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947A - 화상형성장치의 통신 서비스를 통해 인쇄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통신 서비스를 통해 인쇄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6947A KR20170006947A KR1020150098413A KR20150098413A KR20170006947A KR 20170006947 A KR20170006947 A KR 20170006947A KR 1020150098413 A KR1020150098413 A KR 1020150098413A KR 20150098413 A KR20150098413 A KR 20150098413A KR 20170006947 A KR20170006947 A KR 201700069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forming
- forming apparatus
- packet
- connection
- request mess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04N1/00103—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Transmission systems or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n unwanted signal, e.g. interference or idle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통신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제1 화상형성장치가 제2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패킷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수신된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상기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의 연결 기준 세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화상형성장치의 통신 서비스를 통해 인쇄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통신 서비스를 탑재한 화상형성장치간에서 발생하는 간섭 신호를 감지하여 줄이고, 블루투스 저전력(BLE) 통신에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은 근거리 내에서 하나의 무선 연결을 통해서 장치 간에 필요한 여러 케이블 연결을 대신하게 해준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무선 기술이 휴대폰과 랩 탑 컴퓨터 안에 구현되면 케이블 없이도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프린터, PDA, 데스크탑, FAX, 키보드, 조이스틱은 물론이고, 사실상 모든 디지털 장비들이 블루투스 시스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장치들을 케이블로부터 자유롭게 만들어 주는 것뿐 아니라, 블루투스 무선 기술은 기존의 데이터망과 주변 장치들간의 인터페이스, 그리고 고정된 네트워크 하부구조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치들 간에 특별한 그룹을 형성시켜주는 보편적인 다리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빠른 인식과 주파수 호핑 방식을 사용하여 기기 간의 연결을 튼튼하게 한다. 블루투스 모듈은 패킷을 전송하거나 보낸 후에 새로운 주파수 호핑을 함으로써 다른 신호들과의 간섭을 피한다. 같은 주파수대에서 작동하는 다른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블루투스는 특별히 빠르고 짧은 패킷을 사용한다. 한편, 클래식 블루투스와 블루투스 하이 스피드와 블루투스 저 에너지를 포함한 기능을 가진 블루투스 4.0이 발표됨에 따라, 블루투스 저 에너지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화상형성장치와 디바이스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많은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디바이스에서 검색되는 화상형성장치 중 하나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디바이스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는데 충분한 신호의 세기의 패킷을 수신하면 자동으로(automatically)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할 수 있었다. 하지만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는 복수 개의 화상형성장치가 근접하여 있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충분한 신호 세기를 갖는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디바이스가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조작하기에 비교적 먼 거리에 떨어진 경우에도 디바이스가 화상형성장치에 자동으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인쇄하기를 원하는 화상형성장치로 근접하는 경우에만 디바이스가 화상형성 장치에 연결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주변의 화상형성장치와의 신호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주변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여, 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연결 경계 기준 세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가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해 전송되는 패킷의 전송 주기를 변경하고, 슬립 모드 및 어웨이크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화상형성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에 있어서, 제1 화상형성장치가 제2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패킷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수신된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상기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의 연결 기준 세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화상형성장치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서 제1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시간 간격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서 제2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하여 스캐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서 제2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는, 어웨이크(awake) 모드에서 슬립 모드(sleep mode)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슬립 모드로 변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어웨이크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기준 세기는,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연결 요청 메시지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소정 신호 세기 이상으로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의 전송 측 디바이스를 연결 대상으로 설정하는 기준 세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연결 경계 기준 세기는, 변경 전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연결 경계 기준 세기보다 큰 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서 전송된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은,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제2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패킷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패킷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된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상기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기준 세기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게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제1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시간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제2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하여 스캐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제2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어웨이크(awake) 모드에서 슬립 모드(sleep mode)로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슬립 모드로 변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어웨이크 모드로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송된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세션을 연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디바이스 간의 BLE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BLE(Bluetooth Low Energy)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주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주소를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의 동작 모드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E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디바이스 사용자가 블루투스 연결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 및 연결 경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간에 간섭을 줄이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간의 간섭 최소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거리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거리에 따른 수신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절전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 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BLE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디바이스 간의 BLE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BLE(Bluetooth Low Energy)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주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주소를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의 동작 모드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E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디바이스 사용자가 블루투스 연결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 및 연결 경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간에 간섭을 줄이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간의 간섭 최소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거리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거리에 따른 수신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절전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 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BLE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라 함)”는 근거리 통신 기술 중 하나로, 블루투스 V 4.0의 핵심 기능을 의미한다. BLE는 클래식 블루투스 규격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duty cycle을 가지며, 저가격 생산이 가능하고, 평균 전력과 대기 전력을 줄여 동전 크기의 배터리로 수년간 작동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device)는 “기기” 또는 “장치”와 혼용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기기” 및 “장치”는 동일한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는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식별 값, 디바이스의 종류,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 데이터의 종류 및 속성 및 디바이스의 센싱 주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는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는 서버 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기초한 서비스, 디바이스 내에서 동작 가능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되는 서비스는 본 개시에 예로서 기재된 서비스 이외에도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기술은 기기간 통신(Device to Device; D2D)이 가능한 모든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통신(Internet of Things; IoT), 유비쿼터스(ubiquitous) 서비스, 스마트 홈(smart home) 및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서비스 등 기기간 통신이 가능하다면, 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 1 디바이스(10), 제 2 디바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디바이스(10)는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는 기기이고, 제 2 디바이스(20)는 제 1 디바이스(100)를 검색(discovery & scan)하고, 제 1 디바이스(10)에서 브로드캐스트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디바이스(10) 및 제 2 디바이스(20) 각각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바이스(10)는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바이스(10)는, BLE 규격에 따른 광고 패킷(advertising packet)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BLE 규격에 따른 advertising packet을 ‘BLE 패킷’ 또는 ‘패킷’이라 부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0)는 BLE 패킷의 헤더에 필터링 정보를 삽입(write)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링 정보는 BLE 패킷을 수신하는 제 2 디바이스(20)에서 슬립 모드(sleep mode)의 AP(Application Processor)를 어웨이크 모드(awake mode)로 전환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예, Service ID), 회사 식별 정보(예, Company ID) 등이 필터링 정보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바이스(10)는 BLE 패킷의 길이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하나의 데이터를 복수의 BLE 패킷에 삽입하고, 복수의 BLE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이때, 제 1 디바이스(10)는, BLE 패킷에 전체 패킷의 수 정보(예, Final Number: FN) 및 현재 패킷의 식별 정보(예, Current Number: CN)를 삽입(write)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 1 디바이스(1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화상형성장치,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책(e-book)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예, 안경, 손목 시계)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디바이스(20)는 브로드캐스트되는 BLE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는, AP의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sleep mode) 또는 어웨이크 모드(awake mode)로 설정할 수 있다. 슬립 모드에서는 AP(Application Processor)가 비활성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AP가 슬립 모드인 경우, 제 2 디바이스(20)는 AP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AP의 동작 모드가 슬립 모드에서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wake-up)되는 경우, AP(Application Processor)는 활성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제 2 디바이스(20)는, 제 1 디바이스(100)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BLE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필터링 정보(예, 서비스 식별 정보, 회사 식별 정보, Final Number, Current Number) 또는 BLE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필터링 정보(예, Final Number, Current Number)에 기초하여, 슬립 모드의 AP를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는, 제 1 디바이스(100)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BLE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필터링 정보 또는 BLE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필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AP의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유지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20)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20)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고, 스크린을 포함하지 않는 액세서리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 2 디바이스(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화상형성장치,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오디오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 TV, 무선 스피커, 블루투스 헤드셋, 안경, 손목 시계, 홈 싱크, 통신 기능을 갖는 냉장고, 에어컨, 정수기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디바이스 간의 BLE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간의 BLE 통신은 화상형성장치(210) 및 디바이스(220) 간의 BLE 통신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또한 하나의 디바이스로서, 스마트 폰과 같은 디바이스와 BLE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통신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를 검색(discovery & scan)하기 위해서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화상형성장치에서 브로드캐스트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10)는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때, 패킷은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패킷은 화상형성장치의 특징(Feature)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화상형성장치의 특징(Feature)을 나타내는 플래그는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가 제공할 기능에 대한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의 특징을 나타내는 플래그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지, 풀-프린팅(Pull-Printing) 준비가 되었는지, 스캔 준비가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패킷은 화상형성장치의 IP주소,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한 에러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토너 정보 및 문서를 스캔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은 BLE(Blutooth Low Energy) 표준에 따른 메시지일 수 있다.
