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134365A -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365A
KR20160134365A KR1020150068314A KR20150068314A KR20160134365A KR 20160134365 A KR20160134365 A KR 20160134365A KR 1020150068314 A KR1020150068314 A KR 1020150068314A KR 20150068314 A KR20150068314 A KR 20150068314A KR 20160134365 A KR20160134365 A KR 20160134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usings
guide groove
flexible displa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206B1 (ko
Inventor
신진철
Original Assignee
신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철 filed Critical 신진철
Priority to KR102015006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206B1/ko
Priority to PCT/KR2015/009430 priority patent/WO2016186258A1/ko
Publication of KR2016013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20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 수 또는 화면의 면적을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는, 일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비되는 제1 화면과, 상기 제1 화면이 구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사이의 상대운동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의 크기가 선택적으로 확장되는 제1 화면부; 상기 제1 화면부와 두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서 상기 제1 화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화면을 가지는 제2 화면부;로서, 상기 몸체의 구석 일 측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구석에 일 측과 힌지결합 되어 스윙운동에 의해 제2 화면의 위치가 변경되는 제2 화면부; 및 상기 제1,2 화면부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2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 및 배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EXPANDING DISPLAY}
본 개시(Disclosure)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윙 및 확장화면 형태로 개폐되는 메카니즘을 갖추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 수 또는 화면의 면적을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 기능, 사진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 재생, DMB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이 많은 기능을 갖춘 종합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보편화 되어 있다.
그런데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량이나 인터넷 작업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협소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1999-0086867호, 플렉시블한 액정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액정표시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1376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통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설치해 확장되는 대화면을 구현하는 확장화면형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종합 멀티미디어화된 휴대용 단말기의 복잡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화면의 크기가 확장되는 것을 넘어, 영상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추가로 요구되고, 이들을 적절한 구조로 배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DMB 시청과 동시에 인터넷 검색 수행과 같은 다중 작업을 위해서는 복수 화면이 필요하며, 이들은 휴대성, 사용 효율성에 부합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또 필요하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1999-0086867호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1376호
본 개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이용하여 화면이 선택적으로 확장되는 제1 화면부와, 제1 화면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스윙운동에 의해 화면의 위치가 변경되는 제2 화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 수 또는 화면의 면적을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는, 일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비되는 제1 화면과, 상기 제1 화면이 구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사이의 상대운동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의 크기가 선택적으로 확장되는 제1 화면부; 상기 제1 화면부와 두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서 상기 제1 화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화면을 가지는 제2 화면부;로서, 상기 몸체의 구석 일 측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구석에 일 측과 힌지결합 되어 스윙운동에 의해 제2 화면의 위치가 변경되는 제2 화면부; 및 상기 제1,2 화면부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2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 및 배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기 제1 화면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이 판 상으로 구비되고, 서로 대응하는 모서리를 축으로 접철 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의 일면에 연속하여 구비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의 접철 동작에 의해 화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2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기 제1 화면부는, 상기 제1 화면의 확장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중 어느 일방이 타 방에 결합 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중 어느 일방이 그것에 인접하는 타 방에 대해 상기 제1 화면의 확장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되면서 상기 제1 화면이 선택적으로 확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3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2 또는 제3 발명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중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상시 노출부;로서, 상기 제1 화면의 확대 동작 또는 상기 제2 화면의 스윙동작에 관계없이 항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상시 노출부;를 더 포함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4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4 발명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기 상시 노출부는, 카메라, 스피커 및 입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5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3 발명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기 몸체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은, 두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화면이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화면의 이면으로서 상기 몸체의 배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곡선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면으로부터 그 두께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스윙 안내 홈;으로서, 상기 스윙 안내 홈의 길이 방향으로 내면에 구비되는 랙(rack)을 가지는 스윙 안내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중 어느 일방의 단부에 구비되는 피니언;으로서, 상기 스윙 안내 홈의 상기 랙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스윙 동작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중 어느 일방의 슬라이딩 동작과 연동 되도록 하는 피니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6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기 제1,2 화면은, 투명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7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고, 스윙운동에 의해 가로화면으로 전환되는 몸체의 화면에 의해 화면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중 작업의 수행과 다양한 정보의 출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복잡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되는 용도에 적합한 화면을 선택해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화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와, 화면의 위치가 조절되는 몸체의 화면에 의해 휴대용 TV, 노트북, 스마트폰 등이 하나의 기기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b)의 변형된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A)의 a-a 단면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4에서 화면 확장과 스윙동작이 연동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4에서 스윙동작이 구동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확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개시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를 구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개시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b)의 변형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2 화면부와 제어부(70)를 가진다.
