크로스바(1)가 좌우 수평 상태에 있을 때는
핸들바(61)와 핸들바(62)가 동시에 크로스바(1)와 접하면서 크로스바(1)를
아래로 밀어줄 수 있지만, 핸들바(61)와 핸들바(62)의 길이가 동일하지만
크로스바(1)가 수평 상태에 있지 않거나 또는 크로스바(1)가 좌우 수평 상태에 있지만 핸들바(61)와 핸들바(62)의 길이가 동일하지 않을 때는 핸들바(61)와
핸들바(62) 중 하나만 크로스바(1)와 접하면서 크로스바(1)를 아래로 밀어줄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손잡이(610)를 빼 올려 한 쌍의 핸들바(61, 62)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1, 32)이 자체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크로스바(1)를 위쪽으로 당겨줌으로써 크로스바(1)가 위로 올라감에 따라
나선봉(110)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나선봉(120)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도 3에서처럼 바퀴(210)와 바퀴(220)가 몸체(410)의 양쪽 앞으로 벌어져 펼쳐지게 된다.
크로스바(1)와 한 쌍의 핸들바(61, 62)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됨으로써, 크로스바(1)가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1, 32)의 복원력에 의해 도
3에서처럼 위쪽으로 일정 높이 올라간 후 멈춘 상태에서 한 쌍의 핸들바(61,
62)를 위쪽으로 계속 이동시키면 크로스바(1)로부터 한 쌍의 핸들바(61, 62)가 분리되고, 크로스바(1)와 한 쌍의 핸들바(61, 6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크로스바(1)로부터 핸들바들(61, 62)이 분리될 수 있는
구조는 도 3에서처럼 손잡이(610)를 위로 빼 올렸을 때와 도 9에서처럼
손잡이(610)를 아래로 눌렀을 때, 핸들바들(61, 62)의 상하 이동 거리보다
크로스바(1)의 상하 이동 거리를 더 짧게 할 수 있음으로써, 나선봉들(110, 120)의 나선들(10a, 10b, 11a, 12b)의 상하 구간(L6)을 짧게 할 수 있고(도 4 참조), 따라서 나선봉들(110, 120)의 길이도 그만큼 더 짧게 할 수 있다. 나선봉들(110, 120)의 길이를 짧게 하면 그만큼 더 캐리어(1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 증대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반면, 도 1 및 도 2에서 처럼, 크로스바들(93, 94)과 핸들바들(350, 360)이 일체로 되어 분리될 수 없는 구조는 크로스바들(93, 94)과 핸들바들(350, 360)이 항상 함께 움직여야 하므로, 핸들바들(350, 360)을 위로 빼 올린 길이 이상으로
나선들(301a, 301b, 302a, 302b)이 형성된 구간의 길이도 길게 되어야 하므로, 나선봉들(310, 320)의 길이가 길게 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나선봉(310,
320)들이 길게 되면 그 만큼 더 캐리어(1000)의 무게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캐리어(1000)를 부득이 들어 옮겨야 할 경우 그 만큼 더 힘이 드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도 3의 상태에서 캐리어(1100)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어,
캐리어(1100)의 상부가 앞쪽으로 일정 각도 기울여지게 하여 바퀴들(210, 220)이 지면에 닿게 한 상태에서 손잡이(610)를 잡고 바퀴들(210, 220)을 이용하여
캐리어(1100)를 끌거나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1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의 캐리어(1200)는 몸체(420)를 제외하고 도 3의
캐리어(1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의 캐리어(1200)는 러기지 카트 또는 핸드 트럭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몸체(420)에 가방, 숫케이스,
트렁크, 또는 골프 백 등이 부착되게 하거나, 또는 그것들의 착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몸체(420)에 짐을 걸거나 또는 로프 등으로 동여멜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420)에는 짐을 얹어 실을 수 있는 적재판(積載板)(900)이 구비될 수 있다. 몸체(420)와 적재판(900)이 전체적으로
┗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도 11에서처럼 적재판(900)이 몸체(420) 가까이 접혀질 수 있다.
도 11에서처럼 손잡이(610)와 바퀴들(210, 220), 그리고 적재판(900)이 접혀진 상태는 공간을 덜 차지함으로써 캐리어(1200)의 보관이 편리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의 캐리어(1300)는 도 3의 캐리어(1100)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개 이상의 핸들바들(63, 64)과 그 위쪽의 핸들바 연장부들(65, 66)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연결 됨으로써, 2단
접이식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핸들바 연장부들(65, 66) 위에 또 다른 핸들바 연장부들을 추가하여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핸들바들(63,
64)과 핸들바 연장부들이 3단 이상의 접이식이 되게 할 수 있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430)의 한쪽에는 도 13의 (a)와 같은
나선봉(140), 바퀴(220), 그리고 탄성부재(3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의 (a)의 나선봉(140)은 도 4의 (b)의 나선봉(120)과 그 형태가 유사하고,
또한 도 4의 (b)의 나선봉(120)이 도 3의 몸체(410)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 13의 나선봉(140)도 도 12의 몸체(430)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나선봉(130)이 몸체(430)의 다른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도 13의 (b)의 나선봉(140)의 형태는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2의 캐리어(1300)는 도 13의 (c)에서와 같은 탄성부재(34)의 한쪽이 도 13의 (b)의 나선봉(140)의 일 부분(45)에 형성된 구멍(99)에 삽입됨으로써 도 13의
(a)에서처럼 나선봉(140)과 탄성부재(34)의 한쪽이 연결되고, 탄성부재(34)의
다른 한쪽은 몸체(430)에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탄성부재(33)의 한쪽이 나선봉(130)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몸체(430)에 연결되어 있다.
