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658A - 안전장치 해제 시 자동으로 분사호스가 쳐들어질 수 있는 소화기 - Google Patents
안전장치 해제 시 자동으로 분사호스가 쳐들어질 수 있는 소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7658A KR20170027658A KR1020160105862A KR20160105862A KR20170027658A KR 20170027658 A KR20170027658 A KR 20170027658A KR 1020160105862 A KR1020160105862 A KR 1020160105862A KR 20160105862 A KR20160105862 A KR 20160105862A KR 20170027658 A KR20170027658 A KR 201700276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extinguisher
- safety device
- fire
- slider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 A62C13/0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with separate acid container
- A62C13/1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with separate acid container with acid container the shell of which is ruptured by pin, screw-pin, or similar devic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1. 본 발명은 화재발생 시 소화기 사용자가 당황한 상태에서 소화기의 손잡이를 움켜쥐었을 때 안전핀이 빠져나오지 않아 초기소화에 실패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움켜쥐는 힘에 무관하게 매우 작은 힘으로 안전장치가 해제되고, 상기 안전장치를 각종 키이에 적용함으로써, 키이의 잠금상태 해제 시 소모되는 에너지를 적게 하며,
2. 비치된 소화기에서 안전핀이 빠져있어도 식별이 잘 되지 않아서, 실수로 오발사고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안전핀이 빠졌을 때는 분사호스를 분사준비자세로 쳐들어 줌으로써 멀리서도 바로 식별되어 관리를 쉽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이유로 수납 후크에 고정된 호스를 빼내는 과정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사용을 단순화 하고,
3. 이미 사용한 소화기는 소화약제의 분사과정에서 밸브고무와 밸브시트 사이에 소화분말가루가 끼어서 밀폐가 되지 않으므로 그 틈새로 충전된 질소가스가 장시간 서서히 누설되는데, 사이에 낀 소화분말가루를 무허가 충약업자가 제거하지 않고 충약한 결과 불과 수개월 만에 압력이 떨어져 정작 화재 시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소화기의 안전장치를 1회용으로 제공함으로써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함으로써 평상시 소화기의 관리를 쉽게 하고, 화재 발생 시 사용을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2. 비치된 소화기에서 안전핀이 빠져있어도 식별이 잘 되지 않아서, 실수로 오발사고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안전핀이 빠졌을 때는 분사호스를 분사준비자세로 쳐들어 줌으로써 멀리서도 바로 식별되어 관리를 쉽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이유로 수납 후크에 고정된 호스를 빼내는 과정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사용을 단순화 하고,
3. 이미 사용한 소화기는 소화약제의 분사과정에서 밸브고무와 밸브시트 사이에 소화분말가루가 끼어서 밀폐가 되지 않으므로 그 틈새로 충전된 질소가스가 장시간 서서히 누설되는데, 사이에 낀 소화분말가루를 무허가 충약업자가 제거하지 않고 충약한 결과 불과 수개월 만에 압력이 떨어져 정작 화재 시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소화기의 안전장치를 1회용으로 제공함으로써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함으로써 평상시 소화기의 관리를 쉽게 하고, 화재 발생 시 사용을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우 작은 힘으로 해제되는 안전장치와, 그 안전장치를 장착한 화재진압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 시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 소화기로 초기에 진화하는 것이야말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화재를 발견한 사람은 매우 당황한 상태에 있으며 무의식중에 놀라울만한 악력으로 소화기의 손잡이를 쥐게 된 결과 안전핀이 잘 빠지지 않는다.
이 경우 사용자는 더욱 당황하여 귀중한 골든타임을 놓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국의 관련자들이 노력한바 있으나 뚜렷한 성과가 보이지 않는 실정이다.
반면에, 평상시에는 소화기의 안전핀이 너무 잘 빠져서 오발사고의 위험이 있는데, 안전핀이 빠져있을 경우 잘 표가 나지도 않아서 관리하기도 어렵다.
또한, 이미 사용한 소화기는 소화약제의 분사과정에서 밸브고무와 밸브시트 사이에 소화분말가루가 끼어서 밀폐가 되지 않으므로 그 틈새로 충전된 질소가스가 장시간 서서히 누설되는데, 사이에 낀 분말가루를 무허가 충약 업자가 제거하지 않고 충약한 결과 불과 수개월 만에 압력이 떨어져 정작 화재 시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무허가 충약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1회용 안전장치의 사용이 필요하다.
1회용 안전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05-0039806(2007.04.02)『오발 방지용 안전 소화기』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의 선행기술로는 안전장치 끝단의 결합부를 파괴하기 위해 필요한 힘이 안전장치를 해제시킬 때 저항력으로 작용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안전장치 해제에 필요한 힘은 소화기 손잡이에 가하는 악력의 크기에 관계가 없어야 하고, 소화약제 분사를 위해 소화기 손잡이를 쥐는 행위만으로 안전장치가 파괴되는 기술의 구현이 바람직하다.
1.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소화기 사용자가 당황한 상태에서 소화기의 손잡이를 움켜쥐었을 때 안전핀이 빠져나오지 않아 초기소화에 실패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2. 반면에 비 화재 시에는 비치된 소화기의 안전핀이 쉽게 빠지는 구조여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3. 또한, 기존의 소화기는 소화를 위해 4단계 또는 5단계의 동작이 필요했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욱 당황하여 소화의 골든타임을 놓치게 되므로,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작동과정을 더욱 단순화 할 필요가 있었다.
4. 이미 사용한 소화기는 소화약제의 분사과정에서 밸브고무와 밸브시트 사이에 소화분말가루가 끼어서 밀폐가 되지 않으므로 그 틈새로 충전된 질소가스가 서서히 누설되는데, 사이에 낀 소화분말가루를 무허가 충약업자가 제거하지 않고 충약한 결과 불과 수개월 만에 압력이 떨어져 정작 화재 시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과제 1을 해결하기 위해,
화재 발생 시 소화기 사용자가 당황한 상태에서 소화기 손잡이를 쥐는 힘에 관계없이 안전장치가 쉽게 해제되게 했으며 그 상세한 내용은 실시 예를 통해 소개한다.
과제 2를 해결하기 위해,
비치된 소화기에서 안전장치가 원치 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화기에 중력감지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소화기를 바닥에서 들어올리기 전에는 중력감지장치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결코 안전장치가 해제되지 않게 했으며, 그 상세한 내용은 실시 예를 통해 소개한다.
과제 3을 해결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화재에 직면하면 수납 후크에 고정된 호스를 빼내는 것도 더듬거려서 더욱 당황하게 되고 결국 초기진화의 골든타임을 놓치게 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이것도 없애서 사용법을 단순화하여 누구나 당황한 상태에서도 초기소화에 실패하지 않도록 했으며, 그 상세한 내용은 실시 예를 통해 소개한다.
과제 4를 해결하기 위해,
소화기의 안전장치를 1회용으로 제작함으로써 무허가 업자의 불법 충약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했으며, 그 상세한 내용은 실시 예를 통해 소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작은 힘으로 해제되는 안전장치와, 상기 안전장치를 소화기에 장착하여 화재 발생 시 사용자의 쥐는 악력의 크기에 관계없이 작은 힘으로 해제되며,
분사호스를 수납후크에서 빼내는 과정이 없으므로 조작이 간단하여 당황한 상태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전장치 해제 시 분사호스가 자동으로 쳐들어질 수 있으므 멀리서도 관리자가 식별할 수 있어서 관리에 용이하고,
소화기에 중력감지장치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소화기를 바닥에서 들어올리기 전에는 결코 안전장치가 해제되지 않으며,
또한, 1회용 안전장치 제작이 가능하여 무허가 충약으로 인한 피해를 없앨 수 있다.
모든 장치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방향이 앞쪽이 된다.
도 1 :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2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정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3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 및 절단하는 면을 도시한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4 :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절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5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세부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6 :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의 정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의 좌측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의 우측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7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정면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8 :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절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하부손잡이 사시도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상부손잡이 사시도
도 9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세부 사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10: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 정면도(해제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 좌측면도(해제상태)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 우측면도(해제상태)
도 11: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약제 분사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절개도(약제 분사상태)
도 12: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 정면도(약제 분사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 좌측면도(약제 분사상태)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 우측면도(약제 분사상태)
도 13: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에 있어서, 세 방향에서 분사호스를 감싸는 형태의 분사호스 파지 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에 있어서, 분사호스를 사방으로 빙 둘러 감싸는 형태의 분사호스 파지 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1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를 수납상태로 셋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 15: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절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1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17: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의 활 형상 스프링 정면도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의 활 형상 스프링 좌측면도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의 활 형상 스프링 우측면도
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 지지 부 및 안전장치 해제 부의 정면도
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 지지 부 및 안전장치 해제 부의 좌측면도
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지지 부 및 안전장치 해제 부의 우측면도
G 및 H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18: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안전장치 해제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절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19: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20: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의 사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의 활 형상 스프링 사시도
도 2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절개도 및 부분 사시도(약제 분사상태)
도 2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약제 분사상태)
도 2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변형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2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변형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2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변형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약제 분사상태)
도 26: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2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28: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의 지지 부 및 안전장치 해제 부(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29: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안전장치 해제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3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3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의 지지 부 및 안전장치 해제 부(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32: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약제 분사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약제 분사상태)
도 3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약제 분사상태)
도 3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의 지지 부 및 안전장치 해제 부(약제 분사상태)
도 35: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상부손잡이와 하부손잡이 사이에 보조덮개가 있는 손잡이의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하부손잡이와 보조덮개가 결합된 사시도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보조덮개를 제외한 하부손잡이 사시도
도 36: A는 기존 소화기의 정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기존 소화기의 정 절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37: A는 기존 소화기의 부분 정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기존 소화기의 부분 정 단면도(약제 분사상태)
도 38: 기존 소화기에서 충전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도시한 부분 세부 정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39: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정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40: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정면 절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41: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에서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멈치 부 내부 앞쪽과 위쪽에 있는 멈치턱이 안전장치 해제용 슬라이더의 앞 부분에 걸려있는 모습을 보이기 위한 부분 세부 사시 절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42: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 단면도(중력감지장치만 해제된 상태)
B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정면 절개도(중력감지장치만 해제된 상태)
도 43: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중력감지장치만 해제된 상태)
B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세부 사시 절개도(중력감지장치만 해제된 상태)
도 44: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절개도(안전장치가 해제되는 과정의 상태도)
도 45: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 단면도(소화약제 분사상태)
B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 절개도(소화약제 분사상태)
C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소화약제 분사상태)
도 46: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판매 등 유통을 위해 유통용 안전핀이 추가로 장착된 상태)
B는 아래 손잡이(2)와 유통용 안전핀이 꼽혀있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7: A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 중 위로 빼기식 안전핀이 장착된 소화기의 정면도 및 부분 세부 절단도(소화기를 지면에서 들어 올렸으나 안전핀을 뽑지 않음으로써 중력 추가 내려오지 않아 안전장치가 아직은 해제되지 않은 상태)
B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 중 측면 빼기식 안전핀이 장착된 소화기의 정면도 및 부분 세부 절단도(소화기를 지면에서 들어 올렸으나 안전핀을 뽑지 않음으로써 중력 추가 내려오지 않아 안전장치가 아직은 해제되지 않은 상태)
도 48: A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절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49: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의 아래 손잡이와 그 주변 장치의 사시도(A는 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50: A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 단면도(안전장치 해제상태)
B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절개도 및 상태도(소화기를 지면에서 들어 올림으로써 중력 추에 의해 안전장치가 해제된 상태)
도 51: 스프링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의 작동 상태도(소화기를 지면에서 들어 올림으로써 스프링 추에 의해 안전장치가 해제된 상황에서 손잡이를 움켜쥠으로써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상태)
도 52: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를 사용 후 한 번의 동작으로 셋팅하는 상태도
B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를 사용 후 한 번의 동작으로 셋팅하는 상태도(아직 안전핀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