디바이스(220)는 화상형성장치(210)로부터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220)는 하나의 패킷을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패킷을 단위 시간동안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220)는 디바이스(220)에서 단위 시간동안 수신된 패킷의 개수 및 수신된 패킷의 신호 세기에 따라서 연결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10)를 조작하기에 가까운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디바이스(220)는 수신된 패킷의 신호 세기가 클 것이다. 따라서 디바이스(220)는 화상형성장치(210)에게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20)는 화상형성장치(210)와의 통신을 위하여 화상형성장치(210)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디바이스(220)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210)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10)는 디바이스(220)에서 전송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디바이스(220)를 발견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화상형성장치(210) 및 디바이스(220)는 서로를 발견한 이후이므로, 세션 연결을 위하여 인증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10) 및 디바이스(220)에서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220)의 식별 정보 또는 인증 관련 정보 등을 확인함으로써 세션 연결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10)는 디바이스(22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면, 디바이스(220)로부터 디바이스(220)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란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10)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210)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디바이스(220)에서 화상형성장치(210)로 전송하는 일종의 식별 정보로, 사용자 정보는 디바이스(220)의 시리얼 번호, 전화번호와 같은 디바이스(2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디바이스(220)에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사용자 ID/비밀번호와 같은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210)는 미리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있고,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디바이스(22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220)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되는지를 판단하고, 매칭된다고 판단되면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이고,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인증 방법의 도메인은 로컬(Local) 도메인이다. 화상형성장치(210)에서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인증 도메인이 네트워크(network) 도메인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210)는 화상형성장치(21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아닌 서버(server)와 같이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로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화상형성장치(210)에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10)는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세션이 연결된 화상형성장치(210) 및 디바이스(220)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20)에서 전송한 이미지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10)에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10)에서 수신한 파일을 디바이스(2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210)는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화상형성장치(210)에서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21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210)에서 인쇄, 스캔, 팩스 작업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가 디바이스(220)의 전화번호인 경우, 화상형성장치(210)는 디바이스(220)로부터 디바이스(220)의 전화번호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에,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화상형성장치(210)는 화상 데이터를 디바이스(1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형성장치(210)에서 화상 데이터를 디바이스(22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210)는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하고, 스캔 작업이 수행되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디바이스(22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바이스(220)를 휴대한 상태로 화상형성장치(210)에 근접할 때, 화상형성장치(210)는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 화상형성장치(210)는 잠김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해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해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인쇄, 스캔, 팩스 작업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210)는 화상 데이터를 디바이스(22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형성장치(210)가 화상 데이터를 디바이스(22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210)는 문서를 스캔하고, 스캔 작업 결과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디바이스(22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20)는 저장된 컨텐츠를 인쇄하는 작업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디바이스(220)는 저장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210)로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210)는 디바이스(22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210)는 디바이스(220)로 화상형성장치(210)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디바이스(220)는 사용자에게 화상형성장치(210)의 상태 정보를 알림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바이스(220)에서 상기 알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210)는 디바이스(220)로 화상형성장치(210)의 구체적인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디바이스(220)은 화상형성장치(210)의 구체적인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상형성장치(210)의 구체적인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2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10)는 디바이스(220)에 연결되면, 사용자 정보를 디바이스(22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1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고 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바이스(220)에 연결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앞서 상술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의 단계 S210 내지 S240은 본 개시의 화상형성장치 및 디바이스 간의 통신 방법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간략하게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정 단계가 생략될 수 있고, 또는 추가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BLE(Bluetooth Low Energy)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310에서, 제 1 디바이스(10)는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주소(random address)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BLE 패킷의 랜덤 주소는, BLE 패킷을 수신하는 제 2 디바이스(20)가 제 1 디바이스(10)에 접속하거나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BLE 패킷의 랜덤 주소는, 고유한 값이 아니므로, 제 1 디바이스(10)에 의해서 새로운 값으로 생성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식별 정보는, 모바일 핫스팟 서비스, 컨텐츠 공유 서비스, 화면 미러링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자, 지원되는 통신 규격(UPnP, DLNA 등)에 관한 식별자, 통신 연결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에 대한 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비스 식별 정보는, 특정 통신 연결 서비스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통신 연결 서비스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통신 방식 또는 프로토콜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가,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맵핑되어 미리 설정되거나, 약속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예, 서비스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연결 서비스)는, 통신 서비스에 참여할 디바이스들(예, 제 2 디바이스(20))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는, BLE 패킷을 수신하는 제 2 디바이스(20)에서 슬립 모드의 AP(application processor)를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하는데 이용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 전부가 제 2 디바이스(20)에서 AP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필터링 정보로 이용될 수도 있고,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 중 일부가 제 2 디바이스(20)에서 AP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필터링 정보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0)는, 해쉬(hash)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서비스 식별 정보에 대한 해쉬 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디바이스(10)는 생성된 해쉬 값을 이용하여 랜덤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주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랜덤 주소(400)의 전체 길이가 48 bits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 주소(400)는,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에 대한 해쉬 값(410)과 소정 비트의 랜덤 값(4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는 소정 해쉬 함수(hash function)를 이용하여, 