탄성부재들(33, 34)은 코일 형태의 토션(torsion) 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3, 34)이
설치되는 위치는 도 12에서처럼 나선봉들(130, 140)의 위쪽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12에서처럼 탄성부재들(33, 34)이
나선봉들(130, 140)의 위쪽에 위치할 경우 나선봉들(130, 140)에 의해
탄성부재들(33, 34)이 방해받지 않고 더욱 자유롭고 용이하게 토션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탄성부재들(33, 34)은 그 자체의 복원력 즉, 토션 작용에 의해 나선봉들(130, 140)을 각각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게 해주거나, 또는 그와 같이 나선봉들(130, 140)이 회전할 때 그 스크류 작용에 의해 크로스바(2)를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동시켜 줄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도 12의 캐리어(1300)에 포함된 크로스바(2) 및 그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바(3)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의 크로스바(2)는 도 5의 (b)의 크로스바(2)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가이드바(3)가 크로스바(2)와 교차하여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뻗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한 경우 가이드바(3)가 크로스바(2)와
교차하면서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뻗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크로스바(2)와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바(3)의 수도 도 30에서처럼 한 개 이상이 되게 할 수 있다.
가이드바(3)와 크로스바(2)가 교차하며 이루는 각(R)은 90°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나선봉(130)에는 한 줄이상의 나선(12a, 12b)이 포함되고, 나선봉(140)에도 한 줄 이상의 나선(13a, 13b)이 포함되어 있다(도면상의 나선봉(130)과 선봉(140)에는 각각 두 줄의 나선이 구비됨)(도 15 참조). 나선들(12a, 12b, 13a, 13b)은 각각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크로스바(1)가 나선봉(110)과 나선봉(120) 사이에 연결되어
설치되듯이, 도 12에서도 크로스바(2)가 나선봉(130)과 나선봉(140)을 연결하여 설치되어 있다.
크로스바(2)의 좌측의 나선결합부들(23a, 23b) 중에 한 쪽의 나선결합부(23b)가 나선봉(130)에 포함된 한쪽의 나선(12a)에 삽입되고, 다른 한쪽의 나선결합부(23a)가 다른 한쪽의 나선(12b)에 삽입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크로스바(2)의 우측의 나선결합부들(24a, 24b) 중에 한 쪽의 나선결합부(24a)가 나선봉(130)에 포함된 한쪽의 나선(13a)에 삽입되고, 다른 한쪽의 나선결합부(24b)가 다른 한쪽의 나선(13b)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크로스바(2)의 좌측의 한 쌍의 나선결합부들(23a, 23b)이 나선봉(130)에 포함된 한 쌍의 나선들(12a, 12b)과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고, 크로스바(2)의 우측의 한 쌍의 나선결합부들(24a, 24b)이 나선봉(140)에 포함된 한 쌍의 나선들(13a, 13b)과 각각 대응하여 결합됨으로써, 크로스바(2)가 나선봉(130)과
나선봉(140)을 연결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나선결합부(23b)가 나선(12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나선결합부(23a)가 나선(12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한, 나선결합부(24a)가 나선(13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나선결합부(24b)가 나선(13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한 크로스바(2)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바(3)가 몸체(430)에 설치된 한 개
이상의 슬리브들(46)을 통하여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다.
따라서, 크로스바(2)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좌측의 나선결합부들(23a, 23b)과 우측의 나선결합부들(24a, 24b)이 각각 나선들(12a, 12b)과 나선들(13a, 13b)을
따라 동시에 상하 슬라이딩함으로써, 나선봉(130)과 나선봉(140)이 각각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바(2)가 상하 이동할 때 가이드바(3)가 슬리브들(46)을 통하여 상하 슬라이딩함으로써 크로스바(2)가 좌우 수평하게 또는 수평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며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고, 또한 크로스바(2)가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앞뒤로 구르는 현상을 방지해 줌으로써, 크로스바(2)가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1, 32)가 크로스바(2)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데, 도 12에서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1, 32)가 크로스바(2)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크로스바(2)가 위쪽으로 올라가 있다.
도 12에서 손잡이(620)를, 가령 손으로, 눌러 핸들바들(63, 64)을 아래로 이동시키면 한 개 이상의 핸들바들(63, 64)이 크로스바(2)와 접하면서
크로스바(2)를 아래로 밀어줌에 따라 도 15에서처럼 탄성부재들(31, 32)이
아래쪽으로 일정 길이 늘어나고 또한 나선봉(130)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나선봉(140)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함에 따라
바퀴들(210, 220)이 양쪽 가운데로 접혀지고, 아울러 탄성부재들(33, 34)이 각각 일정 각도 비틀리게 된다.
한편, 도 15에서 손잡이(620)를 위로 빼 올려 핸들바들(63, 64)을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탄성부재들(31, 32)의 자체 복원력과 탄성부재들(33, 34)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도 12에서처럼 크로스바(2)가 위쪽으로 올라가는 동시에
나선봉(130)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고,
나선봉(140)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바퀴들(210, 220)이 각각 몸체(430)의 양쪽 앞으로 벌어져
펼쳐지게 된다. 여기서 탄성부재들(31, 32)만 설치되게 하거나 또는
탄성부재들(33, 34)만 설치되게 할 수 있으나, 탄성부재들(31, 32)과
탄성부재들(33, 34)이 함께 설치되면 탄성부재들(31, 32)의 자체 복원력과
탄성부재들(33, 34)의 자체 복원력이 함께 상호 작용함으로써 크로스바(2)가
위로 올라가는 것 및 나선봉들(130, 140)이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것이 더욱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2의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2의 캐리어(1300)의 상부를 앞쪽으로 다소 기울여 바퀴들(210, 220)이 지면에 닿게 한 상태에서 손잡이(620)를 잡고 바퀴들(210, 220)을 이용하여 캐리어(1300)를 끌거나 밀어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캐리어(1300)를 세운 상태에서도 몸체(430)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들(201, 202, 203)을 이용하여 캐리어(1300)를 밀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6은 도 12의 캐리어(1300)에서 외관이 좀더 단정하고 보기 좋게
되도록 하기 위해 몸체(430)에 설치된 탄성부재들(31, 32), 크로스바(2) 및
가이드바(3) 등이 가려진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캐리어(1300)에서 손잡이(620)가 아래로 눌려지고, 바퀴들(210, 220)이 각각 양쪽 가운데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4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의 캐리어(1400)는 도 12의 캐리어(1300)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1, 32)가 크로스바(2)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데, 도 18에서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1, 32)가 크로스바(2)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크로스바(2)가 위쪽으로 올라가 있다.
