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133A - 진동저감 기어 - Google Patents
진동저감 기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6133A KR20160126133A KR1020150056477A KR20150056477A KR20160126133A KR 20160126133 A KR20160126133 A KR 20160126133A KR 1020150056477 A KR1020150056477 A KR 1020150056477A KR 20150056477 A KR20150056477 A KR 20150056477A KR 20160126133 A KR20160126133 A KR 201601261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damping member
- shaft coupling
- support plate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gears essentially having intermeshing elements other than involute or cycloidal teet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저감 기어는, 외주면에 원형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형상의 치형이 반복 형성되는 치형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내주면에 일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1수용홈이 형성되는 기어부와, 관통공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중앙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1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2수용홈이 형성되는 축결합부와, 기어부의 제1수용홈과 축결합부의 제2수용홈에 삽입되는 감쇠부재 및 감쇠부재가 기어부 및 축결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기어부와 축결합부가 감쇠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치형부 또는 회전축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감쇠부재가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저감 기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에 형성된 치형에 의해 기어가 회전 동력을 전달할 때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저감 기어에 관한 것이다.
기어는 일반적으로 그 외주면에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치형이 형성되고, 이러한 치형이 형성된 기어가 구동축과 종동축에 각각 설치되어 이들이 서로 맞물려 동작함으로써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계요소인데, 이러한 기어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의 기어비에 따라 회전 속도를 증감시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속도비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어를 가공할 때에는 치면이 정확한 인벌류트(involute) 치형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기어의 치면은 열처리 등으로 인해 정확한 인벌류트 치형을 이루지 못하고 오차를 포함하게 되며, 이러한 치면의 오차에 의해 노이즈, 진동의 원인이 되는 맞물림 전달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맞물림 전달 오차란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기어의 회전 오차로써, 예를 들면 구동 기어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경우, 구동 기어의 회전에 대한 종동 기어의 전달 지연량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의 노이즈, 진동의 발생 또는 전달을 억제할 수 있는 기어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그 하나의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3010호(2007.01.30. 공개)에 개시된 기어를 들 수 있다.
상기 문헌에 개시된 기어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의 몸체(100)에 요(凹)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완충부재(110)를 설치하거나, 또는, 도 1b에서와 같이 축결합부와 기어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스포크부)를 형성한 다음, 축결합부와 기어부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에 완충부재(210)를 설치하여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어의 몸체(100)에 요홈을 형성하는 구조는 중량이 기어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한쪽으로 편중됨으로써, 이에 의해 또 다른 진동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또한, 요홈이 형성되고 남은 부분에 의해 진동이 회전축 등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진동저감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다.
또한, 도 1b에서와 같은 구조, 즉, 축결합부와 기어부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에 완충부재(210)를 설치한 구조의 기어는 기어 동작시점 또는 종료시점에서와 같이 외부로부터 기어축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축결합부와 기어부가 그 단면적이 작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기어의 저회전강성 구현이 이루어지며 이 경우 진동 전달률 측면에서 우수한 진동절연성능 확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기어부와 축결합부가 얇은 연결부재로 상호간에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외부적인 요소들에 의해 축 정렬 불량 발생 시 기어에 요구 규격 이상의 토크가 인가되어, 낮은 회전 강성을 갖는 연결부재 자체에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더 이상 기어로서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945호(2013.06.11. 공고)에는 축결합부(30)의 외주면에는 베이스부(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슬릿(12)을 따라 각각 연장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32)가 구비되며, 축결합부(3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32)의 각각의 단부에는 감쇠부재(40)가 설치되어 돌출부(32)가 베이스부(10)에 결합되는 진동저감 기어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플라스틱,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의 감쇠부재(40)는 큰 변위 인가 시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토크가 인가될 경우 내륜의 돌출부(32)에 피로하중이 작용하여 종국에는 피로파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기어부와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결합부가 일체로 연결되지 않고 감쇠부재에 의해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치형부 또는 회전축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기어부 또는 축결합부를 통해 서로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으면서 감쇠부재에 의해 감소되기 때문에 진동과 이에 따른 소음이 대폭 감소되는 진동저감 기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쇠부재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회전방향에 대해 낮은 회전강성 및 높은 댐핑력을 구현하게 되는 진동저감 기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쇠부재가 의탄성 형상기억합금 메쉬 와셔로 이루어짐으로써, 큰 토크가 인가되더라도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 가능하게 되는 진동저감 기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저감 기어는, 외주면에 원형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형상의 치형이 반복 형성되는 치형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일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1수용홈이 형성되는 기어부와,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중앙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2수용홈이 형성되는 축결합부와, 상기 기어부의 제1수용홈과 상기 축결합부의 제2수용홈에 삽입되는 감쇠부재 및 상기 감쇠부재가 상기 기어부 및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와 상기 축결합부가 상기 감쇠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 또는 상기 축결합부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상기 감쇠부재가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 기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감쇠부재가 상기 기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기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판 및 상기 감쇠부재가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축결합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쇠부재는 상기 기어부 또는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의탄성 형상기억합금 메쉬 와셔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어부에는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타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3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결합부에는 외주면에 상기 제3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타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4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의 제3수용홈과 상기 축결합부의 제4수용홈에 감쇠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감쇠부재가 상기 기어부 및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감쇠부재가 상기 기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기어부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3지지판 및 상기 감쇠부재가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축결합부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4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저감 기어에 의하면, 기어부와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결합부가 일체로 연결되지 않고 감쇠부재에 의해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치형부 또는 회전축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기어부 또는 축결합부를 통해 서로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으면서 감쇠부재에 의해 감소되기 때문에 진동과 이에 따른 소음이 대폭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쇠부재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회전방향에 대해 낮은 회전강성 및 높은 댐핑력을 구현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쇠부재가 의탄성 형상기억합금 메쉬 와셔로 이루어짐으로써, 큰 토크가 인가되더라도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의 진동저감 기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 기어가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 기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 기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 기어가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 기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 기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동저감 기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 기어가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 기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 기어는 기어부(110), 축결합부(120), 감쇠부재(130), 제1지지판(140), 제2지지판(150)을 포함한다.
