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110825A - 풀림방지 커넥터 - Google Patents

풀림방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825A
KR20160110825A KR1020150034978A KR20150034978A KR20160110825A KR 20160110825 A KR20160110825 A KR 20160110825A KR 1020150034978 A KR1020150034978 A KR 1020150034978A KR 20150034978 A KR20150034978 A KR 20150034978A KR 20160110825 A KR20160110825 A KR 20160110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ed
locking member
body por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210B1 (ko
Inventor
조광희
엄주태
김무진
배효영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인코시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인코시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21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0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01R13/6215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using one or more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풀림방지 커넥터가 개시된다. 풀림방지 커넥터는 중공관 형태의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제1 신호전송부 및 전단부에 제1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부상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바디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중공관 형태의 제2 바디부, 상기 제2 바디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제2 신호전송부 및 전단부에 제2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바디부의 전단부에 회전하여 결합하고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제1 요철부에 맞물려서 결합되는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풀림방지 커넥터{THE CONNECTOR FOR PREVENTING SEPERATION}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하여 결합된 두 커넥터의 풀림을 방지된 풀리방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적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면서 암수 한쌍의 동축케이블 커넥터 내부 유전체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기 위한 것으로서, 유무선통신 시스템의 각종 부품 등을 포함한 전기장치와의 연결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와 성능 및 결합구조에 따라 N형, DIN형, TNC형, BNC형, SMA형, SMB 형, SMC형, 및 기타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한편,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각종 전기장치의 연결부와 결합에 사용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는 전기장치의 연결부와 나사결합되는 암형 커넥터부재와, 암형 커넥터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숫형 커넥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나, 이러한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잦은 진동 혹은 외력에 의해 암형 커넥터부재 및 숫형 커넥터부재 사이의 나사결합이 풀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예로, 발전용 가스터빈의 바디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발전용 가스터빈의 연소기(버너)에서 토출되는 불꽃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발전용 가스터빈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동축케이블 커넥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전용 가스터빈의 작동시 지속적인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진동에 의해 암형 커넥터 및 숫형 커넥터의 나사결합된 상태가 빈번하게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를 이용하여 서로 나사결합된 커넥터의 풀림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 풀림 방지 구조는, 커넥터의 정비를 위해 분해하는 경우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를 절단하여야 하므로 커넥터 정비 완료 후 다시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연결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이에 따라 커넥터 정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105632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하여 결합된 두 커넥터의 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커넥터 내로 고온의 공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온의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내부 부품의 고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풀림방지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는 중공관 형태의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제1 신호전송부 및 전단부에 제1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부상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바디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중공관 형태의 제2 바디부, 상기 제2 바디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제2 신호전송부 및 전단부에 제2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바디부의 전단부에 회전하여 결합하고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제1 요철부에 맞물려서 결합되는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잠금부재의 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이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잠금부재를 상기 제1 요철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잠금부재는 상기 제1 바디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1 바디부의 일부를감싸도록 상기 제1 바디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잠금부재의 내면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잠금부재의 내면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외면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에 의하면, 회전하여 결합된 두 커넥터의 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커넥터 내로 고온의 공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온의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내부 부품의 고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제1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제2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제1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의 제2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는 서로 결합하는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100)는 제1 바디부(110), 제1 신호전송부(120) 및 제1 잠금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는 중공관 형태를 이루어 제1 신호전송부(120)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다. 일 예로, 제1 바디부(110)는 제1 원통부(111), 돌출부(112) 및 제2 원통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통부(11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전단부에 제1 나사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2)는 제1 나사부(111a)의 반대편에서 제1 원통부(111)의 외면으로부터 제1 원통부(111)의 둘레를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제1 원통부(111)의 축방향에 수직한 제1 원통부(111)의 전단부를 정면으로 하여 볼 때 돌출부(112)는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제2 원통부(113)는 돌출부(112)의 이면으로부터 제1 원통부(111)의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원통부(113)는 제1 원통부(1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신호전송부(120)는 전자장비의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신호전송부(120)는 페룰(121), 케이블 고정부(122), 제1 핀홀더(123), 케이블 및 핀 연결단자(124), 제1 신호핀(125)을 포함할 수 있다.