도 18의 캐리어(1400)는 도 19와 같은 몸체(440)에 도 20과 같은 프레임(500)이 도 21과 같은 상태로 설치되고, 한 개 이상의 체결수단(99)에 의해 몸체(440)와 프레임(500)이 체결되어 있다. 몸체(440)에는 슬리브(51')와 슬리브( 52')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581)과 구멍(582)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440)와 프레임(500)을 체결하는 체결수단(99)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벳, 나사, 볼트와 너트, 또는 접착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는 몸체(440)와 프레임(500)이 철사, 금속 띠, 또는 플라스틱 띠에 의해 묶여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는 몸체(440)와
프레임(500)이 사출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프레임(500)은 하부 지지대(530), 좌측 지지대(510), 우측지지대(520), 그리고 중부지지대(540)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중부지지대(540)의 위쪽으로
상부지지대(570)가 한 개 이상의 연결지지대(550, 5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중부지지대(540)에는 슬리브(51', 52')가 설치되기 위한 홀더(541)와 홀더(542)가
구비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부지지대(570)에도 슬리브(51', 52')가 설치되기 위한 홀더(571)와 홀더(572)가 구비되어 있다. 슬리브(51')와 슬리브(52') 내에 핸들바(61)와 핸들바(62)가 각각 위치하여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중부지지대(540)와 상부지지대(570)에는 슬리브(49)가 설치되기 위한
홀더(543)와 홀더(573)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바(3')가 상기 슬리브(49) 내에 위치하여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좌측지지대(510)에는 한 개 이상의 스페이서(511, 512)가 구비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우측지지대(520)에도 한 개 이상의 스페이서(521, 522)가 구비되어 있다. 스페이서들(511, 512)에 의해 좌측지지대(510)가 몸체(440)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마찬가지로 스페이서들(521, 522)에 의해 우측지지대(520)가 몸체(440)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좌측지지대(510)에는 탄성부재(33)의 한쪽을 삽입하여 연결하기 위한
구멍(519)이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우측지지대(520)에도 탄성부재(34)의 한쪽을 삽입하여 연결하기 위한 구멍(529)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500)의
구조와 형태는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22는 도 20의 프레임(500)의 좌측지지대(510)에 나선봉(130')이
슬리브(502)와 브레킷(501)에 의해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우측지지대(520)에도 나선봉(140')이 슬리브(502)와 브레킷(501)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크로스바(2)가 도 12에서처럼 나선봉(130')과 나선봉(140')을 연결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들(31, 32)이 수축되면서 크로스바(2)를
위쪽으로 당겨줌으로써 크로스바(2)가 위쪽으로 올라가고, 바퀴(210)와
바퀴(220)가 벌어져 양쪽 앞으로 펼쳐진 상태이다.
도 23은 도 22의 상태에서 크로스바(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탄성부재들(31, 32)이 각각 일정 길이 늘어나고, 나선봉(13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나선봉(140')이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바퀴(210)와 바퀴(220)가 양쪽 가운데로 접혀지고, 탄성부재들(33, 34)이 각각 일정 각도 비틀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8의 캐리어에서, 손잡이(610)를 눌러 한 개 이상의 핸들바(61, 62)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크로스바(2)를 눌러줌에 따라 도 24에서처럼 바퀴(210)와
바퀴(220)가 양쪽 가운데로 접혀진 상태이다.
도 24의 상태에서 손잡이(610)를 위로 빼 올리면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1, 32)의 수축력과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3, 34)의 토션력에 의해 크로스바(2)가 위로 올라가고 또한 나선봉(130')이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고,
나선봉(14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나선봉(130')에
연결되어 설치된 바퀴(210)와 나선봉(140')에 연결되어 설치된 바퀴(220)가 도 18에서처럼 양쪽 앞으로 벌어져 펼쳐지게 된다.
도 25는 도 18의 캐리어(1400)에서 외관이 좀더 단정하고 보기 좋게 되도록
하기 위해 탄성부재들(31, 32), 크로스바(2) 및 가이드바(3') 등이 가려진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캐리어(1400)에서 손잡이(610)가 아래로 눌려지고, 바퀴들(210, 220)이 각각 양쪽 가운데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5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의 캐리어(1500)는 도 3의 캐리어(1100)의 탄성부재들(31, 32) 대신에 도 28의 (a)처럼 탄성부재(35)가 들어있는 하우징(37)이 몸체(410)에 한 개 이상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8의 (b)는 도 28의 (a)의 하우징(37)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하우징(37)에는 슬롯(slot)(39)이 형성되어 있다.
도 28의 (c)는 도 28의 (b)에서 하우징(37) 내에 탄성부재(35) 및 그 위에
푸셔(pusher)(36)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봉(38)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단면도이다. 상기 탄성부재(35)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의 (d)는 도 28의 (c)와 비교해볼 때 가이드봉(38) 및 푸셔(36)가 아래로 내려오고, 탄성부재(35)가 압축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푸셔(36)는 그 일부가 슬롯(39) 밖으로
돌출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다.
탄성부재(35)는 크로스바(1)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데, 도 27에서는
압축스프링으로 된 탄성부재(35)가 크로스바(1)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크로스바(1)가 위쪽으로 올라가 있고, 바퀴들(210, 220)이 몸체(410)의 양쪽 앞으로 벌어져 펼쳐져 있다.
도 27에서 캐리어(1500)의 몸체(410)에 설치된 하우징(37) 내의 탄성부재(35)의 복원력에 의해 푸셔(36)가 크로스바(1)를 상방향으로 밀어주고 있다.