제1 화면부는, 일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비되는 제1 화면(30)과, 제1 화면(30)이 구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을 가진다.
본 예에서, 하우징(20)은 3개로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2개 이상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제1 화면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 사이의 상대운동에 의해 제1 화면(30)의 크기가 선택적으로 확장된다.
본 예에서, 상대운동은, 서로 인접하는 하우징 사이의 접철 운동이다.
이를 위해, 본 예에서, 제1 화면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이 판 상으로 구비되고, 서로 대응하는 모서리를 축으로 접철 되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의 일면에 연속하여 구비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의 접철 동작에 의해 화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한다.
최근 공개되는 기술에 따르면, 접철 동작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파손의 염려는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상대운동은 후술하는 슬라이딩 운동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밖에 제1 화면(30)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는 운동은 통상의 기술자가 도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에 상대운동을 포함한다.
제2 화면부는, 제1 화면부와 두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몸체(11)를 가진다.
또한, 제2 화면부는, 몸체(11)의 일면으로서 제1 화면(3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화면(12)을 가진다.
또한, 제2 화면부는, 몸체(11)의 구석 일 측이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 중 어느 하나의 구석에 일 측과 힌지결합 되어 스윙운동에 의해 제2 화면(12)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힌지 결합의 위치는, 제2 화면부가 스윙운동에 의해 제1 화면부의 일측단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 화면부는 직사각형의 판 상으로 구비되고, 힌지결합은, 그 네 개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제1,2 화면부(12,30)의 두께방향의 축으로 힌지결합된다.
제어부(70)는, 제1,2 화면부(12,30)의 배치 상태에 따라 제1,2 화면(12,3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 및 배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2 화면부(12,30)의 배치 상태를 감지하여, 그 정보에 따라 제1,2 화면(30,12)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 및 배치를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몸체(11)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 중 어느 일방에는 상시 노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시 노출부는, 제1 화면(30)의 확대 동작 또는 제2 화면(12)의 스윙동작에 관계없이 항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카메라, 스피커 및 입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2 화면(30,12)은, 투명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는 유연성을 지닌 전자종이, LCD, OLED 등 공지된 디스플레이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부, 입출력부, A/V부, 센싱부, 메모리부, 제어부 및 전원부 등을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운용하는 공지된 다수의 구동 장치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PDA,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제2 화면(12)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에는 터치패드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운용 수단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의 상부 면에 제2 화면(12)이 구비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은 몸체(11)의 뒷면에 몸체(11)와 동일한 세로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곳에서 몸체(11)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의 우측 하단 코너에 구성된 힌지 결합 축을 중심으로 약 90도 스윙 이동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개폐를 준비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조적 형태 변경을 시도하여 개방하면, 각 하우징(21,22,23)이 접철 회전축(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가 되며,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하우징(21,22,23)에 설치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수평한 구조로 배치된 단일 표시창을 형성함으로써 전체 화면이 가시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화면(12)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 사이의 상대 시야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확장형 대화면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와 가로화면으로 전환된 제2 화면(12)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화면으로 전환된 제2 화면(12)을 키보드 화면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DMB 시청과 동시에 인터넷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이 배치된 위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의 후면일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의 정면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A)의 a-a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제1 화면부는, 제1 화면(30)의 확장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 중 어느 일방이 타 방에 결합 되도록 구비된다.
