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394A -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용 커버 요소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용 커버 요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2394A KR20170032394A KR1020177004113A KR20177004113A KR20170032394A KR 20170032394 A KR20170032394 A KR 20170032394A KR 1020177004113 A KR1020177004113 A KR 1020177004113A KR 20177004113 A KR20177004113 A KR 20177004113A KR 20170032394 A KR20170032394 A KR 201700323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e steel
- escalator
- steel plates
- layer
- moving walkw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5253 clad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29910000851 Alloy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20
- 239000013047 polymeric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75 Carbon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746 Structur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62 carbon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13 electro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6 galvan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NEPOXFFQSENCJ-UHFFFAOYSA-N haloperidol Chemical compound C1CC(O)(C=2C=CC(Cl)=CC=2)CCN1CCCC(=O)C1=CC=C(F)C=C1 LNEPOXFFQSEN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98 laser cu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Substances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0 silicone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2—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5—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of the blank or the workpiece
- B21D35/007—Layered bl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간 (19) 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클래딩 요소 (23, 27, 28, 33, 34, 35) 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환경에 대해 한정된다. 클래딩 요소 (23, ..., 35) 는 적어도 하나의 다층 복합강판 (40) 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강판 (40) 은 저합금강의 적어도 하나의 하중-지지층 (42) 및 내식성 강의 적어도 하나의 커버층 (41) 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층 (41) 은 상기 복합강판 (40) 의 두 측면들 (43, 44)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다.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에 설치되는 클래딩 요소 (20, ..., 78) 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층 (41) 은 상기 환경을 향해 배향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클래딩 요소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클래딩 요소의 구성 및 클래딩 요소의 가능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는 트러스 (truss) 로 불리는 하중 지지 구조체를 포함한다. 이 트러스는 일반적으로 전체 유닛으로서 또는 트러스 모듈로 제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프레임워크 구조이다. 트러스 또는 그의 트러스 모듈이나 프레임워크 모듈은 트러스가 예컨대 건물의 2 개의 레벨을 연결하고 있는 건물에 설치된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가동 요소, 예컨대 스텝 벨트나 플레이트 벨트, 편향 액슬, 구동 샤프트뿐만 아니라 트랜스미션을 갖는 구동 모터, 그의 제어부, 모니터링 시스템, 안전 시스템 등이 트러스에 배치된다. 그리고, 예컨대, 난간과 그의 난간 베이스, 콤 플레이트 (comb plates), 베어링 포인트, 가이드 트랙 및 가이드 레일과 같은 고정 요소가 또한 트러스 또는 프레임워크와 고정 연결된다.
트러스뿐만 아니라 난간 베이스도 클래딩 요소에 의해 클래딩되고, 또한 난간이 클래딩 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클래딩된 난간을 갖는 에스컬레이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철도역, 지하철역, 공항과 같은 특히 매우 번잡한 영역에 사용되는 고부하 계단이라고 불린다.
클래딩 요소를 갖는 이동 보도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상기한 요소들의 클래딩을 통해, 내부 공간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환경에 대해 한정된다. 결과적으로, 이 내부 공간에 배치된 요소들은 노출되어 있는 경우보다 예컨대 먼지, 물, 눈과 얼음과 같은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더 잘 보호된다. 그렇지만, 클래딩 요소들은 사고를 방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또한 갖는데, 그 이유는 스텝 또는 플레이트 벨트 및 헨드레일의 전진 런 외에도 이들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모든 가동 요소들을 덮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모든 에스컬레이터와 이동 보도는 환경에 대해 적어도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클래딩 요소들을 갖는다. 난간 베이스 및/또는 난간의, 스텝 벨트를 향하는 이 클래딩 요소들의 일부, 예컨대 스커트 패널들 또는 커버링들이 예컨대 수반하는 수화물과 같은 물건이나 신발로 인해 사용자에 의해 일정한 기계적 하중에 노출된다. 이러한 커버링들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안전한 작동을 계속 보장할 수 있기 위해 반달 (vandals) 에 의한 키킹 (kicking) 및 충돌 등의 충격형 하중을 또한 견뎌야 한다.
이러한 요건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1.5 ㎜ 내지 4.0 ㎜ 의 두께를 갖는 내식성 강판 또는 알루미늄 판이 높은 레벨의 하중에 노출되는 전술한 이 클래딩 요소의 제조에 사용된다.
이 매우 값비싼 재료를 예컨대 페인팅한 강판과 같은 다른 재료로 대체하는 것이 덜 만족스러운 해법인데, 그 이유는 페인트 코팅이 심지어 단기간에 문질러 없어지고 깨끗이 문질러진 곳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외관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덜 신뢰할만한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예컨대 플라스택재 시트 또는 알루미늄 판과 료와 같은 다른 재료는 약한 표면으로 인해 빠르게 긁히고 마모되고, 또한 내식성 강판으로 제조된 클래딩 요소와 동일한 충격형 하중을 견디기 위해 더 큰 벽 두께를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더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클래딩 요소를 가지며 내식성 강판으로 제조된 클래딩 요소와 동일한 하중을 견디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를 만드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클래딩 요소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환경에 대해 한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간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에 의해 실현된다. 클래딩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다층 복합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강판은 저합금강의 적어도 하나의 하중-지지층 및 내식성 강의 적어도 하나의 커버층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층은 상기 복합강판의 두 측면들 중의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에 설치되는 클래딩 요소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층은 상기 환경을 향해 배향된다. 클래딩 요소의 주된 성분은 다층 복합강판이고, 클래딩 요소는 명확히 보강 리브, 강화 플레이트, 고정 (fastening) 수단 등과 같은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층들 전부는 동일한 영역 치수를 가지므로, 복합강판의 매 위치에서의 층 구성 및 층 두께가 동일하다. 그러나, 층 구성 및 층 두께는 작업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통로의 절삭된 에지들에서 그리고 에지 영역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
복합강판으로 이루어진 클래딩 요소는 비용의 측면에서 이점을 갖지 않는다. 내식성 강으로 구성된 커버층은 높은 크롬 함량으로 인해 매우 연성이고 채프-저항성 (chaff-resistant) 이어서, 이러한 재료 특성 및 코팅에 비해 수배 큰 층 두께 덕분에, 커버층은 수하물과 신발의 물품과 같은 물체를 문지름으로써 또는 먼지와 작은 돌에 의해 마모될 수 없다.
