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835A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8835A KR20160128835A KR1020150060852A KR20150060852A KR20160128835A KR 20160128835 A KR20160128835 A KR 20160128835A KR 1020150060852 A KR1020150060852 A KR 1020150060852A KR 20150060852 A KR20150060852 A KR 20150060852A KR 20160128835 A KR20160128835 A KR 201601288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pe
- secondary battery
- resin layer
- type secondary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0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654 heat shrinkabl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039 wet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2-Prope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6 Acrylic acid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851 LiCo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643 LiMn 2 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4689 LiMn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716 LiN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290 LiN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128 Sn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3 an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6 cath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573 ethenylidene group Chemical group [*]=C=C([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50 lithium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0 polystyr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OLBLPGZBRYERU-UHFFFAOYSA-N tin dioxide Chemical compound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14 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 H01M2/0267—
-
- H01M2/0275—
-
- H01M2/0277—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01M50/14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for protecting against humidit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라미네이트 시트의 금속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상기 전지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전극조립체; 일단은 상기 전극조립체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전지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양극 및 음극의 전극리드; 및 상기 전지케이스의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를 접착시킨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 말단부로의 수분 침투 경로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금속박막을 포함하는 테이프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링부를 개선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EV)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가량으로서, 전자 장비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수소 전지보다 큰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 활용 정도가 급속도로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케이스를 구비한다. 리튬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이차전지의 양/음극 탭(tab)에 연결된 전극리드가 한쪽으로 나와 있는 단방향 전지 또는 마주보고 있는 방향으로 나와 있는 양방향 전지로 나뉜다. 그 중에서 양방향 전지는 도 1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 1에 도시한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전극조립체(20), 전극리드(30, 40), 파우치형 전지케이스(50)를 포함한다. 참조번호 "55"는 열 융착이 이루어진 실링부이다.
전지케이스(50)는 외부 수지층/금속층/내부 수지층의 라미네이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하부 파우치가 서로 접하는 양측면과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수지층을 상호 융착시킴으로써 접착시킬 수 있다. 양측면은 상하부 파우치의 동일한 수지층이 직접 접하므로 용융에 의해 균일한 밀봉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전극리드(30, 40)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전극리드(30, 40)의 두께 및 전지케이스(50) 소재와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밀봉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전극리드(30, 40)와의 사이에 필름상의 실링부재를 개재한 상태에서 열 융착시킨다.
그러나,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충·방전 과정에서 전극조립체(20)가 팽창 및 수축을 거듭하므로, 상단부 및 하단부, 특히 양측면의 열 융착 부위가 분리되기 쉽다. 장기간의 사용에 따른 열화 또는 비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 전지의 내부에 고압이 발생하였을 때, 열 융착된 실링면이 벌어지면서 전지 내부의 가스, 전해액 등이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전해액은 가연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발화의 위험성이 높다.
더욱이, 라미네이트 구조의 전지케이스(50)는 열 융착에 의해 밀봉하더라도, 라미네이트 시트의 실링부의 절단면(시트의 커팅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실링부를 통해 외부의 수분, 공기 등이 이차전지 내부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
수분 침투 속도는 시간과 온도에 관계가 있으며 이차전지가 놓인 환경의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상승한다. 라미네이트 시트 실링부의 절단면을 통해 침투된 수분 등은 전해액과 반응하여 가스를 유발하고 양극재 파괴 등 이차전지의 열화를 촉진하므로, 안전성 측면과 수명특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파우치의 실링부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부 환경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이차전지의 보호를 위해 실링폭을 넓게 할 수도 있으나, 현재 업계의 요구인 고밀도화와는 반대방향에 있기 때문에 이차전지의 공간활용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링폭을 최대한 작게 가져가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실링부의 절단면을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상기 전지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전극조립체; 일단은 상기 전극조립체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전지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양극 및 음극의 전극리드; 및 상기 전지케이스의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를 접착시킨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 말단부로의 수분 침투 경로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금속박막을 포함하는 테이프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프는 상기 실링부에 접착되되, 상기 상부 시트 표면과 하부 시트 표면을 덮도록 하여 상기 실링부 말단부(절단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금속박막은 알루미늄박막일 수 있다.