즉, 제1 실시형태와 달리,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 사이의 결합이 슬라이딩 결합이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 중 어느 일방이 그것에 인접하는 타 방에 대해 제1 화면(30)의 확장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되면서 제1 화면(30)이 선택적으로 확장되도록 구비된다.
즉, 제1 실시형태와 달리, 제1 화면(30)의 확장 또는 축소 동작이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은 3개의 하우징으로 구비되며, 몸체(11)는 중앙에 배치되고, 양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길이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서,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제1 화면(30)이 확대된다.
도 6은 도 4에서 화면 확장과 스윙동작이 연동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10)는, 몸체(11) 및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은, 두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구비되되, 제2 화면(12)이 상면에 배치된다.
또한, 제2 화면(12)의 이면으로서 몸체(11)의 배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곡선형으로 스윙 안내 홈(61)이 구비 된다.
스윙 안내 홈(61)은, 몸체(11)의 배면으로부터 그 두께방향으로 함몰형성된다.
또한, 스윙 안내 홈(61)은, 그것의 길이 방향으로 내면에 구비되는 랙(62)(rack)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 중 어느 일방의 단 부에는 피니언(63)이 구비 된다.
피니언(63)은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 중 어느 일방의 단 부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스윙 안내 홈(61)의 랙(62)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피니언(63)이 구비된 하우징(20)이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경우, 그에 연동되어 몸체(11)의 스윙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7은 도 4에서 스윙동작이 구동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과 달리, 랙(81)이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피니언(83)은 몸체(11)의 힌지 겹합 축에 결합 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20)의 슬라이딩 운동에 따라 랙(81)이 이동되며, 랙(81)에 결합된 피니언(83)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결국, 하우징(20)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몸체(11)의 스윙이 연동 된다.
그 역으로, 본 예에 의하면, 몸체(11)의 스윙운동에 의해, 하우징(20)의 슬라이딩 운동이 연동 됨은 물론이다.
본 실시형태 및 앞선 도 1, 6의 실시형태에서, 몸체(11)의 스윙운동 또는 하우징(20)의 슬라이딩 운동, 접철 운동은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확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앞서, 제1 화면(30)의 화면확장 구조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몸체(11)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먼저, 도 8은, 폴더 타입의 예로, 2단 접이 형으로 구성된다.
도 9는, 폴더 타입의 예로 3단 접이 형으로 구성된다.
도 10은, 슬라이드 타입의 예이다.
도 11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원통형 회전 부재(53)에 말려져 구비된 예이다.
도 12는, 폴더 타입의 예로 2단 접이 형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는 두 개의 하우징(20)의 외부 면에 연속하여 단일 시트로 배치된다.

Claims (7)

  1. 일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비되는 제1 화면과, 상기 제1 화면이 구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사이의 상대운동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의 크기가 선택적으로 확장되는 제1 화면부;
    상기 제1 화면부와 두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서 상기 제1 화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화면을 가지는 제2 화면부;로서, 상기 몸체의 구석 일 측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구석에 일 측과 힌지결합 되어 스윙운동에 의해 제2 화면의 위치가 변경되는 제2 화면부; 및
    상기 제1,2 화면부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2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 및 배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이 판 상으로 구비되고, 서로 대응하는 모서리를 축으로 접철 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의 일면에 연속하여 구비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의 접철 동작에 의해 화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부는,
    상기 제1 화면의 확장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중 어느 일방이 타 방에 결합 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중 어느 일방이 그것에 인접하는 타 방에 대해 상기 제1 화면의 확장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되면서 상기 제1 화면이 선택적으로 확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중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상시 노출부;로서, 상기 제1 화면의 확대 동작 또는 상기 제2 화면의 스윙동작에 관계없이 항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상시 노출부;를 더 포함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시 노출부는, 카메라, 스피커 및 입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은, 두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화면이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화면의 이면으로서 상기 몸체의 배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곡선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면으로부터 그 두께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스윙 안내 홈;으로서, 상기 스윙 안내 홈의 길이 방향으로 내면에 구비되는 랙(rack)을 가지는 스윙 안내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중 어느 일방의 단부에 구비되는 피니언;으로서, 상기 스윙 안내 홈의 상기 랙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스윙 동작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중 어느 일방의 슬라이딩 동작과 연동 되도록 하는 피니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 화면은, 투명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KR1020150068314A 2015-05-15 2015-05-15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695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14A KR101695206B1 (ko) 2015-05-15 2015-05-15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PCT/KR2015/009430 WO2016186258A1 (ko) 2015-05-15 2015-09-07 복수 화면을 가지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14A KR101695206B1 (ko) 2015-05-15 2015-05-15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365A true KR20160134365A (ko) 2016-11-23