도 53: A는 슬라이더의 앞쪽에 장착 부를 두고 별도 제작한 안전장치 해제 부의 일측을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B는 슬라이더와 안전장치 해제 부가 일체형으로 사출성형 되고 탄성부재의 일단을 슬라이더 몸체의 중앙부에 돌출된 말뚝형상에 걸어서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C는 슬라이더에 중력 추 연결줄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4, 도 55, 도 56: 본 발명의 절편 식 안전장치 성능을 물리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 :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2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정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3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 및 절단하는 면을 도시한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4 :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절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5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세부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6 :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의 정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의 좌측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의 우측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7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정면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8 :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절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하부손잡이 사시도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상부손잡이 사시도
도 9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세부 사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10: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 정면도(해제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 좌측면도(해제상태)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 우측면도(해제상태)
도 11: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약제 분사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가 위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절개도(약제 분사상태)
도 12: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 정면도(약제 분사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 좌측면도(약제 분사상태)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절편 식 1회용 안전장치 우측면도(약제 분사상태)
도 13: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에 있어서, 세 방향에서 분사호스를 감싸는 형태의 분사호스 파지 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에 있어서, 분사호스를 사방으로 빙 둘러 감싸는 형태의 분사호스 파지 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1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를 수납상태로 셋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 15: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절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1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한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17: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의 활 형상 스프링 정면도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의 활 형상 스프링 좌측면도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의 활 형상 스프링 우측면도
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 지지 부 및 안전장치 해제 부의 정면도
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 지지 부 및 안전장치 해제 부의 좌측면도
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지지 부 및 안전장치 해제 부의 우측면도
G 및 H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18: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안전장치 해제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절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19: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20: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의 사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절편 식 안전장치의 활 형상 스프링 사시도
도 2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절개도 및 부분 사시도(약제 분사상태)
도 2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약제 분사상태)
도 2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변형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2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변형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2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변형 활 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약제 분사상태)
도 26: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2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28: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의 지지 부 및 안전장치 해제 부(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29: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안전장치 해제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3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3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의 지지 부 및 안전장치 해제 부(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32: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약제 분사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단면도(약제 분사상태)
도 3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가 뒤로 빼기 식으로 장착된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약제 분사상태)
도 3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꼬리가 있는 절편 식 안전장치의 지지 부 및 안전장치 해제 부(약제 분사상태)
도 35: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상부손잡이와 하부손잡이 사이에 보조덮개가 있는 손잡이의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하부손잡이와 보조덮개가 결합된 사시도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기의 보조덮개를 제외한 하부손잡이 사시도
도 36: A는 기존 소화기의 정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기존 소화기의 정 절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37: A는 기존 소화기의 부분 정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기존 소화기의 부분 정 단면도(약제 분사상태)
도 38: 기존 소화기에서 충전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도시한 부분 세부 정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39: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정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40: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정면 절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41: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에서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멈치 부 내부 앞쪽과 위쪽에 있는 멈치턱이 안전장치 해제용 슬라이더의 앞 부분에 걸려있는 모습을 보이기 위한 부분 세부 사시 절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42: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 단면도(중력감지장치만 해제된 상태)
B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정면 절개도(중력감지장치만 해제된 상태)
도 43: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사시도(중력감지장치만 해제된 상태)
B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세부 사시 절개도(중력감지장치만 해제된 상태)
도 44: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절개도(안전장치가 해제되는 과정의 상태도)
도 45: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 단면도(소화약제 분사상태)
B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 절개도(소화약제 분사상태)
C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소화약제 분사상태)
도 46: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도(판매 등 유통을 위해 유통용 안전핀이 추가로 장착된 상태)
B는 아래 손잡이(2)와 유통용 안전핀이 꼽혀있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7: A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 중 위로 빼기식 안전핀이 장착된 소화기의 정면도 및 부분 세부 절단도(소화기를 지면에서 들어 올렸으나 안전핀을 뽑지 않음으로써 중력 추가 내려오지 않아 안전장치가 아직은 해제되지 않은 상태)
B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 중 측면 빼기식 안전핀이 장착된 소화기의 정면도 및 부분 세부 절단도(소화기를 지면에서 들어 올렸으나 안전핀을 뽑지 않음으로써 중력 추가 내려오지 않아 안전장치가 아직은 해제되지 않은 상태)
도 48: A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 단면도(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절개도(안전장치 수납상태)
도 49: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의 아래 손잡이와 그 주변 장치의 사시도(A는 안전장치 수납상태, B는 안전장치 해제상태)
도 50: A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의 부분 정면 단면도(안전장치 해제상태)
B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의 부분 세부 절개도 및 상태도(소화기를 지면에서 들어 올림으로써 중력 추에 의해 안전장치가 해제된 상태)
도 51: 스프링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의 작동 상태도(소화기를 지면에서 들어 올림으로써 스프링 추에 의해 안전장치가 해제된 상황에서 손잡이를 움켜쥠으로써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상태)
도 52: A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A형 소화기를 사용 후 한 번의 동작으로 셋팅하는 상태도
B는 중력 추식 중력감지장치와 절편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B형 소화기를 사용 후 한 번의 동작으로 셋팅하는 상태도(아직 안전핀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
도 53: A는 슬라이더의 앞쪽에 장착 부를 두고 별도 제작한 안전장치 해제 부의 일측을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B는 슬라이더와 안전장치 해제 부가 일체형으로 사출성형 되고 탄성부재의 일단을 슬라이더 몸체의 중앙부에 돌출된 말뚝형상에 걸어서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C는 슬라이더에 중력 추 연결줄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4, 도 55, 도 56: 본 발명의 절편 식 안전장치 성능을 물리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본 발명은 매우 작은 힘으로 해제되는 안전장치와 이것을 장착한 화재진압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화기의 구성을 보면, 소화약제를 충전한 봄베(155) 및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분사호스(105)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플러그(104)와, 화재발생 시 소화기를 작동하기 위한 상부손잡이(101)와 하부손잡이(102)가 힌지 축(119)으로 플러그에 결합되며, 비 화재 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손잡이가 눌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안전핀(115)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 중앙의 상하 관통구에 결합된 밸브 스템(149)의 끝에 결합된 밸브 고무(150)가 밸브 스템 복귀스프링(154)에 의해 밸브 시트(151)에 밀착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가, 화재 발생 시 사용자가 소화기를 작동하면 상부손잡이가 밸브 스템을 아래로 눌러서 밸브 고무와 밸브 시트 간에 틈이 생김으로써 충전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구조이다(도 36)~(도 38).
화재는 예방이 최선이며, 이미 발생한 화재는 소화기로 초기에 진화하는 것이 차선이다. 초기진화에 실패하여 소방차로 진화되는 지경이 되면 불에 의한 직접피해는 물론이고 수손피해가 너무 커서 그야말로 최악의 상황인 것이다.
화재는 경과시간의 3승에 비례하여 확산되므로 소화기가 그렇게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화재는 자주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어쩌다 한 번 일어날 수 있는 화재에 대비해서 비치하는 것이 소화기이다 보니, 관리는 소홀해 지고 사용자는 서툴다.
화재발생 시 사용자는 ① 안전핀 제거, ② 수납 후크에 고정된 분사호스를 빼서 화점에 조준, ③ 상부손잡이와 하부손잡이를 힘껏 쥐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막상 화재가 발생되면 사람이 당황하여 이른바 패닉(Panic) 상태에 빠져서 소화기 사용자는 자기도 모르게 순서를 무시하고 안전핀도 빼기 전에 손잡이를 꽉 쥐게 되고, 그 때문에 안전핀이 빠지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수납 후크에 고정된 호스를 빼내는 것도 더듬거리게 된다. 이 모든 것이 패닉에 빠져서 그런 것이다.
패닉이란 멀쩡한 사람도 일시적으로 바보가 되는 현상이다.
화재현장에 안전핀도 뽑지 않고 던져져 있는 소화기들은 사용자가 사용법을 몰라서가 아니라 당황해서 그런 것이다.
따라서, 소화기는 바보라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라야 하는 것이다.
과거 미국의 극장에서 큰 화재가 나서 사람들이 대피할 때 출입문에 첫 번째로 도달한 대피자가 당황하여 출입문 손잡이를 비틀지 못해서 열지 못한 결과 문앞에 사람들이 쌓여서 모두 죽은 사건이 있었다. 그래서 나온 것이 비틀지 않고 밀기만 하면 열리는 도어 손잡이이다. 이를 계기로 안전분야 뿐만 아니라 모든 산업현장의 품질관련 분야에 도입된 개념이 바로 바보라도 할 수 있는 이른바 풀프루프(Foolproof)인 것이다.
기존 소화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 화재 발생 시 패닉에 빠진 사용자가 안전핀을 빼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꽉 쥔 악력에 무관하게 작은 힘으로 해제되는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둘째 : 한 번 사용한 소화기를 새로 교환하지 않고 무허가 업자가 불법으로 충약한 결과 압력이 새서 충약 한지 몇 개월 지나지 않아 무용지물이 되며, 이 사실을 모르는 사용자는 그런 소화기를 믿고 계속 비치함으로써 더 큰 화를 자초하게 되므로 소화기의 안전장치를 1회용으로 만들어서 허가받은 자만이 충약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 평상 시 비치된 소화기에서는 안전핀이 잘 빠지고, 이 사실이 눈에 띄지도 않아서 오발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평상 시 비치된 상태에서는 안전핀 부분을 실수로 잘 못 건드려도 결코 안전핀이 빠지지 않는 구조여야 하고, 만약 안전핀이 빠졌을 경우 멀리서도 식별할 수 있어서 관리를 쉽게 해야 한다.
넷째 : 평상시에는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화재에 직면하면 수납 후크에 고정된 호스를 빼내는 것도 더듬거리므로 가능하면 이것도 없애서 사용법을 단순화해야 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 1)
안전장치에 가해진 하중에 관계없이 작은 힘으로 해제가 되는 안전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절편 식 안전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안전장치 지지 부(3)와;
상기 절편들은 각각 한쪽 끝단은 누르는 힘이 집중될 수 있도록 좁은 면적의 형태이고 그 반대쪽 끝단 부는 힘이 분산될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의 형태이며;
안전장치를 수납상태로 셋팅 시 상기 두 개의 절편들은 상기 넓은 면적끼리 서로 마주보게 접촉되어 안전장치 지지 부의 역할을 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한다.
넓은 단면 부가 서로 접촉된다는 의미에서, 두 개의 절편 중 하나의 절편에 있는 단면 부를 넓은 단면 부(35)라 할 때 다른 쪽 절편에 있는 단면 부는 넓은 대응 단면 부(36)가 된다(도 6의 A).
또한, 상기 마주보게 접촉된 넓은 면의 한 쪽 끝단은 상기 두 개의 절편들을 결합시켜주는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는 본 실시 예에서 매우 얇은 막으로 구현하여 잘 꺾이도록 유연하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경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절편들이 꺾일 때는 상기 결합부의 상호 접촉되는 부위가 회전축이 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안전장치가 수납상태일 때 상기 두 개의 절편들이 접촉되는 넓은 면적의 일부에 각각 한 개 이상의 요철(凹凸)부를 둘 수 있되, 하나의 절편에는 깊어질수록 좁아지는 형태이고 다른 쪽 절편의 대응되는 접촉부에는 높아질수록 좁아지는 형태여서 상기 안전장치가 수납상태일 때 상기 두 개의 요철(凹凸)부가 톱니처럼 서로 맞물려서 접촉되는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잡아주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넓은 면적끼리 마주보게 접촉된 상태는 안전장치가 셋팅되어 두 개의 절편들은 안전장치 지지 부(3)가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좁은 면적의 양쪽 끝단에 누르는 힘을 가했을 경우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는 누르는 힘의 작용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오차가 있게 되므로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는 힘의 작용선상에 최대한 가까이 위치시킨다(도 10의 A), (도 56의 C).
상기 절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절편에는 상기 절편들이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를 경계로 꺾이지 않게 똑바로 세움으로써 상기 넓은 면적끼리 서로 마주보게 접촉시키는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두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벡터에 대해 반대방향의 힘을 가하는 해제 부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가 상기 힘의 작용선을 벗어나게 됨으로써 상기 절편들이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를 경계로 꺾어져서 안전장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56의 D).