도 29는 도 27의 캐리어(1500)에서 손잡이(610)를 눌러 한 쌍의 핸들바(61, 62)를 아래로 이동시킴에 따라, 한 개 이상의 핸들바(61, 62)가 크로스바(1)와 접하면서 크로스바(1)를 아래로 밀어줌에 따라 나선봉(110)과 나선봉(120)이 각각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바퀴들(210, 220)이 각각 양쪽
가운데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크로스바(1)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푸셔(36)를 눌러줌으로써 도 28의 (d)에서처럼 탄성부재(35)가
압축되게 된다,
한편, 도 12의 크로스바(2)에 가이드바(3)가 구비되고, 도 30의 크로스바(4)에 가이드바들(5)이 구비된 것처럼, 도 27의 크로스바(1)에도 한 개 이상의
가이드바가 구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한 쌍의 나선봉들(130, 140)에 각각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3, 34)이 연결되어 설치된 것처럼, 마찬가지로 도 27의 한 쌍의 나선봉들(110, 120)에도 각각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3, 34)이 연결되어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6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의 캐리어(1600)는 도 3의 캐리어(1100) 및 도 12의 캐리어(1300)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450)에는 한 개 이상의 핸들바(67)가 한 개
이상의 슬리브(55) 내에 설치되고, 핸들바(67)가 슬리브(55)를 통하여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30에서는 몸체(450)에 한 개의 핸들바(67)가 한 개의 슬리브(55) 내에 설치되어 있음.)
도 30의 캐리어(1600)에는 한 개 이상의 나선(14a, 14b)을 포함하는
나선봉(150)과 한 개 이상의 나선(15a, 15b)을 포함하는 나선봉(160)이
크로스바(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크로스바(4)는 도 5의 (b)의 크로스바(2) 또는 도 5의 (c)의 크로스바(2')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204] 또한 도 12의 캐리어(1300)의 크로스바(2)에 가이드바(3)가 형성된 것처럼 도 30의 크로스바(4)에도 한 개 이상의 가이드바들(5)이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바들(5)이 한 개 이상의 슬리브(47)들을 통하여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30에서는 크로스바(4)에 2개의 가이드바(5)들이 구비되어 있음.)
또한, 크로스바(4)에는 돌기(9)가 형성됨으로써, 돌기(9)가 슬리브 홈(56) 내에 위치하게 된다.
돌기(9)는 핸들바(67)가 크로스바(4)와 접할 때, 접하는 부위의 면적을 더 넓게 확보해줌으로써, 핸들바(67)가 아래로 슬라이딩할 때 핸들바(67)가
크로스바(4)를 더욱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밀어줄 수 있게 해준다.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1, 32)가 크로스바(4)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데, 도 30에서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1, 32)가 자체 복원력에 의해 크로스바(4)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크로스바(4)가 위쪽으로 올라가 있다.
도 30에서 손잡이(630)를 누르면 핸들바(67)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크로스바(4)와 접하면서 핸들바(67)가 크로스바(4)를 아래로 밀어줌에 따라 바퀴 지지대(73)에 설치된 바퀴(210)와 바퀴 지지대(74)에 설치된 바퀴(220)가
나선봉(150)과 나선봉(160)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각각 뒤로 젖혀짐으로써 도 31에서처럼 몸체(45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안쪽으로 들어간 부위(90)들에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도 31의 상태에서 손잡이(630)를 빼올려 핸들바(630)를 위로 슬라이딩 시키면,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1, 32)가 자체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크로스바(4)를 위쪽으로 당겨줌으로써, 크로스바(4)가 위로 올라가고, 나선봉(15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나선봉(160)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도 30 에서처럼 바퀴(210)와 바퀴(220)가 몸체(450)의 양쪽 앞으로 벌어져 펼쳐지게 된다.
도 30에서처럼 바퀴들(210, 220)이 몸체(450)의 양쪽 앞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도 31에서처럼 뒤로 젖혀질 때, 나선봉(150)과 나선봉(160)이 각각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는 18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7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2의 캐리어(1700)는 도 3의 캐리어(1100) 및 도 30의 캐리어(1600)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개 이상의 나선(16a, 16b)이 구비된 나선봉(170)과 한 개 이상의 나선(17a, 17b)이 구비된 나선봉(180)이 크로스바(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나선들(16a, 16b, 17a, 17b)은 각각 일정 깊이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바(6)는 도 5의 (b)의 크로스바(2) 또는 도 5의 (c)의 크로스바(2')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410)에 견인바(96) 및 그와 일체로 형성된 한 개 이상의 가이드바들(7)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바들(7)은 슬리브들(48)을 통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함으로써, 견인바(96)가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좌우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방향전환축(97)이 몸체(410)에 설치되어 있고, 로프(95)가 방향전환축(97)을 거쳐 크로스바(6)와 견인바(96)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방향전환축(97)은
로프(95)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롤러 구조로 되게 하여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92)의 한쪽이 크로스바(6)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몸체(410)와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탄성부재(92)는 인장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32에서는 인장스프링으로 된 한 개의 탄성부재(92)가 설치되어 있는데, 그 한쪽이 크로스바(6)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몸체(410)와 연결되어 있다.)
탄성부재(92)는 크로스바(6)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데, 도 32에서는
탄성부재(92)가 크로스바(6)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줌으로써, 크로스바(6)가
아래 쪽으로 내려가 있다.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92)가 자체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크로스바(6)를 아래로 당겨줌으로써, 크로스바(6)가 아래 쪽으로 내려가고,
바퀴들(210, 220)이 몸체(410)의 양쪽 앞으로 벌어져 펼쳐져 있고, 아울러
로프(95)가 방향전환축(97)을 거쳐 견인바(96)를 당겨줌으로써 견인바(96)가
위쪽으로 올라가 있다.
한편, 도 32에서 손잡이(640)를 눌러 한 개 이상의 핸들바들(68, 69)을 가이드 레일들(57, 58)을 따라 아래로 슬라이딩 시키면 한 개 이상의 핸들바들(68, 69)이 견인바(96)를 눌러줌에 따라 로프가(95)가 크로스바(6)를 위쪽으로
당겨줌으로써 크로스바(6)가 위쪽으로 올라가게 되고, 따라서 나선봉(170)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나선봉(180)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함으로써 도 33에서처럼
바퀴(210)와 바퀴(220)가 양쪽 가운데로 접혀지게 된다.