서비스 식별 정보에 대한 24 bits의 해쉬 값(410)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는 랜덤 주소(400)의 나머지 부분을 채우기 위해 랜덤 함수(random function)을 이용하여 24 bits는 랜덤 값(42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해쉬 값(410)과 랜덤 값(420) 각각이 24 bits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해쉬 값(410)이 18 bits이고, 랜덤 값(420)이 30 bits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바이스(10)는 회사(company)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랜덤 주소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는 서비스 식별 정보 및 회사 식별 정보에 대한 해쉬 값(410)을 생성하고, 생성된 해쉬 값(410)에 랜덤 값(420)을 더해 랜덤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바이스(10)는 서비스 식별 정보는 포함하지 않고, 회사 식별 정보만을 포함하는 랜덤 주소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바이스(10)는 전체 패킷의 수 정보 및 현재 패킷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랜덤 주소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에서 브로드캐스트하는 전체 패킷이 4개고, 현재 패킷이 두 번째 패킷인 경우, ‘Current Number/Final Number = 2/4’와 같은 정보를 해쉬 값(410)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디바이스(10)는 변환된 해쉬 값(410)을 포함하는 랜덤 주소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에 관련된 설명의 단계 S320에서, 제 1 디바이스(10)는 랜덤 주소를 BLE 패킷의 헤더에 삽입(writ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주소를 헤더의 랜덤 주소 필드에 삽입(write)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랜덤 주소 필드는 서비스 식별 정보에 대한 해쉬 값이 삽입되는 제 1 파트와 랜덤 값이 삽입되는 제 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제 1 디바이스(10)는 랜덤 주소가 삽입된 BLE 패킷을 브로드캐스트(또는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바이스(10)는 BLE 패킷을 소정 간격(interval)(예, 100ms)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트하는 소정 간격은 제 1 디바이스(10)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 1 디바이스(10)가 복수 개의 BLE 패킷을 생성한 경우, 제 1 디바이스(10)는 순차적으로 복수의 BLE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주소를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510에서, 제 1 디바이스(10)는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주소(random address)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10은 도 3의 단계 S31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520에서, 제 1 디바이스(10)는 BLE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의 주소를 확인(identify)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는 BLE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주변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바이스(10)는 주변 기기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advertising packet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디바이스(10)는 수신된 advertising packet에서 랜덤 주소를 추출함으로써, 주변 기기의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제 1 디바이스(10)는 생성된 랜덤 주소와 주변 기기의 랜덤 주소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생성된 랜덤 주소와 주변 기기의 랜덤 주소가 일치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10)는 랜덤 주소를 재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식별 정보에 대한 해쉬 값은 변경될 수 없으므로, 제 1 디바이스(10)는 랜덤 주소 중에서 해쉬 값을 제외한 나머지 랜덤 값을 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에서 생성된 랜덤 주소가 001247184818이고, 검색된 다른 디바이스의 랜덤 주소도 001247184818인 경우, 제 1 디바이스(10)는 해쉬 값 24 bits를 제외한 뒷 부분의 값을 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 생성된 랜덤 주소는 001247103456일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제 1 디바이스(10)는 생성된 랜덤 주소와 주변 기기의 랜덤 주소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 1 디바이스(10)는 생성된 랜덤 주소를 BLE 패킷의 헤더에 삽입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제 1 디바이스(10)는 랜덤 주소가 삽입된 BLE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단계 S540 및 단계 S550은, 도 3의 단계 S320 및 단계 S33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단계 S510 내지 단계 S550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디바이스(20)에서 BLE 패킷을 수신하고, BLE 패킷에 포함된 필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20)가 AP의 동작 모드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의 동작 모드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610에서, 제 2 디바이스(20)는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BLE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된 BLE 패킷의 헤더에는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주소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랜덤 주소는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에 대한 해쉬 값 및 소정 비트의 랜덤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된 BLE 패킷의 헤더에는 제 1 디바이스(10)의 회사 식별 정보, 전체 패킷의 수 정보 및 현재 패킷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계 S620에서, 제 2 디바이스(20)는 BLE 패킷의 헤더에서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20)는 BLE 패킷의 헤더의 랜덤 주소 필드에서 24bits의 서비스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디바이스(20)는 BLE 패킷의 헤더에서 제 1 디바이스(100)의 회사 식별 정보, 전체 패킷의 수 정보 및 현재 패킷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추출할 수도 있다.
단계 S630에서, 제 2 디바이스(20)는 추출된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와 AP의 동작 모드 변경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디바이스(20)에 AP의 동작 모드 변경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서비스 식별 정보는, 슬립 상태의 AP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필터링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디바이스(20)는 AP의 동작 모드 변경과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디바이스(20)는 사용자 입력 또는 선택에 기초하여 AP의 동작 모드 변경과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20)가 외부 디바이스의 모바일 핫 스팟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 2 디바이스(20)는 모바일 핫 스팟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AP의 동작 모드 변경과 관련된 필터링 기준 식별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디바이스(20)는 BLE 패킷의 헤더에서 추출된 제 1 디바이스(10)의 회사 식별 정보와 AP의 동작 모드 변경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회사 식별 정보를 비교할 수도 있다.
단계 S640에서, 제 2 디바이스(20)는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슬립 모드의 AP(application processor)를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20)는, 추출된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와 기 설정된 서비스 식별 정보가 일치하거나, 추출된 제 1 디바이스(100)의 서비스 식별 정보와 기 설정된 서비스 식별 정보의 유사도가 임계 값(예, 90%) 이상인 경우, 슬립 모드의 AP(application processor)를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에, 제 2 디바이스(20)는 추출된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와 기 설정된 서비스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추출된 제 1 디바이스(10)의 서비스 식별 정보와 기 설정된 서비스 식별 정보의 유사도가 임계 값(예, 90%) 미만인 경우, 제 2 디바이스(20)는 AP의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BLE 패킷의 헤더에서 추출된 제 1 디바이스(10)의 회사 식별 정보와 AP의 동작 모드 변경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회사 식별 정보가 일치하거나 BLE 패킷의 헤더에서 추출된 제 1 디바이스(10)의 회사 식별 정보와 AP의 동작 모드 변경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회사 식별 정보의 유사도가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슬립 모드의 AP(application processor)를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디바이스(20)는 소정 이벤트(예, 기 설정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BLE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경우에만 AP를 깨움으로써, AP(application processor)에서 소모되는 대기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단계 S610 내지 단계 S640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E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BLE 패킷은 헤더 부분(701)과 페이로드(payload) 부분(7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BLE 패킷의 헤더 부분(701)은 랜덤 주소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랜덤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덤 주소를 헤더 부분(701)의 랜덤 주소 필드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랜덤 주소는 48 bits일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랜덤 주소의 크기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범위 내에서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BLE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 부분(702)은 31Bytes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페이로드의 크기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범위 내에서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BLE 패킷의 한정된 사이즈로 인해 대량의 데이터를 전달하기는 쉽지 않다.