실시 예에 따라서는 안전장치 수납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접촉되는 상기 넓은 단면 부 또는 넓은 대응 단면 부의 형태는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로부터 반대쪽에 있는 끝단에서만 서로 접촉되고 그 사이의 부분은 직접 접촉되지 않는 형태일 수 있고 직접 접촉되는 부위의 형태도 다양할 수 있다.
그 형태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로부터 반대쪽 끝단의 접촉되는 부위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안전장치의 수납상태가 안정적이다.
안전장치 수납상태 시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로부터 서로 마주보게 접촉되는 부분까지의 중간 부분이 직접 접촉되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지 않거나를 막론하고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물리적 기능이 유사한 부분에 대해 동일한 명칭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나의 절편에 있는 단면 부 중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로부터 반대쪽 끝단의 접촉되는 부위까지를 넓은 단면 부(35)라 하며, 다른 쪽 절편에 있는 단면 부 중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로부터 반대쪽 끝단의 접촉되는 부위까지를 넓은 대응 단면 부(36)라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안전장치를 소화기에 적용했으며,
상기 두 개의 절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절편에는 상기 좁은 면적 쪽 끝 부분의 양쪽에 소화기 손잡이 수직 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돌기(12)를 더 두었으며, 상기 좁은 면적 쪽의 형태는 본 실시 예에서 칼날 형태로 구현했다.
또한, 상기 장착돌기의 안쪽에는 장착 시 신축성을 부여하여 장착을 쉽게 하기 위해 한 개 이상의 절개 부(37)를 두었다(도 6).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절개 부(37)는 두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장치 해제 부는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자동식 소화기일 경우 전기신호에 의하거나 또는 온도센서에 의해 작동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수동으로 당기는 고리형태로 구현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절편들 중 하나 이상의 절편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을 끼우기 위한 스프링 장착 구(38)를 두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두 개의 절편들 중 하나 이상의 절편에 장착하고 타측은 상기 상부손잡이의 일측에 탄성부재 장착부를 두고 여기에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탄성부재를 상기 절편에 장착하는 방식은 상기 스프링 장착 구 형태가 아닌 다양한 방법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활 형상의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활 형상의 스프링은 판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 일 측단의 양쪽에는 절편 식 안전장치의 지지 부에 형성된 활 형상 스프링 장착 홈에 장착을 위한 뿔 모양의 활 형상 스프링 장착돌기(43)와;
상기 활 형상 스프링 장착돌기의 사이에는 장착시의 신축을 위해 활 형상 스프링 절개 부(46)를 둘 수 있으며,
타 측단의 양쪽에는 손잡이 수직 부의 안쪽에서 지지하는 뿔 모양의 가이드 돌기(44)를 두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사이에는 활 형상 스프링 장착 구(45)를 둘 수 있다(도 17).
또한, 이미 사용한 소화기를 무허가 충약 업자가 불법으로 충약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한 1회용 안전장치의 구현을 위해,
상기 두 개의 절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절편에는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 직근에 하나 이상의 절편 절단용 돌기(17)를 두어서, 화재 발생 시 소화기 사용자가 소화기 손잡이를 쥐어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면 상기 두 개의 절편들이 꺾여질 때 절편들은 지렛대가 되고, 절편 절단용 돌기는 받침점의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절편들이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에서 분리됨으로써 재사용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도 7), (도 9).
또한, 비치된 소화기에서 안전장치가 해제되었을 경우 관리자가 멀리서도 식별할 수 있고 수납 후크에 고정된 호스를 빼내는 과정을 없애기 위해,
소화약제를 충전한 봄베 및 손잡이가 체결되는 플러그, 화재발생 시 소화기를 작동하기 위한 상부손잡이와 하부손잡이가 힌지 축으로 플러그에 결합되며, 비 화재 시 상부 손잡이가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손잡이와 하부손잡이 간에 끼워서 고정시켜주는 안전장치로 구성되고 화재발생 시 상기 안전장치를 해제 후 상기 상부손잡이와 하부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봄베에 충전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화재진압용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손잡이의 양 단부(兩 端部)에는 각각 수직 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손잡이의 양 단부(兩 端部)에도 각각 수직 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손잡이 양 단부(兩 端部)에 각각 형성된 상부손잡이의 두 수직 부들에는 기존 소화기의 힌지 축에 대응되는 제1 힌지 축이 끼워지는 제1 축 구멍들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손잡이는 상기 제1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상부손잡이 양 단부에 형성된 두 수직 부들 중 하나 이상의 수직 부에는 상기 제1 축 구멍을 경계로 손으로 움켜쥐는 부분의 반대쪽 끝단에는 정면도상에서 상기 제1 힌지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면을 따라 회전중심을 지나는 임의의 선에 대해 회전면상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접촉 단부(25)를 형성하며, 실시 예에서 상기 접촉단부는 정면도상에서 직선 형태일 수 있다(도 2).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부손잡이 양 단부에 형성된 두 수직 부들에는 상기 제1 축 구멍을 경계로 손으로 움켜쥐는 부분의 반대쪽 끝에 상부 손잡이의 회전 토오크를 높이기 위한 돌출부(27)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는 정면도상에서 회전면을 따라 회전중심까지 그어진 임의의 선에 대해 회전면상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접촉 단부를 형성했으며, 상기 접촉단부는 정면도상에서 직선 형태일 수 있다(도 2).
상기 하부손잡이(2)의 양 단부(兩 端部)에 각각 형성된 하부손잡이의 두 수직 부(9)들에도 상기 제1 힌지 축이 끼워지는 제1 축 구멍들을 형성하고, 이와는 별도로 상기 제1 축 구멍을 경계로 손으로 움켜쥐는 부분의 반대쪽에는 제2 힌지 축이 끼워지는 제2 축 구멍들을 더 두며;
상기 플러그에도 기존 소화기의 힌지 축에 대응되는 제1 힌지 축이 끼워지는 제1 축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손잡이와 상기 하부손잡이와 상기 플러그에 형성된 제1 축 구멍(20)들의 중심축이 일치되고 평면도 상에서 절단하는 면(28)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축 구멍들이 서로 대칭된 형태로 포갠 후 상기 제1 힌지 축(19)이 상기 제1 축 구멍들을 관통하여 조립되고, 상기 제2 힌지 축에는 상기 제2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회동자(6)를 설치하며,
회동자(6)의 양 단부(兩 端部)에는 회동자 수직 부(7)를 둘 수 있고 분사호스가 장착된 소화기일 경우 그 사이에 분사호스를 끼울 수 있으며, 상기 회동자의 두 수직 부(7)의 일 측에는 상기 제2 힌지 축(21)이 끼워지는 제2 축 구멍(22)들이 형성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상부손잡이 또는 상기 하부손잡이 또는 상기 회동자에 두는 상기 제1 축 구멍 또는 상기 제2 축 구멍은 수직 부가 아닌 위치에 둘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 힌지 축을 중심으로 소화기 손잡이를 손으로 쥐는 쪽의 반대편에는 제2 힌지 축이 끼워지는 제2 축 구멍들을 더 두되;
상기 제1 축 구멍들과 제 2 축 구멍들은 상기 하부손잡이 양 단부(兩 端部)에 각각 형성된 하부손잡이의 두 수직 부들에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축 구멍들은 상기 회동자의 두 수직 부에 두는 것 외에 상기 하부손잡이 또는 상기 플러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도 더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손잡이에는 상기 제1 힌지 축을 중심으로 손으로 쥐는 쪽의 반대쪽에 접촉단부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손잡이의 수직 부가 아닌 부분에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회동자에는 대응 접촉단부를 형성하되 상기 회동자의 수직 부가 아닌 부분에 형성할 수 있으며;
회동자의 회동력에 의해 상기 대응 접촉단부가 상기 접촉단부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상부손잡이가 상기 제1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하부손잡이에 대해 누르는 힘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하부손잡이의 두 수직 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직 부의 일부는 상기 하부손잡이(2) 상부의 일부분을 덮는 형태로 한 번 더 꺾이는 수직 부를 둘 수 있으며, 상기 상부를 덮는 수직 부는 상부손잡이의 회전을 멈추는 멈치 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손잡이(2)와 상기 회동자(6)에 형성된 제2 축 구멍(22)들의 중심축이 일치되고 평면도 상에서 절단하는 면(28)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축 구멍들이 서로 대칭된 형태로 포갠 후 상기 제2 힌지 축이 상기 제2 축 구멍들을 관통하여 조립되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동자의 두 수직 부들 중 하나 이상의 수직 부의 일 측에는 안전장치가 수납되게 셋팅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손잡이(1)의 접촉단부(25)와 접촉되는 대응 접촉단부(26)를 형성하며, 상기 대응 접촉단부는 정면도상에서 직선 형태일 수 있다(도 2), (도 3).
상기 회동자 수직 부(7)에는 상기 제2 축 구멍을 경계로 상기 대응 접촉단부(26)의 반대쪽 끝부분에 회동자의 수직 부들을 포함하여 세 방향이상에서 분사호스를 감싸는 형태로 분사호스 파지 부(34)를 둘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분사호스 파지 부는 수직 부들을 포함하여 분사호스를 감싸는 형태이다(도 13).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상부손잡이에 두는 접촉단부(25)는 상부손잡이의 수직 부가 아닌 부분에 둘 수 있으며, 상기 회동자에 두는 대응 접촉단부(26)는 회동자의 수직 부가 아닌 부분에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자(6)는 안전장치가 수납되게 셋팅한 상태일 때 분사호스의 노즐부분이 소화약제가 충전된 봄베에 최대한 접근할 수 있도록 정면도 상에서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으며(도 1);
상기 제2 힌지 축 주위에는 일 측이 상기 하부손잡이 또는 플러그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일 측에 대해 회동하는 타 측은 상기 회동자에 접촉되는 회동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다.
만약 분사호스를 장착하지 않는 소화기일 경우 상기 회동자에는 분사호스 파지부를 두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안전장치가 수납되게 셋팅한 상태일 때 상기 회동자는 소화기의 분사노즐을 가로막는 형태일 수 있고, 상기 회동자의 회동력은 상기 회동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다.
분사호스가 장착되는 소화기일 경우는 상기 회동 스프링은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구부러진 분사호스가 곧게 펴지려는 복원력이 회동 스프링의 탄성력을 대신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번잡성을 피하기 위해 ‘회동자의 회동력’이라 할 때는‘구부러진 분사호스가 곧게 펴지려는 복원력에 의한 회동자의 회동력 또는 회동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회동자의 회동력 또는 그 두 힘의 복합력에 의한 회동자의 회동력’을 뜻한다.
상기 회동자의 회동력은 안전장치가 수납상태일 때 상기 제2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그 방향은 상기 회동자의 끝 부분이 쳐들어지려는 쪽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자의 회동력이 상기 대응 접촉단부(26)와 접촉단부(25)를 통해 언제나 상기 상부손잡이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손잡이가 상기 제1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하부손잡이에 대해 눌리는 힘이 작용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힌지 축(21) 주위에는 일 측이 상기 하부손잡이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일 측에 대해 회동하는 타 측은 상기 회동자(6)에 접촉되는 회동 스프링(39)을 설치하고;
안전장치가 수납되게 셋팅한 상태일 때는 회동이 고정된 상기 접촉단부(25)가 상기 대응 접촉단부(26)에 접촉되어 지지함으로써 회동자(6)가 상기 제2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가, 안전장치 해제 시 회동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대응 접촉단부(26)가 상기 접촉단부(25)를 밀어서 상기 제2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자(6)가 회동함에 따라 분사호스가 분사준비자세로 쳐들어진다(도 14).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대응 접촉단부(26)의 상단부터 이어지며 상기 제2 축 구멍(22)의 중심을 축으로 하는 일정길이의 동심원상 끝단 부(24)를 두고;
안전장치 해제 시 회동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대응 접촉단부(26)가 상기 접촉단부(25)를 밀어서 상기 제2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자(6)가 분사호스를 감싼 상태로 회동함에 따라 분사호스가 분사준비자세로 쳐들어지며, 소화기 사용자가 움켜쥐었던 힘을 제거하여 소화약제가 분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접촉단부(25) 중 일부가 상기 동심원상 끝단 부(24)의 원주상에 접촉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안전장치가 수납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도 7).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또 다른 구현 예로는, 상기 제2 축 구멍을 상기 하부손잡이(2)의 두 수직 부(9)들에는 두지 않고, 상기 플러그에는 기존 소화기의 힌지 축에 대응되는 제1 힌지 축이 끼워지는 제1 축 구멍을 형성하고, 이와는 별도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쪽에 제2 힌지 축이 끼워지는 제2 축 구멍을 더 둘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와 상기 회동자(6)에 형성된 제2 축 구멍들의 중심축이 일치되고 평면도 상에서 절단하는 면(28)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축 구멍들이 서로 대칭된 형태로 포갠 후 상기 제2 힌지 축이 상기 제2 축 구멍들을 관통하여 조립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부손잡이의 두 수직 부에는 절편 식 안전장치의 장착돌기가 끼워지는 장착돌기 끼움부(13)를 두되, 상기 끼움부는 상기 장착돌기가 용이하게 끼워져서 회전이 가능한 크기의 구멍으로 하거나 또는 움푹 들어간 홈일 수 있다(도 2).
