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342A - 식품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9342A KR20170019342A KR1020167031462A KR20167031462A KR20170019342A KR 20170019342 A KR20170019342 A KR 20170019342A KR 1020167031462 A KR1020167031462 A KR 1020167031462A KR 20167031462 A KR20167031462 A KR 20167031462A KR 20170019342 A KR20170019342 A KR 201700193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aberration
- water tank
- food processing
- bas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8—Apparatus for preserving using liquid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식품 처리 장치의 처리 바구니 내에서 생기는 치우침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수조(13)의 벽 밖에 접하는 외수조(14)를 설치하고, 이들의 구획벽(56)에는 수면 근방에 외수조(14)로부터의 수류를 통과시키는 제1 수류 통과구(55)를 형성하고, 처리 바구니(12)에는 제1 수류 통과구(55)로부터의 수류를 도입할 수 있는 제2 수류 통과구(42)가 형성되며, 외수조(14)에는 회전 수차(73)가 구획벽(56)을 따라 배치되고, 회전 수차(73)가 발생시킨 상향의 수류를 제1 수류 통과구(55)로 정류시키는 정류부(74)가 씌워진다.
수조(13)의 벽 밖에 접하는 외수조(14)를 설치하고, 이들의 구획벽(56)에는 수면 근방에 외수조(14)로부터의 수류를 통과시키는 제1 수류 통과구(55)를 형성하고, 처리 바구니(12)에는 제1 수류 통과구(55)로부터의 수류를 도입할 수 있는 제2 수류 통과구(42)가 형성되며, 외수조(14)에는 회전 수차(73)가 구획벽(56)을 따라 배치되고, 회전 수차(73)가 발생시킨 상향의 수류를 제1 수류 통과구(55)로 정류시키는 정류부(74)가 씌워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처리 대상물의 세정이나 가온 처리, 냉각 처리, 해동 처리 등의 처리, 및 반송을 행하는 식품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품을 세정하는 장치로는,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의 장치를 들 수 있다. 이것은, 상면이 개방된 수조 내에, 상면이 개방된 처리 바구니를 수납하고, 상기 처리 바구니를 상기 수조 내에서 지지한다. 그 후, 상기 처리 바구니를 수조 외부까지 들어올려 이 처리 바구니의 개방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회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 장치는, 수조의 바닥부에 공기 분출 장치를 설치하고, 이것으로부터 공기를 분출하여 버블링함으로써, 처리 바구니 내의 식품이 세정되고, 이 식품에 부착되는 제외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다만,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장치에서는, 상기한 공기 분출 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된 제외물은, 그 대부분이 홈통부로부터 외부로 내보내지기는 하지만, 일부의 쓰레기는, 다시 식품과 접촉한다. 이 때문에, 제외물과 식품의 부착이 생겨, 세정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하기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처리 바구니의 한쪽 측연부에 슈트를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쪽 측연부에 측연 개구부를 형성하고, 수조의 소정 위치에 물 송출 장치를 설치한다. 처리 바구니의 바닥부에는 단차부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의 단차면을, 물 송출 장치에 의해 생기는 수류를 받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처리 바구니의 경사 회동시에 회전 중심이 되는 받침점(支點) 핀을 설치하고, 그 받침점 핀보다 높은 위치에 지지판을 돌출 설치한다. 구동 장치에 일단을 고정한 회동 아암을 처리 바구니의 양단면을 따라 배치하고, 그 선단 근방의 지지부에서 받침점 핀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아암 선단부와 지지판 사이에 상하 방향의 소요의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제외물을 효율적으로 식품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이들과는 별도로, 분사 노즐로부터 수류를 분출함으로써 식품을 세정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물 송출 장치는 스크루식이고, 수조의 일측벽의 중앙에 단독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물 송출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회전 수류는 필연적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치우침이 생기기 때문에, 세정하는 식품이 지나치게 많으면 세정이 고르게 진행되지 않고, 세정 효과에 치우침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스크루식의 물 송출 장치를 2기 나란히 탑재시키고, 서로 역회전이 되도록 구동시키면, 수조 전체의 수류가 좌우 대칭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치우침이 없어지므로, 이 문제는 해결된다. 그러나, 물 송출 장치를 2기 설치하면, 설비가 복잡화되어 사용 후의 메인터넌스에 시간이 걸리고, 식품 처리 작업에 필요한 시간이 실질적으로 증가되어 버린다. 또한, 설비 비용, 운영 비용이 여분으로 들기 때문에, 물 송출 장치가 1기인 식품 처리 장치에 비교하여 대폭 비용이 상승되어 버렸다.
또한, 물 송출 장치에 분사 노즐을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물의 소비량을 억제하여 순환시키고자 하면, 배관 구조가 복잡해진다. 이 때문에, 순환시키는 물에 포함되는 쓰레기나 유지 등이 노즐을 폐색시키기 쉽고, 배관 내에 달라붙는 경우도 있어, 메인터넌스성에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구동 장치의 탑재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사용 후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구조로, 수류에 의한 처리의 치우침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수조 내에, 상면이 개방된 처리 바구니를 수납하고, 상기 처리 바구니를 상기 수조 내에서 지지함과 함께, 이것을 수조 외부까지 들어올려 이 처리 바구니의 개방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회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와 접하는 외수조를 갖고,
상기 수조와 상기 외수조를 구획하는 구획벽에는, 식품 처리시의 상기 수조의 수위보다 아래로서 상기 수조의 최심 심도의 절반보다 위인 위치에, 상기 외수조로부터의 수류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제1 수류 통과구가 형성되고,
상기 처리 바구니에는, 상기 제1 수류 통과구로부터의 수류를 도입할 수 있는 제2 수류 통과구가, 상기 수조 내에 수납될 때에 상기 제1 수류 통과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또한, 이 처리 바구니의 내외로 물의 출입이 가능하고,
상기 외수조에는, 상기 수류를 발생시키는 회전 수차가 그 회전축이 상기 구획벽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 수차가 발생시킨 상향의 수류를 상기 제1 수류 통과구로 정류(整流)시키는 정류부가 상기 회전 수차에 씌워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식품 처리 장치는, 상기 회전 수차에 의해 발생시킨 접선 방향으로의 수류를, 상기 정류부에 의해 방향을 좁혀 상기 수조로 도입한다. 이 때문에, 회전 수차로서 교반익에 비틀림을 가한 프로펠러형으로 할 필요가 없고, 교반 날개(러너)의 형상을 축 방향으로 고르게 하여, 생기는 수류에 치우침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수차의 교반 날개가 회전하는 힘을 그대로 수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강한 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게다가, 씌워지는 상기 정류부를 해체하면, 상기 정류부와 상기 회전 수차의 어느쪽의 세정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폐색되기 쉬운 배관 구조에 비교하여 메인터넌스성이 높다.
상기 정류부의 구성으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형태를 들 수 있다. 상기 회전 수차의 상기 구획벽측을 덮는 정면판과, 그 반대측을 덮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상측으로부터 단면 원호형의 곡면에 의해 상기 정면판측으로 연장되는 단면 호형부와, 상기 회전 수차의 상기 정면판측의 상측을 덮는 스로틀부와, 상기 단면 호형부 및 상기 스로틀부의 끝에 형성되는 슬릿형의 취출구를 갖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향의 수류를 효율적으로 방향을 변경시키고, 상기 취출구를 통해 상기 제1 수류 통과구를 통과시켜 상기 처리 바구니로 송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형상이면, 상기 정류부는 상기 회전 수차에 위로부터 씌우는 것만으로 장착할 수 있다.
상기한 회전 수차는, 수류를 가능한 한 치우치게 하지 않도록 교반익이 되는 호형 날개가, 수평 방향을 향하는 축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조의 측벽 사이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정도의 길이이면 된다. 또한, 이 회전 수차에 의해 생기는 수류를 가능한 한 치우치게 하지 않고 상기 수조 내의 처리 바구니로 공급하기 위해, 이 수류를 정류시키는 상기 정류부와, 정류된 수류가 통과하는 상기 제1 수류 통과구 및 상기 제2 수류 통과구 모두, 상기 회전 수차의 교반익의 수평 방향 길이와 거의 동일한 수평 방향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이러한 개구들의 형상은 가로로 긴 슬릿형으로 하여, 수류의 기세를 유지하면서, 전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상기한 회전 수차는, 양단 부근의 러너를 설치하지 않은 축 부분을 미끄럼 베어링에 올려, 회전 수차가 축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하며, 또한, 받이 도구 및 억제 도구 사이에서, 물을 윤활제로 하여 축이 미끄러짐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하면 된다.