상기 테이프는 접착층 및 금속박막층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는 상기 금속박막층 위에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5~100um이고, 상기 금속박막층의 두께는 5~100um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에 질량 기준으로 수분 흡수 물질이 1~10%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는 각각 외부 수지층, 금속층, 내부 수지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실링부에서는 상기 외부 수지층이 패터닝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는 패터닝된 상기 외부 수지층의 요철을 메꾸며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수지층의 패턴의 모양은 상기 실링부 말단부와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수지층의 패턴과 패턴 사이의 간격은 상기 테이프 두께의 1.5 내지 5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는 접착층, 금속박막층 및 절연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박막층의 두께는 5~20um, 상기 접착층과 절연층의 두께는 각각 5~30um이며, 상기 접착층과 절연층을 구성하는 고분자들의 결정성은 30% 이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착층과 절연층은 열수축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수축성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염화비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링부가 반복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프가 접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이러한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상기 외부 수지층이 패터닝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거나 상기 테이프를 접착하는 단계 전에 상기 실링부에 상기 외부 수지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부 수지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상기 실링부를 형성하는 동안 상기 외부 수지층을 녹여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요철을 구비하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압하여 접합시키면서 실링과 동시에 상기 외부 수지층을 패터닝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수지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상기 실링부를 형성한 후 실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외부 수지층의 고분자를 녹이는 에천트(etchant)를 사용한 습식 식각 또는 건식 식각을 이용하거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고분자를 태워 패터닝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를 접착한 다음 상기 테이프가 상기 외부 수지층의 패턴 사이의 요철을 메꿀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프를 접착한 다음 상기 테이프 접착 부위를 프레스하거나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는 상온 내지 80℃ 범위의 온도를 가지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프레스에서 상기 테이프가 닿게 되는 면은 상기 외부 수지층의 패턴과 패턴 사이의 골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철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수지층의 패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요부를 가진 요철면일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프레스에서 상기 테이프가 닿게 되는 면은 신축성을 가진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실링폭에서도 수분 침투 경로를 늘릴 수 있어 이차전지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테이프 접착 방식으로 간단하게 실링부 말단부의 노출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파우치 말단에 금속으로 용접하여 수분 침투를 막도록 한다면, 파우치 외곽면인 외부 수지층을 없애고 새로운 박막 금속 부품을 추가하여 고온으로 용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양산에 적용하기 어려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테이프 접착 방식을 통해 기존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구조 변화없이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공정 적용이 용이하고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이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여 이차전지의 장기 보존 성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전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상면도이고, 도 3은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상면도들이다.
도 7은 도 2의 VII-VII' 단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예로 들어 테이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수분 침투 경로가 증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분 침투 경로가 더 증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실링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상면도이고, 도 3은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상면도들이다.
도 7은 도 2의 VII-VII' 단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예로 들어 테이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수분 침투 경로가 증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분 침투 경로가 더 증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실링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어느 정도의 수분 침투에 의해 이차전지의 성능이 나빠지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실링폭에서도 단순히 수분 침투 경로를 늘릴 수 있다면 당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상면도이고, 도 3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는, 전극조립체(120), 전극리드(130, 140),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50), 금속박막을 포함하는 테이프(16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조립체(120)는, 도면의 편의상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하나 이상의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며, 전지케이스(150)에 수납된다. 이 때, 전극조립체(120)는 다수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적층된 상태로 전지케이스(150)에 수납되거나, 하나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권취된 상태로 전지케이스(150)에 수납될 수 있다. 전극조립체(120)는, 와인딩형,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일 수 있다.
전극조립체(120)의 전극판들은 알루미늄(Al) 재질이나 구리(Cu) 재질의 집전체에 활물질 슬러리가 도포된 구조로서 형성되는데, 슬러리는 통상적으로 입상의 활물질, 보조도체, 바인더 및 가소제 등에 용매가 첨가된 상태에서 교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전극판들에는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는 무지부가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무지부에는 각각의 전극판에 대응되는 전극 탭이 형성될 수 있다.
양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이 흡장(intercalation)/탈리(deintercalation)할 수 있도록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iCoO2, LiMn2O4, LiNiO2, LiNi1 -xCoxO2(0<x<1), LiMnO2 등의 복합 금속 산화물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음극 활물질도 리튬 이온이 흡장/탈리할 수 있도록 탄소(C) 계열의 물질, 실리콘(Si), 주석(Sn), 주석 산화물, 주석 합금 복합체(tin alloy composite), 전이금속 산화물, 리튬 금속 나이트라이드 또는 리튬 금속 산화물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막은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쇼트를 차단시킬 수 있으며, 분리막으로 인해 리튬 이온의 이동만이 가능하다. 분리막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표면은 다공막 구조일 수 있다.
전극 탭(미도시)은 양극 탭과 음극 탭으로 구성되며, 각각 전극조립체(1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양극 탭은 전극조립체(120)의 양극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음극 탭은 전극조립체(120)의 음극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양극 탭 또는 음극 탭은 양극판 또는 음극판에 부착되는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양극 집전체 또는 음극 집전체와 동일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전극 탭은, 하나의 전극조립체에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 탭은 양극판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음극 탭은 음극판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양극 탭은 하나의 양극 리드(130)에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음극 탭은 하나의 음극 리드(14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극 탭과 음극 탭은 하나의 전극조립체에서 각각 한 개씩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양극 탭과 음극 탭은 전극조립체(12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극리드(130, 140)는, 얇은 판상의 금속으로서, 일단이 전극 탭에 부착되고, 타단, 즉 반대 단부가 전지케이스(150) 외부로 노출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양방향 전지이다.