더욱이, 복합강판으로 이루어진 클래딩 요소는 전적으로 내식성 강으로 이루어진 클래딩 요소보다 환경적 영향에 관하여 훨씬 더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내부 공간을 향하며 보통 하중-지지층의 측면인 측면이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내부 공간에 배치된 요소에 정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내식성 강에 반하여, 저합금강에는 특히 코팅이 훨씬 더 용이하게 그리고 더 영구히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커버층의 반대편에 있는 하중-지지층의 측면에 코팅, 바람직하게는 구리 도금, 주석 도금, 아연 도금 또는 플라스틱 재료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설치된 상태에서, 코팅은 내부 공간을 향해 배향된다. 보통 용융 아연도금되거나 아연 코팅이 제공된 표면을 갖는 트러스 또는 프레임워크에 일부 클래딩 요소가 직접 접하므로, 내부 공간을 향해 배향되는 하중-지지층의 측면에 바람직하게는 아연 코팅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상호 접촉하는 부분이 전기화학 서열에 관하여 동일한 전위를 가지므로, 응축물의 국부 형성에 기인하는 트러스와 클래딩 요소 사이의 접점들에서의 부식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하중-지지층의 표면에는 복합강판을 형성하기 위해 커버층과 함께 접합되기 전에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하중-지지층과 커버층을 함께 영구히 접합시키기 위해 이용가능한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한다. 예컨대, 복합강판은 하중-지지층과 커버층 사이에 배치되며 이들을 함께 확고하게 연결하는 폴리머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폴리머 층은 부가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이점을 갖는다. 클래딩 요소들이 제공된 트러스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들의 범위 내에 놓일 수 있는 공명 주파수를 갖는 공명 상자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작동 소음 및 진동을 줄이기 위해 감쇠 매트 및 감쇠 요소가 종종 설치되어야 한다. 복합강판의 폴리머 층은 진동-감쇠 특성을 이미 갖고 있으므로, 클래딩 요소는 소리-감쇠 성질을 이미 가지며 특정 환경에서는 소리-감쇠 조치가 거의 또는 심지어 전형 요구되지 않는다. 폴리머 층이 더 두꺼워지고 더 점소성일수록, 클래딩 요소의 감쇠 특성이 더 양호해진다. 폴리머 층은 0.05 ㎜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0.5 ㎜ 내지 2.5 ㎜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물론, 하중-지지층 및 커버층은 또한 압연-접합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이한 재료들로 구성된 여러 층들이 또한 하중-지지층에 층층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중-지지층의 측면은 용융 아연도금될 수 있고, 폴리머 층 및 커버층이 이 용융 아연도금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렇지만, 하중-지지층에는 인산염-코팅과 같은 접착제 향상 코팅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하중-지지층의 각 측면에 내식성 강으로 이루어진 커버층이 또한 배치될 수 있다.
개별적인 기계적 요건에 따라, 클래딩 요소는 상이한 두께의 복합강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중-지지층은 예컨대 0.5 ㎜ 내지 3.5 ㎜, 바람직하게는 0.8 ㎜ 내지 1.5 ㎜ 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커버층은 0.03 ㎜ 내지 1.5 ㎜,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0.8 ㎜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는 적어도 하나의 클래딩 요소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환경에 대해 한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간을 갖는다. 그렇지만, 이는 내부 공간이 환경에 대해 단지 하나 이상의 클래딩 요소에 의해서만 한정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시스템-의존성 간극들 (이를 통해 습한 공기, 물 및 먼지가 내부 공간에 침투할 수 있음) 이 존재할지라도, 적어도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벨트 또는 이동 보도의 플레이트 벨트가 유사하게 환경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한정한다.
트러스, 적어도 하나의 난간 베이스의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난간의 일부가 예컨대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는 분명히 여러 개의 내부 공간들을 또한 가질 있어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모든 부분이 동일한 내부 공간에 배치되지 않는다.
복합강판은 분명히 고정 수단의 수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로는 펀칭 다이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이 펀칭 다이는 전단 효과로 압력 하에 복합강판을 관통하여 통로를 뚫어낸다. 펀칭 다이의 개별 디자인에 따라, 커버층이 여기에 또한 동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로의 뚫어냄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된 에지는 복합강판의 커버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그렇지만, 적어도 하나의 통로는 전단 효과로 압력 하에 복합강판을 관통하여 통로를 뚫어내는 펀칭 다이에 의해 그리고 적어도 절삭된 에지에서 스탬핑 효과로 통로를 냉간 변형시키는 스탬핑 다이에 의해 또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생성 방법을 통해, 뚫어냄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의 절삭된 에지가 내식성 강으로 이루어진 다층 복합강판의 커버층에 의하여 스탬핑 후에 거의 완전히 덮이는 것이 가능하다. 스탬핑 다이는 통로의 영역에 다른 윤곽, 예컨대 고정 수단으로서 역할하는 나사의 헤드를 위한 카운터싱킹, 내부 공간을 향해 지향되며 스페이서로서 역할하는 돌출부, 또는 내부 공간을 향해 지향되며 통로를 둘러싸는 주름부 등을 또한 형성할 수 있다. 통로의 절삭된 에지를 덮는 커버층은 하중-지지층이 절삭된 에지의 영역에서 가능하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복합강판에 상기한 종류의 통로를 펀칭/스탬핑하는 하나의 가능한 방법은 전단 효과에 의해 압력 하에 복합강판을 관통하는 펀칭 다이에 의해 통로를 초기에 뚫어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 2 단계에서, 통로는 스탬핑 다이의 의한 스탬핑에 의해 절삭된 에지에서 냉간 변형될 수 있고, 스탬핑 후, 뚫어냄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의 절삭된 에지는 복합강판의 커버층에 의해 덮인다. 따라서, 스탬핑 다이는 설치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내부 공간을 향해 지향되는 복합강판의 측면까지 통로를 통해, 절삭된 에지의 영역에 존재하는 커버층을 가압한다. 물론, 절삭된 에지는 다른 수단에 의해, 예컨대 접착제 또는 실리콘 밀봉제의 드롭 (drop) 에 의해 또한 밀봉될 수 있다.
스탬핑 다이가 펀칭 다이 주위에 동심으로 맞물리고 두 다이가 축선 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면, 통로의 특히 정밀하고 빠른 생성이 일어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통로는 2 개의 상호 별개의 공구 스테이션에 의해 생성될 필요가 없다.
복합강판의 에지들은 복합강판의 커버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한 덮인 절삭된 에지들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절삭된 에지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절삭된 에지의 부식이 적어도 감소된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복합강판에서 전술한 종류의 절삭된 에지를 생성하는 하나의 가능한 방법은 고정 커터와 가동 커커를 갖는 절삭 공구가 존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커터 및 가동 커터는 전단 효과로 압력 하에 비스듬한 절삭 운동을 행하고, 이 운동은 복합강판의 측면의 수직 또는 직각 방향에 대해 전단 각도로 진행하여, 전단 동안에 커버층은 가동 커터에 의해 동반되어서, 전단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강판의 절삭된 에지는 복합강판의 동반된 커버층에 의해 덮인다.
전단 각도 (α) 는 수직 방향에 대해 0°내지 30°일 수 있다. 전단 동안에 커버층의 동반을 보조하기 위해, 가동 커터의 절삭 에지에 챔퍼가 형성될 수 있고, 챔퍼의 챔퍼 각도는 복합강판의 측면에 직각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해 -90°내지 15°로 배향된다. 챔퍼의 챔퍼 높이는 0 내지 3 ㎜ 일 수 있다. 내식성 강이 높은 파단 연신율을 가지므로, 이 재료는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절삭된 에지에 걸쳐 인발되기에 특히 매우 적합하다.
