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021447A -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 Google Patents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447A
KR20170021447A KR1020150115796A KR20150115796A KR20170021447A KR 20170021447 A KR20170021447 A KR 20170021447A KR 1020150115796 A KR1020150115796 A KR 1020150115796A KR 20150115796 A KR20150115796 A KR 20150115796A KR 20170021447 A KR20170021447 A KR 20170021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pedestal
plate
glass
sid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태
Original Assignee
박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태 filed Critical 박희태
Priority to KR102015011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1447A/ko
Publication of KR2017002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44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보관용 창고에 설치된 판유리 적재대 상에 판유리를 하역적재하고자 할 때, 판유리의 하역적재가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완충기능을 하는 완충편의 견고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되, 특히 현재 판유리 보관용 창고에 설치된 적재대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A형적재대 양측에 한쌍의 받침대를 설치하되, 양측 받침대 상에 간격유지구를 설치하여 판유리묶음을 적재대 상에 하역적재할때 판유리묶음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여 판유리를 이동하여 온 이송대의 분리가 용이토록 하며, 또한 받침대 상에 설치되는 완충편을 받침대 상면과 양측면을 감싸지게 한 다음 측면에서 피스로 체결고정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LOADING SUPPORT OF PLATE GLASS}
본 발명은 생산공장에서 제조된 판유리를 운반하여 유리보관용 창고에 설치된 판유리 적재대 양측에 적재보관하고자 할 때, 판유리의 하역, 적재가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받침편에 설치되어 하역시 완충기능을 하는 완충편의 설치가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유리는 생산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한 다음 판유리 운반전용 적재대를 이용하여 각 지역 대리점이나 사용처의 보관용 창고에 하역보관하였다가 필요한 용도와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판유리 전용 보관창고에 설치된 적재대의 경우 중앙부에 A형적재대가 설치되고, 상기 적재대 양측으로 한쌍의 받침대를 설치한 것으로서, 운송차량을 통하여 운송되어 온 판유리묶음(10~30장)을 호이스트에 설치된 이송구를 이용하여 적재대에 기대어 한쌍의 받침대 상에 순차적으로 하역하여 적재, 보관하게 된다.
상기에서 호이스트에 설치된 이송구를 통하여 이송되어 온 판유리를 적재대에 적재시킨 다음, 판유리를 이송하여 왔던 이송구를 분리하고자 할 때 이송구가 먼저 하역한 판유리와 하역하고자 하는 판유리 사이에 끼어 눌리게 되므로 이송구의 분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판유리를 적재대에 구성된 받침대에 내려놓을때 완충을 위한 수단으로서 받침대 상에 평면형의 완충고무를 접착, 사용하고 있으나, 판유리의 하중과 함께 하역작업 중 일측으로 밀릴 경우 쉽게 떨어져 분리되므로 완충기능이 상실되어 판유리가 충격으로부터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판유리 적재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특허 제10-0962092호 '인출이 용이한 판유리 적재용 보관대'(특허문헌 1)와, 실용신안등록 제20-0190418호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특허문헌 2) 등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일정 공간에 많은 량의 유리 보관이 가능하면서 적재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개별 인출이 가능한 적재용 보관대 구조를 제공하여, 판유리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나, 판유리가 적재된 상태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각 로울러가 구성되어져 있는 다수의 유리 적재대와; 상기 다수의 유리 적재대가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동시에 보관되어짐과 함께 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로울러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1가이드프레임이 상.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져 있는 적재부 프레임과; 상기 적재부 프레임에 보관되어져 있는 유리 적재대를 선택적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상.하부에는 각각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가이드프레임이 구성된 인출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인출부로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판유리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겠으나, 판유리 적재용 보관대의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모될 뿐 아니라 현재 판유리 보관창고에 설치된 적재대를 철거하고 신규로 시설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판유리를 적치할때에 측면에 일치되도록 기준면을 제공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지지하고 기둥프레임 측면의 암나사에 체결되어 회전되면서 가이드바의 내측면이 판유리의 측면을 밀착시키는 조임볼트와, 판유리의 전면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묶는 밴드의 일단이 걸리는 고정핀이 기둥프레임 및 받침대에 설치되게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생산공장에서 제조된 판유리를 적재보관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제조된 판유리를 보관창고나 다른 장소로 이송할때 적재대에 적재되는 판유리의 측면이 가지런히 정열되게 한다는 것이 목적이다.
