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008790A -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및 폴리올레핀 조성물에서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및 폴리올레핀 조성물에서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790A
KR20170008790A KR1020167034895A KR20167034895A KR20170008790A KR 20170008790 A KR20170008790 A KR 20170008790A KR 1020167034895 A KR1020167034895 A KR 1020167034895A KR 20167034895 A KR20167034895 A KR 20167034895A KR 20170008790 A KR20170008790 A KR 20170008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thylene polymer
ethylene
composition
poly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4555B1 (ko
Inventor
클라우디오 카발리에리
미켈레 그라찌
로베르토 판탈레오니
Original Assignee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0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01Multistage polymeris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 change in reactor conditions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7Visc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8Bulk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2Heterophasic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분당 20℃의 가열 속도로 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시, 60 J/g 이상의 융해 엔탈피 ΔHfus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이며, A) 25℃에서 자일렌중 가용성 분획 XSA를, A)의 중량에 대하여, 10%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는 에틸렌 중합체 25 내지 55%; B) 에틸렌을, B)의 중량에 대하여, 45% 내지 70%, 및 25℃에서 자일렌중 가용성 분획 XSB를, B)의 중량에 대하여, 60%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45 내지 75%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모든 퍼센트 양은 중량당이고; A)와 B)의 양은 A) +B)의 총중량에 대한 것인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Description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및 폴리올레핀 조성물에서 그의 용도{ETHYLENE POLYM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IN POLYOLEFIN COMPOSITIONS}
본 개시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및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위한 첨가제, 특히 내충격성 개질제로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주로 비정질의 올레핀 공중합체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내충격성 개질제는 많은 경우에 내 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첨가되고 있다.
또한 내충격성을 강화하면서, 광학 특성들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다른 유익한 특성들을 개질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특정 중합체 성분의 탄화수소 용해성과 총 융해 엔탈피의 균형을 적절하게 함으로써, 우수한 세트의 특성들을 갖는 최종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특히 적합한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본 발명의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은 저온에서 내충격성, 광학 특성 (고광택) 및 냉각시 감소된 수축율의 매우 좋은 균형을 갖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당 20℃의 가열 속도로 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시, 60 J/g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J/g 이상의 융해 엔탈피 ΔHfus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이며,
A) 25℃에서 자일렌중 가용성 분획 XSA를, A)의 중량에 대하여,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는 에틸렌 중합체 25 내지 5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B) 에틸렌을, B)의 중량에 대하여, 4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및 25℃에서 자일렌중 가용성 분획 XSB를, B)의 중량에 대하여,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45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모든 퍼센트 양은 중량당이고; A)와 B)의 양은 A) +B)의 총중량에 대한 것인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공중합체"는 1종 이상의 공단량체, 예를 들어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의 상한 ΔHfus은 바람직하게는 90 J/g이다.
이러한 상한은 상기 명시된 모든 하한에 적용된다.
상기 에틸렌 중합체 A)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i) 또는 식 CH2=CHR (식 중, R은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임)을 갖는 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 에틸렌의 공중합체 (ii), 또는 (i)과 (ii)의 혼합물이다.
상기 올레핀의 구체예는 프로필렌, 부텐-1, 펜텐-1, 4-메틸펜텐-1, 헥센-1, 옥텐-1 및 데센-1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틸렌 A)는 23℃에서 ISO 1183에 따라 측정시, 0.930 내지 0.960 g/cm3, 더욱 바람직하게는 0.935 내지 0.955 g/cm3, 가장 바람직하게는 0.940 내지 0.955 g/cm3의 밀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중에 성분 B)는 자일렌 중에 더욱 가용성이고, 따라서 성분 A)보다 적은 결정성을 갖는 에틸렌 공중합체이다.
성분 B)중 XSB 함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90중량%이다
이러한 상한은 상기 명시된 모든 하한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XSB 분획의 고유점도 [η]는 2 dl/g 이상, 특히 2 내지 3.5 dl/g이다.
본 발명의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분당 20℃에서 가열속도로 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시, 120℃ 이상, 특히 120℃ 내지 130℃의 온도에서 용융 피크를 갖는다.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흐름 지수(MFR)는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ISO 1133 에 따라 측정시,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 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g/10분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추가 요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ISO 1133에 따라 측정된 에틸렌 중합체A)의 MFR 값 1 내지 15 g/10분;
- A) + B)의 혼합물에 대해 측정된 글래스 전이온도(Tg) -50℃ 이상, 특히 -35 내지 -50℃;
- 성분 B)의 Tg -50℃이상, 특히 -35 내지 -50℃;
- A) + B)의 총량에 대해 측정된 에틸렌 함량 65% 내지 85중량%,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중량%;
- A) + B)의 총량에 대해 수행된 추출에 의해 측정된 25℃에서 자일렌 중에 가용성인 총 분획 XSTOT의 양 35%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 XSTOT분획의 고유 점도[η] 1.8 dl/g 이상, 특히 1.8 내지 3.0 dl/g;
- XSTOT 분획의 에틸렌 함량 45% 내지 60중량%;
- 굴곡 탄성률 값 90 내지 200 MPa.
