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944A - Lamin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min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4944A KR20160124944A KR1020150055039A KR20150055039A KR20160124944A KR 20160124944 A KR20160124944 A KR 20160124944A KR 1020150055039 A KR1020150055039 A KR 1020150055039A KR 20150055039 A KR20150055039 A KR 20150055039A KR 20160124944 A KR20160124944 A KR 201601249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printing paper
- unit
- guide
- prin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2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0—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 B65H9/101—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acting on the edge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쇄지 공급기을 통해 공급되는 인쇄지를 인쇄지 공급부와 인쇄지 전달부와 인쇄지 흡입부 및 인쇄지 승강부를 통해 원지의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합지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는, 원지를 급지시키되, 내부에 원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의 길이가 상기 원지의 길이에 맞게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부가 형성된 원지 급지기, 상기 원지 급지기에서 급지된 원지와 인쇄기 공급기에서 공급된 인쇄지를 합지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원지를 상기 인쇄지의 공급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쇄지와의 합지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인쇄지의 합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원지 이송기, 인쇄지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인쇄지의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공기를 이용하여 인쇄지를 지지하고, 원지 이송부를 통해 원지의 공급시 하강하여, 상기 원지의 상부에 인쇄지를 합지시키는 합지 안내기를 포함를 포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ing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precisely laminating a printing paper fed through a printing paper feeder to a designated position of a paper document through a printing paper feeding unit, a printing paper transfer unit, a printing paper sucking unit, do.
A paper feeder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paper is accommodated and accommodated therein and an adjuster for adjusting a length of the accommodating space to a length of the paper on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The paper is mov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printing paper in the process of laminating the paper fed from the paper feeder and the printing paper fed from the printing machine feeder, A paper feeder and a printing paper feeder for feeding the adhesive to the lower part of the printing paper and then using air to support the printing paper and lowering the paper when feeding the paper through the paper feeding part, Group.
Description
본 발명은 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골판지 박스는 골판지의 표면에 각종 그림과 상호 등을 인쇄할 수 없기 때문에 각종 그림과 상호 등이 인쇄된 인쇄지를 골판지의 표면에 접착하여 골판지 박스가 제조된다.Generally, since a corrugated cardboard box can not print various pictures and mutual information on the surface of corrugated cardboard, a corrugated cardboard box is manufactured by adhering printing paper printed with various pictures and mutual to the surface of corrugated cardboard.
종래 상기와 같이 골판지의 표면에 각종 그림과 상호 등이 인쇄된 인쇄지를 접착하기 위한 골판지 박스 합지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합지기의 상부에 인쇄지를 공급하기 위한 인쇄지 공급부와, 하부에 골판지를 공급하기 위한 골판지 공급부가 구성되어 인쇄지와 골판지를 공급하여 상호 첩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인쇄지 공급부에 는 인쇄지의 크기에 따라서 안내판 사이에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안내판 이송장치가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ugated cardboard box joining apparatus for adhering a printing paper printed with a corrugated board to a surface of a corrugated cardboard, The guide plate feeding device is configured to feed the printing paper and the corrugated cardboard together so as to be adhered to each other. In the printing paper feeding part, a guide plate feeding device is provided so as to vary the interval between the guide plat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inting paper.
상기 안내판 이송장치는 안내판 사이에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안내판의 선단부에 체인기어 프레임이 연결되어 환봉의 키이(가이드 돌출부)에 결합되어진 구성으로 체인기어 프레임이 환봉과 키이를 따라 이동토록 구성되어 있다.The guide plate transfer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a chain gear frame is connected to a tip end portion of a guide plate so as to change a gap between guide plates and is coupled to a key (guide projection portion) of a round bar so that the chain gear frame is moved along a round bar and a key .
상기와 같이 안내판 이송장치가 구성된 경우에는 키이를 가공하여 환봉에 설치하는 것으로 구조상에 문제와, 체인기어 프레임과 키이의 마모로 인하여 안내판 이송장치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마모에 의한 오차로 인하여 인쇄지가 정확하게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guide plate feeder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key is machined to be installed on the round bar. This causes problems in terms of structure, wear of the chain gear frame and key, shortening the lifetime of the guide plate feeder, The printing paper is not supplied correctly.
그리고 골판지 공급부는 골판지를 전달하는 벨트의 구조가 전부여서 골판지가 공급될 때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어 골판지가 정확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rrugated cardboard feeder has a problem that the corrugated cardboard can not be accurately supplied due to a slipping phenomenon when the corrugated cardboard is fed,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belt for conveying the corrugated cardboard is all.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쇄지 공급기을 통해 공급되는 인쇄지를 인쇄지 공급부와 인쇄지 전달부와 인쇄지 흡입부 및 인쇄지 승강부를 통해 원지의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합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inting apparatus and a printing apparatus, The purpose of this is to make it possible to join.
또한, 인쇄지 접착부를 구성하는 조절 롤러를 통해 인쇄지의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 롤러의 접착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an adhesive on an application roller for applying an adhesive to a lower portion of a print paper through an adjustment roller constituting a print paper adhering portion.
그리고, 인쇄지 전달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안내 가이드 판과 인쇄지 접착부와 인쇄지 흡입부의 사이에 장착되는 인쇄지 가이드 구를 통해 이송되는 인쇄지를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moothly transfer the printing paper fed through the guide guide plat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nting paper conveying portion and the printing paper guide opening mounted between the printing paper adhering portion and the printing paper suction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는, 원지를 급지시키되, 내부에 원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의 길이가 상기 원지의 길이에 맞게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부가 형성된 원지 급지기, 상기 원지 급지기에서 급지된 원지와 인쇄기 공급기에서 공급된 인쇄지를 합지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원지를 상기 인쇄지의 공급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쇄지와의 합지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인쇄지의 합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원지 이송부, 인쇄지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인쇄지의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공기를 이용하여 인쇄지를 지지하고, 원지 이송부를 통해 원지의 공급시 하강하여, 상기 원지의 상부에 인쇄지를 합지시키는 합지 안내부를 포함한다.A paper feeder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paper is accommodated and accommodated therein and an adjuster for adjusting a length of the accommodating space to a length of the paper on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The paper is mov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printing paper in the process of laminating the paper fed from the paper feeder and the printing paper fed from the printing machine feeder, An adhesive agent i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printing paper fed from the paper feeding part and the printing paper feeder and then supported by the air using the air and descended when the paper is fed through the paper feeding part to join the printing paper to the upper part of the paper, .
그리고, 상기 원지 급지기는,In the paper feeder,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양측이 상기 설치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제자리 회전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되면서 상기 원지를 배출시키는 밸트를 포함한다.A rotary shaft which is symmetrically formed with a space therebetween and in which the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a rotary shaft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oth sides thereof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And a belt which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oller and forms an endless track by the rotation of the roller and discharges the paper while being rotated.
또한, 상기 조절부는,In addition,
상기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원지 급지기와 마주하며, 양측에는 상기 설치부와 교차하는 이동부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원지 급지기와 마주하며, 상기 원지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이동부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체인, 상기 설치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양측이 상기 설치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체인과 맞물리는 피니언,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가 원지 급지기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부를 포함한다.A base provided on the base and facing the paper feeder, a support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paper, a support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paper, A pinion which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and engages with the chain, a pinion which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And a power unit for allowing the base to be moved toward or away from the paper feeder so that the rotation shaft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그리고, 상기 조절부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regulating unit and rotates the rotation shaft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또한, 상기 원지 급지기와 조절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원지가 원지 급지기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롤러가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처짐방지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slack preventing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paper feeder and the adjusting part, and a roller for guiding the paper to be fed to the paper feede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는 이동안내부를 포함한다.And a movement guide portion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and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portion and rotated in place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portion.
