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117766A -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766A
KR20160117766A KR1020150045085A KR20150045085A KR20160117766A KR 20160117766 A KR20160117766 A KR 20160117766A KR 1020150045085 A KR1020150045085 A KR 1020150045085A KR 20150045085 A KR20150045085 A KR 20150045085A KR 20160117766 A KR20160117766 A KR 20160117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real
marine
ti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현
홍성진
문승록
박형성
김동석
조시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5004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7766A/ko
Publication of KR2016011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76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은; 기상청 및 국립해양조사원과 같은 관련 유관기관의 실시간 해양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가시화하는 단계;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과 같은 해안지역 재난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가시화하는 단계; 상기 가시화된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과 같은 해안 지역 재난 위험을 분석하고 가시화하는 단계; 상기 해안 지역 재난 위험을 분석에 따른 피해를 시뮬레이터를 통해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및 상기 피해 시뮬레이션의 결과 피해 예측이 일정한 수치에 도달하면 해안재난유형별 재난위험을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위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은 실시간 해양 정보 연계를 통한 모니터링을 하여 실시간 태풍 및 지진 정보를 활용한 해일과 같은 해양 재난 예측 시뮬레이션을 활용하고, SNS와 같은 휴먼 센서, 레이더, 위성 등 첨단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 재난 현장 모니터링 및 실시간 스마트 재난상황 관리 체계 연계를 통한 활용성을 확대하여, 판단자가 해양재난의 위험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해양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실시간으로 해양재난 상황을 관리하고 의사결정 지원을 할 수 있어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Description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Predicting and managing system of marine disasters thorugh analysing ocean information}
본 발명은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기상청과 국립해양조사원 등의 관련 기관에서 제공되는 실시간의 각종 정보 결과의 분석을 기초하여 이를 가시화함으로서 해양 재난의 위험성을 미리 예측하여 판단 및 파악할 수 있어 해양재난의 예측을 통한 예방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 등에 따른 환경 변화에 따라 과거의 기후 환경이 점차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이 나타나고 있고 또한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재해 및 재난의 형태가 점차 다양화되고 그 피해규모 또한 증가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재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술과 경제수준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재해에 대한 방재시스템에 대하여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가적, 사회적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관련기술의 연구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재해에 대한 방재 시스템으로는 주로 집중호우나 폭풍을 동반한 폭우 등에 따른 산사태나 주택 또는 도로의 침수 등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해양 재난에 대한 주의는 아직 많지 않은 실정이다. 다만 해양재난과 관계되는 것으로는, 예를 들어 크루즈선과 같이 내부 구조가 복잡한 대형 구조물에 화재, 침수, 폭발, 붕괴, 전복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 대한 관제 시스템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0129662호에서는, 선박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실시간 위치인식 및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능동적으로 승객이 사고구역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안전한 대피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사고구역으로의 접근을 통제하는 한편, 미처 대피하지 못하거나 고립된 승객을 효율적으로 구조하기 위한 비상관제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0017835호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지진관측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와 서버에 저장된 지진관측정보를 무선 연동에 의해 인접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연동장비를 구비한 지진관측소와; 상기 인접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지진관측정보를 바탕으로 셀 영역에 따라 지진/해일 경보 등급을 설정하는 지진/해일 경보 서버와; 상기 지진/해일 경보 서버에서 설정한 셀 영역별 지진/해일 경보 등급 정보를 각 셀 영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해양 재난 예측과 관련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0138038호에서는,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이라는 명칭으로, "a) 측량 대상지역인 해변 지형의 좌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육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해변의 지형을 스캐닝하되 적어도 한 측점 이상의 측점을 