클래딩 요소들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 그리고 특히 실질적으로 복합강판으로 제조된 클래딩 요소들의 구성이 도면을 참조하여 그리고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 보도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클래딩 요소들에 의해 클래딩된 지지 구조체 및 클래딩 요소에 의해 클래딩된 난간을 갖는 에스컬레이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 는 클래딩 요소들에 의해 클래딩된 트러스 및 클래딩 요소들에 의해 클래딩된 난간 베이스에 의해 트러스와 각각 연결된 투명 난간들을 갖는 이동 보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에스컬레이터의 단면도 (A-A) 이다.
도 4 는 도 2 의 이동 보도의 단면도 (B-B) 이다.
도 5 는 도 3 및 도 4 에서 D 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 는 복합강판의 덮인 절삭된 에지를 제조하기 위한 상이한 제조 단계들을 보여준다.
도 7a 및 도 7b 는 복합강판에 덮인 절삭된 에지를 갖는 통로들을 제조하기 위한 상이한 제조 단계들을 보여준다.
도 2 는 클래딩 요소들에 의해 클래딩된 트러스 및 클래딩 요소들에 의해 클래딩된 난간 베이스에 의해 트러스와 각각 연결된 투명 난간들을 갖는 이동 보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에스컬레이터의 단면도 (A-A) 이다.
도 4 는 도 2 의 이동 보도의 단면도 (B-B) 이다.
도 5 는 도 3 및 도 4 에서 D 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 는 복합강판의 덮인 절삭된 에지를 제조하기 위한 상이한 제조 단계들을 보여준다.
도 7a 및 도 7b 는 복합강판에 덮인 절삭된 에지를 갖는 통로들을 제조하기 위한 상이한 제조 단계들을 보여준다.
트러스 (10) 또는 프레임 워크 (10) 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측면도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에스컬레이터 (1) 는 하부 평면 (E1) 과 상부 평면 (E2) 을 연결한다. 트러스 (10) 에는, 상부 평면 (E2) 에서 그리고 하부 평면 (E1) 에서 편향되는 일주식 (encircling) 스텝 벨트 (11) 가 배치되고, 따라서 전진 러닝 섹션 및 복귀 러닝 섹션을 갖는다. 더 명확하도록, 복귀 러닝 섹션의 도시에서 프레임, 가이드 레일, 가이드 트랙, 레일 블록 및 구동 유닛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에스컬레이터 (1) 는 스텝 벨트 (11) 의 각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2 개의 난간들 (12) 을 더 포함하고, 보이는 평면에서 전방에 있는 난간 (12) 만이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핸드레일 (14) 이 각 난간 (12) 에 순환하도록 배치되고, 핸드레일의 복귀 러닝 섹션은 난간 (12) 을 트러스 (10) 와 연결시키는 난간 베이스 (13) 에 배치된다. 트러스 (10) 의 적어도 일 측은 여러 개의 클래딩 요소들 (20, 21, 22, 23, 24, 25, 26) 로 클래딩된다. 클래딩 요소들 (20, 21, 22, 23, 24, 25, 26) 은 높이에서 트러스 (10) 및 난간 베이스 (13) 를 넘어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복합강판으로부터 제조된다. 난간 (12) 은 복합강판의 클래딩 요소들 (31, 32, 33) 로 또한 클래딩될 수 있다.
도 2 는 지지 구조체 (51) 상에 배치된 이동 보도 (50) 를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보여준다. 충분한 강도를 갖는 피트 (pit; 65) 를 갖는 플로어가 지지 구조체 (51) 로서 역할한다. 분명히 이동 보도는 다른 지지 구조체에, 예컨대 건물의 두 층을 연결하는 프레임워크에, 거더 (girders) 등에 또한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보도 (50) 는 2 개의 램프들 (ramps) 사이에 배치된다면 구덩이 (65) 가 없는 평평한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2 개의 램프들은 사용자가 이동 보도 (50) 의 플레이트 벨트 (58) 의 높이 또는 레벨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권고된다.
바닥 (51) 은 이동 보도 (50) 의 요소들이 고정되는 마운트들 (52) 을 갖는다. 이 마운트들에는, 제 1 편향 영역 (53) 및 제 2 편향 영역 (54) 뿐만 아니라 지지 구조체들 (55), 가이드 레일들 (56), 난간 베이스 (64) 를 각각 갖는 난간들 (57) 및 편향 영역들 (53, 54) 사이에 배치된 일주식 플레이트 벨트 (58) 가 속한다. 이동 보도 (50) 가 피트 (65)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므로, 단지 이동 보도 (50) 의 바닥 (51) 의 바닥 레벨 (N1 - N2) 위로 돌출하는 부분만이 클래딩 요소들 (71, 72, 73, 74, 75, 76) 로 클래딩되어야 한다.
도 3 은 에스컬레이터 (1) 의, 도 1 에 나타낸 A-A 의 단면을 보여준다. 트러스 (10) 또는 프레임워크 (10) 에서의 스텝 벨트 (11) 의 배치 및 난간 베이스 (13) 에 의해 트러스 (10) 와 연결되는 두 난간들 (12) 의 고정을 이 도 3 에서 용이하게 볼 수 있다. 그리고, 난간들 (12) 의 상부 측 그리고 난간 베이스 (13) 내에서의 핸드레일 (14) 의 안내가 명백하다. 단면 A-A 가 보여주는 것처럼, 트러스 (10), 난간 베이스 (13) 및 난간들 (12) 은 클래딩 요소들 (23, 27, 28, 33, 34, 35) 로 클래딩되어서, 내부 공간 (19) 은 클래딩 요소들 (23, 27, 28, 33, 34, 35) 및 스텝 벨트 (11) 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1) 의 환경에 대해 한정된다.
이 클래딩 요소들 (23, 27, 28, 33, 34, 35) 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다층 복합강판 (40) 을 포함하고, 복합강판 (40) 은 저합금강의 적어도 하나의 하중-지지층 (42) 및 내식성 강의 커버층 (41) 을 포함한다. 명확성을 이유로, 단지 저부 층으로서 역할하는 클래딩 요소 (27) 에만 상응하는 도면부호가 제공되어 있다. 커버층 (41) 은 복합강판 (40) 의 두 측면 (43, 44) 중의 하나에 배치된다. 하중-지지층 (42) 은 모든 클래딩 요소들 (23, 27, 28, 33, 34, 35) 에서 반드시 동일한 강도 또는 두께일 필요는 없다. 그의 두께 또는 강도는 개별 예상 하중에 맞게 선택가능하게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스텝 벨트 (11) 를 향하는 난간 (12) 의 클래딩 요소 (34) 의 하중-지지층은, 난간들 (12) 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더 큰 하중 (예컨대, 사용자로부터의 충격 및 충돌 등) 이 예상되어야 하기 때문에, 저부 층으로서 역할하는 클래딩 요소 (27) 의 하중-지지층 (42) 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설치된 상태에서, 모든 클래딩 요소들 (23, 27, 28, 33, 34, 35) 의 내식성 강으로 이루어진 커버층들 (41) 은 에스컬레이터 (1) 의 환경을 향한다.