페룰(121)은 케이블(10) 및 케이블 고정부(122)를 정렬시키고, 케이블 고정부(122)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케이블(10) 및 케이블 고정부(12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케이블 고정부(122)는 전자장비로부터 연장된 케이블(10)의 접속부가 내측으로 삽입되고, 제1 바디부(110)의 제2 원통부(113) 내로 전단부가 삽입되어 제1 바디부(110)에 결합되며, 삽입된 케이블(10)을 제1 바디부(110)에 고정할 수 있다.
제1 핀홀더(123)는 케이블(10)의 심선(11)과 제1 신호핀(125)을 제1 바디부(110) 내에서 고정 및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핀홀더(123)는 제1 바디부(110) 내에 삽입되어 케이블 고정부(122)의 앞에 배치되며, 제1 바디부(1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이루어 제1 바디부(110) 내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제1 핀홀더(123)의 중심부에는 케이블(10)의 심선(11) 및 제1 신호핀(125)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구멍(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및 핀 연결단자(124)는 케이블(10)의 심선(11)과 제1 신호핀(125)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케이블 및 핀 연결단자(124)는 제1 핀홀더(123)의 삽입구멍(123a) 내로 삽입되어 제1 핀홀더(123)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신호핀(125)은 제1 바디부(110)의 제1 원통부(111) 내로 삽입되어 일단부가 핀홀더(123)에 형성된 삽입구멍(123a)을 통해 케이블 및 핀 연결단자(12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신호핀(125)은 제1 바디부(110)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심선(11)의 끝단부도 케이블 및 핀 연결단자(124) 내로 삽입되어 제1 신호핀(125)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잠금부재(130)는 제1 커넥터(100)에 연결된 제2 커넥터(200)의 후술하는 제2 잠금부재(230)가 제1 바디부(110)에 결합된 후 풀림을 방지한다. 제1 잠금부재(130)는 바디수용부(131) 및 제1 요철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수용부(131)는 제1 바디부(110)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수용부(131)는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바디수용부(131)의 내경은 제1 바디부(110)의 돌출부(112)를 포함한 제1 바디부(11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바디수용부(131)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으로 볼 때 바디수용부(131)의 단면 형상은 사각이다. 바디수용부(131)의 사각 형상의 단면은 바디수용부(131) 내로 제1 바디부(110)가 수용되면 돌출부(112)에 밀착된다. 제1 바디부(110)의 돌출부(112)의 형상 및 바디수용부(131)의 내면의 단면 형상이 사각이므로 제1 잠금부재(130)는 제1 바디부(110)상에서 회전하지 않는다.
제1 요철부(132)는 제1 바디부(110)에 회전하여 결합되는 제2 커넥터(200)의 후술하는 제2 잠금부재(230)가 회전되어 제1 바디부(110)로부터 풀리지 않도록 한다. 제1 요철부(132)는 바디수용부(131)의 축방향에 수직한 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요철부(132)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원통은 제1 바디부(110)의 제1 원통부(11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요철부(132)는 제1 바디부(110)가 제1 잠금부재(130) 내로 삽입되면 제1 바디부(110)의 제1 원통부(111)를 감싸도록 제1 바디부(110)와 결합되며, 이때 제1 바디부(110)의 제1 나사부(111a)의 뒤로 위치한다. 또한 제1 요철부(132)의 원통의 전단부에는 요철(132a)이 형성된다. 요철(132a)은 제1 요철부(132)의 원통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한편, 제1 커넥터(100)는 스프링(140) 및 실링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140)은 제1 바디부(110)에 결합된 제1 잠금부재(130)를 제1 요철부(132) 방향으로 가압한다. 스프링(140)은 제1 바디부(110)의 제1 원통부(111)를 감싸도록 제1 바디부(110)에 결합되고, 제1 바디부(110)와 결합된 제1 잠금부재(13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140)은 제1 바디부(110)의 돌출부(112)의 앞에 위치하여 일측이 돌출부(112)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이 제1 잠금부재(130)의 내면에 지지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140)은 돌출부(112)를 기준으로 제1 잠금부재(130)를 제1 요철부(132) 방향으로 가압한다.