스캐닝하여 각 측점에 대한 상대적인 3차원 좌표값을 얻고, 이와 동시에 실시간 위치측량기로 실시간 위치측량을 실시하여 각 측점에 대한 실세계 좌표값을 얻되 수평좌표는 GRS80 타원체 기준의 WGS84 좌표계, 수직좌표는 인천중등조위면(IMSL) 기준으로 표고값을 산정하여 각 측점에 대한 실세계 좌표값을 얻는 단계; b) 상기 실시간 위치측량기를 통해 얻는 각 측점에 대한 실세계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레이저 측정기로 얻은 각 측점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을 실세계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해변 지형의 좌표값을 얻는 단계; c) 다중빔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측량 대상지역인 해변에 접한 연안의 수심을 적어도 한 측점 이상을 측량하되, 광역 보정지피에스(WA-DGPS)를 이용하여 실세계 수평 위치정보 및 상대적 수심값을 얻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얻은 수심값의 조위보정을 위하여 연안에 파고조위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조위를 측정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수직좌표의 기준점으로 이용한 인천중등조위면(IMSL)을 기준점으로 실시간 위치측량기로 실시간 위치측량을 실시하여 인천중등조위면(IMSL)을 기준으로 한 파고조위측정수단의 높이 및 이를 기준으로 변환된 파고값을 얻는 단계; e) 상기 c) 단계에서 얻은 수심값을 상기 d) 단계에서 얻은 인천중등조위면(IMSL) 기준 파고값으로 조위보정을 수행하여 수심의 좌표값을 얻는 단계; 및 f) 상기 b) 단계에서 얻은 해변 지형의 좌표값과 상기 e) 단계에서 얻은 연안의 수심의 좌표값을 결합하여 육도와 해도의 접합 정밀 지형도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운영 중인 해양침수 예상도가 있는데, 이는 전국 해안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폭풍 해일고를 지방기관 재난관리 담당자에게 해안침수 지도로 표출하여 제공하므로 각 해안의 침수 위험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발명 및 이전의 기술에서는 실시간으로 해양재난 위험을 판단할 수 있는 객관화된 수치 또는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가시화 자료로서 제공하지 못하므로, 판단자에 따라 다르게 판단하거나 잘못 판단하여 그 결과가 전혀 달라지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해양재난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음을 본 발명자 등은 인식하였고,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0129662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0017835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013803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일 목적은 실시간으로 해양관련 다수의 정보를 받아 이를 객관화하고 가시화하여 제공하므로 판단자가 해양재난에 대해 효과적으로 예측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양재난의 위험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해양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실시간으로 해양재난 상황을 관리하고 의사결정 지원을 할 수 있는 해양재난 위험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은;
기상청 및 국립해양조사원과 같은 관련 유관기관의 실시간 해양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가시화하는 단계;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과 같은 해안지역 재난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가시화하는 단계;
상기 가시화된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과 같은 해안 지역 재난 위험을 분석하고 가시화하는 단계;
상기 해안 지역 재난 위험을 분석에 따른 피해를 시뮬레이터를 통해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및
상기 피해 시뮬레이션의 결과 피해 예측이 일정한 수치에 도달하면 해안재난유형별 재난위험을 판단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결과를 피해 위험지역을 도식화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 시뮬레이터의 실시간 SBB(Smart Big Board,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체계) 연계 및 기술 표준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실시간 해양 정보는 조위, 파랑 및 풍속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태풍 발생에 따른 태풍 해일 재난 위험 분석 및 가시화는 기상청 태풍 통보 정보를 활용한 이동경로, 풍속, 영향권과 같은 기본 정보 가시화; 태풍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된 시뮬레이션 정보의 가시화; 및 시뮬레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해안지역 재난 위험 판단 및 경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진 발생에 따른 지진 해일 재난 위험 분석 및 가시화는 기상청 지진 통보 정보를 활용한 진원지, 세기, 영향권과 같은 기본 정보 가시화; 지진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된 시뮬레이션 정보 가시화; 및 시뮬레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해안지역 재난 위험 판단 및 경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은 실시간 해양 정보 연계를 통한 모니터링을 하여 실시간 태풍 및 지진 정보를 활용한 해일과 같은 해양 재난 예측 시뮬레이션을 활용하고, SNS와 같은 휴먼 센서(Human Sensor), 레이더, 위성 등 첨단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 재난 현장 모니터링 및 실시간 스마트 재난상황 관리 체계 연계를 통한 활용성을 확대하여, 판단자가 해양재난의 위험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해양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실시간으로 해양재난 상황을 관리하고 의사결정 지원을 할 수 있어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메인 화면 일부로서 실시간 해양 정보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나타내며, 도 1a는 해양 기후 모니터링 정보 가시화 화면이고, 도 1b는 해양 기후 데이터 검색 결과 화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메인 