클래딩 요소들 (23, 27, 28, 33, 34, 35) 은 필요에 따라 통로들 (45) 을 또한 구비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통로 (45) 는 클래딩 요소 (27) 를 통한 스프링클러 헤드 (46) 의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스프링클러 헤드 (46) 는 스프링클러 설비 (더 상세하게 도시 안 됨) 의 일부이다.
난간 (12) 은 핸드레일 (14) 의 핸드레일 가이드 (48) 를 지지하는 내부 구조체 (47) 또는 난간 부분들 (47) 을 포함한다. 그리고, 단면 A-A 에 배치된 클래딩 요소들 (33, 34) 은 내부 구조체 (47) 에 고정된다. 난간 베이스 (13) 는 강 섹션들로부터 이루어진 베이스 부분들 (49) 을 또한 포함하고, 베이스 부분들에는 베이스 플레이트로서 역할하는 클래딩 요소들 (35) 및 커버링으로서 역할하는 클래딩 요소들 (28) 이 고정된다. 깨끗하게 설계된 코너 말단부를 획득하기 위해, 저부 층으로서 역할하는 클래딩 요소 (27) 와 측방향 클래딩 요소들 사이에 각도 섹션들 (30) 이 배치될 수 있고, 이 섹션들은 바람직하게는 길이에 있어서 복수의 상호 인접한 클래딩 요소들 (23, 27) 에 걸쳐 연장된다. 이 각도 섹션들 (30) 은 유사하게 예컨대 복합강판으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명칭 스테인리스강, NIROSTA 강판 및 INOX 강판에 의해 알려진 내식성 강판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낸 이동 보도 (50) 의 단면 B-B 를 보여준다. 지지 구조체 (55), 가이드 레일들 (56) 및 플레이트 벨트 (58) 는 도 2 에 나타낸 요소들에 대응하며, 이러한 이유로 이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지지 구조체 (55) 는 2 개의 지지체들 (66) 을 포함하고, 지지체들은 횡방향 버팀대 (67) 에 의해 함께 단단히 연결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부" 및 "상부" 는 설치된 상태에서 버팀대 (66) 에서의 고정 영역들의 위치를 규정하고, 중력 방향을 참조한다. 버팀대 (66) 의 하단부에는 풋 고정 영역 (68) 이 형성된다. 이 영역은 지지 구조체 (51) 의 비평탄함 또는 레벨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높이 조절 디바이스 (69) 를 갖는다. 풋 고정 영역 (68) 위에서, 지지체 (66) 는 가이드 레일 (56) 이 고정되는 레일 고정 영역 (61) 을 갖는다.
가이드 레일 (56) 은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에서 C자형 구조를 갖고, 전진 런의 플레이트 벨트 섹션을 위한 상부 가이드 트랙 (62), 및 복귀 런의 플레이트 섹션을 위한 하부 가이드 트랙 (63) 을 포함한다. 측방향으로 롤러 체인들 (59) 과 연결된 플레이트 벨트 (58) 의 전진 런의 개별 플레이트 및 복귀 런의 플레이트가 가이드 레일들 (56) 사이에 도시되어 있다. 롤러 체인들 (59) 은 그의 롤러들에 의해 가이드 트랙들 (62, 63) 에서 주행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로서 역할하는 클래딩 요소 (78) 가 고정되고 지지체 (66) 에서 형성되는 베이스 고정 영역들 (82) 을 또한 도 4 에서 용이하게 볼 수 있다. 2 개의 난간들 (57) 을 설치하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들 (86) 이 배치된 난간 고정 영역들 (85) 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2 개의 난간들 (57) 은 예컨대 백화점이나 공항에서 에스컬레이터 (1) 및 이동 보도 (50) 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유리 난간들로서 설계되어 있다. 도시된 핸드레일-가이드 롤러 (92) 와 같은 가이드 부분들이 고정될 수 있는 핸드레일-가이드 고정 영역 (91) 이 레일 고정 영역 (61) 위에서 지지체 (66) 에 형성된다. 분명히 핸드레일-가이드 레일들은 이 핸드레일-가이드 고정 영역들 (91) 에 또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래딩 요소들 (74, 77) 과 같은 난간 베이스 (64) 의 다른 부분들은 지지 구조체 (55) 의 지지체들 (66) 에 고정된다. 단면 B-B 가 보여주는 것처럼, 난간 베이스 (64) 및 바닥 레벨 (N1 - N2) 까지의 지지 구조체들 (55) 은 클래딩 요소들 (74, 77, 78) 로 클래딩되고, 따라서 내부 공간 (79) 은 클래딩 요소들 (74, 77, 78) 에 의해 그리고 플레이트 벨트 (58) 및 고정 구조체 (51) 의 구덩이 벽들 (51A) 에 의해 이동 보도 (50) 의 환경에 대해 한정된다.
도 3 및 도 4 에 "D" 로 표시된 세부가 도 5 에 확대되어 도시되고, 따라서 복합강판들 (110, 120) 로부터 이루어진 클래딩 요소들의 층 시퀀스들 (28/77, 23/74) 을 더 잘 볼 수 있다. 도 5 가 에스컬레이터 (1) 의 세부 (D) 뿐만 아니라 이동 보도 (50) 의 세부 (D) 를 보여주므로, 개별 요소들에는 필요한 경우에 사선에 의해 구분된 2 개의 도면부호가 각각 제공되며, 그 중 첫 번째 도면부호는 에스컬레이터 (1) 에 관한 것이고 두 번째 도면부호는 이동 보도 (50) 에 관한 것이다.
세부 (D) 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의 난간 베이스 (13/64) 의 코너를 보여준다. 접시 머리 나사 (103) 를 설치하기 위한 나사산구비 보어 (102) 를 갖는 설치 플레이트 (101) 가 베이스부 (40) 또는 지지체 (66) 에 용접된다. 분명히 설치 플레이트 (101) 는 베이스부 (49) 또는 지지체 (66) 와 나사-연결, 클린칭 또는 리벳팅되거나 또는 매우 간단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링으로서 역할하는 클래딩 요소 (28/77) 및 측벽으로서 역할하는 클래딩 요소 (23/74) 는 동일한 접시 머리 나사 (103) 에 의해 설치 플레이트 (101) 에 고정된다. 논리적인 방식에서, 2 개의 클래딩 요소들 (23/74, 28/77) 을 고정시키기 위해 미리 결정된 간격의 일렬의 접시 머리 나사들 (103) 이 이동 보도 (50) 또는 에스컬레이터 (1) 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된다.