실링부재(150)는 제1 잠금부재(130)의 내면 및 제1 바디부(110)의 외면 사이를 실링한다. 실링부재(150)는 링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C링일 수 있다. 링의 내경은 제1 바디부(110)의 제2 원통부(113)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고, 링의 외경은 제1 바디부(110)의 돌출부(11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150)는 제1 바디부(110)의 제2 원통부(113)에 결합되어 돌출부(112)의 뒤로 위치하여 돌출부(112)의 외면 및 제1 잠금부재(130)의 내면이 밀착한 부분을 제1 잠금부재(130)의 외측으로부터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실링부재(150)가 제1 잠금부재(130)에 결합되기 위해 제1 잠금부재(130)의 내면 일측에는 제1 환형홈(13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환형홈(130a)은 링의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150)가 제1 환형홈(130a)에 결합된 경우 실링부재(150)는 제1 환형홈(130a) 내에서 전후로 일정 폭 이동할 수 있고, 스프링(140)의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제2 바디부(210), 제2 신호전송부(220) 및 제2 잠금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210)는 전방바디(211), 후방바디(212), 제1 바디고정부재(213) 및 제2 바디고정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바디(211)는 제2 신호전송부(22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관 형태이다. 일 예로, 전방바디(211)는 제1 원통부(211a) 및 제1 원통부(211a)로부터 확개되어 제1 원통부(211a)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제2 원통부(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원통부(211b)에는 수나사부(211c)가 형성될 수 있다.
후방바디(212)는 제2 신호전송부(22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관 형태이다. 일 예로, 후방바디(212)는 제1 원통부(212a) 및 제1 원통부(212a)로부터 확개되어 제1 원통부(212a)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제2 원통부(212b) 및 제2 원통부(212b)로부터 확개되어 제2 원통부(212b)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제3 원통부(21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원통부(212c)는 제2 바디고정부재(214)가 결합되기 위한 제2 환형홈(212d)이 형성될 수 있고 전방바디(211)의 제2 원통부(211a)와 대응될 수 있다.
제1 바디고정부재(213)는 전방바디(211) 및 후방바디(212)를 연결 및 고정한다. 제1 바디고정부재(213)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1 바디고정부재(213)의 내면 일측에는 암나사부(213b)가 형성될 수 있고, 암나사부(213b)의 반대편측 내면에는 제2 바디고정부재(214)의 결합을 위한 제3 환형홈(21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바디고정부재(213)는 암나사부(213b)가 전방바디(211)의 제2 원통부(211b)에 형성된 수나사부(211c)와 나사결합되어 서로 대응된 전방바디(211)의 제2 원통부(211b) 및 후방바디(212)의 제3 원통부(212c)를 감싸도록 전방바디(211) 및 후방바디(2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고정부재(214)는 후방바디(212)가 제1 바디고정부재(213)에 고정되도록 한다. 제2 바디고정부재(214)는 링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바디고정부재(214)는 C링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디고정부재(214)는 후방바디(212)의 제3 원통부(212c)에 형성된 제3 환형홈(213b) 및 제1 바디고정부재(213)의 내면에 형성된 제2 환형홈(212d) 내에 결합되어 후방바디(212)가 제1 바디고정부재(213)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신호전송부(220)는 케이블고정링(221), 인슐레이터(222), 제2 핀홀더(223), 제2 신호핀(224)및 핀수용부재(22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고정링(221)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케이블고정링(221)은 후방바디(212)의 제1 원통부(212a)를 감싸도록 제1 원통부(212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고정링(221)은 후방바디(212) 내로 삽입된 케이블(10)을 고정한다.