상부손잡이의 윗부분에는 안전장치 수납상태로 셋팅 시 절편 식 안전장치 상 절편의 좁은 끝단과 접촉되어 지지해주는 상 절편 지지 홈(29)과;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실수로 상부손잡이만을 쥐고 소화기를 들었을 경우 상부손잡이가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으로 움켜쥐는 상부손잡이 윗부분의 반대쪽 끝에 형성된 상부손잡이 멈치 턱(31)을 둘 수 있으며,
상부손잡이의 윗부분에는 절편 식 안전장치 해제 부가 끼워지는 안전장치 해제 부 끼움 구(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손잡이에는 상 절편(10)을 기준으로 뒷 부분에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탄성부재 장착 부(18)를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손잡이 아랫부분에는 안전장치를 수납상태로 셋팅 시 절편 식 안전장치 하 절편의 좁은 끝단과 접촉되어 지지해주는 하 절편 지지 홈(30)과;
절편 식 안전장치의 하 절편을 지지해주는 하 절편 멈치 부(14)를 둘 수 있다(도 4), (도 5).
또한, 상기 하부손잡이에는 제1 힌지 축과 제2 힌지 축 사이의 윗부분에 상부손잡이 멈치 턱(31)을 지지해주는 멈치 홈(32)이 더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절편식 안전장치의 보호를 위해 상기 제1 힌지 축(19)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U자형의 보호덮개(161)를 장착할 수 있다(도 40), (도 41).
상기 보호덮개(161)의 막혀있는 쪽 상하 끝단에는 멈치턱(161-1)을 두며(도 40),
상기 보호덮개(161)를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손잡이의 수직 부에는 뒤쪽 끝단에 상부손잡이 꼬리 돌출부(162)를 두고(도 40)(도 41),
상기 하부손잡이의 수직 부에도 뒤쪽 끝단에 하부손잡이 꼬리 돌출부(163)를 두고,
상기 보호덮개(161)가 상기 제1 힌지 축(19)을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상부손잡이 꼬리 돌출부(162)와 하부손잡이 꼬리 돌출부(163)가 상기 보호덮개의 멈치턱(161-1) 내부에 상하로 갇혀있는 형태로 장착된다(도 40), (도 41).
또한, 상기 보호덮개(161)의 양 단부에 U자형으로 형성된 두 수직 부들의 열려있는 쪽 일측에 장착 부를 두며,
상기 장착 부에는 수직 부 안쪽에 서로 마주보게 튀어나온 돌기를 둘 수 있으며, 상기 제1 힌지 축을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하고, 상기 마주보게 튀어나온 돌기가 상기 파이프 형태의 제1 힌지 축에 삽입하여 장착되어 상기 보호덮개가 상기 제1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보호덮개(161)는 상기 절편식 안전장치들이 적어도 일부는 보이지 않게 가릴 수 있는 형태로 상기 상부손잡이 수직 부(8)들 양 측면의 바깥에서 감싸듯이 장착된다(도 40), (도 41).
또는, 상기 장착 부의 수직 부 일측에 장착을 위한 구멍을 두며, 상기 파이프 형태의 제1 힌지 축과 상기 장착을 위한 구멍을 관통하는 별도의 축에 의해 상기 보호덮개가 상기 제1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힌지 축은 양쪽이 뿔 형태로 튀어나와 있으며 여기에 상기 구멍형태인 보호덮개(161)의 장착 부가 끼워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힌지 축은 상기 상부손잡이 수직 부(8)의 외부면에 비해 한 쪽은 튀어나오고 한쪽은 들어간 구조로 하고 여기에 장착되는 상기 보호덮개의 장착 부는 한쪽이 구멍형태이고 다른 쪽은 수직 부 안쪽에 돌기를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U자형의 두 수직 부들은 탄성력을 높이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쪽의 안쪽과 바깥쪽 중 적어도 한쪽 이상의 서로 마주보는 쪽을 곡면 형태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상부손잡이와 상기 하부손잡이의 폭 차이를 더 크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손잡이(1)와 상기 하부손잡이(2)의 사이에는 보조덮개(47)를 더 끼우되, 상기 보조덮개의 양 단에 있는 두 수직 부들에는 상기 제1 힌지 축이 끼워지는 제1 축 구멍(20) 또는 제2 힌지 축이 끼워지는 제2 축 구멍(22)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하고 윗부분에는 상부손잡이 멈치 턱(31)이 지지되는 멈치 홈(32)을 더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35).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손잡이를 손으로 쥐는 부분 앞쪽의 상부손잡이(1) 윗부분에 안전장치 해제 부(15)가 끼워지는 안전장치 해제 부 끼움 구(40)를 두고, 화재 발생 시 안전장치 해제 부를 상기 손으로 쥐는 부분의 앞쪽에서 위로빼기 식으로 할 수 있다(도 4).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손잡이를 손으로 쥐는 부분 뒤쪽의 상부손잡이(1) 윗부분에 안전장치 해제 부(15)가 끼워지는 안전장치 해제 부 끼움 구(40)를 두고, 화재 발생 시 안전장치 해제 부를 상기 손으로 쥐는 부분의 뒤쪽에서 빼는 식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절편 식 안전장치는 상기 앞쪽에서 위로빼기 식에 대해 앞뒤로 180도 뒤집어서 장착해야 한다(도 26).
(실시 예 2)
본 실시 예에서는 비 화재 시 소화기가 비치된 상태에서 실수에 의한 오발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장치에 중력감지장치를 추가한다.
상기 중력감지장치에는 소화기 하부손잡이에 장착하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가 장착된 A형 소화기와, 중력 추(167) 또는 스프링 추(167-1)등이 장착되는 B형 소화기가 있다.
본 실시 예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가 장착된 A형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실시 예 1)에서 소개한 절편식 안전장치의 구조와 소화기 상부손잡이(1), 하부손잡이(2), 회동자(6), 보호덮개(161), 플러그(4) 등의 기본구조는 본 실시 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대부분 동일하므로 번잡성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부분에 한해 설명을 생략한다.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가 장착된 A형 소화기에서는 안전장치 해제를 위해 슬라이더(159)가 앞뒤로 왕복 운동 할 수 있게 상기 하부손잡이(2) 하 절편 멈치 부(14)의 앞쪽 바닥에 장착된다(도 40).
상기 슬라이더(159)와 안전장치 해제 부(15)는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1의 B), (도 53의 B).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슬라이더(159)의 앞쪽에 체결 부(159-2)를 두고 여기에 별도 제작한 상기 안전장치 해제 부의 일측을 체결할 수 있다(도 53의 A).
상기 체결부(159-2)의 앞쪽에는 상기 안전장치 해제 부가 끼워지는 가이드(164)를 둘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안전장치 해제 부를 손으로 잡아당겼을 경우 상기 슬라이더(159)의 앞부분이 위로 들리지 않고 앞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도 44).
또한, 상기 가이드(164)는 U자형으로서 한 쪽이 터진 형상일 수 있다(도 41의 B).
또한, 상기 터진 부분의 양쪽 끝에 장착용 돌기를 두어서 상기 하부손잡이(2)의 바닥에 뚫린 가이드 장착구(164-1)에 끼워서 장착할 수 있다(도 44), (도 46).
상기 슬라이더(159)의 앞쪽에는 슬라이더 멈치 부(159-1)를 적어도 한 개 이상 둘 수 있다(도 53).
또한, 슬라이더(159)의 뒤쪽에는 상부로 튀어나온 슬라이더 돌출부(159-3)를 적어도 한 개 이상 둘 수 있다(도 53).
또한, 상기 슬라이더(159)와 슬라이더 멈치 부(159-1)는 일체형일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159)와 슬라이더 돌출부(159-3)도 일체형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59)는 탄성부재에 의해 언제나 뒤쪽으로 당겨지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159)를 뒤쪽으로 당기는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 측은 상기 슬라이더의 중앙부 또는 임의의 일측에 구멍 또는 틈새 또는 돌출부 등을 두어서 장착하고, 타 측은 상기 하부손잡이(2)의 뒤쪽에 탄성부재 장착 부(18-1)를 두어서 여기에 장착한다(도 41), (도 46), (도 53).
상기 하부손잡이 뒤쪽의 탄성부재 장착 부(18-1)는 도면에 표시한 형상이 아닐 수 있으며 그 장착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손잡이(2)의 아래쪽에는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는 장착을 위해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장착 부(157)를 뒤쪽에 둘 수 있다(도 46).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슬라이더(159)를 뒤쪽으로 당기는 탄성부재의 타 측은 상기 하부손잡이(2)에 걸지 않고,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장착 부(157)에 별도의 돌기 또는 구멍 또는 틈새를 두고 여기에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장착 부(157)는 위쪽으로 구부러진 U자형일 수 있으며, 상기 U자형의 오목부에 상기 하부손잡이(2)의 뒷단을 억지끼움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장착 부(157)의 형상은 U자형에 국한하지 않으며, 볼트 체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 뒤쪽의 일부분은 상기 하부손잡이 밑 부분에 밀착되게 장착하고, 적어도 밀착부분의 바로 앞부분은 재료 자체에 탄성력이 있어서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 바닥의 윗면이 상기 하부손잡이(2) 바닥의 밑면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게 한다(도 40).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의 양 단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된 수직 부(156-1)가 있을 수 있으며 장착 시 상기 수직 부는 상기 하부손잡이 수직 부(9)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에는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장착 부(157)가 있는 반대편 일측에 돌출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멈치 부(158)를 두되, 본 실시 예에서는 위쪽으로 돌출된 2개의 멈치 부(158)를 두었다(도 40), (도 41).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와 상기 돌출된 멈치 부(158)는 일체형일 수 있다.
상기 멈치 부(158)는 상기 하부손잡이에 두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하부손잡이 바닥에 있는 멈치 부 관통구(158-1)를 관통하여 장착된다(도 41), (도 46).
사용자가 소화기 손잡이를 잡고 위로 들어올리기 전에는 상기 멈치 부가 상기 슬라이더(159) 앞쪽에 있는 슬라이더 멈치 부(159-1)의 전단을 막고 있어서, 안전장치 해제 부(15)를 잡아당겨도 상기 슬라이더(159)가 앞 쪽으로 움직이지 못하므로 안전장치는 결코 해제되지 않는다(도 40), (도 41).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의 멈치 부(158)에는 그 내부 또는 바깥의 앞쪽과 위쪽에 서로 직각방향으로 멈치턱이 있을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내부에 두었다.
평상시 앞쪽 멈치턱은 상기 슬라이더 멈치 부(159-1)의 전단을 막고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59)가 앞쪽으로 가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위쪽의 멈치턱은 상기 슬라이더 멈치 부(159-1)의 상단에 걸려 있으므로 평상시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7)가 아래쪽으로 빠져서 상기 하부손잡이(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41의 B).