도 8은 디바이스 사용자가 블루투스 통신 연결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접근할 수 있다(예, 프린트, 파일 전송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간에 무선 연결을 하기 위하여 BLE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에 접근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들이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피스 환경에서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의 동선, 공간의 제약, 출력 소음 또는 전력 공급 등의 이유로 다수의 화상형성장치를 한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 접근하게 된다면,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다수의 화상형성장치들이 디바이스에서 발견될 수 있고,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로서는 어떠한 화상형성장치와 연결할 것인지 구분이 어려워, 연결의 타겟이 되는 화상형성장치가 아닌 다른 화상형성장치와 연결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 및 연결 경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두 가지 경계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경계는 최대 경계(910)이고, 다른 하나의 경계는 연결 경계(920)이다. 이하에서는 최대 경계(910) 및 연결 경계(92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경계(Maximum BLE RF Boundary)는 화상형성장치에서 BLE 통신을 위하여 BLE 패킷을 전송 가능한 RF 송신 최대 경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스마트 폰과 같은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해서 전송하는 패킷의 최대 범위가 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910)는 화상형성장치의 성능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기준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특정 범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경계(Connection Boundary)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소정의 신호 세기 이상으로 수신된 경우만을 연결의 대상으로 특정하기 위한 경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서 다수의 스마트 폰들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신호 세기 이상으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해당 스마트 폰을 BLE 연결 대상으로 특정할 수 있다. 연결 경계(920) 또한 화상형성장치 내부 기준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특정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를 중심으로 반경 R1인 최대 경계(910)와 반경 R2인 연결 경계(920)를 나타낼 수 있다. 최대 경계(910)의 반경 R1이 연결 경계(920)의 반경 R2보다 큰 경우가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 경계(920)의 반경 R2가 최대 경계(910)의 반경 R1보다 같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A, B 및 C(901, 902 및 903)는 프린터를 중심으로 할 때, 프린터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디바이스 A, B 및 C(901, 902 및 903)는 프린터에 접근하는 경우일 수 있고, 또는 프린터로부터 멀어지거나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디바이스 A(901)의 경우, 프린터의 최대 경계(910)보다 바깥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프린터가 전송하는 패킷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A(901)에서 프린터와 연결을 위하여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더라도, 디바이스 A가 프린터의 연결 경계(920)보다 바깥에 있으므로, 소정의 신호 세기를 만족하지 못하여 프린터에서 연결 대상으로 특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디바이스 B(902)의 경우, 프린터의 최대 경계(910)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프린터가 전송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B(902)는 프린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디바이스 B(902)의 사용자가 프린터와 연결을 위하여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더라도, 디바이스 B(902)가 프린터의 연결 경계(920)보다 바깥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소정의 신호 세기를 만족하지 못하여 프린터에서 연결 대상으로 특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디바이스 C(903)의 경우, 프린터의 최대 경계(910) 및 연결 경계(920) 모두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프린터가 전송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으며, 프린터는 디바이스 C(903)에서 전송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프린터는 디바이스 C(903)를 BLE 통신 대상으로 특정할 수 있고, 이후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하여 디바이스와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경우는 하나의 화상형성장치가 위치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며, 다수의 화상형성장치가 근접한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는 연결의 타겟이 되는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를 혼동하여 연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다수의 화상형성장치가 근접하여 위치하는 경우에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간섭을 줄이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간에 간섭을 줄이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한 화상형성장치 간에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단계 S1010에서, 제1 화상형성장치(1010)는 제2 화상형성장치(1020)가 전송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근접한 위치에 제1 화상형성장치(1010) 및 제2 화상형성장치(1020)가 위치하는 경우라면, 제1 화상형성장치(1010)는 제2 화상형성장치(1020)의 최대 경계 안쪽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화상형성장치(1020)가 전송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제1 화상형성장치(1010)는 제2 화상형성장치(1020)에서 전송한 패킷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010)는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신호 세기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신호 세기 측정부는 제2 화상형성장치(1020)에서 전송한 패킷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화상형성장치(1020)에서 주기적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010)의 신호 세기 측정부는 수신되는 패킷마다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010)의 제어부는 측정된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1 화상형성장치(1010)를 기준으로 하여 제2 화상형성장치(1020)와의 이격 거리를 환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형성장치(1010)의 제어부는 제2 화상형성장치(1020)에서 전송된 패킷의 신호가 10dBm이므로, 제1 화상형성장치(1010)로부터 약 1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010)에서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거리로 환산하기 위해서, 거리 대 신호 세기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부에 기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화상형성장치(1010)의 제어부는 제1 화상형성장치(1010)에서 설정된 최대 경계 및 연결 경계에 기초하여 기준이 되는 신호 세기 값을 거리로 환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형성장치(1010)의 최대 경계는 제1 화상형성장치(1010)로부터 15m이고, 제1 화상형성장치(1010)의 연결 경계는 신호 세기 4dBm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 화상형성장치(1010)의 제어부는 제1 화상형성장치(1010)의 연결 경계의 신호 세기인 4dBm을 12m의 거리 값으로 환산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제1 화상형성장치(1010)는 제2 화상형성장치(1020)의 연결 경계와 중첩되지 않기 위해서 제1 화상형성장치(1010)의 연결 기준 세기를 변경할 수 있다. 변경 후의 연결 기준 세기는 변경 전의 연결 기준 세기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형성장치(1010)의 연결 경계의 신호 세기를 4dBm에서 6dBm으로, 이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010)의 제어부에서 연결 경계의 신호 세기를 높게 설정하는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010)는 수신 신호의 세기가 더 센 신호의 전송 측을 연결의 대상으로 특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제1 화상형성장치(1010)에서 더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디바이스가 연결의 대상으로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경계의 신호 세기를 4dBm으로 설정할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010)에서 12m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디바이스까지 연결 대상으로 특정될 수 있으나, 연결 경계의 신호 세기를 6dBm으로 설정할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010)에서 9m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디바이스까지만 연결 대상으로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사용자로서는 화상형성장치에 좀더 가까이 접근해야 화상형성장치의 연결 대상이 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제1 화상형성장치(1010)가 디바이스와 BLE 연결이 되어 통신을 수행중인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010)는, 통신을 수행중인 디바이스 외의 다른 디바이스가 접근하는 경우, 패킷에 제1 화상형성장치(101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형성장치(1010)는 디바이스와 통신 중에 다른 디바이스와의 중복된 연결을 방지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연결이 불가능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패킷에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010)는 패킷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이외에도, Wi-Fi 등의 통신 방식으로 접근하는 다른 디바이스에게 제1 화상형성장치(1010)가 추가적인 연결이 불가능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010)가 에러 등으로 인하여 화상 출력이 불가능한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010)는 디바이스 등으로부터의 연결 요청에 대하여 인쇄 불능을 지시하는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제1 화상형성장치(101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상형성장치(1010)가 직접적으로 디바이스에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다른 화상형성장치(예, 제2 화상형성장치) 또는 서버 등을 통하여 상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대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화상형성장치(1110)도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110)는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해서 또는 디바이스에 발견되기 위해서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도 2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1110에서, 제1 화상형성장치(1110)는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110)와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제2 화상형성장치(1120)는 제1 화상형성장치(1110)에서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120에서, 제2 화상형성장치(1120) 또한 제1 화상형성장치(1110)와 마찬가지로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으며, 이는 제2 화상형성장치(1120)에서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해서 또는 디바이스에 발견되기 위해서 전송되는 패킷일 수 있다.