설치 플레이트 (101) 에 맞닿으며 측벽으로서 역할하는 클래딩 요소 (23/74) 는 저합금강, 예컨대 탄소강의 하중-지지층 (101) 을 포함하는 복합강판 (110) 으로부터 제조된다. 예컨대 용융 아연도금, 파우더-코팅, 전기도금법에 의해 또는 아연 함량을 갖는 페인트를 분무함으로써 내부 공간 (19/79) 을 향하는 측면 (111) 에 코팅 (112), 바람직하게는 아연 층이 코팅된다. 설치 플레이트 (101) 는 아연 층 (104) 에 의해 부식의 영향으로부터 또한 보호되므로, 2 개의 요소 (그 표면은 전기화학 서열에 대해 어떠한 전위차를 갖지 않음) 는 서로 맞닿는다. 분명히 코팅 (112) 은 주석 층 또는 플라스틱 재료 층일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의 주위를 향하는 클래딩 요소 (23/74) 의 측면 (113) 은 내식성 강, 예컨대 고합금 크롬-니켈 강의 커버층 (114) 을 갖고, 이는 예컨대 폴리머 층에 의해 하중-지지층 (119) 와 연결된다. 상기한 종류의 폴리머 층은, 개별 층들 (119, 114) 을 서로 탈착 (박리) 시키지 않으면서 복합강판 (110) 이 냉간 세이핑될 수 있도록, 점소성 특성을 가져야 한다. 예컨대, 하중-지지층 (119) 과 커버층 (114) 의 접착을 위해 아크릴산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갖는, 천연 고무를 포함하는 제 1 분산물과 클로로펜 중합물 (chloropen polymerisate) 의 콜로이드성 제 2 분산물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의도된 사용 목적을 위해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또는 습식 상태에서 엘라스토머를 형성하도록 가교결합된 화합물이 또한 적합하다. 분명히 커버층 (114) 은 압연-접합 (roll-bonding) 에 의해 하중-지지층 (119) 과 연결될 수 있다.
난간 베이스 (13/64) 의 커버로서 역할하는 클래딩 요소 (28/77) 는 저합금강으로 제조된 하중-지지층 (129) 의 두 측면들 (122, 124) 의 각각에 내식성 강의 개별 커버층 (122, 124) 을 갖는 복합강판 (120) 으로부터 제조된다.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2 개의 커버층들 (122, 124) 은 하중-지지층 (129) 에 글루잉되거나 압연-접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2 개의 클래딩 요소들 (28/77 및 23/74) 이 내식성 강으로 제조된 그들의 커버층들 (114, 122) 에 의해 접시 머리 나사 (103) 의 영역에서 접촉하고 있으므로, 여기에 전기화학 서열에 대하여 전위 차가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접시 머리 나사 (103) 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내식성 강으로 제조된다.
2 개의 클래딩 요소들 (28/77, 23/74) 이 접시 머리 나사 (103) 에 의해 설치 플레이트 (101) 에 고정되므로, 각각은 이 접시 머리 나사 (103) 와 관련된 통로 (115, 125) 를 갖는다. 커버링으로서 역할하는 클래딩 요소 (28/77) 의 통로 (125) 는, 스탬핑에 의해 원뿔형으로 형성되고 접시 머리 나사 (103) 의 헤드를 돌출하지 않게 수용하는 형상부를 갖는다. 2 개의 통로들 (115, 125) 의 절삭된 에지들 (116, 126) 은 개별 커버층 (114, 124) 에 의해 덮인다. 따라서, 측벽으로서 역할하는 클래딩 요소 (23/74) 의 통로 (115) 는 또한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클래딩 요소들 (28/77, 23/74) 의 에지 영역들에 있는 절삭된 에지들 (117/127) 은 또한 환경을 향하는 커버층 (114, 124) 에 의해 각각 덮인다. 커버층에 의해 덮인 절삭된 에지들이 어떻게 생산될 수 있는지에 대한 2 개의 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a 내지 6c 는, 도 5 에서 설명한 클래딩 요소 (23/74) 를 통해, 에지 영역에서의 덮인 절삭된 에지 (117) 의 가능한 생산의 상이한 단계들을 보여준다.
이러한 도 6a 내지 6c 에는, 하중-지지층 (119), 커버층 (114) 및 코팅 (112) 뿐만 아니라 커버층 (114) 을 하중-지지층 (119) 과 확고하게 연결하는 폴리머 층 (118) 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 내지 6c 에는 단지 절삭 공구의 고정 커터 (140) 및 가동 커터 (151) 만이 도시된다. 원리적으로, 이 절삭 공구는 종래의 플레이트 전단기 (plate shears) 와 거의 다르지 않다. 그렇지만, 전단 중에, 가동 커터 (141) 는 수직선 (V) 또는 측면 (113) 의 법선 (V) 에 대해 또는 클래딩 요소 (23, 74) 의 복합강판의 두께에 대해 전단 각도 (α) 로 고정 커터 (140) 에 관하여 비스듬한 절삭 운동 (Z) 을 행한다.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커터 (141) 의 절삭 에지 (142) 에 챔퍼 (143) 가 형성된다. 챔퍼 (143) 는 챔퍼 높이 (P) 를 갖고, 가동 커터 (141) 의 절단 에지 (142) 에 복합강판 (110) 의 두께에 대해 또는 측면 (113) 의 수직선 (V) 에 대해 챔퍼 각도 (β) 로 배치된다. 챔퍼 에지 (144) 가 챔퍼 (143) 와 가동 커터 (141) 의 릴리스 (145) 사이에 존재하고, 절삭 운동 (Z) 을 고려하여 정밀하게 고정 커터 (140) 의 예리한 절삭 에지 (146) 를 향해 배향된다.
절삭된 에지 (117) 의 최적의 커버리지를 형성하기 위해, 챔퍼 높이 (P) 및 챔퍼 각도 (β) 는 전단 각도 (α) 및 절삭되는 복합강판 (110) 의 재료 특성에 정합되어야 하고, 이 경우 이상적인 값들은 실험에 의해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 경우 전단 각도 (α) 는 0°내지 30°, 챔퍼 각도 (β) 는 -90°내지 14°, 챔퍼 높이 (P) 는 0 내지 2 ㎜ 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전단 각도 (α) 는 5°내지 20°, 챔퍼 각도 (β) 는 -85°내지 -60°, 챔퍼 높이 (P) 는 0.5 ㎜ 내지 1.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113) 에 수직한 수직선 (V) 또는 법선 (V) 으로부터 시작하여, 시계방향의 각도 값은 양의 부호로 표시되고 반시계방향의 각도 값은 음의 부호로 표시된다.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한 절삭 운동 (Z) 및 챔퍼 (143) 로 인해, 커버층 (114) 은 전단되는 때에 매끄럽게 절삭되지 않고, 전단 중에 가동 커터 (141) 에 의해 동반된다. 고정 커터 (140) 가 날카로운 에지의 절삭 에지 (146) 를 가지므로, 코팅 (112) 및 하중-지지층 (119) 은 챔퍼 에지 (144) 가 절삭 에지 (146) 를 지나 빠질 때까지 그곳에서 절삭된다.
챔퍼 에지 (144) 및 절삭 에지 (146) 가 충돌하는 때, 인발 작용으로 인해 이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더 얇아진 커버층 (114) 은 도 6c 에 도시된 것처럼 또한 완전히 절삭된다. 커버층 (114) 의 동반을 통해, 전단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강판 (110) 의 절삭된 에지 (117) 는 복합강판 (110) 의 커버층 (114) 에 의해 덮이거나 코팅된다. 내식성 강이 높은 파단 연신율을 가지므로, 이 재료는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절삭된 에지 (117) 에 걸쳐 인발되기에 매우 적합하다. 채용된 폴리머 층 (119) 의 개별 재료 특성에 따라, 이는 펀칭 또는 절삭 동안에 절삭된 에지 (117) 의 영역에서 파단 또는 찢어질 수 있다. 폴리머 층 (118) 에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절삭된 에지 (117) 는 예컨대 침지 또는 분무에 의해 동일한 폴리머 재료로 밀봉될 수 있다.