다시 말하면 전극조립체(120)는 일면 및 그에 대향되는 타면에서 제1 전극리드,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 리드(130) 및 제2 전극리드, 본 실시예에서는 음극 리드(14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전극리드(130, 140)는 전극 탭의 상부 또는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양극 리드(130) 및 음극 리드(140)는 서로 그 재질이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양극 리드(130)는 양극판과 동일하게, 예컨대 알루미늄 재질이며, 음극 리드(140)는 음극판과 동일하게, 예컨대 구리 재질 또는 니켈(Ni)이 코팅된 구리 재질일 수 있다.
전지케이스(150)는 오목한 형태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 전극조립체(120)가 수납되며 이차전지(100)의 종류에 따라 액체, 고체 또는 겔형 등의 전해질(미도시)이 충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지케이스(150)는, 외부 수지층(절연층)과 내부 수지층(접착층) 사이에 금속층(알루미늄 박막)이 개재된 알루미늄 파우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폴리머 재질의 절연층은 외부로부터 전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수한 내성을 가져야 하므로 두께 대비 우수한 인장강도와 내후성 등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 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 등의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 박막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기재 및 수분과 산소의 침투를 방지하는 배리어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스, 습기 등 이물질의 유입 내지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 전지케이스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합금으로는 예를 들어, 합금번호 8079, 1N30, 8021, 3003, 3004, 3005, 3104, 3105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8079, 1N30, 8021 및 3004가 배리어층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접착층은 열 융착층이라고도 하며, 열접착성을 가져 실링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착층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수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으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는 CPP(Casted Polypropylene)가 있다. 또한, 접착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염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과 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우치의 전체 두께는 통상 40~120㎛이며, 상기 절연층과, 접착층은 10~40㎛, 알루미늄 박막은 20~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두께들이 너무 얇은 경우에는 전지케이스(150) 외부 및 내부 사이의 차단성이 떨어지고 강도가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상기 두께들이 너무 두꺼우면 가공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지케이스(150)의 두께 및 무게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전지케이스(150)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극조립체(12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은 상부 시트나 하부 시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상부 시트나 하부 시트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시트나 하부 시트의 수납 공간에 전극조립체(120)가 수납되면,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가 열 융착 등에 의해 접착되어 실링부(15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155)에 테이프(160)를 접착한다. 테이프(160)는 실링부(155) 말단부가 외부 노출로부터 차단되도록 하며, 금속박막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테이프(160)는 전지케이스(150)의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가 서로 접하는 양측면 실링부(155)에 접착되어 있다. 테이프(160)는 상부 시트나 하부 시트의 실링부(155)에만 위치하고, 다른 부분, 이를테면 전극조립체(120)가 수납된 공간에는 위치하지 않도록, 실링부(155)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고 있다. 실링부(155)의 형태에 맞추어 테이프(160)가 형성되므로, 실링부(155)에 테이프(160)를 접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160)의 포함으로 인해 이차전지의 제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테이프(160)가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 실시예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100)의 제조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극조립체(120)의 전극 탭의 단부 상면 또는 하면과 각 전극리드(130, 140)의 일단 하면 또는 상면을 포개어 초음파 용접 방식 등으로 부착한다(단계 s1).
그 다음, 전극리드(130, 140)의 타단이 전지케이스(150)의 외부로 연장되게 전극조립체(120)를 수납한다. 그런 다음, 전지케이스(150)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전지케이스(150)의 실링부(155)를 열 융착으로 형성한다(단계 s2). 경우에 따라서는 전해액 주입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실링하는 열 융착을 먼저 한 후 전해액을 주입하고 전해책 주입부위마저 실링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테이프(160)를 실링부(155) 말단부에 접착해 완료한다(단계 s3). 테이프(160)를 실링부(155) 말단부에 접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작업자가 테이프(160)를 손으로 직접 적정 길이만큼 잘라 실링부(155)에 대고 접착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실링부(155)에 테이프(160)를 접착시키는 전용 장치를 마련해 이용해도 된다. 전용 장치에 의하면 테이프(160)를 실링부(155) 길이만큼 정확히 자를 수 있고, 테이프(160)가 실링부(155)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이차전지의 에이징(aging), 충방전, 포메이션(formation) 및 디개싱(degasing)등의 공정은 단계 s2와 s3 사이, 또는 단계 s3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링부(155) 말단부에 테이프(160)를 접착하는 것이 큰 특징이며, 테이프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부 말단부에 다양한 형태로 접착이 될 수 있는데, 이것을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한 파우치형 이차전지(200)는 도 2에 도시한 파우치형 이차전지(100)에 비하여 전극리드(130, 140)가 돌출된 상단부 및 하단부의 실링부(155)에도 추가적으로 테이프(162)가 접착되어 있다. 테이프(160)를 먼저 양측면 실링부(155)에 도 2에서와 같이 접착한 후에, 그 위에 테이프(162)를 추가적으로 접착하는 방식으로 접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테이프(160)와 테이프(162)가 별개가 아닌 일체형으로 양측면 및 상단부, 하단부의 실링부에 접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테이프(160)와 테이프(162)는 전극리드(130, 140)가 위치된 영역을 제외한 부위에 접착된다.