상기 회전 수차가 송출하는 물은, 상기 정류부가 송출하는 방향 이외의 다수의 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 수차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축 방향 양단과, 상기 수조에 대한 전후 방향과, 하측을 들 수 있고, 이들 모든 방향으로부터 유입되면 특히 바람직하다. 물의 유입이 축 방향 양단만으로부터이면, 축 방향 중심 부분에 물이 도달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고, 수류가 치우치는 경우가 있다. 하측이나 전후로부터 또한 상기 정류부 내로 들어간 물이 상기 회전 수차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그대로 상측을 향하면, 수류가 쓸데없이 차단되는 경우가 적고, 수압을 유지하기 쉽다. 또한, 상기 회전 수차의 축 방향 전역에 걸쳐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수류 통과구 및 상기 제2 수류 통과구를 수평 방향으로 가능한 한 넓힌는 경우에도, 그 전역에 걸쳐 안정적으로 물을 송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을 상기 회전 수차의 하측으로부터 공급시키는 구성으로는, 예컨대, 상기 외수조의 저면과, 상기 회전 수차의 최하단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도록 배치하고, 이 간극으로 물이 떨어져 들어가고, 상기 회전 수차로 물이 빨아 올려짐으로써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간극으로부터 상기 회전 수차의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측부까지의 사이가 개방되면, 물이 효율적으로 상기 회전 수차로 공급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회전 수차의 하측의 전면을 개방하는 것이 아니라, 저면과 회전 수차 사이에 하방판을 설치하며 또한 상향의 수류를 받아들이는 개소만을 절개함으로써, 또한 하향의 수류가 생기는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물을 상기 회전 수차의 전후로부터 공급시키는 구성으로는, 상기 정류부에 물의 유입구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 수차의 축 높이보다 하측이 개방되고, 주위로부터 상기 회전 수차를 향하여 유입 가능하게 하면, 효율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수차는, 상기 외수조의 저면과의 사이에 상기 간극을 발생시키는 것과 같은, 높이를 갖는 고정대 상에 부착되는, 상측이 개방된 미끄럼 베어링 상에, 상기 회전 수차의 회전축의 미끄럼면이 올려지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상기 정류부와 함께 상기 회전 수차를 해체하여 상기 외수조를 용이하게 세정하고,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베어링을 상기 하방판 상에 고정하는 것으로 하며, 또한 상기 하방판에 고정 구멍을 뚫고, 상기 고정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말뚝에 이러한 고정 구멍이 관통되게 위로부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 상기 고정 구멍과 돌출 말뚝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막으면서, 사용 후에는 상기 하방판까지 해체하여, 상기 외수조의 저면까지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수차의 축 방향 양단으로부터 물을 공급시키는 형태로는, 상기 정류부의 축 방향의 일부를 개방시켜 둔다.
상기 회전 수차의 설치 위치는, 상기 처리 바구니 및 상기 수조의 저면보다 높고, 수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수차로부터 상기 제1 수류 통과구까지의 거리가 지나치게 길면 수류의 기세가 감쇠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측을 향하는 수류가 닿는 상기 정류부는, 원호형의 단면이 되는 곡면부에 의해, 상측을 향하는 수류를 수평 방향의 상기 제1 수류 통과구를 향하도록 하면, 원호를 따라 굽어짐으로써 감쇠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상기 회전 수차로 공급되는 물은, 외부로부터 공급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처리 바구니로부터 넘친 물을 상기 외수조에서 받아냄으로써, 식품 처리 장치 전체에서 순환시키면 된다. 상기 회전 수차가 가동되면, 압력차가 생겨 물이 공급되는 상기 처리 바구니 및 상기 수조 내의 수위가, 상기 외수조의 수위보다 높아진다. 이 때문에, 상기 처리 바구니 내에서 충분히 세정이 가능한 높이에서 홈통부로부터 상기 외수조로 물을 복귀시키도록 한다.
상기 외수조의 용량은, 상기 회전 수차의 구동시에 수압차에 의해 물이 상기 수조로 빨아 올려져 상기 외수조의 수위가 저하되더라도 충분히 상기 회전 수차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만큼의 양일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외수조의 저면까지의 깊이가 얕고, 상기 회전 수차의 위치가 지나치게 높으면 물의 공급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외수조의 용적이 지나치게 적어도 마찬가지로 물의 공급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처리 바구니로부터 물이 넘치는 홈통 아래에, 제외물을 걸러내기 위한 망부를 설치하고, 상기 망부를 통과한 물이 상기 회전 수차의 물을 받아들이는 측으로 낙하하도록 배치하면 바람직하다. 식품 처리 장치 전체의 순환류의 진행과 함께, 장치 전체에서 생기는 제외물을 망부에서 통합하여 회수할 수 있다. 이 망부를 거는 것은, 외수조의 벽의 가장자리와, 상기 구획벽의 가장자리에 걸어, 그 사이에 망부가 전개되면 된다.
상기 회전 수차를 회전시키는 기구로는, 상기 외수조의 벽면을 향하는 상기 회전 수차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벽면을 향하는 면에 영구 자석을 부착한 수동 원반을 부착한다. 상기 수동 원반과 상기 외수조의 벽면 사이에는 약간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외수조의 벽면에는 구멍을 뚫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그 외수조의 외벽을 사이에 두고 그 수동 원반과 마주보게 되는 상기 외수조의 외측에 모터를 부착하고, 마찬가지로 벽면을 향하는 면에 영구 자석을 부착한 가동 원반을, 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부착한다. 이 가동 원반도 외측으로부터 벽면과의 사이에 약간 간극을 형성하며, 또한, 외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동 원반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한다. 즉, 상기 가동 원반과 상기 수동 원반은 서로 끌어당기기는 하지만, 벽면의 맞은편에 있는 상대방과 그 이상 접근하는 경우가 없도록 하여, 그 장소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모터에 의해 상기 가동 원반을 회전시키면, 영구 자석끼리의 자력에 의해 상기 수동 원반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수동 원반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 수차 자체가 회전하여 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기계적인 기구가 단순해지기 때문에 청소하기 쉬우며, 또한, 벽면에 구멍을 뚫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수밀성도 유지하기 쉬워진다.
처리가 종료되면, 일단 상기 회전 수차의 회전을 정지시킨 후에, 상기 처리 바구니를 들어올린다. 상기 처리 바구니를 들어올려 제2 수류 통과구가 어긋나면, 수류가 상기 처리 바구니의 벽면에 부딪쳐 비산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처리 바구니로부터 처리 대상물을 다음 스텝으로 옮기고, 상기 처리 바구니를 원래대로 상기 수조에 저장하고 나서 상기 회전 수차를 다시 가동시킨다.