클래딩 요소 (23/74) 중 복합강판 (110) 으로 이루어진 부분들의 윤곽은 분명히 워터 제트 절단 또는 레이저 절단에 의해 또한 형성될 수 있다. 그 방식으로 처리된 절삭된 에지 (117) 가 커버층 (114) 에 의해 유사하게 덮여야 한다면, 커버층 (114) 은 예컨대 압연 공구에 의해 절삭된 에지 (117) 에 걸쳐 압연되거나 또는 프레스 공구에 의해 절삭된 에지 (117) 에 걸쳐 프레싱 또는 인발될 수 있다. 그러나, 절삭된 에지 (117) 는 액체 형태로 도포된 경화형 폴리머 층 또는 접착 밀봉 스트립에 의해 액밀식으로 덮일 수 있다. 이는 분명히 클래딩 요소 (28/77) 의 절삭된 에지 (127) 에도 또한 적용된다.
도 7a 및 도 7b 는 도 5 에 묘사된 클래딩 요소 (28/77) 에 기초한 통로 (125) 의 덮인 절삭된 에지 (126) 의 상이한 제조 단계들을 보여준다.
통로 (125) 를 형성하기 위해, 공구는 펀칭 다이 (150), 스탬핑 다이 (151) 및 싱크 다이 플레이트 (152) 를 포함한다. 클래딩 요소 (28/77) 의 복합강판 (120) 이 싱크 다이 플레이트 (152) 에 위치되고 정렬된다. 통로 (125) 는 도 7a 에 축선방향 화살표 (F1) 로 표시된 것처럼 펀치 다이 (150) 에 의해 나중에 펀칭된다. 본 예에서는 접시 머리 나사를 위한 통로 (125) 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이 통로 (125) 는 원형 단면 영역을 갖고, 이런 이유로 펀칭 다이 (150) 및 스탬핑 다이 (151) 는 회전대칭 구조이다. 스탬핑 다이 (151) 는 튜브형 구조이며, 스탬핑 다이 (151) 의 보어 (155) 내에 펀칭 다이 (150) 의 섕크 (154) 가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스탬핑 다이 (151) 는 섕크 (154) 에 의해 선형으로 안내된다.
도 7b 에 축선방향 화살표 (F2) 로 나타낸 추가의 단계에서, 펀칭 다이 (150) 의 사용 후에, 스탬핑 다이 (151) 는 싱크 다이 플레이트 (152) 를 향해 전진된다. 스탬핑 다이 (151) 는 싱크 다이 플레이트 (152) 의 리세스 (157) 내로 복합강판 (120) 의 재료를 가압하기 위해 스탬핑 표면 (156) 을 갖는다. 그 경우, 하중-지지층 (129) 은 나사 헤드를 위한 원뿔형 리셉터클이 발생하도록 통로 (125) 의 영역에서 변형된다. 그리고, 스탬핑 다이 (151) 를 마주하는 커버층 (124) 은 펀칭 다이 (150) 에 의해 사전에 생성된 절삭된 에지 (126) 에 걸쳐 인발되고, 따라서 절삭된 에지 (126) 는 커버층 (124) 에 의해 덮인다.
사용된 폴리머 층의 개별 재료 특성에 따라, 이는 펀칭/스탬핑 동안에 변형된 절삭된 에지 (126) 의 영역에서 파단 또는 찢어질 수 있다. 하중-지지층 (129) 과 커버층 (124, 122) 사이에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이 위치는 예컨대 나사를 끼워맞추는 때에 실리콘 밀봉 화합물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난간 베이스의 코너 영역의 2 개의 클래딩 요소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모든 다른 클래딩 요소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분명히, 모든 클래딩 요소들이 복합강판 (40, 110, 120) 으로부터 제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컨대, 도 3 에 나타낸 트러스 (10) 의 클래딩 요소들 (23, 27) 은 저합금강 또는 구조용 강의 페인팅된 클래딩 요소들일 수 있고, 난간 베이스 (13) 를 덮는 클래딩 요소들 (28, 35) 은 복합강판들로 제조된다. 더욱이, 절삭된 에지들의 영역에서의 커버층의 제안된 변형 대신에, 복합강판들의 절삭된 에지들은 하중-지지층이 환경적 영향에 노출되지 않고 이 위치들에서 부식되지 않도록 밀봉 화합물 또는 접착제에 의해 또한 밀봉될 수 있다. 절삭된 에지들은 분명히, 절삭된 에지들이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가능한 한 보호되도록 내부 공간에 대해 에지 영역들에서 플랜지처리될 수 있다.
