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010285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285A
KR20170010285A KR1020150101987A KR20150101987A KR20170010285A KR 20170010285 A KR20170010285 A KR 20170010285A KR 1020150101987 A KR1020150101987 A KR 1020150101987A KR 20150101987 A KR20150101987 A KR 20150101987A KR 20170010285 A KR20170010285 A KR 20170010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organic
inorganic
modu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331B1 (ko
Inventor
김종우
임흥균
김용탁
문지영
오민호
윤덕찬
이승재
조윤형
하재흥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1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331B1/ko
Priority to US15/008,035 priority patent/US10079362B2/en
Publication of KR2017001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7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01L27/3258
    • H01L27/3223
    • H01L27/3274
    • H01L51/5237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40Organosilicon compounds, e.g. TIPS pentacene
    • H01L2227/32
    • H01L22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31Nanoparticles used in non-emissive layers, e.g. in packaging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4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liphatic or olefinic chains, e.g. poly N-vinylcarbazol, PVC or PTF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밀봉하는 박막 봉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봉지부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층 및 제2층으로 형성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층은 상기 제2층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작은 물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의 상부에 탄성계수(Modulus)가 상기 제1층 보다 큰 물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층의 상부면 및 상기 제2층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의 탄성계수(Modulus) 차이에 의해 굴곡면이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Organic luminescence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정공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 그리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를 구비하며, 정공 주입 전극에서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 주입 전극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유기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생성된 엑시톤(exiton)이 여기 상태(exited state)로부터 기저 상태(ground state)로 떨어지면서 빛을 발생시키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이다.
자발광형 표시장치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별도의 광원이 불필요하므로 저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경량의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넓은 시야각, 높은 콘트라스트(contrast)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으로 인해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밀봉하는 박막 봉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봉지부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층 및 제2층으로 형성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층은 상기 제2층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작은 물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의 상부에 탄성계수(Modulus)가 상기 제1층 보다 큰 물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층의 상부면 및 상기 제2층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의 탄성계수(Modulus) 차이에 의해 굴곡면이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제2층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작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큰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acrylate, epoxy, silicone, silicone acrylate 중 어느 하나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SiNx, SiOx, SiON, SiCN, TiOx, WOx, SiOxCy, SiOxCyHz 중 어느 하나의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acrylate, epoxy, silicone, silicone acrylate 중 어느 하나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부는 제1 무기막, 제1 유기막, 제2 무기막 및 제2 유기막이 교번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1 무기막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1 무기막과 상기 제1 유기막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1 유기막과 상기 제2 무기막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2 무기막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부 내에 상기 주름부가 적어도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각각 유기-무기 하이브리드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HMDSO(Hexamethyldisiloxane), HMDSN (hexamethyldisilazane), TMDSO(Tetrameyhyldisiloxane), TEOS(Tetraethylorthosilicate), OMCTS(Octamethylcyclotetrasiloxane), TOMCTS(tetraoxymethylcyclotetrasiloxane) 중 어느 하나의 유기-무기 복합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굴곡면은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굴곡면에 형성되는 굴곡은 주기가 2㎛이하, depth가 4㎛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판 상에 표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를 밀봉시키는 박막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 구조를 평탄화시키는 제1층을 도포 및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층의 상부에 상기 제1층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큰 제2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층의 상부에 유기막 또는 무기막을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층의 상부면 및 상기 제2층의 하부면에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의 탄성계수(Modulus) 차이에 의해 굴곡면이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각각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각각 유기-무기 하이브리드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측면 시인성(WAD)를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도 도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기판(100), 상기 기판(100) 상에 구비되는 표시부(200), 상기 표시부(200)를 밀봉하는 박막 봉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기판(100)은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00)은 유리 재질 또는 기타 절연 물질을 이용하거나 금속 박막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100)은 실리콘계 폴리머(silicone-based polym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olyurethane acrylate), 아크릴레이트 폴리머(acrylate polymer) 및 아크릴레이트 터폴리머(acrylate ter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리콘계 폴리머는, 예컨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헥사메틸디옥실란(hexamethyldisiloxane, HMDS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00)는 기판(100)상에 형성된다. 표시부(200)는 사용자가 시인 가능하도록 가시 광선을 발생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하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281),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83), 및 제2 전극(28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81) 및 제2 전극(285)는 다양한 도전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281) 및/또는 제2 전극(285)은 광투과성 재질 또는 반사형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광투과성 재질은 ITO, IZO, ZnO 또는 In2O3를 포함할 수 있고, 반사형 재질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283)은 제1 전극(281)과 제2 전극(285)의 사이에 형성되고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중간층(283)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중간층(283)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200)를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표시부(200)를 완전히 밀봉하도록 박막 봉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박막 봉지부(300)는 표시부(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박막 봉지부(300)의 양단이 기판(100)과 밀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박막 봉지부(300)는 다수의 박막층이 적층된 구조로서, 무기막(310)과 유기막(330)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봉지부(300)는 제1 무기막(310a), 제1 유기막(330a), 제2 무기막(310b), 제2 유기막(330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박막층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교번적으로 복수 개의 박막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기막(310)은 산소나 수분의 침투를 견고히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유기막(330)은 무기막(310)의 스트레스를 흡수하여 유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무기막(310)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무기막들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막(330)은 고분자로 형성되며,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라카보네이트, 에폭시,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기막들은 폴리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막들은 디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트리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이 고분자화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모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TPO와 같은 광개시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박막 봉지부(300) 내부에는 주름부(400a)가 포함될 수 있다.