인슐레이터(222)는 전방바디(211) 및 후방바디(212) 내에 수용된다. 인슐레이터(222)는 후방바디(212)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중심부에 케이블(10)의 심선(11)이 삽입되는 복수의 구멍(2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슐레이터(222)는 전방바디(211) 및 후방바디(212) 내에 삽입되고 복수의 구멍(222a)에 삽입된 케이블(10)의 심선(11)을 보호한다.
제2 핀홀더(223)는 전방바디(211) 내에 수용된다. 제2 핀홀더(223)는 전방바디(211)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핀수용부재(225)를 수용하는 복수의 핀삽입홀(2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핀홀더(223)는 전방바디(211) 내에 삽입되어 후방측에 인슐레이터(222)와 연결되고, 복수의 핀삽입홀(223a) 내로 삽입된 제2 신호핀(224)을 고정하며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2 신호핀(224)은 제1 커넥터(100)의 제1 신호핀(125)과 연결되어 전자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신호핀(224)은 제2 핀홀더(223)의 복수의 핀삽입홀(223a) 내로 삽입되어 케이블(10)의 심선(11)과 연결된다.
핀수용부재(225)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핀수용부재(225)는 제2 핀홀더(223)의 복수의 핀삽입홀(223a) 내에 수용되어 제2 신호핀(224)을 감싸도록 제2 신호핀(224)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핀수용부재(225)는 제2 신호핀(224)에 결합된 상태에서 핀수용부재(225)의 끝단부가 제2 신호핀(224)의 끝단부보다 앞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신호핀(224)의 끝단부보다 앞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와 결합될 때 제1 신호핀(125)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잠금부재(230)는 제2 커넥터(200)를 제1 커넥터(100)에 연결 및 고정한다. 제2 잠금부재(230)는 너트형몸체부(231) 및 제2 요철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형몸체부(231)는 전방바디(211)와 결합하여 전방바디(211)의 전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너트형몸체부(231)의 내측으로 전방바디(211)의 전단부가 삽입되고 전방바디(211) 및 너트형몸체부(231)의 내면에 고정링(233)이 결합되어 너트형몸체부(231)가 전방바디(2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너트형몸체부(231)는 제1 커넥터(100)의 제1 바디부(110)에 회전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너트형몸체부(231)는 조임 및 풀림이 용이하도록 너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면에 제2 나사부(23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사부(231a)는 제1 바디부(110)의 제1 나사부(111a)와 결합된다.
제2 요철부(232)는 너트형몸체부(231)의 축방향에 수직한 전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요철부(232)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원통의 단부에 요철(232a)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232a)은 제2 요철부(2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요철부(232)의 요철(232a)은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와 연결될 때 제1 요철부(132)의 요철(132a)과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커넥터는 전자장비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터빈의 연소진동 또는 가스터빈 바디의 진동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의 출력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연소진동은 가스터빈의 불꽃이 크고 작아지는 현상으로 인한 불꽃의 진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제1 커넥터(100)는 상기 센서들의 측정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측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커넥터(200)는 상기 센서들의 케이블(10)의 끝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연결을 위해 제2 커넥터(200)의 제2 잠금부재(230)가 제1 커넥터(100)의 제1 바디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잠금부재(230)는 제1 커넥터(100)의 제1 바디부(110)에 회전하여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2 잠금부재(230)가 제1 커넥터(100)의 제1 바디부(110)에 회전하여 결합된 후 제2 잠금부재(230) 및 제1 잠금부재(130)는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잠금부재(230)의 제2 요철부(232)의 요철(232a) 및 제1 잠금부재(130)의 제1 요철부(132)의 요철(132a)은 도 5와 같이 서로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제1 잠금부재(130)는 스프링(140)에 의해 제1 요철부(132)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제1 요철부(132) 및 제2 요철부(232)는 견고하게 맞물리게 된다. 또한 제1 잠금부재(130)는 제1 바디부(110)상에서 회전하지 않으므로 회전하여 제1 바디부(110)에 결합되어 있는 제2 잠금부재(230)는 결합되는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바디부(110)에 결합되어 있는 제2 잠금부재(230)의 풀림이 방지된다.