화재 발생 시 소화약제를 분사시키기 위해 소화기 사용자가 소화기 손잡이를 잡고 들어 올리면 소화기의 무게에 의해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가 자체 탄성력을 이기고 위쪽으로 휘어서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 바닥의 윗면이 상기 하부손잡이 바닥의 아래쪽 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의 멈치 부(158)도 위로 올라가서 상기 슬라이더 멈치 부(159-1)의 앞쪽을 가로막고 있던 길을 터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전장치 해제 부를 손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앞 쪽으로 미끄러져 나간 상기 슬라이더(159)에 의해 슬라이더 돌출부(159-3)가 절편식 안전장치의 상 절편 스커트(도 40의 160)를 앞쪽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도 10의 33)가 상기 힘의 작용선(도 56 B의 E)을 벗어나게 됨으로써 상기 절편들이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를 경계로 꺾어져서 안전장치가 해제된다(도 44).
사용한 소화기를 다시 비치하기 위해 상기 A형 소화기는 한 번의 동작으로 간단히 셋팅시킬 수 있는데, 소화기를 바닥에 세운 상태에서 상기 분사준비자세로 쳐들어져 있는 회동자(6)의 끝을 아래쪽으로 한 번 누르는 동작만으로 셋팅이 완료된다(도 52의 A).
상기 A형 소화기는 판매 등의 유통을 위해 유통용 안전핀(165)을 추가로 장착할 수도 있다(도 46의 A).
상기 유통용 안전핀(165)은 장착을 위해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의 두 수직 부(156-1) 또는 상기 멈치부(158)에 관통용 구멍을 두거나 또는 그 모두에 관통용 구멍을 두어서 관통할 수 있으며(도 46 B), 장착상태에서 상기 유통용 안전핀(165)은 상기 하부손잡이(2) 바닥의 밑면과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 바닥의 윗면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소화기를 들어 올렸을 경우 상기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156)가 위쪽으로 휘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제자리에 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유통용 안전핀(165)은 불필요하므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9).
(실시 예 3)
본 실시 예는 중력 추(167) 또는 스프링 추(167-1)등이 장착된 B형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B형 소화기는 소화기의 바닥쪽에 장착하는 중력 추(167)식 또는 소화기의 바닥쪽이나 측면에 장착하는 스프링 추(167-1)식 또는 적외선 센서 또는 압전소자 센서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 센서 또는 레이저광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장착된다.
편의를 위해 상기 중력 추(167)식 또는 소화기의 바닥쪽이나 측면에 장착하는 스프링 추(167-1)식 또는 적외선 센서 또는 압전소자 센서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 센서 또는 레이저광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식을 막론하고 상기 센서들이 장착된 장치를 중력 감지장치라고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실시 예 1)에서 소개한 절편식 안전장치의 구조와 소화기 상부손잡이(1), 하부손잡이(2), 회동자(6), 보호덮개(161), 플러그(4) 등의 기본구조는 본 실시 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대부분 동일하므로 번잡성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부분에 한해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중력 추(167)가 장착된 B형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중력 추(167)가 장착된 B형 소화기에서는 상기 하부손잡이(2) 하 절편 멈치 부(14)의 앞쪽 바닥에 안전장치 해제를 위해 슬라이더(170)가 앞뒤로 왕복 운동 할 수 있게 장착된다(도 49).
상기 슬라이더(170)에는 유연한 연결 줄(168)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연한 연결 줄(168)의 타측은 중력 추(167)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도 47)(도 53의 C).
상기 슬라이더(170)와 유연한 연결 줄(168)은 일체형일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슬라이더(170)의 일측에 별도의 돌기 또는 구멍 또는 틈새로 이루어진 체결부(170-2)를 두고 여기에 유연한 연결 줄을 장착할 수도 있다(도 49), (도 53의 C).
상기 유연한 연결 줄(168)은 별도의 호오스 또는 금속관 속에 끼워진 상태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별도의 호오스 또는 금속관은 상기 유연한 연결 줄(168)의 보호와 함께 움직임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도 49).
또한, 상기 중력 추(167)는 소화기 봄베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시킨 보호관(169) 속에서 상하로 왕복 운동하며, 소화기를 바닥에서 들어 올리면 상기 중력 추(167)가 아래로 내려오고 소화기를 바닥에 세워놓으면 상기 중력 추(167)가 위로 올라간다.
상기 보호관(169)은 상기 하부손잡이(2)의 직하 쪽 봄베에 소화기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연한 연결 줄(168)이 끼워지는 별도의 호오스 또는 금속관의 일측은 상기 하부손잡이(2)의 바닥 앞쪽에 있는 홈에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으며 타측은 상기 보호관(169)의 상부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관(169)의 상부에 끼워진 상기 별도의 호오스 또는 금속관의 타측과 상기 중력 추(167)의 상단은 상기 중력 추(167)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충분한 거리를 두고 띄어서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더(170)의 앞쪽에는 슬라이더 멈치 부(170-1)를 적어도 한 개 이상 둘 수 있다(도 53).
또한, 슬라이더(170)의 뒤쪽에는 슬라이더와 상부로 튀어나온 슬라이더 돌출부(170-3)를 적어도 한 개 이상 둘 수 있다(도 53).
또한, 상기 슬라이더(170)와 슬라이더 멈치 부(170-1)는 일체형일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170)와 슬라이더 돌출부(170-3)도 일체형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70)는 탄성부재에 의해 언제나 뒤쪽으로 당겨지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170)를 뒤쪽으로 당기는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 측은 상기 슬라이더(170)의 중앙부 또는 임의의 일측에 구멍 또는 틈새 또는 돌출부 등을 두어서 장착하고, 타 측은 상기 하부손잡이(2)의 뒤쪽에 탄성부재 장착 부(18-1)를 두어서 여기에 장착할 수 있다(도 46), (도 49), (도 53의 C).
상기 하부손잡이 뒤쪽의 탄성부재 장착 부(18-1)는 도면에 표시한 형상이 아닐 수 있으며 그 장착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비 화재 시 상기 슬라이더(170)의 전단에는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166)에 의해 가로막혀 있되, 상기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166)은 상기 상부손잡이 또는 상기 하부손잡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B형 소화기는 소화기를 구입한 사용자가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166)을 측면빼기 식으로 장착하거나 또는 위로빼기 식으로 바꿔서 장착할 수 있다(도 48), (도 49).
이를 위해 상기 하부손잡이 수직 부(9)들을 관통하는 측면 관통구와 상기 상부손잡이(1)의 윗면과 상기 하부손잡이(2)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상하 관통구를 둘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일본인이라면 구입한 소화기에 상기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166)을 위로빼기 식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이는 일본인에게 이미 익숙한 방식이 된다(도 48).
반면 사용자가 한국인이라면 구입한 소화기에 상기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166)을 측면빼기 식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인에게 이미 익숙한 방식이다(도 49).
상기 측면빼기 식과 위로빼기 식을 막론하고 장착된 상기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166)은 상기 슬라이더(170) 앞쪽에 있는 상기 슬라이더 멈치 부(170-1)의 전단을 막고 있기 때문에 소화기를 바닥에서 들어 올려도 상기 중력 추(167)의 무게에도 불구하고 상기 슬라이더(170)가 앞쪽으로 이동되지 못하므로 안전장치는 결코 해제되지 않는다(도 47).
화재 발생 시 소화약제를 분사시키기 위해 소화기 사용자가 소화기 손잡이를 잡고 들어 올리면 상기 중력 추(167)가 그 무게 때문에 내려오려는 힘이 상기 유연한 연결 줄(168)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170)에 전달되고,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166)을 뽑으면 상기 슬라이더(170)는 상기 슬라이더(170)를 뒤쪽으로 당기고 있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기고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 돌출부(170-3)가 절편식 안전장치의 상 절편 스커트를 앞쪽으로 밀게 되고,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도 10의 33)가 상기 힘의 작용선(도 56 B의 E)을 벗어나게 됨으로써 상기 절편들이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를 경계로 꺾어져서 안전장치가 해제된다(도 50).
사용한 소화기를 다시 비치하기 위해 상기 B형 소화기는 한 번의 동작으로 간단히 셋팅시킬 수 있는데, 소화기를 바닥에 세운 상태에서 상기 분사준비자세로 쳐들어져 있는 회동자(6)의 끝을 아래쪽으로 한 번 누르는 동작만으로 셋팅이 완료된다(도 52의 B).
다음은 스프링 추(167-1)가 장착된 B형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중력 추(167)를 무게가 가벼운 스프링 추(167-1)와 추 스프링(167-2)의 조합으로 대신한 것이며 그 이외의 작동방식, 구성 등은 상기 중력 추(167) 식과 동일하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 추(167-1)가 유연한 연결줄(168)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70)와 연결되어 보호관(169) 속에서 왕복 운동한다.
상기 보호관에는 추 스프링의 멈치 부가 있고 상기 추 스프링(167-2)이 상기 추 스프링 멈치 부와 상기 스프링 추(167-1)의 사이에 장착된다(도 51).
상기 중력 추(167) 식과 마찬가지로 스프링 추(167-1)가 장착된 B형 소화기에서도 상기 하부손잡이(2) 하 절편 멈치 부(14)의 앞쪽 바닥에 안전장치 해제를 위해 슬라이더(170)가 앞뒤로 왕복 운동 할 수 있게 장착된다(도 49).
상기 슬라이더(170)에는 유연한 연결 줄(168)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연한 연결 줄(168)의 타측은 스프링 추(167-1)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도 51)(도 53의 C).
상기 슬라이더(170)와 유연한 연결 줄(168)은 일체형일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슬라이더(170)의 일측에 별도의 돌기 또는 구멍 또는 틈새로 이루어진 체결부(170-2)를 두고 여기에 유연한 연결 줄을 장착할 수도 있다(도 49), (도 53의 C).
상기 유연한 연결 줄(168)은 별도의 호오스 또는 금속관 속에 끼워진 상태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별도의 호오스 또는 금속관은 상기 유연한 연결 줄(168)의 보호와 함께 움직임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도 49).
또한, 상기 스프링 추(167-1)는 소화기 봄베에 고정시킨 보호관(169) 속에서 왕복 운동하며, 사용자에 의해 소화기가 들어 올려 진 상태이면 상기 스프링 추(167-1)는 상기 추 스프링(167-2)이 복원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소화기가 비치상태이면 상기 스프링 추(167-1)가 상기 추 스프링(167-2)이 눌리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벽걸이형 소화기 등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스프링 추(167-1)의 왕복 운동 방향은 상하방향이 아니라 측면방향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관(169)은 상기 하부손잡이(2)의 직하 쪽 봄베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연한 연결 줄(168)이 끼워지는 별도의 호오스 또는 금속관의 일측은 상기 하부손잡이(2)의 바닥 앞쪽에 있는 홈에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으며 타측은 상기 보호관(169)의 상부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관(169)의 상부에 끼워진 상기 별도의 호오스 또는 금속관의 타측과 상기 스프링 추(167-1)의 상단은 상기 스프링 추(167-1)가 왕복운동 할 수 있게 충분한 거리를 두고 띄어서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더(170)의 앞쪽에는 슬라이더 멈치 부(170-1)를 적어도 한 개 이상 둘 수 있다(도 53).
또한, 슬라이더(170)의 뒤쪽에는 상부로 튀어나온 슬라이더 돌출부(170-3)를 적어도 한 개 이상 둘 수 있다(도 53).
또한, 상기 슬라이더(170)와 슬라이더 멈치 부(170-1)는 일체형일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170)와 슬라이더 돌출부(170-3)도 일체형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70)는 탄성부재에 의해 언제나 뒤쪽으로 당겨지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170)를 뒤쪽으로 당기는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 측은 상기 슬라이더(170)의 중앙부 또는 임의의 일측에 구멍 또는 틈새 또는 돌출부 등을 두어서 장착하고, 타 측은 상기 하부손잡이(2)의 뒤쪽에 탄성부재 장착 부(18-1)를 두어서 여기에 장착할 수 있다(도 46), (도 49), (도 53의 C).
상기 뒤쪽의 탄성부재 장착 부(18-1)는 도면에 표시한 형상이 아닐 수 있으며 그 장착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상기 B형 소화기는 소화기를 구입한 사용자가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166)을 측면빼기 식으로 장착하거나 또는 위로빼기 식으로 바꿔서 장착할 수 있다(도 48), (도 49).