모든 상기 [η] 값은 135℃에서 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중에서 측정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B)의 Tg는 실질적으로 A) + B)의 혼합물의 Tg를 결정하며, 따라서 A) + B)의 혼합물에 대해 측정된 Tg값이 - 48℃ 이상인 경우, B)의 Tg는 -50℃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높아야 한다.
원칙적으로 사용되는 중합 방법 및 촉매의 종류에 필요한 한정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은 적어도 2개의 축차 공정을 포함하는 축차 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성분 A) 및 B)는 선행 단계에서 사용된 촉매 및 형성된 중합체의 존재 하에, 제1단계를 제외한, 각 단계에서 조작하는, 별개의 후속 단계에서 제조된다. 상기 촉매는 제1 단계에서만 첨가되지만, 그의 활성은 모든 후속 단계에서 아직도 활성이 되도록 한다.
연속식 또는 배치식일 수 있는 중합은 공지의 기술에 따라 및 액상 중에서, 불활성 희석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또는 기체상에서, 또는 혼합 액체-기체 기술에 의해 조작하여 수행한다. 중합은 기체상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단계에 관한 반응시간, 압력 및 온도는 중요하지 않지만, 온도가 50 내지 100℃인 경우에 가장 좋다. 압력은 대기압 이상일 수 있다.
분자량의 조절은 공지된 조절제, 특히 수소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상기 중합은 바람직하게는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지글러-나타 촉매는 원소 주기율표 (새로운 표기법) 4 내지 10족의 전이금속 화합물과 원소주기율표 1, 2 또는 13족의 유기금속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특히 전이금속 화합물은 Ti, V, Zr, Cr 및 Hf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MgCl2상에 담지된다.
특히 바람직한 촉매는 Ti 화합물과 MgCl2상에 담지되는 전자 공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촉매 성분과, 원소주기율표 1, 2 또는 13족의 유기금속 화합물의 반응의 생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유기 금속 화합물은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은, 지글러-나타 중합 촉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MgCl2 상에 담지된 지글러-나타 촉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1) 내지 3)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1) Ti 화합물 및 MgCl2상에 담지된 전자 공여체 (내부 전자 공여체)를 포함하는 고체 촉매 성분;
2)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 (촉매); 및, 임의로,
3) 전자 공여체 화합물 (외부 전자 공여체).
고체 촉매 성분(1)은 전자 공여체로서 일반적으로 에테르, 케톤, 락톤, N, P 및/또는 S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모노- 및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특성들을 갖는 촉매는 특허문헌에 잘 알려져 있으며, 미국특허 제 4,399,054호 및 유럽 특허 제 45977호에 기술된 촉매가 특히 유리하다.
특히, 상기 전자 공여체 화합물 중에서 프탈산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프탈산 디이소부틸 및 숙신산 에스테르가 특히 적합하다.
적절한 숙신산 에스테르는 하기 식(I)으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라디칼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임의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1-C20 직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또는 알킬아릴기이고; 라디칼 R3 내지 R6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또는, 임의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1-C20 직선형 또는 분지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또는 알킬아릴기이고, 또한 동일한 탄소원자와 함께 결합되는 라디칼 R3 내지 R6 는 함께 연결되어 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다.
R1 및 R2는 바람직하게는 C1-C8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및 알킬아릴기이다. R1 및 R2가 제1급 알킬 및 특히 분지 제1급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절한 R1 및 R2기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네오펜틸, 2-에틸헥실이다. 에틸, 이소부틸 및 네오펜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 (I)에 의해 기술되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기중의 하나는 R3 내지 R5 이 수소이고 R6가 탄소수 3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분지형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및 알킬아릴 라디칼이다. 식(I)의 것 중에서 화합물의 다른 바람직한 기는 R3 내지 R6의 적어도 2개의 라디칼이 수소와 상이하며, 임의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1-C20 직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또는 알킬아릴로부터 선택된다. 수소와 상이한 두 개의 라디칼이 동일한 탄소원자에 연결되는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더욱이, 수소와 상이한 적어도 2개의 라디칼이 상이한 탄소원자에 결합되는 화합물, 즉 R3 및 R5 또는 R4 및 R6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적합한 다른 전자 공여체는 공개된 유럽특허 출원 EP-A-361 493 및 728769에 예시된 바와 같은 1,3-디에테르이다.