기어부(110)는 원통 형상으로 외주면에 원형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형상의 치형이 반복 형성되는 치형부(118)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후술하는 축결합부(1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원형의 관통공(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116)의 내주면에 일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1수용홈(114)이 형성된다.
여기서, 기어부(110)에 형성된 치형부(118)는 서로 맞물리는 다른 기어와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관통공(116)의 내부에는 축결합부(120)가 설치되는데, 기어부(110) 또는 축결합부(1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서로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축결합부(120)는 관통공(116)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후술하는 감쇠부재(130)에 의해 기어부(110)에 결합 고정된다.
축결합부(120)는 원통 형상으로 관통공(116)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중앙에 회전축(12)이 삽입되는 결합홀(1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축결합부(120)의 외주면에 제1수용홈(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2수용홈(124)이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결합홀(126)에는 키홈(128)이 형성되며, 키홈(128)에 회전축(12)의 키(14)가 끼워져 회전축(12)의 회전 토크를 정확히 축결합부(120)에 전달하게 된다.
감쇠부재(130)는 기어부(110)의 제1수용홈(114)과 축결합부(120)의 제2수용홈(124)에 삽입되는 것으로, 감쇠부재(130)의 일부가 제1수용홈(114)에 삽입되고, 일부가 제2수용홈(124)에 삽입되어 모터(10)의 회전축(12)에 결합된 축결합부(120)가 회전함에 따라 기어부(110)가 함께 회전하도록 기어부(110)와 축결합부(120)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기어부(110)와 축결합부(120) 사이에 설치되는 감쇠부재(130)는 기어부(110) 또는 축결합부(12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의탄성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을 지니는 의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메쉬 형태로 직조한 후 압착 공정을 거쳐 와셔 형태로 제작된다.
여기서, 의탄성 형상기억합금은 소재 자체의 의탄성 효과에 의해 하중 부하-제하(loading-unloading)과정에서 발생하는 상 변화(phase transformation) 현상에 의해 10%가 넘는 큰 변형률이 유발되면서도 하중을 제거하게 되면 잔류 변형률 및 소성 변형 없이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큰 변형률이 유발되는 탄성 특성은 응력에 의한 상 변화(stress induced phase transformation) 현상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의탄성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을 지니는 의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메쉬 형태로 직조를 한 후, 직조된 제품을 기존의 금형에 넣은 후 프레스 장비를 이용 압착하여 원하는 형상의 의탄성 형상기억합금 메쉬 와셔를 제작한 후, 이를 기어부(110)와 축결합부(120) 사이에 적용하면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의 차단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감쇠부재(130)가 의탄성 형상기억합금 메쉬 와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큰 토크가 인가되더라도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기어부(110)에는 3개의 제1수용홈(114)이 형성되고, 축결합부(120)에는 이와 대응되도록 3개가 제2수용홈(124)이 형성되어 제1수용홈(114)과 제2수용홈(124)에 3개의 감쇠부재(130)가 삽입 고정되도록 원주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회전방향에 대해 낮은 회전강성 및 높은 댐핑력을 구현하게 된다.
제1지지판(140)은 기어부(1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감쇠부재(130)가 기어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기어부(110)의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체결홈(112)이 형성되고, 제1지지판(140)에는 체결홈(112)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142)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60)가 체결공(142)을 관통하여 체결홈(112)에 결합하게 됨으로써, 기어부(110)의 일측면에 제1지지판(140)이 고정된다.