이를 위해 상기 하부손잡이 수직 부(9)들을 관통하는 측면 관통구와 상기 상부손잡이(1)의 윗면과 상기 하부손잡이(2)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상하 관통구를 둘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일본인이라면 구입한 소화기에 상기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166)을 위로빼기 식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이는 일본인에게 이미 익숙한 방식이 된다(도 48).
반면 사용자가 한국인이라면 구입한 소화기에 상기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166)을 측면빼기 식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인에게 이미 익숙한 방식이다(도 49).
상기 측면빼기 식과 위로빼기 식을 막론하고 장착된 상기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166)은 상기 슬라이더(170) 앞쪽에 있는 상기 슬라이더 멈치 부(170-1)의 전단을 막고 있기 때문에 소화기를 바닥에서 들어 올려도 상기 추 스프링(167-2)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슬라이더(170)가 앞쪽으로 이동되지 못하므로 안전장치는 결코 해제되지 않는다(도 48).
화재 발생 시 소화약제를 분사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소화기 손잡이를 잡고 들어 올린 후 상기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166)을 뽑으면 상기 추 스프링(167-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70)가 앞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상기 슬라이더(170)를 뒤쪽으로 당기고 있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기고 앞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 돌출부(170-3)가 절편식 안전장치의 상 절편 스커트를 앞쪽으로 밀게 되고,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도 10의 33)가 상기 힘의 작용선(도 56 B의 E)을 벗어나게 됨으로써 상기 절편들이 상기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를 경계로 꺾어져서 안전장치가 해제된다(도 50).
사용한 소화기를 다시 비치하기 위해 상기 B형 소화기는 한 번의 동작으로 간단히 셋팅시킬 수 있는데, 소화기를 바닥에 세운 상태에서 상기 분사준비자세로 쳐들어져 있는 회동자(6)의 끝을 아래쪽으로 한 번 누르는 동작만으로 셋팅이 완료된다(도 52의 B).
또한 상기 중력감지장치에는 적외선 센서 또는 압전소자 센서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 센서 또는 레이저광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다.
소화기를 벽에 걸어서 비치할 경우를 위해 상기 소자들을 소화기의 측면에 장착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소화기를 벽에서 이탈시켰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안전장치가 해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한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안전장치 성능의 물리학적 증명)
(도 54) A에서 동일체이고 양 끝이 뾰족한 두 개의 강체로 된 절편 g와 h가 있다. 이 절편들이 절점 d에서 서로 거울상으로 접촉된 체 고정된 강체바닥에 수직으로 서 있고, 이것을 위에서 힘 F로 누르고 있다. 이 때 하부 절편 h가 바닥에 접촉된 점에서는 뉴턴의 제3법칙에 의해 힘 F와 크기가 같고 부호가 반대인 힘 F′가 생긴다. 힘 F와 F′의 작용선 E가 절점 d를 지나고 평형상태에 있다면 힘 F의 크기에 관계없이 절편들은 어느 쪽으로도 꺾이지 않을 것이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해 절점 d에서 왼쪽으로 힘을 받는다면 절편들은 스프링 쪽으로 꺾일 것이다(도 54의 B).
(도 54) C는 절점 d에 실을 묶어서 스프링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모습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절편의 마찰력과 질량을 무시할 경우, 스프링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스프링의 장력보다 조금이라도 크면 절편들은 손으로 당기는 쪽으로 꺾이며 이는 힘 F의 크기에 무관하다.
(도 54) A의 모양을 (도 55) A의 빗금친 부분에 살을 붙여서 변형시킨 것이 (도 55) B이다.
(도 55) B에서 두 개의 절편 g와 h의 접촉선 좌측단에 절점 d를 위치시키고 이 부분만 접히기 쉽게 결합되어 있다. 이것을 위에서 힘 F로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d점으로부터 작용선 E에 직각으로 만나는 선을 연장하여 절편 g의 끝단에 탄성이 없는 실을 묶어서 힘 f로 우측으로 당겼을 때의 모습이 (도 55) C와 D이다. 이제 (도 55) C에서 절점 d로부터 작용선 E까지의 거리 b만큼 우측으로 당겼을 때의 역학관계를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써서 알아보자.
실을 당겨서 거리 b만큼 움직인다면 절편 g의 경사선 a가 작용선 E의 경로와 겹치게 되고 절편 g의 위 끝단은 누르는 힘 F를 이기고
만큼 상승하게 되며 이 지점이 정점이 된다. 우변에 2를 곱하는 이유는 하부 절편 h도 일어서서 똑같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위의 식으로부터 우리는 힘의 작용선에서 절점 d까지의 거리 b가 작을 수록 절편의 정점까지의 상승높이 c가 작아지고, b=0일 때 즉, 절점 d가 작용 선 E의 위치에 있을 때 c=o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에서, 상승거리 c=0라면 일을 하지 않는 것이 되어서 전혀 힘이 들지 않는다.
(도 56) A는 (도 55) C의 절편들을 작용선을 따라 절단하여 좌측은 버리고 우측만 취한 후 작용선 E의 위치에 절점 d를 두고 위에서 힘 F로 누르고 있으며, (도 56) B는 절점 d의 우측단에 실을 묶어 당기고 있는 모습이다. 이 경우 절편의 위 끝단은 정점에서 내려온다.
(도 56) C와 D는 (도 56) A와 B의 절편을 본 발명의 안전장치 절편의 형상으로 변형시킨 것이다. 절편 g는 안전장치 상 절편(10)에 대응하고 절편 h는 안전장치 하 절편(11)에 대응하고 절점 d는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에 대응하고 스프링은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16)에 대응하고 손으로 당기는 실은 안전장치 해제 부(15)에 대응한다.
(도 56) D에서 안전장치 해제 부(15)는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 56) C에서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로부터 힘의 작용선(E)에 직각 방향의 오른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넓은 단면 부(35)와 넓은 대응 단면 부(36)가 서로 접촉되어 있다. 이 부분의 역할은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16)이 좌측으로 당길 때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가 작용선 E를 벗어나지 않게 멈치턱의 역할을 한다.
즉, 절편 식 안전장치 상하 절편의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가 힘의 작용선 E에 위치할 경우 좌측에 있는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16) 쪽으로 힘을 받지만 우측의 멈치턱 때문에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33)는 작용선 E를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므로 힘 F로 위에서 눌러도 어느 쪽으로도 꺾이지 않으므로 안전장치의 역할을 충실히 하며, 안전장치 해제 부(15)의 당기는 힘이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16)의 장력보다 크면 안전장치 해제 부(15)가 당기는 쪽으로 절편들이 꺾여서 안전장치가 해제된다.
따라서 안전장치를 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힘은 누르는 힘 F의 크기에 무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가 발전하고 복잡해질수록 화재의 빈도 및 피해규모도 커진다. 따라서 화재발생 시 골든타임을 놓지지 않고 초기소화하는 것이야말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발명의 소화기는 구조상 오발사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한 번의 동작으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국민의 생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편리성과 신뢰성 때문에 소화기 자체의 판매로 인한 수익사업의 가능성 또한 크다고 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3 : 안전장치 지지 부
4 : 플러그
5 : 분사호스
6 : 회동자
7 : 회동자 수직 부
8 : 상부손잡이 수직 부
9 : 하부손잡이 수직 부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2 : 장착돌기
13 : 장착돌기 끼움 부
14 : 하 절편 멈치 부
15 : 안전장치 해제 부
16 :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
17 : 절편 절단용 돌기
18 : 탄성부재 장착 부
18-1: 탄성부재 장착 부
19 : 제1 힌지 축
20 : 제1 축 구멍(상부손잡이, 하부손잡이, 플러그에 형성)
21 : 제2 힌지 축
22 : 제2 축 구멍(도면에서 하부손잡이, 회동자에 형성)
23 : 동심원
24 : 동심원상 끝단 부
25 : 접촉 단부
26 : 대응 접촉 단부
27 : 돌출부
28 : 절단하는 면
29 : 상 절편 지지 홈
30 : 하 절편 지지 홈
31 : 상부손잡이 멈치 턱
32 : 멈치 홈
33 :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
34 : 분사호스 파지 부
35 : 넓은 단면 부
36 : 넓은 대응 단면 부
37 : 절개 부
38 : 스프링 장착 구
39 : 회동 스프링
40 : 안전장치 해제 부 끼움 구
41 : 활 형상 스프링
42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홈
43 : 활 형상 스프링 장착돌기
44 : 가이드 돌기
45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구
46 : 활 형상 스프링 절개 부
47 : 보조덮개
101 : 기존 소화기의 상부손잡이
102 : 기존 소화기의 하부손잡이
104 : 기존 소화기의 플러그
105 : 기존 소화기의 분사호스
115 : 기존 소화기의 안전핀
119 : 기존 소화기의 힌지 축
148 : 기존 소화기의 분사호스 수납 후크
149 : 밸브 스템(valve stem)
150 : 밸브 고무
151 : 밸브 시트(valve seat)
152 : 소화약제
153 : 압축가스
154 : 밸브 스템 복귀스프링
155 : 봄베
156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156-1: 수직 부
157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장착 부
158 : 멈치 부
158-1: 멈치 부 관통구
159 : 슬라이더
159-1: 슬라이더 멈치 부
159-2: 체결 부
159-3: 슬라이더 돌출부
160 : 상 절편 스커트
161 : 보호덮개
161-1: 멈치턱
162 : 상부손잡이 꼬리 돌출부
163 : 하부손잡이 꼬리 돌출부
164 : 가이드
164-1: 가이드 장착구
165 : 유통용 안전핀
166 :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
167 : 중력 추
167-1: 스프링 추
167-2: 추 스프링
168 : 유연한 연결 줄
169 : 보호관
170 : 슬라이더
170-1: 슬라이더 멈치 부
170-2: 체결 부
170-3: 슬라이더 돌출부
(도면별 부호의 정리)
(도 1)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3 : 안전장치 지지 부
5 : 분사호스
6 : 회동자
(도 2)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4 : 플러그
5 : 분사호스
6 : 회동자
7 : 회동자 수직 부
8 : 상부손잡이 수직 부
9 : 하부손잡이 수직 부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2 : 장착돌기
13 : 장착돌기 끼움 부
14 : 하 절편 멈치 부
15 : 안전장치 해제 부
16 :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
17 : 절편 절단용 돌기
18 : 탄성부재 장착 부
19 : 제1 힌지 축
20 : 제1 축 구멍(도면에서 상부손잡이, 하부손잡이, 플러그에 형성)
21 : 제2 힌지 축
22 : 제2 축 구멍(도면에서 하부손잡이, 회동자에 형성)
23 : 동심원
24 : 동심원상 끝단 부
25 : 접촉 단부
26 : 대응 접촉 단부
27 : 돌출부
35 : 넓은 단면 부
36 : 넓은 대응 단면 부
(도 3)
28 : 절단하는 면
(도 4)
14 : 하 절편 멈치 부
18 : 탄성부재 장착 부
29 : 상 절편 지지 홈
30 : 하 절편 지지 홈
31 : 상부손잡이 멈치 턱
32 : 멈치 홈
(도 5)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14 : 하 절편 멈치 부
17 : 절편 절단용 돌기
18 : 탄성부재 장착 부
27 : 돌출부
31 : 상부손잡이 멈치 턱
32 : 멈치 홈
33 :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
34 : 분사호스 파지 부
(도 6)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2 : 장착돌기
15 : 안전장치 해제 부
17 : 절편 절단용 돌기
35 : 넓은 단면 부
36 : 넓은 대응 단면 부
37 : 절개 부
38 : 스프링 장착 구
(도 7)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7 : 절편 절단용 돌기
19 : 제1 힌지 축
20 : 제1 축 구멍(도면에서 상부손잡이, 하부손잡이, 플러그에 형성)
21 : 제2 힌지 축
22 : 제2 축 구멍(도면에서 하부손잡이, 회동자에 형성)
23 : 동심원
24 : 동심원상 끝단 부
25 : 접촉 단부
26 : 대응 접촉 단부
27 : 돌출부
33 :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
35 : 넓은 단면 부
36 : 넓은 대응 단면 부
(도 8)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6 : 회동자
13 : 장착돌기 끼움부
14 : 하 절편 멈치 부
19 : 제1 힌지 축
20 : 제1 축 구멍(도면에서 상부손잡이, 하부손잡이, 플러그에 형성)