공촉매(2)로서,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 예를 들면 Al-트리에틸, Al-트리이소부틸 및 Al-트리-n-부틸이 바람직하다.
외부 전자공여체 (Al-알킬 화합물에 첨가됨)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전자 공여체 화합물(3)는 방향족 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알킬 벤조에이트),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예를 들면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및 2,6-디이소프로필피페리딘), 및 특히 적어도 하나의 Si-OR 결합 (여기서 R은 탄화수소 라디칼이다)를 포함하는 규소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규소 화합물의 예는 식R1 aR2 bSi(OR3)c의 화합물이며, 여기서 a 및 b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c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합계(a+b+c)는 4이고; R1, R2 및 R3는 임의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1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이다.
규소 화합물의 유용한 예는 (터트-부틸)2Si(OCH3)2, (사이클로헥실)(메틸)Si (OCH3)2, (페닐)2Si(OCH3)2 및 (사이클로펜틸)2Si(OCH3)2이다.
앞서 언급된 1,3-디에테르는 또한 외부 공여체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내부 공여체가 상기 1,3-디에테르의 하나인 경우에, 외부 공여체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소량의 올레핀과 예비 접촉시키고 (예비 중합), 탄화수소 용매 중에 현탁상태로 촉매를 유지시키고, 실온 내지 60℃에서 중합시키고, 그리하여 촉매 중량의 0.5 내지 3배 량의 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다.
조작은 또한 액체 단량체 중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중합체의 양을 촉매 중량의 1000배 이하로 생성한다.
본 발명의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은 또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항산화제, 광안정제, 열안정제, 착색제 및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추가의 폴리올레핀, 특히 프로필렌 중합체,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조성물과 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상기 정의된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올레핀 조성물은 적어도 50중량%, 전형적으로 50% 내지 85중량%의 하나 이상의 추가적 폴리올레핀, 따라서 50중량% 이하, 전형적으로 15% 내지 50중량% 의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퍼센트 량은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및 추가적인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들의 총량에 대한 것이다.
상기 추가적 폴리올페린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중합체이다:
1)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특히 이소탁틱 또는 주로 이소탁틱 단독중합체;
2) 에틸렌 및/또는 C4-C10 α-올레핀과 결정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여기서 총 공단량체 함유량은 공중합체의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20중량%이며, 바람직한 C4-C10 α-올레핀은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이다;
3) 결정성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 및/또는 C4-C10 α-올레핀, 예를들어 HDPE와 공중합체;
4)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 및/또는, 임의로 소량의 디엔, 예를 들면 부타디엔,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및 에틸리덴-1-노르보넨을 함유하는, C4-C10 α-올레핀과 에틸렌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엘라스터부 부분과 항목 2)의 공중합체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여기서 상기 디엔 함유량은 전형적으로 1 내지 10중량%이며, 전형적으로 용융상태에서 성분들을 혼합하거나, 또는 축차 중합에 의해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상기 엘라스토머 부분을 5 내지 8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과 추가적 폴리올레핀(들)을 함께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압출하고, 얻어진 조성물을 공지의 기술 및 장치를 이용하여 펠렛화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또한 광물 충진제, 착색제 및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광물 충진제는 탈크, CaCO3, 실리카, 예를 들면 규회석(CaSiO3), 점토, 규조토, 산화 티탄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광물 충진제는 0.1 내지 5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갖는 입자 형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최종 물품, 특히 사출성형품, 예를 들면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만들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산업용 부품을 제공한다.
실시예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실시형태, 조성물 및 방법의 실시 및 이점은 다음 실시예에서 기술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다음의 분석방법은 중합체 조성물을 특성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용융 온도(ISO 11357-3)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하였다. 시료 무게 6 ± 1 mg을 20℃/분의 속도로 200 ± 1℃로 가열하고 질소 기류 하에 200 ± 1℃에서 2분 동안 유지시킨 후, 20℃/분의 속도로 40 ± 2℃로 냉각시켜, 이 온도에서 2분간 유지시켜 시료를 결정화시켰다. 다음에, 시료는 다시 20℃/분의 승온 속도로 최대 200℃ ± 1까지 용융시켰다. 용융 스캔을 기록하고 써모그램을 얻고, 이로부터 피크에 상응하는 온도를 판독한다. 두 번째 융해 도중에 기록된 가장 강한 용융 피크에 대응하는 온도는 용융 온도로 하였다. 융해 엔탈피 ΔHfus는 상기 가장 강한 융해 피크에 대해 측정한다. 분명히, 단지 하나의 피크가 검출되는 경우, 용융 온도와 ΔHfus는 이러한 피크에 의해 제공된다 (이에 대해 측정한다). 융해 엔탈피 ΔHfus를 측정하기 위해, 용융 흡열 피크가 기준선에서 이탈하는 두 개의 가장 밀접한 지점들을 연결시켜 기준선을 구축한다. 다음에 융해열(ΔHfus)은 DSC 열 유량 기록된 신호와 구축된 기준선 사이의 면적을 적분하여 계산한다.