화면 일부로서 태풍 및 지진 발생에 따른 해일 위험 분석 및 가시화 화면으로, 도 1a는 태풍 해일 가시화 화면이고, 도 2b는 지진 해일 가시화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메인 화면 일부로서 해양재난 상황분석 및 피해예측 시뮬레이션 결과 화면으로, 도 3a는 침수 피해 예측 가시화 화면이고, 도 3b는 부산항 침수 피해 영역 가시화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현장중심의 위험상황을 분석을 위한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실시간 해양재난 상황 관리 및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재난 위험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은 기상청 및 국립해양조사원과 같은 관련 유관기관의 실시간 해양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가시화하는 단계;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과 같은 해안지역 재난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가시화하는 단계; 상기 가시화된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과 같은 해안 지역 재난 위험을 분석하고 가시화하는 단계; 상기 해안 지역 재난 위험을 분석에 따른 피해를 시뮬레이터를 통해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및 상기 피해 시뮬레이션의 결과 피해 예측이 일정한 수치에 도달하면 해안재난유형별 재난위험을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예보/경보를 발령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 시뮬레이터의 실시간 SBB(Smart Big Board,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체계) 연계 및 기술 표준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메인 화면 일부로서 실시간 해양 정보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나타내며, 도 1a는 해양 기후 모니터링 정보 가시화 화면이고, 도 1b는 해양 기후 데이터 검색 결과 화면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간 해양 정보는 조위, 파랑 및 풍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위, 파랑 및 풍속과 같은 실시간 해양 정보는, 예를 들어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등과 같은 관련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수신된 정보를 도 1과 같이 가시화하여 시스템의 메일 화면으로 나타낼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상청으로부터 실시간 해양부이 관측 데이터의 실시간 수집을 하고 이를 분석하여 해양 기후 데이터를 리스트 및 그래프로 표시하여 화면으로 가시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단계인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 등 해안지역 재난 상황에 대한 실시간 정보 수집 및 가시화는 다음과 같은 하부 단계에 의해 수행되어 질 수 있다.
즉, 태풍 해일 해안지역 재난 상황에 대한 실시간 정보 수집 및 가시화는 태풍 발생에 따른 해일 위험을 분석하고 가시화하는 것으로, 기상청 태풍 통보 정보를 활용한 이동경로, 풍속, 영향권 등 기본 정보를 가시화하는 단계; 태풍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된 시뮬레이션 정보(예를 들어, 바람, 해일고, 유속 등)를 가시화하는 단계; 및 시뮬레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해안지역 재난위험판단 및 경고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진 해일 해안지역 재난 상황에 대한 실시간 정보 수집 및 가시화는 지진 발생에 따른 해일 위험 분석하고 및 가시화하는 것으로, 기상청 지진 통보 정보를 활용한 진원지, 세기, 영향권 등 기본 정보를 가시화하는 단계; 지진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된 시뮬레이션 정보(예를 들어, 해일고, 유속 등)를 가시화하는 단계; 및 시뮬레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해안지역 재난위험판단 및 경고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성에 따른 가시화된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과 같은 해안 지역 재난 위험을 분석하고 가시화하는 단계와 해안 지역 재난 위험의 분석에 따른 피해를 시뮬레이터를 통해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는 태풍 해일, 지진 해일과 같은 해양재난 상황을 분석하고 그 위험을 시뮬레이션하고 가시화하는 것이다.
또한,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의 시뮬레이터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실시간 SBB(Smart Big Board,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체계)로 연계하고 기술을 표준화하여 실시간으로 재해위험지역 정보를 도식화하고, 그리고 해안 재난유형별 재난위험을 판단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해양재난 상황분석 및 피해예측 시뮬레이션 정보 활용은 휴먼 센서(SNS 등), 레이더, 위성 등 첨단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 재난현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연안지역 해안침수 예상도, 항만권역 재해정보도 등에 예측 정보를 가시화하는 단계; 및 실시간 SBB(Smart Big Board,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체계)와 연계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진다.
본 명세서는 여기에 서술된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방법론, 시스템 및/또는 이들의 용도 등에 대해 완전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노력하여 본 기술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어떤 특별한 정도로,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개의 양태를 참고로 하여 상술되어 졌지만, 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인은 여기의 기술의 정신 또는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개시된 양태에 대한 다수의 변형을 만들 수 있다. 많은 양태는 본 기재 기술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범위는 이하 첨부된 청구범위로 된다.