또한, 상기 원지 이송부는,Further, the paper-
상면 양단에 원지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장공 및 제2 장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 일측에서 상기 제1 장공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가이드, 상기 몸체의 상면 타측에서 상기 제2 장공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원지를 이송시키는 원지 이송모듈을 포함한다.A body having at least one first elongated hole and a second elongated hole formed at both ends of a top surface thereof so as to be parallel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raw paper, a first guide arrang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irst elongated hole, And a paper feeding modul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to feed the paper, the second paper guide being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cond long hole.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에는 상기 원지의 공급 위치를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구비된다.A stopper is provided on the first guide so as to restrict a feeding position of the raw paper.
또한, 상기 원지 이송모듈은,In addition, the paper-
상기 몸체의 선단에 배치되는 제1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몸체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2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제2 스프로킷에 전달하는 체인, 상기 체인 상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상기 원지의 후단부를 밀도록 가압하는 원지 가압부재를 포함한다.A first sprocket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body, 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first sprocket, a second sprocket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body, a first sprocket disposed between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And a paper pressing member which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hain and presses the rear end of the paper so as to push the rear end of the paper.
그리고, 상기 원지 가압부재는 절곡 형성된다.The paper pressing member is bent.
또한,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의 저면에는 상기 제1 장공과 상기 제2 장공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다.At least one projec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long hole and the second long hole.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제1 장공과 상기 제2 장공에 체결부재에 의해 위치 고정한다.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re fixed to the first elongated hole and the second elongated hole by fastening members.
또한, 인쇄지를 공급하는 인쇄지 공급부, 상기 인쇄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인쇄지를 전달하는 인쇄지 전달부, 상기 인쇄지 전달부에서 공급되는 인쇄지의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인쇄지 접착부, 상기 인쇄지 접착부에서 전달되는 인쇄지를 공기를 이용하여 흡입 및 지지하는 인쇄지 흡입부, 원지 이송부를 통한 원지의 공급시 접착제가 도포된 인쇄지를 원지의 상부에 접착시키는 인쇄지 승강부, 상기 원지와 인쇄지를 가압하여 일체화시키는 합지부, 일체화된 원지와 인쇄지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A printing paper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printing paper supplied from the printing paper supply unit; a printing paper adhering unit for applying an adhesiv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ing paper supplied from the printing paper transfer unit; A printing paper suction unit for suctioning and support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in the paper feeding unit by air, a printing paper elevating unit for adhering the printing paper coated with the adhesive when the paper is fed through the paper feeding unit to the top of the paper, And a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the integrated paper and the printing paper.
그리고, 상기 인쇄지 전달부의 상부에는 인쇄지 공급부에서 전달되는 인쇄지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안내 가이드 판이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A guide guide plate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nt paper delivery unit at intervals so as to smoothly convey the print paper delivered from the print paper supply unit,
상기 인쇄지 접착부와 인쇄지 흡입부의 사이에는 인쇄지 가이드 구가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Between the printing paper adhering portion and the printing paper suction portion, there is provided a paper guide hole at an interval.
또한, 상기 인쇄지 접착부는,In addition, the above-
내부에 접착제가 수용되는 접착제 케이스, 상기 접착제에 일부가 수용되고 회전작동시 인쇄지 전달부에서 인쇄지 흡입부로 이동하는 인쇄지의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 롤러, 상기 도포 롤러에 이웃하게 장착되고 상기 도포 롤러의 외면에 묻은 접착제양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조절 롤러를 포함한다.An application roller which is partly accommodated in the adhesive and applies an adhesive to a lower portion of the print paper which is moved from the print paper transfer portion to the print paper suction portion when the rotary member is rotated, And an adjusting roller which adjusts the amount of the adhesive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pplication roller to be constant.
그리고, 상기 인쇄지 흡입부는 합지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흡입공이 형성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흡기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 및 상기 흡입펌프와 호퍼를 연결하는 흡입라인으로 구성되고,The printing paper sucking unit may include a hopper disposed inside the jam and having a suction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suction pump for providing suction force to the hopper, and a suction line for connecting the suction pump and the hopper,
상기 합지부는 외면에 간격을 두고 텐션롤러가 장착되는 텐션 흡입축과 상기 텐션 흡입축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외면에는 인쇄지를 인쇄지 접착부로 가압하는 가압롤러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가압 흡입축과 상기 원지와 인쇄지를 가압하여 일체화시키는 합지롤러 및 상기 롤러에 감기고 호퍼의 흡입공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길이방향으로 벨트 흡입공이 형성되는 다공성 벨트로 구성된다.And a pressurizing suction shaft having a pressure suction roller disposed at an interval from the tension suction shaft and having a pressure roller for pressing the printing paper with a printing paper adhering portion, And a porous belt in which a belt suction hole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hole of the hopper wound around the roller.
또한, 상기 배출부에는 원지에 부착된 인쇄지가 상부로 뜨거나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지지 판이 장착되고,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ion is equipped with a support plate at intervals so as to prevent the printing paper adhered to the paper sheet from rising or folding upward,
상기 지지 판의 끝단에는 지지 판의 끝단이 수용되는 판 수용홈이 형성되는 배출롤러가 장착된다.At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a discharge roller having a plate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n end of the support plate is mounted.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는, 동력부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원지 급지기와 조절부의 사이에 형성된 원지수용공간의 길이 또는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원지를 합지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length or the width of the raw paper accommodating space formed between the paper feeder and the adjusting unit can be adjusted only by rotating the power unit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raw paper of various sizes to the laminat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원지수용공간의 길이 또는 폭을 조절함에 있어, 조절부 전체가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만 이동되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용이한 조절이 가능하며, 그 만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유지보수, 유지관리 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adjusting the length or width of the raw paper accommodating space, since the entire adjusting unit is not moved but only the base is moved, easy adjustment is possible even if the working space is narrow, Maintenance, and maintenance are easy.
그리고, 원지 급지기에서 급지된 원지와 이와 별도로 인쇄기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인쇄지를 합지시키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원지를 인쇄지의 공급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지의 합지 위치를 조절하면서 2차적으로 인쇄지의 공급 방향으로 이송시킴에 따라 원지의 이송 과정에서 인쇄지의 합지 위치를 하나의 장치에서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합지 위치의 셋팅에 따라 부착 위치별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the process of laminating the paper fed from the paper feeder and the printing paper fed separately from the printing machine feeder, the paper is first shift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printing paper to adjust the lint position of the paper, The laminating position of the printing paper can be easily controlled by a single device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paper, and mass production can be achieved according to the setting position of the laminating position.
또한, 인쇄지 공급기를 통해 공급되는 인쇄지를 인쇄지 공급부와 인쇄지 전달부와 인쇄지 흡입부 및 인쇄지 승강부를 통해 원지의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합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lap the printing paper supplied through the printing paper feeder precisely to the designated position of the paper through the printing paper feeding portion, the printing paper conveying portion, the printing paper suction portion and the printing paper landing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qual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인쇄지 접착부를 구성하는 조절 롤러를 통해 인쇄지의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 롤러의 접착제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지에 인쇄지가 합지시 들뜸 현상이나 접착제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adhesive of the application roller which applies the adhesive to the lower part of the print paper through the adjustment roller constituting the adhesive part of the print paper, and also to prevent the parts from being damaged by the glue There is an effect.