단계 S1130 및 단계 S1140은 앞서 설명한 단계 S1020 및 단계 S1030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다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수신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 각각은 자신의 연결 기준 세기를 높게 변경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각각이 연결 경계의 반경을 줄임으로써,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좀더 근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디바이스 측면에서는,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화상형성장치 이외의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되거나 연결을 시도하는 혼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간의 간섭 최소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화상형성장치(1210)에서 연결 경계(1231)의 기준이 되는 세기를 변경함으로써, 제1 화상형성장치(1210)의 연결 경계(1231) 및 제1 화상형성장치(1210)에 인접한 제2 화상형성장치(1220)의 연결 경계(1232)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210)의 연결 경계(1231) 및 제2 화상형성장치(1220)의 연결 경계(1232)가 서로 중첩된 경우, 중첩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크게 세가지 경우로 구분지을 수 있다.
첫 번째, 제1 화상형성장치(1210)의 연결 경계(1231)의 반경을 축소시키면서 제2 화상형성장치(1220)의 연결 경계(1232)를 유지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210)의 연결 경계(1231) 기준 세기를 변경 전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제1 화상형성장치(1210)의 연결 경계(1231) 반경은 축소될 수 있다. 제2 화상형성장치(1220)의 연결 경계(1232)가 유지되고 있는 경우이므로, 제1 화상형성장치(1231)와 연결되기 위해서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제1 화상형성장치(1231)에 근접하여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두 번째, 제1 화상형성장치(1210)의 연결 경계(1231)의 반경을 유지시키면서, 제2 화상형성장치(1220)의 연결 경계(1232)를 축소시킬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화상형성장치가 제1 화상형성장치(1210)인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210)의 연결 경계(1231)를 유지하면서, 제1 화상형성장치(1210)에 인접한 제2 화상형성장치(1220)의 연결 경계(1232)를 축소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에서 제2 화상형성장치(1220)에 연결 경계(1232) 기준 세기를 보다 높게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제1 화상형성장치(1210)에서 제2 화상형성장치(1220)에게 연결 경계(1232) 기준 세기를 보다 높게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210) 및 제2 화상형성장치(1220)는 관리 서버 또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용하려는 제1 화상형성장치(1210)의 연결 경계(1231)가 유지되었으므로 가까이 근접하지 않고서도 연결 경계 범위 내에만 위치한다면 제1 화상형성장치(12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세 번째, 제1 화상형성장치(1210) 및 제2 화상형성장치(1220) 모두 연결 경계(1231 및 1232) 반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각각에서 연결 경계 기준 세기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연결 경계 반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210) 및 제2 화상형성장치(1220)는 서버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BLE 통신 연결 이외의 다른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210)의 제어부 및 제2 화상형성장치(1220)의 제어부는 자신이 수신하여 측정한 신호의 세기 외에 다른 장치에서 수신하여 측정한 신호의 세기 또한 서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형성장치(1210) 및 제2 화상형성장치(1220)의 연결 경계(1231 및 1232)가 중첩된 거리가 4m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제1 화상형성장치(1210) 및 제2 화상형성장치(1220)는 서로 2m의 거리씩 연결 경계(1231 및 1232)를 축소시키기 위해서 서로 수신 신호의 측정 세기를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화상형성장치(1210)는 연결 경계(1231)의 반경을 3m 축소시키고, 제2 화상형성장치(1220)는 연결 경계(1232)의 반경을 1m 축소시킴으로써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에,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의 연결 경계를 축소하면서 다른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의 연결 경계를 증가시켜도 중첩이 해소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나, 연결 경계의 반경을 증가시키는 설정은 디바이스 측면에서 의도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거리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연결 경계 반경 및 연결 경계의 기준 세기는 서로 반비례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연결 경계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일정 신호 세기 이상으로 수신되는 전송 측 디바이스를 연결 대상으로 삼기 위해 설정한 경계이므로, 화상형성장치에서 멀어질수록 신호의 세기는 감소한다. 소정의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 최대 통신 세기를 만족시킴으로써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 간의 거리가 축소되어도 신호의 세기에 변화가 적을 수도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거리에 따른 수신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는 도 13에서 나타낸 그래프의 특성을 거리에 따라 신호 세기의 값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 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에서 10m 떨어진 위치에서 디바이스가 전송한 신호의 세기가 화상형성장치에서 5dBm의 세기로 측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가 화상형성장치에 가까울수록 화상형성장치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크게 측정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경계의 반경을 어느 정도 축소시켜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경계의 기준 세기를 어느 정도 변경하여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절전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주변의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해서, 또는 디바이스에게 발견되기 위해서 패킷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 주변에 디바이스가 위치하지 않아 일정시간 동안 발견되지 않는다면,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과정에서 절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패킷을 일정한 시간 간격(interval)을 가지고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시간 t1에서 패킷을 전송하고 다음 시간 t2에서 패킷을 전송하기까지의 시간 간격(interval1)은 시간 t2 및 t3 간의 시간 간격(interval2)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화상형성장치는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한 패킷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화상형성장치는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고 다음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시간 간격을 늘일 수 있다. 시간 t4에서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고 다음 패킷을 시간 t5에서 브로드캐스트하였다면, 시간 간격(invertal4)은 이전 시간 간격(interval1)보다 클 수 있다.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서 시간 간격을 늘려 패킷을 전송하였음에도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화상형성장치는 패킷 전송을 중지하고,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슬립 모드에서는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지 않으므로 패킷 전송에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화상형성장치가 지속적으로 슬립 모드로 동작한다면,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는 일정 시간마다 어웨이크 모드(awake mode)로 전환(wake-up)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어웨이크 모드에서의 화상형성장치는 연결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해서,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거나 스캐닝(scanning)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어웨이크 모드에서 디바이스를 발견하지 못할 수 있으며,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하여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가 슬립 모드에서 어웨이크 모드로 웨이크업 되는 기준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에 설정된 일정 시간마다 웨이크업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된 시간 t7에서 다음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된 시간 t8까지의 시간 간격(interval7)은, 시간 간격(interval4)보다 큰 값일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 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언급된 설명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연결 경계를 축소시킴으로써 다른 화상형성장치와의 중첩된 영역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중첩된 영역이 문제되는 것은 디바이스에서 불필요한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및 불필요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므로, 화상형성장치의 연결 경계가 아닌 최대 경계를 변경함으로써 디바이스에서의 간섭 신호를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도 9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 반경(R1) 및 연결 경계 반경(R2)와 디바이스가 화상형성장치에서 떨어진 거리에 따라서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 간의 발견 및 연결 대상 특정 방법을 설명하였다.