주름부(400a)는 두 개의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200)를 밀봉하는 박막 봉지부(300) 내에는 주름부(400a)가 포함되며 상기 주름 형성부(400a)는 하부에 제1층(410a)이 먼저 형성되고 상기 제1층(410a)의 상부에 곧바로 제2층(430a)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400a)는 박막 봉지부(300) 내에 위치하며 제1 무기막(310a)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표시부(200)를 밀봉시키도록 제1층(410a), 제2층(430a), 제1 무기막(310a), 제1 유기막(330a), 제2 무기막(310b), 제2 유기막(330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층(410a)은 제2층(430a)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작은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층(430a)은 하부의 제1층(410a)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큰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탄성계수(Modulus)가 낮은 물질이 하부에 탄성계수(Modulus)가 큰 물질이 상부에 접하여 형성됨에 따라 두 층의 탄성계수(Modulus) 차이에 의해 두 층 사이에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별도로 굴곡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칠 필요 없이 제1층(410a)을 형성하고 상부에 제1층(410a)과 접하도록 제2층(430a)을 형성함에 따라 아래에 위치한 제1층(410a)의 상부면 및 위에 위치한 제2층(430a)의 하부면에 박막 스트레스에 의해 굴곡면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굴곡면은 일정한 주기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박막 봉지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주름부(400a), 특히 제1층(410a) 및 제2층(430a) 사이에 굴곡면이 형성됨에 따라 표시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바깥으로 투과되어 사용자의 시각에 인식됨에 있어서 측면 시인성(WAD)이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즉, 표시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박막 봉지부(300) 내에 형성된 주름부(400a)의 굴곡면에 도달하면 불규칙한 형상의 굴곡면에 의해 불규칙하게 굴절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직선으로만 빛이 투과되는 경우 표시 장치의 측면 시인성이 좋지 않은 것과 달리 빛이 굴곡면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굴절됨에 따라 측면 시인성(WAD)이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굴곡면에 형성되는 주름은 주기가 2㎛ 이하, 폭이 4㎛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주름부(400a) 내에 굴곡면이 형성되는 경우 빛의 굴절으로 인한 측면 시인성 향상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물론, 주름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의 탄성계수(Modulus) 차이에 따라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은 각각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물 혹은 무기물을 증착하여 막을 형성함에 있어서 형성되는 막의 탄성계수(Modulus)는 물질에 따라 고유한 값이 아니라 재료로 막을 형성할 때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막을 증착함에 있어서 주위 oxygen 조건, pressure 조건, power 조건, 전극간의 gap 조건 등의 여러 형성 조건에 따라 형성된 막의 탄성계수(Modulus)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같은 물질으로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을 형성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막의 형성 조건에 따라 탄성계수(Modulus)를 조절할 수 있으며 조건을 조절하여 제1층(410a)의 탄성계수(Modulus)는 작게, 제2층(430a)의 탄성계수(Modulus)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층(410a)은 탄성계수(Modulus) 값이 작은 유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층(430a)은 탄성계수(Modulus) 값이 큰 유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층(410a)은 탄성계수(Modulus) 값이 작은 유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층(430a)은 탄성계수(Modulus) 값이 큰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층(410a)은 탄성계수(Modulus) 값이 작은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층(430a)은 탄성계수(Modulus) 값이 큰 유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층(410a)은 탄성계수(Modulus) 값이 작은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층(430a)은 탄성계수(Modulus) 값이 큰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에 형성되는 제1층(410a)의 탄성계수(Modulus)가 상부의 제2층(430a)의 탄성계수(Modulus)보다 작고, 상부에 형성되는 제2층(430a)의 탄성계수(Modulus)가 하부의 제1층(410a)의 탄성계수(Modulus)보다 크다면 유기막 또는 무기막에 한정되지 않고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1층(410a)이 유기막인 경우 acrylate, epoxy, silicone, silicone acrylate 중 어느 하나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1층(410a)이 무기막인 경우 SiNx, SiOx, SiON, SiCN, TiOx, WOx, SiOxCy, SiOxCyHz 중 어느 하나의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2층(430a)이 유기막인 경우 acrylate, epoxy, silicone, silicone acrylate, 중 어느 하나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2층(430a)이 무기막인 경우 SiNx, SiOx, SiON, SiCN, TiOx, WOx, SiOxCy, SiOxCyHz 중 어느 하나의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200)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100)의 상부에 버퍼층(110)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10)은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베리어층, 및/또는 블록킹층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버퍼층(110)의 상부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활성층(A)은 폴리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과, 채널 영역의 양 옆으로 불순물이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불순물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이 가능하다.