이 식품 처리 장치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복수 기를 연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하나의 식품 처리 장치의 상기 처리 바구니를 회동시켜 처리 대상물을 배출하는 곳이, 별도의 식품 처리 장치의 처리 바구니이도록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인접하는 식품 처리 장치끼리나, 떨어진 식품 처리 장치끼리의, 각각의 외수조 사이를 수로로 연결하고, 이 수로를 셔터 등에 의해 폐쇄 가능하게 해 두면 된다. 이에 따라, 연결한 복수 기의 식품 처리 장치로 다단계의 처리를 행함에 있어, 최종 처리측(상류측이 됨)의 상기 수조 또는 상기 외수조에 새로운 물을 공급하여 최종 세정이나 최종 처리의 마무리 품질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어느 1기에서의 처리가 종료된 시점에서 상기 회전 수차를 정지하면, 상기 수조와 상기 외수조 사이의 압력차가 없어지고, 수위가 평균화되며, 상기 외수조의 수위가 올라간다. 이 타이밍에서 보다 전단계의 처리측(물의 흐름으로서는 하류측)의 식품 처리 장치로 통하는 수로의 셔터를 개방하면, 하류측의 식품 처리 장치의 상기 외수조로 물이 유입되어 간다. 또, 이 때 하류측의 식품 처리 장치의 회전 수차가 가동 중이면, 상기 하류측의 상기 외수조의 수위가 내려가 있기 때문에 물의 이송이 하기 쉽다. 그리고, 물이 상기 하류측의 식품 처리 장치의 상기 외수조에 충분히 이송되었으면 셔터를 폐쇄한다. 새로운 물을 상류측으로부터 수취한 하류측의 식품 처리 장치는, 더욱 하류의 식품 처리 장치가 있는 경우라면, 그 단계에서의 처리가 종료된 단계에서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 수차를 멈추어 상기 외수조의 수위를 올린 후에 더욱 하류의 식품 처리 장치와 연결되는 셔터를 개방한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물을 돌려 사용하면서, 일련의 장치의 처리에서 이용하는 물의 순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복수 기의 상기 식품 처리 장치의 외수조를 상기 수로에 의해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수로에 의해 연결하기 쉽도록 상기 처리 바구니끼리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상기 외수조가 충분한 길이를 갖고 있으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외수조가, 상기 회전 수차를 설치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상기 수조의 양측면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돌아 들어가고 있으면 된다.
또한, 복수 기의 상기 식품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수로를 별도의 연결 방식으로 연결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연속하여 처리를 행하는 3기 이상의 일련의 식품 처리 장치 중, 1기 이상 떨어진 식품 처리 장치끼리에 대하여, 각각의 외수조와의 사이를 바이패스 수로로 연결함으로써, 바이패스 수로가 연결되지 않고 격리된 도중의 식품 처리 장치에서, 전후의 식품 처리 장치와는 상이한 수용액에 의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처리 후에 순차로 다음 식품 처리 장치로 송입할 수 있도록 연속 배치한 3기의 식품 처리 장치 중, 1단째에서 애벌 세정, 2단째에서 살균 처리, 3단째에서 행굼을 행하는 경우, 3단째에서 행굼을 행한 후의 물을 애벌 세정을 행하는 1단째에 상기 바이패스 수로를 통해 송입하고, 2단째에서는 차아염소산수나 열탕 등의 처리 용액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수차에 의해 폭넓게 수류가 송입되기 때문에, 상기 처리 바구니 내에 생기는 흐름 또한 치우침이 없고, 처리를 행하는 식품을 빈틈없이 가공,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부나 상기 회전 수차를 해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세정 등의 메인터넌스도 하기 쉽다.
본 발명에 관련된 식품 처리 장치로 행할 수 있는 처리로는, 식품의 세정 이외에도, 예컨대 약액에 의한 조미나, 고온의 물 등에 의한 끓임 처리나 살균 처리를 들 수 있다. 이들 처리에서도, 마찬가지로 치우침이 해소된 수류에 의해, 처리되는 식품의 마무리에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냉수에 의한 냉각 처리나, 해동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처리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전 수차 부착 방향으로부터의 III-III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회전 수차와 정류부를 부착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정류부의 부상을 억제하는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3기의 식품 처리 장치를 연결시킨 실시형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사시도이다.
도 9의 (a)∼(d)는, 도 6의 연결한 식품 처리 장치에서 물을 순차 이행시킬 때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3기의 식품 처리 장치 중, 처음과 마지막의 장치를 연결시킨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전 수차 부착 방향으로부터의 III-III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회전 수차와 정류부를 부착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정류부의 부상을 억제하는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3기의 식품 처리 장치를 연결시킨 실시형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사시도이다.
도 9의 (a)∼(d)는, 도 6의 연결한 식품 처리 장치에서 물을 순차 이행시킬 때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3기의 식품 처리 장치 중, 처음과 마지막의 장치를 연결시킨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처리 장치(11)는, 도 1의 측면 단면도 및 도 2의 평면도, 도 3의 정면 단면도에 나타낸다. 상면이 개방된 처리 바구니(12)가, 상면이 개방된 수조(13) 내에 수납되고, 지지된다. 또한, 이 처리 바구니(12)를 수조(13)의 외부까지 들어올려 이 처리 바구니(12)의 개방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회동, 즉, 경사 회동시키는 구동 장치(20)를 갖는다.
처리 바구니(12)는, 각종 식품이나 식품 가공품 등으로 이루어지는 처리 대상물(31)을 넣어 세정, 가온 처리 또는 살균 처리하기 위한 바구니이다. 이 처리 바구니(12)는, 저면 망부(47)와 같이, 그 저면이 메시형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다(도 2 참조). 이에 따라, 처리시에는 이 처리 바구니(12)의 내외로 물의 출입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처리 후에 수조(13)로부터 끌어올림으로써 물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처리 바구니(12)에는, 그의 경사시에 저위가 되는 쪽의 단부 가장자리(40)에 슈트(41)가 설치된다. 이 슈트(4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이 좁혀져 있다. 이 슈트(41)에 의해, 인접하는 다음 식품 처리 장치(11) 등의 다음 공정으로, 처리 바구니(12) 내의 처리 대상물(31)을 옮기는 것이 용이해진다. 슈트(41)의 처리 바구니(12)측의 폭은, 처리 바구니(12)를 경사시켜 처리 바구니(12) 내의 처리 대상물(31)을 옮길 때에, 처리 대상물(31)이 외부로 흘러넘치지 않는 폭을 가지면 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가장자리(40)의 길이를 슈트(41)의 폭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슈트(41)의 처리 바구니(12)와의 부착 근원 부분인 단부 가장자리(40)로부터 슈트(41)의 선단까지의 길이는, 처리 대상물(31)을 처리 바구니(12) 밖으로 충분히 보낼 수 있는 길이일 필요가 있고, 복수 기의 식품 처리 장치(11)를 연결했을 때에 인접하는 식품 처리 장치(11) 등의 다음 공정으로 보낼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 바구니(12)에는, 경사 회동시의 회전 중심이 되는 받침점 핀(43)이, 처리 바구니(12)의 양측면의 외측에 있어서 중량 밸런스를 취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2개의 받침점 핀(43)을 지지함으로써, 처리 바구니(12)는, 그 개방면을 상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처리 바구니(12)의 양측면의 받침점 핀(43)보다 높은 위치에, 외측 방향으로 지지판(44)이 돌출 설치된다. 이 지지판(4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처리 바구니(12)를 경사시킬 때에 사용된다. 이 지지판(44)은, 처리 바구니(12)의 양단면의 받침점 핀(43)을 설치한 위치 부근에만 설치하면 충분하다.
이 처리 바구니(12)를 회동시키는 구동 장치(20)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들 수 있다. 유압 실린더 등의 실린더(25)가, 회전 후크(24)에 연결되고, 이 회전 후크(24)가 눌림으로써, 회동축(21)을 회동시킨다. 회동축(21)은, 수조(13) 또는 외수조(14)에 대하여 고정된 베어링(22)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회동축(21)의 양단 부근에 회동 아암(26)이 부착된다. 회동 아암(26)은, 수조(13) 및 외수조(14)를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각각 1개씩 설치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회동 아암(26)은 그 근원이 회동축(21)에 대하여 고정된다. 한편, 회동 아암(26)의 선단부 근방에는 오목형의 지지부(27)가 설치되고, 그 지지부(27)에서 받침점 핀(43)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회동 아암(26)은, 직선형이 아니라, 도중에 아암이 구부러진 아암 굴곡부(28)를 갖는다. 또한, 회동 아암(26)은 지지부(27)를 넘어 더욱 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 선단부(29)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지지부(27)는 회동 아암(26)의 선단 부근의 상단측으로부터 비스듬히 절단진입된 긴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회동 아암(26)에 받침점 핀(43)을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 회동 아암(26)이 받침점 핀(4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면, 받침점 핀(43)만을 수납할 수 있는, 외부로 연결되지 않는 구멍만을 형성해도 좋다. 다만 그 경우, 처리 바구니(12)를 해체하여 메인터넌스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로부터 절단진입된 긴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그 절단진입된 부분의 내측의, 절단진입 단부 근방에, 긴 구멍의 도중의 직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원 형상의 둥근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처리 바구니(12)를 경사시켰을 때에 받침점 핀(43)이 회동 아암(26)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처리 바구니(12)의 슈트(41)와는 반대측의 면(도입측 단부 가장자리(49)의 면)에는, 후술하는 회전 수차(73)의 비동작시에 있어서의 표준적인 수면 높이(A)에 가까운 위치에, 후술하는 회전 수차(73)로부터 생긴 수류를 도입하기 위한 제2 수류 통과구(42)가 뚫려 있다. 제2 수류 통과구(42)는 슬릿형이고, 처리 바구니(12)의 양측벽 사이에 가까운 수평 길이를 갖고, 후술하는 정류부(74)의 취출구(95)보다 약간 크면 된다.