즉, 기어부(110)의 제1수용부에 감쇠부재(130)가 삽입된 상태에서 감쇠부재(130)의 일측면에 제1지지판(140)을 밀착시켜 체결볼트(160)로 제1지지판(140)을 기어부(110)에 결합함으로써, 감쇠부재(130)가 기어부(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2지지판(150)은 축결합부(1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감쇠부재(130)가 축결합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축결합부(120)의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체결홈(122)이 형성되고, 제2지지판(150)에는 체결홈(122)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152)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60)가 체결공(152)을 관통하여 체결홈(122)에 결합하게 됨으로써, 축결합부(120)의 일측면에 제1지지판(140)이 고정된다.
즉, 축결합부(120)의 제2수용부에 감쇠부재(130)가 삽입된 상태에서 감쇠부재(130)의 일측면에 제2지지판(150)을 밀착시켜 체결볼트(160)로 제2지지판(150)을 축결합부(120)에 결합함으로써, 감쇠부재(130)가 축결합부(1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기어부(110)에 제1지지판(140)이 결합되고, 축결합부(120)에 제2지지판(150)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판이 감쇠부재(130)를 지지 및 고정하도록 다양한 변형예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어부(110)와 축결합부(120)가 감쇠부재(1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치형부(118) 또는 회전축(12)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감쇠부재(130)가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기어부(110)와 회전축(12)이 결합되는 축결합부(120)가 일체로 연결되지 않고 감쇠부재(130)에 의해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치형부(118) 또는 회전축(12)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기어부(110) 또는 축결합부(120)를 통해 서로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으면서 감쇠부재(130)에 의해 감소되기 때문에 진동과 이에 따른 소음이 대폭 감소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 기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감쇠부재(130), 제1지지판(140) 및 제2지지판(15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기어부와 축결합부의 타측면에 감쇠부재(130)와 제3지지판(140') 및 제4지지판(150')이 더 구비된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기어부(110) 및 축결합부(120)의 일측면에만 감쇠부재(130), 제1지지판(140) 및 제2지지판(150)이 결합되는 구조이나, 제2실시예에서는 기어부(110') 및 축결합부(120')의 일측면 뿐만 아니라 타측면에도 감쇠부재(130)와 제3지지판(140') 및 제4지지판(150')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기어부(110')에는 관통공(116)의 내주면에 타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3수용홈(114')이 형성되고, 축결합부(120')에는 외주면에 제3수용홈(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타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4수용홈(124')이 형성되어 기어부(110')의 제3수용홈(114')과 축결합부(120')의 제4수용홈(124')에 감쇠부재(130)가 삽입된다.
이때, 제3지지판(140')은 기어부(1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감쇠부재(130)가 기어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기어부(110')의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체결홈(112')이 형성되고, 제3지지판(140')에는 체결홈(112')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142')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60)가 체결공(142')을 관통하여 체결홈(112')에 결합하게 됨으로써, 기어부(110')의 타측면에 제3지지판(140')이 고정된다.
제4지지판(150')은 축결합부(120')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감쇠부재(130)가 축결합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축결합부(120')의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체결홈(122')이 형성되고, 제4지지판(150')에는 체결홈(122')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152')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60)가 체결공(152')을 관통하여 체결홈(122')에 결합하게 됨으로써, 축결합부(120')의 타측면에 제4지지판(150')이 고정된다.
이에 따라, 기어의 중량이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게 되어 이에 진동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기어부(110')에 제3지지판(140')이 결합되고, 축결합부(120')에 제4지지판(150')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판이 감쇠부재(130)를 지지 및 고정하도록 다양한 변형예가 적용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10 : 기어부
112 : 체결홈
114 : 제1수용홈 116 : 관통공
120 : 축결합부 122 : 체결홈
124 : 제2수용홈 126 : 결합홀
128 : 키홈 130 : 감쇠부재
140 : 제1지지판 142 : 체결공
150 : 제2지지판 152 : 체결공
160 : 체결볼트
114 : 제1수용홈 116 : 관통공
120 : 축결합부 122 : 체결홈
124 : 제2수용홈 126 : 결합홀
128 : 키홈 130 : 감쇠부재
140 : 제1지지판 142 : 체결공
150 : 제2지지판 152 : 체결공
160 : 체결볼트
Claims (5)
- 외주면에 원형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형상의 치형이 반복 형성되는 치형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일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1수용홈이 형성되는 기어부;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중앙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2수용홈이 형성되는 축결합부;
상기 기어부의 제1수용홈과 상기 축결합부의 제2수용홈에 삽입되는 감쇠부재; 및
상기 감쇠부재가 상기 기어부 및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와 상기 축결합부가 상기 감쇠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 또는 상기 축결합부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상기 감쇠부재가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 기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감쇠부재가 상기 기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기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판; 및