실링부(155)의 폭이 위치마다 다르다면 테이프(160)와 테이프(162)의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정 규격으로 제조된 테이프를 원하는 폭과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파우치형 이차전지(100, 200)에서 테이프(160)는 실링부(155)에 접착이 되어 있는데, 도 5에 도시한 파우치형 이차전지(300)에서는 테이프(164)가 실링부(155)보다 폭이 넓게 안쪽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164)는 실링부(155)를 지나 전극조립체(120)가 위치하는 부분 위로까지 접착이 되어 있을 수 있다. 변형예로서 전극리드(130, 140)가 돌출된 상단부 및 하단부의 실링부(155)에 접착된 테이프(162)가 없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방향 파우치형 이차전지(400)에도 적용이 된다.
파우치형 이차전지(400)는 양극 탭과 음극 탭은 전극조립체(120)를 기준으로 서로 같은 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전극리드(130, 140)는 일단이 전극 탭에 부착되고, 타단, 즉 반대 단부가 전지케이스(150) 외부로 노출된다. 이 경우에도 테이프가 실링부에 접착이 될 수 있는데, 도시한 예에서는 실링부(155)보다 폭이 넓고 양측면 실링부(155)에 접착되는 테이프(164)와 전극리드(130, 140)가 돌출된 상단부 실링부(155)에 추가적으로 접착되는 테이프(162) 및 실링부(155)보다 폭이 넓고 전극리드(130, 140)가 돌출되지 않은 하단부 실링부(155)에 추가적으로 접착되는 테이프(166)도 접착되어 있다. 변형예로서 테이프(160)만 있는 구조, 테이프(160)와 테이프(162)가 있는 구조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 이외에도 테이프들(160, 162, 164, 166)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테이프들(160, 162, 164, 166)은 접착되는 위치 및 폭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수분 차단 등의 역할은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테이프(160)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2의 VII-VII' 단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예로 들어 테이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지케이스(150)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로 이루어진다. 각 시트는 외부 수지층(150a), 금속층(150b), 내부 수지층(150c)으로 이루어진다. 열 압착에 의한 실링 결과, 실링부(155)는 도 7에서와 같은 외부 수지층(150a)/금속층(150b)/내부 수지층(150c)/금속층(150b)/외부 수지층(150a) 구조를 가진다. 종래에는 실링부(155) 말단부가 노출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실링부(155) 말단부에 테이프(160)가 접착이 된다. 테이프(16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시트의 표면과 하부 시트의 표면을 덮으면서 실링부(155) 말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테이프(160)는 금속박막을 포함하는데, 전지케이스(150)를 구성하는 금속층(150b)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재료의 양립성(compatibility)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따라서, 알루미늄박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의 <본발명>에 테이프(160)의 바람직한 예가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테이프(160)는 접착층(160a) 및 금속박막층(160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속박막층(160b) 위에 절연층(160c)을 더 포함한다. 절연층(160c)은 PET, 나일론,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생략 가능하다. 물론 고분자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우치 실링부(155)의 말단면을 실링할 수 있는 레진류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접착층(160a)의 두께는 5~100um이고, 금속박막층(160b)의 두께는 5~100um일 수 있다. 접착층(160a)과 금속박막층(160b)의 두께가 이보다 얇을 경우 효과를 낼 정도로는 부족하고, 더 두꺼운 경우 전지의 무게, 두께, 조업성, 가격을 고려하였을 때 비현실적이다.