또한, 처리 바구니(12)에는 저면 망부(47)로부터 슈트(41)를 향하여, 단면이 원호형인 곡면부(48)가 형성된다. 처리 대상물(31)에 대하여 처리가 종료된 후에, 슈트(41)를 향하여 처리 대상물(31)을 효율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음과 동시에, 제2 수류 통과구(42)로부터 도입된 수류를 바닥부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굽어지게 함으로써, 처리 대상물(31)을 처리 바구니(12) 내에서 효율적으로 순환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수조(13)의 바닥부에는 배수구(52)가 형성된다. 사용시에는 밸브를 폐쇄하고 있지만, 사용 후나 물의 교체시 등, 적절하게, 밸브를 개방하여 배수가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적절하게 물을 공급하여 표준 수위(A)를 넘는 경우에, 넘친 만큼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외수조(14)의 표준 수위(A)보다 높은 위치에, 별도의 상부 배수구를 형성해 두어도 좋다.
상기 처리 바구니(12)를 수용하는 수조(13)는, 처리 바구니(12)를 저장할 수 있는 형상일 필요가 있다. 도 1∼3의 실시형태에서는 수조(13)는 반원기둥형으로 이루어지고, 처리 바구니(12)는 이 수조(13)의 내벽을 따르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조(13)의 외주 중, 처리 바구니(12)의 슈트(41)가 있는 쪽을 제외한 3방향을 둘러싸도록, 수조(13)에 접하는 외수조(14)가 설치된다. 이 외수조(14)는, 처리 바구니(12)로부터 넘친 물을 회수하여 후술하는 회전 수차(73)로 송입하기 위한 것이다.
슈트(4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수조(13)와 외수조(14) 사이의 구획벽(56)에는, 처리 바구니(12)의 제2 수류 통과구(4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찬가지로 수류를 통과시키는 슬릿형의 제1 수류 통과구(55)가 형성된다. 여기에는, 후술하는 정류부(74)의 취출구(95)가 삽입된다. 제1 수류 통과구(55)의 위치는, 식품 처리시(회전 수차(73)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수조(13)의 수위(B)보다 아래로서, 수조(13)의 최심 심도의 절반보다 위인 위치이면 되고, 수면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처리 대상물(31)을 적합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수면 가까이에 강한 수류를 일으키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처리 바구니(12)의 슈트(41)와는 반대측인 도입측 단부 가장자리(49)에는, 처리 바구니(12)로부터 넘친 물을 외수조(14)로 떨어뜨리는 정면 홈통(45)이 설치된다. 이 정면 홈통(45)은, 수조(13)와 외수조(14)를 구획하는 구획벽(56)의 상단인 정면 가장자리부(53)의 위에 놓인다. 또한, 처리 바구니(12)의 양측면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지지판(44)보다 정면 홈통(45)에 가까운 쪽에, 처리 바구니(12)로부터 넘친 물을 외수조(14)의 양측면측으로 떨어뜨리는 측면 홈통(46, 46)이 설치된다. 이 측면 홈통(46, 46)은 수조(13)와 외수조(14) 사이의 측면측의 벽인 측면 구획벽(57)의 상단인 측면 가장자리부(54, 54)의 위에 놓인다.
외수조(14)는, 수조(13)의 측면 구획벽(57)을 따라 돌아 들어간 측부 버퍼(62, 62)와, 수조(13)와의 구획벽(56)을 따르는 수차 영역(63)의 3방으로부터 수조(13)를 둘러싼다. 이 중, 구획벽(56)과 접하는 수차 영역(63)에, 수류를 발생시키는 회전 수차(73)와, 그 생긴 수류를 상기한 제1 수류 통과구(55) 및 제2 수류 통과구(42)를 향하게 하는 정류부(74)가 설치된다. 이 회전 수차(73) 및 정류부(74)와 그 설치 개소의 형태를 도 4에 나타낸다.
우선, 저면으로부터 회전 수차(73)의 접지면을 높이기 위한 고정대(71, 71)가 수차 영역(63)의 양단 근방에 설치된다. 이 고정대(71)에 의해 회전 수차(73)는 수차 영역(63)의 저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 간극을 통하여, 하측으로부터 물이 회전 수차(73)의 축 방향 전체에 걸쳐 유입된다. 각각의 고정대(71)에는,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 말뚝(75, 75)이 설치된다.
상기한 고정대(71, 71) 사이에 걸치도록 하방판(72)이 설치된다. 하방판(72)의 양단 근방에는 각각 고정 구멍(76)이 형성되고, 이 고정 구멍(76)에 상기한 고정대(71)의 돌출 말뚝(75)을 삽입함으로써, 하방판(72)을 고정한다. 하방판(72)의 양단에는 상측을 향하여 미끄럼 베어링(77)이 설치된다. 이것은 상측을 향한 반원통형의 받이부와 고정용의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수차(73)의 회전축(83)을 사이에 끼워 수용한다.
또한, 하방판(72)의 구획벽(56)측의 하측에는, 회전 수차(73)의 축 방향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에 걸쳐, 외수조(14)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하방 정류판(78)이 설치된다. 이 하방 정류판(78)이 있으면, 구획벽(56)측으로부터는 회전 수차(73)의 하측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동시에, 회전 수차(73)에 의해 생긴 수류가, 하측으로부터 구획벽(56)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 만큼, 후술하는 정류부(74)의 전방 취수구(100)로부터 회전 수차(73)를 향해 로 물이 유입되기 쉬워지고, 발생하는 수류의 기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하방판(72)에는, 구획벽(56)으로부터 먼 쪽에, 절개되어 제거된 하방판 절개부(79)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미끄럼 베어링(77)이 수용하는 회전축(83)의 축 중심보다 먼 쪽이 절개되고, 축 중심보다 가까운 쪽에는 판이 잔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류하는 판에 의해, 회전 수차(73)의 회전에 의한 하향의 수류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됨과 동시에, 하방판 절개부(79)를 통해 고정대(71)의 아래에 있는 간극으로부터 회전 수차(73)의 상측으로 회전하는 쪽으로 물이 유입되어, 효율적으로 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회전 수차(73)는, 적어도 제1 수류 통과구(55)의 수평 방향 길이보다 긴 회전축(83)을 갖고, 이 회전축(83)을 따라 수류를 발생시키는 러너(교반 날개)를 갖는다. 도 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83)의 양단 근방에 직경 방향으로 넓혀진 환상부(81)를 갖는다. 이 환상부(81)는, 회전축(83)과의 사이가 복수개의 아암부(84)로 연결되고, 아암부(84)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회전축(83)과 환상부(81)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형성된다. 환상부(81)의 축 방향 면에는, 다른 하나의 환상부(81)까지 걸쳐지는, 축에 수직이고 단면이 호 형상인 호형 날개(82)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이것이 러너가 된다. 이 호형 날개(82)도, 회전축(83)과는 직접 접하지 않고, 회전축(83)과의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호형 날개(82)의 단면 호형인 오목한 면은, 회전 수차(73)의 회전 방향을 향하고 있고, 물을 효율적으로 수용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즉, 호형 날개(82)가 상측으로 회전했을 때, 오목한 쪽의 면이 처리 바구니(12)를 향하도록 배치한다.
또, 환상부(81)는 양단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축 방향의 도중에 설치되어도 좋다. 축 방향의 도중에도 환상부(81)를 설치함으로써, 호형 날개(82)의 안정도가 증가한다. 다만, 환상부(81)가 지나치게 많아도 수류의 기세가 저하되기 때문에, 양단 이외의 환상부(81)는 1개나 2개이면 된다.