자일렌 가용성 분획
2.5 g의 중합체 및 250 cm3의 o-자일렌을 냉동기 및 전자기 교반기가 장착된 유리 플라스크에 투입한다. 온도는 30분 내에 실온에서 용매(135℃)의 끓는점까지 증가시킨다. 이렇게 얻어진 투명한 용액을 환류 하에 30분 더 교반하면서 유지시킨다. 다음에 닫힌 플라스크를 25℃의 항온 수욕에 보관하여 시료의 불용성 (XI) 부분의 결정화가 일어난다. 이렇게 형성된 고체는 빠른 여과지로 여과한다. 100 cm3 의 여과액을 미리 칭량된 알루미늄 용기에 붓고 질소 기류 하에 열판으로 가열시켜 증발에 의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다음에 용기를 진공하에 80℃의 오븐에 보관하여 건조시키고 일정한 무게를 얻은 후 칭량한다.
따라서 25℃에서 자일렌 중에 가용성 및 불용성인 중합체의 중량%를 계산한다.
용융유량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2.16 kg의 하중하에 230℃에서 ISO 1133에 따라 측정한다.
[η] 고유점도
시료는 135℃에서 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중에 용해한 다음 모세관 점도계에 붓는다. 점도계 관 (우벨로데 형)은 원통형 유리 재킷에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설정은 순환 온도 액체로 온도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메니스커스의 하향 통로는 광전 소자에 의해 계시(計時)한다.
상부 램프 앞에 메니스커스의 통로는 수정 발진기를 갖는 카운터를 시작한다. 메니스커스는 하부 램프를 통과함에 따라 카운터를 시작하고 유출 시간을 기록한다: 이것은, 순수 용매의 유동시간이 동일한 실험조건 (동일한 점도계 및 동일한 온도)에서 알려져 있는 한, 허긴즈 식을 통하여 고유 점도 값으로 전환한다 (Huggins, M.L., J. Am. Chem . Soc., 1942, 64, 2716). 하나의 단일 중합체 용액을 사용하여 [η]를 측정한다.
I.R .분광법을 통해 측정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함유량
중합체의 가압 막의 NIR(6000-5500 cm-1) 스펙트럼은 흡광도 대 파수(cm-1)에 기록한다. 다음의 측정들을 이용하여 에틸렌 함유량을 계산한다:
a) 최대 5,669cm-1에서 CH2 기에 대한 흡수대의 높이, 6,000-5,500 cm- 1사이에 묘사되는 기준선 아래 영역을 생략한다.
b) CH3 기에 대한 5891 cm-1에서 쇼율더의 높이, 6,000-5,500cm-1 사이에 묘사되는 기준선 아래의 영역을 생략한다.
D5891 / D5669의 비는 NMR 분광법으로 측정된 공지 조성물의 공중 합체를 분석함으로써 교정한다.
다음 측정들을 이용하여 프로필렌 함유량을 계산한다:
a) 막 두께의 분광 표준화에 사용되는 4482 내지 3950 cm-1 사이의 조합 흡수대의 영역(ANIR).
b) 986 내지 952 cm-1 범위의 프로필렌 배열에 의한 흡수대의 영역 (A971), 종말점 사이에 묘사된 기준선 아래의 영역을 생략한다.
A971 / ANIR의 비는 NMR 분광법으로 측정된 공지 조성물의 공중합체를 분석하여 교정한다.
DMTA ( 동적기계 열분석)에 의한 Tg 측정
20 mm x 5 mm x 1 mm의 성형 시험편을 인장 응력용 DMTA 기계에 고정한다. 정현파 발진 주파수는 1 Hz에 고정한다. DMTA는 -100℃(글래스 상태) 에서 시작하여 130℃(연화점)까지 시험편의 탄성 반응을 번역한다. 이렇게 하여 탄성 반응 대 온도를 플롯할 수 있다. 점탄성 재료에 대한 DMTA 탄성율은 응력과 변형 간의 비로서 정의되며, 이것은 또한 복소탄성율 E*=E'+iE"로도 정의된다. DMTA는 두 성분 E' 및 E"를 이들의 공명에 의해 분할할 수 있으며 또한 E'(탄성 성분), E"(손실 탄성율) 및 E"/E' = tan δ(감쇄 지수) 대 온도를 플롯할 수 있다. 글래스 전이온도Tg는 tan = (δ) E"/E' 대 온도 곡선의 최대에서의 온도인 것으로 가정된다.