특허 제10-0962092호 '인출이 용이한 판유리 적재용 보관대' 실용신안등록 제20-0190418호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
본 발명은 유리보관용 창고에 설치된 판유리 적재대 상에 판유리를 하역적재하고자 할 때, 판유리의 하역적재가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완충기능을 하는 완충편의 견고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되, 특히 현재 판유리 보관용 창고에 설치된 적재대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A형적재대 양측에 한쌍의 받침대를 설치하되, 양측 받침대 상에 간격유지구를 설치하여 판유리묶음을 적재대 상에 하역적재할때 판유리묶음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여, 판유리를 이동하여 온 이송대의 분리가 용이토록 하며, 또한 받침대 상에 설치되는 완충편을 받침대 상면과 양측면을 감싸지게 한 다음 측면에서 피스로 체결고정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A형적재대 양측에 한쌍의 받침대를 설치하되, 양측 받침대 상에 간격유지구를 설치하여 판유리묶음을 적재대 상에 하역적재할때, 판유리묶음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여 판유리를 이동하여 온 이송대의 분리가 용이토록 하며, 또한 받침대 상에 설치되는 완충편을 받침대 상면과 양측면을 감싸지게 한 다음 측면에서 피스로 체결고정되게 함으로서, 판유리 적재대 상에 판유리를 하역적재하고자 할 때, 판유리의 하역적재가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완충기능을 하는 완충편의 견고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되, 특히 현재 판유리 보관용 창고에 설치된 적재대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판유리 적재대의 사시도
도 2 : 도 1의 상태에서 판유리묶음을 적재한 상태도
도 3 : 도 2의 상태에서 또다른 판유리묶음을 적재하기 위한 상태도
도 4 :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간격유지구의 사시도
도 5 : 도 4의 분해도
도 6 : 본 발명 받침대 부분의 사시도
도 7 : 본 발명의 받침대에 결합되는 완충편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판유리 적재대(10)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판유리 적재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구(70)의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판유리 적재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하여 받침대(30) 상에 설치된 완충편(40)부분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판유리 적재대(10)는 주로 판유리 적재보관용 창고에 설치되어 있으며, A형의 적재대(20) 양측에 한쌍의 받침대(30)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판유리 적재대(10) 상부에는 호이스트(50)가 설치되어 있고, 호이스트(50)에는 판유리묶음(S)을 이동할 수 있는 이송구(60)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는 일반적인 장치이다.
본 발명은 판유리묶음(S) 하역 적재시 판유리묶음(S)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70)를 양측 받침대(30) 상에 착탈식으로 설치한다는 것과, 받침대(30) 상에 설치되는 완충편(40)이 사용중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설치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먼저 간격유지구(70)의 구성을 설명한다.
간격유지구(7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수직봉(71) 하단에 하부지지대(72)를 결합하여 하부볼트(73)로 체결고정되게 하되, 아랫쪽에는 한쌍의 지지편(74)을 구성하여 그 사이에 하향 요입부(75)가 형성되게 한다.
수직봉(71) 상단에는 상부지지대(76)를 결합한 다음 상부볼트(77)로 체결고정되게 하되, 수직봉(71)이 상하부지지대(72)(76)에 끼워지는 정도에 따라 간격유지구(70)의 높이가 조정된다.