최대 경계는 화상형성장치에서 BLE 통신을 위하여 주파수를 전송하는 최대 경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스마트 폰과 같은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해서 전송하는 패킷의 최대 범위가 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는 화상형성장치의 성능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기준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특정 범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 신호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패킷 신호의 세기를 줄임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 반경 또한 비례적으로 축소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도 9에서의 최대 경계(910) 반경 R1을 R1’(1610)으로 축소할 수 있다. 이렇게 될 경우, 디바이스 A(1601) 및 디바이스 C(1603)는 도 9에서와 마찬가지의 상황일 수 있다. 디바이스 A(1601)는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1610)보다 바깥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가 브로드캐스트하는 패킷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A(1601)가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더라도, 디바이스 A(1601)가 화상형성장치의 연결 경계(1620)보다 바깥에 있으므로, 소정의 신호 세기를 만족하지 못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연결 대상으로 특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디바이스 C(1603)는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1610) 및 연결 경계(1620) 모두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가 브로드캐스트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는 디바이스 C(1603)에서 전송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디바이스 C(1603)를 BLE 통신 대상으로 특정할 수 있고, 이후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하여 디바이스와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 A(1601) 및 디바이스 C(1603)와는 달리, 디바이스 B(1602)의 경우는 도 9에서의 디바이스 B(902)와 다른 상황에 놓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 반경이 R1(910)에서 R1’(1610)으로 축소됨에 따라서, 디바이스 B(1602)는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1610)보다 바깥에 위치하게 되며, 디바이스 A(1601)와 같은 상황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디바이스 B(1602)의 측면에서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이 도달하지 못하여, 디바이스에서 연결 대상을 특정하는데 발생되는 혼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최대 경계를 줄임으로써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 화상형성장치에 보다 가까이 접근해야 하지만, 디바이스에서 불필요한 화상형성장치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연결 경계 및/또는 최대 경계를 변경시킴으로써 불필요한 간섭 신호를 줄이는 방법은, 화상형성장치 이외의 디바이스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통신 연결은 스마트 폰에 저장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서 화상형성장치에 다가가는 경우에 관한 것이나, 반드시 화상형성장치와 디바이스 간의 통신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통신 연결이라면 그 적용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제1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일 수 있으며, 제2 디바이스는 화상형성장치가 아닌 디스플레이장치일 수 있다. 스마트 폰이 통신 연결을 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근접하는 경우의 연결 경계 및/또는 최대 경계를 변경함으로써 불필요한 간섭 신호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스마트 폰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을 하기 위해서 근접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 있는 화상형성장치와의 불필요한 간섭 신호를 줄일 수도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의 통신 연결 방법은 불필요한 간섭 신호를 줄일 수 있는 환경에 있는 디바이스 간에 적용이 가능하며,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 이외에도, 이와 유사한 통신 방식을 이용한 통신 연결 방법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BLE 통신 방식 이외에도, Wi-Fi Direct, 지그비(zigbee) 등 기기간 통신(D2D)을 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면 충분하다.
상기의 통신 연결 방식에 대한 설명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로부터 패킷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상기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연결 기준 세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 패킷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패킷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된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상기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기준 세기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700)는 통신부(1710), 저장부(1720) 및 제어부(17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710)는 화상형성장치 간에 또는 화상형성장치 및 디바이스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의 통신부(1710)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통신부(1710)는 패킷(advertising packet)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할 수 있으며, 패킷을 수신한 디바이스 또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10)는 세션을 연결하는 과정 또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적절한 통신 방식으로서 외부의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20)는 화상형성장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1720)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20)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측정한 신호 세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20)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측정한 신호 세기를 거리 별 또는 기기 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30)는 화상형성장치(17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형성장치(1700)의 제어부(1730)는 수신된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기준 세기를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30)는, 통신부(1720)가 제1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시간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30)는, 통신부(1720)가 제2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하여 스캐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30)는, 통신부(1720)가 제2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통신부(1720)를 어웨이크(awake) 모드에서 슬립 모드(sleep mode)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30)는, 통신부(1720)가 슬립 모드로 변경되어 있는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700)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어웨이크 모드로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30)는,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세션을 연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상형성장치(1800)는 통신부(1810), 저장부(1820), 제어부(1830), 스캐너부(18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50), 화상형성부(1860) 및 용지 트레이부(18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810)는 유선 통신부(1811) 및 무선 통신부(18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1811) 및 무선 통신부(1812)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810), 다른 측면에서 근거리 통신부, 이동 통신부, 방송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FC/RFID),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820)는, 제어부(18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 필터링 정보로 기 설정된 서비스 식별 정보, 기 설정된 회사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8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30)는 통신 제어부(1831), 엔진 유닛 제어부(1832), 인터페이스부(1833), 메모리부(1834), 화상형성 제어부(1835), 타이머 매니저부(18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부(1831)는 통신부(1810)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엔진 유닛 제어부(1832)는 화상형성장치(1800)의 엔진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33)는 화상형성장치(1800) 내부 또는 외부에서 연결되는 주변의 기기 또는 모듈들과의 연결 및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부(1834)는 제어부(18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동작 및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일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화상형성 제어부(1835)는 화상형성부(1860)에서 화상이 형성되는 작업을 제어하고, 타이머 매니저부(1836)는 화상형성장치의 처리되는 다양한 동작들의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부(1860)는 실질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부(1860)는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용지에 인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트레이부(1870)는 화상형성장치(1800)에 용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또 다른 측면에서 나타낸 블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900)는 엔진 서브 시스템(1910), 스캐너 서브 시스템(1920), 입력 서브 시스템(1930), UI 서브 시스템(1940), 출력 서브 시스템(1950), 트레이 하단 서브 시스템(1960), 트레이 측면 서브 시스템(197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서브 시스템(1910)은 화상형성장치(1900)에서 상기 언급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유선 네트워크 모듈 또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제어부, 전원부, 팩스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엔진 서브 시스템(1910)은 차징(charging), 노출(exposure), 현상(developing), 클리닝(cleaning), 제거(erasing) 및 퓨징(fusing) 등을 위해서, 프레임(frame), 페이퍼 입력, LSU/LPH, 이미징 유닛, 퓨저, 제어부, 전원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서브 시스템(1920) 화상형성장치(1900)가 스캐닝 작업을 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입력 서브 시스템(1930) 또는 스캔 플레이트(scan plate)에 입력된 용지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다. 