또한, 인쇄지 전달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안내 가이드 판과 인쇄지 접착부와 인쇄지 흡입부의 사이에 장착되는 인쇄지 가이드 구를 통해 이송되는 인쇄지를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지의 이송간에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not only to smoothly convey the printing paper fed through the guide guide plat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nting paper conveying portion, the printing paper guide portion and the printing paper guide portion mounted between the printing paper adhering portion and the printing paper suction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fective rate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급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급지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급지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동력전달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이송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이송부에서 체인에 원지 가압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이송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이송부에서 원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합지 안내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합지 안내부의 인쇄지 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인쇄지 전달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인쇄지 접착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인쇄지 흡입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인쇄지 승강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합지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배출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1 내지 2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합지 안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ide view of a li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per feeder applied to a l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per feeder applied to the l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paper feeder applied to the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wer transmission unit is applied to a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per feeding unit applied to a li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paper sheet feeding part applied to the li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nd 9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per pressing member is connected to a chain in a paper feeding unit applied to a l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 paper feeding unit applied to a l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and 12 are plan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per is biased to the left or right in the paper feeding unit applied to the paper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view showing a joint guide portion applied to the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ide view showing a printing paper supplying portion of a paper guiding portion applied to the paper m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ide view showing a print paper delivery unit applied to the l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view showing a printing paper adhering portion applied to the l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inting paper suction unit applied to the li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view showing a printing paper elevation portion applied to the l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side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applied to a l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plan view showing a discharge part applied to a l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1 to 23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lint guide portions applied to the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급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급지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급지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동력전달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이송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이송부에서 체인에 원지 가압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이송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원지 이송부에서 원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합지 안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합지 안내부의 인쇄지 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인쇄지 전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인쇄지 접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인쇄지 흡입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인쇄지 승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합지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배출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1 내지 2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 적용된 합지 안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l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per feeder applied to a l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paper feeder applied to a l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applied to the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paper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paper feeding unit applied to the l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are views showing the paper feeding unit applied to the l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per pressing member is connected to a chain at a conveying por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per conveying portion applied to a l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도 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는, 원지 급지기(100), 원지 이송기(200), 합지 안내기(300)를 포함한다.1 to 23, the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원지 급지기(100)는 상기 원지 급지부(110), 조절부(120)를 포함한다.The
상기 원지 급지부(110)는 원지(S)를 외부, 즉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다시 설치부(111), 회전축(112), 롤러(113), 밸트(114)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상기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된 원지(S)는 원지 이송부(200)를 통해 합지장치(미도시)의 합지롤러(미도시)로 이송되어 인쇄지와 합지될 수 있다.The paper S discharged to the
상기 설치부(111)는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되며,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mounting portions 111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re formed into a flat plate shape.
상기 설치부(111)는 상기 원지 이송부(20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후술되는 회전축(112,124,171)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설치부(111)의 사이에는 원지(S)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90)이 형성된다.The mounting part 11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상기 회전축(112)은 상기 설치부(111)의 사이에 위치되고 원 형상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회전축(112)은 양측이 상기 설치부(111)에 관통설치되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The
상기 롤러(113)는 상기 회전축(112)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다수개가 상기 회전축(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The
이와 같이 롤러(113)가 장착된 회전축(112)은 두 개 이상이 상기 설치부(111)의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In this manner, two or more
그리고 어느 하나의 회전축(112)에 장착된 롤러(113)와 다른 회전축(112)에 장착된 롤러(113)는 대칭되는 형태가 되며, 이와 같이 대칭형태를 이루는 두 개의 롤러(113) 외면에 하나의 밸트(114)가 장착된다.The
또한, 상기 회전축(112)은 모터(18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상기 두 개의 회전축(112)에는 스프로켓(1121)이 장착되며 하나의 체인(115)을 통해 연결된다.Specifically, the sprocket 1121 is mounted on the two
그리고 상기 두 개의 회전축(112) 중 어느 하나에는 또 다른 스프로켓(1122)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로켓(1122)과 모터(180)의 모터축은 하나의 체인(116)을 통해 연결된다.Another
이로 인해 상기 모터(18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이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두 개의 회전축(112)이 설치부(111)에서 제자리 회전되고, 상기 밸트(114)는 롤러(113)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되면서 원지(S)를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한다.When the motor shaft is rotated by applying power to the
이때, 상기 밸트(114)의 표면에는 거칠면이 형성되어 상기 원지(S)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a rough surfac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밸트(114)의 상부에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출안내부(160)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상기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출안내부(160)의 사이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배출안내부(160')가 위치되어, 상기 원지(S)는 상기 밸트(114)와 배출안내부(16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된다.A