상기한 구성의 간격유지구(70)는 하단에 위치한 하부지지대(72)의 요입부(75)가 판유리적재대(10)의 받침대(30)에 끼워지게 하면, 양측 지지편(74)이 받침대(30) 외측에 위치하고, 지지편(74) 하단부는 바닥에 위치하면서 간격유지구(70)가 도 3에서와 같이 양측 받침대(30) 상에 안정되게 위치하게 된다.
받침대(30) 상에 설치되는 완충편(40)은 합성고무나 폐합성수지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소재이면 사용이 가능하다.
완충편(40)은 평판(41) 양측에 측판(42)을 하향돌출구성시켜 구성함으로서 완충편(40)을 받침대(30) 상면에 씌우면, 평판(41)과 측판(42)이 받침대(30) 상면과 측면을 감싸게 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측판(42)에 와샤(43)을 위치시킨 다음 고정피스(44)로 나사결합하여 완충편(40)이 받침대(30) 상에 견고히 고정설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운송차량을 통하여 제조된 판유리묶음(S)이 운송되어 오면, 호이스트(50)에 설치된 이송구(60)를 이용하여 판유리묶음(S)을 이송하여 적재대(20)에 기대어 받침대(30) 상에 하역적재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판유리묶음(S)을 1차하역한 다음 2차하역시, 양측 받침대(30) 상에 간격유지구(70)를 먼저 하역한 다음 판유리묶음(S) 전면에 밀착설치한 상태에서 다음 하역하고자 하는 판유리묶음(S)을 호이스트(50)에 설치된 이송구(60)를 이용, 적재대(20) 상으로 이송한후 호이스트(50)를 하강시키면, 판유리묶음(S) 하단부가 받침대(30) 상에 안치되고, 평판부는 간격유지구(70)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에서 판유리묶음(S) 사이에 간격유지구(70)의 두께만큼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호이스트(50)에 설치된 이송구(60)의 일측면 두께보다 넓기 때문에 판유리묶음(S)을 하역, 적재시킨 다음 이송구(6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판유리묶음(S) 하역시, 판유리묶음(S)을 받침대(30) 상에 내려놓을때 하단부가 완충편(40) 상에 접촉하게 되므로 충격을 흡수하여 손상을 방지케 할 뿐 아니라, 특히 완충편(40)은 평판(41)과 측판(42)으로 구성되어 받침대(30) 상면과 측면을 감싸게 한 다음, 측판(42)을 통하여 와샤(43)와 고정피스(44)로 체결고정되어 있어 판유리묶음(S) 하역 및 이송작업시 좌우로 밀리지 않게 되므로, 사용중 외부요인에 의해 완충편(40)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판유리묶음(S)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게 하는 간격유지구(70)는 수직봉(71) 상하에 상하부지지대(72)(76)가 상하부볼트(73)(77)로 체결고정되어 있어, 판유리의 크기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유리 적재대(10)는 판유리묶음(s) 하역 적재시, 판유리묶음(S) 사이에 간격유지구(70)가 위치되게 함으로서, 일정한 공간이 유지되고, 상기 공간을 통하여 호이스트(50)에 설치된 이송구(60)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받침대(30)에 씌워진 완충편(40)은 평판(41)과 측판(42)으로 구성하되, 측판(42)에 고정피스(44)를 박아 받침대(30) 측판에 체결고정되게 함으로서, 사용중 외력에 의해 완충편(40)이 분리되지 않게 된다.