활성층(A)이 형성된 후 활성층(A)의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210)이 기판(100)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10)은 실리콘산화물 또는 실리콘질화물 등의 무기 물질로 이루어진 막이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10)은 활성층(A)과 상부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G)을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10)을 형성한 후 게이트 절연막(210)의 상부에 게이트 전극(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과 식각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의 물질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니켈(Li), 칼슘(Ca), 타이타늄(Ti),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이 형성된 후 제1 층간 절연막(230)이 기판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230)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층간 절연막(230)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무기 물질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rO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230)은 실리콘산화물(SiOx) 및/또는 실리콘질화물(SiNx) 등의 무기물로 이루어진 막이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층간 절연막(230)은 SiOx/SiNy 또는 SiNx/SiOy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230)의 상부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S), 드레인 전극(D)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 드레인 전극(D)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니켈(Li), 칼슘(Ca), 몰리브덴(Mo), 타이타늄(Ti),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을 덮도록 기판(100) 전면(全面)에 비아층(250)이 형성된다. 비아층(250)의 상부에는 화소 전극(28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소 전극(281)은 비아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D)과 연결된다.
비아층(250)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아층(250)은 무기물, 유기물, 또는 유/무기 복합물로 단층 또는 복수층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증착방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평탄화막(PL)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 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아층(250)의 상부에는 유기 발광 소자(OLED)가 구비된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화소 전극(281),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83), 및 대향 전극(285)을 포함한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소 정의막(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281) 및/또는 대향 전극(285)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구비될 수 있고,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된 투명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화소 전극(281) 또는 대향 전극(285)은 ITO/Ag/ITO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270)은 화소 영역과 비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70)은 화소 전극(281)을 노출하는 개구(270a)를 포함하며 기판(100)을 전면적으로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270a)에 후술할 중간층(283)이 형성되어, 개구(270a)가 실질적인 화소 영역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0)의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 1 내지 도 2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200)의 상부에는 상기 표시부(200)를 밀봉시키는 박막 봉지부(3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박막 봉지부(300)는 무기막(310), 유기막(330) 및 주름부(400a)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박막 봉지부(300)는 다수의 박막층이 적층된 구조로서, 무기막(310)과 유기막(330)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봉지부(300)는 제1 무기막(310a), 제1 유기막(330a), 제2 무기막(310b), 제2 유기막(330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박막층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교번적으로 복수 개의 박막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름부(400a)는 제1 무기막(310a)과 제1 유기막(330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주름 형성부(400a)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1층(410a) 및 상기 제1층의 상부에 곧바로 형성되는 제2층(430a)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층(410)은 제2층(430)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작은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층(430)은 하부의 제1층(410)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큰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0)는 탄성계수(Modulus)가 낮은 물질이 하부에 탄성계수(Modulus)가 큰 물질이 상부에 접하여 형성됨에 따라 두 층의 사이에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아래에 위치한 제1층(410a)의 상부면 및 위에 위치한 제2층(430a)의 하부면에 별도의 공정 없이 박막 스트레스에 의해 굴곡면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곡면은 일정한 주기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0)는 박막 봉지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주름부(400a) 특히 제1층(410a) 및 제2층(430a) 사이에 굴곡면이 형성됨에 따라 표시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바깥으로 투과되어 사용자의 시각에 인식됨에 있어서 WAD가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즉, 표시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박막 봉지부(300) 내에 형성된 굴곡면에 도달하면 불규칙한 형상의 굴곡면에 의해 불규칙하게 굴절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직선으로만 빛이 투과되는 경우 측면 시인성이 좋지 않은 것과 달리 빛이 굴곡면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굴절됨에 따라 측면 시인성(WAD)이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은 각각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은 제1층(410a)의 탄성계수(Modulus)가 제2층(430a)보다 작고 제2층(430a)의 탄성계수(Modulus)가 제1층(410a)보다 크다면 유기막, 무기막에 상관 없이 어떤 물질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0)는 표시부(200)를 밀봉시키도록 제1 무기막(310a), 주름부(400a)- 다시 말해 제1층(410a), 제2층(430a), 제1 유기막(330a), 제2 무기막(310b), 제2 유기막(330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0)의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 1 내지 도 2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200)의 상부에는 상기 표시부(200)를 밀봉시키는 박막 