즉, 상기 원지(S)는 밸트(114)와 배출안내부(160)의 사이에 접촉되면서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됨에 따라 밸트(114)의 회전력 및 그 회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형태로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aper S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이상 설명한 원지 급지부(110)에는 보조 원지 급지부(170)가 더 설치된다.The auxiliary
상기 보조 원지 급지부(170)는 상기 원지 급지부(110)와 함께 원지(S)의 배출을 안내하는 것으로, 다시 회전축(171), 롤러(172), 밸트(173)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auxiliary
상기 회전축(174)은 상기 설치부(111)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원지 급지부(110)의 회전축(112)의 사이에 위치된다.The rotary shaft 174 is position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s 111 and located between the
이때, 상기 원지 급지부(110)의 회전축(112)과 보조 원지 급지부(170)의 회전축(171)은 서로 수평을 이룬다.At this time, the
상기 보조 원지 급지부(170)의 회전축(171)은 원 형상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이 상기 설치부(111)에 관통설치되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The
상기 롤러(172)는 상기 보조 원지 급지부(170)의 회전축(171)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다수개가 상기 회전축(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The
이와 같이 롤러(172)가 장착된 회전축(171)은 두 개 이상의 상기 설치부(111)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In this way, the
그리고 어느 하나의 회전축(171)에 장착된 롤러(172)와 다른 회전축(171)에 장착된 롤러(172)는 대칭되는 형태가 되며, 이와 같이 대칭 형태를 이루는 두 개의 롤러(172) 외면에 하나의 밸트(173)가 장착된다.The
또한, 상기 회전축(171)은 상기 원지 급지부(110)의 회전축(11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두 개의 회전축(171)에는 스프로켓(1711)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171)의 스프로켓(1711)은 상기 원지 급지부(110)의 스프로켓(1121)에 연결된 체인(115)과 연결된다.A
즉, 상기 원지 급지부(110)의 스프로켓(1121)과 보조 원지 급지부(170)의 스프로켓(1711)은 상기 체인(115)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That is, the sprocket 1121 of the
이로 인해 상기 모터(18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이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회전축(112,171)이 설치부(111)에서 제자리 회전되고, 상기 밸트(114,173)는 롤러(113,172,)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되면서 원지(S)를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한다.As a result, when the motor shaft is rotated by applying power to the
또한, 상기 원지 급지부(110)와 보조 원지 급지부(170)를 조합설치함에 따라 원지(S)와의 접촉면적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원지(S)를 원지 이송부(200)에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한편, 상기 조절부(120)는 상기 원지 급지부(1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원지(S)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원지 급지부(11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공간(190)의 길이가 원지(S)의 길이와 맞게 조절되도록 하는 것으로, 다시 베이스(121), 지지부(122), 체인(123), 회전축(124), 피니언(125), 동력부(126)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상기 베이스(121)는 상기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원지 급지부(110)와 마주하는 것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바(1211), 상기 수직바(1211)의 상측에 수평설치되는 수평바(1212)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base 121 faces the
그리고, 상기 수직바(1211)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190)에 위치되면서 상기 설치부(111)와 교차되는 이동부(1213)가 수평설치된다.A moving
또한, 상기 수직바(1211)의 하부에는 베이스(121)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바퀴(W)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wheel W is installed below the
상기 지지부(122)는 다시 브라켓(1221)과 지지판(1222)으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상기 브라켓(1221)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21)의 수평바(1212)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The
그리고 상기 브라켓(1221) 중 원지 급지부(110)와 마주하는 면은 상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A surface of the
즉, 상기 브라켓(1221)의 경사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원지 급지부(110)와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형태가 된다.That i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상기 지지판(1222)은 상기 원지(S)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후면이 상기 브라켓(1221)의 경사면과 접촉되어 상기 브라켓(1221)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게 되며, 후면에는 상기 브라켓(1221)의 측면과 볼팅 결합되는 사각형 판 형상의 결합편(1223)이 형성된다.The
상기 지지판(1222)은 상기 브라켓(1221)을 통해 베이스(121)의 수평바(1212)에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원지 급지부(110)와 마주하며, 상기 원지(S)는 상기 원지 급지부(110)와 지지판(1222)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지지판(1222)의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걸쳐지고, 타측은 상기 원지 급지부(110)의 밸트(114)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원지 급지부(110)를 작동시키면 상기 원지(S)는 상기 밸트(114)를 통해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된다.When the
상기 체인(123)은 후술되는 피니언(125)과 함께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일자 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1213)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Th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1)는 상기 체인(123) 대신 랙(rack)을 사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lapp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rack instead of the
상기 회전축(124)은 피니언(125)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형 바아(Bar) 형태이다.The
상기 회전축(124)은 설치부(111)의 사이에 위치되고, 그 양측은 상기 설치부(11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관통설치된다.The
이때, 상기 회전축(124)의 양측은 상기 설치부(111)의 외부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동력부(126)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회전작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상기 피니언(125)은 상기 이동부(1213)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124)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수용공간(19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인(123)과 맞물린다.The
상기 동력부(126)는 상기 회전축(124)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설치부(111)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장착된다.The
상기 동력부(126)는 원형 핸들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동력부(126)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수용공간(190)의 길이가 원지(S)의 길이에 맞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The
하나의 예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부(12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124)과 피니언(125)이 함께 회전되고, 피니언(125)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체인(123)이 피니언(125)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베이스(121)가 원지 급지부(110)와 가까워지게 되어 수용공간의 길이가 짧아진다.3, when the
이와 반대로 상기 동력부(126)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124)과 피니언(125)이 함께 회전되고, 피니언(125)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체인(123)이 피니언(125)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베이스(121)가 원지 급지부(110)와 멀어지게 되어 수용공간(190)의 길이가 길어진다.On the contrary, when the
즉, 상기 동력부(126)를 통해 베이스(121)를 이동시켜 수용공간(190)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원지(S)를 합지장치에 공급하여 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length of the
또한, 조절부(120) 전체가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121)만 이동되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만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유지보수, 유지관리 등이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부가적으로, 상기 설치부(111) 중 수용공간에 위치된 면에는 상기 이동부(1213)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부(150)가 더 설치된다.In addition, a
상기 이동안내부(150)는 롤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111)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상기 이동안내부(150)는 상기 이동부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이동부(1213)가 이동될 경우 상기 이동부(1213)와의 마찰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부(1213)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The
이때, 상기 이동안내부(150)는 상기 이동부(1213)를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며, 상부에 위치된 이동안내부(150)는 이동부(1213)의 상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부(1213)가 이동될 경우 마찰력의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부(1213)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At this time, the
이상 설명한 원지 급지부(110)와 조절부(120)의 사이, 즉 수용공간(190)에는 상기 원지(S)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부(140)가 더 설치된다.The
상기 처짐방지부(140)는 수직바(141)와 수평바(142)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조합연결하므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바(142)의 상부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안내부(144)가 설치된다.The