Claims (15)
-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간 (19, 79) 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로서,
상기 내부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클래딩 요소 (20, 21, 22, 23, 24, 25, 26, 27, 28, 31, 32, 33, 34, 35, 71, 72, 73, 74, 75, 76, 77, 78) 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의 환경에 대해 한정되고,
상기 클래딩 요소 (20, ..., 78) 는 적어도 하나의 다층 복합강판 (40, 110, 120) 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강판 (40, 110, 120) 은 저합금강의 적어도 하나의 하중-지지층 (42, 119, 129) 및 내식성 강의 적어도 하나의 커버층 (41, 114, 122, 124)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층 (41, 114, 122, 124) 은 상기 복합강판 (40, 110, 120) 의 두 측면들 (43, 44, 111, 113, 121, 123) 중의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에 설치되는 상기 클래딩 요소 (20, ..., 78) 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층 (41, 114, 122, 124) 은 상기 환경을 향해 배향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 (41, 114, 122, 124) 에 대향하는 상기 하중-지지층 (42, 119, 129) 의 측면 (111) 에 코팅 (112), 바람직하게는 주석 도금, 구리 도금, 아연 도금 또는 플라스틱 재료 코팅이 제공되고,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코팅 (112) 은 상기 내부 공간 (19, 79) 을 향해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강판 (40, 110, 120) 은, 상기 하중-지지층 (42, 119, 129) 과 상기 커버층 (41, 114, 122, 124)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함께 확고하게 연결하는 폴리머 층 (11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층 (118) 은 0.05 ㎜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0.5 ㎜ 내지 2.5 ㎜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층 (42, 119, 129) 및 상기 커버층 (41, 114, 122, 124) 은 압연-접합 (roll-bonding) 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층 (42, 119, 129) 은 0.5 ㎜ 내지 3.5 ㎜, 바람직하게는 0.8 ㎜ 내지 1.5 ㎜ 의 두께를 갖고, 상기 커버층 (41, 114, 122, 124) 은 0.03 ㎜ 내지 0.5 ㎜,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0.3 ㎜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러스 (10), 지지 구조체 (55), 적어도 하나의 난간 베이스 (13, 64) 의 일부 및 적어도 하나의 난간 (12) 의 일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간 (19, 79)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 요소 (20, ..., 78) 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 (45, 115, 125)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45, 115, 125) 는 펀칭 다이 (150) 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펀칭 다이는 전단 효과로 압력 하에 상기 클래딩 요소 (20, ..., 78) 의 복합강판 (40, 110, 120) 내로 관통하여 상기 통로 (45, 115, 125) 를 뚫어내고,
뚫어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통로 (45, 115, 125) 의 절삭된 에지 (116, 126) 는 상기 복합강판 (40, 110, 120) 의 커버층 (41, 114, 122, 124) 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45, 115, 125) 는 펀칭 다이 (150) 에 의해 그리고 스탬핑 다이 (151) 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펀칭 다이는 전단 효과로 압력 하에 상기 클래딩 요소 (20, ..., 78) 의 복합강판 (40, 110, 120) 내로 관통하여 상기 통로 (45, 115, 125) 를 뚫어내고, 상기 스탬핑 다이는 스탬핑에 의해 상기 통로 (45, 115, 125) 를 적어도 그의 절삭된 에지 (116, 126) 에서 냉간 변형시키고,
상기 스탬핑 후, 상기 통로 (45, 115, 125) 의 뚫어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절삭된 에지 (116, 126) 는 상기 복합강판 (40, 110, 120) 의 커버층 (41, 114, 122, 124) 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 요소 (20, ..., 78) 의 복합강판 (40, 110, 120) 은 상기 복합강판 (40, 110, 120) 의 커버층 (41, 114, 122, 124) 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는 절삭된 에지들 (117, 127)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 펀칭 다이 (15) 로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의 클래딩 요소 (20, 21, 22, 23, 24, 25, 26, 27, 28, 31, 32, 33, 34, 35, 71, 72, 73, 74, 75, 76, 77, 78) 의 복합강판 (40, 110, 120) 에 통로 (45, 115, 125) 를 펀칭/스탬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펀칭 다이는 전단 효과로 압력 하에 상기 복합강판 (40, 110, 120) 내로 관통하여 상기 통로 (45, 115, 125) 를 뚫어내고,
스탬핑 다이 (151) 가 스탬핑에 의해 상기 통로 (45, 115, 125) 를 절삭된 에지 (116, 126) 에서 냉간 변형시키고,
상기 스탬핑 후, 뚫어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통로 (45, 115, 125) 의 절삭된 에지 (116, 126) 는 상기 복합강판 (40, 110, 120) 의 커버층 (41, 114, 122, 124) 에 의해 덮이는,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 다이 (151) 는 상기 펀칭 다이 (150) 주위에 동심으로 맞물리고, 2 개의 다이 (150, 151) 는 축선 방향 (F1, F2) 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1 항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 (50) 의 클래딩 요소 (20, 21, 22, 23, 24, 25, 26, 27, 28, 31, 32, 33, 34, 35, 71, 72, 73, 74, 75, 76, 77, 78) 의 복합강판 (40, 110, 120) 에서 절삭된 에지 (117, 127) 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고정 커터 (140) 및 가동 커터 (141) 를 구비하는 절삭 공구가 존재하고,
상기 고정 커터 (140) 및 상기 가동 커터 (141) 는 전단 효과로 압력 하에 비스듬한 절삭 운동 (Z) 을 행하고, 전단 운동은 상기 복합강판 (40, 110, 120) 의 측면 (111, 113, 121, 123) 의 수직 방향 (V) 에 대해 전단 각도 (α) 로 진행하여, 전단 동안에 커버층 (41, 114, 122, 124) 은 상기 가동 커터 (141) 에 의해 동반되어서, 상기 전단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복합강판 (40, 110, 120) 의 절삭된 에지 (117, 127) 는 상기 복합강판 (40, 110, 120) 의 커버층 (41, 114, 122, 124) 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는,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각도 (α) 는 0°내지 30°이고, 상기 가동 커터 (141) 의 절삭 에지 (142) 에 챔퍼 (143) 가 형성되고, 상기 챔퍼 (143) 의 챔퍼 각도 (β) 는 상기 수직 방향 (V) 에 대해 -90°내지 15°로 배향되고, 챔퍼 높이 (P) 가 0 ㎜ 내지 2 ㎜ 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4177559 | 2014-07-17 | ||
EP14177559.3 | 2014-07-17 | ||
PCT/EP2015/064868 WO2016008721A1 (de) | 2014-07-17 | 2015-06-30 | Verkleidungsbauteil für eine fahrtreppe oder einen fahrstei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2394A true KR20170032394A (ko) | 2017-03-22 |
Family
ID=5121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04113A Withdrawn KR20170032394A (ko) | 2014-07-17 | 2015-06-30 |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용 커버 요소 |
Country Status (19)
Country | Link |
---|---|
US (1) | US9908747B2 (ko) |
EP (1) | EP3169617B1 (ko) |
KR (1) | KR20170032394A (ko) |
CN (1) | CN106660755B (ko) |
AR (1) | AR101226A1 (ko) |
AU (1) | AU2015291347B2 (ko) |
BR (1) | BR112017000734B1 (ko) |
CA (1) | CA2954698A1 (ko) |
CL (1) | CL2017000096A1 (ko) |
CO (1) | CO2017000381A2 (ko) |
ES (1) | ES2674394T3 (ko) |
IL (1) | IL249973A0 (ko) |
MX (1) | MX2017000710A (ko) |
PH (1) | PH12017500081A1 (ko) |
PL (1) | PL3169617T3 (ko) |
RU (1) | RU2017104907A (ko) |
SG (1) | SG11201700358XA (ko) |
TW (1) | TWI648215B (ko) |
WO (1) | WO201600872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50018456A1 (en) * | 2021-12-28 | 2025-01-16 | Nippon Steel Corporation |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metallic member, and metallic member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47947A (en) * | 1963-07-02 | 1966-04-26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Passenger conveyors |
US3991877A (en) * | 1975-02-20 | 1976-11-16 |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 Transportation apparatus |
US4488631A (en) * | 1982-07-16 | 1984-12-18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Balustrade |