굴곡 탄성률*: ISO 178, 성형 후 24시간 측정함.
인장 항복 강도*: ISO 527, 성형 후 24시간 측정함.
인장 파단 강도*: ISO 527, 성형 후 24시간 측정함.
파단 및 항복 신도*: ISO 527, 성형 후 24시간 측정함.
노치 아이조드 ( IZOD ) 충격 시험*: ISO 180/1A
아이조드(IZOD) 값은 성형 후 24시간 23℃, -20℃ 및 -30℃에서 측정한다.
주의: * ISO 1873-2: 1989에 따른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시험편.
60°에서의 광택
1 mm 의 ISO D1 플라크는 다음 파라미터에 따라 사출 성형기"NB 60" (여기서 60은 체결력의 60톤을 의미한다) 로 성형한다.
Figure pct00002
용융 온도= 260℃,
Figure pct00003
성형 온도= 40℃,
Figure pct00004
사출속도 = 100 mm/초,
Figure pct00005
보지 시간 = 10초,
Figure pct00006
스크류 회전 = 120 rpm
사출 및 보지 압력은 금형의 완전한 충진 보장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셋업하여, 플래시를 회피한다.
대체적으로, 사출성형기 "NB VE70" (여기서 70은 체결력의 70 톤을 의미한다) 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광택@ 60°은 ASTM D 2457에 따라 플라크 상에서 측정한다.
종방향 횡방향 열수축율
100 x 200 x 2.5 mm의 플라크는 사출성형기 "SANDRETTO serie 7 190" (여기서 190은 체결력의 190 톤을 의미한다)로 성형한다.
사출조건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7
용융 온도= 250℃;
Figure pct00008
성형 온도= 40℃;
Figure pct00009
사출 시간 = 8초;
Figure pct00010
보지 시간 = 22초;
Figure pct00011
스크류 직경 = 55 mm.
플라크는 캘리퍼를 통하여 성형 후 24시간 측정하며, 수축율은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종방향 수축율 =
Figure pct00012
횡방향 수축율 =
Figure pct00013
여기서 200은 성형 직후에 측정된 흐름 방향을 따른 플라크의 길이(mm)이고;
100은 성형 직후에 측정된, 흐름방향을 가로지른 플라크의 길이(mm)이고;
read_value는 관련 방향의 플라크 길이이다.
실시예 1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중합에 사용된 고체 촉매 성분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 내부 공여체로서 티타늄과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염화 마그네슘상에 담지된 지글러-나타 촉매 성분이다.
초기 용량의 미소구상 MgCl2·2.8C2H5OH는 10,000 대신에 3,000 rpm에서 조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미국특허 제4,399,054호의 실시예 2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다음에, 이렇게 얻어진 부가물은, Mg의 몰당 몰 알코올 함유량이 1.16이 될 때까지 질소 기류에서 작동하는 30에서 130℃로 상승하는 온도에서 열 탈알코올을 수행하였다.
질소로 퍼징한 1000 mL의 사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500 mL의 TiCl4를 0℃에서 주입하였다. 교반하면서, 30 그램의 미소구상 MgCl2·1.16C2H5OH 부가물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함)을 첨가하였다. 온도는 120℃로 올리고, 이 값에서 60분간 유지시켰다. 온도 상승시, 일정량의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를 18의 Mg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의 몰비를 갖도록 첨가하였다. 상기 언급된 60분 후에, 교반을 멈추고, 액체를 흡인하고 27의 Mg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의 몰비를 갖도록 일정량의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의 존재하에 100℃에서 1시간 동안 TiCl4처리를 반복하였다. 그 후, 교반을 멈추고, 액체를 흡인하고, TiCl4 처리를 100℃에서 30분 동안 반복하였다. 85℃ 에서 침강 및 흡인 후, 고체를 60℃에서 무수 헥산 (6 x 100 ml)으로 6번 세척하였다.
촉매 시스템 및 예비중합 처리
중합반응기에 투입하기 전에, 상기 기술된 고체 촉매 성분은 약 15와 동일한 TEAL/DCPMS 중량비로 또한 TEAL/고체 촉매 성분 중량비가 4와 동일한 량으로, 알루미늄 트리에틸(TEAL) 및 디사이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DCPMS)으로 30℃에서 9분 동안 접촉시킨다.
다음에, 촉매 시스템은, 제1 중합 반응기에 투입하기 전에, 50℃에서 약 75분 동안 액체 프로필렌 중에 유지시켜 예비중합을 수행하였다.
중합
중합은 생성물을 제1 반응기에서 제2 반응기로 이동시키기 위해 장치들이 장착된 일련의 2개의 기상 반응기로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제1 기상 중합 반응기내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성분A))는 연속 및 일정 흐름 속에 예비중합된 촉매 시스템, 수소 (분자량 조절제로 사용됨), 에틸렌 및 프로필렌를 기체상태로 공급함으로써 제조된다.