또한, 상기 회전안내부(144)의 사이에는 롤러(143)가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A
상기 롤러(143)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원지(S)의 저면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원지 급지부(110)를 통해 이동되는 원지(S)와의 마찰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원지(S)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이로 인해 사이즈가 크거나 또는 무게가 무거운 원지(S)도 처지지 않고 원지 급지부(110)를 통해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paper S having a large size or a heavy weight can be stably discharged through th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동력부(12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130)를 통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상기 동력전달부(130)는 공지의 AC모터 또는 DC모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모터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The
상기 회전축(124) 중 설치부(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스프로켓(1241)이 장착되고, 상기 스프로켓(1241)과 동력전달부(130)의 모터축은 하나의 체인(131)을 통해 연결된다.A
이로 인해 상기 동력전달부(13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회전축(124)이 상기 동력전달부(130)의 모터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Accordingly, if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applying power to the
이로 인해 상기 조절부(120)가 원지 급지부(11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공간(190)의 폭 또는 길이를 원지(S)의 폭 또는 길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The adjusting
한편, 원지 이송기(200)는 몸체(210), 제1 가이드(220), 제2 가이드(230) 및 원지 이송 모듈(240)을 포함하며, 원지 급지부에서 공급된 원지(S)와 인쇄지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인쇄지를 합지시키는 과정에서 Y축 방향으로 공급(도 10을 기준)되는 상기 원지(S)를 상기 인쇄지의 공급 방향과 직교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동(도 10을 기준)하여 상기 원지(S)의 합지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인쇄지의 합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술이다.The
몸체(210)는 제1 가이드(220), 제2 가이드(230) 및 원지 이송 모듈(240)이 장착되는 프레임으로, 상면 중심에 원지(S)의 이동 방향(X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슬릿(slit) 형상의 장착 장공(21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장착 장공(212)의 양측으로 상기 장착 장공(212)과 평행한 슬릿 형상의 제1 장공(214)과 제2 장공(216)이 관통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제1 장공(214)과 상기 제2 장공(216)은 원지(S)의 이동 방향에 대해 전후 2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제1 가이드(220)는 몸체(210)의 상면 일측에서 제1 장공(214)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장공(214)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더욱이, 제1 가이드(220)는 제1 장공(214)과 대응되는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220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기(220a)가 상기 제1 장공(214)의 내부에 위치됨을 감안하였을 때 상기 제1 가이드(220)의 이동 방향의 안내와 이동 거리를 제한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220)는 제1 장공(214)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1 장공(214)과 중첩되도록 제1 연결 장공(224)이 관통 형성된 제1 연장부(222)가 연장 형성된다.The
여기서, 제1 연장부(222)는 형성된 제1 연결 장공(224)과 제1 장공(214)을 상하에서 중첩시킨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226)에 의해 제1 가이드(22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The
제2 가이드(230)는 몸체(210)의 상면 타측에서 제2 장공(216)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장공(216)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더욱이, 제2 가이드(230)는 제2 장공(216)과 대응되는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230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기(230a)가 상기 제2 장공(216)의 내부에 위치됨을 감안하였을 때 상기 제2 가이드(230)의 이동 방향의 안내와 이동 거리를 제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2 가이드(230)는 제2 장공(216)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2 장공(216)과 중첩되도록 제2 연결 장공(234)이 관통 형성된 제2 연장부(232)가 연장 형성된다.The
여기서, 제2 연장부(232)는 형성된 제2 연결 장공(234)과 제2 장공(216)을 상하에서 중첩시킨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236)에 의해 제2 가이드(23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The
원지 이송 모듈(240)은 제1 가이드(220)와 제2 가이드(230) 사이에 형성된 장착 장공(212) 내에 배치되어 원지(S)를 인쇄지 공급기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제1 스프로킷(242), 제2 스프로킷(244), 체인(246), 원지 가압부재(248) 및 구동부(M)를 포함한다.The
이때, 상기 원지 이송 모듈(240)은 스프로킷 및 체인에 의해 원지(S)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풀리 및 벨트 등과 같이 구동축과 종동축의 이격된 상태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상기 원지(S)를 이송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the
제1 스프로킷(242)은 장착 장공(212)의 선단에 배치되고, 제2 스프로킷(244)은 상기 장착 장공(212)의 후단에 상기 제1 스프로킷(242)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The
체인(246)은 제1 스프로킷(242)과 제2 스프로킷(244)을 연결하여 구동부(M)의 구동력을 상기 제2 스프로킷(244)에 전달한다.The
원지 가압부재(248)는 체인(246) 상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원지(S)의 후단부를 밀도록 가압하는 구성으로,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플레이트가 이에 적용된다.The
즉, 상기 원지 가압부재(248)는 체인(246)이 구동될 때 수직부가 원지(S)의 후단부를 인쇄지 공급기 방향으로 밀면서 전진시킴에 따라 상기 원지(S)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That is, when the
이때, 상기 원지 가압부재(248)는 체인(246) 상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대향된 양쪽에 2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At this time, at least one
구동부(M)는 제1 스프로킷(242)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프로킷(242)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이다.The driving unit M is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한편, 상기 제1 가이드(220) 및 제2 가이드(230)는 실린더 또는 스크루와 기어의 조합 등을 통해 직선 구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컨트롤러에 의해 간격 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그러므로 원지 이송기(200)의 원지 이송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paper conveying process of the
먼저, 원지 급지부(100)에서 원지(S)를 Y축 방향으로 공급하면, 공급된 원지(S)가 원지 이송기(200)의 제1 가이드(220)와 제2 가이드(230)의 사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공급된 원지(S)는 공급 과정에서 제1 가이드(220)에 덧댄 스토퍼(228)에 충돌하므로 상기 제1 가이드(220)를 넘어가지 못하게 한다.First, when the paper S is fed in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다음으로, 제1 가이드(220)와 제2 가이드(230)의 사이에 위치된 원지(S)는 원지 이송 모듈(240)이 구동되면서 인쇄지 공급기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The paper S placed between the
이는, 원지 이송 모듈(240)의 원지 가압부재(248)가 체인(246)의 가동에 의해 전진하다가 밀착하면서 반입된 원지(S)의 후단을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원지 가압부재(248)가 이동되면서 상기 원지(S)가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한편, 인쇄지는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원지(S)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된 상태로 위치를 조절하여 공급되어야 하는 경우, 제1 가이드(220)를 고정하고 있던 체결부재(226)를 풀어 상기 제1 가이드(220)를 체결 해제한 후 상기 제1 가이드(220)를 제1 장공(214)의 형성 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inting sheet is to be supplied by adjusting its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paper S is left unbalanced to the left or right without being changed, the
이와 함께, 제2 가이드(230)를 고정하고 있던 체결부재(236)를 풀어 상기 제2 가이드(230)를 체결 해제한 후 상기 제2 가이드(230)를 제2 장공(216)의 형성 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After the
다음으로, 제1 가이드(220)와 제2 가이드(230)의 위치를 이동시켜 고정위치가 정해지면 체결부재(226, 236)를 조여 고정시킨 후 앞선 공정과 같이 원지(S)가 이송되게 한다.Next, when the positions of the
한편, 인쇄지 공급기(300)는 인쇄지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인쇄지의 하부에 접착제(G)를 도포한 후, 공기를 이용하여 인쇄지를 지지한 상태에서 원지 이송부를 통해 원지(S)의 공급시 하강하여, 상기 원지(S)의 상부에 인쇄지를 합지시키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인쇄지 공급기(300)는 인쇄지 공급부(310), 인쇄지 전달부(320), 인쇄지 접착부(330), 인쇄지 흡입부(340), 인쇄지 승강부(350), 합지부(360), 배출부(370)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여기서 상기 인쇄지 공급기(3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는 공지된 모터를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motor for provid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상기 인쇄지 공급부(310)는 인쇄지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인쇄지를 인쇄지 전달부(320)에 공급하게 된다.The print
즉 상기 인쇄지 공급부(310)는 합지장치의 작동에 따른 인쇄지 공급기의 작동시 일정간격으로 전달되는 인쇄지를 인쇄지 전달부(320)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rinting
그리고 상기 인쇄지 공급부(310)는 인쇄지를 전달하는 공급 지지판(311)과, 상기 공급 지지판(311)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공급 프레임(312)과, 상기 공급 프레임(312)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공급 이송 롤러(313)로 이루어진다.The print
즉 상기 인쇄지 공급부(310)는 인쇄지 공급기(300)를 통해 인쇄지가 공급되면, 상기 공급 지지판(311)과 공급 이송 롤러(313)를 이용하여 인쇄지를 인쇄지 전달부(320)에 연속해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rinting paper is supplied through the
이때 상기 공급 프레임(312)의 일 측에는 인쇄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314)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At this time, a detection sensor 314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상기 인쇄지 전달부(320)는 인쇄지 공급부(310)에서 공급되는 인쇄지를 인쇄지 접착부(330)로 전달하게 된다.The print