봉지부(3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박막 봉지부(300)는 무기막(310), 유기막(330) 및 주름부(400a)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박막 봉지부(300)는 다수의 박막층이 적층된 구조로서, 무기막(310)과 유기막(330)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봉지부(300)는 제1 무기막(310a), 제1 유기막(330a), 제2 무기막(310b), 제2 유기막(330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박막층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교번적으로 복수 개의 박막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름부(400a)는 제1 유기막(330a)과 제2 무기막(310b)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400a)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1층(410a) 및 상기 제1층의 상부에 곧바로 형성되는 제2층(430a)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층(410a)은 제2층(430a)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작은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층(430a)은 하부의 제1층(410a)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큰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탄성계수(Modulus)가 낮은 물질이 하부에 탄성계수(Modulus)가 큰 물질이 상부에 접하여 형성됨에 따라 두 층의 사이에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아래에 위치한 제1층(410a)의 상부면 및 위에 위치한 제2층(430a)의 하부면에 별도의 공정 없이 박막 스트레스에 의해 굴곡면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곡면은 일정한 주기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0)는 박막 봉지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주름부(400a) 특히 제1층(410a) 및 제2층(430a) 사이에 굴곡면이 형성됨에 따라 표시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바깥으로 투과되어 사용자의 시각에 인식됨에 있어서 WAD가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즉, 표시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박막 봉지부(300) 내에 형성된 굴곡면에 도달하면 불규칙한 형상의 굴곡면에 의해 불규칙하게 굴절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직선으로만 빛이 투과되는 경우 측면 시인성이 좋지 않은 것과 달리 빛이 굴곡면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굴절됨에 따라 측면 시인성(WAD)이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은 각각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은 제1층(410a)의 탄성계수(Modulus)가 제2층(430a)보다 작고 제2층(430a)의 탄성계수(Modulus)가 제1층(410a)보다 크다면 유기막, 무기막에 상관 없이 어떤 물질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0)는 표시부(200)를 밀봉시키도록 제1 무기막(310a), 제1 유기막(330a), 주름부(400a)- 다시 말해 제1층(410a), 제2층(430a), 제2 무기막(310b), 제2 유기막(330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0)의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 1 내지 도 2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200)의 상부에는 상기 표시부(200)를 밀봉시키는 박막 봉지부(3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박막 봉지부(300)는 무기막(310), 유기막(330) 및 주름부(400a)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박막 봉지부(300)는 다수의 박막층이 적층된 구조로서, 무기막(310)과 유기막(330)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봉지부(300)는 제1 무기막(310a), 제1 유기막(330a), 제2 무기막(310b), 제2 유기막(330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박막층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교번적으로 복수 개의 박막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름부(400a)는 제2 유기막(330b)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유기막(310)과 무기막(330)이 모두 적층되어 형성된 후 박막 봉지부(300)의 최상부에 주름부(400a)가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400a)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1층(410a) 및 상기 제1층의 상부에 곧바로 형성되는 제2층(430a)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층(410a)은 제2층(430a)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작은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층(430a)은 하부의 제1층(410a)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큰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0)는 탄성계수(Modulus)가 낮은 물질이 하부에 탄성계수(Modulus)가 큰 물질이 상부에 접하여 형성됨에 따라 두 층의 사이에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아래에 위치한 제1층(410a)의 상부면 및 위에 위치한 제2층(430a)의 하부면에 별도의 공정 없이 박막 스트레스에 의해 굴곡면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곡면은 일정한 주기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0)는 박막 봉지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주름부(400a) 사이에 굴곡면이 형성됨에 따라 표시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바깥으로 투과되어 사용자의 시각에 인식됨에 있어서 WAD가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즉, 표시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박막 봉지부(300) 내에 형성된 굴곡면에 도달하면 불규칙한 형상의 굴곡면에 의해 불규칙하게 굴절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직선으로만 빛이 투과되는 경우 측면 시인성이 좋지 않은 것과 달리 빛이 굴곡면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굴절됨에 따라 측면 시인성(WAD)이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은 각각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은 제1층(410a)의 탄성계수(Modulus)가 제2층(430a)보다 작고 제2층(430a)의 탄성계수(Modulus)가 제1층(410a)보다 크다면 유기막, 무기막에 상관 없이 어떤 물질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0)는 표시부(200)를 밀봉시키도록 제1 무기막(310a), 제1 유기막(330a), 제2 무기막(310b), 제2 유기막(330b) 및 주름부(400a)- 다시 말해 제1층(410a), 제2층(430a), 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0)의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도 1 내지 도 2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200)의 상부에는 상기 표시부(200)를 밀봉시키는 박막 봉지부(3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박막 봉지부(300)는 무기막(310), 유기막(330) 및 주름 형성부(400a)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박막 봉지부(300)는 다수의 박막층이 적층된 구조로서, 무기막(310)과 유기막(330)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봉지부(300)는 제1 무기막(310a), 제1 유기막(330a), 제2 무기막(310b), 제2 유기막(330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박막층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교번적으로 복수 개의 