또한, 효율적으로 수류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면 이 러너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면의 실시형태와는 달리 러너가 회전축(83)으로부터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시켜져 있는 형태여도 좋다. 이 형태이면 회전축(83)의 회전하는 힘을 수류로 하기 쉽다.
회전 수차(73)를 관통하는 회전축(83)은, 양단 근방에, 미끄럼 베어링(77)을 축 방향으로 사이에 끼울 수 있는 폭을 확보하여 설치된 플랜지부(85, 85) 사이에 끼인 미끄럼면(86)을 갖는다. 이 미끄럼면(86)이 상기한 미끄럼 베어링(77)과 접촉한다. 또한, 회전축(83)의 한쪽 선단에는, 영구 자석을 내장하여 외부로부터의 자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수동 원반(87)이 설치된다.
회전 수차(73)의 상측으로부터, 회전 수차(73)에 의해 발생시키는 수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정류부(74)가 씌워진다. 정류부(74)는, 구획벽(56)측을 덮는 정면판(92)과, 회전 수차(73)의 외벽(65)측을 덮는 배면판(91)을 갖는다. 배면판(91)의 상측은 축 방향 단면이 원호형인 단면 호형부(93)로 이루어져 정면판(92)측으로 구부러진다. 한편, 정면판(9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의 하방 절반 이상이 전방 취수구(100)로서 구멍이 뚫려 있다. 또한, 정면판(92)의 상측은, 배면판(91)측으로 구부러지고, 그 상측에서 다시, 구획벽(56)측으로 되접힘으로써, 배면판(91)과의 사이에 스로틀부(94)가 형성된다. 이 스로틀부(94)가 회전 수차(73)의 상측 전역 중 구획벽(56)측의 절반을 덮는다. 스로틀부(94)의 곡면은 회전 수차(73)에 부딪치지 않는 형상이며, 또한, 회전 수차(73)의 외주에 가능한 한 가까운 것이 수류의 효율상 바람직하다. 스로틀부(94)의 끝은 단면 호형부(93)의 끝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시켜져, 이들 사이에 가로 슬릿형의 취출구(95)가 형성된다. 이 취출구(95)는 상기한 수조(13)의 제1 수류 통과구(55)에 삽입된다. 회전 수차(73)에 의해 생기는 수류는, 이러한 제1 수류 통과구(55)를, 취출구(95)를 경유하여, 통과하고, 그곳으로부터 처리 바구니(12)의 제2 수류 통과구(42)로 수류가 방출된다.
취출구(95)의 선단 근방의 상측에는 수조(13)의 구획벽(56)에 눌려 정류부(74)를 고정하기 위한 탭이 되는, 상부 압박억지부(押抑部)(97)가 설치된다. 또한, 정류부(74)의 축 방향 양단에는 회전축(83)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곳으로부터도 물을 회전 수차(73)에 충분히 공급하기 위한 크기의 측면 도입구(96)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측면 도입구(96)의 하측에는, 하방판(72)에 거는 것에 의해 정류부(74)가 정면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막기 위한 하부 걸림부(98)가 설치된다.
또한 정류부(74)는, 내포하는 회전 수차(73)로 공급하는 물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멍이나 절결된 취수부가 정류부(74)의 정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형성된다.
정류부(74)의 수조(13)측의 판인 정면판(92)에는, 구획벽(56)측으로부터 회전 수차(73)로 물을 받아들이기 위한 전방 취수구(100)가 뚫려 있다. 전방 취수구(100)의 높이는 회전 수차(73)의 회전축(83)보다 약간 위로부터, 하단 근방까지에 이른다. 전방 취수구(100)의 가로폭은, 회전 수차(73)의 호형 날개(82)의 축 방향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이에 따라, 축 방향 거의 전역에 걸쳐 물을 받아들일 수 있다. 구획벽(56)측은 회전 수차(73)의 회전이 하방향을 향하고 있어, 이쪽을 개방하더라도 수류를 약하게 하는 것보다 공급량을 확보하는 메리트 쪽이 커진다.
한편, 배면판(91)에는, 외벽(65)측으로부터 회전 수차(73)로 물을 받아들이기 위한 후방 취수부(101)가, 하방측으로부터 절개하는 형식으로 설치된다. 후방 취수부(101)는, 축 방향 중앙 부분에 설치된 중앙 취수부(102)와, 축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된 하후방 취수부(103)로 이루어진다. 중앙 취수부(102)는, 하측으로부터 회전축(83) 부근의 높이까지 절단진입되고, 물이 도달하기 어려운 축 방향 중앙부로의 물 공급을 보조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다만, 중앙 취수부(102)가 축 방향으로 지나치게 넓으면, 그 부분은 상방향으로의 수류가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축 방향 길이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후방 취수부(103)는, 축 방향 거의 전역에 걸치지만, 회전축(83)의 높이에까지 이르면 그 만큼 상향의 수류가 정류부(74)에 도달하지 않고 확산되어 버리기 때문에, 절개한 상단을 회전축(83)으로부터 -45도 정도의 높이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전방 취수구(100)와, 후방 취수부(101)와, 측면 도입구(96)로부터, 회전 수차(73)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수차를 충분히 고속으로 회전시켜도 물의 공급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처리 대상물(31)이 무겁고, 강한 수류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취수하는 부위의 크기를 넓히면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 후에는 정류부(74), 회전 수차(73), 하방판(72)을 순서대로 해체하여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없어, 애당초 잘 폐색되지 않는다. 또, 고정대(71)는 저면에 완전히 고정해도 좋고, 해체 가능해도 좋다.
한편, 외수조(14)의 측벽(61)의 외측에는, 회전 수차(73)의 수동 원반(87)과 상대하는 위치에, 이 수동 원반(87)과 자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기는 영구 자석을 내장하는 가동 원반(67)과, 이것을 회전시키는 모터(66)가 부착된다. 이것에 의한 회전 수차(73)의 회전 방향은, 배면판(91)측이 상향, 정면판(92)측이 하향이다. 하향의 흐름은 하방판(72)의 절개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멈춰지기 때문에, 여분의 수류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간극으로부터 하방판 절개부(79)를 통과하여 상향으로 공급되는 물이, 회전 수차(73)의 상향의 회전에 의해 효율적으로 강한 수류가 되고, 단면 호형부(93)에 의해 손실을 억제하면서 굽어져 취출구(95)에 보내짐으로써, 강력한 수류가 처리 바구니(12)의 수면 부근의 전역을 덮도록 발생한다. 이 수류는 처리 바구니(12)의 슈트(41)의 아래에 설치된 곡면부(48)에 부딪쳐 아래를 향하는 흐름이 되고, 처리 대상물(31)을 처리 바구니(12) 내에서 회전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처리시킬 수 있다.
이 회전 수차(73)가 회전하고 있는 도중에는, 생기는 수류에 의한 압력차가 생겨, 외수조(14)의 수위가 낮아지고, 한편으로 수조(13) 및 처리 바구니(12)의 내부 수위는 높아진다. 이 때에 생기는 수위차를 억제하기 위해, 수조(13)에 대하여 외수조(14)는 어느 정도의 용적을 확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측부 버퍼(62) 분의 용적에 의해 이것을 확보하면 된다. 처리 바구니(12) 내의 수위가 상승하여, 정면 홈통(45) 및 측면 홈통(46)을 넘는 부분은, 외수조(14)로 흘러 떨어져, 회전 수차(73)로부터 다시 수류가 되어 순환한다.
이러한 순환시, 처리 대상물(31)이나 처리 대상물(31)로부터 분리된 쓰레기나 식품 찌꺼기, 유지분 등의 제외물(32)이 회전 수차(73)에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정면 홈통(45)으로부터 정류부(74)로 떨어지는 물에 포함되는 제외물(32) 등을 받아내기 위한 정면 홈통망(35)이, 정류부(74)의 상부 압박억지부(97)와, 이것에 상대하는 외주의 벽에 형성되는 단차인 정면 걸림부(64)와의 사이에 부착된다. 또, 구획벽(56)의 상측 단부인 정면 가장자리부(53)는, 외수조(14)측으로 돌출된다. 이 돌출된 부분의 하측에 정면 홈통망(35)을 압입함으로써, 정류부(74)가 수류에 의해 들려 올라가는 힘을, 정면 홈통망(35)을 통해, 정면 가장자리부(53)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억지할 수 있다. 이 부분의 축 방향으로부터의 확대도를 도 5에 나타낸다.