그리고 상기 인쇄지 전달부(320)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개의 이송축(321)과, 상기 이송축(321)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전달 이송 롤러(322)와, 상기 전달 이송 롤러(322)에 감기는 이송 벨트(323)로 구성된다.The printing
즉 상기 인쇄지 전달부(320)는 인쇄지 공급부(310)를 통해 전달되는 인쇄지를 상기 이송축(321)의 작동시 회전작동하는 전달 이송 롤러(322)를 통해 인쇄지 접착부(33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rint
이때 상기 인쇄지 전달부(320)의 상부에는 인쇄지 공급부(310)에서 전달되는 인쇄지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안내 가이드 판(324)이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At this time, a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안내 가이드 판(324)은 인쇄지의 두께에 따라 간격을 두고 공급 지지판(3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지가 상부로 뜨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쇄지를 인쇄지 접착부(330)으로 원활하게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상기 인쇄지 접착부(330)는 인쇄지 전달부(320)에서 공급되는 인쇄지의 하부에 접착제(G)를 도포하게 된다.The printing
그리고 상기 인쇄지 접착부(330)는 내부에 접착제(G)가 수용되는 접착제 케이스(331)와, 상기 접착제(G)에 일부가 수용되고 회전작동시 인쇄지 전달부(320)에서 인쇄지 흡입부(340)로 이동하는 인쇄지의 하부에 접착제(G)를 도포하는 도포 롤러(332)와, 상기 도포 롤러(332)에 이웃하게 장착되고 상기 도포 롤러(332)의 외면에 묻은 접착제 양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조절 롤러(333)로 구성된다.The print
즉 상기 인쇄지 접착부(230)는 인쇄지 전달부(320)에서 전달되는 인쇄지의 하부에 조절 롤러(333)를 통해 일정량의 접착제(G)가 묻은 도포 롤러(332)의 접착제(G)를 인쇄지의 하부에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rinting
이때 상기 도포 롤러(332)에 묻히는 접착제(G)의 양은 롤러 가이드(334)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절 롤러(333)의 간격 조절을 통해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The amount of the adhesive G applied to the
상기 인쇄지 흡입부(340)는 인쇄지 접착부(330)에서 전달되는 인쇄지를 공기를 이용하여 흡입 및 지지하게 된다.The print
그리고 상기 인쇄지 흡입부(340)는 합지부(36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흡입공(342)이 형성되는 호퍼(341)와 상기 호퍼(341)에 흡기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343) 및 상기 흡입펌프(343)와 호퍼(341)를 연결하는 흡입라인(344)으로 구성된다.The print
즉 상기 인쇄지 흡입부(340)는 흡입펌프(343)의 흡입력을 흡입라인(344)을 통해 호퍼(341)에 공급하여 접착제(G)가 도포된 인쇄지를 상부방향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rinting
이때 상기 인쇄지 접착부(330)와 인쇄지 흡입부(340)의 사이에는 접착제(G)가 도포된 인쇄지가 인쇄지 접착부(3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인쇄지 흡입부(340)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인쇄지 가이드 구(380)가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The print paper coated with the adhesive agent G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print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인쇄지 가이드 구(380)는 인쇄지 흡입부(340)로 이동하는 접착제(G)가 도포된 인쇄지를 합지부(360)로 안내하면서도 접힘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printing
상기 인쇄지 승강부(350)는 원지 이송부를 통한 원지(S)의 공급시 접착제(G)가 도포된 인쇄지를 원지(S)의 상부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printing paper lifting and lowering
그리고 상기 인쇄지 승강부(350)는 인쇄지 접착부(330)와 합지부(360)를 지지하는 승강 프레임(351)과 상기 승강 프레임(351)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강실린더(352)로 이루어진다.The printing paper elevating and lowering
즉 상기 인쇄지 승강부(350)는 원지(S)의 공급 전에는 인쇄지 접착부(330) 및 합지부(360)를 승강시키고, 원지 이송부를 통한 원지(S)의 공급시에는 승강실린더(352)를 하강작동시켜 원지(S)의 지정된 위치에 인쇄지를 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rinting paper elevating and lowering
상기 합지부(360)는 원지(S)와 인쇄지를 가압하여 일체화시키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합지부(360)는 외면에 간격을 두고 텐션롤러(362)가 장착되는 텐션 흡입축(361)과 상기 텐션 흡입축(361)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외면에는 인쇄지를 인쇄지 접착부(330)로 가압하는 가압롤러(364)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가압 흡입축(363)과 상기 원지(S)와 인쇄지를 가압하여 일체화시키는 합지롤러(365) 및 상기 롤러(362, 364, 365)에 감기고 호퍼(341)의 흡입공(342)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길이방향으로 벨트 흡입공(367)이 형성되는 다공성 벨트(366)로 구성된다.The
즉 상기 합지부(360)는 모터의 작동에 따른 회전력이 전달되면, 상기 텐션 흡입축(361) 및 가압 흡입축(363)은 회전작동하고, 더불어 상기 흡입축(361, 363)에 장착되는 롤러(362, 364)로 회전작동하여, 인쇄지를 합지롤러(365)에 전달한 다음, 상기 합지롤러(365)는 원지(S)에 부착되는 인쇄지를 동시에 가압하여 원지(S)와 인쇄지를 일체화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he
이때 접착제(G)가 도포된 인쇄지는 인쇄지 흡입부(340)를 통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지정된 원지(S)의 위치에 인쇄지를 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printing paper coated with the adhesive G is kept fixed through the printing
또한 상기 다공성 벨트(366)는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벨트 흡입공(367)을 통해 호퍼(341)의 흡입공(342)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때는 인쇄지를 고정하고 상기 호퍼(341)의 흡입공(342)과 비동일선상시에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일정하게 인쇄지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When the
상기 배출부(370)는 일체화된 원지(S)와 인쇄지를 배출하게 된다.The discharging
즉 상기 배출부(370)는 합지롤러(365)를 통해 일체화된 원지(S)와 인쇄지를 다수개의 공지된 이송롤러를 통해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discharging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배출부(370)는 원지(S)에 부착된 인쇄지가 상부로 뜨거나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지지 가이드(372)가 장착되고, 상기 지지 가이드(372)의 끝단에는 판 수용홈(374)이 형성되는 배출롤러(373)가 장착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상기 배출부(370)는 합지부(360)를 거쳐 전달되는 일체화된 원지(S)와 인쇄지를 지지 가이드(372)를 통해 가압하여 상기 인쇄지가 상부로 뜨거나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일정시간 동안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discharg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합지장치용 인쇄지 공급기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inting paper feeder for a lapping apparatus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상기 인쇄지를 전달하는 공급 지지판(311)과, 상기 공급 지지판(311)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공급 프레임(312)과, 상기 공급 프레임(312)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공급 이송 롤러(313)로 이루어지는 인쇄지 공급부(310)를 형성한다.First, a
그리고 상기 인쇄지 공급부(310)의 일 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개의 이송축(321)과, 상기 이송축(311)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전달 이송 롤러(322)와, 상기 전달 이송 롤러(322)에 감기는 이송 벨트(323)로 구성되는 인쇄지 전달부(320)를 형성한다.A plurality of conveying
다음으로 상기 인쇄지 전달부(320)의 일 측으로 내부에 접착제(G)가 수용되는 접착제 케이스(331)와, 상기 접착제(G)에 일부가 수용되고 회전작동시 인쇄지 전달부(320)에서 인쇄지 흡입부(340)로 이동하는 인쇄지의 하부에 접착제(G)를 도포하는 도포 롤러(332)와, 상기 도포 롤러(332)에 이웃하게 장착되고 상기 도포 롤러(332)의 외면에 묻은 접착제 양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조절 롤러(333)로 구성되는 인쇄지 접착부(330)를 형성한다.An
그리고 상기 인쇄지 접착부(330)의 전방으로 하부에 간격을 두고 흡입공(342)이 형성되는 호퍼(341)와 상기 호퍼(341)에 흡기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343) 및 상기 흡입펌프(343)와 호퍼(341)를 연결하는 흡입라인(344)으로 구성되는 인쇄지 흡입부(340)를 형성한 후, 외면에 간격을 두고 텐션롤러(362)가 장착되는 텐션 흡입축(361)과 상기 텐션 흡입축(361)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외면에는 인쇄지를 인쇄지 접착부(330)로 가압하는 가압롤러(364)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가압 흡입축(363)과 상기 원지(S)와 인쇄지를 가압하여 일체화시키는 합지롤러(365) 및 상기 롤러(362, 364, 365)에 감기고 호퍼(341)의 흡입공(342)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길이방향으로 벨트 흡입공(367)이 형성되는 다공성 벨트(366)로 구성되는 합지부(360)를 장착한다.A
더불어 상기 인쇄지 접착부(330)와 합지부(360)에 승강 프레임(351)과 상기 승강 프레임(351)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강실린더(352)로 이루어진 인쇄지 승강부(350)를 장착한다.A printing paper elevating and lowering
다음으로 상기 합지부(360)의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지지 가이드(372)와, 상기 지지 가이드(372)의 끝단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 가이드(372)와 대응하는 위치에 판 수용홈(374)이 형성되는 배출롤러(373)로 구성되는 배출부(370)를 장착하면 합지장치용 인쇄지 공급기(3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A
여기서 상기 합지장치용 인쇄지 공급기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It is noted that the assembling procedure of the printing paper feeder for the lapping apparatus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합지장치용 인쇄지 공급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use state of the printing paper feeder for a lapp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합지장치의 작동에 따라 인쇄지 공급기에서 인쇄지가 인쇄지 공급부(310)에 전달되면, 상기 인쇄지는 공급 지지판(311)과 공급 이송 롤러(313)를 통해 인쇄지 전달부(320)에 전달된다.First, when the printing paper is transferred from the printing paper feeder to the printing
이때 상기 인쇄지는 인쇄지 전달부(3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안내 가이드 판(324)을 통해 원활하게 인쇄지 전달부(320)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inting paper sheet is smoothly moved to the printing
그리고 상기 인쇄지 전달부(320)에 전달된 인쇄지는 이송축(321)의 작동시 회전작동하는 전달 이송 롤러(322)를 통해 인쇄지 접착부(330)에 이송된다.The printing paper conveyed to the printing