박막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름부(400a)는 박막 봉지부(300) 내에서 적어도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400a)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1층(410a) 및 상기 제1층의 상부에 곧바로 형성되는 제2층(43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이 각각 적어도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층(410a)은 제2층(430a)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작은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층(430a)은 하부의 제1층(410a)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큰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0)는 탄성계수(Modulus)가 낮은 물질이 하부에 탄성계수(Modulus)가 큰 물질이 상부에 접하여 형성됨에 따라 두 층의 사이에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아래에 위치한 제1층(410a)의 상부면 및 위에 위치한 제2층(430a)의 하부면에 별도의 공정 없이 박막 스트레스에 의해 굴곡면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곡면은 일정한 주기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0)는 박막 봉지부(300) 내에 주름부(400a)가 적어도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두 개의 주름부(400a)를 포함하며 각각의 주름부(400a)는 제1 무기막(310a)의 하부, 제1 유기막(330a) 및 제2 무기막(310b)의 사이에 형성되는 박막 봉지부(300)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주름부(400a)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름부(400a)가 형성되는 위치 또한 박막 봉지부(300) 내에 어디라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0)는 박막 봉지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주름 형성부(400a)에 굴곡면이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굴곡면이 박막 봉지부(300) 내에 형성됨에 따라 표시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바깥으로 투과되어 사용자의 시각에 인식됨에 있어서 WAD가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즉, 표시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박막 봉지부(300) 내에 형성된 굴곡면에 도달하면 불규칙한 형상의 굴곡면에 의해 불규칙하게 굴절이 일어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0)는 주름부(400a)가 적어도 두 개 형성되므로 굴곡면 또한 적어도 두 군데 형성되고 빛의 굴절이 불규칙하게 반복적으로 일어나 WAD 개선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즉, 단순히 직선으로만 빛이 투과되는 경우 측면 시인성이 좋지 않은 것과 달리 빛이 굴곡면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굴절됨에 따라 측면 시인성(WAD)이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은 각각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은 제1층(410a)의 탄성계수(Modulus)가 제2층(430a)보다 작고 제2층(430a)의 탄성계수(Modulus)가 제1층(410a)보다 크다면 유기막, 무기막에 상관 없이 어떤 물질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층(410a) 및 복수개의 제2층(430a)이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층이 유기막 또는 무기막에 한정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층(410a) 및 제2층(430a)이 각각 두 개 형성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한 제1층(410a)은 유기막으로 상대적으로 위에 위치한 제1층(410a)은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각의 주름부(400a)를 구성하는 제1층(410a)이 제2층(430a)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작고 제2층(430a)의 탄성계수(modulus)는 제1층(410a)보다 큰 경우라면 물질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어떤 물질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00)를 밀봉시키도록 주름부(400a)- 다시 말해 제1층(410a), 제2층(430a), 제1 무기막(310a), 제1 유기막(330a), 주름부(400a)- 다시 말해 제1층(410a), 제2층(430a), 제2 무기막(310b) 및 제2 유기막(330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60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도 1 내지 도 2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6000)는 기판(100), 상기 기판(100) 상에 구비되는 표시부(200), 상기 표시부(200)를 밀봉하는 박막 봉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00)의 상부에는 상기 표시부(200)를 밀봉시키는 박막 봉지부(3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박막 봉지부(300)는 무기막(310), 유기막(330) 및 주름부(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박막 봉지부(300)는 다수의 박막층이 적층된 구조로서, 무기막(310)과 유기막(330)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봉지부(300)는 제1 무기막(310a), 제1 유기막(330a), 제2 무기막(310b), 제2 유기막(330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박막층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교번적으로 복수 개의 박막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름부(400b)는 제1 무기막(310a)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주름부(400b)의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주름부(400b)는 제1 무기막(310a)과 제1 유기막(330a)의 사이, 제2유기막(330b)의 상부 등 어디라도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400b)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1층(410b) 및 상기 제1층의 상부에 곧바로 형성되는 제2층(430b)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층(410b)은 제2층(430b)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작은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층(430b)은 하부의 제1층(410b)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큰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6000)는 탄성계수(Modulus)가 낮은 물질이 하부에 탄성계수(Modulus)가 큰 물질이 상부에 접하여 형성됨에 따라 두 층의 사이에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아래에 위치한 제1층(410b)의 상부면 및 위에 위치한 제2층(430b)의 하부면에 별도의 공정 없이 박막 스트레스에 의해 굴곡면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곡면은 일정한 주기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6000)는 박막 봉지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제1층(410b) 및 제2층(430b) 사이에 굴곡면이 형성됨에 따라 표시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바깥으로 투과되어 사용자의 시각에 인식됨에 있어서 WAD가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즉, 표시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박막 봉지부(300) 내에 형성된 굴곡면에 도달하면 불규칙한 형상의 굴곡면에 의해 불규칙하게 굴절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직선으로만 빛이 투과되는 경우 측면 시인성이 좋지 않은 것과 달리 빛이 굴곡면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굴절됨에 따라 측면 시인성(WAD)이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제1층(410b) 및 제2층(430b)은 각각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층(410b) 및 제2층(430b)은 각각 HMDSO(Hexamethyldisiloxane), HMDSN (hexamethyldisilazane), TMDSO(Tetrameyhyldisiloxane), TEOS(Tetraethylorthosilicate), OMCTS(Octamethylcyclotetrasiloxane), TOMCTS(tetraoxymethylcyclotetrasiloxane) 중 어느 하나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란 유기 재료의 특성과 무기 재료의 특성을 함께 갖고 있는 재료로써 유기물과 무기물을 혼합함으로써 단일 재료에서 볼 수 없는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만든 복합재료를 말한다.