상기 감쇠부재가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축결합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지지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 기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재는 상기 기어부 또는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의탄성 형상기억합금 메쉬 와셔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 기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에는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타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3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결합부에는 외주면에 상기 제3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타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4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의 제3수용홈과 상기 축결합부의 제4수용홈에 감쇠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감쇠부재가 상기 기어부 및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 기어.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감쇠부재가 상기 기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기어부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3지지판; 및
상기 감쇠부재가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축결합부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4지지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 기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477A KR101709072B1 (ko) | 2015-04-22 | 2015-04-22 | 진동저감 기어 |
PCT/KR2016/004183 WO2016171499A1 (ko) | 2015-04-22 | 2016-04-21 | 진동저감 기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477A KR101709072B1 (ko) | 2015-04-22 | 2015-04-22 | 진동저감 기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6133A true KR20160126133A (ko) | 2016-11-02 |
KR101709072B1 KR101709072B1 (ko) | 2017-02-23 |
Family
ID=5714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6477A KR101709072B1 (ko) | 2015-04-22 | 2015-04-22 | 진동저감 기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9072B1 (ko) |
WO (1) | WO201617149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0207B1 (ko) | 2018-12-05 | 2020-04-13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진동 저감을 위한 격자구조가 적용된 초탄성 기어 |
CN112797141A (zh) * | 2021-02-23 | 2021-05-14 | 三一重机有限公司 | 齿轮、传动系统及工程机械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33639U (ko) * | 1974-09-05 | 1976-03-12 | ||
JPS5635859A (en) * | 1979-08-24 | 1981-04-08 | Gomma Antivibranti Applic | Gear with soundproof device |
KR20070013010A (ko) | 2005-07-25 | 2007-0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기어 |
JP2007270878A (ja) * | 2006-03-30 | 2007-10-18 | Tsubakimoto Chain Co | 振動音抑制型スプロケット |
KR20110058958A (ko) * | 2009-11-27 | 2011-06-0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의탄성 형상기억합금 메쉬 와셔 절연체 제조방법 |
KR101270945B1 (ko) | 2012-12-28 | 2013-06-1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진동저감 기어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5111A (ko) * | 2001-10-30 | 2003-05-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수동변속기의 백래시 저감 장치 |
-
2015
- 2015-04-22 KR KR1020150056477A patent/KR10170907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4-21 WO PCT/KR2016/004183 patent/WO201617149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33639U (ko) * | 1974-09-05 | 1976-03-12 | ||
JPS5635859A (en) * | 1979-08-24 | 1981-04-08 | Gomma Antivibranti Applic | Gear with soundproof device |
KR20070013010A (ko) | 2005-07-25 | 2007-0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기어 |
JP2007270878A (ja) * | 2006-03-30 | 2007-10-18 | Tsubakimoto Chain Co | 振動音抑制型スプロケット |
KR20110058958A (ko) * | 2009-11-27 | 2011-06-0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의탄성 형상기억합금 메쉬 와셔 절연체 제조방법 |
KR101270945B1 (ko) | 2012-12-28 | 2013-06-1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진동저감 기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9072B1 (ko) | 2017-02-23 |
WO2016171499A1 (ko) | 2016-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44755B2 (ja) | 電気駐車ブレーキシステムの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 | |
US20080184845A1 (en) | Planetary starter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
US6050383A (en) | Damper disk assembly | |
JP5968528B2 (ja) | 波動発生器および波動歯車装置 | |
JP2015161371A (ja) | ダンパー装置 | |
KR20150038700A (ko) |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 |
KR101709072B1 (ko) | 진동저감 기어 | |
WO2014133118A1 (ja) | モータ装置 | |
KR101270945B1 (ko) | 진동저감 기어 | |
WO2013168476A1 (ja) | セラシ歯車装置 | |
KR101428182B1 (ko) | 변속기 입력축의 댐퍼 | |
JP6425258B2 (ja) | 波動歯車装置を備えた回転伝達機構 | |
JP6439257B2 (ja) | 動力伝達用カップリング | |
KR101620210B1 (ko) | 듀얼 매스 플라이휠 | |
JP6301158B2 (ja) | ダンパー装置 | |
KR102152961B1 (ko) | 기어박스용 스프링 댐퍼 | |
KR102087590B1 (ko) |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웜휠 | |
KR20120001514A (ko) | 댐퍼 플라이휠 | |
JP2009257542A (ja) | 捩り振動低減装置 | |
JP6746251B2 (ja) | 波動歯車装置 | |
WO2014192339A1 (ja) | チェーン駆動用のスプロケット | |
KR20070013010A (ko) | 기어 | |
CN218118565U (zh) | 用于防止齿轮箱的行星架轴向窜动的装置和齿轮箱 | |
KR20150123532A (ko)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모터 커플링 | |
JP2009052727A (ja) | 防振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