제1 반응기로부터 나오는 에틸렌 중합체는 연속 흐름으로 방출하고, 미반응 단량체로 퍼징한 후, 연속 흐름 중에, 제2 기상내로, 정량적으로 일정 흐름의 수소,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기체 상태로 투입한다.
제2 반응기에서, 제2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B))를 제조한다. 중합 조건, 반응물의 몰비 및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은 표 1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되지 않은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을 구성하는, 제2 반응기를 빠져나온 중합체 입자들은, 증기 처리를 행하여 반응성 단량체 및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다음 건조시킨다.
다음에, 중합체 입자들은 이축 압출기 Berstorff ZE 25 (스크류의 길이/직경 비: 33) 중에서 통상의 안정화 첨가제 조성으로 혼합한 다음 하기 조건으로 질소 기류하에 압출한다:
회전 속도: 250 rpm;
압출량: 15 kg/시간;
용융온도: 280 내지 290℃.
안정화 첨가제 조성물은 다음 성분들로 만든다:
- 0.1중량%의 Irganox® 1010;
- 0.1중량%의 Irgafos® 168;
- 0.04중량%의 DHT-4A (하이드로탈사이트).
상기 Irganox® 1010은 2,2-비스[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1-옥소프로폭시]메틸]-1,3-프로판디일-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파노에이트인 반면, Irgafos® 168은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이다.
퍼센트 양은 중합체와 안정화 첨가제 조성물의 총 중량으로 칭한다.
표 2에 보고된,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특성은 이렇게 압출된 중합체에 대해 수행된 측정으로부터 얻어지며, 이것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안정화 에틸렌 중합체를 구성한다.
안정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과 프로필렌 중합체의 혼합물의 제조
상술한 바와 같은 안정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이하, SEP라 칭한다)은, 하기에 및 표 3에 보고된 비율로, 이종상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HPP) 및 후술되는 다음 첨가제를 사용하여 앞에서 기술된 조건하에 압출에 의해 혼합한다. 이렇게 얻어진 최종 조성물의 비율은 표 3에 보고된다.
첨가 성분
1. HPP: 16.5 g/10분의 MFR을 갖는 이종상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이것은 98%의 아이소탁틱 지수를 갖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70중량%,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25℃에서 자일렌 중에 불용성 분획), 및 49중량%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30중량%의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제조됨;
2. 탈크 HTP Ultra 5C: 5 μm 미만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 약 98중량%를 포함하는 미세 탈크 분말;
3. 0.6 g/10분의 총 MFR (230/5 kg 하중에서 ISO 1133 에 따라 측정함)을 갖는 카본 블랙 마스터 배치, 약 45 g/10분의 MFR을 갖는, 카본블랙 40중량%와 에틸렌 8중량%와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60%로 제조됨;
4. Irganox® B 215 (약 34중량%의 Irganox® 1010 및 66%의 Irgafos® 168로 제조됨);
성분 1 내지 4의 첨가량은 다음과 같다(총 중량에 대한 중량%):
성분 량
1 51.5%
2 12%
3 1.3%
4 0.2%
비교 실시예 1C
비교용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촉매 및 중합 공정으로 제조한 다음 실시예 1과 동일한 안정화 첨가제 조성물 및 압출 조건으로 압출한다. 구체적 중합 조건 및 얻어진 중합체 특성은 표 1 및 표 2에 보고된다.
안정화 조성물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량으로 동일한 첨가성분들의 혼합물의 제조에서 사용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최종 조성물의 특성은 표 3에 보고된다.
실시예 번호 1 1C
제1 반응기 (성분 A))
온도 70 70
압력 barg 20 20
H2/C2- mol. 0.59 0.37
C3-/(C3- + C2-) mol. 0.15 0.12
split 중량% 40 40
자일렌 가용성 분획 (XSA) 중량% 2.4 4.3
A)의 MFR g/10분 5.7 14
A)의 밀도 g/cm3 0.943 0.940
A)의 C3-함유량 중량% 3.2 2.8
제2 반응기(성분 B))
온도 65 65
압력 barg 20 20
H2/C2- mol. 0.10 0.13
C2-/(C2- + C3-) mol. 0.41 0.68
split 중량% 60 60
B)의 C2-함유량 중량% 60 80
B)의 자일렌 가용성 분획 (XSB) 중량% 73 36
XSB의 고유점도 dl/g 2.2 2.3
A) + B)의 Tg -45 -46
주의: C3- = 프로필렌; C2- = 에틸렌; split = 관련 반응기에서 제조된 중합체의 양.