KR101695206B1 KR101695206B1 (ko) 2017-01-11

Family

ID=5754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314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5206B1 (ko) 2015-05-15 2015-05-15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2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368Y1 (ko) 2018-01-08 2018-09-07 정대선 스크롤 방식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110445901A (zh) * 2018-05-04 2019-11-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US11832406B2 (en) 2021-02-23 2023-11-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2171076B2 (en) 2020-06-05 2024-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086B1 (ko) 2019-04-11 2023-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256183A1 (ko) 2019-06-19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EP4002333B1 (en) 2019-07-19 2025-04-0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9008A (en) 1934-06-27 1935-04-23 Holmes John James Clothes wringer
KR20050107133A (ko) * 2004-05-07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2-웨이 폴더형 단말기
KR20080035709A (ko) * 2006-10-20 2008-04-24 김종억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3단 폴더형 휴대폰
KR20100052227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40001376A1 (en) 2012-06-28 2014-01-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nd of service life indicator for organic vapor respirator filter cartrid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9008A (en) 1934-06-27 1935-04-23 Holmes John James Clothes wringer
KR20050107133A (ko) * 2004-05-07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2-웨이 폴더형 단말기
KR20080035709A (ko) * 2006-10-20 2008-04-24 김종억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3단 폴더형 휴대폰
KR20100052227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40001376A1 (en) 2012-06-28 2014-01-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nd of service life indicator for organic vapor respirator filter cartridg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368Y1 (ko) 2018-01-08 2018-09-07 정대선 스크롤 방식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110445901A (zh) * 2018-05-04 2019-11-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US12171076B2 (en) 2020-06-05 2024-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832406B2 (en) 2021-02-23 2023-11-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206B1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206B1 (ko)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US6577496B1 (en) Non-rigid mounting of a foldable display
US10996719B2 (en)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layered, foldable, bendable, flippable, rotatable, removable, displaceable, and/or slideable component(s)
KR20170048232A (ko) 역폴딩 되는 확장화면형 이동단말기
KR101269288B1 (ko) 멀티-패널 전자 디바이스의 스크린 크기 또는 스크린 해상도에 기초한 파라미터의 서버에 대한 전송
KR101318511B1 (ko) 구성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멀티-패널 디바이스
EP2342625B1 (en) Switching between icon and application window by dragging across multiple screens
RU2472208C2 (ru) Способ для указа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и направления элемента графического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KR101354842B1 (ko) 멀티-패널 전자 디바이스
KR101276916B1 (ko) 구성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멀티-패널 디바이스
KR101320150B1 (ko) 구성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멀티-폴드 모바일 디바이스
CN100407094C (zh) 双重显示类型便携式计算机及其控制方法
KR101320252B1 (ko) 멀티-패널 전자 디바이스
KR101678498B1 (ko) 확장화면형 이동 단말기
JP2011076634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10066165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엘리먼트의 위치 및 방향을 표시하는 방법
KR20160136174A (ko) 복수 화면을 가지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CN102204227A (zh) 便携式终端设备、便携式终端设备的状态切换构造
CN117561708A (zh) 电子设备、可折叠滑块设备和信息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