접착층(160a)에는 질량 기준으로 수분 흡수 물질이 1~10% 포함될 수 있다. 수분 흡수 물질은 염화칼슘, 알루미나 및 제올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수분 흡수 물질의 구체적인 종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물질이라면 본 발명의 수분 흡수 물질로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착층(160a)은 수분 흡수 물질이 고분자 물질에 분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60a)은 고분자 물질에 수분 흡착 물질 파우더가 분산된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층(160a)에 포함되는 고분자 물질은, 폴리올레핀 물질일 수 있다. 특히, 접착층(160a)은 CPP와 같은 폴리프로필렌에 수분 흡수 물질 파우더가 분산된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전지케이스(150)의 내부 수지층(150c)은 접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접착층(160a)의 고분자 물질을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 전지케이스(150)의 내부 수지층(150c)과 접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링부(155)에 테이프(160)를 접착함으로써 실링부(155)의 말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 수분 등의 이물 유입이 차단되어 각 모서리 부위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실링부(155)의 절연 특성이 확보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우수한 절연 특성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테이프(160)에 의한 직접적인 수분 차단 효과뿐 아니라 수분 침투 경로를 증가시킴에 따라 이차전지 열화를 늦추거나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테이프(160)의 금속박막층(160b)은 수분이 침투하기 어렵다. 수분은 테이프(160)의 접착층(160a)을 통해 침투할 가능성이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에서는 도면에 일점 쇄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160) 노출면의 접착층(160a)을 따라 수분이 침투되면서 실링부(155)의 내부 수지층(150c)을 통해 전극조립체(120) 쪽으로 오게 되다.
이에 비해 종래 이차전지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수지층(50a)/금속층(50b)/내부 수지층(50c)/금속층(50b)/외부 수지층(50a) 구조를 가지는 실링부 말단부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이 되고, 수분은 노출된 내부 수지층(50c)을 통해 매우 짧은 경로로 일점 쇄선 화살표와 같이 침투하여 전극조립체(20)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분 침투 경로가 더 증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특히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도 2의 VII-VII' 단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예로 든다.
전지케이스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로 이루어진다. 각 시트는 외부 수지층(150a), 금속층(150b), 내부 수지층(150c)으로 이루어진다. 열 압착에 의한 실링 결과, 실링부(155)는 도 9에서와 같은 외부 수지층(150a)/금속층(150b)/내부 수지층(150c)/금속층(150b)/외부 수지층(150a) 구조를 가진다.
이 때, 실링부(155)에서 외부 수지층(150a)이 패터닝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160)는 외부 수지층(150a)의 요철을 메꾸며 접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도면에 일점 쇄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160)를 따라 수분이 침투되는 경우에 외부 수지층(150a) 요철을 따라 수분 침투 경로가 더욱 길어지면서 안쪽 내부 수지층(150c)까지 도달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들므로 수분에 취약하지 않은 구조가 된다.
패턴의 모양은 파우치 말단면, 즉 실링부 말단부에 평행한 것이 가장 효과가 좋다(도 9는 그러한 파우치 말단면의 단면에 해당함).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파우치형 이차전지(100)에서 외부 수지층(150a)을 패터닝한다면, 외부 수지층(150a)은 파우치형 이차전지(100)에서 전극리드(130, 140)이 형성되지 않은 양쪽 실링부(155)에 파우치의 세로 방향과 나란한 패턴을 여러 개 포함함으로써 도 9와 같은 단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물결무늬, 빗살무늬 등의 패턴도 가능하다.
외부 수지층(150a)의 패터닝 정도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수지층(150a) 두께 깊이까지 패터닝되어 아래에 금속층(150b)이 드러나도록 하였지만, 외부 수지층(150a)의 패터닝 정도는 외부 수지층(150a) 두께를 기준으로 20 내지 100%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패터닝 정도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수분 침투 경로 확장의 효과가 적을 수 있다.
외부 수지층(150a)을 패터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처음 파우치 제조 단계에서부터 패터닝을 하는 방법, 즉 상부 및 하부 시트가 패터닝이 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사용하는 방법, 실링부를 형성하는 동안의 열 융착시 녹이는 방법, 열 융착 후 패터닝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링부를 형성하는 실링 공정시에 요철을 구비하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압하여 접합시키면 실링과 동시에 외부 수지층(150a)을 패터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 수지층(150a)의 패터닝시에는 고분자를 녹이는 에천트를 사용한 습식 식각 또는 건식 식각을 이용하거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고분자를 태워 패터닝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습식 식각 또는 건식 식각시에는 제거하고자 하는 부위의 외부 수지층(150a)을 노출시키는 마스크를 이용할 수 있다.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빔을 스캔하면서 원하는 부위의 외부 수지층(150a)만을 태워 제거할 수 있다.