실시예 번호 1 1C
ΔHfus J/g 78.8 100.1
Tm 125 123.9
MFR g/10 분 1.15 0.56
자일렌 가용성 분획 (XSTOT) 중량% 44.5 23.1
XSTOT의 고유점도 dl/g 2.17 2.6
XSTOT의 C2-함유량 중량% 53 70
총 C2-함유량 중량% 73.6* 84.9
총 C3-함유량 중량% 26.4 15.1*
굴곡 탄성률 MPa 120 260
주의: C3- = 프로필렌; C2- = 에틸렌; * 계산된 값.
실시예 번호 1 1C
실시예의 SEP 1 1C
SEP 량 중량% 35 35
MFR g/10분 5.3 4.2
굴곡 탄성률 MPa 810 960
인장 항복 강도 MPa 12.2 14.6
항복 신도 % 14.0 12.8
인장 파단 강도 MPa 12.7 16.9
파단 신도 % 570 460
60°에서 광택 57 29
종방향 수축율 % 0.29 0.4
횡방향 수축율 % 0.52 0.63
23℃에서 아이조드 충격 강도 KJ/m2 61.7 64.7
-20°에서 아이조드 충격 강도 KJ/m2 73.2 58.6
-30°에서 아이조드 충격 강도 KJ/m2 67.7 35.7

Claims (12)

  1. 분당 20℃의 가열 속도로 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시, 60 J/g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J/g 이상의 융해 엔탈피 ΔHfus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이며,
    A) 25℃에서 자일렌중 가용성 분획 XSA를, A)의 중량에 대하여,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는 에틸렌 중합체 25 내지 5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B) 에틸렌을, B)의 중량에 대하여, 4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및 25℃에서 자일렌중 가용성 분획 XSB를, B)의 중량에 대하여,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45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모든 퍼센트 양은 중량당이고;
    A)와 B)의 양은 A) + B)의 총중량에 대한 것인,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중합체 A)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i) 또는 식 CH2=CHR (식 중, R은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임)을 갖는 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 에틸렌의 공중합체 (ii), 또는 (i)과 (ii)의 혼합물인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A)는 23℃에서 ISO 1183에 따라 측정시, 0.930 내지 0.960 g/cm3, 더욱 바람직하게는 0.935 내지 0.955 g/cm3, 가장 바람직하게는 0.940 내지 0.955 g/cm3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분당 20℃에서 가열속도로 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시, 120℃ 이상, 특히 120℃ 내지 130℃의 온도에서 용융 피크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XSB 분획의 고유점도[η]가 2 dl/g 이상, 특히 2 내지 3.5 dl/g인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ISO 1133 에 따라 측정시,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 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g/10분의 MFR값을 갖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추가 요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ISO 1133에 따라 측정된 에틸렌 중합체A)의 MFR 값 1 내지 15 g/10분;
    - A) + B)의 혼합물에 대해 측정된 글래스 전이온도(Tg) -50℃ 이상, 특히 -35 내지 -50℃;
    - 성분 B)의 Tg -50℃이상, 특히 -35 내지 -50℃;
    - A) + B)의 총량에 대해 측정된 에틸렌 함량 65% 내지 85중량%,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중량%;
    - A) + B)의 총량에 대해 수행된 추출에 의해 측정된 25℃에서 자일렌 중에 가용성인 총 분획 XSTOT의 량 35%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 XSTOT분의 고유 점도[η] 1.8 dl/g 이상, 특히 1.8 내지 3.0 dl/g;
    - XSTOT 분획의 에틸렌 함량 45% 내지 60중량%;
    - 굴곡 탄성률 값 90 내지 200 MPa.
  8. 적어도 2개의 축차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성분 A) 및 B)는 선행 단계에서 사용된 촉매 및 형성된 중합체의 존재 하에, 제1단계를 제외한, 각 단계에서 조작하는, 별개의 후속 단계에서 제조되는 것인, 제1항의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중합방법.
  9. 제1항의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및, 폴리올페핀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50 중량%의 하나 이상의 추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들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사출성형품 형태의 성형품.