입력 서브 시스템(1930)는 복사, 스캔, 팩스 등의 작업을 위하여 원본 이미지 또는 원본 용지가 스캐너 서브 시스템(1920)에 입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서브 시스템(1940)는 화상형성장치에서 G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LCD 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또는 하드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UI 서브 시스템(1940)는 위젯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서브 시스템(1950)는 화상형성장치(1900)에서 화상형성되는 인쇄물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롤러(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서브 시스템(1950)은 스탠다드 피니셔(standard finisher) 및 부클릿 피니셔(booklet finisher) 등과 같이 인쇄된 용지를 후처리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트레이 하단 및 측면 시스템은 용지(예, A4, A3 및 B5) 등을 보관하고, 화상형성시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900)에서 일련의 화상형성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트레이 하단 및 측면 시스템(1960 및 1970)에 용지가 보관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 서브 시스템(1930)에 복사 작업을 수행할 원본 이미지가 입력되고, UI 서브 시스템에 사용자의 복사 작업 명령이 입력되면(예, A4 용지로 10장 출력), 스캐너 서브 시스템(1920)는 원본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다. 엔진 서브 시스템(1910)은 모든 작업을 관리하며, 스캔된 데이터를 화상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화상형성된 출력물을 출력 서브 시스템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BLE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E 모듈(2000)은 화상형성장치 내에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저에너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E 모듈(2000)은 RF 매칭부(2010), 블루투스 주파수 및 모뎀부(2020), RAM(2030), 클록(clock) 생성부(2040), 제어부(2050), ROM(2060), 입/출력부(2070), 전원부(2080), 인터페이스부(20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매칭부(2010)는 블루투스 주파수를 매칭할 수 있고, 블루투스 주파수 및 모뎀부(2020)는 블루투스 주파수 전송/수신단을 포함할 수 있다. RAM(2030)은 블루투스 스택 및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클록 생성부(2040)는 BLE 구동을 위한 클록(clock)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50)는 블루투스 S/W 스택을 구동하고, 블루투스 주파수와 외부 인터페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다. ROM(2060)은 시스템 F/W 수행을 위한 코드를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부(2070)는 프로그램 가능한(programmable) 양방향 입/출력부일 수 있다. 전원부(2080)는 제어부로부터 BLE 모듈(2000)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부(2090)는 제어부(20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100)는 별도의 특별한 기기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기기간 BLE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다른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기에 해당 기기의 정보를 전송하거나, 다른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기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100)는 제어부(2110), 저장부(2120) 및 통신부(2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부 및 유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10), 저장부(2120) 및 통신부(2130)는 앞서 도 17에서 설명한 화상형성장치(1700)의 제어부(1710), 저장부(170) 및 통신부(1730)과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도 17을 참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디바이스(2100)는 휴대용 단말로서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2100)는 스마트 폰, 태블릿PC, 스마트 워치, PC,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기기, 디지털방송용 기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디바이스(2100)는 스마트 폰으로서, 셀룰러 망을 이용한 통신 또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그 예로, 전화, SMS(문자서비스), 인터넷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에 다양한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카메라, 프로젝터, 스캐너, 프린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폰 자체 OS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설치 또는 이용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금융 서비스, 예매 서비스, 센싱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들을 스마트 폰 자체의 기능 또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따라서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 디바이스
20: 제2 디바이스
1700: 화상형성장치
1710: 통신부
1720: 저장부
1730: 제어부
20: 제2 디바이스
1700: 화상형성장치
1710: 통신부
1720: 저장부
1730: 제어부
Claims (22)
- 제1 화상형성장치가 제2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패킷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수신된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상기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의 연결 기준 세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제1 화상형성장치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서 제1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시간 간격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서 제2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하여 스캐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서 제2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는, 어웨이크(awake) 모드에서 슬립 모드(sleep mode)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슬립 모드로 변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어웨이크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준 세기는,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연결 요청 메시지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소정 신호 세기 이상으로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의 전송측 디바이스를 연결 대상으로 설정하는 기준 세기인, 통신 연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연결 경계 기준 세기는, 변경 전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연결 경계 기준 세기보다 큰 값인, 통신 연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서 전송된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통신 연결 방법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연결 방법. - 제2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패킷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패킷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된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상기 패킷 정보의 신호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기준 세기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화상형성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제1 화상형성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제1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시간 간격을 증가시키는, 제1 화상형성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제2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하여 스캐닝하도록 설정되는, 제1 화상형성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제2 소정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어웨이크(awake) 모드에서 슬립 모드(sleep mode)로 변경시키는, 제1 화상형성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슬립 모드로 변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어웨이크 모드로 변경하도록 설정되는, 제1 화상형성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준 세기는,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서 수신될 연결 요청 메시지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소정 신호 세기 이상으로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의 전송 측 디바이스를 연결 대상으로 설정하는 기준 세기인, 제1 화상형성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연결 경계 기준 세기는, 변경 전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연결 경계 기준 세기보다 큰 값인, 제1 화상형성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송된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 화상형성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세션을 연결하도록 설정되는, 제1 화상형성장치. -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을 이용하도록 설절되는, 제1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8413A KR20170006947A (ko) | 2015-07-10 | 2015-07-10 | 화상형성장치의 통신 서비스를 통해 인쇄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
EP16171782.2A EP3115882B1 (en) | 2015-07-10 | 2016-05-27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printing operation through communication ser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