도 33에서 손잡이(640)를 빼올려 한 쌍의 핸들바들(68 69)을 위쪽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탄성부재(92)에 의해 크로스바(6)가 아래로 내려 가고, 견인바(96)가
위쪽으로 일정 거리 올라가고, 나선봉들(170)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나선봉(180)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도 32에서처럼 바퀴들(210, 220)이 몸체(410)의 양쪽 앞으로 벌어져 펼쳐지게 된다.
한편, 도 12의 크로스바(2)에 가이드바(3)가 구비되고, 도 30의 크로스바(4)에 가이드바들(5)이 구비된 것처럼 도 32의 크로스바(6)에도, 도면상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한 개 이상의 가이드바가 구비되게 함으로써, 크로스바(6)가 위로 올라가거나 또는 아래로 내려갈 때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깝게 좌우 균형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캐리어(1700)에서 인장스프링으로 된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92) 대신에 도 27에서처럼 압축스프링으로 된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크로스바(6)를 위에서 아래쪽으로 밀어주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의 한 쌍의 나선봉들(130, 140)에 각각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3, 34)이 연결되어 설치된 것처럼, 마찬가지로 도 32의 한 쌍의 나선봉들(170, 180)에도 각각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3, 34)이 연결되어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8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4의 캐리어(1800)는 도 3의 캐리어(1100)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36의 (a)와 같은 크로스바(8)가 나선봉(190A)과 나선봉(190B)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36의 (a)는 도 34의 캐리어(1800)에 포함된 크로스바(8)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36의 (b)는 도 36의 (a)의 크로스바(8)의 연결부들(81, 82)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로스바(8)의 한 쪽에는 한 개 이상의 나선결합부(810, 820)가 구비되어 있고, 다른 한쪽에도 한 개 이상의 나선결합부(830, 840)가 구비되어 있다.
나선결합부(810)에는 좌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요부(凹部)(83)가 형성되어
있고, 나선결합부(820)는 우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요부(84)가 형성되어 있다.
나선결합부(830)에는 좌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요부(85)가 형성되어 있고,
나선결합부(840)는 우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요부(86)가 형성되어 있다.
[233] 나선결합부들(810, 820, 830, 840)의 요부들(83, 84, 85, 86)의 양측면부들(87)은 도 3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곡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렇게 함으로써 요부들(83, 84)과 요부들(85, 86)이 각각
나선들(18b, 18a)과 나선들(19a, 19b)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할 때 더욱 원활하게 상하 슬라이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선결합부들(810, 820)이 연결부(81)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나선결합부들(830, 840)이 연결부(8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나선결합부들(810, 820, 830, 840)의 각각의 형태와 연결부들(81, 82)의 각각의 형태는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크로스바(8)의 형태는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34의 몸체(410)에는 도 37과 같은 형태의 나선봉(190A, 190B)이 설치되어 있다. 나선봉(190A)은 한 개 이상의 나선들(18a, 18b)을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나선봉(190B)도 한 개 이상의 나선들(19a, 19b)을 포함한다. (도면상에는
나선봉(190A)과 나선봉(190B)에 각각 2 줄의 나선이 형성되어 있음.)
도 37의 (a)의 나선봉(190A)에 형성된 나선들(18a, 18b)과 (b)의 나선봉(190B)에 형성된 나선들(19a, 19b)은 각각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요부(83)에 나선봉(190A)의 나선(18b)이 삽입됨으로써
나선결합부(810)와 나선(18b)이 결합되고, 요부(84)에 나선봉(190A)의
나선(18a)이 삽입됨으로써, 나선결합부(820)와 나선(18a)이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요부(85)에 나선봉(190B)의 나선(19a)이 삽입됨으로써
나선결합부(830)와 나선(19a) 결합되고, 또한 요부(86)에 나선봉(190B)의
나선(19b)이 삽입됨으로써, 나선결합부(840)와 나선(19b)이 결합된다.
따라서, 크로스바(8)를 상하 이동시킴에 따라 나선결합부들(810, 820)과
나선결합부들(830, 840)이 나선들(18b, 18a)과 나선들(19a, 19b)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함으로써, 나선봉(190A)과 나선봉(190B)이 각각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1, 32)가 크로스바(8)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데, 도 34에서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31, 32)가 크로스바(8)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크로스바(8)가 위쪽으로 올라가 있다.
도 35는 도 34의 캐리어(1800)에서 손잡이(610)를 눌러 핸들바들(61, 62)을
아래로 이동시킴에 따라 한 개 이상의 핸들바들(61, 62)이 크로스바(8)와
접하면서 크로스바(8)를 아래로 밀어줌에 따라 나선봉(190A)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나선봉(190B)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바퀴들(210, 220)이 각각 양쪽 가운데로 접혀진 상태이다.
도 35의 상태에서 손잡이(610)를 위로 빼 올리면 탄성부재들(31, 32)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크로스바(8)가 위로 올라감에 따라 나선봉(190A)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나선봉(190B)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도 34에서처럼
바퀴들(210, 220)이 각각 몸체(410)의 양쪽 앞으로 벌어져 펼쳐지게 된다.
한편, 도 12의 크로스바(2)에 가이드바(3)가 구비되고, 도 30의 크로스바(4)에 가이드바들(5)이 구비된 것처럼, 도 35의 캐리어(1800)의 크로스바(8)에도 한 개 이상의 가이드바가 구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한 쌍의 나선봉들(130, 140)에 각각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3, 34)이 연결되어 설치된 것처럼, 마찬가지로 도 34의 캐리어(1800)에 포함된 한 쌍의 나선봉들(190A, 190B)에도 각각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3, 34)이 연결되어 설치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7의 (a)와 (b)의 나선봉들(190A, 190B)은 도 38의 (a)와 (b)의
나선봉들(190A, 190B)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도 38의 (a)와 (b)의 나선봉들(190A, 190B)의 나선들(18a, 18b, 19a, 19b)은 도 39의 (a)의 나선봉(190)의 나선(18a)처럼 상부 광폭 구간(L11)과 하부 광폭 구간(L15)의 폭(W4)이 중부 협폭 구간(L13)의 폭(W3)보다 더 넓게 되어 있다.