한편, 제1 잠금부재(130) 및 제2 잠금부재(2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잠금부재(130)의 내면 및 제1 바디부(110)의 외면 사이는 실링부재(150)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으므로 고온의 외부 공기가 제1 잠금부재(130)의 내면 및 제1 바디부(110)의 외면 사이의 공간, 즉 스프링(140)이 위치하는 공간 내로 유입되지 못하므로 스프링(140)이 고온의 공기와 접촉하여 고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중공관 형태의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제1 신호전송부 및
    전단부에 제1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부상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바디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중공관 형태의 제2 바디부,
    상기 제2 바디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제2 신호전송부 및
    전단부에 제2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바디부의 전단부에 회전하여 결합하고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제1 요철부에 맞물려서 결합되는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잠금부재의 단면 형상은 사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잠금부재를 상기 제1 요철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부재는 상기 제1 바디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1 바디부의 일부를감싸도록 상기 제1 바디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잠금부재의 내면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잠금부재의 내면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외면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커넥터.
KR1020150034978A 2015-03-13 2015-03-13 풀림방지 커넥터 KR101702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978A KR101702210B1 (ko) 2015-03-13 2015-03-13 풀림방지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978A KR101702210B1 (ko) 2015-03-13 2015-03-13 풀림방지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25A true KR20160110825A (ko) 2016-09-22
KR101702210B1 KR101702210B1 (ko) 2017-02-03

Family

ID=5710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978A KR101702210B1 (ko) 2015-03-13 2015-03-13 풀림방지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291A (ko) * 2020-05-26 2022-06-08 주식회사 아이에스케이 풀림 방지 구조의 실링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632A (ko) 2004-08-19 2004-12-16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
KR200468838Y1 (ko) * 2013-02-05 2013-09-04 주식회사 엠피디 스프링과 나선 체결 압입방식에 의해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용 컨넥터
KR20140040201A (ko) * 2011-06-07 2014-04-02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동축 삽입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632A (ko) 2004-08-19 2004-12-16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콘넥터
KR20140040201A (ko) * 2011-06-07 2014-04-02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동축 삽입형 커넥터
KR200468838Y1 (ko) * 2013-02-05 2013-09-04 주식회사 엠피디 스프링과 나선 체결 압입방식에 의해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용 컨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291A (ko) * 2020-05-26 2022-06-08 주식회사 아이에스케이 풀림 방지 구조의 실링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210B1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6603B1 (en) Quick-connection outdoor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9054471B2 (en) Coaxial angled adapter
KR101964764B1 (ko) 플러그 보호 캡, 광섬유 커넥터 조립체, 광섬유 플러그 및 네트워크 장치
US20010046802A1 (en) Quick connect coaxial cable connector
US5632655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placeable male pins
JP6726263B2 (ja) プラグコネクタ
US10321214B2 (en) Microphone
JP5643837B2 (ja) Hfインターフェースに高周波(hf)ケーブルを接続する接続装置
KR100808875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체
KR101702210B1 (ko) 풀림방지 커넥터
US3538485A (en) Coupling device
WO2011033639A1 (ja) 導波管の接続機構
CN201302021Y (zh) 一种快速连接可拆卸气路连接器
RU220214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штеккер
WO2016106641A1 (zh) 一种测试接头
CN210894780U (zh) 一种中性水密光纤连接器
KR20120043036A (ko) 안테나 어셈블리
WO2015039406A1 (zh) 电缆用线对线连接器、电缆用线对线连接器组件及设置有线对线连接器的电缆组件
JP2009289644A (ja) コネクタ
JP6602338B2 (ja) アダプタ
CN105742887A (zh) 一种隔爆电连接器
US20210036454A1 (en)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Connector
KR200497213Y1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CN218975849U (zh) 一种连接器结构
CN209561769U (zh) 一种接电缆抗震型smp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4