또한, 처리 바구니(12)의 측면에서는 정면과 마찬가지로, 측면 홈통(46)으로부터 측부 버퍼(62)로 떨어지는 물에 포함되는 제외물(32)을 받아내기 위한 측면 홈통망(36)이, 측벽(61)과 측면 가장자리부(54) 사이에 걸쳐져 있다. 또, 살균 처리나 가온 처리, 해동 처리, 냉각 처리 등, 제외물(32)이 거의 생기지 않는 경우에서는, 측면 홈통망(36)을 생략해도 좋다. 다만, 정면 홈통망(35)은, 정류부(74)의 상부 누름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제외물(32)이 생기지 않는 경우라도 동일한 형상의 부품을 부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식품 처리 장치로 처리할 수 있는 처리 대상물(31)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육류, 생선, 조개, 갑각류 등의 수산물, 야채류, 곡물류, 과일류, 콩류 등의 농산물, 육류나 농산물, 수산물 등의 커트, 조리 등이 된 중간 가공품이나 식품 가공품 등의 임의의 처리 대상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제외물(32)로는, 유지분, 머리카락, 가온 처리에서 생긴 잿물, 규격보다 작은 처리 대상물이나 그 조각 등의 식품 찌꺼기, 자갈, 휴지, 벌레, 짚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식품 처리 장치(11)는, 세정시, 가온 처리시, 또는 살균 처리시에, 처리 대상물 첨가물 등을 첨가하면, 조미나 처리 대상물 가공을 또한, 세정, 가온 처리, 또는 살균 처리와 동시에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세정시에, 가온하거나, 살균제를 첨가하거나 함으로써, 세정 처리와, 가온 처리나 살균 처리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조 내의 수온을 비점 가까이의 물로 가온 처리를 하는 경우 등의 필요에 따라, 수조(13)의 개방면의 상부 또는 상측에 커버를 부착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련된 식품 처리 장치(11)를 사용할 때의 기본적 순서는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세정 또는 가온 등의 처리의 대상이 되는 처리 대상물(31)을 수조(13)에 수납한 처리 바구니(12) 내에 넣는다. 회전 수차(73)를 회전시키면, 외수조(14) 내의 물이 회전 수차(73)에 빨려들어, 취출구(95)로부터 제1 수류 통과구(55)를 통과하여 제2 수류 통과구(42)로 도입되고, 처리 바구니(12)의 내부를 순환하는 수류가 된다. 이 수류에 의해, 처리 대상물(31)은 세정 등의 처리가 된다. 일정 시간에 걸쳐 처리 대상물(31)을 처리 종료했으면, 구동 장치(20)를 구동시켜, 회동 아암(26)을 상향으로 회동시키면, 처음에는 회동 아암(26)의 선단의 경사부(30)가 지지판(44)과 접촉할 때까지, 처리 바구니(12)는 그 개방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것과 같은 회동 운동을 하지 않고, 밸런스를 유지한 채로 상하 이동한다. 이 때, 저면 망부(47)로부터 물이 수조(13)로 낙하하기 때문에, 처리 대상물(31)에 부착되는 물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회동 아암(26)을 진동시킴으로써, 더욱 물을 흔들어 떨어뜨릴 수도 있다. 그 후에는, 회동 아암(26)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받침점 핀(43)을 갖는 처리 바구니(12)가 회동되고, 도 1이라면 도면 중 좌측으로 슈트(41)를 타고 처리 대상물(31)이 낙하한다. 낙하 종료시켰으면 회동 아암(26)을 복귀시켜, 처리 바구니(12)를 원래대로 수조(13)에 저장한다. 그 후, 마찬가지로 처리 대상물(31)을 도입하여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물이 오염되어 가는 경우에는, 수조(13) 또는 외수조(14)에 순차로 물을 공급하면서 처리를 행한다. 처리 종료 후에 외수조(14)로부터 사용 후의 물이 넘치게 하거나, 또는 배수구(52)로부터 배출하도록 하면, 물을 교체하면서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식품 처리 장치(11)는, 회전 수차(73)를 항상 회전시킨 채로 사용해도 좋고, 처리 후에 구동 장치(20)에 의해 처리 바구니(12)를 들어올려 슈트(41)로부터 처리 대상물(31)을 꺼낼 때에 회전 수차(73)를 정지시켜도 좋다. 또, 회전 수차(73)를 정지하면 외수조(14)와 수조(13)의 수위는 평균화된다.
이용하는 회전 수차(73)의 호형 날개(82)와 같은 러너의 각도나 장수, 또한, 모터(66)에 의한 회전 속도를 조정하여, 발생하는 수류에 상기 처리 대상물(31)을 편승시켜 교반함으로써, 처리 대상물(31)에 부착된 제외물(32)을 처리 대상물(3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관련된 식품 처리 장치(11)에서는, 취출구(95)가 수면 근방에 있고, 수류는 수면 부근에 집중되기 때문에, 물보다 비중이 가볍고 수면 부근에 모이기 쉬운 소재에 대하여, 높은 세정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에 관련된 식품 처리 장치(11)를 세정 이외의 살균이나 가열 처리를 주목적으로 하여 이용하는 경우, 정면 홈통망(35)이나 측면 홈통망(36)을 제외한 실시형태여도 좋다. 이 경우, 정면 가장자리부(53)로 직접 정류부(74)의 상단을 억지하면 된다.
수조(13) 내에 온수 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수조(13) 내의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면, 수조(13) 내의 처리 바구니(12)로 공급되는 처리 대상물의 가온 처리를 할 수 있다. 이 가온 처리란, 처리 대상물에 물을 통해 열을 가하는 처리를 말하며, 예컨대, 처리 대상물을 익히거나, 삶거나, 데치거나 하는 처리를 들 수 있다. 가온 처리하는 경우에는, 수조(13) 내의 물을 휘저을 수 있어, 물의 대류를 조장하고, 온도 불균일을 없애, 처리 대상물을 균일하게 가온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수조(13)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온수를 공급하는 수단으로는, 수조(13)에 형성된 급수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직접, 온수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조(13) 내에 살균제를 첨가하여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수조(13) 내의 처리 바구니(12)로 공급되는 처리 대상물의 살균 처리를 할 수 있다. 이 살균제로는, 차아염소산나트륨, 패각 소성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살균 처리하는 경우에는, 수조(13) 내의 물을 휘저을 수 있어, 물의 대류를 조장하고, 처리 대상물(31)과 살균제의 접촉 기회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어, 처리 대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살균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식품 처리 장치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지만, 도 6∼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식품 처리 장치(11)를 나란히 놓고 사용해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처음의 식품 처리 장치(11a)에서 처리 종료한 후, 처리 바구니(12a)로부터 슈트(41a)를 통해 낙하시키는 곳이, 다음 식품 처리 장치(11b)의 처리 바구니(12b)가 되도록 배치한다. 마찬가지로, 처리 바구니(12b)로부터 슈트(41b)를 통해 낙하시키는 곳이, 다음 식품 처리 장치(11c)의 처리 바구니(12c)가 된다. 또, 이후 마찬가지로, 1개째의 식품 처리 장치(11a)의 각 구성 요소는 첨자 「a」를, 2개째의 식품 처리 장치(11b)의 각 구성 요소는 첨자 「b」를 붙여 설명한다.
복수의 식품 처리 장치(11a, 11b, 11c)를 연결하여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외수조(14a, 14b, 14c ……)를 연결하는 수로(200a, 200b ……)를 설치함과 동시에, 각각의 수로를 폐쇄할 수 있는 셔터(201a, 201b, ……)를 설치하면, 이용하는 물을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순차 이송시킬 수 있고, 단계적인 세정을 행할 수 있다.