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는 실란(Silane)계와 같은 무기물질으로 무기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유기 고분자와 하이브리드를 형성시켜 제조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층(410b) 및 제2층(430b)은 HMDS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층(410b) 및 제2층(430b)은 유기막의 특성인 평탄화막과 무기막의 특성인 배리어막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의 제조 방법은 기판(100) 상에 표시부(200)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200)를 밀봉시키는 박막 봉지부(30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봉지부(300)를 형성하는 단계는 주름 형성부(400a)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름 형성부(400a)를 형성하는 단계는 표시부(200)의 상부에 하부 구조를 평탄화시키는 제1층(410a)을 도포 및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층(410a)의 상부에 배리어 기능을 하는 제2층(430a)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층(410a)을 도포 및 경화시키는 단계에서 제1층(410a)은 평탄화막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제1층(410a)의 상부면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층(410a)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큰 제2층(430a)이 제1층(410a)의 상부에 곧바로 형성됨에 따라 박막 스트레스에 의해 제1층(410a)의 상부면 및 제2층(430a)의 하부면에는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별도로 제1층(410a)과 제2층(430a)의 사이 경계면에 굴곡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1층(410a)과 제2층(430a)의 탄성계수(Modulus) 차이에 의해 제1층(410a)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곧바로 제2층(430a)을 형성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로 굴곡면을 형성하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간적, 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층(410a)과 제2층(430a) 사이에 굴곡면이 형성됨에 따라 빛이 발광시에 불규칙하게 굴절되고 측면 시인성(WAD)이 향상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기판
200: 표시부
300: 박막 봉지부
310: 무기층
330: 유기층
400a, 400b: 주름부
410a, 410b: 제1층
430a, 430b: 제2층

Claims (19)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밀봉하는 박막 봉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봉지부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층; 및 제2층;으로 형성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층은 상기 제2층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작은 물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의 상부에 탄성계수(Modulus)가 상기 제1층 보다 큰 물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층의 상부면 및 상기 제2층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의 탄성계수(Modulus) 차이에 의해 굴곡면이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제2층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작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큰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acrylate, epoxy, silicone, silicone acrylate 중 어느 하나의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SiNx, SiOx, SiON, SiCN, TiOx, WOx, SiOxCy, SiOxCyHz 중 어느 하나의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acrylate, epoxy, silicone, silicone acrylate 중 어느 하나의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부는 제1 무기막, 제1 유기막, 제2 무기막 및 제2 유기막이 교번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1 무기막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1 무기막과 상기 제1 유기막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1 유기막과 상기 제2 무기막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2 무기막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부 내에 상기 주름부가 적어도 두 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각각 유기-무기 하이브리드막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HMDSO(Hexamethyldisiloxane), HMDSN (hexamethyldisilazane), TMDSO(Tetrameyhyldisiloxane), TEOS(Tetraethylorthosilicate), OMCTS(Octamethylcyclotetrasiloxane), TOMCTS(tetraoxymethylcyclotetrasiloxane) 중 어느 하나의 유기-무기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면은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면에 형성되는 굴곡은 주기가 2㎛이하, depth가 4㎛ 이하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기판 상에 표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를 밀봉시키는 박막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 구조를 평탄화시키는 제1층을 도포 및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층의 상부에 상기 제1층보다 탄성계수(modulus)가 큰 제2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층의 상부에 유기막 또는 무기막을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층의 상부면 및 상기 제2층의 하부면에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의 탄성계수(Modulus) 차이에 의해 굴곡면이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각각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각각 유기-무기 하이브리드막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50101987A 2015-07-17 2015-07-1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987A KR102330331B1 (ko) 2015-07-17 2015-07-1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5/008,035 US10079362B2 (en) 2015-07-17 2016-01-27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987A KR102330331B1 (ko) 2015-07-17 2015-07-1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285A true KR20170010285A (ko) 2017-01-26
KR102330331B1 KR102330331B1 (ko) 2021-11-25