21 : 제2 힌지 축
22 : 제2 축 구멍(도면에서 하부손잡이, 회동자에 형성)
27 : 돌출부
31 : 상부손잡이 멈치 턱
32 : 멈치 홈
34 : 분사호스 파지 부
39 : 회동 스프링
40 : 안전장치 해제 부 끼움 구
(도 9)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7 : 절편 절단용 돌기
33 :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
(도 10)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33 :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
38 : 스프링 장착 구
(도 11)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6 :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
33 :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
38 : 스프링 장착 구
(도 13)
34 : 분사호스 파지 부
(도 14)
1 : 상부손잡이
5 : 분사호스
6 : 회동자
16 :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
19 : 제1 힌지 축
20 : 제1 축 구멍(도면에서 상부손잡이, 하부손잡이, 플러그에 형성)
21 : 제2 힌지 축
22 : 제2 축 구멍(도면에서 하부손잡이, 회동자에 형성)
(도 15)
41 : 활 형상 스프링
42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홈
(도 16)
6 : 회동자
7 : 회동자 수직 부
11 : 하 절편
14 : 하 절편 멈치 부
18 : 탄성부재 장착 부
41 : 활 형상 스프링
42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홈
43 : 활 형상 스프링 장착돌기
(도 17)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41 : 활 형상 스프링
42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홈
43 : 활 형상 스프링 장착돌기
44 : 가이드 돌기
45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구
46 : 활 형상 스프링 절개 부
(도 19)
14 : 하 절편 멈치 부
18 : 탄성부재 장착 부
44 : 가이드 돌기
45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구
(도 20)
41 : 활 형상 스프링
42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홈
43 : 활 형상 스프링 장착돌기
44 : 가이드 돌기
45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구
46 : 활 형상 스프링 절개 부
(도 21)
41 : 활 형상 스프링
(도 23)
2 : 하부손잡이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4 : 하 절편 멈치 부
18 : 탄성부재 장착 부
41 : 활 형상 스프링
(도 26)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6 : 회동자
14 : 하 절편 멈치 부
16 :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
18 : 탄성부재 장착 부
(도 35)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20 : 제1 축 구멍(도면에서 상부손잡이, 하부손잡이, 보조덮개에 형성)
22 : 제2 축 구멍(도면에서 하부손잡이, 보조덮개에 형성)
31 : 상부손잡이 멈치 턱
32 : 멈치 홈
47 : 보조덮개
(도 36)
105 : 기존 소화기의 분사호스
115 : 기존 소화기의 안전핀
148 : 기존 소화기의 분사호스 수납 후크
(도 37)
101 : 기존 소화기의 상부손잡이
102 : 기존 소화기의 하부손잡이
104 : 기존 소화기의 플러그
105 : 기존 소화기의 분사호스
119 : 기존 소화기의 힌지 축
149 : 밸브 스템
150 : 밸브 고무
151 : 밸브 시트
152 : 소화약제
153 : 압축가스
154 : 밸브 스템 복귀스프링
155 : 봄베
(도 38)
149 : 밸브 스템(valve stem)
150 : 밸브 고무
151 : 밸브 시트(valve seat)
152 : 소화약제
153 : 압축가스
(도 39)
15 : 안전장치 해제 부
156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161 : 보호덮개
(도 40)
156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158 : 멈치 부
159 : 슬라이더
160 : 상 절편 스커트
161 : 보호덮개
161-1: 멈치턱
162 : 상부손잡이 꼬리 돌출부
163 : 하부손잡이 꼬리 돌출부
(도 41)
158 : 멈치 부
159 : 슬라이더
160 : 상 절편 스커트
(도 42)
158 : 멈치 부
159 : 슬라이더
(도 43)
158 : 멈치 부
159 : 슬라이더
(도 44)
6 : 회동자
156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158 : 멈치 부
159 : 슬라이더
164 : 가이드
(도 46)
2 : 하부손잡이
18-1: 탄성부재 장착 부
156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156-1: 수직 부
157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장착 부
158 : 멈치 부
158-1: 멈치 부 관통구
163 : 하부손잡이 꼬리 돌출부
164-1: 가이드 장착구
165 : 유통용 안전핀
(도 47)
166 :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
167 : 중력 추
168 : 유연한 연결 줄
169 : 보호관
(도 48)
166 :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
170 : 슬라이더
(도 49)
166 :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
168 : 유연한 연결 줄
170 : 슬라이더
(도 51)
167-1: 스프링 추
167-2: 추 스프링
168 : 유연한 연결 줄
169 : 보호관
(도 53)
15 : 안전장치 해제 부
159 : 슬라이더
159-1: 슬라이더 멈치 부
159-2: 체결 부
159-3: 슬라이더 돌출부
168 : 유연한 연결 줄
170 : 슬라이더
170-1: 슬라이더 멈치 부
170-2: 체결 부
170-3: 슬라이더 돌출부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3 : 안전장치 지지 부
4 : 플러그
5 : 분사호스
6 : 회동자
7 : 회동자 수직 부
8 : 상부손잡이 수직 부
9 : 하부손잡이 수직 부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2 : 장착돌기
13 : 장착돌기 끼움 부
14 : 하 절편 멈치 부
15 : 안전장치 해제 부
16 :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
17 : 절편 절단용 돌기
18 : 탄성부재 장착 부
18-1: 탄성부재 장착 부
19 : 제1 힌지 축
20 : 제1 축 구멍(상부손잡이, 하부손잡이, 플러그에 형성)
21 : 제2 힌지 축
22 : 제2 축 구멍(도면에서 하부손잡이, 회동자에 형성)
23 : 동심원
24 : 동심원상 끝단 부
25 : 접촉 단부
26 : 대응 접촉 단부
27 : 돌출부
28 : 절단하는 면
29 : 상 절편 지지 홈
30 : 하 절편 지지 홈
31 : 상부손잡이 멈치 턱
32 : 멈치 홈
33 :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
34 : 분사호스 파지 부
35 : 넓은 단면 부
36 : 넓은 대응 단면 부
37 : 절개 부
38 : 스프링 장착 구
39 : 회동 스프링
40 : 안전장치 해제 부 끼움 구
41 : 활 형상 스프링
42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홈
43 : 활 형상 스프링 장착돌기
44 : 가이드 돌기
45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구
46 : 활 형상 스프링 절개 부
47 : 보조덮개
101 : 기존 소화기의 상부손잡이
102 : 기존 소화기의 하부손잡이
104 : 기존 소화기의 플러그
105 : 기존 소화기의 분사호스
115 : 기존 소화기의 안전핀
119 : 기존 소화기의 힌지 축
148 : 기존 소화기의 분사호스 수납 후크
149 : 밸브 스템(valve stem)
150 : 밸브 고무
151 : 밸브 시트(valve seat)
152 : 소화약제
153 : 압축가스
154 : 밸브 스템 복귀스프링
155 : 봄베
156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156-1: 수직 부
157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장착 부
158 : 멈치 부
158-1: 멈치 부 관통구
159 : 슬라이더
159-1: 슬라이더 멈치 부
159-2: 체결 부
159-3: 슬라이더 돌출부
160 : 상 절편 스커트
161 : 보호덮개
161-1: 멈치턱
162 : 상부손잡이 꼬리 돌출부
163 : 하부손잡이 꼬리 돌출부
164 : 가이드
164-1: 가이드 장착구
165 : 유통용 안전핀
166 :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
167 : 중력 추
167-1: 스프링 추
167-2: 추 스프링
168 : 유연한 연결 줄
169 : 보호관
170 : 슬라이더
170-1: 슬라이더 멈치 부
170-2: 체결 부
170-3: 슬라이더 돌출부
(도면별 부호의 정리)
(도 1)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3 : 안전장치 지지 부
5 : 분사호스
6 : 회동자
(도 2)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4 : 플러그
5 : 분사호스
6 : 회동자
7 : 회동자 수직 부
8 : 상부손잡이 수직 부
9 : 하부손잡이 수직 부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2 : 장착돌기
13 : 장착돌기 끼움 부
14 : 하 절편 멈치 부
15 : 안전장치 해제 부
16 :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
17 : 절편 절단용 돌기
18 : 탄성부재 장착 부
19 : 제1 힌지 축
20 : 제1 축 구멍(도면에서 상부손잡이, 하부손잡이, 플러그에 형성)
21 : 제2 힌지 축
22 : 제2 축 구멍(도면에서 하부손잡이, 회동자에 형성)
23 : 동심원
24 : 동심원상 끝단 부
25 : 접촉 단부
26 : 대응 접촉 단부
27 : 돌출부
35 : 넓은 단면 부
36 : 넓은 대응 단면 부
(도 3)
28 : 절단하는 면
(도 4)
14 : 하 절편 멈치 부
18 : 탄성부재 장착 부
29 : 상 절편 지지 홈
30 : 하 절편 지지 홈
31 : 상부손잡이 멈치 턱
32 : 멈치 홈
(도 5)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14 : 하 절편 멈치 부
17 : 절편 절단용 돌기
18 : 탄성부재 장착 부
27 : 돌출부
31 : 상부손잡이 멈치 턱
32 : 멈치 홈
33 :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
34 : 분사호스 파지 부
(도 6)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2 : 장착돌기
15 : 안전장치 해제 부
17 : 절편 절단용 돌기
35 : 넓은 단면 부
36 : 넓은 대응 단면 부
37 : 절개 부
38 : 스프링 장착 구
(도 7)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7 : 절편 절단용 돌기
19 : 제1 힌지 축
20 : 제1 축 구멍(도면에서 상부손잡이, 하부손잡이, 플러그에 형성)
21 : 제2 힌지 축
22 : 제2 축 구멍(도면에서 하부손잡이, 회동자에 형성)
23 : 동심원
24 : 동심원상 끝단 부
25 : 접촉 단부
26 : 대응 접촉 단부
27 : 돌출부
33 :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
35 : 넓은 단면 부
36 : 넓은 대응 단면 부
(도 8)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6 : 회동자
13 : 장착돌기 끼움부
14 : 하 절편 멈치 부
19 : 제1 힌지 축
20 : 제1 축 구멍(도면에서 상부손잡이, 하부손잡이, 플러그에 형성)
21 : 제2 힌지 축
22 : 제2 축 구멍(도면에서 하부손잡이, 회동자에 형성)
27 : 돌출부
31 : 상부손잡이 멈치 턱
32 : 멈치 홈
34 : 분사호스 파지 부
39 : 회동 스프링
40 : 안전장치 해제 부 끼움 구
(도 9)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7 : 절편 절단용 돌기
33 :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
(도 10)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33 :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
38 : 스프링 장착 구
(도 11)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6 :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
33 : 유연하게 꺾이는 결합부
38 : 스프링 장착 구
(도 13)
34 : 분사호스 파지 부
(도 14)
1 : 상부손잡이
5 : 분사호스
6 : 회동자
16 :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
19 : 제1 힌지 축
20 : 제1 축 구멍(도면에서 상부손잡이, 하부손잡이, 플러그에 형성)
21 : 제2 힌지 축
22 : 제2 축 구멍(도면에서 하부손잡이, 회동자에 형성)
(도 15)
41 : 활 형상 스프링
42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홈
(도 16)
6 : 회동자
7 : 회동자 수직 부
11 : 하 절편
14 : 하 절편 멈치 부
18 : 탄성부재 장착 부
41 : 활 형상 스프링
42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홈
43 : 활 형상 스프링 장착돌기
(도 17)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41 : 활 형상 스프링
42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홈
43 : 활 형상 스프링 장착돌기
44 : 가이드 돌기
45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구
46 : 활 형상 스프링 절개 부
(도 19)
14 : 하 절편 멈치 부
18 : 탄성부재 장착 부
44 : 가이드 돌기
45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구
(도 20)
41 : 활 형상 스프링
42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홈
43 : 활 형상 스프링 장착돌기
44 : 가이드 돌기
45 : 활 형상 스프링 장착 구
46 : 활 형상 스프링 절개 부
(도 21)
41 : 활 형상 스프링
(도 23)
2 : 하부손잡이
10 : 상 절편
11 : 하 절편
14 : 하 절편 멈치 부
18 : 탄성부재 장착 부
41 : 활 형상 스프링
(도 26)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6 : 회동자
14 : 하 절편 멈치 부
16 : 안전장치 절편 스프링
18 : 탄성부재 장착 부