상부 광폭 구간의 폭(W4)과 중부 협폭 구간의 폭(W3)의 차는 0.1 ~1 m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나선들(18a, 18b, 19a, 19b)의 상부 광폭 구간(L11)과 하부 광폭 구간(L15)은 각각 나선봉들(190A, 190B)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39의 (a)와 같은 나선봉(190A)의 구조는 크로스바(8)의 양쪽에 각각 구비된 나선결합부(810, 820)와 나선결합부(830, 840)가 나선(18b, 18a)과 나선(19a,
19b)의 상부 광폭 구간(L11) 또는 하부 광폭 구간(L15)에 각각 위치했을 때에 나선봉들(190A, 190B)이 좌우로 불안정하게 요동하는 현상을 감소시켜 줄 수
있으며, 반면에 나선결합부(810, 820)와 나선결합부(830, 840)가 중부 협폭
구간(L13)에서는 더욱더 쉽고 원활하게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상부 광폭 구간(L11)과 중부 협폭 구간(L13) 사이는 상부연결구간(L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데, 상부연결구간(L12)은 그 폭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점점 더 넓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중부 협폭 구간(L13)과 하부 광폭 구간(L15) 사이가
하부연결구간(L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데, 하부연결구간(L14)은 그 폭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면서 점점 더 넓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7의 나선봉들(190A, 190B)의 각각의 형태는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38의 나선봉들(190A, 190B)의 각각의 형태는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4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9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0의 캐리어(1900)는 도 27의 캐리어(1500)에서 몸체(410)에 탄성부재(35)가 들어있는 하우징(37) 및 푸셔(36)가 설치되는 대신에 실린더(700A) 및 피스톤 라드(710)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7의 캐리어(15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1의 (a)는 도 40의 실린더(700A)의 모습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실린더(700A)에는 실린더 구멍(717)이 구비됨으로써, 도 41의 (b)에서처럼 피스톤 라드(710)가 실린더 구멍(717)을 통하여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41의 (c)는 도 41의 (b)에서 실린더(700A)의 일부가 절단된 상태로서, 그 내부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41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700A) 내에 설치된 피스톤(711)이 피스톤 라드(710)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41의 실린더(700A), 피스톤 라드(710), 그리고 피스톤(711)의 구조 및 형상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피스톤(711)의 아래쪽의 실린더(700A) 내부에는 압축스프링처럼 크로스바(1)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탄성부재로서 한가지 이상의 물질이 들어 있는데, 그러한 물질은, 예들 들어, 공기 또는 가스와 같은 기체 상태의 물질이거나 또는 오일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물질일 수 있다. 또는 피스톤(711)의 아래쪽의 실린더(700A) 내부에 기체 상태의 물질과 액체 상태의 물질이 각각 일정량 동시에 들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 라드(710)를 아래로 이동시키면 피스톤(711)의 아래쪽의 실린더(700A) 내부의 물질이 압축스프링처럼 압축된다. 여기서, 눌렀던 피스톤 라드(710)를 놓으면 압축되었던 물질이 패창하면서 피스톤(711) 및 피스톤 라드(710)가 일방향으로 일정 거리 밀려나게 된다.
따라서, 도 40의 캐리어(1900)에서, 한 개 이상의 핸들바(61, 62)를 아래로 이동시키면, 도 42에서처럼 한 개 이상의 핸들바(61, 62)가 크로스바(1)를 아래로 눌러줌에 따라 크로스바(1)가 피스톤 라드(710)를 아래로 밀어줌으로써 피스톤(711)의 아래쪽의 실린더(700A) 내부의 물질이 압축되고, 나선봉(11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나선봉(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바퀴(210)와 바퀴(220)가 각각 양쪽 가운데로 접혀지게 된다.
도 42의 캐리어(1900)의 상태에서 핸들바(61, 62)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피스톤(711)의 아래쪽의 실린더(700A)의 내부의 물질들이 팽창함으로써 피스톤(711) 및 피스톤 라드(710)가 위쪽으로 밀려 이동함으로써, 피스톤 라드(710)가 크로스바(1)를 위쪽으로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나선봉(110)이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나선봉(120)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도 40에서처럼 바퀴(210)와 바퀴(220)가 각각 양쪽 앞으로 벌어져 펼쳐지게 된다.
도 43의 (a)는 도 42에서처럼 피스톤 라드(710)가 실린더 구멍(712)의 아래쪽으로 일정 길이 내려간 상태의 모습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3의 (b)는 도 43의 (a)에서 실린더(700A)의 일부분이 절단된 상태에서, 그 내부를 보여주고 있다.
도 40의 캐리어(1900)에서 크로스바(1)와 피스톤 라드(71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크로스바(1)와 피스톤 라드(710)가 일체로 형성될 겨우, 피스톤 라드(710)가 실린더 구멍(717)을 통하여 상하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도 12의 캐리어(1300)의 가이드바(3), 도 18의 캐리어(1400)의 가이드바(3'), 또는 도 30의 캐리어(1600)의 가이드바(5)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4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2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4의 캐리어(2000)는 도 40의 캐리어(1900)와 비교해 볼 때, 몸체(410)에 설치된 실린더(700B) 및 피스톤 라드(720)의 위치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4의 캐리어(2000)의 몸체(410)에는 크로스바(1)의 위쪽에 실린더(700B)가 설치되어 있다. 크로스바(1)와 실린더(700B)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45의 (a)는 도 44의 캐리어의 몸체에 설치된 실린더(700B)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5의 (b)는 도 45의 (a)에서 실린더(700B)의 일부가 절단된 상태에서 그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700B) 내에는 피스톤(720)이 설치되고, 피스톤(721)의 아래쪽에 피스톤 라드(720)가 위치하면서 피스톤(721)과 피스톤 라드(720)가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 라드(720)가 실린더(700A) 하부에 구비된 구멍(도면상에는 표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40의 캐리어(1900)의 실린더(700A)처럼, 도 44의 캐리어(2000)도 피스톤(721) 위쪽의 실린더(700B) 내부에는 인장 스프링처럼 크로스바(1)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탄성부재로서 한가지 이상의 물질이 들어 있는데, 그러한 물질은, 예들 들어, 공기 또는 가스와 같은 기체 상태의 물질이거나 또는 오일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물질일 수 있다. 또는 피스톤(711)의 아래쪽의 실린더(700B) 내부에 기체 상태의 물질과 액체 상태의 물질이 각각 일정량 동시에 들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44에서처럼 피스톤(721)이 위로 일정 거리 올라간 상태에서 피스톤 라드(720)를 아래로 이동시키면 도 46에서처럼 피스톤(721)이 아래로 내려옴에 따라 피스톤(721) 위쪽의 실린더(700B) 내부의 물질이 인장 스프링처럼 인장된다.