KR1020167034895A 2014-05-28 2015-04-28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및 폴리올레핀 조성물에서 그의 용도 KR101854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70318.1 2014-05-28
EP14170318 2014-05-28
PCT/EP2015/059245 WO2015180919A1 (en) 2014-05-28 2015-04-28 Ethylene polym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in polyolefin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790A true KR20170008790A (ko) 2017-01-24
KR101854555B1 KR101854555B1 (ko) 2018-06-08

Family

ID=5081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895A KR101854555B1 (ko) 2014-05-28 2015-04-28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및 폴리올레핀 조성물에서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087317B2 (ko)
EP (1) EP3149060B1 (ko)
JP (1) JP6434536B2 (ko)
KR (1) KR101854555B1 (ko)
CN (1) CN106459538B (ko)
BR (1) BR112016026481B1 (ko)
CA (1) CA2948932C (ko)
MX (1) MX2016015061A (ko)
RU (1) RU2671201C2 (ko)
WO (1) WO20151809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49077B1 (en) * 2014-05-28 2020-01-08 Basell Polyolefine GmbH Ethylene polym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in polyolefin compositions
CN108290338B (zh) 2015-11-24 2019-08-30 巴塞尔聚烯烃股份有限公司 聚烯烃组合物及其制造的制品
WO2018086959A1 (en) * 2016-11-11 2018-05-17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propylene compositions containing glass fiber fillers
RU2655031C1 (ru) * 2017-05-03 2018-05-25 Галина Михайловна Данилова-Волковская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концентрат ультрадисперсного наполнителя и композиционные материалы на его основе
EP4052902A1 (en) * 2021-03-01 2022-09-07 Borealis AG High-barrier polyethylene film for packag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584A (ko) * 2005-05-27 2008-03-04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양호한 백화 저항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KR20080080103A (ko) * 2005-11-28 2008-09-02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필름의 제조에 적합한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93064A (ko) * 2009-06-26 2012-08-22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폴리올레핀 조성물
EP2592112A1 (en) * 2011-11-11 2013-05-15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mer composition for bumpers and interiors and polyethylene-based resin precurs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40417B (it) 1990-02-28 1993-12-15 Himont Inc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film e corpi laminari polipropilenici e prodotti cosi' ottenuti
EP1483327B1 (en) * 2002-03-12 2011-05-11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olefin masterbatch for preparing impact-resistant polyolefin articles
JP2004204058A (ja) * 2002-12-25 2004-07-22 Mitsui Chemicals Inc オレフィ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
CA2592143A1 (en) * 2004-12-23 2006-06-29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olefinic compositions having good whitening resistance
CN101180357B (zh) 2005-05-27 2011-10-19 巴塞尔聚烯烃意大利有限责任公司 具有良好抗致白性的聚烯烃组合物
US7935760B2 (en) * 2005-06-22 2011-05-0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of making a heterogeneous polymer blend
US7928164B2 (en) * 2005-06-22 2011-04-1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Homogeneous polymer blend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ES2360688T3 (es) 2007-10-17 2011-06-08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Composiciones poliolefínicas heterofásicas con mejores propiedades de tracción.
US8497325B2 (en) * 2008-12-15 2013-07-3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c polyolefin blends and films therefrom
CN103068901B (zh) * 2010-06-30 2015-07-08 巴塞尔聚烯烃意大利有限责任公司 交联的聚烯烃组合物
WO2014046139A1 (ja) * 2012-09-19 2014-03-27 三菱化学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収納カ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584A (ko) * 2005-05-27 2008-03-04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양호한 백화 저항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KR20080080103A (ko) * 2005-11-28 2008-09-02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필름의 제조에 적합한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93064A (ko) * 2009-06-26 2012-08-22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폴리올레핀 조성물
EP2592112A1 (en) * 2011-11-11 2013-05-15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mer composition for bumpers and interiors and polyethylene-based resin precur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71201C2 (ru) 2018-10-30
BR112016026481A2 (ko) 2017-08-15
CA2948932C (en) 2020-03-31
WO2015180919A1 (en) 2015-12-03
BR112016026481B1 (pt) 2021-10-26
RU2016148246A3 (ko) 2018-09-28
US20170183485A1 (en) 2017-06-29
JP6434536B2 (ja) 2018-12-05
MX2016015061A (es) 2017-04-11
CN106459538B (zh) 2019-04-05
EP3149060B1 (en) 2020-03-25
JP2017519067A (ja) 2017-07-13
CA2948932A1 (en) 2015-12-03
RU2016148246A (ru) 2018-06-28
CN106459538A (zh) 2017-02-22
EP3149060A1 (en) 2017-04-05
US10087317B2 (en) 2018-10-02
KR101854555B1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3933B1 (en) Hdpe-containing impact modifier polyolefin composition
CN107667141B (zh) 含lldpe的冲击改性剂聚烯烃组合物
KR101854555B1 (ko)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및 폴리올레핀 조성물에서 그의 용도
EP2825592B1 (en) Medical injection molded article comprising a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KR101678243B1 (ko) 사출 성형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마스터배치 및 조성물
EP3161015B1 (en) Ethylene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tensile properties
KR101958533B1 (ko)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및 폴리올레핀 조성물에서 그의 용도
US20230265272A1 (en) High flow heterophasic polypropylene as appearance improver in polyolefin compositions
EA039749B1 (ru) Полиолефин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с превосходным внешним видом поверхн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