Claims (5)

  1. 기상청 및 국립해양조사원과 같은 관련 유관기관의 실시간 해양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가시화하는 단계;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과 같은 해안지역 재난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가시화하는 단계;
    상기 가시화된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과 같은 해안 지역 재난 위험을 분석하고 가시화하는 단계;
    상기 해안 지역 재난 위험을 분석에 따른 피해를 시뮬레이터를 통해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및
    상기 피해 시뮬레이션의 결과 피해 예측이 일정한 수치에 도달하면 해안재난유형별 재난위험을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위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태풍 해일 및 지진 해일 시뮬레이터의 실시간 SBB(Smart Big Board,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체계) 연계 및 기술 표준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해양 정보는 조위, 파랑 및 풍속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풍 발생에 따른 태풍 해일 재난 위험 분석 및 가시화는 기상청 태풍 통보 정보를 활용한 이동경로, 풍속, 영향권과 같은 기본 정보 가시화; 태풍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된 시뮬레이션 정보의 가시화; 및 시뮬레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해안지역 재난 위험 판단 및 경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 발생에 따른 지진 해일 재난 위험 분석 및 가시화는 기상청 지진 통보 정보를 활용한 진원지, 세기, 영향권과 같은 기본 정보 가시화; 지진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된 시뮬레이션 정보 가시화; 및 시뮬레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해안지역 재난 위험 판단 및 경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KR1020150045085A 2015-03-31 2015-03-31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Ceased KR20160117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085A KR20160117766A (ko) 2015-03-31 2015-03-31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085A KR20160117766A (ko) 2015-03-31 2015-03-31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766A true KR20160117766A (ko) 2016-10-11

Family

ID=5716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085A Ceased KR20160117766A (ko) 2015-03-31 2015-03-31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7766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0716A (zh) * 2018-06-22 2018-12-28 中船重工鹏力(南京)大气海洋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基于多功能雷达的潮间带监测方法
KR101972913B1 (ko) 2018-03-09 2019-04-26 주식회사 환경과학기술 Ais 기반의 실시간 해양자료 제공 시스템
KR101982470B1 (ko) * 2018-03-21 2019-05-27 한국전력공사 해상활동 위험도 예보 시스템
CN110009158A (zh) * 2019-04-11 2019-07-12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台风暴雨洪水灾害全生命周期监测方法及系统
KR20190131829A (ko) * 2018-05-17 2019-11-27 (주)미래해양 스마트 파랑 경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266066B1 (ko) * 2020-12-16 2021-06-18 (주)지오씨엔아이 지진 재난대응을 위한 의사결정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2817A (ko) * 2021-03-24 2022-10-04 (주)하이라인닷넷 위험도 기반의 쉐이크맵을 이용한 지진대응 시스템
KR20230016125A (ko) * 2021-07-23 2023-02-0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관리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변화 예측 방법
CN116721517A (zh) * 2023-08-10 2023-09-08 福建省气象信息中心(福建省气象档案馆) 基于天镜的气象数据监测预警方法及装置
CN116797019A (zh) * 2023-05-23 2023-09-22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海洋灾害风险防控预警系统
CN116978191A (zh) * 2023-09-25 2023-10-31 宁波麦思捷科技有限公司武汉分公司 一种海洋灾害预测与预警的方法及系统
KR20250084455A (ko) 2023-12-04 2025-06-11 주식회사 일렉오션 연안지역 관측 및 예측정보를 활용한 상황별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835A (ko) 2005-08-08 200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29662A (ko) 2008-06-13 2009-12-17 한국해양연구원 위치인식 및 센서네트워크 기반 능동형 비상관제 시스템
KR20100138038A (ko) 2009-06-24 2010-12-31 한국해양연구원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835A (ko) 2005-08-08 200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29662A (ko) 2008-06-13 2009-12-17 한국해양연구원 위치인식 및 센서네트워크 기반 능동형 비상관제 시스템
KR20100138038A (ko) 2009-06-24 2010-12-31 한국해양연구원 침수범람 예측 및 재해도 작성을 위한 육도-해도 접합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913B1 (ko) 2018-03-09 2019-04-26 주식회사 환경과학기술 Ais 기반의 실시간 해양자료 제공 시스템
KR101982470B1 (ko) * 2018-03-21 2019-05-27 한국전력공사 해상활동 위험도 예보 시스템