따라서, 도 44에서처럼 피스톤(721)이 위로 일정 거리 올라간 상태에서 한 개 이상의 핸들바(61, 62)를 아래로 눌러 이동시키면 한 개 이상의 핸들바(61, 62)가 크로스바(1)를 아래로 눌러줌에 따라 크로스바(1)가 피스톤 라드(720)를 아래로 당겨줌으로써 피스톤(721)의 위쪽의 실린더(700B) 내부의 물질이 인장되고, 나선봉(110)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나선봉(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46에서처럼 바퀴(210)와 바퀴(220)가 각각 양쪽 가운데로 접혀지게 된다.
도 46의 상태에서 핸들바(61, 62)를 위로 이동시키면 실리더(700B) 내의 물질이 수축되면서 피스톤(721)이 위쪽으로 올라감에 따라 피스톤 라드(720)와 크로스바(1)가 위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나선봉(110)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나선봉(120)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도 44에서처럼 바퀴(210)와 바퀴(220)가 양쪽 앞으로 펼쳐지게 된다.
도 47의 (a)는 도 46에서 실린더(700B) 및 피스톤 라드(720)의 모습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7의 (b)는 도 47의 (a)에서 실린더(700B)의 일부분이 절단된 상태에서 그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47의 실린더(700B), 피스톤 라드(720), 그리고 피스톤(711)의 구조 및 형상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12의 크로스바(2)에 가이드바(3)가 구비되고, 도 30의 크로스바(4)에 가이드바들(5)이 구비된 것처럼, 도 40의 캐리어(1900) 및 도 44의 캐리어(2000)의 크로스바(1)에도 각각 한 개 이상의 가이드바가 구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한 쌍의 나선봉들(130, 140)에 각각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3, 34)이 연결되어 설치된 것처럼, 마찬가지로 도 40의 캐리어(1900) 및 도 44의 캐리어(2000)에 포함된 한 쌍의 나선봉들(110, 120)에도 각각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들(33, 34)이 연결되어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0의 캐리어(1900) 및 도 44의 캐리어(2000)에 각각 포함된 나선봉들(110)에 구비된 한 줄 이상의 나선(10a, 10b)과 나선봉(120)에 구비된 한 줄 이상의 홈으로 형성된 나선(11a, 11b)은 각각 홈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와 같이 홈으로 형성되게 하는 대신에 도 34의 캐리어(1800)의 나선봉(190A)에 형성된 나선들(18a, 18b)과 나선봉(190B)에 형성된 나선들(19a, 19b)처럼 각각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게 살 수 있다. 또한 도 40의 캐리어(1900) 및 도 44의 캐리어(2000)에 각각 포함된 크로스바(1) 대신에 도 34와 같은 크로스바(8)가 설치되게 할 수 있다.
1, 2, 2', 4, 6, 8 : 크로스바
3, 3', 5, 7 : 가이드바
10a, 10b, 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 나선
15a, 15b, 16a, 16b, 17a, 17b, 18a, 18b, 19a, 19b: 나선
21, 22, 23a, 23b, 24a, 24b, 27, 28: 나선결합부
25, 26 : 연결부
31, 32, 33, 34, 35 : 탄성부재
36 : 푸셔
37 : 하우징
39 : 슬롯
41, 42 : 슬리브
46, 47, 48, 49 : 슬리브
51, 52, 57, 58 : 가이드 레일
51', 52', 53, 54, 55 : 슬리브
61, 62, 63, 64, 67, 68, 69 : 핸들바
65, 66 : 핸들바 연장부
71, 72, 73, 74 : 바퀴지지대
81, 82: 연결부
83, 84, 85, 86 : 요부
810, 820, 830, 840 : 나선결합부
92 : 탄성부재
93, 94 : 크로스바
95 : 로프
96 : 견인바
97 : 방향 전환 축
99 : 체결수단
102, 103, 104, 110, 120 , 130, 140, 130', 140' : 나선봉
150, 160, 170, 180, 190A, 190B : 나선봉
201, 202, 203 : 캐스터
210, 220 : 바퀴
310, 320 : 나선봉
330, 340: 바퀴
350, 360 : 핸들바
370 : 손잡이
400, 410, 420, 430, 440, 450 : 몸체
500 : 프레임
501 : 브레킷
502 : 슬리브
510 : 좌측 지지대
511, 512 : 스페이서
520 : 우측 지지대
521, 522 : 스페이서
530 : 하부 지지대
540 : 중부 지지대
541, 542 : 홀더
550, 560 : 연결지지대
570 : 상부 지지대
571, 572 : 홀더
610, 620, 630, 640 : 손잡이
700 : 실린더
710 : 피스톤 라드
810, 820, 830, 840: 나선결합부
900 : 적재판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 캐리어
L1 : 상부 협폭 구간
L2 : 상부 연결 구간
L3 : 중부 광폭 구간
L4 : 하부 연결 구간
L5 : 하부 협폭 구간
L11 : 상부 광폭 구간
L12 : 상부 연결 구간
L13 : 중부 협폭 구간
L14 : 하부 연결 구간
L15 : 하부 광폭 구간

Claims (30)

  1. 한 줄 이상의 나선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나선봉들;
    상기 나선들과 각각 결합되는 나선결합부들을 포함하는 크로스바; 그리고
    상기 크로스바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2.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한 줄 이상의 나선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나선봉들;
    상기 나선들과 각각 결합되는 나선결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나선봉들을 연결하는 크로스바;
    크로스바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따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개 이상의 핸들바;
    를 포함하는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나선들은 각각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선결합부들은 각각 핀으로 됨으로써,
    상기 나선들에 상기 나선결합부들이 각각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나선들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나선결합부들에는 각각 요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나선들이 상기 요부들에 각각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나선봉들에 각각 바퀴가 연결되어 설치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 상기 한 쌍의 나선봉들,
    크로스바, 그리고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각각 설치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가방, 숫케이스, 트렁크, 또는 골프 백(golf bag)으로 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적재판이 전체적으로 ┗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적재판이 몸체 가까이 접혀질 수 있게 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9.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에 한 개 이상의 가이드바가 교차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뻗어 형성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따로 분리되어 형성된 한 개 이상의
    핸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개 이상의 핸들바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12. 청구항 2, 청구항 10, 청구항 11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핸들바를 위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한 개 이상의 핸들바가 상기 크로스바와 접하면서 상기