그 때의 수위와 물의 변동을, 3기의 식품 처리 장치(11a, 11b, 11c)를 연결시킨 형태를 예로 들어, 도 9의 (a)∼(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본 형태로는 회전 수차(73a, 73b, 73c)가 회전하고 있고, 각각의 수조(13)와 외수조(14) 사이에는 수위차가 발생해 있다. 비회전시의 표준 수위(A)에 대하여, 회전시의 수조(13)의 수위(B)는 높고, 외수조(14)의 수위(C)는 낮다. 또한, 처리 대상물(31)의 투입은 최초단이 되는 식품 처리 장치(11a)의 처리 바구니(12a)로 행하고, 새롭게 공급하는 물은 최종단인 식품 처리 장치(11c)의 외수조(14c)로 도입된다(급수구(51c)). 이 상태가 도 9의 (a)이다.
식품 처리 장치(11a)에서의 처리가 종료되고, 처리 대상물(31)을 배출한 시점에서, 회전 수차(73c)를 정지하면, 식품 처리 장치(11c)의 내외 수위차가 없어져 균일화된다. 이 단계에서 이미 추가의 물이 도입되기 때문에, 균일화된 수위는 표준 수위(A)보다 높아져 있다(수위(E)). 수로(200b)의 저면의 높이는 이 높아진 수위(E)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 수로(200b)를 폐쇄하는 셔터(201b)를 개방하면, 잉여의 물이 하류의 식품 처리 장치(11b)의 외수조(14b)로 유입된다(도 9의 (b)). 이 때, 식품 처리 장치(11b)는 회전 수차(73b)가 회전하고 있고, 내외 수위차가 발생해 있기 때문에, 외수조(14b)의 수위(C)는 낮고, 수로(200b)로부터 일방적으로 물이 유입된다. 충분히 물이 식품 처리 장치(11b)로 도입되었으면, 셔터(201b)를 폐쇄하고, 회전 수차(73c)를 재가동시켜 처리를 속행한다.
동일한 것을 식품 처리 장치(11b)에서도 행할 수 있다. 식품 처리 장치(11b)에 새롭게 유입된 물 만큼, 내부 수위는 전체적으로 상승하고, 회전 수차(73b)를 정지했으면 표준 수위(B)보다 높은 수위로 평균화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의 (c)와 같이, 수로(200a)의 셔터(200a)를 개방하면, 식품 처리 장치(11b)의 외수조(14b)로부터 식품 처리 장치(11a)의 외수조(14a)로 물이 일방적으로 유입되어 간다. 충분히 물이 식품 처리 장치(11a)로 도입되었으면 셔터(201a)를 폐쇄하고, 회전 수차(73b)를 재가동시켜 처리를 속행한다. 이에 따라 식품 처리 장치(11a)가 갖는 물이 과잉이 되기 때문에, 적절하게, 배수구(52a)로부터 배출한다(도 9의 (d)).
이상의 순서에 의해, 상류측이 되는 식품 처리 장치(11c)가 보다 청정한 물에 의한 처리를 행하고, 순차로 사용 후의 물을 하류측이 되는 식품 처리 장치(11b, 11a)로 도입해 나갈 수 있다. 처리 대상물(31)의 투입을 식품 처리 장치(11a)로부터 행함으로써, 단계적인 세정 등의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수로(200)에 의한 접속은, 인접하는 식품 처리 장치(11)와의 사이에서 연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3기 이상을 연결한 연속적인 식품 처리 장치(11a, 11b, 11c ……)에 있어서, 1개 이상 사이를 띄운 식품 처리 장치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수로(202)로 해도 좋다. 이러한 형태로 한 실시형태의 평면도를 도 10에 나타낸다. 바이패스 수로(202)에도 마찬가지로 셔터(203)가 설치된다. 이러한 형태로 하는 것과, 식품 처리 장치(11a와 11c)는 동일한 물을 연속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식품 처리 장치(11c)에서는 헹굼을 행하고, 사용한 물을 바이패스 수로(202)를 통해 송입하는 식품 처리 장치(11a)에서는 애벌 세정을 행하면서, 도중에 처리 대상물(31)이 경유하는 식품 처리 장치(11b)에서는 차아염소산수 등에 의한 살균을 행하거나, 조미료 수용액에 의한 조미를 행하거나, 증기 공급에 의한 열탕에서의 끓임 처리와 같은, 별종의 액에 의한 처리를 개재시킬 수 있다.
11, 11a, 11b, 11c: 식품 처리 장치
12, 12a, 12b, 12c: 처리 바구니
13, 13a, 13b, 13c: 수조
14, 14a, 14b, 14c: 외수조
<본체>
20: 구동 장치 21: 회동축
22: 베어링 24: 회전 후크
25: 실린더 26: 회동 아암
27: 지지부 28: 아암 굴곡부
29: 아암 선단부 30: 경사부
31: 처리 대상물 32: 제외물
35: 정면 홈통망 36: 측면 홈통망
<처리 바구니>
40: 단부 가장자리 41: 슈트
42: 제2 수류 통과구 43: 받침점 핀
44: 지지판 45: 정면 홈통
46: 측면 홈통 47: 저면 망부
48: 곡면부 49: 도입측 단부 가장자리
<수조>
51: 급수구 52: 배수구
53: 정면 가장자리부 54: 측면 가장자리부
55: 제1 수류 통과구 56: 구획벽
57: 측면 구획벽
<외수조>
61: 측벽 62: 측부 버퍼
63: 수차 영역 64: 정면 걸림부
65: 외벽 66: 모터
67: 가동 원반
<수차 주변>
71: 고정대 72: 하방판
73: 회전 수차 74: 정류부
75: 돌출 말뚝 76: 고정 구멍
77: 미끄럼 베어링 78: 하방 정류판
79: 하방판 절개부
<회전 수차>
81: 환상부 82: 호형 날개
83: 회전축 84: 아암부
85: 플랜지부 86: 미끄럼면
87: 수동 원반
<정류부>
91: 배면판 92: 정면판
93: 단면 호형부 94: 스로틀부
95: 취출구 96: 측면 도입구
97: 상부 압박억지부 98: 하부 걸림부
100: 전방 취수구 101: 후방 취수부
102: 중앙 취수부 103: 하후방 취수부
200a, 200b: 수로 201a, 201b, 203: 셔터
202: 바이패스 수로 A: 표준 수위
B: 수조 수위 C: 외수조 수위
E: 표준으로부터 부피가 올라간 수위
12, 12a, 12b, 12c: 처리 바구니
13, 13a, 13b, 13c: 수조
14, 14a, 14b, 14c: 외수조
<본체>
20: 구동 장치 21: 회동축
22: 베어링 24: 회전 후크
25: 실린더 26: 회동 아암
27: 지지부 28: 아암 굴곡부
29: 아암 선단부 30: 경사부
31: 처리 대상물 32: 제외물
35: 정면 홈통망 36: 측면 홈통망
<처리 바구니>
40: 단부 가장자리 41: 슈트
42: 제2 수류 통과구 43: 받침점 핀
44: 지지판 45: 정면 홈통
46: 측면 홈통 47: 저면 망부
48: 곡면부 49: 도입측 단부 가장자리
<수조>
51: 급수구 52: 배수구
53: 정면 가장자리부 54: 측면 가장자리부
55: 제1 수류 통과구 56: 구획벽
57: 측면 구획벽
<외수조>
61: 측벽 62: 측부 버퍼
63: 수차 영역 64: 정면 걸림부
65: 외벽 66: 모터
67: 가동 원반
<수차 주변>
71: 고정대 72: 하방판
73: 회전 수차 74: 정류부
75: 돌출 말뚝 76: 고정 구멍
77: 미끄럼 베어링 78: 하방 정류판
79: 하방판 절개부
<회전 수차>
81: 환상부 82: 호형 날개
83: 회전축 84: 아암부
85: 플랜지부 86: 미끄럼면
87: 수동 원반
<정류부>
91: 배면판 92: 정면판
93: 단면 호형부 94: 스로틀부
95: 취출구 96: 측면 도입구
97: 상부 압박억지부 98: 하부 걸림부
100: 전방 취수구 101: 후방 취수부
102: 중앙 취수부 103: 하후방 취수부
200a, 200b: 수로 201a, 201b, 203: 셔터
202: 바이패스 수로 A: 표준 수위
B: 수조 수위 C: 외수조 수위
E: 표준으로부터 부피가 올라간 수위
Claims (7)
- 상면이 개방된 수조 내에, 상면이 개방된 처리 바구니를 수납하고, 상기 처리 바구니를 상기 수조 내에서 지지함과 함께, 이것을 수조 외부까지 들어올려 이 처리 바구니의 개방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회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와 접하는 외수조를 갖고,
상기 수조와 상기 외수조를 구획하는 구획벽에는, 식품 처리시에 있어서의 상기 수조의 수위보다 아래로서 상기 수조의 최심부의 심도의 절반보다 위인 위치에, 상기 외수조로부터의 수류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제1 수류 통과구가 형성되고,
상기 처리 바구니에는, 상기 제1 수류 통과구로부터의 수류를 도입할 수 있는 제2 수류 통과구가, 상기 수조 내에 수납될 때에 상기 제1 수류 통과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또한, 이 처리 바구니의 내외로 물의 출입이 가능하고,