Family

ID=5777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987A KR102330331B1 (ko) 2015-07-17 2015-07-1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79362B2 (ko)
KR (1) KR10233033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960A (ko) * 2017-08-24 2019-03-06 울산과학기술원 유연 투명 봉지재,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2738A (ko) * 2017-11-08 2019-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7886A (ko) * 2018-01-17 2019-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축성 디스플레이
KR20200008626A (ko) * 2017-05-25 2020-01-28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Oled 소자의 봉지 모듈 및 봉지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36432A (ko) * 2018-09-28 2020-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67679A (ko) * 2020-11-18 2022-05-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축 가능한 봉지재
US11362309B2 (en) 2019-02-01 2022-06-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lling patter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331B1 (ko) * 2015-07-17 2021-1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7152256A (ja) * 2016-02-25 2017-08-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5870327A (zh) * 2016-06-17 2016-08-1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oled的制作方法及柔性oled
US10673017B2 (en) * 2017-03-23 2020-06-02 Sharp Kabushiki Kaisha Organic EL display device
CN109817820A (zh) * 2017-11-20 2019-05-28 Tcl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薄膜及其封装方法和应用
CN110085740B (zh) * 2018-01-25 2022-01-11 绵阳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柔性基板及其制作方法、面板以及电子装置
WO2019186825A1 (ja) * 2018-03-28 2019-10-03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9186824A1 (ja) * 2018-03-28 2019-10-03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832028B (zh) * 2018-06-11 2020-08-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的制备方法及oled显示面板、显示装置
CN109148728B (zh) 2018-08-31 2019-10-2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656389B1 (ko) * 2018-08-31 2024-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장치
CN109273507B (zh) * 2018-09-30 2020-06-05 霸州市云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
CN109791999B (zh) 2018-11-01 2022-1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设备
CN208753371U (zh) * 2018-11-02 2019-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828522A (zh) * 2018-11-19 2020-02-21 武汉美讯半导体有限公司 全彩amoled显示器件及其生产方法
CN111211238A (zh) * 2018-11-21 2020-05-29 陕西坤同半导体科技有限公司 薄膜封装结构、薄膜封装方法及凹孔的设计方法
CN109546002B (zh) * 2018-11-23 2021-01-2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817817A (zh) * 2019-01-30 2019-05-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oled器件及其制备方法
CN110444681B (zh) * 2019-07-22 2020-12-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发光面板及显示设备
CN110289373A (zh) * 2019-07-31 2019-09-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的薄膜封装结构、方法及显示面板
KR20210028316A (ko) * 2019-09-03 2021-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316132B2 (en) * 2019-09-25 2022-04-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with multiple hardening lay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129339B (zh) * 2019-11-25 2023-01-03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薄膜封装结构、制备方法和柔性显示屏
KR20210079898A (ko) * 2019-12-20 202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2151693A (zh) * 2020-09-27 2020-12-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5117269A (zh) * 2021-03-19 2022-09-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556A (ko) * 2003-03-27 2004-10-1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전기 광학 장치, 전자 기기
US20070267973A1 (en) * 2006-05-16 2007-11-22 Min Chul Suh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073655A (ko) * 2008-12-23 2010-07-0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138037A (ko) * 2011-06-14 2012-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65681A (ko) * 2012-11-20 2014-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40090498A (ko) * 2013-01-09 2014-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330B1 (ko) 1994-12-22 1999-08-16 기타지마 요시토시 복합 필름
US7199061B2 (en) * 2003-04-21 2007-04-03 Applied Materials, Inc. Pecvd silicon oxide thin film deposition
US7521292B2 (en) * 2004-06-04 2009-04-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Stretchable form of single crystal silicon for high performance electronics on rubber substrates
US8217381B2 (en) * 2004-06-04 2012-07-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Controlled buckling structures in semiconductor interconnects and nanomembranes for stretchable electronics
KR100595928B1 (ko) 2004-07-30 2006-07-03 학교법인 대양학원 혼합 호스트 재료를 채용한 점선 도핑 구조의 발광층을갖는 유기발광소자
US20070273817A1 (en) 2004-09-24 2007-11-29 Lg Chem, Ltd. Optical Compensator Film for Lcd Via Multilayer Structure
US8144270B2 (en) * 2009-09-02 2012-03-27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Color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855545B1 (ko) 2010-10-20 2018-05-04 오엘이디워크스 게엠베하 유기 전계발광 소자
TWI680600B (zh) 2011-02-28 2019-12-2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元件