    크로스바를 아래로 밀어주고,
    상기 한 개 이상의 핸들바를 아래에서 위쪽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시키면 상기 크로스바로부터 상기 한 개 이상의
    핸들바가 분리되어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한 개 이상의 핸들바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도록 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13.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핸들바의 상하 슬라이딩 거리보다 상기
    크로스바의 상하 이동 거리가 더 짧게 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상기 크로스바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상기 크로스바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으로 되고, 상기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는 각각 그 한 쪽이 상기 크로스바와 연결되고,
    다른 한 쪽이 상기 몸체와 연결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17.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는 상기 몸체에 설치된 한 개 이상의
    하우징 내에 각각 위치하는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19.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는 피스톤이 설치된 실린더 내의 물질로 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의 물질은 기체로 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의 물질은 액체로 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22.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으로 되고, 상기 한 개
    이상의 토션스프링은 각각 그 한쪽이 나선봉들과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몸체와 연결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23. 청구항 16, 청구항 17, 청구항 19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개 이상의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개 이상의
    토션스프링은 각각 그 한쪽이 나선봉들과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몸체와 연결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토션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나선봉들의 위쪽에
    각각 위치하는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토션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나선봉들의 위쪽에
    각각 위치하는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2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한 개 이상의 핸들바와 견인바가 설치되고,
    상기 견인바와 상기 크로스바가 로프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한 개
    이상의 핸들바를 아래로 슬라이딩 시키면 상기 한 개 이상의
    핸들바가 상기 견인바를 아래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로프가 상기
    몸체에 설치된 방향 변경부를 거쳐 상기 크로스바를 위쪽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2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나선들은 각각 상부 협폭 구간과 중부 광폭 구간을 포함하는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상부 협폭 구간의 폭과 중부 광폭 구간의 폭의 차는 0.1 ~ 1
    mm로 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2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나선들은 각각 상부 광폭 구간과 중부 협폭 구간을 포함하는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상부 광폭 구간의 폭과 중부 협폭 구간의 폭과의 차는 0.1 ~ 1
    mm로 된 캐리어의 바퀴들의 절첩을 위한 나선봉들의 회전 장치.
KR1020150133955A 2015-09-22 2015-09-22 바퀴 접이식 캐리어 KR20170035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955A KR20170035182A (ko) 2015-09-22 2015-09-22 바퀴 접이식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955A KR20170035182A (ko) 2015-09-22 2015-09-22 바퀴 접이식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182A true KR20170035182A (ko) 2017-03-30

Family

ID=5850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955A KR20170035182A (ko) 2015-09-22 2015-09-22 바퀴 접이식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1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999A1 (ko) 2018-11-20 2020-05-28 조원상 봉 회전 장치
KR102138640B1 (ko) * 2019-12-04 2020-07-28 김용균 배달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N115219661A (zh) * 2022-07-08 2022-10-21 江苏建研建设工程质量安全鉴定有限公司 一种建筑安全检测用便于携带的探伤仪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999A1 (ko) 2018-11-20 2020-05-28 조원상 봉 회전 장치
KR102138640B1 (ko) * 2019-12-04 2020-07-28 김용균 배달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N115219661A (zh) * 2022-07-08 2022-10-21 江苏建研建设工程质量安全鉴定有限公司 一种建筑安全检测用便于携带的探伤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447B1 (ko) 바퀴 접이식 캐리어
KR20170050859A (ko) 바퀴 접이식 캐리어
US7600765B2 (en) Hand truck
TWI663938B (zh) 摺疊椅子
KR20170035182A (ko) 바퀴 접이식 캐리어
US20080223679A1 (en) Transport trolley
US5335759A (en) Extendible handle assembly for wheeled luggage
KR100978510B1 (ko) 접이식 연장관, 접이식 연장관을 구비한 측정휠, 접이식 연장관을 구비한 페인트 스프레이 분사용 휠
WO2016082399A1 (zh) 小型折叠车
US9090302B2 (en) Bicycle
CN101994897A (zh) 桁架连接装置
KR20170009383A (ko) 바퀴 접이식 캐리어
CN202024044U (zh) 桁架连接装置
KR100950500B1 (ko)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KR20140102453A (ko) 바퀴가방
CN208963099U (zh) 移动载具
CN115429027A (zh) 杆旋转装置
CN202552531U (zh) 一种具有行走支撑机构之拉杆箱
CN211918800U (zh) 童车车架
CN202400233U (zh) 能够折叠至箱体内的电动滑板车
KR200294270Y1 (ko) 휴대용 지게
KR20110015088A (ko)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CN208291270U (zh) 一种可伸缩的购物车篮
JP3025511U (ja) 折り畳み式手押し運搬車
CN202115553U (zh) 轮子能随底板自动收放的伸缩式折叠行李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