CH664790A5 (de) * | 1984-08-10 | 1988-03-31 | Inventio Ag | Verkleidung des balustradensockels einer fahrtreppe oder eines fahrsteiges. |
DE3682714D1 (de) | 1985-06-28 | 1992-01-16 | Nippon Kokan Kk | Schwingungsgedaempftes verbund-stahlblech. |
US4635756A (en) | 1985-07-09 | 1987-01-13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Elevator cab |
JPS6216892A (ja) * | 1985-07-15 | 1987-01-26 | Nippon Kokan Kk <Nkk> | 耐食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ステンレスクラツド鋼板の製造方法 |
US5186302A (en) * | 1992-04-10 | 1993-02-16 | Otis Elevator Company | Escalator skirt and deck panel installation |
US5307919A (en) * | 1993-04-26 | 1994-05-03 | Otis Elevator Company | Balustrade panel height fixing device |
US5542522A (en) * | 1993-04-26 | 1996-08-06 | Otis Elevator Company | Balustrad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a balustrade assembly |
US5366060A (en) * | 1993-10-07 | 1994-11-22 | Johnson Gerald E | Balustrade handrail entry housing |
US5355990A (en) * | 1993-11-29 | 1994-10-18 | Otis Elevator Company | Balustrade handrail entry safety device |
US5421076A (en) * | 1993-12-23 | 1995-06-06 | Otis Elevator Company | Method for assembling a balustrade for a people moving device using an adjustable assembly jig |
US5458220A (en) * | 1994-07-01 | 1995-10-17 | Otis Elevator Company | Balustrade for a passenger conveyor |
CA2237028C (en) * | 1997-06-13 | 2002-11-12 | Jean-Marc Caron | Device for deterring unsafe usage of a handrail |
MY129702A (en) * | 2001-12-19 | 2007-04-30 | Inventio Ag | Support construction |
FI117242B (fi) * | 2004-06-02 | 2006-08-15 | Kone Corp | Liukukäytävä, -ramppi tai -porras |
CN2717908Y (zh) * | 2004-06-11 | 2005-08-17 | 窦林风 | 用于自动扶梯的装饰板 |
ES2397840T3 (es) * | 2005-08-04 | 2013-03-11 | Inventio Ag | Escalera mecánica |
CN100478268C (zh) * | 2006-08-18 | 2009-04-15 |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 易拆卸的扶梯外盖板 |
JP5314920B2 (ja) * | 2008-04-24 | 2013-10-1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乗客コンベア |
EP2339085A1 (fr) * | 2009-12-22 | 2011-06-29 | Denis Zago | Elément préfabriqué pour la construction d'extensions d'immeubles et extensions d'immeubles ainsi réalisées |
PL2795186T3 (pl) * | 2011-12-21 | 2018-07-31 | Inventio Ag | Podświetlany panel dla schodów ruchomych, chodnika ruchomego lub kabiny windy |
BR112014025425A2 (pt) * | 2012-04-18 | 2017-08-08 | Inventio Ag | painel transparente iluminável para escada rolante, esteira rolante ou elevador de carro |
ES2628337T3 (es) * | 2012-12-19 | 2017-08-02 | Inventio Ag | Soporte de balaustrada para una escalera mecánica o para un andén móvil |
-
2015
- 2015-06-30 ES ES15733708.0T patent/ES2674394T3/es active Active
- 2015-06-30 CA CA2954698A patent/CA295469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6-30 PL PL15733708T patent/PL3169617T3/pl unknown
- 2015-06-30 WO PCT/EP2015/064868 patent/WO2016008721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6-30 BR BR112017000734-7A patent/BR112017000734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30 CN CN201580038618.XA patent/CN106660755B/zh active Active
- 2015-06-30 US US15/326,662 patent/US9908747B2/en active Active
- 2015-06-30 EP EP15733708.0A patent/EP3169617B1/de active Active
- 2015-06-30 RU RU2017104907A patent/RU2017104907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06-30 MX MX2017000710A patent/MX2017000710A/es unknown
- 2015-06-30 KR KR1020177004113A patent/KR20170032394A/ko not_active Withdrawn
- 2015-06-30 SG SG11201700358XA patent/SG11201700358XA/en unknown
- 2015-06-30 AU AU2015291347A patent/AU2015291347B2/en not_active Ceased
- 2015-07-14 TW TW104122749A patent/TWI64821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5-07-16 AR ARP150102271A patent/AR101226A1/es unknown
-
2017
- 2017-01-08 IL IL249973A patent/IL249973A0/en unknown
- 2017-01-12 PH PH12017500081A patent/PH12017500081A1/en unknown
- 2017-01-13 CL CL2017000096A patent/CL2017000096A1/es unknown
- 2017-01-17 CO CONC2017/0000381A patent/CO2017000381A2/es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15291347B2 (en) | 2018-09-13 |
CL2017000096A1 (es) | 2017-07-14 |
ES2674394T3 (es) | 2018-06-29 |
SG11201700358XA (en) | 2017-02-27 |
US20170210601A1 (en) | 2017-07-27 |
PH12017500081A1 (en) | 2017-05-22 |
BR112017000734B1 (pt) | 2021-12-28 |
EP3169617B1 (de) | 2018-05-23 |
CO2017000381A2 (es) | 2017-03-31 |
EP3169617A1 (de) | 2017-05-24 |
AR101226A1 (es) | 2016-11-30 |
AU2015291347A1 (en) | 2017-02-02 |
TWI648215B (zh) | 2019-01-21 |
US9908747B2 (en) | 2018-03-06 |
CN106660755B (zh) | 2019-03-15 |
CN106660755A (zh) | 2017-05-10 |
PL3169617T3 (pl) | 2018-12-31 |
IL249973A0 (en) | 2017-03-30 |
TW201607874A (zh) | 2016-03-01 |
BR112017000734A2 (pt) | 2017-11-14 |
CA2954698A1 (en) | 2016-01-21 |
RU2017104907A (ru) | 2018-08-17 |
MX2017000710A (es) | 2017-10-20 |
WO2016008721A1 (de) | 2016-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3428B1 (ko) | 에스컬레이터 | |
RU2492300C2 (ru) | Каркас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 |
US5357724A (en) | Stair tread | |
EP3099617B1 (de) | Palette für einen fahrsteig oder stufe für eine fahrtreppe | |
US8763781B2 (en) | Escalator or moving walkway with a soffit plate | |
CA2556610A1 (en) | Device for bridging a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wo floor surfaces | |
RU87712U1 (ru) | Композитный настил | |
KR20170032394A (ko) |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용 커버 요소 | |
EP2670927A1 (de) | Befestigungsanordnung für glasgeländer | |
AU200920318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 railway car door repair | |
HK1231836A1 (en) | Cover component for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way | |
HK1231836B (zh) | 用於自動扶梯或移動步道的遮罩構件 | |
JP6960872B2 (ja) |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体 | |
CN201581567U (zh) | 钢-砼组合楼梯 | |
JP5501296B2 (ja) | 乗客コンベアの乗降床の補修方法 | |
NL2018609B1 (en) | A structural element of a laminated glass plate and a metal connecting element | |
JP2839748B2 (ja) | マンコンベアの欄干 | |
JP2000054649A (ja) | 外壁の改修方法及び構造 | |
JPH01321291A (ja) | マンコンベヤ | |
JP2007084221A (ja) | 乗客コンベヤの内レッジ、乗客コンベヤ、乗客コンベヤの固定サポートの位置決め方法、並びに乗客コンベヤの固定サポート | |
JPS5834397B2 (ja) | エレベ−タの敷居構造 | |
JP2013224191A (ja) | 乗客コンベアの欄干 | |
HK1174015A (en) | Repairing method of boarding and alighting floor of passenger conveyor and boarding and alighting floor | |
HK1174015B (en) | Repairing method of boarding and alighting floor of passenger conveyor and boarding and alighting floor | |
HK40001959A (en) | Wall securing assembly for securing an elevator compon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2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00527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