JP2012216452A (ja) * 2011-04-01 2012-11-08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光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42586B1 (ko) * 2011-04-05 2018-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19768A (ko) 2011-04-22 2012-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9476966B2 (en) 2011-12-05 2016-10-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 in selecting a transmitting device for use in a positioning function
KR101356105B1 (ko) 2012-02-28 2014-01-29 한국과학기술원 광추출층의 형성 방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419810B1 (ko) 2012-04-10 2014-07-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엑시플렉스를 형성하는 공동 호스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130114996A (ko) 2012-04-10 2013-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4011222A1 (en) * 2012-07-13 2014-01-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hin films with micro-topologies prepared by sequential wrinkling
US20140029267A1 (en) * 2012-07-25 2014-01-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hemical compound being used for forming a random wrinkle structure,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film having the structure, method of forming the film, and oled comprising the film
KR101639200B1 (ko) 2012-07-25 2016-07-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불규칙한 주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불규칙한 주름 구조를 포함하는 필름, 이의 형성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012046B1 (ko) 2013-01-02 2019-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45329A (ko) * 2013-10-18 2015-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KR101408632B1 (ko) 2013-10-24 2014-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US10052811B2 (en) * 2014-03-26 2018-08-21 Sorurabh Kumar Saha Wrinkled surfaces with tunable hierarchy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20160056414A1 (en) * 2014-08-21 2016-02-2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Thin film permeation barrier system for substrates and devic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846276B2 (en) * 2015-04-14 2017-12-19 Washington State University Low-cost fiber optic sensor for large strains
CN104795430A (zh) * 2015-04-14 2015-07-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器件及其制作方法
KR102330331B1 (ko) * 2015-07-17 2021-1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556A (ko) * 2003-03-27 2004-10-1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전기 광학 장치, 전자 기기
US20070267973A1 (en) * 2006-05-16 2007-11-22 Min Chul Suh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073655A (ko) * 2008-12-23 2010-07-0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138037A (ko) * 2011-06-14 2012-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65681A (ko) * 2012-11-20 2014-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40090498A (ko) * 2013-01-09 2014-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626A (ko) * 2017-05-25 2020-01-28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Oled 소자의 봉지 모듈 및 봉지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21960A (ko) * 2017-08-24 2019-03-06 울산과학기술원 유연 투명 봉지재,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2738A (ko) * 2017-11-08 2019-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868271B2 (en) 2017-11-08 2020-12-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87886A (ko) * 2018-01-17 2019-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축성 디스플레이
KR20200036432A (ko) * 2018-09-28 2020-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362309B2 (en) 2019-02-01 2022-06-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lling pattern
KR20220067679A (ko) * 2020-11-18 2022-05-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축 가능한 봉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79362B2 (en) 2018-09-18
KR102330331B1 (ko) 2021-11-25
US20170018737A1 (en)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028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2962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7836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99572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4103665B (zh) 有机发光显示设备和制造它的方法
US882949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38075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6242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574662B2 (en) Substrate section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ubstrate se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substrate
US984302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915995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14050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92542A (ko) 실리콘 산화물막과 실리콘 리치 실리콘 질화물막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
US9847484B2 (en)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same
KR10240300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5392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0007589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94407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919686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728594B2 (en) Display device
KR20160108712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991913B2 (en) Encapsulating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barrier characteristics with reduced thickness, display device having encapsulat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1692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