외부 수지층(150a)에서 패터닝으로 깎여 나간 폭, 즉 패턴과 패턴 사이의 간격은 테이프(160) 두께의 1.5 내지 50배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패턴과 패턴 사이의 간격과 테이프(160) 두께가 이러한 범위를 가질 때에 패터닝을 통한 수분 침투 경로 확장의 효과가 크며 테이프(160)를 이용해 패턴을 따라 콘포멀(conformal)하게 틈을 메꾸며 테이핑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위 길이당 패턴이 많을수록 수분 침투 거리가 길어지므로 되도록 테이프(160)의 두께를 얇게 하여 패턴을 많이 넣는 것이 수분 침투 저감에 유리하다.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테이프(160)는 접착층/금속박막층/절연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외부 수지층(150a)을 패터닝하여 적용하는 경우에는 테이프(160)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금속박막층의 두께는 5~20um, 접착층과 절연층의 두께는 각각 5~30u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패턴을 따라 잘 접착이 될 수 있도록 테이프(160)를 구성하는 고분자들의 결정성은 30% 이하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단계 s1 내지 s3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테이프(160)를 접착하는 단계 전에 실링부(155)에 외부 수지층(150a)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다르다.
테이프(160)를 접착한 다음에는 테이프(160)가 패턴 사이의 요철을 잘 메꿀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처리의 첫 번째 예는 테이프(160) 접착 부위를 프레스하는 것이다.
프레스는 상온 내지 80℃ 범위의 온도를 가지는 기구를 이용해 실시할 수 있다. 프레스 기구의 표면, 즉 테이프(160)가 닿게 되는 면은 평면일 수도 있고 외부 수지층(150a)의 패턴에 대응되는 요철을 가진 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수지층(150a)의 패턴과 패턴 사이의 골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철부를 가지고 패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요부를 가진 요철면의 프레스 기구라면 테이프(160)가 외부 수지층(150a)의 패턴과 패턴 사이의 골을 더 잘 메꾸면서 접착되도록 가압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프레스 기구는 금속 재질이거나 신축성을 가진 고분자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계적 내구성을 위한 부분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테이프(160)와 닿는 면은 고분자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타입일 수도 있다. 프레스 기구가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면 외부 수지층(150a)의 패턴과 패턴 사이의 골을 더 잘 메꾸면서 테이프(160)를 접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처리의 두 번째 예는 가열이다. 테이프(160)의 접착층이나 절연층, 특히 접착층에 열수축성 재료를 사용하고 테이핑 후 열풍을 제공하는 등 가열을 하면 테이프(160)의 수축이 일어나면서 외부 수지층(150a)의 패턴과 패턴 사이의 골을 더 잘 메꿀 수 있도록 테이프(160)의 열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열수축성 재료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단시간의 가열에 의해 크게 수축하는 합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항들이 위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실링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0도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도 2의 VII-VII' 단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예로 든다.
도 10에 도시한 예에서는 실링부(155)가 반복절곡된 상태이고, 그 위에 테이프(160)가 접착되어 있다. 이 경우도 수분이 침투되는 경로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도 앞에서 설명한 단계 s1 내지 s3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테이프(160)를 접착하는 단계 전에 실링부(155)를 반복절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다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링부 말단부에 테이프를 접착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 경로를 증가시켜 전극조립체의 수분으로 인한 열화를 방지하고 내부의 전해액 누출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 용량보존율이나 저항증가율이 우수한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200, 300, 400 : 파우치형 이차전지
120 : 전극조립체 130, 140 : 전극리드
150 :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160, 162, 164, 166 : 테이프
120 : 전극조립체 130, 140 : 전극리드
150 :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160, 162, 164, 166 : 테이프
Claims (30)
-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상기 전지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전극조립체;
일단은 상기 전극조립체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전지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양극 및 음극의 전극리드; 및
상기 전지케이스의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를 접착시킨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 말단부로의 수분 침투 경로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금속박막을 포함하는 테이프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막은 알루미늄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접착층 및 금속박막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상기 금속박막층 위에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5~100um이고, 상기 금속박막층의 두께는 5~100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에 질량 기준으로 수분 흡수 물질이 1~10%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는 각각 외부 수지층, 금속층, 내부 수지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실링부에서는 상기 외부 수지층이 패터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패터닝된 상기 외부 수지층의 요철을 메꾸며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지층의 패턴의 모양은 상기 실링부 말단부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지층의 패턴과 패턴 사이의 간격은 상기 테이프 두께의 1.5 내지 5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접착층, 금속박막층 및 절연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박막층의 두께는 5~20um, 상기 접착층과 절연층의 두께는 각각 5~30um이며, 상기 접착층과 절연층을 구성하는 고분자들의 결정성은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절연층은 열수축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성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염화비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가 반복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프가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양극 및 음극의 전극리드가 연결된 전극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극조립체를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전극리드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주부를 따라 상기 전지케이스의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를 접착시켜 실링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링부 말단부로의 수분 침투 경로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금속박막을 