다음으로 상기 인쇄지 접착부(330)에 이송된 인쇄지의 하부에는 접착제 케이스(331)의 내부에 일부가 수용되는 도포 롤러(332)를 통해 일정량의 접착제(G)를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adhesive agent G is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ing paper transferred to the printing
이때 상기 도포 롤러(332)의 접착제(G) 양은 조절 롤러(333)를 통해 조절된다.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adhesive G of the
그리고 상기 인쇄지 흡입부(340)에 전달된 접착제(G)가 도포된 인쇄지는 흡입펌프(343)의 작동에 따른 호퍼(341)를 통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인쇄지 흡입부(340) 및 합지부(360)와 함께 인쇄지 승강부(350)를 통해 상부로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printing paper coated with the adhesive agent G transferred to the printing
다음으로 원지 이송부를 통한 원지(S)가 합지부(360)의 위치하게 되면, 상기 인쇄지 승강부(350)는 하강 작동하고, 상기 합지롤러(365)는 원지(S)의 상부에 인쇄지를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원지(S)와 인쇄지를 일체화시키게 된다.Next, when the paper S via the paper feeding unit is positioned on the
그리고 상기 합지부(360)를 통과한 일체화된 원지(S)와 인쇄지는 배출부(370)의 지지 가이드(372) 및 배출롤러(373)를 통해 인쇄지가 뜨거나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전방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The integrated paper S and the printing paper which have passed through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0 : 원지 급지기 110 : 원지 급지부
111 : 설치부 1211,141 : 수직바
1212,142 : 수평바 112,124,171 : 회전축
1121,1122,1241,1711 : 스프로켓 113,143,172 : 롤러
114,173 : 밸트 120 : 조절부
121 : 베이스 1211,141 : 수직바
1213 : 이동부 122 : 지지부
1221 : 브라켓 1222 : 지지판
1223 : 결합편 115,116,123,127,131 : 체인
125 : 피니언 126 : 동력부
130 : 동력전달부 140 : 처짐방지부
150 : 이동안내부 160 : 배출안내부
170 : 보조 원지 급지부 180 : 모터
190 : 원지 200 : 원지 이송기
210: 몸체 212: 장착 장공
214: 제1 장공 216: 제2 장공
220: 제1 가이드 230: 제2 가이드
240: 원지 이송 모듈 242: 제1 스프로킷
244: 제2 스프로킷 246: 체인
248: 원지 가압부재 M: 구동부
S: 원지 300 : 합지장치용 인쇄지 공급기
310 : 인쇄지 공급부 320 : 인쇄지 전달부
330 : 인쇄지 접착부 340 : 인쇄지 흡입부
350 : 인쇄지 승강부 360 : 합지부
370 : 배출부100: Paper feeder 110: Paper feeder
111:
1212, 142:
1121, 1122, 1241, 1711:
114, 173: belt 120:
121:
1213: moving part 122: supporting part
1221: Bracket 1222: Support plate
1223: Coupling
125: pinion 126:
130: Power transmission unit 140: Deflection preventing unit
150: movement guide part 160: discharge guide part
170: auxiliary paper feeding unit 180: motor
190: Document 200: Document feeder
210: body 212:
214: first elongated hole 216: second elongated hole
220: first guide 230: second guide
240: Paper feeding module 242: First sprocket
244: second sprocket 246: chain
248: Paper pressing member M:
S: paper 300: printing paper feeder for laminating machine
310: print paper supply unit 320:
330: print paper adhesion portion 340: print paper suction portion
350: printing paper landing part 360:
370:
Claims (17)
상기 원지 급지기에서 급지된 원지와 인쇄기 공급기에서 공급된 인쇄지를 합지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원지를 상기 인쇄지의 공급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쇄지와의 합지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인쇄지의 합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원지 이송기,
인쇄지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인쇄지의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공기를 이용하여 인쇄지를 지지하고, 원지 이송부를 통해 원지의 공급시 하강하여, 상기 원지의 상부에 인쇄지를 합지시키는 합지 안내기를 포함하는 합지장치.An original feeder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a paper sheet therein and having an adjuster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ccommodating space to a length of the original paper,
The paper is mov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printing paper in the course of laminating the paper fed from the paper feeding device and the printing paper fed from the printing machine feeder to feed the paper in the laminating direction of the printing paper while adjusting the lapping position with the printing paper Paper conveying machine,
And a joint guide for supporting the printing paper by applying air to the lower part of the printing paper fed from the printing paper feeder and lowering the feeding paper while feeding the paper through the paper feeding part to join the printing paper to the upper part of the paper, Device.
상기 원지 급지기는,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양측이 상기 설치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제자리 회전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되면서 상기 원지를 배출시키는 밸트를 포함하는 합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document feeder includes:
A mounting portion formed symmetrically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and in which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 rotary shaft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s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oth sides of which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A roller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shaft and rotated in place with the rotating shaft,
And a belt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oller and forming an endless track by rotation of the roller and discharging the paper while being rotated.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원지 급지기와 마주하며, 양측에는 상기 설치부와 교차하는 이동부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원지 급지기와 마주하며, 상기 원지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이동부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체인,
상기 설치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양측이 상기 설치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체인과 맞물리는 피니언,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가 원지 급지기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합지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ncludes:
A base which faces the paper feeder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therebetween, and on both sides of which a moving part intersecting the mounting part is formed,
A support unit installed on the base, facing the paper feeder,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paper,
A chain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A rotating shaft dispos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s and having both sides thereof rotatably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A pinion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and engaging with the chain,
And a power unit mounted on one side of the rotary shaft for causing the rotary shaft to rotat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base is moved in a direction toward or away from the paper feeder.
상기 조절부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합지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egulating unit and rotating the rotation axis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상기 원지 급지기와 조절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원지가 원지 급지기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롤러가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처짐방지부를 포함하는 합지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And a sag preventing unit located between the paper feeder and the adjusting unit and having a roller for guiding the paper to be fed to the paper feeder.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는 이동안내부를 포함하는 합지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movement guide portion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and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portion, and rotated in place by movement of the moving portion.
상기 원지 이송부는,
상면 양단에 원지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장공 및 제2 장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 일측에서 상기 제1 장공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가이드,
상기 몸체의 상면 타측에서 상기 제2 장공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원지를 이송시키는 원지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합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paper-
A body having at least one first elongated hole and a second elongated hole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as to be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aw paper,
A first guid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of forming the first long hole,
A second guid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long hole,
And a paper feeding modul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to feed the paper.
상기 제1 가이드에는 상기 원지의 공급 위치를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구비되는 합지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guide is provided with a stopper so as to restrict a feeding position of the paper.