(10)--판유리 적재대 (20)--적재대
(30)--받침대 (40)--완충편
(41)--평판 (42)--측판
(43)--와샤 (44)--고정피스
(50)--호이스트 (60)--이송구
(70)--간격유지구 (71)--수직봉
(72)--하부지지대 (73)--하부볼트
(74)--지지편 (75)--요입부
(76)--상부지지대 (77)--상부볼트

Claims (3)

  1. A형적재대(20) 양측에 한쌍의 받침대(30)가 설치된 판유리 적재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유리 적재대(10)를 구성하는 양측 받침대(30) 상에 간격유지구(70)를 설치하여 판유리묶음(S) 하역, 적재시, 받침대(30) 상에 적재되는 판유리묶음(S) 사이에 공간이 유지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2. 제1항에 있어서, 간격유지구(70)는 수직봉(71) 상하단부에 상부지지대(76)와 하부지지대(72)를 각각 체결고정하되, 하부지지대(72) 하단에 한쌍의 지지편(74)을 구성하여 그 사이에 요입부(75)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요입부(75)를 이용하여 간격유지구(70)가 받침대(30) 상에 설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3. A형적재대(20) 양측에 한쌍의 받침대(30)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30) 상에 완충편이 설치된 판유리 적재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받침대(30) 상에 완충편(40)을 설치하되, 상기 완충편(40)을 평판(41)과, 평판(41) 양측의 측판(42)으로 구성하고, 상기 완충편(40)을 받침대(30)에 씌워 완충편(40)의 평판(41) 및 측판(42)이 받침대(30)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측판(42) 양측에 등간격으로 고정피스(44)를 박아 완충편(40)이 받침대(30) 상에 견고히 체결고정되게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KR1020150115796A 2015-08-18 2015-08-18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Ceased KR20170021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796A KR20170021447A (ko) 2015-08-18 2015-08-18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796A KR20170021447A (ko) 2015-08-18 2015-08-18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447A true KR20170021447A (ko) 2017-02-28

Family

ID=5854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796A Ceased KR20170021447A (ko) 2015-08-18 2015-08-18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14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210B1 (ko) 2017-06-23 2018-07-26 (주)한테크 유리 이송 적재대
CN108861139A (zh) * 2018-08-01 2018-11-23 王玲 一种用于玻璃运输的智能减震支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418Y1 (ko) 2000-02-29 2000-08-01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
KR100962092B1 (ko) 2008-03-19 2010-06-09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인출이 용이한 판유리 적재용 보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418Y1 (ko) 2000-02-29 2000-08-01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
KR100962092B1 (ko) 2008-03-19 2010-06-09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인출이 용이한 판유리 적재용 보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210B1 (ko) 2017-06-23 2018-07-26 (주)한테크 유리 이송 적재대
CN108861139A (zh) * 2018-08-01 2018-11-23 王玲 一种用于玻璃运输的智能减震支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934120T3 (pl) Regał magazynowy z wieloma jednostkami regałowymi
JP2008120399A (ja) 遊技機運搬用コンテナ
CN101616851A (zh) 板状体的包装托盘
CN102556524A (zh) 辊状物品的捆包容器
KR101555380B1 (ko) 필름 반송용 가대
JP5877969B2 (ja) 板ガラスの積載方法及び積載装置
KR101312934B1 (ko) 클램프식 캔 적치장치
KR20170021447A (ko)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CN105881482A (zh) 一种车身板件的存储运输装置
KR101882210B1 (ko) 유리 이송 적재대
CN105798868A (zh) 汽车零件平板置物架
KR101267003B1 (ko)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JP2007153395A (ja) 大型板状体梱包箱
KR101631917B1 (ko) 판유리 운송용 모바일랙
US9469424B2 (en) Packaging device
CN211224298U (zh) 一种用于放置储气罐支架的运送架
CN215795152U (zh) 一种容量可调周转箱
KR101768495B1 (ko) 판재 고정장치
JP4555465B2 (ja) ロール製品用コンテナ
CN205274083U (zh) 一种便于出入库的箱坯固定装置
EP3566976A1 (en) Container for large-format plate-like elements arranged in an inclined orientation
CN109963789B (zh) 用于平板形物体的支撑元件
CN108408208B (zh) 一种圆筒形产品运输装置
KR100803718B1 (ko) 그린타이어 운반용 대차
EP1561666B1 (en) Product conveying/S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5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