상기 외수조에는, 상기 수류를 발생시키는 회전 수차가 그 회전축이 상기 구획벽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 수차가 발생시킨 상향의 수류를 상기 제1 수류 통과구로 정류시키는 정류부가 상기 회전 수차에 씌워진 것인, 식품 처리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상기 회전 수차의 상기 구획벽측을 덮는 정면판과, 그 반대측을 덮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상측으로부터 단면 원호형의 곡면에 의해 상기 정면판측으로 연장되는 단면 호형부와, 상기 회전 수차의 상기 정면판측의 상측을 덮는 스로틀부와, 상기 단면 호형부 및 상기 스로틀부의 끝에 형성되는 슬릿형의 취출구를 갖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수조의 저면과 상기 회전 수차 사이에, 상기 회전 수차에 대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간극이 생기도록 상기 회전 수차가 배치되고, 상기 간극으로부터 상기 회전 수차의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측부까지의 사이가 개방되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수조의 저면과의 사이에 상기 간극을 발생시키는 높이를 갖는 고정대 상에 부착되는, 상측이 개방된 미끄럼 베어링 상에, 상기 회전 수차의 회전축의 미끄럼면이 올려지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상기 정면판, 상기 배면판, 또는 그 양쪽에, 내부에 사용되는 상기 회전 수차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취수부를 갖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차의 한쪽 단부가, 단부측에 영구 자석을 구비한 수동 원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 밖에, 상기 수조의 외벽에 서로 접촉하지 않게 거리를 두고 상기 수동 원반과 서로 끌어당기는, 상기 외벽측에 영구 자석을 구비한 가동 원반과, 그 가동 원반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이 상기 가동 원반과 상기 수동 원반 사이에서 자력을 통해 상기 회전 수차에 전달되어 회전하게 되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 복수 기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 처리 장치를, 하나의 식품 처리 장치의 상기 처리 바구니를 회동시켜 처리 대상물을 배출하는 곳이, 다른 식품 처리 장치의 처리 바구니가 되도록 배치하며, 또한, 상기 식품 처리 장치끼리의 상기 외수조 사이를 수로로 연결하고, 이 수로를 폐쇄할 수 있는 셔터를 설치한 것인, 식품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081947 | 2014-04-11 | ||
JPJP-P-2014-081947 | 2014-04-11 | ||
PCT/JP2015/061222 WO2015156388A1 (ja) | 2014-04-11 | 2015-04-10 | 食品処理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9342A true KR20170019342A (ko) | 2017-02-21 |
KR102391695B1 KR102391695B1 (ko) | 2022-04-27 |
Family
ID=5428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1462A KR102391695B1 (ko) | 2014-04-11 | 2015-04-10 | 식품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552483B2 (ko) |
KR (1) | KR102391695B1 (ko) |
WO (1) | WO201515638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07344A (zh) * | 2019-03-28 | 2019-06-21 | 安徽皖源食品有限公司 | 一种新型坚果清洗设备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406221B2 (ja) * | 2019-06-21 | 2023-12-27 | 株式会社アルス | 回転伝達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処理装置 |
CN110771915A (zh) * | 2019-12-25 | 2020-02-11 | 徐州金港起重机制造有限公司 | 一种水果清洗机 |
JP6840888B1 (ja) * | 2020-12-14 | 2021-03-10 |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 循環装置および洗浄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203736A (ja) * | 1989-02-02 | 1990-08-13 | Yoji Ikura | 家畜の頭部洗浄装置 |
JPH09275956A (ja) * | 1996-04-17 | 1997-10-28 | Hosoda Kogyo Kk | 食材の異物除去装置 |
JPH11266800A (ja) | 1998-01-19 | 1999-10-05 | Arusu:Kk | 食品処理装置 |
JP2009011268A (ja) | 2007-07-06 | 2009-01-22 | Als Co Ltd | 食品処理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204372A1 (en) * | 1972-10-27 | 1974-05-24 | Novabem | Perforated basket washing machine - for rapid washing of vegetables and other foodstuffs |
JP2014132893A (ja) * | 2012-12-14 | 2014-07-24 | Als Co Ltd | 食品処理装置 |
-
2015
- 2015-04-10 WO PCT/JP2015/061222 patent/WO201515638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4-10 JP JP2016512789A patent/JP6552483B2/ja active Active
- 2015-04-10 KR KR1020167031462A patent/KR1023916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203736A (ja) * | 1989-02-02 | 1990-08-13 | Yoji Ikura | 家畜の頭部洗浄装置 |
JPH09275956A (ja) * | 1996-04-17 | 1997-10-28 | Hosoda Kogyo Kk | 食材の異物除去装置 |
JPH11266800A (ja) | 1998-01-19 | 1999-10-05 | Arusu:Kk | 食品処理装置 |
JP2009011268A (ja) | 2007-07-06 | 2009-01-22 | Als Co Ltd | 食品処理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07344A (zh) * | 2019-03-28 | 2019-06-21 | 安徽皖源食品有限公司 | 一种新型坚果清洗设备 |
CN109907344B (zh) * | 2019-03-28 | 2022-04-22 | 安徽皖源食品有限公司 | 一种新型坚果清洗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552483B2 (ja) | 2019-07-31 |
JPWO2015156388A1 (ja) | 2017-04-13 |
KR102391695B1 (ko) | 2022-04-27 |
WO2015156388A1 (ja) | 2015-10-15 |
WO2015156388A9 (ja) | 2015-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19342A (ko) | 식품 처리 장치 | |
KR102264763B1 (ko) | 식품 처리 장치 | |
US10076226B2 (en) |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er | |
US932028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game | |
JP6125091B2 (ja) | 油揚げ装置 | |
JP2014132893A (ja) | 食品処理装置 | |
US20130053615A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gesting tissue | |
JP2014081093A (ja) | マイクロ波減圧揺動乾燥機及び乾燥食品等の製造方法 | |
KR20130056151A (ko) | 곡물 자동 세척장치 | |
JP6916511B2 (ja) | 洗米装置 | |
KR20140013770A (ko) | 자동 치킨 브레딩 장치 | |
JP7406221B2 (ja) | 回転伝達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処理装置 | |
JP5031466B2 (ja) | 食品処理装置 | |
WO2015138196A1 (en) | Food waste collector system with treatment of recirculating water to reduce bacteria levels | |
KR20200140784A (ko) | 구황작물 박피장치 | |
KR200396371Y1 (ko) | 튀김용 기름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한 튀김장치 | |
KR20220022185A (ko) | 생선 골육분리장치 | |
KR101827339B1 (ko) |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 | |
JP7563961B2 (ja) | 炊飯の前処理方法、および炊飯の前処理システム | |
JP7222826B2 (ja) | 加熱調理器 | |
US20140102312A1 (en) | Popcorn Making Machine with Corn Intake Control | |
KR101629094B1 (ko) | 살균 기능을 가지는 수소수 제조장치 | |
CA2926298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game | |
KR101347586B1 (ko) | 양면 구이팬 | |
JP2014079178A (ja) | 食品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