포함하는 테이프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는 각각 외부 수지층, 금속층, 내부 수지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부 수지층이 패터닝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는 각각 외부 수지층, 금속층, 내부 수지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테이프를 접착하는 단계 전에 상기 실링부에 상기 외부 수지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지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상기 실링부를 형성하는 동안 상기 외부 수지층을 녹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를 형성할 때에 요철을 구비하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압하여 접합시키면서 실링과 동시에 상기 외부 수지층을 패터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지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상기 실링부를 형성한 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지층의 패터닝은 상기 외부 수지층의 고분자를 녹이는 에천트(etchant)를 사용한 습식 식각 또는 건식 식각을 이용하거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고분자를 태워 패터닝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패터닝된 상기 외부 수지층의 요철을 메꾸며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를 접착한 다음 상기 테이프가 상기 외부 수지층의 패턴 사이의 요철을 메꿀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를 접착한 다음 상기 테이프 접착 부위를 프레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는 상온 내지 80℃ 범위의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에서 상기 테이프가 닿게 되는 면은 상기 외부 수지층의 패턴과 패턴 사이의 골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철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수지층의 패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요부를 가진 요철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에서 상기 테이프가 닿게 되는 면은 신축성을 가진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를 접착한 다음 상기 테이프 접착 부위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를 접착하는 단계 전에 상기 실링부를 반복절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0852A KR101883536B1 (ko) | 2015-04-29 | 2015-04-29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US15/308,745 US10490783B2 (en) | 2015-04-29 | 2016-03-07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PL16786631T PL3142182T3 (pl) | 2015-04-29 | 2016-03-07 | Bateria akumulatorowa typu pakietowego i sposoby jej wytwarzania |
CN201680001983.8A CN107534103B (zh) | 2015-04-29 | 2016-03-07 | 袋型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
BR112016030365A BR112016030365B8 (pt) | 2015-04-29 | 2016-03-07 | Bateria secundária tipo bolsa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a mesma |
EP16786631.8A EP3142182B1 (en) | 2015-04-29 | 2016-03-07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PCT/KR2016/002258 WO2016175444A1 (ko) | 2015-04-29 | 2016-03-07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TW105111648A TWI618281B (zh) | 2015-04-29 | 2016-04-14 | 袋型二次電池及其製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0852A KR101883536B1 (ko) | 2015-04-29 | 2015-04-29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8835A true KR20160128835A (ko) | 2016-11-08 |
KR101883536B1 KR101883536B1 (ko) | 2018-07-30 |
Family
ID=5719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0852A KR101883536B1 (ko) | 2015-04-29 | 2015-04-29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490783B2 (ko) |
EP (1) | EP3142182B1 (ko) |
KR (1) | KR101883536B1 (ko) |
CN (1) | CN107534103B (ko) |
BR (1) | BR112016030365B8 (ko) |
PL (1) | PL3142182T3 (ko) |
TW (1) | TWI618281B (ko) |
WO (1) | WO2016175444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88398A1 (ko) * | 2017-10-31 | 2019-05-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사출 성형된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WO2021182756A1 (ko) * | 2020-03-09 | 2021-09-1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스웰링 감지부가 부가된 파우치형 전지 |
WO2024053878A1 (ko) * | 2022-09-08 | 2024-03-1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파우치형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US11962020B2 (en) | 2019-02-18 | 2024-04-16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battery r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4640B1 (ko) * | 2016-12-21 | 2020-06-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장변 부위에 결합된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US11056710B2 (en) * | 2017-12-06 | 2021-07-06 | Samsung Sdi Co., Ltd. | Electrode assembly for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and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
KR102325036B1 (ko) | 2018-08-29 | 2021-11-11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용 파우치 |
US11114697B2 (en) * | 2018-09-04 | 2021-09-07 | Apple Inc. | Configurations for battery cell packaging |
KR102549437B1 (ko) * | 2018-11-30 | 2023-06-2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KR102384007B1 (ko) * | 2018-12-18 | 2022-04-0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CN209487571U (zh) * | 2019-03-14 | 2019-10-11 |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 电化学储能装置 |
KR102395231B1 (ko) * | 2019-10-24 | 2022-05-0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KR102551089B1 (ko) * | 2020-04-14 | 2023-07-0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
WO2023033429A1 (ko) * | 2021-08-31 | 2023-03-0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절연 및 열발산 특성이 우수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
KR20240124114A (ko) * | 2023-02-08 | 2024-08-1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9063A (ko) * | 2009-03-02 | 2010-09-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20130070624A (ko) * | 2013-06-13 | 2013-06-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기절연성과 수분침투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