상기 원지 이송모듈은,
상기 몸체의 선단에 배치되는 제1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몸체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2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제2 스프로킷에 전달하는 체인,
상기 체인 상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상기 원지의 후단부를 밀도록 가압하는 원지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합지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paper feeding module includes:
A first sprocket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body,
A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first sprocket,
A second sprocket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body,
A chain that connects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to the second sprocket,
And at least one paper pressing member which is provided on the chain and presses the rear end of the paper to be pressed.
상기 원지 가압부재는 절곡 형성되는 합지장치.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aper pressing member is formed by bending.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의 저면에는 상기 제1 장공과 상기 제2 장공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는 합지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projection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elongated holes.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제1 장공과 상기 제2 장공에 체결부재에 의해 위치 고정하는 합지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re fixed by the fastening member to the first elongated hole and the second elongated hole.
인쇄지를 공급하는 인쇄지 공급부,
상기 인쇄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인쇄지를 전달하는 인쇄지 전달부,
상기 인쇄지 전달부에서 공급되는 인쇄지의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인쇄지 접착부,
상기 인쇄지 접착부에서 전달되는 인쇄지를 공기를 이용하여 흡입 및 지지하는 인쇄지 흡입부,
원지 이송부를 통한 원지의 공급시 접착제가 도포된 인쇄지를 원지의 상부에 접착시키는 인쇄지 승강부,
상기 원지와 인쇄지를 가압하여 일체화시키는 합지부,
일체화된 원지와 인쇄지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합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printing paper feeding section for feeding the printing paper,
A print paper delivery unit for delivering the print paper supplied from the print paper supply unit,
A printing paper adhering portion for applying an adhesive to a lower portion of the printing paper supplied from the printing paper delivery portion,
A printing paper suction unit for sucking and support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from the printing paper adhering unit by using air,
A printing paper landing portion for adhering the printing paper coated with the adhesiv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per when the paper is fed through the paper feeding portion,
A joint portion for pressing and integrating the raw paper and the printing paper,
And a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the integrated paper and the printing paper.
상기 인쇄지 전달부의 상부에는 인쇄지 공급부에서 전달되는 인쇄지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안내 가이드 판이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인쇄지 접착부와 인쇄지 흡입부의 사이에는 인쇄지 가이드 구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합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3,
A guide guide plate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nt paper delivery unit at intervals so as to smoothly convey the print paper delivered from the print paper supply unit,
And a printing paper guide hole is provided at an interval between the printing paper adhering portion and the printing paper suction portion.
상기 인쇄지 접착부는,
내부에 접착제가 수용되는 접착제 케이스,
상기 접착제에 일부가 수용되고 회전작동시 인쇄지 전달부에서 인쇄지 흡입부로 이동하는 인쇄지의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 롤러,
상기 도포 롤러에 이웃하게 장착되고 상기 도포 롤러의 외면에 묻은 접착제양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조절 롤러를 포함하는 합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rinting paper-
An adhesive case in which an adhesive is received,
An application roller for partially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ing paper which moves from the printing paper transfer portion to the printing paper suction portion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And an adjusting roller which is mounted adjacent to the applying roller and adjusts an amount of the adhesive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pplying roller to be constant.
상기 인쇄지 흡입부는 합지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흡입공이 형성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흡기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 및 상기 흡입펌프와 호퍼를 연결하는 흡입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합지부는 외면에 간격을 두고 텐션롤러가 장착되는 텐션 흡입축과 상기 텐션 흡입축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외면에는 인쇄지를 인쇄지 접착부로 가압하는 가압롤러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가압 흡입축과 상기 원지와 인쇄지를 가압하여 일체화시키는 합지롤러 및 상기 롤러에 감기고 호퍼의 흡입공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길이방향으로 벨트 흡입공이 형성되는 다공성 벨트로 구성되는 합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rint paper sucking portion comprises a hopper disposed inside the joint portion and having a suction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suction pump for providing an intake force to the hopper, and a suction line connecting the suction pump and the hopper,
And a pressurizing suction shaft having a pressure suction roller disposed at an interval from the tension suction shaft and having a pressure roller for pressing the printing paper with a printing paper adhering portion, And a porous belt in which a belt suction hole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uction hole of the hopper wound around the roller.
상기 배출부에는 원지에 부착된 인쇄지가 상부로 뜨거나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지지 판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 판의 끝단에는 지지 판의 끝단이 수용되는 판 수용홈이 형성되는 배출롤러가 장착되는 합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3,
The discharge unit is equipped with a support plate at intervals so as to prevent the printing paper adhered to the paper sheet from rising or folding upward,
And a discharge roller having a plate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n end of the support plate is mounted at an end of the support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5039A KR101731863B1 (en) | 2015-04-20 | 2015-04-20 | Lamin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5039A KR101731863B1 (en) | 2015-04-20 | 2015-04-20 | Lamin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4944A true KR20160124944A (en) | 2016-10-31 |
KR101731863B1 KR101731863B1 (en) | 2017-05-04 |
Family
ID=5744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5039A Active KR101731863B1 (en) | 2015-04-20 | 2015-04-20 | Lamin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186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89513B1 (en) | 2024-12-19 | 2025-04-04 | 주식회사 협심 | Vertical laminat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23038B2 (en) * | 2005-12-27 | 2009-02-12 | 庄内鉄工株式会社 | Cosmetic sheet automatic pasting method and cosmetic sheet automatic pasting apparatus |
JP2007296764A (en) * | 2006-05-01 | 2007-11-15 | Yamato Sangyo Kk | Manufacturing method of sheet with strip-like transparent window |
JP2011195197A (en) * | 2010-02-26 | 2011-10-06 | Takara Pac Ltd | High speed label transfer and sticking device |
-
2015
- 2015-04-20 KR KR1020150055039A patent/KR101731863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1863B1 (en) | 2017-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RE41976E1 (en) | Sheet folding apparatus | |
KR102380733B1 (en) | Manufacturing device of laminated label body | |
KR101653598B1 (en) | A self-feeder of flexowriter | |
CN109733918B (en) | Double-deviation-correcting conveying device | |
KR101423227B1 (en) | Guide roller assembly for film feeding and winder | |
JP4128043B2 (en) | Supply magazine loading device | |
KR101731863B1 (en) | Laminating apparatus | |
KR20170053605A (en) | A Label Feeder Having a Improved Function of a Label Separation | |
JP2001122502A (en) |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paper sheet | |
JP2001247224A (en) | Cover feeding device | |
JP5295838B2 (en) | Bookbinding apparatus and bookbinding method | |
KR20170019856A (en) | A Label Feeder Having a Improved Function of a Label Separation | |
CN101516751A (en) | Auxiliary drive for conveying sheets on the feed table of a die-cutting press | |
US9334133B2 (en) | Sheet feeder with dual discharge | |
KR20170141644A (en) | A Label Feeder Having a Improved Function of a Label Separation | |
KR20160124939A (en) | Printing paper feeder for laminating device | |
KR101591383B1 (en) | Apparatus for Laminating Papers Having Variable Transfer Structure | |
KR101731868B1 (en) | Base paper feeding machine for laminating apparatus | |
US20230373185A1 (en) | Gluer apparatus, and conveyance assist device for gluer apparatus | |
KR101689027B1 (en) | Cover printer of book type printed matter | |
JP2020121858A (en) | Laminating machine | |
KR101424814B1 (en) | Media reflux | |
JP4135923B2 (en) | Paper machine | |
JP4718316B2 (en) | Paper transport mechanism of printing device | |
KR20200086191A (en) | Printing paper feeder for lamina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