(도 35)
1 : 상부손잡이
2 : 하부손잡이
20 : 제1 축 구멍(도면에서 상부손잡이, 하부손잡이, 보조덮개에 형성)
22 : 제2 축 구멍(도면에서 하부손잡이, 보조덮개에 형성)
31 : 상부손잡이 멈치 턱
32 : 멈치 홈
47 : 보조덮개
(도 36)
105 : 기존 소화기의 분사호스
115 : 기존 소화기의 안전핀
148 : 기존 소화기의 분사호스 수납 후크
(도 37)
101 : 기존 소화기의 상부손잡이
102 : 기존 소화기의 하부손잡이
104 : 기존 소화기의 플러그
105 : 기존 소화기의 분사호스
119 : 기존 소화기의 힌지 축
149 : 밸브 스템
150 : 밸브 고무
151 : 밸브 시트
152 : 소화약제
153 : 압축가스
154 : 밸브 스템 복귀스프링
155 : 봄베
(도 38)
149 : 밸브 스템(valve stem)
150 : 밸브 고무
151 : 밸브 시트(valve seat)
152 : 소화약제
153 : 압축가스
(도 39)
15 : 안전장치 해제 부
156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161 : 보호덮개
(도 40)
156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158 : 멈치 부
159 : 슬라이더
160 : 상 절편 스커트
161 : 보호덮개
161-1: 멈치턱
162 : 상부손잡이 꼬리 돌출부
163 : 하부손잡이 꼬리 돌출부
(도 41)
158 : 멈치 부
159 : 슬라이더
160 : 상 절편 스커트
(도 42)
158 : 멈치 부
159 : 슬라이더
(도 43)
158 : 멈치 부
159 : 슬라이더
(도 44)
6 : 회동자
156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158 : 멈치 부
159 : 슬라이더
164 : 가이드
(도 46)
2 : 하부손잡이
18-1: 탄성부재 장착 부
156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156-1: 수직 부
157 : 탄성체식 중력감지장치 장착 부
158 : 멈치 부
158-1: 멈치 부 관통구
163 : 하부손잡이 꼬리 돌출부
164-1: 가이드 장착구
165 : 유통용 안전핀
(도 47)
166 :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
167 : 중력 추
168 : 유연한 연결 줄
169 : 보호관
(도 48)
166 :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
170 : 슬라이더
(도 49)
166 : 슬라이더 멈치 안전핀
168 : 유연한 연결 줄
170 : 슬라이더
(도 51)
167-1: 스프링 추
167-2: 추 스프링
168 : 유연한 연결 줄
169 : 보호관
(도 53)
15 : 안전장치 해제 부
159 : 슬라이더
159-1: 슬라이더 멈치 부
159-2: 체결 부
159-3: 슬라이더 돌출부
168 : 유연한 연결 줄
170 : 슬라이더
170-1: 슬라이더 멈치 부
170-2: 체결 부
170-3: 슬라이더 돌출부
Claims (1)
- 소화기.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756,338 US10828519B2 (en) | 2015-09-02 | 2016-09-01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providing user convenience |
KR1020167034142A KR101756052B1 (ko) | 2015-09-02 | 2016-09-01 |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자동소화기 |
JP2018511390A JP2018526110A (ja) | 2015-09-02 | 2016-09-01 | 使用者の便宜性を提供する自動消火器 |
PCT/KR2016/009800 WO2017039357A1 (ko) | 2015-09-02 | 2016-09-01 |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자동소화기 |
CN201680063728.6A CN108348795A (zh) | 2015-09-02 | 2016-09-01 | 提供用户便利度的自动灭火器 |
EP16842323.4A EP3345658A4 (en) | 2015-09-02 | 2016-09-01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WITH OPERATING COMFO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3915 | 2015-09-02 | ||
KR20150123915 | 2015-09-0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7658A true KR20170027658A (ko) | 2017-03-10 |
Family
ID=584110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5862A KR20170027658A (ko) | 2015-09-02 | 2016-08-22 | 안전장치 해제 시 자동으로 분사호스가 쳐들어질 수 있는 소화기 |
KR1020167034142A KR101756052B1 (ko) | 2015-09-02 | 2016-09-01 |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자동소화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4142A KR101756052B1 (ko) | 2015-09-02 | 2016-09-01 |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자동소화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828519B2 (ko) |
EP (1) | EP3345658A4 (ko) |
JP (1) | JP2018526110A (ko) |
KR (2) | KR20170027658A (ko) |
CN (1) | CN10834879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8609A (ko) * | 2020-02-03 | 2021-08-11 | 지은주 | 소화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UA20163036A1 (it) * | 2016-04-29 | 2017-10-29 | Bp S R L S | Dispositivo di alloggiamento per manichette di estintori e/o idranti |
KR102208905B1 (ko) * | 2018-12-13 | 2021-01-28 | 이성 | 안전핀 제거가 용이한 소화기 |
JP7144622B2 (ja) * | 2019-02-22 | 2022-09-29 | キム,スンヨン | 管理及び使用が便利な消火器 |
KR102573322B1 (ko) * | 2019-02-22 | 2023-08-31 | 김승연 | 관리 및 사용이 편리한 소화기 |
CN111010828B (zh) * | 2019-12-24 | 2021-04-02 |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 一种带有阻燃灭火功能的分格式自动化电气控制柜 |
KR102209001B1 (ko) * | 2020-10-14 | 2021-01-28 | 서울특별시 | 소화기호스 자동 올림장치를 구비한 소화기 |
EP4284521A1 (en) * | 2021-01-29 | 2023-12-06 | Tyco Fire Products LP | Handle assembly for a portable fire suppression device |
CN115715863B (zh) * | 2022-11-29 | 2023-08-18 | 浙安集团有限公司 | 一种灭火器使用的延长控制器及其使用方法 |
US12005278B1 (en) | 2023-11-17 | 2024-06-11 | Candida Ross-Powers | Operational attachment for portable hose-equipped fire extinguishers and methods of us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9806A (ko) | 2005-04-07 | 2005-04-29 | 최장섭 | 브이홈 가공기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089184A (en) * | 1964-08-17 | 1967-11-01 | Reynolds Tube Company Ltd | Containers for liquified or compressed gases |
JPS5023271Y1 (ko) * | 1969-08-01 | 1975-07-14 | ||
JPS5140197U (ko) * | 1974-09-20 | 1976-03-25 | ||
US4256181A (en) * | 1978-08-25 | 1981-03-17 | Searcy Charles C | Automatic stove top fire extinguisher |
JPS5831567Y2 (ja) * | 1981-07-08 | 1983-07-13 | 宮田工業株式会社 | 消火器の安全装置 |
JPS5830449U (ja) * | 1981-08-25 | 1983-02-28 | 森田ポンプ株式会社 | 消火器の安全装置 |
US5052494A (en) * | 1990-04-04 | 1991-10-01 | Advanced Innovations, Inc. | Explosion suppression device |
KR970000461Y1 (ko) * | 1994-08-19 | 1997-01-24 | 블레스시계 주식회사 | 길이조절이 가능한 손목시계용 버클식 가죽밴드 |
KR0117154Y1 (ko) | 1995-06-12 | 1998-07-01 | 김선정 | 자동소화기 |
US6585054B1 (en) * | 1999-05-28 | 2003-07-01 | The Viking Corporation | Fast response sprinkler head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
KR200274902Y1 (ko) * | 2002-02-02 | 2002-05-13 | (주)일흥조선 | 소화기안전클립장치 |
KR20040000921A (ko) * | 2002-06-26 | 2004-01-07 | 대동롬텍 주식회사 | 휴대폰 내장 플래쉬 메모리의 프로그램 입력장치 |
KR200391789Y1 (ko) | 2005-03-11 | 2005-08-09 | 양기헌 | 소화기 안전핀 구조 |
KR200400921Y1 (ko) * | 2005-08-18 | 2005-11-09 | 임종현 | 소화기 |
KR100745840B1 (ko) * | 2007-02-08 | 2007-08-02 | 주식회사 파워텍 | 소화기의 작동장치 |
CN102074149B (zh) * | 2010-11-29 | 2012-05-30 | 浙江工业大学 | 演示灭火器 |
KR101444688B1 (ko) * | 2014-05-12 | 2014-09-29 |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
CN204134090U (zh) * | 2014-10-07 | 2015-02-04 | 江山惠企科技服务有限公司 | 手提灭火器 |
KR101533302B1 (ko) | 2015-03-09 | 2015-07-02 | 박난병 |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제거되는 패닉 방지용 소화기 |
KR101524645B1 (ko) * | 2015-03-09 | 2015-06-03 | 주식회사 동남기술단 | 안전장치가 쉽게 제거되는 소화기 |
-
2016
- 2016-08-22 KR KR1020160105862A patent/KR2017002765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09-01 JP JP2018511390A patent/JP2018526110A/ja active Pending
- 2016-09-01 CN CN201680063728.6A patent/CN108348795A/zh active Pending
- 2016-09-01 EP EP16842323.4A patent/EP3345658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6-09-01 KR KR1020167034142A patent/KR1017560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9-01 US US15/756,338 patent/US1082851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9806A (ko) | 2005-04-07 | 2005-04-29 | 최장섭 | 브이홈 가공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8609A (ko) * | 2020-02-03 | 2021-08-11 | 지은주 | 소화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345658A4 (en) | 2019-04-24 |
JP2018526110A (ja) | 2018-09-13 |
KR20170038180A (ko) | 2017-04-06 |
US10828519B2 (en) | 2020-11-10 |
KR101756052B1 (ko) | 2017-07-11 |
US20180311520A1 (en) | 2018-11-01 |
EP3345658A1 (en) | 2018-07-11 |
CN108348795A (zh) | 2018-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27658A (ko) | 안전장치 해제 시 자동으로 분사호스가 쳐들어질 수 있는 소화기 | |
EP1487517B1 (en) | Casing | |
JP5383922B2 (ja) | 非常脱出用ガラス窓破壊装置 | |
TW458788B (en) | Inhaler for delivering medicament by inhalation, a plurality of such inhalers, and canister adapted for use in an inhaler | |
EP2531243A2 (en) | Medical needle safety device | |
CN113453767B (zh) | 易于管理和使用的灭火器 | |
US20150204628A1 (en) | Locking device for a firearm and firearm | |
US4658481A (en) | Safety release pin for fire extinguishers | |
US4782564A (en) | Safety release pin for fire extinguishers | |
US4705064A (en) | Safety seal for an operating lever | |
US8869905B2 (en) | Actuation mechanism for a fire extinguisher | |
KR200327645Y1 (ko) | 소화기 | |
JPH0626267A (ja) | 警備シール | |
EP3448531B1 (en) | Housing device for hoses of fire extinguishers and/or fire hydrants | |
KR102111511B1 (ko) | 소화기가 구비된 대중교통 안전 손잡이 조립체 | |
KR920006173Y1 (ko) | 소화장치 | |
JP4304011B2 (ja) | 消火器の安全装置 | |
KR102089718B1 (ko) | 일회용 안전 주사기 | |
CN210051228U (zh) | 警用抓捕装置 | |
KR100963121B1 (ko) | 가압식 소화기 작동장치 | |
KR20060117070A (ko) | 오발 방지용 안전 소화기 | |
JP2022520477A (ja) | 管理及び使用が便利な消火器 | |
US20050121473A1 (en) | Spray can, and spray can pressure releasing structure | |
EP1650498A1 (en) | Safety cut-off for pressurized water vapour producing devices | |
KR20200124812A (ko) | 소화기용 안전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