KR20190131829A (ko) * 2018-05-17 2019-11-27 (주)미래해양 스마트 파랑 경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9100716A (zh) * 2018-06-22 2018-12-28 中船重工鹏力(南京)大气海洋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基于多功能雷达的潮间带监测方法
CN110009158B (zh) * 2019-04-11 2022-04-15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台风暴雨洪水灾害全生命周期监测方法及系统
CN110009158A (zh) * 2019-04-11 2019-07-12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台风暴雨洪水灾害全生命周期监测方法及系统
KR102266066B1 (ko) * 2020-12-16 2021-06-18 (주)지오씨엔아이 지진 재난대응을 위한 의사결정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2817A (ko) * 2021-03-24 2022-10-04 (주)하이라인닷넷 위험도 기반의 쉐이크맵을 이용한 지진대응 시스템
KR20230016125A (ko) * 2021-07-23 2023-02-0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관리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변화 예측 방법
CN116797019A (zh) * 2023-05-23 2023-09-22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海洋灾害风险防控预警系统
CN116721517A (zh) * 2023-08-10 2023-09-08 福建省气象信息中心(福建省气象档案馆) 基于天镜的气象数据监测预警方法及装置
CN116721517B (zh) * 2023-08-10 2023-11-03 福建省气象信息中心(福建省气象档案馆) 基于天镜的气象数据监测预警方法及装置
CN116978191A (zh) * 2023-09-25 2023-10-31 宁波麦思捷科技有限公司武汉分公司 一种海洋灾害预测与预警的方法及系统
CN116978191B (zh) * 2023-09-25 2023-12-08 宁波麦思捷科技有限公司武汉分公司 一种海洋灾害预测与预警的方法及系统
KR20250084455A (ko) 2023-12-04 2025-06-11 주식회사 일렉오션 연안지역 관측 및 예측정보를 활용한 상황별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7766A (ko)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US202302597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cision suppor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ata fusion techniques on distributed sensor network data
Pemberton et al. Sea-ice evaluation of NEMO-Nordic 1.0: a NEMO–LIM3. 6-based ocean–sea-ice model setup for the North Sea and Baltic Sea
Duo et al. Local-scale post-event assessments with GPS and UAV-based quick-response surveys: a pilot case from the Emilia–Romagna (Italy) coast
KR101658197B1 (ko) 연안 이상현상 경보 발생방법
Benassai et al. Rip current evidence by hydrodynamic simulations, bathymetric surveys and UAV observation
KR101942058B1 (ko) 전산유체역학과 해양특성을 이용한 해수면 상승 침수 시뮬레이션 방법
Frey et al. A robust debris-flow and GLOF risk management strategy for a data-scarce catchment in Santa Teresa, Peru
KR102804512B1 (ko) 관측용 부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침몰선 유출유 확산에 대한 피해 위험 평가 방법
KR20160117765A (ko)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Lorini et al. Venice was flooding... one tweet at a time
Tanim et al. Storm-surge modelling for cyclone Mora in the northern Bay of Bengal
Sasaki et al. Automatic levee detection using a high-resolution DEM− Case study in Kinu river basin, Japan
Bing et al.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il spills in the Bohai Sea based on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GIS
Neumann et al. Comparing the" bathtub method" with Mike 21 HD flow model for modelling storm surge inundation
Loftis et al. Communities and areas at intensive risk in the mid-Atlantic region: A reanalysis of 2011 hurricane Irene with future sea level rise and land subsidence
Loftis et al. Integrated ocean, earth, and atmospheric observations for resilience planning in Hampton roads, Virginia
Balstrøm et al. A GIS-based screening workflow for coastal storm surge impact assessments and mitigation action consideration
Kim et al. Urban flood inundation simulation based on high-precision 3D modeling
KR101640793B1 (ko)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Venkatesan et al. India's ocean observation network: relevance to society
Goseberg et al. Highly-resolved numerical modeling of tsunami run-up and inundation scenario in the city of Padang, West Sumatra
Klemm et al. Nautical Chart Adequacy Evaluation Using Publicly-Available Data
Musa et al. Analysis of extreme wave probabilistic return value based on the 20-year spectral and empirical wave modeling approach in the Coastal Area of Pangandaran
Zillm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3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