KR20140059650A (ko) * | 2012-11-08 | 2014-05-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51854A (ja) * | 1999-02-25 | 2000-09-14 | Mitsubishi Chemicals Corp | 非水系二次電池 |
US20020164441A1 (en) | 2001-03-01 | 2002-11-07 | The University Of Chicago | Packaging for primary and secondary batteries |
JP4075534B2 (ja) | 2002-08-30 | 2008-04-16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ラミネート二次電池、組電池モジュール、組電池ならびにこの電池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 |
JP2004179090A (ja) | 2002-11-28 | 2004-06-24 | Kyocera Corp | 積層型電池 |
KR100659856B1 (ko) * | 2005-04-27 | 2006-12-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
JP5202815B2 (ja) * | 2006-03-29 | 2013-06-05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および電気デバイス集合体 |
KR20100016719A (ko) * | 2008-08-05 | 2010-02-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기절연성과 수분침투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
KR101072737B1 (ko) * | 2009-09-18 | 2011-10-11 | 율촌화학 주식회사 | 셀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
US8771866B2 (en) * | 2010-03-30 | 2014-07-08 | Samsung Sdi Co., Ltd.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
KR101229228B1 (ko) * | 2010-12-20 | 2013-02-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수분 차단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
US9136509B2 (en) | 2011-05-27 | 2015-09-15 | Apple Inc. | Battery cell with an integrated pouch metal foil terminal |
US20140099535A1 (en) | 2011-06-01 | 2014-04-10 | Seungwoo Chu | Pouch-Type Battery Cell |
KR20150022214A (ko) | 2013-08-22 | 2015-03-0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파우치형 이차 전지 |
-
2015
- 2015-04-29 KR KR1020150060852A patent/KR10188353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3-07 EP EP16786631.8A patent/EP3142182B1/en active Active
- 2016-03-07 PL PL16786631T patent/PL3142182T3/pl unknown
- 2016-03-07 WO PCT/KR2016/002258 patent/WO201617544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3-07 CN CN201680001983.8A patent/CN107534103B/zh active Active
- 2016-03-07 US US15/308,745 patent/US10490783B2/en active Active
- 2016-03-07 BR BR112016030365A patent/BR112016030365B8/pt active IP Right Grant
- 2016-04-14 TW TW105111648A patent/TWI618281B/zh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9063A (ko) * | 2009-03-02 | 2010-09-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20140059650A (ko) * | 2012-11-08 | 2014-05-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20130070624A (ko) * | 2013-06-13 | 2013-06-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기절연성과 수분침투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88398A1 (ko) * | 2017-10-31 | 2019-05-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사출 성형된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20190048592A (ko) * | 2017-10-31 | 2019-05-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사출 성형된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US11962020B2 (en) | 2019-02-18 | 2024-04-16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battery r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
WO2021182756A1 (ko) * | 2020-03-09 | 2021-09-1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스웰링 감지부가 부가된 파우치형 전지 |
WO2024053878A1 (ko) * | 2022-09-08 | 2024-03-1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파우치형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142182B1 (en) | 2018-10-03 |
BR112016030365B8 (pt) | 2023-01-17 |
EP3142182A1 (en) | 2017-03-15 |
US20170194606A1 (en) | 2017-07-06 |
TW201711247A (zh) | 2017-03-16 |
CN107534103B (zh) | 2020-06-05 |
KR101883536B1 (ko) | 2018-07-30 |
BR112016030365B1 (pt) | 2021-07-13 |
US10490783B2 (en) | 2019-11-26 |
WO2016175444A1 (ko) | 2016-11-03 |
TWI618281B (zh) | 2018-03-11 |
BR112016030365A2 (pt) | 2018-07-17 |
CN107534103A (zh) | 2018-01-02 |
EP3142182A4 (en) | 2017-11-29 |
PL3142182T3 (pl) | 2019-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3536B1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0959090B1 (ko) | 안전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 |
EP2056376B1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 |
CN101414669B (zh) | 电池组件及其制作方法 | |
CN102210053B (zh) | 堆叠的蓄电池 | |
US10490841B2 (en) | Secondary battery | |
KR20110100583A (ko) |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 |
KR101984265B1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JP6094808B2 (ja) | ラミネート密閉電池 | |
KR102099905B1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0966604B1 (ko)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 |
WO2022000314A1 (zh) | 一种电化学装置用隔板、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 |
JP2020173989A (ja)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
KR101420060B1 (ko) | 파우치 외장재 실링용 실링툴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KR101825007B1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95704B1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KR20080037195A (ko) |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 |
KR100635759B1 (ko) |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 |
US20240106064A1 (en) |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2003288864A (ja) | 電 池 | |
KR102373583B1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 |
KR20210068887A (ko) | 벤팅 발생시 전류를 차단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101446152B1 (ko) | 이차 전지 | |
KR20230047890A (ko) |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