US15/179,226 US9883066B2 (en) | 2015-07-10 | 2016-06-10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printing operation through communication ser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
CN201610542245.6A CN106341570B9 (zh) | 2015-07-10 | 2016-07-11 | 通过图像形成装置的通信服务执行打印操作的方法和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8413A KR20170006947A (ko) | 2015-07-10 | 2015-07-10 | 화상형성장치의 통신 서비스를 통해 인쇄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6947A true KR20170006947A (ko) | 2017-01-18 |
Family
ID=5650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8413A KR20170006947A (ko) | 2015-07-10 | 2015-07-10 | 화상형성장치의 통신 서비스를 통해 인쇄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883066B2 (ko) |
EP (1) | EP3115882B1 (ko) |
KR (1) | KR20170006947A (ko) |
CN (1) | CN106341570B9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0159A (ko) * | 2020-08-11 | 2022-02-18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비접촉 금융 거래를 위한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11172B2 (en) * | 2015-03-20 | 2018-10-23 | Google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localized device wakeup using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s |
JP6300855B2 (ja) * | 2016-03-24 | 2018-03-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10609761B2 (en) * | 2016-05-18 | 2020-03-31 | Apple Inc. | Adaptive signal strength thresholds for peer-to-peer synchronization and data communication |
JP2018001587A (ja) * | 2016-06-30 | 2018-01-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JP2018006998A (ja) * | 2016-06-30 | 2018-01-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10133528B2 (en) * | 2016-11-28 | 2018-11-20 | Fuji Xerox Co., Ltd.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nte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JP6843630B2 (ja) * | 2017-01-26 | 2021-03-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US10769877B2 (en) * | 2017-03-02 | 2020-09-08 | OpenPath Security Inc. | Secure handsfree proximity-based access control |
JP6866209B2 (ja) * | 2017-03-31 | 2021-04-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US10039057B1 (en) * | 2017-06-06 | 2018-07-31 |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 Optimized deployment of BLE network and power efficient and secure management of data exchange between BLE devices |
JP2019009609A (ja) | 2017-06-23 | 2019-01-17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無線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
JP6917590B2 (ja) * | 2017-08-01 | 2021-08-11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無線装置、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 |
JP7080604B2 (ja) * | 2017-08-25 | 2022-06-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クライアント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WO2019059427A1 (en) * | 2017-09-19 | 2019-03-28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AND CONTROL TERMINAL |
JP7095256B2 (ja) * | 2017-10-30 | 2022-07-0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プリンター、及び、プリンターの制御方法 |
JP6897550B2 (ja) * | 2017-12-22 | 2021-06-30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
JP7129172B2 (ja) * | 2018-02-08 | 2022-09-01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端末、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6584553B2 (ja) * | 2018-02-28 | 2019-10-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102092915B1 (ko) * | 2018-03-09 | 2020-03-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
WO2019172671A1 (en) | 2018-03-09 | 2019-09-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09117192B (zh) * | 2018-07-12 | 2021-07-30 |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 可唤醒待机机台的切换装置及唤醒装置 |
JP7336264B2 (ja) * | 2019-05-29 | 2023-08-31 | 株式会社マキタ | バッテリパック |
CN110300447B (zh) * | 2019-06-28 | 2021-07-16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控制方法和设备 |
JP2021011079A (ja) * | 2019-07-08 | 2021-02-04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
US11556101B2 (en) * | 2019-09-10 | 2023-01-17 |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 Appliance management system |
JP7500174B2 (ja) * | 2019-09-20 | 2024-06-17 | スター精密株式会社 | プリンタ |
FI129763B (en) * | 2020-03-04 | 2022-08-15 | Wirepas Oy | Addressing system for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 |
CN113867669A (zh) * | 2021-09-22 | 2021-12-31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控制方法和控制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92957B2 (en) | 2000-12-18 | 2002-12-10 | Juan C. Carillo, Jr. | Close-proximity radiation detection device for determining radiation shielding device effectiveness and a method therefor |
US7509131B2 (en) * | 2004-06-29 | 2009-03-24 | Microsoft Corporation | Proximity detection using wireless signal strengths |
CN102624430A (zh) * | 2012-04-13 | 2012-08-01 | 华为终端有限公司 | 蓝牙终端的搜索处理方法及蓝牙终端 |
US9042829B2 (en) * | 2013-01-04 | 2015-05-26 | Nokia Corporatio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
KR102094505B1 (ko) * | 2013-10-04 | 2020-03-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에 의한 BLE(Bluetooth Low Energy) 패킷 브로드캐스트 방법, 디바이스에 의한 AP(application processor)의 동작 모드 조절 방법 |
US9380119B2 (en) * | 2013-12-16 | 2016-06-28 | Nokia Technologies Oy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network discovery |
CN104202752B (zh) * | 2014-09-18 | 2017-12-08 | 湖南华凯文化创意股份有限公司 | 蓝牙基站感应距离调节方法与系统 |
US9729736B2 (en) * | 2015-02-26 | 2017-08-08 | Ricoh Company, Ltd.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US9843347B2 (en) * | 2015-04-07 | 2017-12-12 |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Management, Llc |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
-
2015
- 2015-07-10 KR KR1020150098413A patent/KR20170006947A/ko unknown
-
2016
- 2016-05-27 EP EP16171782.2A patent/EP3115882B1/en active Active
- 2016-06-10 US US15/179,226 patent/US9883066B2/en active Active
- 2016-07-11 CN CN201610542245.6A patent/CN106341570B9/zh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0159A (ko) * | 2020-08-11 | 2022-02-18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비접촉 금융 거래를 위한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883066B2 (en) | 2018-01-30 |
CN106341570B9 (zh) | 2019-06-04 |
US20170013153A1 (en) | 2017-01-12 |
EP3115882A1 (en) | 2017-01-11 |
EP3115882B1 (en) | 2020-04-08 |
CN106341570B (zh) | 2019-04-19 |
CN106341570A (zh) | 2017-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83066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printing operation through communication ser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 |
US12137194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 |
US11973913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in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CN112256212B (zh) |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 |
US10631155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 |
US10306453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JP6776055B2 (ja) |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2016187088A (ja) | 通信機器 | |
KR102617025B1 (ko) | 정보 처리 장치 및 제어 방법 | |
KR102135715B1 (ko)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ip 주소 할당 방법 및 장치 | |
US20240303006A1 (en) | Data processing system that performs access control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 |
US20240303016A1 (en) | Data processing system that performs access control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CN117135722A (zh) |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 |
CN117135770A (zh) |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 |
CN117135599A (zh) |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 |
CN117135766A (zh) |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 |
KR20200090659A (ko)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ip 주소 할당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